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192B1 -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192B1
KR102263192B1 KR1020200148362A KR20200148362A KR102263192B1 KR 102263192 B1 KR102263192 B1 KR 102263192B1 KR 1020200148362 A KR1020200148362 A KR 1020200148362A KR 20200148362 A KR20200148362 A KR 20200148362A KR 102263192 B1 KR102263192 B1 KR 102263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order
emotional
subscale
service server
childr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경
Original Assignee
이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경 filed Critical 이미경
Priority to KR1020200148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7Personality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8Evaluat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6Children, e.g. for attention deficit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Nur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동의 관계성 발달 상태를 분석하여 조기에 유아동의 정서행동장애를 판단하고, 유아동의 정서행동장애 유형과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을 연관시켜 유아동의 정서행동장애의 원인을 알아내고, 그에 상응하는 양육방법을 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은, 서비스 서버에서 유아동의 관계성 발달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질문들을 포함하는 검사항목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질문에 대항 검사응답정보를 수집하되, 상기 질문은 관계성 발달 관련 기 정의된 하위척도를 판단하기 위한 내용으로 이루어지는 제1 단계와, 서비스 서버에서 각 질문을 하위척도별로 분류하고, 각 하위척도와 관련된 질문별 검사응답정보에 해당하는 점수를 합산하여 하위척도별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제2 단계, 서비스 서버에서 하위척도의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정서행동장애별 장애점수를 산출하되, 각 정서행동장애와 관련된 하위척도의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해당 정서행동장애별 장애점수를 산출하는 제3 단계, 서비스 서버에서 장애점수가 높은 진단대상 정서행동장애와 관련된 하위척도를 추출하고, 해당 하위척도에 영향을 주는 부모 양육인자를 코칭 인자로 결정하여 해당 진단대상 정서행동장애 치유를 위한 부모양육 코칭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서비스 서버에서 정서행동장애정보와 부모양육 코칭정보를 포함하는 관계성 검사결과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위척도는 유아동의 관계성 발달 상태와 관련된 진단 요소로서, 자기 조절력, 의사 소통능력, 공감 능력, 자기 효능감, 주의력 결핍, 관계성 부족, 심리적 억압, 우울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Relationship developmental analysis method for children emotional behavior disorder judgement}
본 발명은 유아동의 관계성 발달 상태를 분석하여 조기에 유아동의 정서행동장애를 판단하고, 유아동의 정서행동장애 유형과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을 연관시켜 유아동의 정서행동장애의 원인을 알아내고, 그에 상응하는 양육방법을 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핵가족, 다문화가정, 한부모가정, 조부모 가정 등 사회의 기본단위인 가족의 구성과 기능이 약화됨에 따라 유아동의 정서적, 심리적 불안이 급격히 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은 청소년 문제로 이어져 결국은 전체적인 사회문제로 파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 영,유아 5명중 1명이 정서, 심리 불안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도된 바가 있어 영유아를 포함한 아동 즉, 유아동에 대한 심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심리검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심리검사란 인간의 지능이나 적성, 성격 등을 파악하여 검사결과를 체계적인 수치로 표현하는 측정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지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지능검사, 적성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적성검사, 학업에 대한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학력검사, 개인적인 특징이나 태도 또는 기질 등의 성격을 측정하기 위한 성격 검사 등 검사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심리검사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만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결과를 얻게 된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유아동의 심리불안요소에 대해 부모가 어떻게 관여했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가 없기 때문에 아동심리를 진단한 후 이를 해소하려고 하여도 유아동과 부모간의 원활한 관계개선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유아기는 정서행동장애 행동 특성이 최초로 나타나는 시기이며, 치료의 적기인데, 부모가 정서행동장애로 발전하는 유아의 행동 특징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정서행동장애 초기 치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즉, 다른 사람에게는 아이의 문제점이 보이는데 정작 부모만 아이의 문제점이 안보이거나 보여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교사나 주변 사람이 부모에게 아이의 문제행동에 대해 얘기해도 객관적인 자료가 없기 때문에 부모가 아이의 문제점을 인정하지 않으며, 결국 치료하지 않아 정서행동장애 초기 치료를 놓치게 된다.
