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067B1 - 모션 체어의 탈부착식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모션 체어의 탈부착식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067B1
KR101982067B1 KR1020170101615A KR20170101615A KR101982067B1 KR 101982067 B1 KR101982067 B1 KR 101982067B1 KR 1020170101615 A KR1020170101615 A KR 1020170101615A KR 20170101615 A KR20170101615 A KR 20170101615A KR 101982067 B1 KR101982067 B1 KR 101982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tion chair
blowing
blowing mean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7186A (ko
Inventor
최혁
Original Assignee
(주)이노시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시뮬레이션 filed Critical (주)이노시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10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0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7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1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션 체어에 설치하여 모션 영상에 맞추어 바람을 일으켜 현실감을 높이도록 하는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본체 후방에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 발생부(15)를 설치하고 양 측방에 본체 내부로 흡입한 공기를 선단의 토출구(21)를 통해 토출하는 좌우 노즐관(20)(20')으로 연결 구성한 송풍 수단(100)을 모듈 형태로 마련하여 모션 체어(200)의 후방에 형성되는 결합 공간부(3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여 결합 설치하되, 상기 본체 하부이 자석(17)에 의한 자력과 송풍 수단의 좌우 노즐관(20)(20')에 결합되는 좌우 브라켓(25)(25')을 모션 체어의 양 측방에서 체결 부재로 체결하여 고정 설치함으로써 송풍 수단을 모듈 형태로 모션 체어에 간단히 착탈 설치할 수 있어 제조 및 설치 사용은 물론 교체 수리를 간편하게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모션 체어의 탈부착식 송풍장치{Blower for motion chair}
본 발명은 모션 체어에서 모션 영상에 맞추어 에어를 토출하므로 현실감을 높이도록 하는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송풍 수단을 모듈 형태로 마련하여 모션 체어 후방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 설치하도록 함므로써 제조 및 설치 사용은 물론 교체 수리가 간편한 모션 체어의 탈부착식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뮬레이터란 현실 같은 상황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장치, 조종장치, 운동장치, 제어장치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운동장치와 제어장치는 별도 모션 베이스(또는 모션 플랫폼)라 하는데, 최근 게임이나 운전 시뮬레이션 이외에 입체 영상을 상영하는 극장 등 각종 분야에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션 베이스가 적용되는 모션 체어는 모션 영상에 맞추어 다수의 엑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롤(roll), 피치(pitch), 요(yaw), 히브(heave), 스웨이(sway), 서지(surge) 방향의 운동 제어로 3차원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모션 체어의 3차원 움직임과 함께 모션 영상에 맞추어 바람, 진동, 빛, 냄새 등의 물리적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현실감을 더욱 높이도록 하고 있다.
특히, 모션 체어의 이용자에서 에어를 토출하는 송풍 효과를 내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729226호에서는 모션 체어의 배면에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는 송풍 배관을 모션 체어의 내부로 모션 체어와 일체 구조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즉, 상기 송풍기에서 흡입되는 에어를 모션 체어 내부로 마련되는 송풍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모션 체어 전방의 토출공을 통해 이용자에게 토출하므로 에어 효과를 연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송풍 장치는 송풍기와 송풍 배관이 모션 체어와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모션 체어의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이로 인해 제조 원가 상승 및 제조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송풍기와 송풍 배관이 부분적으로 고장 또는 파손되는 경우에 부분 교체가 곤란하고 모션 체어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비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송풍 배관을 모션 체어의 내부 구조로 형성하기 때문에 송풍 방향이나 위치를 손쉽게 교체 적용하기 곤란하고, 송풍 방향이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모션 체어를 전체적으로 설계 변경하여야 하는 등 구조 변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1729226호 특허문헌 2: 등록특허 제10-110127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송풍 수단을 모듈 형태로 마련하여 모션 체어 후방의 결합 공간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 설치하도록 함므로써 제조 및 설치 사용은 물론 교체 수리를 간편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송풍 수단의 본체에 노즐 배관을 연결하여 송풍을 유도하기 때문에 송풍 배관의 설치 수효나 송풍 배관의 에어 토출 위치, 토출 방향을 모션 체어의 설계 변경 없이 간단히 변경하도록 하므로 장치의 구조 변경이 용이하여 상품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함체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 후방에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하여 본체 내부의 공간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 