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172B1 - 포장 용기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포장 용기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172B1
KR101982172B1 KR1020170142155A KR20170142155A KR101982172B1 KR 101982172 B1 KR101982172 B1 KR 101982172B1 KR 1020170142155 A KR1020170142155 A KR 1020170142155A KR 20170142155 A KR20170142155 A KR 20170142155A KR 101982172 B1 KR101982172 B1 KR 101982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ackaging container
hollow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7843A (ko
Inventor
김석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케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케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케이엘
Priority to KR102017014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1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47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4Cleaning of, or removing dust from, containers, wrappers, or packaging ; Preventing of fo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06Sterilising or cleaning machinery or conduits

Abstract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는 일측면 및 상기 일측면과 대향 하는 타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내부에는 포장용기가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환형으로 형성된 제1 그루브 및 환형으로 형성된 제2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들의 바닥면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통로들이 각각 형성된 클리닝 유닛;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그루브에 연통 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그루브에 연통 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결합 되어 상기 중공으로 에어를 제공하여 상기 포장용기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에어 제공 유닛;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결합 되어 상기 중공으로 제공된 에어 및 상기 이물질을 배출하는 에어 흡입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 용기 클리닝 장치{APPARATUS FOR CLEANING PACKING VESSEL}
본 발명은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소형 전자 부품, 예를 들어, 초소형 LED 칩 모듈 등과 같이 낱개 포장이 필요한 초소형 전자 부품은 주로 릴 포장 용기에 넣어 포장된다.
릴 포장 용기는 초소형 전자 부품이 수납되는 오목한 수납홈이 형성된 릴 몸체 및 릴 몸체의 수납홈을 밀봉하기 위해 릴 몸체에 부착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릴 포장 용기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 과정에서 정전기 등에 의하여 다양한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고, 특히 제조 과정에서 미세한 합성수지 조각, 버(burr) 등과 같은 이물질이 수납홈 내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릴 포장 용기에 형성된 수납홈에 이물질이 부착될 경우 이물질을 작업자가 클리닝 하기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수납홈에 이물질이 부착된 상태에서 초소형 LED 칩 모듈과 같은 전자 부품이 함께 포장될 경우 전자 부품에 이물질이 부착된다.
이후, 초소형 LED 칩 모듈과 같은 전자 부품이 개봉되어 회로기판 등에 실장될 때 이물질이 회로기판에 함께 실장 되면서 실장 불량, 작동 불량과 같은 치명적인 불량이 발생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조 업체에서 릴 포장 용기에 넣은 전자 부품을 개봉하면서 전자 부품을 다시 클리닝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크게 감소되고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다른 문제점이 발생 된다.
본 발명은 포장 용기에 전자 부품을 수납 및 포장하기 이전에 포장 용기를 클리닝하여 포장 용기에 부착된 다양한 이물질을 제거한 후 포장 용기에 제품을 수납함으로써 제품을 포장 용기에 배출한 후 실장 할 때 이물질로 인한 실장 불량 및 작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는 일측면 및 상기 일측면과 대향 하는 타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내부에는 포장용기가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환형으로 형성된 제1 그루브 및 환형으로 형성된 제2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들의 바닥면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통로들이 각각 형성된 클리닝 유닛;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그루브에 연통 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그루브에 연통 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결합 되어 상기 중공으로 에어를 제공하여 상기 포장용기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에어 제공 유닛;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결합 되어 상기 중공으로 제공된 에어 및 상기 이물질을 배출하는 에어 흡입 유닛을 포함한다.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의 상기 제2 그루브는 상기 제1 그루브의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의 상기 통로 중 상기 제1 그루브에 형성된 제1 통로는 제1 단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로 중 상기 제2 그루브에 형성된 제2 통로는 상기 제1 단면적보다 큰 제2 단면적으로 형성된다.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의 상기 제1 통로 및 상기 제2 통로는 적어도 2개가 단속적으로 형성된다.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의 상기 에어 제공 유닛은 상기 에어를 단속적으로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해 상기 중공으로 제공하며, 상기 에어 흡입 유닛은 연속적으로 상기 에어 및 상기 이물질을 흡입한다.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의 상기 포장용기는 제품을 수납하는 오목한 홈을 갖는 수납부를 포함한다.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의 상기 클리닝 유닛의 상기 중공은 너비에 비하여 폭이 좁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는 포장 용기에 전자 부품을 수납 및 포장하기 이전에 포장 용기를 클리닝하여 포장 용기에 부착된 다양한 이물질을 제거한 후 포장 용기에 제품을 수납함으로써 제품을 포장 용기에 배출한 후 실장 할 때 이물질로 인한 실장 불량 및 작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에 의하여 클리닝되는 릴 포장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에 의하여 클리닝되는 릴 포장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릴 포장 용기(10)는 제품(7)을 포함하며, 제품(7)은 포장 용기 몸체(1) 및 커버(5)에 의하여 밀봉된다.