정서행동장애 초기 치료를 놓치게 되면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우울증, 불안증, 조현병 등으로 발전하기 때문에 유아동기에 정서행동장애의 조기 발견 및 조기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현재에는 성인의 심리 분석을 위한 방법론은 다양한 각도로 제시되고 있으나, 유아동의 행동 특성 분석 또는 정서행동장애를 예측하기 위한 유아 심리 분석 방법론 제시된 사례가 없다.
이는 유아동은 현재 나타난 부적응적 행동이 거기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주변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좋은 방향으로 발전되거나 또는 행동장애로 굳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유아동 심리 분석 및 치료 연구를 오랫동안 하면서 향후 유아동에게 발생할 수 있는 정서행동장애는 주변 환경 특히, 부모의 양육태도와 매우 연관성이 높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정서행동장애 유형과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관계를 정립하는 것이 매우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258978호 (명칭 : 심리치유를 위하여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2. 한국등록특허 제10-1977559호 (명칭 : 상황별 심리상담을 위한 질문지를 이용한 개인기질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유아동의 관계성 발달 상태를 분석하여 조기에 유아동의 현재 또는 미래에 발생가능한 정서행동장애의 형태를 발견하고, 그 원인이 되는 부모의 양육방법을 알아내어, 유아동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자라날 수 있도록 해 주는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에서 기 설정된 다수의 하위척도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들로 이루어지는 검사항목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질문에 대한 검사응답정보를 수집하는 제1 단계와, 서비스 서버에서 각 하위척도와 관련된 질문별 검사응답정보에 해당하는 점수를 합산하여 하위척도별 평가점수를 각각 산출하는 제2 단계, 서비스 서버에서 기 설정된 정서행동장애와 관련된 하위척도의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해당 정서행동장애별 장애 점수를 산출하는 제3 단계, 서비스 서버에서 장애 점수가 높은 진단대상 정서행동장애와 관련된 하위척도를 추출하고, 해당 하위척도에 영향을 주는 부모 양육인자를 코칭 인자로 결정하여 해당 진단대상 정서행동장애 치유를 위한 부모양육 코칭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서비스 서버에서 정서행동장애정보와 부모양육 코칭정보를 포함하는 관계성 검사결과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위척도는 유아동의 관계성 발달 상태와 관련된 진단 요소로서, 자기 조절력, 의사 소통능력, 공감 능력, 자기 효능감의 적응적 요인으로 이루어지는 제1 하위척도와 주의력 결핍, 관계성 부족, 심리적 억압, 우울성의 부적응적 요인으로 이루어지는 제2 하위척도로 구분되어 설정되고, 각 정서행동장애는 적어도 하나의 적응적 요인과 적어도 하나의 부적응적 요인에 해당하는 둘 이상의 관련 하위척도를 가지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각 하위척도 평가점수에 가중치를 적용한 점수를 합산하여 장애 점수를 산출하되, 제1 하위척도에 적용되는 제1 가중치보다 제2 하위척도에 적용되는 제2 가중치를 더 큰 값으로 설정하여 각 정서행동장애별 장애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삭제
또한, 상기 정서행동장애는 유아동의 관계성 발달 상태와 관련하여 나타날 수 있는 장애로서, 주의력 결핍장애, 과잉행동장애, 대인관계장애, 우울증 장애, 반사회성 장애, 불안증 장애, ADHD 장애, 품행장애, 자폐증, 강박 장애, 조현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 부모 양육태도 인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기 위한 부모 검사항목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부모응답점수를 이용하여 각 부모양육인자별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4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코칭 인자로 결정된 부모 양육인자 중 평가점수가 기준 점수 미만인 부모양육인자에 대한 부모양육 코칭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부모양육인자는 일관성, 의사존중, 공감적 사랑, 규칙, 과잉보호, 과잉허용, 독재, 방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 하위척도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모양육인자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아동의 관계성 발달 상태를 검사하여 유아동의 정서행동장애를 조기 진단하고, 유아동의 정서행동장애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제시하여 초기에 정서행동장애를 치료함으로써, 아이가 타인과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선택과 의지의 주체로서 행복하고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유아동의 관계성 발달과 관련된 8가지 하위척도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이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200)와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 가능한 각종 형태의 개인통신단말로,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의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통신 기기일 수 있으며,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사용자 단말(100)은 서비스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관계성 발달 상태 조기 판단용 웹서비스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유아동의 관계성 발달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에 제공한다. 진단 정보는 유아동의 관계성 발달 관련 검사항목에 대응되는 검사응답정보가 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한 검사응답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유아동에 대한 관계성 발달 상태를 분석하고, 현재 관계성 발달 상태에 대응되는 정서행동장애를 결정하며, 결정된 정서행동장애를 치유하기 위한 부모양육 코칭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정서행동장애는 현재 이미 유아동에게 발생된 장애인 경우도 있을 수 있으나, 나아가 매우 어린 유아동의 경우 현재보다는 미래 발생이 예상되는 장애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부분의 현재 유아동에게서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아 부모가 인지를 못하거나 치유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를 사전에 알아내어 적절한 해결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서비스 서버(200)는 정보 수집부(210)와, 관계성 분석부(220), 결과정보 제공부(230) 및, 데이터 저장소(240)를 포함한다.
