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217B1 -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217B1
KR101421217B1 KR1020130139662A KR20130139662A KR101421217B1 KR 101421217 B1 KR101421217 B1 KR 101421217B1 KR 1020130139662 A KR1020130139662 A KR 1020130139662A KR 20130139662 A KR20130139662 A KR 20130139662A KR 101421217 B1 KR101421217 B1 KR 101421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stress
picture
analysis
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옥
Original Assignee
(주) 나무와 숲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무와 숲 filed Critical (주) 나무와 숲
Priority to KR1020130139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4Other medical applications inducing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stress, e.g. applications for stress tes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아동의 심리상태를 그림으로 파악해 아동의 심리적 불안요소를 신속하게 해소시켜 올바른 정서 정립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특히 아동을 보육하는 부모의 스트레스 검사를 병행실시하여 부모가 아동에게서 받는 스트레스 파악 및 아동심리와의 연관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육아과정에서 받는 부모의 스트레스가 줄어들도록 유도해 부모와 아동의 유대관계를 강화시켜 아동의 올바른 정서확립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 테스트를 주기적으로 반복실시하여 아동 정서의 개선정도를 파악해 바람직한 관계정립이 실행되어 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새로운 아동 불안요소가 발생되었는지를 파악하여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부모와 아동의 유대관계를 개선시켜 건강한 가족을 구성하도록 하는 아동정서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Children's Emotion Managing Method using Correlation of Child Psychology and Parents Stress}
본 발명은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아동의 심리상태를 그림으로 파악해 아동의 심리적 불안요소를 신속하게 해소시켜 올바른 정서 정립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특히 아동을 보육하는 부모의 스트레스 검사를 병행실시하여 부모가 아동에게서 받는 스트레스 파악 및 아동심리와의 연관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육아과정에서 받는 부모의 스트레스가 줄어들도록 유도해 부모와 아동의 유대관계를 강화시켜 아동의 올바른 정서확립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 테스트를 주기적으로 반복실시하여 아동 정서의 개선정도를 파악해 바람직한 관계정립이 실행되어 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새로운 아동 불안요소가 발생되었는지를 파악하여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부모와 아동의 유대관계를 개선시켜 건강한 가족을 구성하도록 하는 아동정서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핵가족, 다문화가정, 한부모가정, 조부모가정 등 사회의 기본단위인 가족의 구성과 기능이 약화됨에 따라 아동의 정서적, 심리적 불안이 급격히 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은 청소년 문제로 이어져 결국은 전체적인 사회문제로 파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 영.유아 5명중 1명이 정서, 심리 불안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도된 바가 있어 영유아를 포함한 아동에 대한 심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심리검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심리검사란 인간의 지능이나 적성, 성격 등을 파악하여 검사결과를 체계적인 수치로 표현하는 측정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지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지능검사, 적성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적성검사, 학업에 대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학력검사, 개인적인 특성이나 태도 또는 기질 등의 성격을 측정하기 위한 성격검사 등 검사목적에 따른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심리검사는 개인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파악된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안에 대해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대부분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방법만 제시되고 있다. 즉, 아동은 심리를 표현하는 방법을 모르거나 서툴기 때문에 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한적이므로 아동심리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은 일부만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아동심리를 확인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그림을 통한 심리해석이 있다. 하지만 그림을 통한 심리파악방식은 단순히 아동의 심리상태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결과를 얻게된 원인을 파악하여 해소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직접 공지된 기술로부터 해결방안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아동의 심리불안요소에 대해 부모가 어떻게 관여했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가 없기 때문에 아동심리를 진단 후 해소하려 하여도 부모와 아동간의 원활한 관계개선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09-110490호(2009.05.21 공개. 이하 '선출원건'이라 함)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한 가족 마음의 건강 진단 관리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출원건은 복수문항을 갖는 심리검사를 제공하고, 마음건강상태 판정과 지원처리수단을 제공하도록 한 것으로, 심리검사를 통해 가족구성원의 정신질환을 조기발견, 예방, 이해를 도와 개인 스트레스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선행특허는 심리검사의 복수 문항 중 일부 질문 항목군에 가정환경이나 부모와 자식 관계 등을 포함시켜 이로부터 가족관계의 유대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지원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선출원건도 질문에 의해 유대정도를 파악하는 하는 것으로, 다양한 심리상태를 구분하기 어렵고, 글을 모르거나 표현이 서툰 아동에 대해서는 검사를 실시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은,
