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807B1 - 친환경 그린시멘트를 이용한 내염화물, 내산 콘크리트 단면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표면 보호 마감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를 보수보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그린시멘트를 이용한 내염화물, 내산 콘크리트 단면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표면 보호 마감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를 보수보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807B1
KR101694807B1 KR1020160101160A KR20160101160A KR101694807B1 KR 101694807 B1 KR101694807 B1 KR 101694807B1 KR 1020160101160 A KR1020160101160 A KR 1020160101160A KR 20160101160 A KR20160101160 A KR 20160101160A KR 101694807 B1 KR101694807 B1 KR 101694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geopolymer
repairing
reinforcing
re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마가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콘스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스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스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1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8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04B18/142Steelmaking slags, converter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04B14/365Gyps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or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6Oxides, Hydroxides
    • C04B22/062Oxides, Hydroxides of the alkali or alkaline-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4Carboxylic acids;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7/00Repair of damaged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기술은 고로슬래그 36.0~39.0 중량%, 플라이애쉬 4.0~5.0 중량%, 조립 규사 40.0~45.0 중량%, 석고 4.0~6.5 중량%,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 2.5~3.5 중량%, 규산나트륨 1.5~2.5 중량%, 재분산성 수지 1.5~2.0 중량%, 및 응결조절제 1.5~3.0 중량%를 포함하는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방법, 및 고로슬래그 35.0~37.0 중량%, 플라이애쉬 4.0~5.0 중량%, 조립 규사 5.0~8.0 중량%, 미립 규사 40.0~45.0 중량%, 석고 4.0~6.0 중량%,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 2.0~3.0 중량%, 규산나트륨 1.0~2.0 중량%, 및 재분산성 수지 2.0~2.5 중량%를 포함하는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에 따르면, 열화된 콘크리트의 보수보강에 이용되어 콘크리트의 산, 황산염, 염화물 등에 대한 침투 저항성을 향상시켜 콘크리트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그린시멘트를 이용한 내염화물, 내산 콘크리트 단면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표면 보호 마감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를 보수보강하는 방법{MORTAR WITH CHLORIDE RESISTANCE AND ACID RESISTANCE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CONCRETE USING ECO-FRIENDLY GREEN CEMENT, FINISHING MATERIALS FOR PROTECTING CONCRETE SURFACE AND METHOD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CONCRE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화된 콘크리트의 보수보강에 이용되어 콘크리트의 산, 황산염, 염화물 등에 대한 침투 저항성을 향상시켜 콘크리트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보수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 중앙 분리대, 측구 블록, 터널 방호벽 및 터널 내부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동절기 제설을 위해 살포되는 염화물의 축적에 의해 구조물의 안정성에 심각한 손상을 입게 된다.
또한, 오폐수가 축적되어 있는 하수 관거나 암거 등과 같은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슬러지와 같은 하수 퇴적물에 존재하는 티오바실러스 티오옥시단스(thiobacillus thiooxidans)라는 유황 산화 세균(sulfur-oxidizing bacteria)의 활동에 의해 황화수소(H2S)가 발생하게 된다. 이 황화수소 가스는 하수 관거 상부 공기 층의 산소나 결로와 만나 황산으로 변하게 되어, 하수관의 콘크리트 표면, 시멘트 모르타르 및 금속 주변에 산이 형성되고 pH가 떨어져 부식이 진행되며, 철근 주변의 강 알칼리 페시베이트층이 파괴되어 철근의 부식을 촉진하게 된다.
콘크리트의 열화를 초래하는 다른 원인은 황산염과의 반응으로, 황산염은 외부에서 침투되는 황산염과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황산염으로 구분될 수 있다. 콘크리트 열화를 초래하는 황산염과의 반응은 대부분 외부에서 침투되는 황산염에 의한 것으로, 황산염이 용해된 지하수나 해수에 노출됨으로써 발생된다.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촉하는 지하수나 해수에 함유된 황산염 이온이 콘크리트에 침투하여 수산화칼슘과 반응함으로써 석고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석고는 물이 있는 조건에서 시멘트 내 알루민산 삼칼슘(tricalcium aluminate)과 반응하여 침상의 팽창 결정체인 에트링자이트(ettringite)를 형성하게 된다. 에트링자이트는 철근 콘크리트 표면에 망상형의 균열을 발생시키며, 계속하여 균열이 팽창되며, 균열을 통하여 수분이나 염화물이 침투하고, 시멘트와 골재간의 접착력 저하를 가져와 궁극적으로 콘크리트 강도가 저하하게 된다.