정보 수집부(210)는 관계성 발달과 관련된 질문과 선택지로 이루어지는 검사항목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여 이에 대한 검사응답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검사항목정보는 유아동의 관계성 발달과 관련된 복수 개의 하위척도와 관련된 질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8개의 하위척도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각 하위척도들은 관계성 발달 관련 적응적 요인과 부적응적 요인으로 분류되고, 정보 수집부(210)는 하위척도별 질문을 분류함과 더불어, 하위척도를 적응적 요인과 부적응적 요인으로 구분한다.
관계성 분석부(220)는 검사응답정보를 근거로 각 하위척도별 평가점수를 산출함으로써, 각 하위척도에 대한 유아동의 현재 정서발달 정도를 정량적으로 판단한다.
도2에는 유아동의 관계성 발달과 관련된 8가지 하위척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응적 요인은 공동체 삶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요인으로, 자기조절력과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자기효능감의 제1 하위척도가 해당되고, 부적응적 요인은 공동체 삶에 부적응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주의력 결핍, 관계성 부족, 심리적 억압, 우울성의 제2 하위척도가 해당된다.
적응적 요인에 해당하는 "자기조절력"은 상황과 조건에 맞추어 자신의 감정이나 욕구를 조절하는 능력으로, 유아동이 자기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욕구를 바라보게 하여 충동을 조절하고 상황과 조건에 맞추어 자신의 욕구를 적절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의사소통능력"은 다른 사람의 말을 경청하고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 등을 상황에 맞추어 다른 사람에게 표현하고 전달하는 능력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다른 사람에게 표현하고자 하는 표현의 욕구를 충족시켜 준다. "공감능력"은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감정 또는 처한 상황이나 여건 등을 이해하고 수용하여 상대방이 느끼는 것을 함께 느끼는 능력으로, 내가 경험한 것만이 아니라 타인을 통해서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 때문에 경험과 사고의 폭이 넓어지고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상대의 관점에서 생각해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자기효능감"은 특정 상황에 특정 일을 잘 해결해나갈 수 있다고 믿는 자신에 대한 신념과 기대감으로,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자신의 역량에 대한 긍정적 사고로 더 노력할 수 있게 하는 에너지를 제공한다.
부적응적 요인에 해당하는 "주의력결핍"은 다른 사람의 말이나 또는 과제나 상황에 집중을 유지하지 못하고 주의 산만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주의력은 다른 사람과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공동체 생활에서 타인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를 잘 해나가기 위해서 필요한 능력이다. "관계성 부족"은 친구들과 어울려서 놀이를 하거나 얘기하고 소통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관계성은 삶을 살아가기 위한 기본 능력이며 관계성 부족은 세상에서 고립되게 만들어 아이의 삶을 외롭고 힘들게 만든다. "심리적 억압"은 유아가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표현하지 못하여 심리가 억압되고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우울성"은 얼굴표정이 근심스러워 보이며 생활태도가 의욕이 없고 위축되어 보이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우울성은 아이가 세상을 탐색할 기회를 갖기 못하게 하여 타인과 친밀한 관계 맺기를 방해하며 자존감도 떨어뜨린다.
