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925B1 -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하수시설 보수용 내황산 모르타르 분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하수시설 보수용 내황산 모르타르 분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925B1
KR101981925B1 KR1020170146593A KR20170146593A KR101981925B1 KR 101981925 B1 KR101981925 B1 KR 101981925B1 KR 1020170146593 A KR1020170146593 A KR 1020170146593A KR 20170146593 A KR20170146593 A KR 20170146593A KR 101981925 B1 KR101981925 B1 KR 101981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ortar composition
ion exchange
exchang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207A (ko
Inventor
강태원
임창길
류화성
김득모
신상헌
심소진
이승훈
전교영
안범준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명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명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명이엔씨
Priority to KR1020170146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9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containing anhydrite, e.g. Keene's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04B14/106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2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rganic derivatives of hydrazine
    • C04B24/123Ami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02Portland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2Aluminous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87Ion-exchang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10Accelerators; Activators
    • C04B2103/12Set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4Flow impr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4Thickening, gelling or viscosity increa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암거 및 하수처리시설의 내구성 저하로 발생되는 열화현상을 보수하는 데에 이용하는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시멘트결합제 22~30 중량부, 강도보강제 15.5~20.5 중량부, 성능개선제 0.33~0.5 중량부, 이온저감제 2.8~4.5 중량부, 규사 48~52 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에 혼입된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황산이온과 같은 열화요인의 침투 및 생성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구조물 내의 철근을 보호함은 물론 기반시설 확보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하수시설 보수용 내황산 모르타르 분체 조성물{Composition of mortar powder for sewage treatment plant with amine derivatives and ionic reactions}
본 발명은 하수시설의 열화현상을 보수하는 데에 적용하는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에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혼입하여 열화요인의 제거 효율을 증대함으로써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하고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하수시설 보수용 내황산 모르타르 분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및 건축분야에서 각종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외부적인 환경 요인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해 부식이나 중성화나 동해나 염해와 같은 각종 열화 현상이 진행되며, 이로 인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자체의 내하력 및 내구성의 저하는 물론 안전성이 떨어져서 수명이 저하된다.
특히, 현대사회는 인구가 증가하고 급속히 발달하여 도시의 거대화가 진행됨에 따라 상하수도와 같은 도시 형성에 필수적인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를 갖는 사회기반시설의 증대는 물론 유지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은 40년의 수명을 산정하고 있지만, 이는 건축구조물에서의 열화현상을 기반으로 산정된 결과이며, 하수도와 같은 밀폐되고 유해가스의 농도가 높은 하수시설의 경우 열화요인들에 더해 황산염 침식의 영향으로 인한 하수암거의 열화현상이 극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하수시설의 특성상 하수암거의 교체는 대규모의 토목공사가 필수적으로 수반되며, 상기 하수암거의 교체과정에서 주변 시설의 사용 중지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하수암거의 교체가 아닌 유지보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상기 하수암거에 대한 적절한 유지관리를 실시하지 않을 경우 장기적으로 누적된 손상에 의해 하수 누수에 따른 환경오염이나 지반 불안정으로 인한 지반침하 등의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 외국에서는 2차 세계대전 이후 건설된 시설물의 노후화로 인해 유지관리 비용이 전체 예산의 40~50%를 차지하는 등 유지관리비용이 증대하고 있으며, 유지관리에 관한 인식이 높은 이유로 인해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의 경우 1970~80년대에 사회기반시설이 집중적으로 건설되어 준공 후 30년 이상 된 노후화된 사회기반시설이 큰 비중을 차지하여 노후화가 심화되고 이에 따른 유지보수 예산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국내 건설시장은 유지보수보다는 신규사업에 집중되어 기술개발이 부족하며, 특히 하수도 시설의 경우 국민의 보건 및 위생확보 측면에서 파급효과가 매우 큰 사업임에도 지하매설물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도로나 교량과 같은 가시적인 사회기반시설보다는 우선순위에서 뒤처져 있다.
게다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방지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기존 기술의 하수관거, 하수암거 등의 보수 모르타르는 폴리머계 성분을 혼입하여 황산염의 콘크리트 침투를 방지하거나, 또는 고로슬래그나 플라이애시 등 포졸란 반응을 기반으로 한 소재를 혼입하여 황산염 침식을 방지하는 내용으로 모두 1차원적 차단 기술에 불과하여 연구가 절실하다.