아동의 심리적 불안요소를 해소시켜 올바른 정서확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육아과정에서 받는 부모의 스트레스가 줄어들도록 하여 아동과의 유대관계를 강화시켜 아동이 바르게 성장하도록 하는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 테스트를 주기적으로 반복실시하여 아동의 심리적 불안요소의 해소 또는 신규발생여부를 확인하면서 부모와의 관계적립이 올바르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보안하도록 하는 등 아동 성장 과정을 관리하는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은,
고객단말기, 관리자단말기 및 서버가 인터넷으로 연동되어 아동정서 관리방법에 있어서, 서버에 접속한 고객단말기의 부모 또는 아동의 회원 등록여부를 회원DB에서 확인하고, 비회원인 경우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이 이루어지는 제1과정과; 상기 서버에서 고객단말기로 다수의 문항으로 구성된 부모 스트레스 검사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부모 스트레스 검사정보의 각 문항에 대한 체크정보를 고객단말기로부터 서버로 전송받는 제2과정과; 고객단말기로부터 아동의 그림정보를 입력받는 제3과정과; 서버의 배점DB에 저장된 배점데이터와 상기 부모 스트레스 검사에 대한 체크정보를 대비하여 채점이 이루어져 부모 스트레스에 대한 결과를 산출하는 제4과정과; 서버는 입력된 아동의 그림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고,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아동 그림정보에 대한 분석정보를 입력받아 서버의 그림진단DB에 저장된 그림진단데이터와 대비하여 아동 그림에 대한 분석결과를 산출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4과정의 부모 스트레스 결과와 제5과정의 아동그림 분석결과를 대비하여 아동의 성향 및 심리와 부모 스트레스의 연관성을 도출하고, 부모 스트레스 결과점수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지는 제6과정과; 상기 제4과정의 부모 스트레스 결과와, 제5과정의 아동그림 분석결과와, 제6과정에서 평가된 평가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서버의 프로파일DB에 저장하되, 상기 프로파일에는 평가데이터에서 평균 이상으로 나타난 척도에 대해서는 아동보육에 참고할 수 있는 소스인 보육소스 중 상기 척도와 연계된 보육소스를 보육소스DB로부터 도출하여 포함되도록 하는 제7과정과;
제7과정에서 저장된 프로파일을 고객단말기로 전송 및 개인상담 여부를 통보하되, 상기 제1과정 내지 제7과정을 1사이클로 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반복실행해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이전 프로파일과 대비하여 아동심리 변화정도와, 부모스트레스 척도 변화정도 및 아동의 새로운 심리불안요소 발생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파일에 추가하고, 가공된 프로파일을 고객단말기로 전송하여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8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은,
아동에 대해 성향 및 불안요소 등의 심리 정서를 파악하고 이를 부모에게 인지시킴과 동시에 올바른 육아가 이루어지도록 지도하여, 아동의 욕구를 충족과 육아과정에서 받는 부모의 스트레스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아동과 부모간의 유대관계를 강화시키고 아동의 정서를 올바르게 확립시킬 수 있어 건강한 가족구성이 이루어짐은 물론 건강한 사회를 구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동정서 관리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모 스트레스의 영역 및 척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동정서 관리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모 스트레스 검사는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에서 제공하는 '한국판 부모양육 스트레스 검사(K-PSI; Korea Parenting Stress Index)'를 사용하였고, 그림정보에 대한 분석 및 진단 기준은 김동연의 'HTP와 KHTP 그림진단법'과 '이태호의 그림읽는 즐거움'을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동정서 관리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동정서 관리방법은 인터넷망(40)으로 연결된 고객단말기(10)와, 관리자단말기(20)와, 각종 DB와 연산장치가 구비된 서버(30)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고객단말기(10)는 각 보육자(양육자)인 부모의 스마트폰이나 퍼스널컴퓨터, 노트북 등 양방향통신이 가능한 통신기기이며, 부모 이외에 아동의 보육기관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동정서 관리방법은, 제1과정으로 서버에 접속한 고객단말기의 부모 또는 아동의 회원 등록여부를 회원DB에서 확인하고, 비회원인 경우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개인정보로는 주소와 가족구성, 거주지역, 소득정도, 맞벌이여부 등 일 수 있으며, 기타 다른 부분은 통상적인 회원가입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상기 회원DB는 서버내의 각종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는 서버의 저장장치에 포함되거나 이와는 별도로 분리된 보조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과정은 회원인증과정으로 통상적인 인증절차에 따라 고객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회원ID와 회원 비밀번호가 서버 회원DB에 저장된 내용과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회원인증이 진행되며, 비회원일 경우 회원DB에 저장된 회원가입데이터를 고객단말기로 전송하여 상술된 내용을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회원DB에 저장하고 회원인증을 완료하도록 한다.
제2과정으로는 상기 서버에서 고객단말기로 다수의 문항으로 구성된 부모 스트레스 검사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부모 스트레스 검사정보의 각 문항에 대한 체크정보를 고객단말기로부터 서버로 전송받는 과정이다.
즉, 제1과정을 통해 회원인증이 완료되면 서버의 저장장치에서 부모 스트레스검사 정보를 독출하여 고객단말기로 전송하고, 고객단말기로부터 상기 부모 스트레스검사 정보에 대한 체크정보를 전송받는다.
