KR20220118656A -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656A
KR20220118656A KR1020210022337A KR20210022337A KR20220118656A KR 20220118656 A KR20220118656 A KR 20220118656A KR 1020210022337 A KR1020210022337 A KR 1020210022337A KR 20210022337 A KR20210022337 A KR 20210022337A KR 20220118656 A KR20220118656 A KR 20220118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on
mobile application
service
page
recomme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730B1 (ko
Inventor
김성훈
한송이
김수산나
박서연
이윤경
Original Assignee
한화생명보험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생명보험 (주) filed Critical 한화생명보험 (주)
Priority to KR1020210022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730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감정 기록을 위한 감정 기록 페이지 및 상기 감정 기록 페이지를 통해 기록된 감정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감정 결과 페이지를 포함하는 감정 캘린더 페이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 mobile application for providing a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본 발명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에게 정신건강은 신체건강 못지 않게 매우 중요하다.
콜센터 상담사, 호텔 및 음식점 종사자, 백화점 및 할인점의 판매업무 종사자 등의 감정노동자가 전체 임금노동자의 30~40%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고, 산업이 서비스산업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감정노동을 행하는 직업 군이 확장됨에 따라 감정노동자의 비율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감정노동자의 약 50%가 본인의 진실된 마음의 상태와 겉으로 드러내야 하는 마음의 상태가 괴리되는 현상인 '감정 부조화 및 손상'을 겪고 있으며, 우울감ㆍ자살충돌 등의 정신적 질환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또한 감정노동자를 포함한 일반 직장인의 80% 정도가 우울증 경험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직장인들뿐만 아니라 현대를 살아가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정신건강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으며, 특히 최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스트레스, 초조, 우울, 불안 등의 부정적인 감정들이 크게 증폭되어 있어서 정신건강 관리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상황이다.
정신건강 관련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는 여러 가지 기술들이 공개되어 있지만, 종래 기술의 대부분은 단순히 심리 분석, 정신질환 분석 자체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정신건강에 유익한 사용자의 일상적 활동을 유도함으로써 정신건강의 유지, 치료 및 개선에 도움되는 서비스의 제공에 초점을 둔 기술은 찾아보기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문헌 제10-1789919호 (2017.10.26) 대한민국 등록특허문헌 제10-1982193호 (2019.05.24) 대한민국 등록특허문헌 제10-1977559호 (2019.05.10) 대한민국 공개특허문헌 제10-2020-0076183호 (2020.06.2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출된 발명으로서, 단순히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분석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그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 최적화된 일상적 활동을 유도 내지 추천하는 데에 활용함으로써 정신건강의 유지, 치유, 치료 및/또는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데에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으로서, 사용자의 감정 기록을 위한 감정 기록 페이지 및 상기 감정 기록 페이지를 통해 기록된 감정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감정 결과 페이지를 포함하는 감정 캘린더 페이지를 제공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감정 기록 페이지가 복수의 감정 아이콘(101) 및 슬라이드 바(102)를 포함하며, 상기 감정 아이콘(101)의 터치 및 상기 슬라이드 바(102)의 좌우 스크롤을 통해 상기 감정 아이콘(101)에 대응되는 감정을 수치화하여 기록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감정 결과 페이지가 당일 감정 표시부(105), 최근 7일 감정 표시부(106) 및 당월 감정 표시부(10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최근 7일 감정 표시부(106)에 각 일자의 감정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감정지수의 그래프 및 상기 감정지수로부터 산출된 각 일자의 감정등급이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감정지수가 N개의 감정이 기록된 경우 기 저장된 감정 농도 별 가산점 테이블로부터 각 감정의 가산점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가산점을 위의 감정지수 산출식에 대입하여 산출되는 것일 수 있다.
