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290B1 -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290B1
KR101717290B1 KR1020150083595A KR20150083595A KR101717290B1 KR 101717290 B1 KR101717290 B1 KR 101717290B1 KR 1020150083595 A KR1020150083595 A KR 1020150083595A KR 20150083595 A KR20150083595 A KR 20150083595A KR 101717290 B1 KR101717290 B1 KR 101717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information
psychological
family
psycholo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387A (ko
Inventor
이성옥
Original Assignee
(주) 나무와 숲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무와 숲 filed Critical (주) 나무와 숲
Priority to KR1020150083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29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6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를 이용한 심리상태의 연관관계 및 프로파일을 근거로 보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METHOD FOR CHILD PSYCHOLOGY, FAMILY PSYCHOLOGY AND CHILDCARE PSYCHOLOGY RELATED CHILD EMOTION MANAGEMENT,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동의 심리적 불안요소를 해소시켜 올바른 정서확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한 것으로서, 육아과정에서 받는 부모 또는 보육자의 스트레스가 줄어들도록 하여 부모 또는 보육자와 아동과의 유대관계를 강화시킴으로써 아동을 바르게 성장시킬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핵가족, 다문화가정, 한부모가정, 조부모가정 등 사회의 기본단위인 가족의 구성과 기능이 약화됨에 따라 아동의 정서적, 심리적 불안이 급격히 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은 청소년 문제로 이어져 결국은 전체적인 사회문제로 파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 영.유아 5명중 1명이 정서, 심리 불안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도된 바가 있어 영유아를 포함한 아동에 대한 심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심리검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심리검사란 인간의 지능이나 적성, 성격 등을 파악하여 검사결과를 체계적인 수치로 표현하는 측정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지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지능검사, 적성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적성검사, 학업에 대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학력검사, 개인적인 특성이나 태도 또는 기질 등의 성격을 측정하기 위한 성격검사 등 검사 목적에 따른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심리검사는 개인의 심리상태만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결과를 얻게된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동의 심리불안요소에 대해 부모가 어떻게 관여했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가 없기 때문에 아동심리를 진단 후 해소하려 하여도 아동과 부모간의 원활한 관계개선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최근 이슈화 되었던 어린이집 교사의 아동 학대 사건 등 보육시설에서 발생된 여러 가지 학대사건으로 인하여, 보육시설에 유아를 맡기는 것을 불안해 하는 부모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가정과 보육시설 간의 신뢰를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10-1049152]에서는 웹기반의 심리진단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049152](등록일자: 2011. 07. 0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동의 심리적 불안요소를 해소시켜 올바른 정서확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한 것으로서, 육아과정에서 받는 부모 또는 보육자의 스트레스가 줄어들도록 하여 부모 또는 보육자와 아동과의 유대관계를 강화시킴으로써 아동을 바르게 성장시킬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은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는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에 있어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아동정서관리자정보를 입력받아 정보열람권한을 부여하여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하고, 아동정서관리자정보 및 정보열람권한정보를 인증관리DB(110)에 저장하는 회원가입 단계(S10);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아동심리검사 요청을 받으면, 아동심리검사정보를 입력받아 아동심리검사분석DB(220)에 저장된 아동심리분석정보를 이용하여 아동심리를 분석한 아동심리결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아동심리검사정보 및 아동심리결과정보를 아동심리DB(210)에 저장하는 아동심리검사 단계(S20);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가족심리검사 요청을 받으면, 가족심리검사정보를 입력받아 가족심리검사분석DB(320)에 저장된 가족심리분석정보를 이용하여 가족심리를 분석한 가족심리결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가족심리검사정보 및 상기 가족심리결과정보를 가족심리DB(310)에 저장하는 가족심리검사 단계(S30);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보육자심리검사 요청을 받으면, 보육자심리검사정보를 입력받아 보육자심리검사분석DB(420)에 저장된 보육자심리분석정보를 이용하여 보육자심리를 분석한 보육자심리결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보육자심리검사정보 및 보육자심리결과정보를 보육자심리DB(410)에 저장하는 보육자심리검사 단계(S40);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심리연관성검사 요청을 받으면, 상기 아동심리결과정보(필수입력정보)를 포함하되, 가족심리결과정보 및 보육자심리결과정보(선택입력정보)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심리결과정보를 더 포함한 정보를 근거로, 심리연관성분석DB(520)에 저장된 심리연관성분석정보를 이용하여 아동, 가족 및 보육자 중 선택되는 복수의 구성원 간의 심리 연관성을 분석한 심리연관성정보를 심리연관성DB(510)에 저장하는 연관성도출 단계(S50);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프로파일검사 요청을 받으면, 상기 아동심리결과정보 및 심리연관성정보(필수입력정보)를 포함하되, 가족심리결과정보, 보육자심리결과정보(선택입력정보)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심리결과정보를 더 포함한 정보를 근거로, 심리프로파일분석DB(620)에 저장된 심리프로파일분석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척도를 근거로 프로파일을 분석한 심리프로파일정보를 심리프로파일DB(610)에 저장하는 프로파일생성 단계(S60);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보육정보제공 요청을 받으면, 상기 심리프로파일정보를 근거로 보육정보모델DB(720)에 저장된 보육정보도출모델을 이용하여 보육에 필요한 정보를 도출한 보육정보를 보육정보관리DB(710)에 저장하는 보육정보도출 단계(S70); 및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아동정서관리자정보, 정보열람권한정보, 아동심리검사정보, 가족심리검사정보, 보육자심리검사정보, 아동심리결과정보, 가족심리결과정보, 보육자심리결과정보, 심리연관성정보, 심리프로파일정보 및 보육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요청받으면, 상기 회원인증 시 확인된 정보열람권한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단계(S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육정보도출 단계(S70)는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보육정보에 따른 보육결과정보를 입력받으면, 아동심리결과정보, 보육정보 및 보육결과정보(필수입력정보)를 포함하되, 가족심리결과정보, 보육자심리결과정보, 심리연관성정보 및 심리프로파일정보(선택입력정보)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한 정보를 근거로 보육정보도출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보육결과정보 및 보육정보도출모델을 