여기서 상기 부모 스트레스 검사 정보는 상술된 바와같은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에서 제공한 '한국판 부모양육 스트레스 검사(K-PSI)'를 사용한 것으로, 100문항에 대해서는 5개의 선택항목이 있어 5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추가적인 20개문항은 관련이 있으면 선택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고객단말기는 상기 문항에 대한 선택항목 및 추가문항선택이 완료한 체크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전송받은 체크정보를 해당 고객DB에 별도로 저장하여 고객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3과정으로는 고객단말기로부터 아동의 그림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예컨대 서버로부터 특정주제를 고객단말기로 제공하면 그 주제에 따라 아동이 그림을 그리도록 하고 완성된 그림을 스캔하여 서버로 전송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아동이 그림을 그리는 시간이 오래 소요되므로 고객단말기는 일정시간 서버와의 연결을 끊고, 그림이 완성되면 서버에 재접속하여 회원인증절차를 수행한 다음 그림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과정을 재수행하지 않도록 과정을 통과할 수 있는 패스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제1과정의 회원인증 후 제2과정을 패스하고 제3과정의 그림정보입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제4과정은 서버에서 배점DB에 저장된 배점데이터와 상기 부모 스트레스 검사에 대한 체크정보를 대비하여 채점이 이루어져 부모 스트레스에 대한 결과를 산출하는 과정이다.
상기 배점DB는 부모 스트레스 검사 정보의 각 문항의 선택항목에 대한 배점이다. 즉, 5개의 선택항목 중 1번은 0점, 2번은 1점, 3번은 2점, 4번은 3점, 5번은 5점 등 선택항목마다 배점을 달리한 것이다. 이와같이 제2과정에서 고객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체크정보를 배점DB와 대비하므로써 각 문항마다 선택항목에 따른 배점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만 추가적으로 제시한 20개문항문항의 추가문항선택은 배점이 이루어지지 않고 참고자료로 활용하며 통계자료로 반영될 수 있다.
상기 결과산출은 각문항을 특정 척도에 의해 분류하여 각 척도마다 점수합을 산출하는 것이다. 도 3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크게 아동영역, 부모영역 및 기타영역으로 스트레스영역을 분류하고 각 영역에 세부 척도를 소분류하여 각 세부척도마다 점수합을 산출하였으며, 이때 부모 스트레스 검사의 선택항목은 어느 하나의 세부척도에만 속하거나 복수의 세부척도에 포함되어 점수합을 계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 세부척도로는 아동영역에서는 주의산만/과잉행동(DI), 적응(AD), 부모강화(RE), 요구(DE), 기분(MO), 수용(AC) 등의 척도로 구분하였고; 부모영역에서는 유능감(CO), 고립(IS), 애착(AT), 건강(HE), 역할제한(RO), 우울(DP), 배우자(SP) 척도로 구분하였고, 기타영역에서는 일상스트레스(LS) 척도로 구분하였다.
상기 아동영역에서의 주의산만/과잉행동(DI)척도는 아동의 주의가 지나치게 산만하거나 아동이 지나치게 활동적인지를 보는 척도이고, 적응(AD)척도는 아동이 변화에 얼마나 잘 적응하는지를 보는 척도이고, 부모강화(RE)척도는 부모가 아이와의 상호작용에서 얼마나 긍정적인 정서를 갖게 되는지를 보는 척도이고, 요구(DE)척도는 아동이 부모에게 얼마나 많은 것을 요구하는지를 보는 척도이고, 기분(MO)척도는 아동이 얼마나 지나치게 울고 위축되어 있으며 우울한 기분인지를 보는 척도이고, 수용(AC)척도는 아동이 부모의 기대수준에 맞는지를 보는 척도이다.
또한, 부모영역에서의 유능감(CO)척도는 부모가 양육자로서 느끼는 정도를 보는 척도이고, 고립(IS)척도는 부모역할을 담당하는데 얼마나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는지를 보는 척도이고, 애착(AT)척도는 부모가 아동과 정서적으로 얼마나 가깝게 느끼는지를 보는 척도이고, 건강(HE)척도는 양육에 요구되는 신체적 건강상태를 보는 척도이고, 역할제한(RO)척도는 부모의 개인적 자유와 기타 삶의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역할의 영향력을 보는 척도이고, 우울(DP)척도는 부모의 성격 및 정신병리와 관련된 우울을 보는 척도이고, 배우자(SP)척도는 부모역할에 대해 상대 배우자에게서 얼마나 정서적/신체적으로 지지 받고 있는지를 보는 척도이다.
또한 기타영역에서의 일상스트레스(LS)척도는 육아과정 이외의 일상적인 생활에서의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낸 척도이다.
상기 한 바와같이 부모스트레스검사에 대한 체크정보는 각문항의 채점된 점수를 상기 스트레스영역별로 점수합을 제공하고, 세부적으로는 세부의 척도별로 점수합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각 스트레스영역과 세부 척도는 각각의 총합이 100보다 적거나 많게 나타난다. 따라서, 각 스트레스영역 또는 세부 척도에서의 총점수에 따른 채점점수의 비율인 백분위로 변경하여 나타나도록 한다.