특히, 상기 콘크리트 하수시설 구조에서는 일반 열화 요인에 더하여 황산염 침식이 발생하기 때문에 기존의 단순 차단 기술로는 유해이온의 침투가 누적되거나, 침투저항성을 손실할 경우, 콘크리트의 내구성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구조물의 열화를 예방 및 유지관리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 하수암거와 같은 밀폐되고 유해가스의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 발생하는 각종 열화요인(황산이온, 염화이온, 탄산이온)을 억제할 수 있는 모르타르 조성물의 확보가 절실한 실정이다.
KR 10-0833870 KR 10-1086240 KR 10-1355392 KR 10-1709240 KR 10-1694807 KR 10-1738575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에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혼입하여 열화요인의 제거 효율을 증대함으로써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하고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하수시설 보수용 내황산 모르타르 분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시멘트결합제 22~30중량부, 강도보강제 15.5~20.5중량부, 성능개선제 0.33~0.5중량부, 이온저감제 2.8~4.5중량부, 규사 48~52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멘트결합제는 포틀랜드 시멘트 10~15 중량부, 칼슘알루미네이트시멘트 8~10 중량부, 무수석고 4~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도보강제는 메타카올린 1.5~2.5 중량부, 고로슬래그 10~13 중량부, 플라이애시 4~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성능개선제는 증점제 0.02~0.03 중량부, 응결촉진제 0.01~0.02 중량부, 유동화제 0.2~0.25 중량부, 소포제 0.1~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저감제는 분말수지 1.5~2.0 중량부, 이온교환수지 1.0~2.0 중량부, 아민유도체 0.3~0.5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에 혼입된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황산이온과 같은 열화요인의 침투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구조물내의 철근을 보호함은 물론 기반시설 확보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즉,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 서식 및 증식하는 미생물의 생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상기 열화요인에 의한 구조물 부식이나 열화가 방지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이 연장된다.
둘째,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에 의해 상기 구조물의 빠른 유지 및 보수가 가능해짐으로써, 상기 구조물의 사용기간이 연장됨은 물론 상기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셋째,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에 강도보강제 및 유동화제를 혼입함으로서 상기 구조물의 휨강도나 압축강도와 같은 물리적 특성 및 구조물 보수에 있어 시공 성능을 향상시키며, 상기 증점제 및 응결촉진제에 의해 구조물과의 부착성능이 향상되어 수명이 연장된다.
넷째,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에 재유화형 분말수지를 혼입함으로서 상기 구조물의 초기 강도 향상의 증대는 물론 상기 구조물의 내부구조를 더욱 더 치밀하게 유지하여 상기 구조물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따라서,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에 혼입된 아민유도체와 이온교환수지로 인해, 상기 황산이온과 같은 열화요인의 침투가 차단되거나 침투저항성이 향상되어 상기 하수암거의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시멘트결합제 22~30 중량부, 강도보강제 15.5~20.5 중량부, 성능개선제 0.33~0.5 중량부, 이온저감제 2.8~4.5 중량부, 규사 48~52 중량부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시멘트결합제는 포틀랜드 시멘트와 칼슘알루미네이트시멘트와 무수석고를 포함하고, 상기 강도보강제는 메타카올린과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시를 포함하고, 상기 성능개선제는 증점제와 응결촉진제와 유동화제와 소포제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저감제는 분말수지와 이온교환수지와 아민유도체를 포함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은 시멘트결합제와 강도보강제와 성능개선제와 규사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에 상기 이온저감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요인(황산이온, 염화이온, 탄산이온 등)의 생성을 차단하는 것에 특징이 있음을 첨언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이 시멘트결합제와 강도보강제와 성능개선제와 이온저감제와 규사로 구분하였으나, 발명자에 따라 조성물을 다르게 구분하거나 한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5~45 중량부의 물과 혼합되며, 상기 아민유도체 및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분체 또는 물에 혼입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의 각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는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의 기본 재료로 널리 이용되는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15 중량부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칼슘알루미네이트시멘트는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의 저온에서도 안정된 강도발현을 위해 혼입한 시멘트의 한 종류로서,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8~10 중량부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수석고는 상기 시멘트의 강도 발현을 위하여 사용되는 통상적인 자극제로서 분말형태의 천연무수석고가 바람직하며,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5 중량부를 혼입하였다.