보육정보모델DB(72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은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아동심리검사 요청, 가족심리검사 요청, 보육자심리검사 요청, 심리연관성검사 요청 및 심리프로파일검사 요청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검사 요청을 받으면, 전자결재수단을 이용하여 해당되는 요금을 결재하고, 결재내역을 전자결재관리DB(91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기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에 의하면,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를 이용한 심리상태의 연관관계 및 프로파일을 근거로 보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함으로써, 아동의 애착정서 및 기본생활을 다질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아동의 자존감 및 자기표현을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아동의 인지능력 및 사회성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아동의 인성, 정서 및 심리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동에 대해 성향 및 불안요소 등의 심리 정서를 파악하고 이를 가족에게 인지시킴과 동시에 올바른 육아가 이루어지도록 지도하여, 아동의 욕구 충족과 육아과정에서 받는 가족(부모, 보호자 등)의 스트레스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아동과 가족간의 유대관계를 강화시키고 아동의 정서를 올바르게 확립시킬 수 있어 건강한 가족구성이 이루어짐은 물론 건강한 사회를 구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아동에 대해 성향 및 불안요소 등의 심리 정서를 파악하고 이를 보육자(선생님 등)에게 인지시킴과 동시에 올바른 육아가 이루어지도록 지도하여, 아동의 욕구 충족과 보육(교육)과정에서 받는 보육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아동과 보육자간의 유대관계를 강화시키고 아동의 정서를 올바르게 확립시킬 수 있어 건강한 사회를 구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의 데이터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에 이용되는 서버의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의 데이터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에 이용되는 서버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은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는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에 있어서, 회원가입 단계(S10), 아동심리검사 단계(S20), 가족심리검사 단계(S30), 보육자심리검사 단계(S40), 연관성도출 단계(S50), 프로파일생성 단계(S60), 보육정보도출 단계(S70) 및 정보제공 단계(S80);를 포함한다.
회원가입 단계(S10)는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아동정서관리자정보를 입력받아 정보열람권한을 부여하여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하고, 아동정서관리자정보 및 정보열람권한정보를 인증관리DB(110)에 저장한다.
이때, 회원가입을 위해 접속된 단말기가 아동정서관리단말(10)이 되며, 이후, 회원인증을 수행한 단말기가 아동정서관리단말(10)이 된다.
상기 아동정서관리단말(10)은 인터넷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일반적인 사용자단말기(컴퓨터, 모바일 기기, 스마트기기 등)을 말한다.
여기서, 스마트기기는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제품을 말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 태블릿, 스마트 워치, 스마트 팔찌, 스마트 링 등을 말한다.
상기 아동정서관리자정보는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추가로 아동정보(아동 성명, 성별, 나이(개월), 교육기관, 학년, 반, 특이사항 등), 가족정보(보호자 성명, 성별, 나이, 주소, 연락처(전화, 주소 이메일 등), 가족구성, 거주지역, 소득정도, 맞벌이여부, 출금계좌, 직업, 특이사항 등), 보육자정보(보육자 성명, 성별, 나이, 주소, 연락처(전화, 주소 이메일 등), 특이사항 등) 등을 더 포함한다. 이는, 회원가입을 한 후,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회원인증(로그인)을 수행함으로써, 다른 부가 정보를 일일이 입력하는 수고를 덜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회원가입 이후에도 회원인증을 수행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 아동정서관리자정보의 추가, 삭제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특정 IP, 공인인증서, 아이디(ID) 와 패스워드(password), 맥어드레스(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국제모바일기기식별코드(IME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고유식별번호(UDID: User Device IDentification),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및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의 경우, 특정 IP, 공인인증서, 아이디(ID) 와 패스워드(password), 맥어드레스(MAC address) 등을 이용해 회원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모바일기기 및 스마트기기의 경우, 맥어드레스(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국제모바일기기식별코드(IME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고유식별번호(UDID: User Device IDentification),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및 전화번호 등을 이용해 회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맥어드레스(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는 네트워크 구조에서 MAC 계층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갖는 주소로서 보통 네트워크 카드의 ROM에 저장되어 있다.
고유식별번호(UDID: User Device IDentification)는 사용자의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이다. 일종의 시리얼넘버인 셈이다.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는 인터넷상에서 객체나 실체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128비트 숫자를 말한다. 공간과 시간(약 3400년까지)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거의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식별자로서, 극히 단시간의 객체에서부터 영구적인 객체 식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인증 기관의 등록 절차는 없고, 다만 범용 단일 식별자 생성 프로그램의 유일한 식별 숫자만 필요하다. 예를 들어, 어떤 제품의 맥어드레스를 특정 서버에 저장하게 되면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맥어드레스를 대체하여 저장하기 위한 식별자로 사용 할 수 있다.
위에서 여러 가지 고유식별정보(식별자)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하나의 기기가 다수의 고유식별정보를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이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다면, 핸드폰 기기 자체의 식별자(UDID), 와이파이 칩에 대한 맥어드레스, 블루투스 칩에 대한 맥어드레스 등 여러 고유식별정보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상기 정보열람권한정보는 정보열람권한을 부여한 정보를 말하며, 정보열람권한을 별도로 지정하는 것은, 개인정보를 침해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보육자의 심리검사 결과를 아동의 보호자가 열람하게 된다면 보육자의 감추고 싶은 정보가 누출될 수 있으며, 반대로 아동 보호자의 심리검사 결과를 보육자가 열람하게 된다면 아동 보호자의 감추고 싶은 정보가 누출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보열람권한을 별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아동 보호자의 경우, 아동과 가족(보호자)에 해당되는 정보만 확인할 수 있도록 권한을 설정하고, 보육자의 경우, 아동과 보육자에 해당되는 정보만 확인할 수 있도록 권한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동심리검사 단계(S20)는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아동심리검사 요청을 받으면, 아동심리검사정보를 입력받아 아동심리검사분석DB(220)에 저장된 아동심리분석정보를 이용하여 아동심리를 분석한 아동심리결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아동심리검사정보 및 아동심리결과정보를 아동심리DB(210)에 저장한다.