감정지수 산출 수식 : 감정지수 = (선택된 감정 N개의 가산점 합) / 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마음일기 서비스, 자가문진 서비스 및 클래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감정캘린더에 기반하여 상기 감정일기 서비스 추천, 자가문진 서비스 추천 및 클래스 추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감정등급 기반 노출 버튼 구분 테이블을 갖는 것이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감정등급을 기준으로 상기 감정등급 기반 노출 버튼 구분 테이블을 통해 선택되는 마음일기 작성 추천 버튼(151)을 상기 감정결과 페이지에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감정일기 서비스 추천을 수행하는 것이며,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감정등급을 기준으로 상기 감정등급 기반 노출 버튼 구분 테이블을 통해 선택되는 자가문진 추천 버튼(152)을 상기 감정결과 페이지에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자가문진 서비스 추천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클래스와 감정 유형 간의 매칭 테이블을 갖는 것이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기록된 감정 데이터의 감정 유형에 매칭되는 복수의 추천 클래스를 상기 매칭 테이블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복수의 추천 클래스의 배너들(161)을 홈페이지 또는 상기 감정 결과 페이지에 리스트업하는 방식으로 상기 클래스 추천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효과 내지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감정캘린더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는 일상 중에도 편리하게 감정을 수치화하여 기록할 수 있고 또한 감정캘린더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감정, 감정지수, 감정등급 및 이들의 변화 추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감정일기 서비스 및 클래스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감정의 치유, 치료, 개선 등에 유익한 활동을 일상 중에도 수시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자가문진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빈도가 많을 때 자신의 정신건강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해볼 수 있다.
(4) 본 발명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감정캘린더에 기반하여 감정일기 서비스 추천 기능, 자가문진 서비스 추천 기능 및 클래스 추천 기능을 수행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감정 상태에 적합하게 상기 서비스들을 활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신건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2에 감정 기록 페이지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은 농도 별 출력 메시지 테이블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6은 감정 결과 페이지의 예를 보이는 도면들이다.
도 7은 감정 농도 별 가산점 테이블 및 그에 기초한 감정지수 산출 수식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마음일기 페이지의 예를 보이는 도면들이다.
도 12은 자가문진 메인 페이지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3은 자가문진 진행 페이지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4는 자가문진 진행 페이지를 통해 노출되는 질문 유형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5는 자가문진 결과 페이지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6은 문진결과 테이블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7은 자가문진 메인 페이지의 다른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8은 자가문진 진행 페이지의 다른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9는 자가문진 진행 페이지를 통해 노출되는 질문 유형의 다른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0은 자가문진 결과 페이지의 다른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1은 문진결과 테이블의 다른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2는 홈페이지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3은 홈페이지와 통합된 클래스 서비스 제공부의 구체화된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4는 감정등급에 따른 감정 리포트 테이블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5는 감정등급 기반 노출 버튼 구분 테이블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6은 클래스(콘텐츠)와 감정의 유형(속성) 간의 매칭 테이블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신건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신건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기(10), 서버(20) 및 관리자 단말기(3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제공하는 정신건강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이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전형적으로 스마트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이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20)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메모리, CPU와 같은 중앙처리장치, 입출력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에는 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받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이 설치되어 구동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된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서버(20)와의 통신을 통해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예: 콘텐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2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을 제공한다. 또한 서버(20)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제공한다.
관리자 단말기(30)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팅 기기이며, 전형적으로 데스크톱 PC 또는 랩톱 PC일 수 있다.
2.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
2-1. 감정캘린더 서비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감정캘린더 서비스를 제공한다.
감정캘린더 서비스는 사용자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을 통해 기록한 감정 데이터를 처리하여 생성한 감정캘린더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서비스이다. 감정캘린더는 당일 감정 표시부, 최근 7일 감정 표시부, 당월 감정 표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도 2에 예시된 감정 기록 페이지를 제공한다.
감정 기록 페이지는 복수의 감정 아이콘(101)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복수의 감정 아이콘(101) 중에서 1개 이상을 터치하여 현재의 감정을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정 아이콘(101)을 통한 감정 기록은 최대 3개까지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감정 아이콘(101)은 8가지 감정 즉 기대, 뿌듯, 즐거움, 편안, 불안, 짜증, 무기력, 공허에 대응되는 8개의 아이콘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의 감정 상태로 기대, 뿌듯, 즐거움을 기록하고자 한다면 그에 대응되는 각 아이콘을 터치하여 해당 감정들을 기록할 수 있다.
감정 기록 페이지에는 감정의 정도를 수치화하여 입력하기 위한 슬라이드 바(102)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감정 아이콘(101)을 터치한 후 슬라이드 바(102)를 좌우로 스크롤함으로써 해당 감정을 수치화하여 입력할 수 있다.