상기 무수석고의 함량이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중량부 미만일 경우 고로슬래그와의 반응성이 저하되어 초기 강도 발현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고로슬래그와 반응하지 못한 여분의 생성물이 응집 상태로 존재하여 강도 발현에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메타카올린은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의 조기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포졸란 반응으로 모르타르의 조기 강도 발현을 유도하며, 모르타르 조성물의 압축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메타카올린의 함량이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 대하여, 1.5 중량부 미만일 경우 모르타르 조성물의 점도가 저하되었고, 2.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의 조기 강도가 상승하였다.
그리고, 상기 고로슬래그는 상기 모르타르의 조기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평균 직경 약 6㎛가 되도록 분쇄하는 경우 상기 시멘트의 충진율을 높이는 특징이 있으며,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13 중량부를 혼입하는 경우 충진율이 매우 우수하였다.
그리고, 상기 플라이애시는 조기 포졸란 반응성이 뛰어나고 입자형상이 구형이어서 모르타르의 유동성 및 점도를 향상하는 것으로서,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5 중량부를 혼입하는 경우 유동성을 증대 효율이 우수하여 그 함량비를 4~5 중량부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증점제는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의 손실이 없도록 점착력 및 응집력을 증대하는 것으로서, 20±5℃의 온도범위에서 2,500~3,500mPa.s의 점도를 갖는 메틸셀룰로오스 계열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점제는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의 점착력 및 응집력을 증대하지만 유동성을 저하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0.03 중량부로 한정하여 혼입하였다.
그리고, 상기 응결촉진제는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의 경화과정에서 응결을 촉진하는 혼화제로서, 상기 응결촉진제로서 리튬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지만, 그 밖에도 칼슘염, 염화물, 황산염,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탄산염, 포름산, 리튬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응결촉진제의 함량은 응결시간 및 강도발현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0.02 중량부를 혼입하였다.
그리고, 상기 분말수지는 상기 모르타르 수화물 사이에 수지막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모르타르의 모세공극을 메워주어 치밀성 및 부착 강도를 증가시키며, 재유화형 분말수지를 혼입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말수지의 함량은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2 중량부를 혼입하는 경우, 상기 모르타르의 모세공급을 충실히 메워주어 수지막을 충실히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분말수지로는 폴리(스티렌-다이비닐벤젠), 폴리스티렌, 폴리술폰, 폴리이서술폰,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요인 즉, 황산이온이나 염화이온이나 탄산이온 등을 이온교환을 통해 제거하는 것으로서, 상기 열화요인의 누출로 인한 수밀성 및 강도저하를 방지한다.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상기 열화요인의 제어효과로 수처리 분야에서 정수용 소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폴리스티렌과 디비닐벤젠의 공중합체로 구성되어 300~1000 ㎛의 입도분포를 갖는 강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함량은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2.0 중량부를 혼입하는 경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잔존하는 열화요인을 충분히 제거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아민유도체는 모르타르의 작업성의 개선을 주목적으로 혼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모르타르 입자의 균일한 분산을 유도하며,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0.5 중량부를 혼입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민유도체의 함량이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중량부 미만인 경우 부착강도 및 초기 강도상승을 기대할 수 없고, 0.5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아민유도체로는 액상의 아민카르복실과 디메틸에탄올아민을 혼합하거나 단독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말형 유동화제는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의 분산작용을 통해 유동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0~0.25 중량을 혼입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화제의 함량이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유동성 및 강도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0.2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말형 소포제는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을 물과 혼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파쇄 및 억제하는 것으로서, 상기 모르타르 타설시 입자 사이사이의 기공을 적게 하여 치밀한 조직을 형성하며,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0.2 중량부를 혼입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말형 소포제의 함량이 상기 시멘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교반시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하는 성능이 저하되고, 0.2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강도를 저하시킨다.