또한, 콘트리트 내부에 포함되는 황산염의 경우, 시멘트 제조시 경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석고가 첨가되는데, 이 때 첨가된 과다량의 석고가 황산염과 반응하여 팽창 결정체인 에트링자이트를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열화를 일으키게 된다.
기존에 이용되는 콘크리트 단면 복구용 모르타르는 대부분 일반 OPC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유기 코팅재를 도포하거나, 모르타르 내에 유기 방청제 등의 물질을 함유시켜 산이나 기타 콘크리트 열화 인자의 접근을 차단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시멘트 30~50 중량%, 골재 40~60 중량%, 메타 카올린 2~5 중량%, 유기 엑시드 아민 복합형 방청제 1~10 중량%, 칼슘 포메이트 0.01~2 중량%, 비닐아세테이트-비닐버세테이트 폴리머 0.1~5 중량% 및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0.1~2 중량%를 포함하는 염화물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초기 효과는 매우 우수하나, 유기 코팅제나 유기 방청제의 값이 비싸고 기공 두께가 작아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을 받게 되면 그 효과가 매우 빠르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습도가 높은 현장에서의 적용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환경 보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친환경 기술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이는 시멘트 콘크리트 분야에서도 적용되어 기존의 포틀랜드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는 재료에 대한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성분이 풍부한 고로슬래그나 플라이애쉬 등을 이용한 지오폴리머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오폴리머는 그 주원료가 플라이애쉬나 고로슬래그 등으로 적절한 알칼리 자극제의 첨가에 의해 시멘트와 유사한 성능을 발현할 수 있으며, 제조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량이 일반 OPC 시멘트 제조시와 비교하여 약 80% 정도로 적어 에코 시멘트 또는 그린 시멘트 등으로도 호칭된다.
특허문헌 2에 활성제로 지르코닐 클로라이드 또는 지르코닐 나이트레이트 하이들이트를 사용하여 슬래그 분말, 석고, 석회, 1종 시멘트를 포함하는 내산 지오폴리머 시멘트 조성물, 및 이 지오폴리머 시멘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백운석 규사, 보강 섬유, 소포제, 폴리머, 웨팅제를 포함하는 내산 폴리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된 활성화제는 가격이 높고, 온도가 낮아지면 응결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지오폴리머 시멘트 조성물의 물성이 충분히 확보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2621호(2007.11.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5349호(2011.12.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열화된 콘크리트의 보수보강에 이용되어 콘크리트의 산, 황산염, 염화물 등에 대한 침투 저항성을 향상시켜 콘크리트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보수보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로슬래그 36.0~39.0 중량%, 플라이애쉬 4.0~5.0 중량%, 조립 규사 40.0~45.0 중량%, 석고 4.0~6.5 중량%,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 2.5~3.5 중량%, 규산나트륨 1.5~2.5 중량%, 재분산성 수지 1.5~2.0 중량% 및 응결조절제 1.5~3.0 중량%를 포함하는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고로슬래그 35.0~37.0 중량%, 플라이애쉬 4.0~5.0 중량%, 조립 규사 5.0~8.0 중량%, 미립 규사 40.0~45.0 중량%, 석고 4.0~6.0 중량%,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 2.0~3.0 중량%, 규산나트륨 1.0~2.0 중량% 및 재분산성 수지 2.0~2.5 중량%를 포함하는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콘크리트 보수 부위에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 콘크리트 보수 부위의 부식된 철근을 교체하고, 녹을 제거한 후, 접착 강화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콘크리트 보수 부위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산, 황산염, 염화물 등의 콘크리트 열화 요인에 대하여 우수한 저항성을 가져 이와 같은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콘크리트 열화 요인을 최소화함으로써 열화된 콘크리트를 효율적으로 보수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지하수와 접촉하는 하수관거나 암거와 같은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염화물이 축적되는 도로 중앙 분리대, 측구 블록, 터널 방호벽 및 터널 내부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산, 황산염, 염화물 등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고, 손상된 콘크리트를 효율적으로 복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콘크리트 보수재에 사용되는 1종 시멘트 대신에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쉬를 주원료로 하는 지오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시멘트 제조 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산업 부산물을 재활용하여 친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유해 요소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콘크리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의 보수보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 OPC 시멘트로 만들어진 보수용 모르타르 표면에 코팅되어 일반 OPC 시멘트가 갖는 산에 대한 낮은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보수용 모르타르의 성능을 최대화시킴으로써 콘크리트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산성 시험을 위하여 제작된 시편의 사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편 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한 3번 시편의 사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산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화물 저항성 시험을 위하여 제작된 시편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화물 저항성 시험을 위한 측정 장치의 개략도.