Figure 112015057018315-pat00001
표 1은 아동의 정서심리검사의 일 예를 보여준다.
아동심리검사정보는 아동투사검사에 이용되는 그림정보(아동이 그린 그림의 이미지 정보) 또는 정서심리검사(표 1 참조)에 이용되는 검사지 풀이정보(답안지) 등 아동이 검사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 결과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아동투사검사는 검사지를 정상적으로 풀 수 없는 대상(문자를 익히지 못한 아동 등)에게 수행되며, 아동투사검사의 종류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Tree Drawing Test : 나무그림검사
아동의 나무그림에는 심리 정서적 안정감, 부적응, 창의성 등이 투사되어 있다. 자기상이 그려지고 인물화보다 연상이 빠르며 자아방어도 낮다고 하였다. 나무의 줄기는 피검자의 내적 자아 강도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을 나타내고, 나무의 가지는 환경으로부터 만족을 추구하는 피검자의 능력을 나타내며 나무의 전체적인 조직화는 피검자의 내적인 균형감을 반영한다. Buck(1948)은 나무그림을 통해 무의식적 자아상, 성 심리적 적응과 성숙도, 현실과의 접촉 그리고 인간내부의 조화를 알 수 있다고 하였다.
-FKD (Favorite kind of Day - Drawing Test : 좋아하는 날 그림검사)
아동의 FKD 그림에는 아동이 지각한 가족과의 정서적 환경이 투사되어있다. 비학대집단의 아동은 태양과 꽃을 나타내고 채색한 부분이 많고 사람을 자주 등장시키며, 학대아동의 그림은 비, 눈, 해일, 강풍과 같은 혹독한 날씨 요소와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비, 눈, 등과 같은 역동적인 날씨의 움직임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Manning(1987)이 비학대아동과 학대아동을 감별하고자 개발한 투사검사이다. 16절지 하얀 종이와 16색상의 크레용을 사용하여 자신이 좋아하는 날씨를 자유롭게 그리도록 한다.
-BDT (Bridge Drawing Test : 다리 그림검사)
아동의 BDT 그림에는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건너는 다리그림을 통한 문제해결력이 투사되어 있다. 다리 그림검사는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사람에게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건너는 다리의 모습을 그리도록 한 후, 그 그림에 나타난 반응을 통해 피검자가 변화의 도상에서 자신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에 관한 단서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다리는 인간, 사회 그리고 각 개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고리로서의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 교류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Hay와 Lyons가 1981년 개발한 투사적 검사이다.
-BND (Bird's Nest Drawing : 새둥지화)
아동의 새둥지가 있는 그림은 가정과 가족, 배고픔과 식욕, 자포자기 표현들, 개인적 경험의 일화들을 통해 가족 간의 정서적인 거리 및 애착상태가 투사되어 있다. 애착표상을 새둥지를 통해 표현하고 있으며, 안정 애착과 불안정 애착의 그림검사 반응특성에 유의한 그림검사이다. BND는 애착이론을 접목시켜 애착안정성을 진단하는 도구로 Kaiser(1993, 1996)가 개발하였다.
-PSCD (Parents-Slef-Centered Drawing : 동그라미중심 가족화)
아동의 PSCD는 아동에게 내재되어 있는 부모와의 관계, 또한 관계를 통한 자신을 바라볼 수 있는 투사검사이다. 동그라미 형태는 어느 방향에서나 같은 모양이며 균형과 통일을 이루며, 인간의 이상, 원만한 성격을 상징하며, 원의 중심에 모든 것이 모아지므로 인생의 중심이 부모로부터 형성되고 성장함으로써 자신이 중심이 되는 아동의 성장과정과도 부합한다. Burns가 처음으로 개발한 투영적 묘화법이다.
-KFFD (Kinetic Fishs Family Drwaing Test : 물고기 가족화)
아동의 KFFD 그림에는 가족의 역동성을 보고자하는 투사적 그림검사 기법으로 어항 속에 아동의 가족을 물고기로 그려가면서 가족과의 경험을 재생하는 과정에 현제 가족의 모습이나 가족에 대한 생각과 감정이 나타난다. 가족을 물고기로 그리라는 규칙이 제한점을 줌으로써 자유로운 운동성과 거리감, 방향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PPAT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Tree : 사과 따는 사람 )
사과 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의 동작성과 목적성을 가진 행위를 통해 그린 사람의 문제 해결력을 측정할 수 있는 그림검사이다. PPAT그림검사는 12색의 마커를 이용함으로써 색채로 표현되는 개인의 성향, 기질, 정서적인 면이 투사되며 통제성에 대한 욕구와 조심성으로 억제적 경향 등을 파악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Gantt와 Tabone에 의해 1998년에 개발되었다.
-DAP (Drawing A Person : 사람그림 )
-KFD ( Kinetic Family Drawing : 동적가족화 )
-K-HTP (Kinetic House-Tree-Person : 동적 집, 나무, 사람)
아동의 K-HTP는 환경에서 느껴지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할 수 있는 투사검사이다. K-HTP는 한 장의 종이 위에 집, 나무, 사람을 모두 그리게 하여 환경과의 상호관계역동성에서 대한 자기표현과 그에 대한 가치의 개인적인 판단을 표현한 것이다.
상기 아동심리분석정보는 아동심리검사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기준을 말한다.
아동투사검사에 이용되는 그림정보를 분석하는 경우, 분석기준은 판단대상영역과 분석선택항목이 있어, 판단대상영역에 대해 분석선택항목에서 일종 또는 복수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김동연의 'HTP와 KHTP 그림진단법'과 '이태호의 그림읽는 즐거움'의 그림분석 기준을 분석기준으로 사용하여 전체적인 평가와 형식적인분석을 할 수 있다.
전체적인 평가는 그림 전체적인 인상과, 조화, 구조 및 이상한 부분이 있는지를 판단대상영역으로 할 수 있다.
