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743A -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및 장애의 조기 발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및 장애의 조기 발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743A
KR20210094743A KR1020200008327A KR20200008327A KR20210094743A KR 20210094743 A KR20210094743 A KR 20210094743A KR 1020200008327 A KR1020200008327 A KR 1020200008327A KR 20200008327 A KR20200008327 A KR 20200008327A KR 20210094743 A KR20210094743 A KR 20210094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information
psychological
developmental
develo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치연
Original Assignee
윤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치연 filed Critical 윤치연
Priority to KR1020200008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4743A/ko
Publication of KR20210094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sychiatry (AREA)
  • Biophys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부모와 아동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회원관리부, 상기 아동의 임신 및 출산 정보와 성장 과정 따른 신체, 심리 및 행동 정보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아동관리부, 상기 저장된 아동 정보를 통해 아동의 심리 및 발달정보를 수집하는 아동심리 및 발달정보수집부, 상기 수집된 아동의 심리 및 발달정보를 통해 아동 고유의 아동평가항목을 생성하여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아동평가항목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답변이 체크된 아동평가항목 내용을 수신하고, 수신된 아동평가항목 내용을 기초로 아동 심리 및 발달 장애여부를 평가하고 저장하는 아동심리 및 발달평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및 장애의 조기 발견 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based big data for Early Detec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Delay}
본 발명은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동이 성장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태교, 출생시상태, 부모성격, 생활환경, 영유아 시기의 발달 및 심리 특성을 각각 데이터화 하여, 다양한 표준화 심리검사와 발달장애 진단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조기에 아동 발달과정에 장애나 문제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광범위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아동 발달문제 혹은 장애를 조기 발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저출산ㆍ고령화라는 인구구조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가족구조와 기능의 변화, 빈부격차와 지역 간 격차의 심화를 겪고 있다. 더욱이 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까지 감소하였고, 결혼연령의 연장에 따른 출산의 고령화 및 조산아 출산의 증가 및 맞벌이 부부의 보편화로 인해 아동건강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출산율이 세계 최저 수준까지 감소한 것에 대해 육아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과 육아에 대한 사회적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아 부모들의 양육 부담이 증가하는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적인 현실에서 아이를 갖는 부모들은 자식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그 관심도 및 집중도는 상당하다 할 것이다.
한편, 발달장애는 정신, 신체적인 발달에서 나이만큼 발달하지 않은 상태로서, 지적장애, 뇌성마비,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습장애, 염색체 장애, 다운 증후군,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발달장애의 공통적인 증상은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사회적 상황의 전반적인 이해와 인간 관계 형성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발달장애 원인은 어느 한 가지로 국한되어 나타나지 않고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염색체 이상, 미숙아 등의 생물학적인 요인, 임신 시의 음주, 부모와 격리된 환경, 부모의 약물 중독 등의 환경적인 요인 등이 그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사회가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핵가족, 다문화가정, 한부모가정, 조부모가정 등 사회의 기본단위인 가족의 구성과 기능이 약화됨에 따라 아동의 정서적, 심리적 불안이 급격히 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은 청소년 문제로 이어져 결국은 전체적인 사회문제로 파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 영유아 5명중 1명이 정서, 심리 불안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도된 바가 있어 영ㆍ유아를 포함한 아동에 대한 심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심리검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동의 