이와같이 산출된 부모 스트레스에 대해 영역별 세부척도별 결과는 고객DB에 저장하여 이후의 과정에서 독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제5과정은 서버는 입력된 아동의 그림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고,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아동 그림정보에 대한 분석정보를 입력받아 서버의 그림진단DB에 저장된 그림진단데이터와 대비하여 아동 그림에 대한 분석결과를 산출하는 과정이다.
상기 그림정보에 대한 분석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인지하여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이는 그래픽파일로 제공되는 그림정보의 내용으로부터 사물을 인지하는 정도의 정확도가 낮을 수 있으므로, 그림정보를 그림진단기준으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결과를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는 아동그림정보에 대한 분석정보는 몇가지의 진단기준에 의해 분류되는 정보이다. 즉, 상기 진단기준은 부모 스트레스 검사에서의 문항 및 선택항목과 유사한 판단대상영역과 분석선택항목이 있어, 판단대상영역에 대해 분석선택항목에서 일종 또는 복수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진단기준은 상술한 바와같이 김동연의 'HTP와 KHTP 그림진단법'과 '이태호의 그림읽는 즐거움'의 그림분석기준을 사용하여 전체적인 평가와 형식적인분석을 기준으로 하였다.
상기 전체적인 평가는 그림 전체적인 인상과, 조화, 구조 및 이상한 부분이 있는지를 판단대상영역으로 하였다. 상기 형식적인 분석은 그림의 크기가 적절한가, 그림을 종이의 어느 위치에 그렸는가, 얼마나 힘을 주어 그렸는가, 선의 질은 어떠한가, 그림의 세부 특징을 어떻게 묘사하였는가, 그리라고 지사한 것 이외의 것을 더 부가해서 그렸는가 무엇을 더 그렸는가, 주로 사용한 색상은 어떠한가를 판단대상영역으로 하였다. 아울러 보다 정밀한 내용에 대한 분석은 추가적인 상담에서 대화를 통해 그림 의도를 파악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판단대상영역에 따른 분석선택항목 중 대표적인 예를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적인 평가에는 -산만하다, 거칠다, 불안하다, 날카롭다, 사나워보인다, 억누름이 있다, 갇혀있다, 딱딱하다, 경직되다, 편안하다, 밝다, 즐겁다, 가볍다, 온순하다, 복잡하다
2. 형식적인 분석에서
1) 그림의 크기가 적절한가 - 적당하다, 너무 작다, 작다, 크다, 너무 크다
2) 그림을 종이의 어느 위치에 그렸는가 - 화지 전체, 중앙, 가장자리, 왼쪽으로 치우침, 오른쪽으로 치우침, 위로 치우침, 아래로 치우침
3) 얼마나 힘을 주어 그렸는가 - 필압이 매우강하다, 강하다, 보통이다, 약하다, 강함과 약함이 혼재한다
4) 선의 질은 어떠한가 - 거칠다, 신경질적이다, 날카롭다, 긴장감이 있다, 불안감이 있다, 공격적이다, 산만하다, 위협적이다, 부드럽다, 온화하다, 얌전하다
5) 그림의 세부 특징을 어떻게 묘사하였는가 - 나 위주, 내가 없다, 부모 위주, 형제 위주, 친구 위주, 사물 위주, 가족 중심
6) 그리라고 지사한 것 이외의 것을 더 부가해서 그렸는가(무엇을 더 그렸는가) - 주제 내에서 그림, 주제와 전혀 다름, 주제는 인식하되 무관한 것들이 많음, 주변 상황을 함께 그림
7) 주로 사용한 색상은 어떠한가 - 붉은색, 파란색, 녹색, 갈색, 노란색, 검은색, 단색위주, 다양한 색
상기한 바와같은 진단기준에 의해 평가한 분석정보는 관리자단말기에 저장된 평가표를 작성하여 서버로 전송하거나, 서버에서 관리자단말기로 그림정보를 전송할 때 그림분석테이블을 함께 전송하여 그림정보를 보면서 판단대상영역에 해당하는 분석선택항목을 체크하여 체크가 완료된 그림분석테이블을 서버로 전송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그림분석테이블의 예로는 하기 표 1과 같이 판단대상영역인 '얼마나 힘을 주어 선을 묘사하였는가?'와 분석선택항목인 '1)희미한선, 2)진한선, 3)강한압력으로 더럽혀진 많은 음영, 4)압력이 가볍고 끊어진 선, 5)비약한 협응, 6)스케치선, 7)필압, 8)긴선, 9)짧은선, 10)무거운 필압, 11)수직적 필압' 로부터 일종 또는 복수 선택하여 분석선택항목을 분류하는 번호에 체크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표 1]
Figure 112013104558696-pat00001

다음으로 그림진단DB는 그림진단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으로, 판단대상영역의 각 분석선택항목에 대한 해석결과이다.