결과 제공부(230)는 상기 관계성 분석부(220)를 통해 산출된 각 하위척도별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유아동의 관계성 발달과 관련된 정서행동장애를 판단하고, 정서행동장애에 대응되는 부모양육 코칭정보를 포함하는 검사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한다.
데이터 저장소(240)는 관계성 발달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위한 다수의 질문내용과 각 질문별 선택지 및 각 선택지별 질문 점수로 질문 정보와, 각 질문내용별 관련 하위척도, 하위척도 평가점수 산출을 위한 가중치정보, 정서행동장애별 관련 하위척도, 하위척도별 관련 부모양육인자, 부모양육인자별 코칭내용을 포함하는 각종 관계성 발달 분석을 위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하여 도3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100)은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유아동 관계성 발달 분석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설치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서비스 서버(200)와 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아동 관계성 발달 분석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상기한 상태에서,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유아동에 대한 성별 및 나이를 포함하는 기본 유아동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관계성 발달 분석을 위한 검사항목 정보를 제공한다(ST100). 이때, 서비스 서버(200)는 검사 대상자의 성별 및 나이를 고려한 질문내용으로 이루어지는 검사항목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검사항목 정보를 표시출력하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질문에 대한 검사응답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ST200). 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질문내용과 "전혀 아니다", "아니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의 응답지가 출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응답지 중 하나("그렇다")가 해당 질문에 대한 검사응답정보로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된다.
서비스 서버(200)는 각 질문별 검사응답정보를 근거로 기 설정된 각 하위척도별 평가점수를 산출한다(ST300). 예컨대, "전혀 아니다", "아니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의 응답지에 대해 "5,4,3,2,1"의 점수를 각각 부여하고, 각 하위척도와 관련된 질문의 응답점수를 합산함으로써, 하위척도별 평가 점수를 각각 산출한다.
이어, 서비스 서버(200)는 각 하위척도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정서행동장애별 장애점수를 산출한다(ST400). 즉, 서비스 서버(200)는 각 정서행동장애와 관련된 하위척도의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해당 정서행동장애별 장애점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정서행동장애는 유아동의 관계성 발달 상태와 관련하여 나타날 수 있는 장애로서, 주의력 결핍장애, 과잉행동장애, 대인관계장애, 우울증 장애, 반사회성 장애, 불안증 장애, ALDH 장애, 품행장애, 자폐증, 강박 장애, 조현병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정서행동장애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하위척도와 연관성을 갖도록 설정되되, 하나의 정서행동장애와 연관성을 갖는 하위척도들은 적응인자의 하위척도와 부적응 행동인자의 하위척도를 포함한다. 예컨대, 주의력 결핍장애는 적응인자에 속하는 자기 조절력과 부적응 행동인자에 속하는 주의력 결핍과 연관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장애점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적응적 요인에 해당하는 제1 하위척도와 부적응적 요인에 해당하는 제2 하위척도에 대해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해당 정서행동장애에 대한 장애점수를 산출하되, 발명에서는 제1 하위척도에 적용되는 제1 가중치보다 제2 하위척도에 적용되는 제2 가중치를 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서 적응적 요인에 대한 평가는 적응에 필요한 하위척도 중 부족한 하위척도가 무엇인지를 찾아내어 해당 하위척도를 증진시킴으로써, 부족한 하위척도에 의해 미래에 나타날 수 있는 정서행동장애의 확률을 낮추고자 수행하는 것이고, 부적응적 요인에 대한 평가는 현재 정서행동장애 가능성이 있는 표면적인 행동을 평가한 것으로, 현재 또는 미래의 정서행동장애는 부적응적 요인에 의해 나타날 확률이 더 높기 때문이다. 그리고, 하나의 정서행동장애에 해당하는 하위척도에 적용되는 모든 제1 및 제2 가중치의 합은 "1"로 설정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부적응적 요인만을 이용하여 영유아의 관계성 발달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나, 적응적 요인을 함께 함께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유아동의 관계성 발달 상태의 예측이 가능하다.