발생부와, 상기 본체 양 측방에 관통 연결되고 모션 체어의 좌우 위치에 전후로 대향 설치되어 선단의 토출구를 통해 흡입 공기를 토출하는 좌우 노즐관으로 구성된 송풍 수단을 모듈 형태로 마련하고, 상기 모션 체어의 후방에 결합 공간부를 형성하여 송풍 수단의 본체를 전후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여 결합하되, 상기 송풍 수단의 좌우 노즐관에 결합된 좌우 브라켓을 모션 체어의 양 측방에서 체결 부재로 체결하여 고정 설치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송풍 수단의 본체는 바닥에 적어도 둘 이상 위치로 자석을 결합 설치하여 결합 공간부의 하부 프레임 상부에서 자력에 의해 부착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송풍 수단의 본체는 하부 외측 테두리에 스커트를 하부로 돌출되게 결합 설치하여 모션 체어의 결합 공간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시 결합 공간부의 하부 프레임 외측 테두리에 스커트가 밀착되면서 일정 위치로 결합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우 노즐관은 모션 체어의 좌석 시트 양측에 전후로 인접 위치하게 결합 설치하되, 좌우 노즐관의 선단을 상향 절곡 형성하여 손잡이로 사용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송풍 수단의 본체에는 상부로 상부 노즐 배관을 더 연결 형성하되, 상기 상부 노즐 배관은 모션 체어의 등받이 상부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으로 삽입 설치하여 목 부위로 흡입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 후방에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 발생부를 설치하고 양 측방에 본체 내부로 흡입한 공기를 선단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좌우 노즐관으로 연결 구성한 송풍 수단을 모듈 형태로 마련하여 모션 체어의 후방에 형성되는 결합 공간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여 결합 설치하되, 상기 본체 하부의 자석에 의한 자력과 좌우 노즐관에 결합되는 좌우 브라켓을 모션 체어의 양 측방에서 체결 부재로 체결하여 고정 설치함으로써 송풍 수단을 모듈 형태로 모션 체어에 간단히 착탈 설치할 수 있어 제조 및 설치 사용은 물론 교체 수리가 간편하게 제공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특히, 상기 송풍 수단의 본체에 노즐 배관을 연결하여 송풍을 유도하기 때문에 송풍 배관의 설치 수효나 송풍 배관의 에어 토출 위치, 토출 방향을 모션 체어의 설계 변경 없이 간단히 변경하도록 하므로 장치의 구조 변경이 용이하여 종래 보다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모션 체어를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송풍 수단 분리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송풍 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 모션 체어의 탈부착식 송풍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형태로 마련되는 송풍 수단(100)과 상기 송풍 수단이 결합되는 모션 체어(20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송풍 수단(100)은 내부에 공간부(12)를 형성하는 함체 형태의 본체(10)와, 상기 본체 후방에 모터에 의해 팬 등을 회전 구동하여 본체 내부의 공간부(12)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 발생부(15)와, 상기 본체 양 측방에 관통 연결되고 모션 체어(200)의 좌우 위치에 전후로 대향 설치되어 선단의 토출구(21)를 통해 흡입 공기를 토출하는 좌우 노즐관(20)(20')으로 구성하되, 탈부착을 위해 모듈 형태로 구성한다.
상기 모션 체어(200)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되, 후방에 결합 공간부(30)를 형성하여 송풍 수단(100)의 본체(10)를 전후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여 착탈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송풍 수단의 좌우 노즐관(20)(20')에는 노즐관이 안착 설치되는 "L"자 형태의 좌우 브라켓(25)(25')을 용접이나 볼트 체결 방식으로 고정 결합하고, 상기 좌우 브라켓(25)(25')의 체결공(26)을 통해 모션 체어의 양 측방에서 체결 부재(27)로 체결하여 고정 설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송풍 수단의 본체(10)는 바닥에 적어도 둘 이상 위치로 자석(17)을 결합 설치하여 결합 공간부(30)의 하부 프레임(35) 상부에서 자력에 의해 부착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송풍 수단의 본체(10)는 하부 외측 테두리에 스커트(18)를 하부로 돌출되게 결합 설치하여 모션 체어의 결합 공간부(3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시 결합 공간부의 하부 프레임(35) 외측 테두리에 스커트가 밀착되면서 일정 위치로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우 노즐관(20)(20')은 모션 체어(200)의 좌석 시트(210) 양측에 전후로 인접 위치하게 결합 설치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좌우 노즐관(20)(20')의 선단은 상향 절곡하여 손잡이(23)로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 수단(100)은 본체(10) 내부에 송풍 발생부(15)를 단일 또는 좌우 양측에 복수로 구성할 수 있고, 좌우 양측에 복수로 구성하는 경우에 본체의 내부 공간부(12)를 중앙의 격벽에 의해 좌우 구획하여 좌우 노즐 배관(20)(20')으로 각각 흡입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좌우 노즐 배관 이외에 상부로 상부 노즐 배관(20") 및 그 밖에 더 연결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체어의 등받이 상부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215)으로 삽입 설치하여 목 부위로 흡입 공기를 토출하면서 목 티클러(Nect Tickler)로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그 밖에 노즐 배관의 형상에 따라 송풍의 토출 위치, 토출 방향을 간단히 구조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송풍 발생부(15)는 송풍 팬과 송풍 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하되, 상기 구동 모터는 팬의 속도 제어가 가능하여 송풍 양을 상황에 따라 조절하면서 현실감을 더욱 높이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미 설명 부호로서, 300은 모션 수단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송풍 수단(100)은 모듈 형태로 제조한다.