포장 용기 몸체(1)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포장용기 몸체(1)에는 제품(7)을 수납하는 오목한 수납홈(3)이 형성된다.
포장 용기 몸체(1)에는 길이 방향으로 따라 수납홈(3)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다수 제품(7)이 릴(reel) 형태로 포장된다.
커버(5)는 제품(7)이 수납홈(3)에 수납된 후 제품(7)이 수납홈(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수납홈(3)의 개방된 개구를 밀봉하며, 커버(5)는 합성수지 또는 얇은 두께를 갖는 박형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릴 포장 용기(10)를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할 경우 정전기 또는 제조 과정에서 릴 포장 용기(10)의 내부에는 다양한 이물질(4)이 제품(7)과 함께 수납될 수 있는데, 이물질(4)이 제품(7)과 함께 수납될 경우 제품(7)을 릴 포장 용기(10)에서 배출하여 기판 등에 실장 할 때 이물질(4)이 제품(7)과 함께 기판에 실장 되어 실장 불량 또는 제품의 작동 불량이 발생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를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600)는 몸체(100), 클리닝 유닛(200), 연결부(300), 에어 제공 유닛(400) 및 에어 흡입 유닛(500)을 포함한다.
몸체(100)는,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600)의 베이스 역할을 하며, 몸체(100)에는 클리닝 유닛(200), 에어 제공 유닛(400) 및 에어 흡입 유닛(500)이 지정된 위치에 장착된다.
몸체(10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소재,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몸체(100)는, 예를 들어, 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몸체(100)에는 몸체(100)의 상면(101) 및 상면(101)과 대향하는 하면(102)을 관통하는 관통홀(103)이 형성되며, 관통홀(103)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관통홀(103)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클리닝 유닛(200)은 몸체(100)의 상면(101) 및 하면(102)을 관통하는 관통홀(103)의 내부에 삽입되어 관통홀(103) 내부에 고정된다.
클리닝 유닛(200)은, 예를 들어, 클리닝이 수행될 도 1에 도시된 릴 포장 용기(10)가 통과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클리닝 유닛(200)으로는 외부로부터 클리닝을 수행하기 위한 에어(공기)가 공급 및 이물질과 함께 에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클리닝 유닛(200)은 몸체(100)에 형성된 관통홀(103)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클리닝 유닛(200)은 몸체(100)에 형성된 관통홀(103)에 꼭 맞는 사이즈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관통홀(103)의 평면 형상이 원형일 경우, 클리닝 유닛(200)의 외관은 대략 원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원기둥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클리닝 유닛(200)은 클리닝 유닛(200)의 상단 및 하단을 관통하는 중공(210)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클리닝 유닛(20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210)은, 예를 들어, 너비에 비하여 폭이 좁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공(210)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릴 포장 용기(10)의 포장 용기 몸체(1)가 통과된다.
클리닝 유닛(200)의 외측면에는 제1 그루브(220) 및 제2 그루브(230)가 형성된다.
제1 그루브(220)는, 예를 들어, 클리닝 유닛(200)의 외측면에 1개가 형성된다. 제1 그루브(220)는 클리닝 유닛(200)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된 그루브(groove) 형상 또는 트렌치(trench)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그루브(220)는 클리닝 유닛(200)의 외측면을 따라 횐형으로 형성된다.
제2 그루브(230)는 클리닝 유닛(200)의 외측면에 1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그루브(230)는 클리닝 유닛(200)의 외측면에 2 개가 형성되며, 제2 그루브(230)는 제1 그루브(220)의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루브(230)는 클리닝 유닛(200)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된 그루브 형상 또는 트렌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그루브(230)는 클리닝 유닛(200)의 외측면을 따라 횐형으로 형성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그루브(220)가 1개로 형성되고, 제2 그루브(230)가 2개로 형성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제1 그루브(220) 및 제2 그루브(230)의 개수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제1 그루브(220)에 의하여 형성된 바닥면 및 제2 그루브(230)에 의하여 형성된 바닥면에는 각각 통로(225,235)가 형성된다.