발달장애 및 심리검사는 많은 비용을 들여 부모들이 개인적으로 검사를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부모가 아동에게 특징적인 문제를 발견한 경우에야 비로소 검사를 받게 되어 그 치료가 늦어지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아동들의 발달 장애 및 심리 검사를 받기 위해서는 각각의 지정된 평가 항목에 대해 답변을 하여야 하고, 일회성으로 판단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판단을 받지 못 할뿐만 아니라 아동과 부모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심리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지 않고 판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8135호 '발달장애에 의한 문제행동 평가도구 및 방법'에서 발달장애에 의한 문제행동 평가도구 및 상기 설문의 평가결과 점수를 분석평가하여 발달장애에 의한 문제행동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국내 실정에 맞지 않는 여러가지 평가도구들과 비교하여 타당성 및 신뢰성을 갖춘 국내실정에 적합한 발달장애에 의한 문제행동 평가도구 및 방법을 제안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1217호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에서는 아동의 심리상태를 그림으로 파악해 아동의 심리적 불안요소를 신속하게 해소시켜 올바른 정서 정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특히 아동을 보육하는 부모의 스트레스 검사를 병행 실시하여 부모가 아동에게서 받는 스트레스 파악 및 아동심리와의 연관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육아과정에서 받는 부모의 스트레스가 줄어들도록 유도해 부모와 아동의 유대관계를 강화시켜 아동의 올바른 정서확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아동정서 관리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공지의 기술은 여전히 일회성에 의해 발달 장애 및 아동 심리 테스트가 진행되므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결국 부모가 아이들의 문제점이 있는 경우를 발견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않으면 아동들의 발달 및 심리 장애를 발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8135호(2019.04.0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1217호(2014.07.14)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모가 임신하는 시점부터 출산 및 성장하는 과정을 데이터화하고, 오프라인상에서 아동 심리 및 발달장애에 대한 평가없이도 데이터화된 아동 정보를 통해 기존의 각종 심리 및 발달 장애 데이터를 비교하도록 하여 의심 증상의 유무를 확인하고,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저장된 아동의 신체정보, 생활환경, 심리상태 및 행동 특성을 분석하여 아동 고유의 평가항목만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서 아동이 성장하는 과정을 객관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아동 심리 및 발달의 문제점을 조기에 발견할 수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부모와 아동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회원관리부, 상기 아동의 임신 및 출산 정보와 성장 과정 따른 신체, 심리 및 행동 정보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아동관리부, 상기 저장된 아동 정보를 통해 아동의 심리 및 발달정보를 수집하는 아동심리 및 발달정보수집부, 상기 수집된 아동의 심리 및 발달정보를 통해 아동 고유의 아동평가항목을 생성하여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아동평가항목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답변이 체크된 아동평가항목 내용을 수신하고, 수신된 아동평가항목 내용을 기초로 아동 심리 및 발달 장애여부를 평가하고 저장하는 아동심리 및 발달평가부를 포함한다.
또한, 아동관리부는 상기 아동의 임신부터 출산까지의 의료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임신관리부, 상기 아동의 출산 이후 신체 성장 정보 및 의료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아동신체관리부, 상기 아동의 주거환경, 어린이집 및 학교 생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아동환경관리부, 상기 아동의 일반 생활시 아동에게 관찰된 특이한 감정 및 심리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아동심리관리부 및 상기 아동의 몸짓 또는 표정 중 특이한 행동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아동행동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아동심리 및 발달정보수수집부는 상기 아동관리부에 저장된 아동 고유의 심리 및 행동 정보를 기초로 해당 아동의 심리 및 발달장애 의심 증상이 있는지 판단하고, 의심 증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의심 증상에 대한 심리 및 발달장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아동평가항목생성부는 상기 의심 증상에 대한 심리 및 발달장애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아동의 정확한 심리 및 발달장애 평가를 위한 아동 고유의 심리 및 발달 장애 평가항목을 생성한다.
또한, 아동심리 및 발달평가부는 상기 아동 고유의 심리 및 발달장애 평가항목 내용을 기초로 아동 심리 및 발달 장애여부를 분석하여 평가한 후 평가결과를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되, 아동의 심리 및 발달장애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심리 및 발달장애 의심의 근거가 되었던 아동 심리 및 행동 정보, 아동의 위치 기반한 관련기관 및 센터, 치료방법, 가정내생활방법에 대해 리포트 형식으로 제공한다.