상기 규사는 입자크기가 규정치보다 클 경우 유동성이 저하시키고 규정치보다 작을 경우 작업성을 저하시키므로, 그 입자크기가 0.05~3.0㎜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의 성능을 고려하여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8~52 중량부를 혼입함이 바람직하다.
황산이온 제거효율
구분
수용액
혼입량(g) 황산 이온 측정결과
(mg/L)
아민유도체 이온교환수지
실시예 1 증류수 50 ㎖
+
황산나트륨 1 mg
- - 1365
실시예 2 1 - 1022
실시예 3 - 1 403
실시예 4 수산화칼슘 수용액
+
황산나트륨 1 mg
- - 1334
실시예 5 1 - 1271
실시예 6 - 1 455
표 1은 아민유도체(아민카르복실)와 이온교환수지의 황산이온 제거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이온크로마토그래피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2, 3은 증류수에 황산나트륨을 혼입한 후 각각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 혼입에 따른 황산이온량을 확인하였고, 실시예 4, 5, 6은 콘크리트환경을 모사한 수산화칼슘 수용액에 황산나트륨을 혼입 후 각각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 혼입에 따른 황산이온량을 확인하였다.
염화이온 제거효율
구분 수용액 혼입량 (g) 염소 이온 측정결과
(mg/L)
아민유도체 이온교환수지
실시예 1 증류수 50㎖
+
염화나트륨 1 mg
- - 1312
실시예 2 1 - 923
실시예 3 - 1 824
실시예 4 수산화칼슘 수용액
+
염화나트륨 1 mg
- - 1300
실시예 5 1 - 1043
실시예 6 - 1 1073
표 2는 아민유도체와 이온교환수지의 염소이온 제거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이온크로마토그래피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2, 3의 경우 증류수에 수산화나트륨을 혼입 후 각각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 혼입에 따른 염소이온량을 확인하였고, 실시예 4, 5, 6의 경우 콘크리트환경을 모사한 수산화칼슘 수용액에 수산화나트륨을 혼입 후 각각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 혼입에 따른 염소이온량을 확인하였다.
표 1 및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증류수 조건에 비하여 콘크리트환경을 모사한 수산화칼슘 수용액 조건에서의 영향이 축소되지만, 아민유도체(아민카르복실)와 이온교환수지의 혼입에 따라 황산이온 및 염소이온의 저감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온저감제의 혼입 및 비혼입에 따른 비교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보통포틀랜드시멘트 10 15 15 15 15
칼슘알루미네이트시멘트 10 8 8 8 8
무수석고 5 5 5 5 5
메타카올린 2 2 2.5 2 2
고로슬래그 13 10 10 10 10
플라이애시 5 5 5 5 5
증점제 0.03 0.03 0.03 0.03 0.03
분말수지 2 2 2 2 2
응결촉진제 0.02 0.02 0.02 0.02 0.02
유동화제 0.25 0.25 0.25 0.25 0.25
소포제 0.2 0.2 0.2 0.2 0.2
규사 50 50 52 49 49.5
아민유도체 0.5 0.5 0.5 1
이온교환수지 2 2 3 2
표 3은 본원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에 이온저감제를 혼입한 상태 및 미혼입한 상태를 비교한 것이다.
표 3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본 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의 범위 내에서 구현한 예이고, 비교예 1은 비교하여 아민유도체와 이온교환수지가 혼입되지 않도록 한 예이고, 비교예 2는 이온교환수지가 3 중량부 이상이 되도록 한 예이며, 비교예 3은 아민유도체가 1 중량부 이상이 되도록 한 예를 보인 것이다.