형식적인 분석은 그림의 크기가 적절한가, 그림을 종이의 어느 위치에 그렸는가, 얼마나 힘을 주어 그렸는가, 선의 질은 어떠한가, 그림의 세부 특징을 어떻게 묘사하였는가, 그리라고 지사한 것 이외의 것을 더 부가해서 그렸는가 무엇을 더 그렸는가, 주로 사용한 색상은 어떠한가를 판단대상영역으로 하였다. 아울러 보다 정밀한 내용에 대한 분석은 추가적인 상담에서 대화를 통해 그림 의도를 파악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정서심리검사에 이용되는 검사지 풀이정보(답안지)를 분석하는 경우는 일반적인 심리검사에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가족심리검사 단계(S30)는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가족심리검사 요청을 받으면, 가족심리검사정보를 입력받아 가족심리검사분석DB(320)에 저장된 가족심리분석정보를 이용하여 가족심리를 분석한 가족심리결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가족심리검사정보 및 상기 가족심리결과정보를 가족심리DB(310)에 저장한다.
Figure 112015057018315-pat00002
표 2는 성인의 정서심리검사의 일 예를 보여준다.
상기 가족심리검사정보는 정서심리검사(표 2 참조)에 이용되는 검사지 풀이정보(답안지) 등 가족(보호자)가 검사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 결과를 말한다.
상기 가족심리분석정보는 가족심리검사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정보로 배점정보를 이용한 채점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심리검사정보의 각 문항의 선택항목에 대한 배점정보를 이용한 채점을 할 수 있다. 즉, 5개의 선택항목 중 1번은 0점, 2번은 1점, 3번은 2점, 4번은 3점, 5번은 5점 등 선택항목마다 배점을 달리한 것이다. 이와 같이, 풀이정보(답안지)를 배점정보와 대비 함으로써 각 문항마다 선택항목에 따른 배점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만 배점이 이루어지지 않고 참고자료로 활용하며 통계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추가문항을 선택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상기 가족심리결과정보는 각문항을 특정 척도에 의해 분류하여 각 척도마다 점수합을 산출하여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동영역, 가족(보호자)영역 및 기타영역으로 스트레스영역을 분류하고 각 영역에 세부 척도를 소분류하여 각 세부척도마다 점수합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때 가족(보호자) 스트레스 검사의 선택항목은 어느 하나의 세부척도에만 속하거나 복수의 세부척도에 포함되어 점수합을 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세부척도의 예로는, 아동영역에서는 주의산만/과잉행동(DI), 적응(AD), 가족(보호자)강화(RE), 요구(DE), 기분(MO),수용(AC) 등의 척도로 구분할 수 있다. 주의산만/과잉행동(DI)척도는 아동의 주의가 지나치게 산만하거나 아동이 지나치게 활동적인지를 보는 척도이고, 적응(AD)척도는 아동이 변화에 얼마나 잘 적응하는지를 보는 척도이며, 가족(보호자)강화(RE)척도는 가족(보호자)가 아이와의 상호작용에서 얼마나 긍정적인 정서를 갖게 되는지를 보는 척도이고, 요구(DE)척도는 아동이 가족(보호자)에게 얼마나 많은 것을 요구하는지를 보는 척도이며, 기분(MO)척도는 아동이 얼마나 지나치게 울고 위축되어 있으며 우울한 기분인지를 보는 척도이고, 수용(AC)척도는 아동이 가족(보호자)의 기대수준에 맞는지를 보는 척도이다.
가족(보호자)영역에서는 유능감(CO), 고립(IS), 애착(AT), 건강(HE), 역할제한(RO),우울(DP), 배우자(SP) 척도로 구분하였고, 기타영역에서는 일상스트레스(LS) 척도로 구분할 수 있다. 유능감(CO)척도는 가족(보호자)가 양육자로서 느끼는 정도를 보는 척도이고, 고립(IS)척도는 가족(보호자) 역할을 담당하는데 얼마나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는지를 보는 척도이며, 애착(AT)척도는 가족(보호자)가 아동과 정서적으로 얼마나 가깝게 느끼는지를 보는 척도이고, 건강(HE)척도는 양육에 요구되는 신체적 건강상태를 보는 척도이며, 역할제한(RO)척도는 가족(보호자)의 개인적 자유와 기타 삶의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보호자)역할의 영향력을 보는 척도이고, 우울(DP)척도는 가족(보호자)의 성격 및 정신병리와 관련된 우울을 보는 척도이며, 배우자(SP)척도는 가족(보호자)역할에 대해 상대 배우자에게서 얼마나 정서적/신체적으로 지지 받고 있는지를 보는 척도이다.
일상스트레스(LS)척도는 육아과정 이외의 일상적인 생활에서의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낸 척도이다.
보육자심리검사 단계(S40)는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보육자심리검사 요청을 받으면, 보육자심리검사정보를 입력받아 보육자심리검사분석DB(420)에 저장된 보육자심리분석정보를 이용하여 보육자심리를 분석한 보육자심리결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보육자심리검사정보 및 보육자심리결과정보를 보육자심리DB(410)에 저장한다.
상기 보육자심리검사정보는 정서심리검사(표 2 참조)에 이용되는 검사지 풀이정보(답안지) 등 보육자가 검사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 결과를 말한다.
상기 보육자심리분석정보 및 보육자심리결과정보는 상기 가족심리분석정보 및 가족심리결과정보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연관성도출 단계(S50)는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심리연관성검사 요청을 받으면, 상기 아동심리결과정보(필수입력정보)를 포함하되, 가족심리결과정보 및 보육자심리결과정보(선택입력정보)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심리결과정보를 더 포함한 정보를 근거로, 심리연관성분석DB(520)에 저장된 심리연관성분석정보를 이용하여 아동, 가족 및 보육자 중 선택되는 복수의 구성원 간의 심리 연관성을 분석한 심리연관성정보를 심리연관성DB(510)에 저장한다.
다시 말해, 아동심리결과정보는 필수입력정보이며, 가족심리결과정보 및 보육자심리결과정보는 선택입력정보이다.