또한,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는 상기 아동 부모의 성격 및 양육태도를 분석하여 평가하는 성격/태도검사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의 구동방법은 아동관리부, 아동심리 및 발달정보수수집부, 아동평가항목생성부와 아동심리 및 발달평가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아동의 임신 및 출산 정보와 성장 과정 따른 신체, 심리 및 행동 정보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아동 정보를 통해 아동의 심리 및 발달정보를 수집하는 아동심리 및 발달정보수집단계, 상기 수집된 아동의 심리 및 발달정보를 통해 아동 고유의 아동평가항목을 생성하여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아동평가항목 내용을 수신하고, 수신된 아동평가항목 내용을 기초로 아동 심리 및 발달 장애여부를 평가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부모가 임신하는 시점부터 출산 및 성장하는 과정을 데이터화하고, 오프라인상에서 아동 심리 및 발달장애에 대한 평가없이도 데이터화된 아동 정보를 통해 기존의 각종 심리 및 발달 장애 데이터를 비교하도록 하여 의심 증상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저장된 아동의 신체정보, 생활환경, 심리상태 및 행동 특성을 분석하여 아동 고유의 평가항목만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서 보다 정확한 심리 및 발달장애 평가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동의 성장 과정 전체를 모니터링을 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아동 심리 및 발달에 문제를 발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심리 및 발달장애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오프라인상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의 아동관리부의 상세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의 구동방법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의 아동관리부의 상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시스템은 사용자단말(100), 통신망(200) 및 아동발달문제조기발견장치(30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20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사용자단말(100)과 강의통역 아동발달문제조기발견장치(300)가 다이렉트 통신(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강의통역 아동발달문제조기발견장치(3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200) 내의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단말(100)은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마이크로폰 등의 단말장치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동 발달문제 조기 발견 서비스를 위한 전용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20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20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20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20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20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단말(10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단말(100)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아동발달문제조기발견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아동발달문제조기발견장치(300)는 사용자 기반의 아동 발달 문제에 대한 조기 발견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 기반"이란 특히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부모의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아동발달문제조기발견장치(300)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위해 성격/태도평가항목 테이터베이스(400), 아동심리/발달장애 데이터베이스(420), 발달장애평가항목 데이터베이스(430) 및 아동심리평가항목 데이터베이스(440)로 구성된 테이버베이스(400)을 포함한다. 성격/태도평가항목 테이터베이스(410)는 부모의 성격과 양육태도에 테스트를 위한 평가항목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단말(100)로부터 부모 성격 또는 양육태도에 대한 성격검사 요청이 있는 경우 아동발달문제조기발견장치(300)는 성격/태도평가항목 테이터베이스(410)에서 성격 또는 양육태도검사를 위한 성격/태도평가항목을 제공하게 한다. 아동심리/발달장애 데이터베이스(420)는 아동에 대한 심리 및 발달장애과 관련된 증상, 원인, 치료 방법 등과 관련된 자료를 저장하고 있으며, 아동발달문제조기발견장치(300)는 아동의 심리와 행동에 특이점이 있는 경우 아동심리/발달장애 데이터베이스(420)에서 유사성이 높은 아동 심리 또는 발달장애에 대한 증상과 관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발달장애평가항목 데이터베이스(430)는 발달장애와 관련된 전문적인 평가를 위해 질의 형태로 된 평가항목을 저장하고 있으며, 아동발달문제조기발견장치(300)는 특정 발달장애가 의심되는 발달장애평가항목 데이터베이스(430)에서 의심되는 증상과 관련된 발달장애평가항목을 출력할 수 있다. 아동심리평가항목 데이터베이스(440)는 아동의 심리장애와 관련된 전문적인 평가를 위해 질의 형태로 된 평가항목을 저장하고 있으며, 아동발달문제조기발견장치(300)는 특정 심리장애가 의심되는 경우 아동심리평가항목 데이터베이스(440)에서 의심되는 증상과 관련된 심리장애평가항목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아동발달문제조기발견장치(300)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회원관리부(310), 성격검사부(320), 아동관리부(330), 아동발달심리및발달정보수집(340), 아동평가항목생성부(350) 및 아동심리및발달평가부(360)을 포함한다.
우선 회원관리부(310)는 회원가입, 인증, 정보수정 등의 절차를 수행하며,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부모 및 아동 정보를 저장한다.