이온저감제의 혼입 및 비혼입에 따른 성능 결과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압축강도 1일 19.2 22.6 23.5 13.2 10.3
압축강도 3일 29.5 30.2 32 20.4 20.8
압축강도 7일 32.7 34.1 34.2 25.5 27.6
압축강도 28일 37.5 36.5 35.8 28.5 31.2
휨강도 28일 6.8 7.5 7.1 6.2 6.2
부착강도 28일 2.1 2.2 2.1 1.8 2.1
중량변화율 -9.8 -10.4 -16.2 -9.4 -9.5
염화물량 0.013 0.012 0.035 0.012 0.01
탄산화깊이 0.8 0.9 2.3 1.5 1.8
표 3은 본원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에 이온저감제를 혼입한 상태 및 미혼입한 상태를 비교한 성능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르타르 조성물을 혼입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는 비교예 1, 2, 3에 비하여 압축강도와 부착강도의 확보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2, 3은 중량변화율, 염화물량 및 탄산화깊이 저감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교예 1은 아민유도체와 이온교환수지의 무혼입으로 중량변화율, 염화물량, 탄산화 깊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 및 의 경우 아민유도체와 이온교환수지의 혼입으로 콘크리트 내구성의 개선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고, 비교예 2의 경우 이온교환수지의 2.0 중량부 초과 혼입으로 압축강도나 휨강도나 부착강도 저감이 나타났으며, 비교예 3의 경우 아민유도체의 0.5 중량부 초과 혼입으로 초기압축강도의 저감이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민유도체 0.3~0.5 중량부, 이온교환수지 1.0~2.0 중량부를 혼입하는 경우,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의 열화요인 제거에 따른 성능의 확보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시멘트결합제 22~30 중량부, 강도보강제 15.5~20.5 중량부, 성능개선제 0.33~0.5 중량부, 이온저감제 2.8~4.5 중량부, 규사 48~52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멘트결합제는, 포틀랜드시멘트 10~15 중량부, 칼슘알루미네이트시멘트 8~10 중량부, 무수석고 4~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도보강제는, 메타카올린 1.5~2.5 중량부, 고로슬래그 10~13 중량부, 플라이애시 4~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성능개선제는, 증점제 0.02~0.03 중량부, 응결촉진제 0.01~0.02 중량부, 유동화제 0.2~0.25 중량부, 소포제 0.1~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저감제는, 분말수지 1.5~2.0 중량부, 이온교환수지 1.0~2.0 중량부, 아민유도체 0.3~0.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은,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5~45 중량부의 물과 혼합되며, 상기 아민유도체 및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분체 또는 물에 혼입되고,
    상기 분말수지는, 폴리(스티렌-다이비닐벤젠), 폴리스티렌, 폴리술폰, 폴리이서술폰,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300~1000㎛의 입도분포를 가진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아민유도체는, 액상의 아민카르복실, 디메틸에탄올아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하수시설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20±5℃의 온도범위에서 2,500~3,500mPa.s의 점도를 갖는 메틸셀룰로오스 계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하수시설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결촉진제는,
    리튬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하수시설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화제는,
    분말형 폴리카르복실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하수시설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5.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는,
    분말형으로서 밀도가 550 g/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하수시설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46593A 2017-11-06 2017-11-06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하수시설 보수용 내황산 모르타르 분체 조성물 KR101981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593A KR101981925B1 (ko) 2017-11-06 2017-11-06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하수시설 보수용 내황산 모르타르 분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593A KR101981925B1 (ko) 2017-11-06 2017-11-06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하수시설 보수용 내황산 모르타르 분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207A KR20190051207A (ko) 2019-05-15
KR101981925B1 true KR101981925B1 (ko) 2019-05-27

Family

ID=6657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593A KR101981925B1 (ko) 2017-11-06 2017-11-06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하수시설 보수용 내황산 모르타르 분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504B1 (ko) 2022-06-13 2023-11-30 박영진 고성능 몰탈을 이용한 지하 관로 보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754B1 (ko) * 2019-05-03 2021-03-25 주식회사 삼명이엔씨 이온교환수지와 음이온 고정 방청성분을 함유한 고내구성 모르타르 조성물