표1에는 "주의력 결합 장애"에 대한 장애점수 산출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정서행동장애 하위척도 평가점수 가중치 합산치 장애점수
주의력 결핍 장애 자기조절력 3 0.3 0.9 3.0
주의력 결핍 3 0.7 2.1
표1을 참조하면, 주의력 결핍 장애와 관련된 자기 조절력 평가점수에 가중치 0.3을 적용하고, 주의력 결핍 평가점수에 가중치 2.1을 적용하여 주의력 결핍 장애의 장애점수 "3"이 산출된다.
이어, 서비스 서버(200)는 각 정서행동장애별 장애점수를 근거로 진단대상 정서행동장애를 선별하고, 선별된 행동 장애와 관련된 부모양육인자를 추출하며, 추출된 부모양육인자에 기반하여 부모양육 코칭정보를 생성한다(ST500).
본 발명에서 부모양육인자는 일관성, 의사존중, 공감적 사랑, 규칙, 과잉보호, 과잉허용, 독재, 방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 하위척도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모양육인자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정된다.
표2는 하위척도에 영향을 주는 부모양육인자를 나타낸 것이다.
하위척도 부모양육인자
자기 조절력 일관성, 의사존중, 과잉보호, 독재
의사소통능력 의사존중, 공감적 사랑
공감능력 의사존중, 공감적 사랑
자기효능감 의사존중, 공감적 사랑, 과잉보호, 독재
주의력 결핍 과잉보호, 규칙, 독재
관계성 부족 의사존중, 공감적 사랑, 독재
심리적 억압 과잉보호, 과잉허용, 독재
우울성 일관성, 의사존중, 공감적 사랑, 과잉보호, 독재
즉,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ST400 단계에서 산출된 각 정서행동장애별 장애점수가 진단 기준점수, 예컨대 "2" 이상인 진단대상 정서행동장애로 설정하거나, 또는 장애점수가 높은순서로 일정 개수의 정서행동장애를 진단대상 정서행동장애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200)는 진단대상 정서행동장애와 관련된 하위척도를 추출하여 부모양육인자를 결정한다. 예컨대, 주의력 결핍 장애가 진단대상 정서행동장애로 설정된 경우, 주의력 결핍 장애와 관련된 자기 조절력과 주의력 결핍의 하위척도(표1 참조)와 연관성이 있는 일관성, 의사존중, 과잉보호, 독재의 부모양육인자가 선별된다(표2 참조).
서비스 서버(200)는 진단대상 정서행동장애정보와, 해당 정서행동장애를 치유할 수 있는 부모양육인자에 대응되는 코칭정보를 포함하는 진단결과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200)는 진단결과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T600).
한편, 아이들의 발달 상태는 부모의 양육태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바, 보다 정확한 부모 양육 코칭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현재 부모의 양육태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서비스 서버(20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 부모 양육태도 인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기 위한 부모 검사항목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부모응답점수를 이용하여 각 부모양육인자별 평가점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ST500 단계에서 진단대상 정서행동장애와 관련된 하위척도를 추출한 후, 표2를 통해 해당 하위척도와 관련된 부모양육인자를 코칭 인자로 결정하고, 코칭 인자로 결정된 부모양육인자의 평가점수를 확인하여 기준 평가점수 미만인 부모양육인자를 기준으로 부모 양육 코칭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표3을 참조하면, 진단대상 정서행동장애와 관련된 부모양육인자의 평가점수가 일정 이하인 "일관성" 과 "규칙" 및, "과잉보호"를 기준으로, 일관성을 높이고, 규칙을 높이며 과잉보호를 낮추는 자녀양육방법을 코칭정보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진단대상 정서행동장애 부모양육인자
주의력 결핍 장애 일관성 규칙 과잉보호 독재
2(나쁜편임) 2(나쁜편임) 1(매우 나쁨) 3(보통)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관계성 발달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하위척도를 적응적 요인과 부적응적 요인으로 나누어 적응적 요인에서 관계성 발달에 부족한 하위척도를 찾아내고, 부적응적 요인에서 현재 나타나는 부적응적 행동에 해당하는 하위척도를 확인함으로써, 아이의 현재 관계성 발달 상태를 다각도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아이에게 부족한 적응적 요인을 향상시키고, 부적응적 행동이 나타나지 않도록 해 주는 부모 양육 정보를 제시함으로써, 부모의 영향력하에서 자라나는 아이가 현재 관계성 발달 상태에서 보다 좋은 관계성을 갖는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된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서비스 서버,
210 : 정보 수집부, 220 : 관계성 분석부,
230 : 결과 제공부, 240 : 데이터 저장소.