이하, 제1 그루브(220)의 바닥면에 형성된 통로를 제1 통로(225)로서 정의하기로 하고, 제2 그루브(230)의 바닥면에 형성된 통로를 제2 통로(235)로서 정의하기로 한다.
제1 통로(225)는 클리닝 유닛(20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210)과 연통 되고, 제2 통로(235) 역시 클리닝 유닛(20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220)과 연통 된다.
제1 통로(225)는, 예를 들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통로(235)는, 예를 들어,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통로(225)는 제1 단면적을 갖고, 제2 통로(235)는 제1 단면적 보다 큰 제2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통로(225)의 제1 단면적을 작게 형성함으로써 에어가 보다 빠르게 중공(210)으로 유입되어 포장 용기 몸체(1)에 부착된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제2 통로(235)의 제2 단면적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이물질 및 에어가 보다 쉽게 중공(21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통로(225)는 제1 그루브(220)의 바닥면을 따라 복수개가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통로(235) 역시 제2 그루브(230)의 바닥면을 따라 복수개가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그루브(220)의 제1 통로(225)를 통해 에어를 중공(210)으로 제공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포장 용기 몸체(1)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제거된 이물질을 제2 통로(235)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포장 용기 몸체(1)를 클리닝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600)는 에어 제공 유닛(400), 에어 흡입 유닛(500) 및 에어 제공 유닛(400)과 에어 흡입 유닛(500)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300)를 필요로 한다.
연결부(300)는 몸체(100)에 형성되며, 특히 연결부(300)는 몸체(100)의 상면(101) 및 하면(102)을 연결하는 측면(104)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제1 연결부(310) 및 제2 연결부(320)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310)는 몸체(100)에 결합 된 클리닝 유닛(200)의 제1 그루브(22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 연결부(310)는 몸체(100)의 외부 및 제1 그루브(220)를 상호 연통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연결부(320)는 몸체(100)에 결합 된 클리닝 유닛(200)의 각 제2 그루브(23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 연결부(320)는 몸체(100)의 외부 및 제2 그루브(230)를 상호 연통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 제공 유닛(400)은, 연결부(300)의 제1 연결부(310)에 결합되며, 에어 제공 유닛(400)은 제1 연결부(310)를 통해 제1 그루브(220), 제1 그루브(220)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통로(225)를 통해 중공(210)으로 에어(공기)를 제공한다.
에어 제공 유닛(400)에 의하여 중공(210)으로 제공된 에어는 중공(210)의 내부에 배치된 포장 용기 몸체(1)로 분사되고 이로 인해 포장 용기 몸체(1)에 부착된 이물질 등은 포장 용기 몸체(1)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에어 제공 유닛(400)은 포장 용기 몸체(1)에 부착된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에어를 단속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데, 에어 제공 유닛(400)은, 예를 들어, 에어를 초당 1회 내지 10회 단속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에어 제공 유닛(400)은 특히 에어를 단속적으로 중공(210)으로 제공하면서 에어가 단속적으로 중공(210)으로 제공될 때마다 제공되는 에어의 유량을 변경하여 포장 용기 몸체(1)에 부착된 이물질의 부착 효율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에어 흡입 유닛(500)은 연결부(300)의 제2 연결부(320)에 결합 되며, 에어 흡입 유닛(500)은 제2 연결부(320)를 통해 제2 그루브(230), 제2 그루브(230)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2 통로(235)를 통해 중공(210)으로 제공된 에어 및 포장 용기 몸체(1)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을 중공(210)으로부터 배출시켜 회수한다.