각각의 감정 아이콘(101)에는 고유의 색상이 부여되며, 슬라이드 바(102)를 통한 수치화 정도에 따라 색상의 농도가 조절된다. 즉 감정 아이콘(101)의 색상은 슬라이드 바(102)를 통해 입력된 감정의 수치가 높을수록 짙게 표현된다.
사용자가 슬라이드 바(102)를 좌우로 스크롤할 때 슬라이드 바(102) 근처에 선택된 감정 농도 범위에 대응되는 메시지(103)가 출력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도 3에 예시된 농도 별 출력 메시지 테이블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농도 별 출력 메시지(103)를 출력한다.
감정 기록 페이지에는 기록하기 버튼(104)이 포함되며, 사용자가 이를 터치함으로써 감정 기록이 완료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감정 기록을 하루에 1회 이상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 회의 감정 기록을 수행한 경우 최근의 감정 기록이 당일의 감정 기록으로 업데이트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도 4 내지 6에 예시된 감정 결과 페이지를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정 결과 페이지는 당일 감정 표시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당일 감정 표시부(105)는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당일의 감정이 표시된다. 당일 감정 표시부(105)를 통해 감정의 종류 및 각 감정의 농도가 표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정 결과 페이지는 최근 7일 감정 표시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 7일 감정 표시부(106)는 최근 7일 동안의 감정지수를 산출하여 그래프로 표시한다.
여기서 감정지수는 각 일자 별로 해당일의 기록된 감정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지수를 의미한다.
도 7에는 감정 농도 별 가산점 테이블 및 그에 기초한 감정지수 산출 수식이 보여지고 있다. 각 감정의 농도 구간 별로 가산점(가중치)이 부여되며, 가산점들을 감정지수 산출 수식에 대입하여 지수 점수가 산출된다.
감정지수 = (선택된 감정 N개의 가산점 합) / N … (감정지수 산출 수식)
추가적으로, 도 7에 나와 있는 감정등급 구분표를 기준으로 감정지수 범위에 따른 감정등급이 산출된다.
예를 들어, 선택된 감정 데이타가 '뿌듯' 44%, '기대' 16%, '불안' 72%인 경우 감정지수 산출 수식에 따라 감정지수는 45점으로 산출되고, 감정등급 구분표에 따라 감정등급이 '그냥 그래요'로 산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최근 7일 감정 표시부(106)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산출된 감정지수가 날짜별로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 5의 그래프에서 특정 날짜를 클릭하는 경우 해당일 감정 표시부(107)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그 날짜의 선택 감정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정 결과 페이지는 당월 감정 표시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당월 감정 표시부(108)는 해당월의 각 날짜에 선택된 감정들이 대응 감정 색상의 도트(dot)로 표시된 달력 이미지를 제공한다.
당월 감정 표시부(108)의 상단에는 구분 표시 탭(109)이 제공될 수 있다. 구분 표시 탭(109)에서 '긍정 감정'이 선택된 경우 긍정 감정에 속하는 감정들(예: 즐거움, 뿌듯, 기대, 편안)만 표시되고, '부정 감정'이 선택된 경우 부정 감정에 속하는 감정들(예: 불안, 공허, 무기력, 짜증)만 표시되며, '모두 보기'가 선택된 경우 긍정, 부정 구분 없이 선택된 모든 감정들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당월 감정 표시부(108)에서 특정 날짜를 터치하면 해당일 감정 표시부(110)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그 날짜의 선택 감정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감정 캘린더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감정 기록 페이지에서 당일 느끼는 감정들을 일상 중에도 편리하게 수치화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감정 결과 페이지의 당일 감정 표시부(105), 최근 7일 감정 표시부(106), 당월 감정 표시부(108)를 통해 당일 및 이전일에 대한 감정의 종류, 지수 및 등급과 감정 변화의 추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2-2. 마음일기 서비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마음일기 서비스를 제공한다.
마음일기 서비스는 사용자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을 통해 일기를 작성하는 서비스이다.