즉, 서버에서는 그림정보를 분석한 분석정보로부터 체크된 분석선택항목을 검출하고, 그림진단DB에서는 검출된 내용과 대응되는 그림진단데이터를 독출하여 분석정보의 판단대상영역의 해석결과로 연결시켜 나타낸다.
상기 표1의 분석선택항목에 대한 부분의 그림진단DB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3104558696-pat00002

표 1과 표 2를 참조하면 그림정보의 분석정보가 판단대상영역인 '얼마나 힘을 주어 선을 묘사하였는가?'에서 다수의 분석선택항목 중 '1)희미한 선'이 체크되어 있으면, 그림진단DB에서 상기 분석선택항목에 대응되는 '불안, 소심한, 생기의 부족, 우울, 지성적이고 내성적'의 해석내용을 독출하여 분석결과로 사용한다.
이러한 그림정보에 대한 분석결과는 고객DB에 저장하여 이후의 과정에서 독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제6과정은 상기 제4과정의 부모 스트레스 결과와 제5과정의 아동그림 분석결과를 대비하여 아동의 성향 및 심리와 부모 스트레스의 연관성을 도출하고, 부모 스트레스 결과점수가 평균이상인 척도에 따른 연관성을 갖는 아동심리를 도출하는 평가가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상기 부모 스트레스 결과는 각 척도마다 점수화되어 있는 것으로, 각 척도가 평균과 대비하여 평균이상인지 이하인지를 나타내고, 부모스트레스 영역 중 아동영역에서 평균이상으로 스트레스 점수가 높은 척도에 대해서는 아동그림 분석결과의 연관된 내용과 아동 성향 및 심리상태를 같이 나타낸다.
상기 부모 스트레스의 각 척도 평균은 검사대상수를 증가시키고, 전체 검사수에 대해 각 척도별로 점수를 합하여 평균값으로 계산하되, 점수분포에서의 상위 20%와 하위 20%를 제외한 중간수준의 60% 범위의 점수를 합하여 나눈 값을 평균값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평균값은 새로 검사가 실시된 표본수도 합해 계산되도록 함으로써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일정시간 오래된 데이터 예컨대 5년 이상 된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평균값 계산에서 제외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모스트레스 결과의 각 척도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된 평균값에 대한 보정평균값으로 표시될 수 있다.
[수학식 1]
x = (b×c) / a
(x : 보정척도값, a : 계산된 평균값
b : 보정평균값, c : 계산된 척도값 )
예컨대 계산된 평균값이 88점이면 이를 최종결과에는 보정평균값 80점으로 나타나도록 하고, 검사대상의 계산된 척도값이 92점일 경우 최종결과의 보정평균값에 대한 비율로 수정한 보정척도값 83.6점으로 최종 표시하게 함으로써 보정평균값인 80점보다 3.6점이 더 높다고 표시할 수 있다. 이는 각 척도마다 다양한 평균값이 나타나므로 이를 80점으로 기준화하고 이에 대한 비율로 재조정함으로써 고객이 평균값에 대한 본인의 스트레스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부모 스트레스 중 아동에게서 받는 영역인 아동영역은 하기 표3으로 분류된다.
[표 3]
Figure 112013104558696-pat00003

또한, 다수의 표본으로부터 부모 스트레스 검사 중 아동영역의 각 세부항목과, 이에 대응하는 아동 그림진단에서의 분석선택항목을 연계시킨 연관데이터를 서버의 연관DB로 저장한다. 상기 연관DB의 연관데이터는 검사할 때마다 데이터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것으로, 표본채취수가 증가할 때마다 부모스트레스검사의 세부항목과 그림진단의 분석선택항목에 대한 중복정도를 판단하여 연관DB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즉, 표본수에 대해 일정 %이상의 중복도가 있을 경우에 연관성을 인정하여 DB화한다. 예컨대 전체표본수가 100 일때 부모 스트레스 검사 중 아동영역의 각 세부항목과 이에 대응하는 아동 그림진단에서의 분석선택항목이 최소한 2번 이상의 중복성이 있을 경우에 연관성을 인정하거나, 전체표본수가 1000 일때 부모 스트레스 검사 중 아동영역의 각 세부항목과 이에 대응하는 아동 그림진단에서의 분석선택항목이 최소한 10번 이상의 중복성이 있을 경우에 연관성을 인정하도록 하는 등 검사표본수가 증가할수록 연관성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연관DB는 대전광역시 관내 어린이집 3곳의 만 4세 내지 6세 아동과 그 학부모를 대상으로 61세대에 대해 K-PSI 실시하고, 아동영역의 세부 척도에 대한 아동그림 특징부분의 연관성을 확인하여 생성한 것으로,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13104558696-pat00004
따라서, 부모 스트레스 결과에서 아동영역에 대한 각 척도 중 점수가 평균 이상 예컨대 평균을 80점으로 설정할 경우 85점 이상으로 나타난 척도에 대해서는 아동그림 분석결과와 연관DB를 대비하여 일치된 아동그림의 특징인 분석선택항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분석선택항목에 대해 그림진단DB로부터 해석내용을 독출하는 등 부모가 스트레스 받는 부분에 대해 아동그림특징이 어떻게 나타나고 이러한 아동그림특징은 어떠한 아동심리를 나타낸 것인지에 대한 평가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고객DB에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평가데이터는 부모의 스트레스가 아동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 또는 상호관계를 객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통계를 통하여 부모의 스트레스 척도에 따른 아동 그림의 특징 부분에 대한 연관성을 나타내고, 그림특징에 따른 심리상태를 진단데이터로부터 획득하여 부모가 어떠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 아동심리가 어떠한지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부모는 본인이 받는 스트레스에 대한 아동심리가 어떠한지는 인지함으로써 아동에 대한 이해력을 넓히는 계기가 되어 보육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고 아동과의 유대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7과정은 상기 제4과정의 부모 스트레스 결과와, 제5과정의 아동그림 분석결과와, 제6과정의 평가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서버의 프로파일DB에 저장하는 과정이다.