성격검사부(32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성격검사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부모 또는 아동의 기질적 또는 정서적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게 된다. 성격검사부(320)는 성격검사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성격 및 양육태도검사에 필요한 평가항목을 성격태도평가항목 테이터베이스(410)에 출력하여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입력하도록 한 후 그 평가결과를 종합하여 분석하게 된다. 성격검사부(320)는 부모 또는 아동의 정서적 안정성·자신감·협동성·사교성·활동성·도덕성 등을 평가하도록 하여, 아동이 심리 또는 발달장애 발생시 원인을 찾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동관리부(33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입력된 아동의 임신 및 출산 정보와 성장 과정 따른 신체, 심리 및 행동 정보를 기록하고 저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아동관리부(330)는 따른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임신관리부(331), 아동신체관리부(332), 아동환경관리부(333), 아동심리관리부(334), 아동행동관리부(334) 및 아동평가정보부(335)를 더 포함한다.
임신관리부(331)는 부모가 아동을 임신부터 출산까지의 초음파 검사정보 등과 같은 모든 의료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임신관리부(331)는 아동의 최초 임신시부터 출산까지의 다양한 의료정보를 통해 아동에게 심리 및 발달장애가 발생한 경우 원인을 찾고 치료를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아동신체관리부(332)는 아동의 출산 이후 신체 성장 정보 및 의료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아동신체관리부(332)는 아동의 출산 이후 신체 성장 정보 및 의료정보를 통해 아동에게 심리 및 발달장애가 발생한 경우 원인을 찾고 치료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신체 성장 정보 및 의료정보를 통해 아동의 심리 및 발달장애 의심 증상을 예측하는 정보로 활용된다.
아동환경관리부(333)는 아동의 주거환경, 어린이집 및 학교 생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아동의 주거환경, 어린이집 및 학교 생활 정보는 아동의 심리 및 발달장애 증상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주요한 인자로서 부모들이 아동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인지 못하는 정보를 통해 아동의 심리 및 발달장애의 원인 또는 의심 증상을 예측하는 정보로 활용된다.
아동심리관리부(334)는 아동의 일반 생활시 아동에게 관찰된 특이한 감정 및 심리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아동심리관리부(334)는 아동에게서 관찰된 특이한 감정 및 심리상태를 저장하도록 하여 아동의 심리 및 발달장애 의심 증상을 예측하는 정보로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아동은 아직 언어능력이 덜 발달하고 심리치료에 대한 의욕이 낮으며 병식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조기 발견에 어려움이 많게 된다. 특히, 부모들은 이러한 아동이 감정 또는 심리상태에 대해 정확한 원인 또는 정보가 없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전혀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나아가 아동의 심리적 충격에 대해서는 더욱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부모가 아동을 관찰하여 느끼는 감정 또는 심리 변화에 대해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입력되면 아동심리관리부(334)는 아동의 감정 또는 심리정보 저장되게 된다. 또한, 저장된 아동 감정 및 심리정보는 아동의 심리 및 발달장애 의심 증상을 예측하는 중요한 정보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어두운 곳에서의 많이 불안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정 상황(엘리베니터내)에서의 급격한 감정 변화가 보임' 등과 같이 이상 감정 또는 심리가 표현될 당시의 구체적인 상황을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입력한다.
아동행동관리부(335)는 아동의 몸짓 또는 표정 중 특이한 행동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아동행동관리부(335)는 아동의 몸짓 또는 표정 중 특이한 행동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여 아동의 심리 및 발달장애 의심 증상을 예측하는 정보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아동이 부모와 눈을 마주치지 못하는 것 같다', '특정 표정을 반복한다' 등과 같이 아동의 몸짓 또는 표정을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구체적으로 입력한다.