도 8 내지 도 11에는 마음일기 서비스 이용을 위해 제공되는 마음일기 페이지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마음일기 메인 페이지에는 일기 종류 선택 버튼들(111)이 제공된다. 일기 종류는 '감정일기', '감사일기' 및 '칭찬일기'로 구분되며 사용자는 마음일기 메인 페이지에서 일기 종류 선택 버튼(111)을 터치함으로써 작성하고자 하는 일기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감정일기 선택 버튼(111a)을 터치하면 도 9에 예시된 감정일기 작성 페이지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감정일기 작성 페이지에 표시되는 감정일기 입력창(112)에 텍스트를 입력함으로써 감정일기를 기록할 수 있다. 감정일기 입력창(112)은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건 입력창, 생각 입력창 및 감정 입력창으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감사일기 선택 버튼(111b)를 터치하면 도 10에 예시된 감사일기 작성 페이지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감사일기 작성 페이지에 표시되는 감사일기 입력창(113)에 텍스트를 입력함으로써 감사일기를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칭찬일기 선택 버튼(111c)를 터치하면 도 11에 예시된 칭찬일기 작성 페이지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칭찬일기 작성 페이지에 표시되는 칭찬일기 입력창(114)에 텍스트를 입력함으로써 칭찬일기를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마음일기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감정일기, 감사일기 및 칭찬일기로 구분하여 일기를 작성할 수 있으며, 일기 작성을 통해 감정 치유,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3. 자가문진 서비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자가문진 서비스를 제공한다.
자가문진 서비스는 사용자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을 통해 자가문진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2-3-1. 자가문진 서비스의 제1 실시예
도 12에는 자가문진 메인 페이지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자가문진 메인 페이지에는 감정 선택 버튼들(121)이 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정 선택 버튼들(121)은 '우울해요' 버튼, '불안해요' 버튼, '우울하고 불안해요' 버튼 및 '잘 모르겠어요'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에는 자가문진 진행 페이지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자가문진 진행 페이지를 통해 선택 버튼 유형 별로 미리 준비된 다수의 질문들(도 14 참조)이 순차적으로 제공되며, 사용자는 답변 탭(122)을 터치함으로써 질문에 답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5에는 자가문진 결과 페이지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자가문진의 결과가 표시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문진 결과 페이지에는 문진결과 표시부(123) 및 메시지 표시부(124)가 제공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도 16에 예시된 문진결과 테이블을 통해 문진결과 및 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도출한다. 문진결과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들에 할당된 각 점수를 역산하여 합산된 문진점수 구간에 따라 '건강해요', '주의가 필요해요', '위험해요', '심각해요'와 같이 네 단계로 도출되며, 문진결과 테이블에는 각 단계에 대응하는 메시지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제1 실시예의 자가문진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우울, 불안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빈도가 많을 때 자신의 정신건강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해볼 수 있다.
2-3-2. 자가문진 서비스의 제2 실시예
도 1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문진 메인 페이지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자가문진 메인 페이지에는 마음 질환 유형 선택 버튼들(171)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버튼들(171) 중에서 자신이 확인해보고 싶은 유형의 마음 질환에 대응되는 버튼을 터치하여 해당 마음 질환에 대해 자가문진을 수행해 볼 수 있다.
도 18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문진 진행 페이지가 도시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우울증을 선택한 경우의 예를 보이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마음 질환 유형 별로 미리 준비된 다수의 질문들(도 19 참조)이 순차적으로 제공되며, 사용자는 답변 탭(182)을 터치함으로써 질문에 대한 응답을 입력할 수 있다.
도 20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문진 결과 페이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자가문진의 결과가 표시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문진 결과 페이지에는 문진결과 표시부(183) 및 메시지 표시부(184)가 제공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도 21에 예시된 문진결과 테이블을 반영하여 문진결과 및 그에 매칭된 메시지를 표시한다. 문진결과는 사용자가 입력한 응답에 할당된 각 점수를 역산하여 합산된 문진점수 구간에 따라 '건강해요', '주의가 필요해요', '위험해요'와 같이 세 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도 21의 문진결과 테이블에는 각 단계에 매칭된 메시지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제2 실시예의 자가문진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정신건강 상태를 본 서비스에 분류된 여러 가지 마음 질환 별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진단해볼 수 있다.