즉, 본체(10) 내부에 공간부(12)를 형성하고 후방에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하여 본체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 발생부(15)를 결합하며, 본체 양 측방에 모션 체어(200)의 좌우로 위치하도록 좌우 노즐관(20)(20')을 연결 조립한다.
이때, 상기 좌우 노즐관(20)(20')에는 "L" 자 형태의 좌우 브라켓(25)(25')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모듈 형태로 제조된 송풍 수단(100)은 모션 체어(200) 후방에 간단히 결합 설치한다.
즉, 상기 모션 체어의 후방에 형성된 결합 공간부(30)에 송풍 수단(100)의 본체(10)를 전후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여 결합하고, 상기 본체 좌우로 결합된 좌우 노즐관(20)(20')이 모션 체어의 좌석 시트(210) 양 측방에 위치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송풍 수단의 본체(10)는 바닥에 적어도 둘 이상 위치로 자석(17)이 결합 설치되어 있어 송풍 수단을 모션 체어의 결합 공간부(30)에 슬라이드 삽입함과 동시에 자석(17)이 결합 공간부의 하부 프레임(35) 상부에서 자력에 의해 부착되므로 송풍 수단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송풍 수단의 본체(10)는 하부 외측 테두리에 스커트(18)를 하부로 돌출되게 결합 설치하고 있어 송풍 수단을 상기 모션 체어의 결합 공간부(3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할 때 본체의 스커트(18)가 결합 공간부의 하부 프레임(35) 외측 테두리에 밀착되게 결합되면서 송풍 수단을 일정 위치까지 간단히 슬라이드 삽입하여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송풍 수단을 모션 체어의 결합 공간부(30)에 슬라이드 삽입하여 결합한 후, 좌우 노즐관(20)(20')에 결합되어 있는 좌우 브라켓(25)(25')의 체결공(26)에 체결 부재(27)를 삽입하여 모션 체어의 양 측방에 체결하므로 송풍 수단을 고정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송풍 수단(100)은 모듈 형태로 제조하여 모션 체어(200)의 후방에 슬라이드 결합 후 체결 부재에 의해 간단히 고정 결합하므로 결합 설치가 간단함은 물론 송풍 수단의 고장시 조립 과정의 역 순으로 분리하여 간단히 교체 또는 수리가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모션 체어(200)에 송풍 수단(100)을 결합 설치한 후 송풍 수단의 송풍 발생부(15)에 의해 본체 외부의 공기를 본체 내부의 공간부(12)로 흡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체의 내부 공간부(12)로 흡입한 흡입 공기는 본체(10) 양 측방에 결합된 좌우 노즐관(20)(20')을 통해 분기 공급하여 상기 좌우 노즐관(20)(20') 선단의 토출구(21)를 통해 모션 체어의 전방으로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우 노즐관(20)(20')의 선단 부위는 상향 절곡 형성하여 모션 체어 이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23)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좌우 이외에 상부로 상부 노즐 배관(20")을 더 연결 형성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체어의 등받이 상부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215)으로 삽입 설치하는 것에 의해 목 부위로 흡입 공기를 토출하면서 목 티클러(Nect Tickler)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10), 송풍 발생부(15) 및 좌우 노즐관(20)(20')으로 구성된 송풍 수단(100)을 모듈 형태로 마련하여 상기 모션 체어(200) 후방에 전후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여 결합하되, 상기 송풍 수단의 좌우 노즐관(20)(20')을 모션 체어의 양 측방에서 좌우 브라켓(25)(25')에 의해 체결 부재로 체결하여 고정 설치하므로 송풍 수단을 모듈 형태로 모션 체어에 간단히 착탈 결합 설치할 수 있어 제조 및 설치 사용은 물론 교체 수리가 간편하게 제공되고, 특히 상기 송풍 수단의 본체에 노즐 배관을 연결하여 송풍을 유도하기 때문에 송풍을 다수 위치에서 토출하거나 토출 위치, 방향을 변경하도록 하는 교체 작업을 간단하게 조정 가능하므로 모션 체어의 구조 변경이 간단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10: 본체 12: 공간부
15: 송풍 발생부 17: 자석
18: 스커트 20,20': 좌우 노즐관
20": 상부 노즐관 25,25': 좌우 브라켓
21: 토출구 30: 결합 공간부
35: 하부 프레임 100: 송풍 수단
200: 모션 체어 210: 좌석 시트

Claims (5)

  1. 송풍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송풍을 체어의 양 측방으로 분기 안내하여 분사하는 송풍장치에 있어서,
    함체 형태로 형성된 본체(10) 내부의 공간부(12)에 송풍 발생기(15)를 내장하고 양 측방에 모션 체어(200)의 좌우로 위치하는 좌우 노즐관(20)(20')이 연결되는 송풍 수단(100)을 모듈 형태로 구성하고,