즉, 부모 스트레스 검사에 따른 각 척도마다의 점수 결과와, 아동그림에 대한 분석결과 및 부모 스트레스 결과의 아동영역 척도 중 평균을 상회하는 척도와 이에 관련된 아동그림특성에 대한 아동심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낸 평가데이터를 하나의 파일화하고 파일화된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에는 아동그림과, 아동그림에 대한 분석결과와, 부모스트레스 검사 결과와, 종합적인 평가데이터가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결합된 데이터이다.
아울러 프로파일에는 평가데이터에 의해 평균을 상회하는 척도에 대해서는 아동보육에 참고할 수 있는 보육소스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아동의 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그림진단이 이루어지고, 이로부터 부모스트레스의 기분척도가 평균이상으로 높을 경우에는 프로파일에 "아동이 자존감과 자신감이 낮습니다. 사소한 것에도 많은 칭찬과 격려를 해줘 서서히 자신감을 북돋아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보육소스데이터를 하나 또는 다수 추가하여 아동과의 관계개선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육소스는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아동심리 대처방법을 보육소스DB로 정리하여 부모스트레스의 세부 척도 중 평균 이상으로 나온 척도에 대해 아동그림 분석결과의 연관성을 정리한 그림진단DB와 링크결합되어 연관된 데이터가 함께 독출되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보육소스DB에는 부모스트레스 척도에 따라 대분류하고, 각 척도마다 그림진단에서의 분석선택항목을 연계하여 소분류하고, 상기 각 소분류마다 보육소스데이터를 연계시켜 저장되거나; 그림진단에서의 분석선택항목마다 보육소스데이터를 연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같이 분석선택항목과 보육소스DB가 연계되면, 제6과정의 연관성 도출시 선택된 분석선택항목에 대해 그림진단DB로부터 해석내용을 도출할 때 이와 연계된 보육소스DB의 내용도 함께 도출되도록 하여 아동과의 관계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은 다양한 통계자료에 이용될 수 있다. 즉, 가족형태가 편부모 여부, 보육주체가 부모 또는 조부모 여부, 부모가 맞벌이 외벌이 여부와; 부모의 학력정도, 수입정도, 지역별로 구분하여 각 조건에 대한 특이사항을 파악하여 아동정서 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제8과정은 제7과정에서 저장된 프로파일을 고객단말기로 전송하고 개인상담 여부를 통보하는 과정이다.
상기 프로파일은 개인이 신청할 경우 개인 고객단말기로만 전송이 이루어지며,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등의 기관이 신청한 경우에는 아동 가정의 고객단말기와 기관 고객단말기에 모두 전송하여 가정에서의 보육에 참고하거나 기관에서 아동지도에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부모나 아동지도교사도 그림을 통해 심리분석하여 자신의 심리상태를 진단하여 인지시킴으로써 아동과의 관계개선에서 보다 이성적인 진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울러 도 4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제1과정 내지 제7과정을 1사이클로 하여 분기마다 매년 등으로 주기적으로 반복실행 할 수 있다.
이와같이 반복 실행하면 매번 프로파일이 생성되고, 생성된 프로파일은 고객DB에 저장되며, 고객단말기로 전송되는 최종 프로파일은 상기 신규생성 프로파일과 이전 프로파일의 데이터를 대비하여 부모스트레스 척도의 변화 정도와 아동그림의 분석결과로부터 아동심리 변화 정도에 대한 내용을 추가한 가공 프로파일이다.