그리고, 아동심리 및 발달정보수집부(340)는 아동관리부(330)의 아동신체관리부(332), 아동환경관리부(333), 아동심리관리부(334) 및 아동행동관리부(335)를 통해 아동 고유의 심리 및 발달정보을 수집한다. 아동심리 및 발달정보수집부(340)는 수집된 아동 심리 및 발달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400)의 아동심리 또는 발달장애 패턴과 유사성이 있는지를 비교하여 해당 아동의 심리 및 발달장애 의심 증상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가사 해동 아동에게 아동심리 또는 발달장애와 관련된 의심 증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의심 증상에 대한 심리 및 발달장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아동관리부(330)에서 특정 아동과 관련하여 '이상 해동을 반복하는 경우', '말이 느린 경우' 등과 같은 행동이 저장된 경우 아동심리 및 발달정보수집부(340)는 '이상 해동을 반복하는 경우', '말이 느린 경우'에 대한 아동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 및 분석하여 관련 심리 또는 발달장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후, 아동 행위가 심리 및 발달장애 증상 중 나올 수 있는 심리 또는 행동으로 분석되는 경우 1차 의심 증상이라고 판단하고 관련 정보와 정확한 판단을 위한 각종 평가항목을 수집한다.
아동평가항목생성부(350)는 아동심리 및 발달정보수집부(340)를 통해 특정 아동에 대한 심리 또는 발달장애 1차 의심증상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보다 상세한 판단을 위해 아동심리 및 발달정보수집부(340)에 수집된 평가항목 중 관련 의심 증상에 대한 판단을 위해 보다 세부적인 아동평가항목을 추출하여 생성한다. 이때 세부적인 아동평가항목은 아동관리부(330)의 아동신체관리부(332), 아동환경관리부(333), 아동심리관리부(334) 및 아동행동관리부(335)에 저장된 아동의 부모성격, 나이, 성별, 생활환경, 아동의 행동 및 심리 상태 등을 분석하여 아동 고유의 평가항목을 생성한다. 즉, 공지의 기술과 같이 상담실에서 획일적인 평가항목을 구성된 평가지가 아니라 본 발명에 따라 임신부터 성장하는 과정 전체가 모니터링되어 데이터화된 아동 정보에 따라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평가항목을 생성하도록 하고 사용자단말(100)로 아동평가항목생성부(350)에서 생성된 아동 고유의 평가항목을 전송하여, 부모로부터 아동에 대한 구체적인 질의 및 답변을 통해 현재 아동의 정확한 심리 또는 발달장애가 있는지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동심리및발달평가부(36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답변이 체크된 아동평가항목 내용을 수신하고, 수신된 아동평가항목 내용을 기초로 아동 심리 및 발달 장애여부를 평가하고 저장한다. 그리고 아동심리및발달평가부(360)는 아동 심리 및 발달 장애여부를 분석하여 평가한 후 평가결과를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되, 아동의 심리 및 발달장애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심리 및 발달장애 의심의 근거가 되었던 아동 심리 및 행동 정보, 아동의 위치 기반한 관련기관 및 센터, 치료방법, 가정내생활방법에 대해 리포트 형식으로 제공하도록 한다. 아동심리및발달평가부(360)는 아동의 평가결과를 리포트 형식으로 요약하여 제공하도록 하여 해당 평가결과를 제3자의 전문가에게 직접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재검사를 통한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고 심리 및 발달장애에 대한 조기 발견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아동의 적정한 시기에 최적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아동 부모의 성격 및 양육태도를 분석하여 평가하는 성격/태도검사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부모 성격 또는 양육 태도룰 분석하도록 하여 부모와 아동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의 구동방법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동의 부모는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아동관리부(330)에 아동의 임신 및 출산 정보와 성장 과정 따른 신체, 심리 및 행동 정보를 기록하고 저장한다(S100). 그리고 아동심리 및 발달정보수집부(340)는 수집된 아동의 심리 및 발달정보를 통해 아동 고유의 아동평가항목을 생성하여 사용자단말로 전송한다(S110). 아동평가항목생성부(350)는 수집된 아동의 심리 및 발달정보를 통해 아동 고유의 아동평가항목을 생성하여 사용자단말로 전송한다(S130). 그리고 아동심리 및 발달평가부(36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아동평가항목 내용을 수신하고, 수신된 아동평가항목 내용을 기초로 아동 심리 및 발달 장애여부를 평가하고 저장한다(S140).