에어 흡입 유닛(500)은, 예를 들어, 에어 및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해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압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흡입 유닛(500)은 연속하여 중공(210)으로부터 에어 및 이물질을 배출하거나 에어 흡입 유닛(500)은 단속적으로 중공(210)으로부터 에어 및 이물질을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는 포장 용기에 전자 부품을 수납 및 포장하기 이전에 포장 용기를 클리닝 하여 포장 용기에 부착된 다양한 이물질을 제거한 후 포장 용기에 제품을 수납함으로써 제품을 포장 용기에 배출한 후 실장 할 때 이물질로 인한 실장 불량 및 작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몸체 200...클리닝 유닛
300...연결부 400...에어 제공 유닛
500...에어 흡입 유닛 600...포장용기 클리닝 장치

Claims (7)

  1. 일측면 및 상기 일측면과 대향 하는 타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내부에는 포장용기가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환형으로 형성된 제1 그루브 및 환형으로 형성된 제2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들의 바닥면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통로들이 각각 형성된 클리닝 유닛;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그루브에 연통 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그루브에 연통 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결합 되어 상기 중공으로 에어를 제공하여 상기 포장용기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에어 제공 유닛;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결합 되어 상기 중공으로 제공된 에어 및 상기 이물질을 배출하는 에어 흡입 유닛을 포함하는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루브는 상기 제1 그루브의 양쪽에 각각 형성된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중 상기 제1 그루브에 형성된 제1 통로는 제1 단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로 중 상기 제2 그루브에 형성된 제2 통로는 상기 제1 단면적보다 큰 제2 단면적으로 형성된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로 및 상기 제2 통로는 적어도 2개가 단속적으로 형성된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제공 유닛은 상기 에어를 단속적으로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해 상기 중공으로 제공하며, 상기 에어 흡입 유닛은 연속적으로 상기 에어 및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는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는 제품을 수납하는 오목한 홈을 갖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유닛의 상기 중공은 너비에 비하여 폭이 좁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된 포장용기 클리닝 장치.
KR1020170142155A 2017-10-30 2017-10-30 포장 용기 클리닝 장치 KR101982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155A KR101982172B1 (ko) 2017-10-30 2017-10-30 포장 용기 클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155A KR101982172B1 (ko) 2017-10-30 2017-10-30 포장 용기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843A KR20190047843A (ko) 2019-05-09
KR101982172B1 true KR101982172B1 (ko) 2019-05-24

Family

ID=6654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155A KR101982172B1 (ko) 2017-10-30 2017-10-30 포장 용기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1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769A1 (ko) * 2021-10-01 2023-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517A (ja) 2001-06-05 2002-12-18 Sony Corp 梱包装置および梱包方法
KR100424432B1 (ko) 2001-12-15 2004-03-30 한양이엔지(주) 용기의 세척장치
JP2008056286A (ja) 2006-08-31 2008-03-13 Suntory Ltd 容器蓋の異物除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4999B2 (ja) * 1996-01-25 2006-02-15 東芝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集塵装置
KR101102440B1 (ko) * 2008-07-31 2012-01-05 이익재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517A (ja) 2001-06-05 2002-12-18 Sony Corp 梱包装置および梱包方法
KR100424432B1 (ko) 2001-12-15 2004-03-30 한양이엔지(주) 용기의 세척장치
JP2008056286A (ja) 2006-08-31 2008-03-13 Suntory Ltd 容器蓋の異物除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843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172B1 (ko) 포장 용기 클리닝 장치
KR102120533B1 (ko) 절단 장치
JP6333648B2 (ja) 個片化物品の移送方法、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09509708B (zh) 保持构件及其制造方法、保持机构以及制品的制造装置
KR20070083598A (ko) 집적 회로 유닛용 진공 홀더
CN112309893B (zh) 切断装置及切断品的制造方法
JP6553498B2 (ja) 基板収納容器
JP2004207424A (ja) 基板の切断方法及び装置
JP2020194823A (ja) 吸着プレート、切断装置および切断方法
JP2012049430A (ja) 切削装置
TWI642131B (zh) 基板清洗裝置及清洗方法
JP2004090580A (ja) 樹脂モールド金型および樹脂モールド装置
KR20130063402A (ko) 반도체 제조 장치
JP2006165964A (ja) 撮像モジュール
CN111716912A (zh) 液体喷出单元以及液体喷出装置
KR101935451B1 (ko) 진공 흡착장치
JP5223549B2 (ja) コーティング装置
KR101666357B1 (ko) 이미지 센서용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4933774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2053833B1 (ko) 솔더공급기
JP7401557B2 (ja)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JP2020006966A (ja) キャリアテープ
JP6715507B2 (ja) コンデンサ製造方法および異物除去装置
JP2007098191A (ja) 真空超音波洗浄液装置
KR101567484B1 (ko) 세정 기능을 갖는 프로브 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