이러한 가공 프로파일은 이전 진단에서의 관계개선방향에 대해 부모의 노력이 올바르게 진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아동심리변화와 부모스트레스 척도의 변화가 미비할 경우 현재 노력하고 있는 관계개선방식이 잘못된 것임을 확인하여 다른 방식으로의 접근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아동이 성장하면서 새로운 심리불안요소가 발생할 경우 이를 비교적 신속하게 확인하여 대처할 수 있게 하므로써 부모와 아동간의 유대관계를 강화시켜 건강한 가족형성에 도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10 : 고객단말기
20 : 관리자단말기
30 : 서버
40 : 인터넷망

Claims (5)

  1. 고객단말기, 관리자단말기 및 서버가 인터넷으로 연동되어 아동정서 관리방법에 있어서,
    서버에 접속한 고객단말기의 부모 또는 아동의 회원 등록여부를 회원DB에서 확인하고, 비회원인 경우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이 이루어지는 제1과정과;
    상기 서버에서 고객단말기로 다수의 문항으로 구성된 부모 스트레스 검사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부모 스트레스 검사정보의 각 문항에 대한 체크정보를 고객단말기로부터 서버로 전송받는 제2과정과;
    고객단말기로부터 아동의 그림정보를 입력받는 제3과정과;
    서버의 배점DB에 저장된 배점데이터와 상기 부모 스트레스 검사에 대한 체크정보를 대비하여 채점이 이루어져 부모 스트레스에 대한 결과를 산출하되; 상기 배점데이터는, 한 문항당 다수의 선택항목이 제시되고 제시된 선택항목은 서로 다른 배점이 부여된 데이터이고; 상기 결과산출은, 다수의 문항을 주의산만/과잉행동(DI), 적응(AD), 부모강화(RE), 요구(DE), 기분(MO), 수용(AC)으로 분리되는 아동영역과; 유능감(CO), 고립(IS), 애착(AT), 건강(HE), 역할제한(RO), 우울(DP), 배우자(SP)로 분리되는 부모영역과; 일상스트레스(LS)인 기타영역;으로 교차선택 되도록 스트레스영역과 이의 세부척도를 구분하여 각 세부척도에 따라 배점을 통합하고, 이를 백분위로 환산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제4과정과;
    서버는 입력된 아동의 그림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고,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아동 그림정보에 대한 분석정보를 입력받아 서버의 그림진단DB에 저장된 그림진단데이터와 대비하여 아동 그림에 대한 분석결과를 산출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4과정의 부모 스트레스 결과와 제5과정의 아동그림 분석결과를 대비하여 아동의 성향 및 심리와 부모 스트레스의 연관성을 도출하고, 부모 스트레스 결과점수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지는 제6과정과;
    상기 제4과정의 부모 스트레스 결과와, 제5과정의 아동그림 분석결과와, 제6과정에서 평가된 평가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서버의 프로파일DB에 저장하되, 상기 프로파일에는 평가데이터에서 평균 이상으로 나타난 척도에 대해서는 아동보육에 참고할 수 있는 소스인 보육소스 중 상기 척도와 연계된 보육소스를 보육소스DB로부터 도출하여 포함되도록 하는 제7과정과;
    제7과정에서 저장된 프로파일을 고객단말기로 전송 및 개인상담 여부를 통보하되, 상기 제1과정 내지 제7과정을 1사이클로 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반복실행해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이전 프로파일과 대비하여 아동심리 변화정도와, 부모스트레스 척도 변화정도 및 아동의 새로운 심리불안요소 발생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파일에 추가하고, 가공된 프로파일을 고객단말기로 전송하여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8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에서는 서버는 그림분석테이블을 그림정보와 함께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여 그림분석테이블로부터 선택된 분석정보를 입력받도록 하되,
    상기 그림분석테이블은 그림을 통해 아동심리를 판단하는 특징부인 다수의 판단대상영역과, 상기 각 판단대상영역에 종속되고 일종 또는 복수로 선택되도록 구성된 다수의 분석선택항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석정보는 각 판단대상영역에서 선택한 분석선택항목이고,
    상기 서버의 그림진단데이터는 각 분석선택항목에 따른 해석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6과정에서의 연관성 도출은
    연관DB에 다수의 표본으로부터 부모 스트레스 검사 중 아동영역의 각 세부항목과, 이에 대응하는 아동 그림진단에서의 분석선택항목을 연계시킨 연관데이터를 저장하고,
    부모스트레스결과에서 평균점수 이상으로 나타난 세부척도에 대해 연관DB에 기록된 분석선택항목 중 아동그림의 분석결과와 일치하는 분석선택항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분석선택항목에 대해 그림진단DB로부터 해석내용을 취해 도출시켜 아동심리를 나타내는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KR1020130139662A 2013-11-18 2013-11-18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KR101421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662A KR101421217B1 (ko) 2013-11-18 2013-11-18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662A KR101421217B1 (ko) 2013-11-18 2013-11-18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217B1 true KR101421217B1 (ko) 2014-07-23

Family

ID=51742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662A KR101421217B1 (ko) 2013-11-18 2013-11-18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21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387A (ko) * 2015-06-12 2016-12-21 (주) 나무와 숲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20160146397A (ko) * 2015-06-12 2016-12-21 (주) 나무와 숲 아동 정서안정 지원 관리 시스템
JP2019009666A (ja) * 2017-06-27 2019-01-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982193B1 (ko) * 2018-06-18 2019-05-24 (주) 나무와 숲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4743A (ko) 2020-01-22 2021-07-30 윤치연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및 장애의 조기 발견 장치 및 그 방법
CN113633256A (zh) * 2021-05-20 2021-11-12 杭州云戒科技有限公司 一种药物成瘾评估的模块化神经认知功能测试方法
KR20220135968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룰라비 전문가의 코칭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776A (ko) * 2004-09-08 2006-03-13 이경혜 아동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인터넷 영양교육 방법및 시스템
KR20090015310A (ko) * 2007-08-08 2009-02-12 (주)넷피온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한 심리진단결과에 기초한 진료 또는 상담의자동예약시스템 및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심리상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776A (ko) * 2004-09-08 2006-03-13 이경혜 아동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인터넷 영양교육 방법및 시스템