Claims (5)

  1. 서비스 서버에서 기 설정된 다수의 하위척도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들로 이루어지는 검사항목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질문에 대한 검사응답정보를 수집하는 제1 단계와,
    서비스 서버에서 각 하위척도와 관련된 질문별 검사응답정보에 해당하는 점수를 합산하여 하위척도별 평가점수를 각각 산출하는 제2 단계,
    서비스 서버에서 기 설정된 정서행동장애와 관련된 하위척도의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해당 정서행동장애별 장애 점수를 산출하는 제3 단계,
    서비스 서버에서 장애 점수가 높은 진단대상 정서행동장애와 관련된 하위척도를 추출하고, 해당 하위척도에 영향을 주는 부모 양육인자를 코칭 인자로 결정하여 해당 진단대상 정서행동장애 치유를 위한 부모양육 코칭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서비스 서버에서 정서행동장애정보와 부모양육 코칭정보를 포함하는 관계성 검사결과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위척도는 유아동의 관계성 발달 상태와 관련된 진단 요소로서, 자기 조절력, 의사 소통능력, 공감 능력, 자기 효능감의 적응적 요인으로 이루어지는 제1 하위척도와 주의력 결핍, 관계성 부족, 심리적 억압, 우울성의 부적응적 요인으로 이루어지는 제2 하위척도로 구분되어 설정되고, 각 정서행동장애는 적어도 하나의 적응적 요인과 적어도 하나의 부적응적 요인에 해당하는 둘 이상의 관련 하위척도를 가지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각 하위척도 평가점수에 가중치를 적용한 점수를 합산하여 장애 점수를 산출하되, 제1 하위척도에 적용되는 제1 가중치보다 제2 하위척도에 적용되는 제2 가중치를 더 큰 값으로 설정하여 각 정서행동장애별 장애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서행동장애는 유아동의 관계성 발달 상태와 관련하여 나타날 수 있는 장애로서, 주의력 결핍장애, 과잉행동장애, 대인관계장애, 우울증 장애, 반사회성 장애, 불안증 장애,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장애, 품행장애, 자폐증, 강박 장애, 조현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 부모 양육태도 인자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기 위한 부모 검사항목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부모응답점수를 이용하여 각 부모양육인자별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4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코칭 인자로 결정된 부모 양육인자 중 평가점수가 기준 점수 미만인 부모양육인자에 대한 부모양육 코칭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모양육인자는 일관성, 의사존중, 공감적 사랑, 규칙, 과잉보호, 과잉허용, 독재, 방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 하위척도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모양육인자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
KR1020200148362A 2020-11-09 2020-11-09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 KR102263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362A KR102263192B1 (ko) 2020-11-09 2020-11-09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362A KR102263192B1 (ko) 2020-11-09 2020-11-09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192B1 true KR102263192B1 (ko) 2021-06-08

Family

ID=7639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362A KR102263192B1 (ko) 2020-11-09 2020-11-09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1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475B1 (ko) 2021-09-17 2021-11-17 (주)창의발레소예 모바일 기반 아동 정서행동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19621B1 (ko) * 2022-01-19 2022-07-12 (주)창의발레소예 모바일 기반 아동 성격유형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88010A (ko) 2021-12-10 2023-06-19 주식회사 키즈젠 부모의 정서 발달 상태를 이용한 자녀 정서행동장애 유형 예측방법
KR20230170289A (ko) 2022-06-10 2023-12-19 주식회사 키즈젠 부모의 정서 발달 상태를 이용한 자녀 정서행동장애 유형 예측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978B1 (ko) 2010-08-05 2013-05-02 마인드프리즘 주식회사 심리치유를 위하여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20160146387A (ko) * 2015-06-12 2016-12-21 (주) 나무와 숲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20170113475A (ko) * 2017-04-07 2017-10-12 장현수 아동심리, 부모의 양육태도 및 보육교사정서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KR20180058298A (ko) * 2016-11-24 2018-06-01 (주)카이맥스 취학연령기 유아의 학교준비도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KR101977559B1 (ko) 2018-04-25 2019-05-10 오명철 상황별 심리상담을 위한 질문지를 이용한 개인기질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978B1 (ko) 2010-08-05 2013-05-02 마인드프리즘 주식회사 심리치유를 위하여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20160146387A (ko) * 2015-06-12 2016-12-21 (주) 나무와 숲 아동심리, 가족심리 및 보육자심리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20180058298A (ko) * 2016-11-24 2018-06-01 (주)카이맥스 취학연령기 유아의 학교준비도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KR20170113475A (ko) * 2017-04-07 2017-10-12 장현수 아동심리, 부모의 양육태도 및 보육교사정서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KR101977559B1 (ko) 2018-04-25 2019-05-10 오명철 상황별 심리상담을 위한 질문지를 이용한 개인기질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475B1 (ko) 2021-09-17 2021-11-17 (주)창의발레소예 모바일 기반 아동 정서행동 심리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88010A (ko) 2021-12-10 2023-06-19 주식회사 키즈젠 부모의 정서 발달 상태를 이용한 자녀 정서행동장애 유형 예측방법