도 8은 도 8은 일반 OPC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로 만들어진 시편의 염화칼슘 용액 침적 후 전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로 만들어진 시편의 염화칼슘 용액 침적 후 전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도 10은 염화물 저항 시험을 수행한 일반 OPC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시편의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로 만들어진 시편의 사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고로슬래그 36.0~39.0 중량%, 플라이애쉬 4.0~5.0 중량%, 조립 규사 40.0~45.0 중량%, 석고 4.0~6.5 중량%,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 2.5~3.5 중량%, 규산나트륨 1.5~2.5 중량%, 재분산성 수지 1.5~2.0 중량% 및 응결조절제 1.5~3.0 중량%를 포함한다.
종래 콘크리트 보수재에 사용되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는 강알칼리성 재료로서 산 및 황산염이 함유되어 있는 지하수나 해수에 약한 특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대신에 잠재 수경성 재료인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쉬를 주원료로 하는 지오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산, 황산염, 염화물 등의 콘크리트 열화 요인에 대하여 우수한 저항성을 가져 이와 같은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콘크리트 열화 요인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시멘트 제조 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산업 부산물을 재활용하여 친환경성을 높일 수 있다.
지오폴리머는 공유결합으로 결합된 무기물 분자의 체인이나 네트워크로서, 무기 폴리머라고도 하며, 일반 시멘트를 제조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다량의 이산화탄소와 비교하여 매우 적은 양의 이산화탄소만을 배출하여, 그린 시멘트라고도 불려진다. 지오폴리머는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하여 칼슘이 적고 미세구조를 가지게 되어 산성 환경에 대하여 매우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며, 미생물이 유발하는 부식에 대하여도 우수한 저항성을 갖는다.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쉬는 풍부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고열처리 과정을 거쳐 이미 비정질의 잠재 수경성을 가진 원료로서 지오폴리머의 주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고로슬래그는 제철 산업에서 발생되는 철 이외의 불순물로 이루어진 산업 부산물로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잠재 수경성 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되는 고로슬래그의 함량은 36.0~39.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로슬래그의 함량이 36.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모르타르 조성물의 초기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39.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경화 모르타르의 위응결로 인한 유동성 감소로 시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플라이애쉬는 화력발전소 등에서 발생되는 석탄재 중 미분탄 연소 보일러의 집진기로 포집되는 입자상의 물질로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잠재 수경성 재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비중이 가벼워 시공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되는 플라이애쉬의 함량은 4.0~5.0 중량%가 바람직하다. 플라이애쉬의 함량이 4.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르타르 조성물의 유동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쉬의 경화 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활성제로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 및 규산나트륨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 및 규산나트륨을 활성제로 함께 이용함으로써, 종래 활성제의 높은 가격 및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응결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활성화제로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와 규산나트륨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저온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규산나트륨의 용해도를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에 의해 극복할 수 있어 활성화제의 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다.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는 지오폴리머의 응결을 촉진시키며 장기적 수화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여, 초기 강도 및 장기 강도 발현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되는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의 함량은 2.5~3.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의 함량이 2.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초기 응결이 늦어지며, 3.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기 응결이 지나치게 빨라질 수 있다.