2-4. 클래스 서비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클래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클래스 서비스는 사용자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을 통해 정신건강에 유익한 여러 가지 영상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클래스 서비스가 제공하는 콘텐츠에는 홈트레이닝 영상, 요가 영상, 명상 영상, 댄스카디오 영상, 북테라피 영상, 사운드테라피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콘텐츠 영상의 수동적인 시청 내지 청취(예: 음악 감상, 자연의 소리 듣기)함으로써 또는 콘텐츠 영상이 제공하는 안내에 따라 능동적인 활동(예: 요가, 명상, 댄스)을 수행함으로써 감정에 대한 치유,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클래스 서비스가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들은 관리자 단말기(30)를 통해 서버(20)에 미리 등록되며, 사용자가 클래스 서비스를 이용할 때 특정 콘텐츠(클래스)를 선택하면 통신망을 통해 스트리밍되어 실행된다.
도 22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이 제공하는 홈페이지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홈페이지에는 서비스 선택 아이콘들(131)이 제공된다. 사용자는 전술한 감정캘린더 서비스, 마음일기 서비스 또는 자가문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해당 서비스에 대응되는 아이콘(131)을 터치하여 해당 서비스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래스 서비스 페이지는 홈페이지에 통합되어 제공된다. 사용자가 홈페이지를 아래로 스크롤하면 클래스 서비스 제공부가 표시되며 이 부분에 리스트업된 콘텐츠들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23은 홈페이지와 통합된 클래스 서비스 제공부의 구체화된 예를 보이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홈페이지와 분리시켜 클래스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사용자의 콘텐츠(클래스) 접근성의 편의를 위하여 클래스 서비스 페이지는 홈페이지에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의 감정캘린더 기반 감정 리포트 노출 및 서비스 추천 기능
3-1. 감정캘린더 기반 감정 리포트 노출 기능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감정캘린더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감정 등급에 대응되는 감정 리포트를 노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24는 감정 등급에 따른 감정 리포트 테이블이다. 감정 리포트 테이블에는 감정캘린더 서비스를 통해 산출되는 사용자의 감정 등급에 따른 감정 리포트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기록한 감정의 종류 및 농도(수치)에 따라 감정지수가 산출되고 감정지수가 속하는 구간 범위에 따라 감정등급이 산출되며, 감정등급은 '아주 좋아요' 등급, '좋아요' 등급, '그냥 그래요' 등급, '힘들어요' 등급 및 '아주 힘들어요' 등급으로 구분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당일의 또는 최근의 사용자 감정등급이 산출되면 그 산출된 감정등급에 대응되는 감정 리포트를 노출시킨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정캘린더 페이지에 감정 리포트(141)가 표시될 수 있다.
3-2. 감정캘린더 기반 감정일기 서비스 추천 및 자가문진 서비스 추천 기능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감정캘린더에 기반하여 감정일기 서비스 또는 자가문진 서비스를 추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25는 감정 등급 기반 노출 버튼 구분 테이블이다. 이 테이블에는 감정캘린더 서비스를 통해 산출되는 사용자의 감정 등급에 따라 노출되는 버튼이 구분되어 미리 저장되어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가령 당일 감정캘린더 결과 감정 등급이 '힘들어요' 이하인 경우 '감정일기 작성하기' 버튼이 그에 매칭된 메시지 문구와 함께 노출되며, 가령 감정캘린더 결과 감정 등급이 3일 연속 '힘들어요' 이하인 경우 '자가문진 시작하기' 버튼이 그에 매칭된 메시지 문구와 함께 노출된다.
이러한 버튼 노출을 통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 감정등급에 기초하여 감정일기 서비스 또는 자가문진 서비스의 이용을 간접적으로 추천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추천 버튼들은 감정캘린더 페이지에 노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칭찬일기 작성하기'와 같은 마음일기 작성 추천 버튼(151)은 감정캘린더 페이지에서 당일 감정 표시부(105) 아래에 표시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문진 시작하기'와 같은 자가문진 추천 버튼(152)은 감정캘린더 페이지에서 최근 7일 감정 표시부(106) 위에 표시될 수 있다.
3-3. 감정캘린더 기반 클래스 추천 기능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감정캘린더에 기반하여 클래스(콘텐츠)를 추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감정캘린더를 통해 입력된 당일의 또는 최근의 사용자 감정의 유형에 따라 복수의 클래스(콘텐츠)를 추출하여 추천한다.