KR102419621B1 (ko) * 2022-01-19 2022-07-12 (주)창의발레소예 모바일 기반 아동 성격유형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170289A (ko) 2022-06-10 2023-12-19 주식회사 키즈젠 부모의 정서 발달 상태를 이용한 자녀 정서행동장애 유형 예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192B1 (ko) 유아동 정서행동장애 판단을 위한 관계성 발달 분석 방법
Lorenz et al. Autism and overcoming job barriers: Comparing job-related barriers and possible solutions in and outside of autism-specific employment
Mitchell et al. Coping, burnout, and emotion in staff working in community services for people with challenging behaviors
Lyles et al. Getting a technology-based diabetes intervention ready for prime time: a review of usability testing studies
Blakeslee Measuring the support networks of transition-age foster youth: Preliminary validation of a social network assessment for research and practice
Becker et al. Negative social preference in relation to internalizing symptoms among children with ADHD predominantly inattentive type: Girls fare worse than boys
Wright et al. Perceptions about memory reliability and honesty for children of 3 to 18 years old
Rausch et al. A multi-informant approach to measuring depressive symptoms in clinical assessments of adolescent social anxiety using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Convergent, incremental,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Kirby et al. Observational characterization of sensory interests, repetitions, and seeking behaviors
Cerezo et al. Parental and infant gender factors in parent–infant interaction: state-space dynamic analysis
Lewis et al. Parental preferences toward genomic sequencing for non-medically actionable conditions in children: a discrete-choice experiment
Schmidtke et al. Evalu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values and vaccine hesitancy in Great Britai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cross-sectional survey
Deneault et al. Do child–father and child–mother preschool insecure attachment types predict the development of externalizing behaviors in boys and girls during middle childhood?
De Los Reyes et al. The Work and Social Adjustment Scale for Youth: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teacher version and evidence of contextual variability in psychosocial impairments.
Wei et al. Escaping negative moods and concentration problems play bridge roles in the symptom network of problematic smartphone use and depression
Lucas-Thompson et al. Trust: An innovative tool for investigating marital conflict in response to a novel stressor.
Pfeiffer et al. Development and content validity of the participation and sensory environment questionnaire
Caterino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assess the symptom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young adults.
Suveg et al. A model-based cluster analysis of social experiences in clinically anxious youth: links to emotional functioning
King et al. 24-Hour warning signs for adolescent suicide attempts
Delgadillo et al. A Bayesian network analysis of psychosocial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Kishida et al. Supporting the social–emotional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deaf and hard of hearing: A pilot study
Hu et al. Development of a computerized adaptive test for separation anxiety disorder among adolescents
Oluboyede et al. Implementing a weight-specific quality-of-life tool for young people in primary health care: a qualitative study
Çalışır et 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Turkish short mood and feelings questionnaire parent 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