규산나트륨은 지오폴리머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활성화제의 역할과 함께 수산화칼슘과 반응하여 비정질의 칼슘실리케이트를 생성하여 겔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규산나트륨은 액상형이나, 액상형의 규산나트륨을 사용할 경우 이동시 불편함이나 작업 현장에서 에러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분말형의 규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되는 규산나트륨의 함량은 1.5~2.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규산나트륨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초기 경화 속도가 늦어질 수 있으며, 2.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기 경화가 지나치게 빠르게 진행되며, 습도가 높은 분위기에서 표면에 탄산카보네이트 생성으로 인한 백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러 발생을 최소화하고 효과를 높이기 위한 측면에서, 규산나트륨의 Na2O:SiO2의 몰비는 1:2일 수 있다.
응결조절제는 지오폴리머의 응결 속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응결조절제의 이용에 의해 지오폴리머의 응결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질 경우 작업 공정이 어려워지고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되는 응결조절제의 함량은 1.5~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응결조절제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응결 속도의 적절한 조절이 곤란할 수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응결 속도가 지나치게 지연되어 모르타르의 성능이 저하되고 시공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응결조절제는 이염기 산(dibasic acid), 이염기성 칼슘 포스페이트(dicalcium phosphate), 또는 그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염기 산은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석신산(succin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디옥시타르타르산(dioxytartaric acid), 세바스산(sebacic acid),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응결조절제는 알칼리 금속염일 수 있다.
알칼리 금속염은 LiOH, NaOH, KOH, Na2CO3, Li2CO3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응결 속도의 더욱 효과적인 조절을 위하여 응결조절제는 이염기 산, 이염기성 칼슘 포스페이트, 또는 그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 및 알칼리 금속염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모르타르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이염기 산, 이염기성 칼슘 포스페이트, 또는 그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의 함량은 1.0~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염기 산, 이염기성 칼슘 포스페이트, 또는 그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초기 응결 속도가 늦어지게 되어 작업성은 좋으나 초기 강도 발현이 저하될 수 있으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기 응결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 작업성이 저하된다. 또한, 모르타르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알칼리 금속염의 함량은 0.5~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금속염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초기 응결 속도가 늦어지게 되어 작업성은 좋으나 초기 강도 발현이 저하될 수 있으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기 응결 속도가 지나치게 빠라 작업성이 저하된다.
조립 규사는 모르타르의 뼈대를 이루는 재료로 주로 등급된 모래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입자 지름이 1.0 mm이상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되는 조립 규사의 함량은 40.0~4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 규사의 함량이 40.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작업 속도가 지나치게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4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보수 모르타르 시공면이 거칠게 형성될 우려가 있다.