KR20090015310A (ko) * 2007-08-08 2009-02-12 (주)넷피온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한 심리진단결과에 기초한 진료 또는 상담의자동예약시스템 및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심리상담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오가영. "집단미술치료가 국제결혼가정(온누리안)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
오가영. "집단미술치료가 국제결혼가정(온누리안)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홍순혜. "주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빈곤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한국아동복지학 제28호. *
홍순혜. "주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빈곤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한국아동복지학 제28호.*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387A (ko) * 2015-06-12 2016-12-21 (주) 나무와 숲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20160146397A (ko) * 2015-06-12 2016-12-21 (주) 나무와 숲 아동 정서안정 지원 관리 시스템
KR101717289B1 (ko) * 2015-06-12 2017-03-17 (주) 나무와 숲 아동 정서안정 지원 관리 시스템
KR101717290B1 (ko) * 2015-06-12 2017-03-17 (주) 나무와 숲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JP2019009666A (ja) * 2017-06-27 2019-01-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982193B1 (ko) * 2018-06-18 2019-05-24 (주) 나무와 숲 플랫폼을 이용한 아동그림심리와 보호자 설문검진을 통한 아동정서심리 및 행동특성 예측 자가 검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4743A (ko) 2020-01-22 2021-07-30 윤치연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및 장애의 조기 발견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35968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룰라비 전문가의 코칭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633256A (zh) * 2021-05-20 2021-11-12 杭州云戒科技有限公司 一种药物成瘾评估的模块化神经认知功能测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217B1 (ko)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Silva et al. SDQ: discriminative validity and diagnostic potential
Bennetts et al. The agreement between parent-reported and directly measured child language and parenting behaviors
Chang et al. How Adaptive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Relate to Positive and Nega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Testing a Stress-Mediation Model in Black and White Female College Students.
Xing et al. Gender differences in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physical aggression and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in China.
Bishop et al. Subdimensions of social‐communication impairment in autism spectrum disorder
Nelson et al. A meta‐analysis of parent and teacher reports of depression amo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multi‐informant assessment
Joseph et al. Manual for measures of caring activities and outcomes for children and young people
Hill Through the past darkly: a review of the British ability scales second edition
Honey et al. Measurement of restricted and repetitive behaviour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Selecting a questionnaire or interview
Maes et al. Intimate and relational loneliness in adolescence
Vonderlin et al. Health-oriented leadership and mental health from supervisor and employee perspectives: a multilevel and multisource approach
Marmara et al. Warwick Edinburgh Mental Well-Being Scale (WEMWBS): measurement invariance across genders and item response theory examination
Sabiston et al. Effects of fitness advertising on weight and body shape dissatisfaction, social physique anxiety, and exercise motives in a sample of healthy‐weight females
Zablotsky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parental ratings of condition severity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Smith et al. Youth psychotherapy outcomes in usual care and predictors of outcome group membership.
Cerezo et al. Parental and infant gender factors in parent–infant interaction: state-space dynamic analysis
Ploubidis et al. Health measurement in population surveys: combining information from self-reported and observer-measured health indicators
Rakow et al. The pros and cons of funnel plots as an aid to risk communication and patient decision making
Bensing et al. Patient anxiety in the medical encounter: a study of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 general practice
DiStefano et al. Multifactor modeling of emotional and behavioral risk of preschool-age children.
Sharif Nia et al. Evaluation of Psychometric Properties of Hardiness Scales: A Systematic Review
Briggs-Gowan et al. Assessment of psychopathology in young children
Caterino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assess the symptom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young adults.
Kratky et al. How are parental functioning and single parenthood associated with court outcomes? An analysis of child protection c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