즉, 아동과 가족(보호자)의 심리연관성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아동심리결과정보 및 가족심리결과정보를 근거로, 아동과 가족(보호자) 간의 심리 연관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아동과 보육자의 심리연관성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아동심리결과정보 및 보육자심리결과정보를 근거로, 아동과 보육자 간의 심리 연관성을 분석할 수 있다.
심리 연관성 분석은 아동의 성향 및 심리 와 가족(보호자) 스트레스의 연관성을 도출하고, 가족(보호자) 스트레스 결과점수가 평균이상인 척도에 따른 연관성을 갖는 아동심리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보호자) 스트레스 결과는 각 척도마다 점수화되어 있는 것으로, 각 척도가 평균과 대비하여 평균이상인지 이하인지를 나타내고, 가족(보호자)스트레스 영역 중 아동영역에서 평균이상으로 스트레스 점수가 높은 척도에 대해서는 아동그림 분석결과의 연관된 내용과 아동 성향 및 심리상태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가족(보호자) 스트레스의 각 척도 평균은 검사대상수를 증가시키고, 전체 검사수에 대해 각 척도별로 점수를 합하여 평균값으로 계산하되, 점수분포에서의 상위 20%와 하위 20%를 제외한 중간수준의 60% 범위의 점수를 합하여 나눈 값을 평균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평균값은 새로 검사가 실시된 표본수도 합해 계산되도록 함으로써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일정시간 오래된 데이터 예컨대 5년 이상 된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평균값 계산에서 제외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가족(보호자) 스트레스 결과에서 아동영역에 대한 각 척도 중 점수가 평균 이상 예컨대 평균을 80점으로 설정할 경우 85점 이상으로 나타난 척도에 대해서는 아동심리결과정보와 아동심리검사분석DB(220)를 대비하여 심리 연관성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보호자)가 스트레스 받는 부분에 대해 아동그림특징이 어떻게 나타나고 이러한 아동그림특징은 어떠한 아동심리를 나타낸 것인지에 대한 평가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심리연관성DB(510)에 저장할 수 있다.
심리연관성정보는 가족(보호자)의 스트레스가 아동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 또는 상호관계를 객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통계를 통하여 가족(보호자)의 스트레스 척도에 따른 아동 그림의 특징 부분에 대한 연관성을 나타내고, 그림특징에 따른 심리상태를 진단데이터로부터 획득하여 가족(보호자)가 어떠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 아동심리가 어떠한지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가족(보호자)는 본인이 받는 스트레스에 대한 아동심리가 어떠한지는 인지함으로써 아동에 대한 이해력을 넓히는 계기가 되어 보육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고 아동과의 유대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프로파일생성 단계(S60)는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프로파일검사 요청을 받으면, 상기 아동심리결과정보 및 심리연관성정보(필수입력정보)를 포함하되, 가족심리결과정보, 보육자심리결과정보(선택입력정보)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심리결과정보를 더 포함한 정보를 근거로, 심리프로파일분석DB(620)에 저장된 심리프로파일분석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척도를 근거로 프로파일을 분석한 심리프로파일정보를 심리프로파일DB(610)에 저장한다.
다시 말해, 아동심리결과정보 및 심리연관성정보는 필수입력정보이며, 가족심리결과정보 및 보육자심리결과정보는 선택입력정보이다.
즉, 아동과 가족(보호자)의 심리프로파일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아동심리결과정보 및 아동과 가족(보호자) 간의 심리연관성정보 및 가족심리결과정보를 근거로, 아동과 가족(보호자) 간의 심리프로파일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아동과 보육자의 심리연관성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아동심리결과정보 및 아동과 보육자 간의 심리연관성정보 및 보육자심리결과정보를 근거로, 아동과 보육자 간의 심리프로파일을 분석할 수 있다.
보육정보도출 단계(S70)는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보육정보제공 요청을 받으면, 상기 심리프로파일정보를 근거로 보육정보모델DB(720)에 저장된 보육정보도출모델을 이용하여 보육에 필요한 정보를 도출한 보육정보를 보육정보관리DB(71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가족(보호자) 스트레스 검사에 따른 각 척도마다의 점수 결과와, 아동그림에 대한 분석결과 및 가족(보호자) 스트레스 결과의 아동영역 척도 중 평균을 상회하는 척도와 이에 관련된 아동그림특성에 대한 아동심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낸 평가데이터를 하나의 프로파일화 하고 파일화된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에는 아동심리결과정보(아동그림과, 아동그림에 대한 분석결과 등)와, 가족심리결과정보 또는 보육자심리결과정보와, 종합적인 평가데이터가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결합된 데이터이다.
아울러 프로파일에는 평가데이터에 의해 평균을 상회하는 척도에 대해서는 아동보육에 참고할 수 있는 보육소스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아동의 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그림진단이 이루어지고, 이로부터 가족(보호자) 스트레스의 기분척도가 평균이상으로 높을 경우에는 프로파일에 "아동이 자존감과 자신감이 낮습니다. 사소한 것에도 많은 칭찬과 격려를 해줘 서서히 자신감을 북돋아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보육소스데이터를 하나 또는 다수 추가하여 아동과의 관계개선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육소스는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아동심리 대처방법을 보육소스DB로 정리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보호자)스트레스의 세부 척도 중 평균 이상으로 나온 척도에 대해 아동그림 분석결과의 연관성을 정리한 그림진단DB(아동심리검사분석DB(220)의 일 실시예)와 링크결합되어 연관된 데이터가 함께 독출되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보육소스DB에는 가족(보호자)스트레스 척도에 따라 대분류하고, 각 척도마다 그림진단에서의 분석선택항목을 연계하여 소분류하고, 상기 각 소분류마다 보육소스데이터를 연계시켜 저장되거나, 그림진단에서의 분석선택항목마다 보육소스데이터를 연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석선택항목과 보육소스DB가 연계되면, 연관성도출 단계(S50)에의한 연관성 도출시 선택된 분석선택항목에 대해 그림진단DB로부터 해석내용을 도출할 때 이와 연계된 보육소스DB의 내용도 함께 도출되도록 하여 아동과의 관계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은 다양한 통계자료에 이용될 수 있다. 즉, 가족형태가 편부모 여부, 보육주체가 부모 또는 조부모 여부, 부모가 맞벌이 외벌이 여부, 부모의 학력정도, 수입정도, 지역별로 구분하여 각 조건에 대한 특이사항을 파악하여 아동정서 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보육정보를 근거로 아동, 가족 및 보육자를 대상으로 힐링심리코칭, 놀이코칭 및 교육코칭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보육정보도출 단계(S70)는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보육정보에 따른 보육결과정보를 입력받으면, 아동심리결과정보, 보육정보 및 보육결과정보(필수입력정보)를 포함하되, 가족심리결과정보, 보육자심리결과정보, 심리연관성정보 및 심리프로파일정보(선택입력정보)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한 정보를 근거로 보육정보도출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보육결과정보 및 보육정보도출모델을 보육정보모델DB(72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아동심리결과정보, 보육정보 및 보육결과정보는 필수입력정보이며, 가족심리결과정보, 보육자심리결과정보, 심리연관성정보 및 심리프로파일정보는 선택입력정보이다.