이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는 부모가 임신하는 시점부터 출산 및 성장하는 과정을 데이터화하고, 오프라인상에서 아동 심리 및 발달장애에 대한 평가없이도 데이터화된 아동 정보를 통해 기존의 각종 심리 및 발당 장애 데이터를 비교하도록 하여 의심 증상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의심 증상에 따른 아동 고유의 평가항목을 생성하고, 생성된 평가항목을 통해 평가결과를 도출하도록 함으로서 판단 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 아동의 성장 과정 전체를 모니터링을 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아동 심리 및 발달에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사용자단말 200: 통신망
300: 아동발달문제조기발견장치
310: 회원관리부 320: 성격검사부
330: 아동관리부 340: 아동심리및발당정보수집부
350: 아동평가항목생성부 360: 아동심리및발달평가부
400: 데이터베이스
410: 성격/태도평가항목 테이터베이스
420: 아동심리/발달장애 데이터베이스
430: 발달장애평가항목 데이터베이스
440: 아동심리평가항목 데이터베이스

Claims (7)

  1.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부모와 아동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회원관리부,
    상기 아동의 임신 및 출산 정보와 성장 과정 따른 신체, 심리 및 행동 정보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아동관리부,
    상기 저장된 아동 정보를 통해 아동의 심리 및 발달정보를 수집하는 아동심리 및 발달정보수집부,
    상기 수집된 아동의 심리 및 발달정보를 통해 아동 고유의 아동평가항목을 생성하여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아동평가항목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답변이 체크된 아동평가항목 내용을 수신하고, 수신된 아동평가항목 내용을 기초로 아동 심리 및 발달 장애여부를 평가하고 저장하는 아동심리 및 발달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동관리부는,
    상기 아동의 임신부터 출산까지의 의료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임신관리부,
    상기 아동의 출산 이후 신체 성장 정보 및 의료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아동신체관리부,
    상기 아동의 주거환경, 어린이집 및 학교 생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아동환경관리부,
    상기 아동의 일반 생활시 아동에게 관찰된 특이한 감정 및 심리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아동심리관리부 및
    상기 아동의 몸짓 또는 표정 중 특이한 행동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아동행동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동심리 및 발달정보수수집부는,
    상기 아동관리부에 저장된 아동 고유의 심리 및 행동 정보를 기초로 해당 아동의 심리 및 발달장애 의심 증상이 있는지 판단하고, 의심 증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의심 증상에 대한 심리 및 발달장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아동평가항목생성부는,
    상기 의심 증상에 대한 심리 및 발달장애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아동의 정확한 심리 및 발달장애 평가를 위해 아동 고유의 심리 및 발달장애 평가항목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아동심리 및 발달평가부는,
    상기 아동 고유의 심리 및 발달장애 평가항목 내용을 기초로 아동 심리 및 발달 장애여부를 분석하여 평가한 후 평가결과를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되, 아동의 심리 및 발달장애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심리 및 발달장애 의심의 근거가 되었던 아동 심리 및 행동 정보, 아동의 위치 기반한 관련기관 및 센터, 치료방법, 가정내생활방법에 대해 리포트 형식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는,
    상기 아동 부모의 성격 및 양육태도를 분석하여 평가하는 성격/태도검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
  7. 아동관리부, 아동심리 및 발달정보수수집부, 아동평가항목생성부와 아동심리 및 발달평가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아동의 임신 및 출산 정보와 성장 과정 따른 신체, 심리 및 행동 정보를 기록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아동 정보를 통해 아동의 심리 및 발달정보를 수집하는 아동심리 및 발달정보수집단계;
    상기 수집된 아동의 심리 및 발달정보를 통해 아동 고유의 아동평가항목을 생성하여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아동평가항목 내용을 수신하고, 수신된 아동평가항목 내용을 기초로 아동 심리 및 발달 장애여부를 평가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조기 발견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00008327A 2020-01-22 2020-01-22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및 장애의 조기 발견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94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327A KR20210094743A (ko) 2020-01-22 2020-01-22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및 장애의 조기 발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327A KR20210094743A (ko) 2020-01-22 2020-01-22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및 장애의 조기 발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743A true KR20210094743A (ko) 2021-07-30

Family

ID=77148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327A KR20210094743A (ko) 2020-01-22 2020-01-22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및 장애의 조기 발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474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9387A (zh) * 2021-08-14 2021-11-23 合肥巴灵瑞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儿童成长发育异常的早期预警系统