    모션 체어의 후방에 하부 프레임(35) 상부로 결합 공간부(30)를 형성하여 상기 송풍 수단의 본체(10)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안착 설치하되,
    상기 송풍 수단의 본체(10)는 바닥에 자석(17)과, 후방 및 좌우 측방 테두리에 하부로 돌출되는 스커트(18)를 형성하여 하부 프레임(35)의 후방 및 좌우 측면에 밀착되면서 일정 위치로 결합함과 함께 바닥에 자석(17)을 형성하여 자력에 의해 부착 설치하고,
    상기 송풍 수단의 좌우 노즐관(20)(20')은 "L"자 형태의 좌우 브라켓(25)(25')을 결합하여 모션 체어의 양 측방에 체결 부재(27)로 결합 설치하는 결합 구조에 의해 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체어의 탈부착식 송풍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노즐관(20)(20')은 모션 체어(200)의 좌석 시트(210) 양측에 전후로 인접 위치하게 결합 설치하되, 좌우 노즐관(20)(20')의 선단을 상향 절곡하여 손잡이(23)로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체어의 탈부착식 송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의 본체(10)에는 상부로 상부 노즐 배관(20")을 더 연결 형성하되, 상기 상부 노즐 배관은 모션 체어의 등받이 상부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215)으로 삽입 설치하여 목 부위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체어의 탈부착식 송풍장치.
KR1020170101615A 2017-08-10 2017-08-10 모션 체어의 탈부착식 송풍장치 KR101982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615A KR101982067B1 (ko) 2017-08-10 2017-08-10 모션 체어의 탈부착식 송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615A KR101982067B1 (ko) 2017-08-10 2017-08-10 모션 체어의 탈부착식 송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186A KR20190017186A (ko) 2019-02-20
KR101982067B1 true KR101982067B1 (ko) 2019-05-24

Family

ID=6556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615A KR101982067B1 (ko) 2017-08-10 2017-08-10 모션 체어의 탈부착식 송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0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8488A (ja) * 2007-07-30 2009-02-12 Noriko Asada 送風機つき椅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0769B1 (en) * 2009-10-01 2012-08-14 Adam Story Multipurpose lower extremity examination stool
KR101101278B1 (ko) 2011-09-02 2012-01-04 주식회사 포트론 체감형 의자
KR101729226B1 (ko) 2015-04-17 2017-05-04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특수효과 의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8488A (ja) * 2007-07-30 2009-02-12 Noriko Asada 送風機つき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186A (ko)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459325U (zh) 风向调节装置
CN104807079A (zh) 一种壁挂式空调器
JP4813614B1 (ja) 車両
KR101982067B1 (ko) 모션 체어의 탈부착식 송풍장치
EP1527913A3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rear seat arrangement
KR20110045844A (ko) 체험 의자 시스템
JP6856060B2 (ja) 送風装置
KR200469969Y1 (ko) 자동차용 방향제 클립
US11449129B2 (en) Multisensory case and immersive device
JP2008033202A (ja) 映像表示装置
JP2001054650A (ja) 弾球遊技機
JP6066917B2 (ja) 遊戯装置用床機構及び、当該遊戯装置用床機構を使用した遊戯装置。
JP4651085B2 (ja) 映写装置
CN205569747U (zh) 一种多功能、调节方便的游艺机
KR101643943B1 (ko)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
JP2008061686A (ja) 飛行ゴム風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32231A (ja) 遊技機
JP2022032140A (ja) 水玉鑑賞方法
KR20120085184A (ko) 작업 기계의 덕트 배치 구조
KR20040098651A (ko) 유희 장치
JP6309403B2 (ja) 吸引吹出し併用型空調椅子
JP2003334317A (ja) 遊技機
JP5025213B2 (ja) 遊技場用エアカーテン装置
JP5001889B2 (ja) 娯楽ゲーム装置及び多連型娯楽ゲーム装置
JP3113706U (ja) 空気吹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