재분산성 수지는 모르타르에 혼입되는 경우 재유화하여 수지 에멀젼과 유사하게 거동함으로써 방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되는 재분산성 수지의 함량은 1.5~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재분산성 수지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지오폴리머 모르타르의 레올로지가 나빠져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오폴리머의 점도가 상승하여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석고는 고로슬래그가 물과 접촉하여 입자 표면에 생성되는 불투수성 피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불투수성 피막을 제거함으로써 반응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되는 석고의 함량은 4.0~6.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석고의 함량이 4.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고로슬래그의 불투수성 피막 제거가 불충분하여 반응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6.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오폴리머 모르타르 표면에 미반응 성분이 잔류하게 되어 제3의 결정체(망초)를 형성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보강섬유 0.1~0.3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섬유는 모르타르 조성물에 있어서 소성 수축 및 건조 수축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보강섬유의 예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비닐알콜 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열화된 콘크리트의 보수보강에 사용되어 산, 황산염, 염화물 등의 열화 요인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켜 콘크리트의 수명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은 고로슬래그 35.0~37.0 중량%, 플라이애쉬 4.0~5.0 중량%, 조립 규사 5.0~8.0 중량%, 미립 규사 40.0~45.0 중량%, 석고 4.0~6.0 중량%,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 2.0~3.0 중량%, 규산나트륨 1.0~2.0 중량% 및 재분산성 수지 2.0~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은 전술한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의 조성을 약간 변형한 것으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로 만들어진 보수용 모르타르 표면에 코팅되어 일반 OPC 시멘트가 갖는 산에 대한 낮은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보수용 모르타르의 성능을 최대화시킴으로써 콘크리트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미립 규사를 제외한 다른 성분은 전술한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대한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미립 규사는 모르타르의 뼈대를 이루는 재료로 주로 모래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입자 지름이 0.5~1.5 mm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의 구성성분 및 함량은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의 구성성분 및 함량에 기초하되, 콘크리트 표면 보호를 위한 표면 보호용 마감재로서의 코팅 목적에 적합하도록 일부 성분 및 함량이 조절된 것이다. 각 구성성분의 함량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설명된 작용효과 및 표면 보호용 마감재로서의 코팅 효과를 위하여 적절한 범위에서 설정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수보강 방법은 콘크리트 보수 부위에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 콘크리트 보수 부위의 부식된 철근을 교체하고, 녹을 제거한 후, 접착 강화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콘크리트 보수 부위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분 공급 단계 전에, 콘크리트 보수 부위의 열화 원인 및 보수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콘크리트의 열화 부위를 치핑(chipping)하는 단계; 및 치핑된 콘크리트 보수 부위를 고압 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크리트 보수 부위를 측정하여 열화 원인 및 보수 정도를 결정한 후, 콘크리트 열화 부위를 치핑하여 열화 부위를 제거할 수 있다. 열화 부위의 치핑은 전기 해머, 공기타격식 해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열화 부위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열화 부위 치핑 후 세척 전에, 치핑된 콘크리트 표면에 대하여 페놀프탈레인 시약을 이용하여 적색 반응(pH 12 이상)을 확인한다.
적색 반응이 확인되면, 치핑된 콘크리트에 잔류하는 잔재물 청소를 위하여 고압 세척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보수 부위를 세척한다.
다음으로, 콘크리트 보수 부위의 표면이 포화 상태가 되도록 수분을 공급한다.
이어서, 부식 진행이 심한 철근을 교체하고, 녹을 제거한 후, 접착 강화제를 도포한다.
녹 제거는 노출된 철근에 대하여 금속 브러쉬나 연마기 등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녹환원제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녹환원제는 산화철을 환원시켜 철근 주변에 겔 형태를 막을 형성함으로써 녹 진행이 매우 느려지는 안정된 구조를 갖게 할 수 있다.
녹환원제의 예는 탄닌산(tannic acid), 오르토인산(orthophosphoric acid)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 강화제는 콘크리트 보수 부위에 도포된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의 접착력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접착 강화제의 예는 카르복실화 부타디엔 스티렌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철근의 녹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청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크리트 보수 부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도포한다.