CN113693600A (zh) * 2021-08-27 2021-11-26 安徽淘云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行为心理学的儿童心理分析机器人及方法
KR102419621B1 (ko) * 2022-01-19 2022-07-12 (주)창의발레소예 모바일 기반 아동 성격유형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59894B1 (ko) * 2022-03-24 2022-10-26 라지숙 영유아의 발달 히스토리를 기록하는 온라인 관찰일지를 이용한 영유아 발달분석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217B1 (ko) 2013-11-18 2014-07-23 (주) 나무와 숲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KR20190038135A (ko) 2017-09-29 2019-04-08 서울대학교병원 발달장애에 의한 문제행동 평가도구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217B1 (ko) 2013-11-18 2014-07-23 (주) 나무와 숲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KR20190038135A (ko) 2017-09-29 2019-04-08 서울대학교병원 발달장애에 의한 문제행동 평가도구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9387A (zh) * 2021-08-14 2021-11-23 合肥巴灵瑞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儿童成长发育异常的早期预警系统
CN113679387B (zh) * 2021-08-14 2024-03-19 合肥巴灵瑞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儿童成长发育异常的早期预警系统
CN113693600A (zh) * 2021-08-27 2021-11-26 安徽淘云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行为心理学的儿童心理分析机器人及方法
KR102419621B1 (ko) * 2022-01-19 2022-07-12 (주)창의발레소예 모바일 기반 아동 성격유형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59894B1 (ko) * 2022-03-24 2022-10-26 라지숙 영유아의 발달 히스토리를 기록하는 온라인 관찰일지를 이용한 영유아 발달분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4743A (ko)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아동 발달 문제 및 장애의 조기 발견 장치 및 그 방법
Rivas‐Drake et al. Ethnic‐racial identity and friendships in early adolescence
Stier et al. Integrating survey data and digital trace data: Key issues in developing an emerging field
Palmius et al. Detecting bipolar depression from geographic location data
Marshall et al. Diagnosing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young adults: A qualitative review of the utility of assessment measures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diagnostic process
Sebastian et al. The relationship of school-based parental involvement with student achievement: A comparison of principal and parent survey reports from PISA 2012
Astley et al. Global monitoring of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through online surveys sampled from the Facebook user base
Johnston et al. Incremental validity in the psychological assess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Vargas et al. Racial identity contestation: Mapping and measuring racial boundaries
Sturner et al. Accurate autism screening at the 18-month well-child visit requires different strategies than at 24 months
Harbison et al. A new measure of child vocal reciprocity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Caleon et al. Examining the phenomenon of resilience in schools
Zachrisson et al. Factor structure of the child attachment interview
Grimm et al. Measurement models, estimation, and the study of change
Tabb Changes in racial categorization over time and health status: An examination of multiracial young adults in the USA
Palacios et al. An analysis of nonfirst-generation community college men of color: Comparing GPA, noncognitive, and campus ethos differences across race
Humberstone Social networks and educational attainment among Adolescents Experiencing Pregnancy
Mansfield et al. Psychometric validation of the Reported and Intended Behavior Scale (RIBS) with adolescents.
Naseem et al. Using Ensemble Decision Tree Model to Predict Student Dropout in Computing Science
Yamamoto et al. From high school to postsecondary education, training, and employment: Predicting outcomes for young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Mitchell Pathways of children’s long-term living arrangements: A latent class analysis
LeBouef et al. Digital communication, family identity, and markers of emerging adulthood
Barger et al. Socioemotional developmental surveillance in young children: monitoring and screening best identify young children that require mental health treatment
Wang et al. Smart Testing with Vaccination: A Bandit Algorithm for Active Sampling for Managing COVID-19
KR102295503B1 (ko) 심리검사를 이용한 학생관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