상기 보육정보도출모델은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이란 둘 또는 그 이상의 변수들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어떤 특정한 변수(종속변수)의 값을 다른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변수(독립변수)들로부터 설명하고 예측하는 통계적 기법이다.
회귀분석이란 상관관계의 연관성(association)과 인과모형의 인과성(causation)을 종합한 개념으로 정리할 수 있다. 또한 회귀분석은 계량적 종속변수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독립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데 있어 매우 강력한 분석력을 갖고 있으며, 또한 적응성이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회귀분석의 일반적인 형태는 1차 방정식의 함수관계로 나타난다.
회귀분석은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나뉘며, 단순회귀분석은 한 개의 독립변수를 이용하여 종속변수를 설명, 예측하는 것으로 회귀분석의 가장 단순한 형태이고, 다중회귀분석은 여러개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의 관계를 설명, 예측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이다.
회귀 분석은 한 변수를 이용하여 다른 변수의 값을 설명하거나 예측할 수 있는 모형으로 자료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때 설명하는 변수를 독립 변수 또는 설명 변수라 하고 설명이 되거나 예측이 되는 변수를 종속 변수 또는 반응 변수라고 한다. 설명하는 독립 변수가 하나인 경우 단순 회귀 분석, 설명하는 독립 변수가 두 개 이상인 경우는 다중 회귀 분석이라고 한다.
상기 보육정보도출모델을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생성할 경우, 아동정서관리자정보, 아동심리결과정보, 가족심리결과정보, 보육자심리결과정보, 심리연관성정보, 심리프로파일정보, 제공된 보육정보 및 보육결과정보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독립변수가 되며, 제공할 보육정보가 종속변수가 된다.
즉, 아동심리검사, 가족심리검사 및 보육자심리검사를 주기적으로 반복실시하여 아동의 심리적 불안요소의 해소 또는 신규발생여부를 확인하면서 가족 또는 보육자와의 관계적립이 올바르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보안하도록 하는 등 아동 성장 과정을 관리하기 위한 보육정보도출모델을 생성 및 갱신할 수 있다.
이러한 보육정보도출모델은 개인별 보육정보도출모델, 집단별 보육정보도출모델, 지역별 보육정보도출모델, 총괄 보육정보도출모델 등으로 구분지어 다양하게 생성하고 갱신하여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정보제공 단계(S80)는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아동정서관리자정보, 정보열람권한정보, 아동심리검사정보, 가족심리검사정보, 보육자심리검사정보, 아동심리결과정보, 가족심리결과정보, 보육자심리결과정보, 심리연관성정보, 심리프로파일정보 및 보육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요청받으면, 상기 회원인증 시 확인된 정보열람권한에 따라 정보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보육자의 심리검사 결과를 아동의 보호자가 열람하게 된다면 보육자의 감추고 싶은 정보가 누출될 수 있으며, 반대로 아동 보호자의 심리검사 결과를 보육자가 열람하게 된다면 아동 보호자의 감추고 싶은 정보가 누출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보열람권한을 별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아동 보호자의 경우, 아동과 가족(보호자)에 해당되는 정보만 확인할 수 있도록 권한을 설정하고, 보육자의 경우, 아동과 보육자에 해당되는 정보만 확인할 수 있도록 권한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리프로파일정보는 신청자의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만 전송이 이루어지며, 별도의 요청이 있을 시 가족(보호자) 및 보육자의 아동정서관리단말(10)에 모두 전송하여 가정 및 교육장에서의 보육에 참고하거나 아동지도에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부모나 아동지도교사도 그림을 통해 심리분석하여 자신의 심리상태를 진단하여 인지시킴으로써 아동과의 관계개선에서 보다 이성적인 진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은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아동심리검사 요청, 가족심리검사 요청, 보육자심리검사 요청, 심리연관성검사 요청 및 심리프로파일검사 요청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검사 요청을 받으면, 전자결재수단을 이용하여 해당되는 요금을 결재하고, 결재내역을 전자결재관리DB(91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전자결제 서비스는 전자결제 시스템을 이용하며, 전자결제 시스템은 결제수단에 따라 신용카드형, 전자화폐형, 전자수표형 및 전자자금이체 시스템으로 대별된다. 이 중에서 신용카드형 전자결제 시스템은 전통적인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 과정과 매우 유사하나 네트워크상에서 결제정보가 이동한다는 차이가 있으며 전자결제의 방법들 중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신용카드형 전자결제 시스템은 신용카드 정보의 전송유형에 따라서 네트워크형과 카드형으로 구분되며, 네트워크형의 경우는 사이버캐시(cyber-cash), 카드형의 경우 퍼스트 버추얼(First Virtual)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상기 인증관리DB(110), 아동심리DB(210), 아동심리검사분석DB(220), 가족심리DB(310), 가족심리검사분석DB(320), 보육자심리DB(410), 보육자심리검사분석DB(420), 심리연관성DB(510), 심리연관성분석DB(520), 심리프로파일DB(610), 심리프로파일분석DB(620), 보육정보관리DB(710), 보육정보모델DB(720) 및 전자결제관리DB(910)는 하나의 서버(1000)에 구비(도 1 참조)될 수도 있고, 각각 서로 다른 서버로 운영될 수도 있다. 각각 서로 다른 서버로 운영될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관리DB(110), 아동심리DB(210), 아동심리검사분석DB(220), 가족심리DB(310), 가족심리검사분석DB(320), 보육자심리DB(410), 보육자심리검사분석DB(420), 심리연관성DB(510), 심리연관성분석DB(520), 심리프로파일DB(610), 심리프로파일분석DB(620), 보육정보관리DB(710), 보육정보모델DB(720) 및 전자결제관리DB(910)는 하나의 저장장치에 논리적으로 분할되어 포함될 수도 있고, 다수의 저장장치에 물리적으로 분할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은 인터넷 기반(Cloud)의 컴퓨터기술(Computing)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구름(Cloud)은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 숨겨진 복잡한 인프라 구조, 인터넷을 뜻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사용자가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하지 않고도 인터넷 접속을 통해 언제든 사용할 수 있고 동시에 각종 정보통신 기기로 데이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사용 환경이다. 즉, 개인이 웹에 접속해서 포토샵, 오피스 같은 프로그램을 작업할 수 있고 그 작업에 대한 저장도 웹에서 하게 된다. 