도 26은 클래스(콘텐츠)와 감정 유형(속성) 간의 매칭 테이블이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을 통해 제공되는 각 클래스에는 이러한 테이블을 통해 특정 감정 유형과 미리 매칭되어 있다. 예를 들어, 클래스와 감정 유형 간의 매칭은 클래스를 제작하여 제공하는 전문가(예: 요가 전문가, 홈트레이닝 전문가)의 견해에 기초하여 서비스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30)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에 의해 1개의 감정이 등록된 경우 해당 감정 유형에 매칭된 클래스들 중에서 3개를 랜덤으로 추출하여 추천할 수 있다. 가령, '무기력해요' 감정 1개가 등록된 경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그 감정 속성에 매칭된 3개의 클래스로서 '돌파구' 명상음악, '낮과 밤' 명상음악 및 '마드리드 여행의 밤거리' 자연의소리를 추출하여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3개의 감정이 등록된 경우 각 감정에 매칭된 클래스를 1개씩 랜덤으로 추출하여 총 3개의 클래스를 추천할 수 있다. 가령, '공허해요' 감정, '불안해요' 감정 및 '짜증나요' 감정이 등록된 경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은 '공허해요' 감정에 매칭된 '관계에 대하여' 명상음악 1개, '불안해요' 감정에 매칭된 '한적한 오후 고양이와 함께 누워 낮잠 자기' 자연의소리 1개, 및 '짜증나요' 감정에 매칭된 '편안한 침대에 누워' 명상음악 1개를 추출하여 총 3개의 클래스를 추천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클래스 추천은 홈페이지 상에 추천 클래스 배너들(161)을 좌우로 스와이프(swipe) 조회 가능하게 리스트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추가적으로 클래스 추천은 감정캘린더 페이지 상에 추천 클래스 배너들(162)을 좌우로 스와이프 조회 가능하게 리스트업함으로써 또한 수행될 수 있다.
10 : 사용자 단말기
20 : 서버
30 : 관리자 단말기
100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Claims (9)

  1.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00)으로서,
    사용자의 감정 기록을 위한 감정 기록 페이지 및 상기 감정 기록 페이지를 통해 기록된 감정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감정 결과 페이지를 포함하는 감정 캘린더 페이지를 제공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정 기록 페이지는 복수의 감정 아이콘(101) 및 슬라이드 바(102)를 포함하며, 상기 감정 아이콘(101)의 터치 및 상기 슬라이드 바(102)의 좌우 스크롤을 통해 상기 감정 아이콘(101)에 대응되는 감정을 수치화하여 기록 가능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정 결과 페이지는 당일 감정 표시부(105), 최근 7일 감정 표시부(106) 및 당월 감정 표시부(10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최근 7일 감정 표시부(106)에는 각 일자의 감정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감정지수의 그래프 및 상기 감정지수로부터 산출된 각 일자의 감정등급이 표시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감정지수는 N개의 감정이 기록된 경우 기 저장된 감정 농도 별 가산점 테이블로부터 각 감정의 가산점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가산점을 위의 감정지수 산출식에 대입하여 산출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감정지수 산출 수식 : 감정지수 = (선택된 감정 N개의 가산점 합) / N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마음일기 서비스, 자가문진 서비스 및 클래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7.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감정캘린더에 기반하여 상기 감정일기 서비스 추천, 자가문진 서비스 추천 및 클래스 추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감정등급 기반 노출 버튼 구분 테이블을 가지며,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감정등급을 기준으로 상기 감정등급 기반 노출 버튼 구분 테이블을 통해 선택되는 마음일기 작성 추천 버튼(151)을 상기 감정결과 페이지에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감정일기 서비스 추천을 수행하며,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감정등급을 기준으로 상기 감정등급 기반 노출 버튼 구분 테이블을 통해 선택되는 자가문진 추천 버튼(152)을 상기 감정결과 페이지에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자가문진 서비스 추천을 수행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클래스와 감정 유형 간의 매칭 테이블을 가지며,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기록된 감정 데이터의 감정 유형에 매칭되는 복수의 추천 클래스를 상기 매칭 테이블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복수의 추천 클래스의 배너들(161)을 홈페이지 또는 상기 감정 결과 페이지에 리스트업하는 방식으로 상기 클래스 추천을 수행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KR1020210022337A 2021-02-19 2021-02-19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KR102552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337A KR102552730B1 (ko) 2021-02-19 2021-02-19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337A KR102552730B1 (ko) 2021-02-19 2021-02-19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656A true KR20220118656A (ko) 2022-08-26
KR102552730B1 KR102552730B1 (ko) 2023-07-05

Family

ID=83113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337A KR102552730B1 (ko) 2021-02-19 2021-02-19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73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919B1 (ko) 2016-04-15 2017-10-26 이정화 온라인상에서의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 장치
KR101977559B1 (ko) 2018-04-25 2019-05-10 오명철 상황별 심리상담을 위한 질문지를 이용한 개인기질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82193B1 (ko) 2018-06-18 2019-05-24 (주) 나무와 숲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4312A (ko) * 2017-11-30 2019-06-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감성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17138A (ko) * 2018-08-08 2020-02-1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서 사고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200076183A (ko) 2018-12-19 2020-06-29 김양지 다이어리를 이용한 심리분석 및 심리치료시스템