KR102438751B1 (ko) * 2022-06-10 2022-08-31 김찬수 신축이음부의 후타 보수 및 교면 포장 보수를 위한 고내구성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4433A (ja) * 2004-06-04 2005-12-15 Ube Ind Ltd コンクリート構造体
KR101300514B1 (ko) 2013-05-06 2013-09-02 남경건설(주) 고성능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340856B1 (ko) * 2013-06-03 2013-12-12 강상수 내구성 및 수밀성이 우수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549612B1 (ko) 2015-04-27 2015-09-02 리플래시건설(주)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1746220B1 (ko) 2016-11-11 2017-06-23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습식시공이 가능한 내진보수보강용 콘크리트 구조물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내진공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7113B2 (ja) * 1996-02-21 2005-07-27 道夫 加島 炭酸化及び塩害防止等のセメントモルタル
JP3677139B2 (ja) * 1997-02-18 2005-07-27 道夫 加島 コンクリートの劣化抑制用のセメントモルタル
KR100833870B1 (ko) 2008-01-16 2008-06-02 주식회사 인트켐 시알레이트계 무기폴리머 모르타르와 플로오르화무기폴리머 보호코팅제를 이용한 고내산성 콘크리트 단면보수 공법
KR101086240B1 (ko) 2011-05-17 2011-11-23 진서건설(주) 내 황산염 폴리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KR101355392B1 (ko) 2013-08-13 2014-01-28 남경건설(주) 내산 및 내염해성 시멘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수용 모르타르 시멘트 조성물 및 상기 보수용 모르타르 시멘트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709240B1 (ko) 2016-06-20 2017-02-23 (주)대우건설 바텀애시 및 포졸란 반응의 혼화재를 이용한 내 황산염 저항성을 가진 친환경 시멘트 단면복구 모르타르 조성물
KR101694807B1 (ko) 2016-08-09 2017-01-11 콘스타주식회사 친환경 그린시멘트를 이용한 내염화물, 내산 콘크리트 단면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표면 보호 마감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를 보수보강하는 방법
KR101738575B1 (ko) 2016-10-12 2017-05-23 콘스타주식회사 산 ,황산염 및 염화물에 의해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를 위한 에코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4433A (ja) * 2004-06-04 2005-12-15 Ube Ind Ltd コンクリート構造体
KR101300514B1 (ko) 2013-05-06 2013-09-02 남경건설(주) 고성능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340856B1 (ko) * 2013-06-03 2013-12-12 강상수 내구성 및 수밀성이 우수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549612B1 (ko) 2015-04-27 2015-09-02 리플래시건설(주)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KR101746220B1 (ko) 2016-11-11 2017-06-23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습식시공이 가능한 내진보수보강용 콘크리트 구조물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내진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504B1 (ko) 2022-06-13 2023-11-30 박영진 고성능 몰탈을 이용한 지하 관로 보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207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60457C (zh) 一种水泥基双液注浆材料
CN107827422B (zh) 用于海底盾构隧道的高防水同步注浆浆液
KR101355111B1 (ko) 교면 포장용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 공법
KR101981925B1 (ko)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하수시설 보수용 내황산 모르타르 분체 조성물
CN105084851B (zh) 一种防渗防腐混凝土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617091A (zh) 机制砂自流平混凝土
CN110183136B (zh) 一种混凝土防腐阻锈剂及其制备方法
CN111233370A (zh) 一种混凝土结构自密实防水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570307A (zh) 防腐阻锈型预应力孔道压浆料
CN106882943A (zh) 一种适用于氯离子低渗透的水泥基灌浆料
CN110451840B (zh) 一种复合式密实剂
CN108314377A (zh) 一种高性能的水泥混凝土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3806420B2 (ja) シラスを用いた低強度モルタル充填材
KR102229754B1 (ko) 이온교환수지와 음이온 고정 방청성분을 함유한 고내구성 모르타르 조성물
JP2022053054A (ja) セメント組成物、モルタル組成物、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
CN113683334B (zh) 一种高强、耐腐蚀添加剂及混凝土、制备方法和应用
JP5345820B2 (ja) セメント混和材及びセメント組成物
KR20200127566A (ko) 이온교환수지와 음이온고정 방청성분을 함유한 고내구성 모르타르 및 방청 프라이머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JP2016155715A (ja) 注入用グラウト組成物及び鋼材の腐食抑制方法
KR102141776B1 (ko)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용 고비중 콘크리트 조성물
JP3654688B2 (ja) 傾斜した建造物の復元方法
JP6179357B2 (ja) コンクリート用塩化物イオン浸透抑制無機混和材、当該混和材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00358B1 (ko) 자가치유소재를 활용한 그라우트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397721B2 (ja) 注入用グラウト組成物及び鋼材の腐食抑制方法
JP6479461B2 (ja) セメント添加剤及びセメント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