결국 가상 공간에 한 서버(컴퓨터)만을 놓고 이 한 컴퓨터를 통해 여러 사람이 개인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은행의 ATM이나 항공기ㆍ열차의 실시간 좌석 예약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또한 Google Apps의 경우 웹 브라우저로 이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비즈니스 응용 프로그램들을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는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은, 사용자의 데이터를 신뢰성 높은 서버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기기를 가지지 못한 소외 계층도 공용 컴퓨터나 인터넷에 연결되기만 한다면 개인 컴퓨팅 환경을 누릴 수 있으며, 개인이 가지고 다녀야 하는 장비나 저장 공간의 제약이 사라진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동 정서안정 지원 관리 시스템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다수의 서버를 이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운영체제 기반의 클러스터 환경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관성 및 프로파일 관련 처리는 주로 Microsoft Window 운영체제 기반의 서버, 단순 데이터 처리는 Linux 운영체제 기반의 서버, 보육모델 및 이미지 분석 관련 처리는 Maciniosh 운영체제 기반의 서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정보 처리 등 적합한 별도의 운영체제 및 프로그램이 존재하므로 각각의 데이터 처리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렇게 이질적인 운영체제 기반으로 환경을 클러스터로 구성을 할 경우, 실행환경이 다양한 기존에 개발된 코드들을 타 운영체제 기반에 맞도록 변환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으며, 각각의 자료처리 환경에 맞도록 파일 형식의 변경 없이 각각의 자료처리 환경에 맞는 클러스터에 쉽게 추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각각의 데이터 처리에 유리한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어 유연한 아동 정서안정 지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별도의 파일 형식의 변환과정 없이 아동 정서안정 지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질적인(이기종) 운영체제 기반으로 구성된 클라우드 컴퓨팅은 빠른 처리속도를 제공 함으로써, 더 많은 동시접속 사용자를 유지하여도 정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질적인 운영체제 기반의 클라우드 컴퓨팅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단일 컴퓨터와 같이 동작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노드 간에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설정 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이 갖추어지면 어느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의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RSH(Remote Shell)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또한 MPI(Message Passing Interface)를 사용한 병렬 구조의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서버에서 병렬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면 MPI 데몬은 네트워크를 통해 각 노드로 작업을 분할하여 보내주며, 각 노드는 할당받은 작업을 처리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결과를 서버에 돌려줄 수 있다.서버는 노드로부터 받은 결과를 조합하여 하나의 결과로 만들고 그 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4대의 노드로 구성된 클러스터에서 1부터 n까지 더하는 병렬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실행중인 MPI 데몬은 프로세스를 노드 수만큼 분할하여 각 노드에 작업을 할당하며, 작업을 할당받은 노드는 작업을 처리하여 결과를 서버에 돌려주고, 서버는 각 결과를 다시 조합하여 1에서 n까지 더한 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역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술한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아동정서관리단말
110: 인증관리DB
210: 아동심리DB 220: 아동심리검사분석DB
310: 가족심리DB 320: 가족심리검사분석DB
410: 보육자심리DB 420: 보육자심리검사분석DB
510: 심리연관성DB 520: 심리연관성분석DB
610: 심리프로파일DB 620: 심리프로파일분석DB
710: 보육정보관리DB 720: 보육정보모델DB
910: 전자결제관리DB
S10: 회원가입 단계 S20: 아동심리검사 단계
S30: 가족심리검사 단계 S40: 보육자심리검사 단계
S50: 연관성도출 단계 S60: 프로파일생성 단계
S70: 보육정보도출 단계 S80: 정보제공 단계

Claims (5)

  1.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는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에 있어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아동정서관리자정보를 입력받아 정보열람권한을 부여하여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하고, 아동정서관리자정보 및 정보열람권한정보를 인증관리DB(110)에 저장하는 회원가입 단계(S10);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아동심리검사 요청을 받으면, 아동심리검사정보를 입력받아 아동심리검사분석DB(220)에 저장된 아동심리분석정보를 이용하여 아동심리를 분석한 아동심리결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아동심리검사정보 및 아동심리결과정보를 아동심리DB(210)에 저장하는 아동심리검사 단계(S20);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가족심리검사 요청을 받으면, 가족심리검사정보를 입력받아 가족심리검사분석DB(320)에 저장된 가족심리분석정보를 이용하여 가족심리를 분석한 가족심리결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가족심리검사정보 및 상기 가족심리결과정보를 가족심리DB(310)에 저장하는 가족심리검사 단계(S30);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보육자심리검사 요청을 받으면, 보육자심리검사정보를 입력받아 보육자심리검사분석DB(420)에 저장된 보육자심리분석정보를 이용하여 보육자심리를 분석한 보육자심리결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보육자심리검사정보 및 보육자심리결과정보를 보육자심리DB(410)에 저장하는 보육자심리검사 단계(S40);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심리연관성검사 요청을 받으면, 상기 아동심리결과정보(필수입력정보)를 포함하되, 가족심리결과정보 및 보육자심리결과정보(선택입력정보)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심리결과정보를 더 포함한 정보를 근거로, 심리연관성분석DB(520)에 저장된 심리연관성분석정보를 이용하여 아동, 가족 및 보육자 중 선택되는 복수의 구성원 간의 심리 연관성을 분석한 심리연관성정보를 심리연관성DB(510)에 저장하는 연관성도출 단계(S50);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프로파일검사 요청을 받으면, 상기 아동심리결과정보 및 심리연관성정보를 포함하되, 가족심리결과정보, 보육자심리결과정보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심리결과정보를 더 포함한 정보를 근거로, 심리프로파일분석DB(620)에 저장된 심리프로파일분석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척도를 근거로 프로파일을 분석한 심리프로파일정보를 심리프로파일DB(610)에 저장하는 프로파일생성 단계(S60);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보육정보제공 요청을 받으면, 상기 심리프로파일정보를 근거로 보육정보모델DB(720)에 저장된 보육정보도출모델을 이용하여 보육에 필요한 정보를 도출한 보육정보를 보육정보관리DB(710)에 저장하는 보육정보도출 단계(S70); 및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아동정서관리자정보, 정보열람권한정보, 아동심리검사정보, 가족심리검사정보, 보육자심리검사정보, 아동심리결과정보, 가족심리결과정보, 보육자심리결과정보, 심리연관성정보, 심리프로파일정보 및 보육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요청받으면, 상기 회원인증 시 확인된 정보열람권한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단계(S80);
    를 포함하고,