KR102185933B1 (ko) * 2020-04-10 2020-12-02 주식회사 디맨드 스트레스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919B1 (ko) 2016-04-15 2017-10-26 이정화 온라인상에서의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 장치
KR20190064312A (ko) * 2017-11-30 2019-06-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감성 분석 방법 및 그 장치
KR101977559B1 (ko) 2018-04-25 2019-05-10 오명철 상황별 심리상담을 위한 질문지를 이용한 개인기질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82193B1 (ko) 2018-06-18 2019-05-24 (주) 나무와 숲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17138A (ko) * 2018-08-08 2020-02-1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서 사고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200076183A (ko) 2018-12-19 2020-06-29 김양지 다이어리를 이용한 심리분석 및 심리치료시스템
KR102185933B1 (ko) * 2020-04-10 2020-12-02 주식회사 디맨드 스트레스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730B1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llan et al. Have mobile devices changed working patterns in the 21st century? A time-diary analysis of work extension in the UK
Storer et al. What explains racial/ethnic inequality in job quality in the service sector?
Dobkin et al. Barriers to mental health care utilization in Parkinson’s disease
Aday et al. Designing and conducting health surveys: a comprehensive guide
Whitfield et al. The impact of pre-exposure prophylaxis (PrEP) use on sexual anxiety, satisfaction, and esteem among gay and bisexual men
Knighton et al. Superwoman Schema: a context for understanding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middle-class African American women who perceive racial microaggressions
Mooney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s and questions
Anxo et al. Impact of late and prolonged working life on subjective health: the Swedish experience
Abouzahra et al. The antecedents and results of seniors’ use of activity tracking wearable devices
MacKinnon et al. Predisposing, reinforcing, and enabling factors of trans-positive clinical behavior change: A summary of the literature
Ehman et al. How preferences for continuity and access differ between multimorbidity and healthy patients in a team care setting
Phang et al. Mobile time-based targeting: matching product-value appeal to time of day
Aboelmaged et al. Mobile apps use for wellness and fitness and university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Erving et al. Gendered racial microaggressions, psychosocial resource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Black Women attending a Historically Black University
Kucinskas et al. The interplay between meaning and sacred awareness in everyday life: Evidence from a daily smartphone study
Rapkin et al. Beyond satisfaction: Using the Dynamics of Care assessment to better understand patients' experiences in care
Talal et al. High satisfaction with patient-centered telemedicine for hepatitis C virus delivered to substance users: a mixed-methods study
Gandy et al. Improving adherence to mental health treatment in a low-income clinic
Manne et al. Culturally-adapted behavioral intervention to improve colorectal cancer screening uptake among foreign-born South Asians in New Jersey: the Desi Sehat trial
Troy et al. Personal determinants of burden among Indonesian female caregivers of older adults in Taiwan
Rollo et al. A combined health action process approach and mHealth intervention to reduce workplace sitting time in office-working adults: a secondary analysis examin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work performance outcomes
Glasdam et al. Critical perspectives on implementa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 in occupational therapy–exemplified by lifestyle Redesign® in a Danish context
Chang et al. Social support exchange and nurses’ musculoskeletal injuries in a team context: Anger as a mediator
Chow et al. Client satisfaction and unmet needs assessment: evaluation of an HIV ambulatory health care facility in Sydney, Australia
Cohn et al. Tailored educational approaches for consumer health: A model to address health promotion in an era of personalized medic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