    상기 보육정보도출 단계(S70)는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보육정보에 따른 보육결과정보를 입력받으면, 아동심리결과정보, 보육정보 및 보육결과정보를 포함하되, 가족심리결과정보, 보육자심리결과정보, 심리연관성정보 및 심리프로파일정보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한 정보를 근거로 보육정보도출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보육결과정보 및 보육정보도출모델을 보육정보모델DB(720)에 저장하고,
    상기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은
    회원인증을 거친 아동정서관리단말(10)로부터 아동정서관리서버(1000)가 아동심리검사 요청, 가족심리검사 요청, 보육자심리검사 요청, 심리연관성검사 요청 및 심리프로파일검사 요청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검사 요청을 받으면, 전자결재수단을 이용하여 해당되는 요금을 결재하고, 결재내역을 전자결재관리DB(91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83595A 2015-06-12 2015-06-12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1717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595A KR101717290B1 (ko) 2015-06-12 2015-06-12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595A KR101717290B1 (ko) 2015-06-12 2015-06-12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387A KR20160146387A (ko) 2016-12-21
KR101717290B1 true KR101717290B1 (ko) 2017-03-17

Family

ID=5773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595A KR101717290B1 (ko) 2015-06-12 2015-06-12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2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543A (ko) 2017-07-12 2019-01-23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동물매개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
KR20190078734A (ko) 2017-12-27 2019-07-0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동물매개교육 제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192B1 (ko) * 2020-11-09 2021-06-08 이미경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217B1 (ko) * 2013-11-18 2014-07-23 (주) 나무와 숲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52B1 (ko) 2010-04-22 2011-07-14 한국과학기술원 웹기반의 심리진단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217B1 (ko) * 2013-11-18 2014-07-23 (주) 나무와 숲 아동심리와 부모스트레스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543A (ko) 2017-07-12 2019-01-23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동물매개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시스템 및 그 평가방법
KR20190078734A (ko) 2017-12-27 2019-07-0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동물매개교육 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387A (ko)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ephanidis et al. Seven HCI grand challenges
Kim et al. The memorable travel experience and its reminiscence functions
Parsons et al. The potential of function-led virtual environments for ecologically valid measures of executive function in experimental and clinical neuropsychology
Jones et al. The impact of mindfulness on empathy, active listening, and perceived provisions of emotional support
Martela et al. Expanding the map of intrinsic and extrinsic aspirations using network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Examining four new aspirations
Chamorro-Premuzic et al. Individual differences in music consumption are predicted by uses of music and age rather than emotional intelligence, neuroticism, extraversion or openness
Killoren et al. Longitudinal associations among parental acceptance, familism values, and sibling intimacy in Mexican‐origin families
Matz et al. Models of personality
Rizza Digital competences
de Alva et al. It feels different from real life: users' opinions of mobile applications for mental health
Ndengeyingoma et al. Development of personal identity among refugee adolescents: Facilitating elements and obstacles
Yeh et al. Ecological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f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among low-income, Chinese immigrant youth.
Vega-Barbas et al. Interaction patterns for smart spaces: A confident interaction design solution for pervasive sensitive IoT services
Bajcar et al.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in the Polish organizational context: Validation of the full and short forms of the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KR101717290B1 (ko)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Chow et al. Design of an educational chat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radiotherapy
Blaurock et al. A transdisciplinary review and framework of consumer interactions with embodied social robots: Design, delegate, and deploy
Nguyen et al. Affective, linguistic and topic patterns in online autism communities
KR101717289B1 (ko) 아동 정서안정 지원 관리 시스템
Adami et al. Monitoring health parameters of elders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Cotter et al. Examining the flourishing impacts of repeated visits to a virtual art museum and the role of immersion
Clarke et al. The effects of rurality on parents’ engagement in children’s early literacy
Boswell et al. A review and preview of developments in the measurement of sociability
Città et al. Analyzing creativity in the light of social practice theory
Wang et al. Exploring the Future Design Approach to Ageing Based on the Double Diamond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