도포는 모르타르 조성물을 흙손으로 펴바르는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펌프와 고압공기를 이용한 스프레이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모르타르 조성물 도포 후, 콘크리트 보수 부위에 중성화 저항성 및 내화학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중성화 방지제 또는 내화학성 도막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보수보강 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유해 요소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콘크리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1. 실시예에 사용된 구체적인 성분
본 실시예에 사용된 구체적인 성분의 예를 하기에 나타낸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고로슬래그
- 외관: 백색 분말
- 화학조성: SiO2 30-40%, Al2O3 10-18%, Fe2O3 0.4-0.8%, CaO 40-45%, MgO 1.5-5.7%, SO3 0.4-2.1%, Ig loss > 0.1
- 비중: 2.8-2.9
(2) 플라이애쉬
- 외관: 짙은 회색
- 화학조성: SiO2 50-60%, Al2O3 19-25%, Fe2O3 5-7%, CaO 2-6%, MgO < 1%, SO3 < 1%, Ig loss < 2
- 비중: 2.1-2.3
(3) 비정질 칼슘 알루미네이트
- 외관: 밝은 회녹색 분말
- 화학조성 및 물리적 성능
High-calcium products: CaO 50-55%, Al2O3 38-44%, SiO2 ≤ 5.0%, Fe2O3 ≤ 1.0%, TiO2 ≤ 1.0%, MgO ≤ 1.0%
High-alumina products: CaO ≤ 48%, Al2O3 ≥ 42%, SiO2 ≤ 5.0%, Fe2O3 ≤ 2.0%, TiO2 ≤ 1.0%, MgO ≤ 1.0%
Non-crystallization rate: over 95%
표면적: 4000-5500 g/㎤
(4) 분말 규산나트륨
- 외관: 백색 결정질 분말
- 화학조성: Na2O + SiO2: ≥ 98.5%, Na2O: 25.5-29.0%, SiO2: 49.0-53.0%, 불용해성 물질: ≤ 0.05%, Fe2O3: ≤ 0.020, Al2O3: ≤ 0.20
- Modulus Ratio: 2.00±0.05
- Dissolving Speed(S/30℃): 60 max
- Volume-Density(g·㎖-1): 0.30-0.80
- Particle Size(120 mesh)/%: 95 min
(5) 이염기성 칼슘 포스페이트(dicalcium phosphate)
- 외관: 백색 결정질 분말
- 비중: 2.32
- 입자: 2 ㎜ 90% 이상
(6) 알칼리 금속염(수산화리튬)
- 외관: 백색 분말
- 비중: 2.54
- pH(1% solution/water): 14(강알칼리성)
(7) 조립 규사, 미립 규사
- 조립 규사: #4호사
- 미립 규사: #5~#6호사
(8) 석고
- 외관: 백색 분말
- 비중: 2.96
- 무수 석고(calcium sulfate anhydrate)
(9) 재분산성 수지
- 외관: 백색 분말
- 고형분: ≥99±1%
- ash 함량: 10±2%
- FFT: 0±3℃
(10) 보강 섬유
- 재질: 폴리프로필렌
- 길이: 3~6 mm
- 형태: monofilament
- 직경: 25-40 um
2.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
상기 1에서 준비된 재료를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표시된 함량비에 따라 혼합함으로써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실시예 1) 및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실시예 2)을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실시예 1(중량%) 실시예 2(중량%)
고로슬래그 37.5 37
플라이애쉬 4.5 4
미립 규사 - 43
조립 규사 43.2 5
석고 5 5
비정질 칼슘 알루미네이트 3 3
규산나트륨 2 1
이염기성 칼슘 포스페이트 1.5 -
재분산성 수지 1.5 2
보강섬유 0.3 -
알칼리 금속염 1.5 -
3. 시험결과
(1) 물리 특성 시험
KSF 4042를 기준으로 압축강도, 휨강도 및 부착강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시편은 4 ㎝ × 4 ㎝ × 16 ㎝ 몰드를 이용하였다. 상기 2에서 제조된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실시예 1)과 상기 2에서 제조된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실시예 2)의 시험결과를 일반 OPC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비교예)과 비교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실시예 1) 및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실시예 2)에 대한 시험결과
KSF 4042 기준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압축강도 (N/㎟)
3일 25 22 34
7일 39 34 49
28일 20.0 이상 50 47 64

휨강도 (N/㎟)
3일 6.9 6.2 7.5
7일 8.0 7.8 9.1
28일 6.0 이상 9.3 8.6 11.3

부착강도((N/㎟)
표준조건 1.0 이상 1.6 - 1.8
온냉반복 후 1.0 이상 2.1 - 1.6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은 물리적 특성 측면에서 KSF 4042의 기준을 충족하였으며, 비교예에 따른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를 사용한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과 유사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이 일반 OPC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과 유사한 압축강도, 휨강도, 부착강도 등의 물리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산, 황산염, 염화물 등의 콘크리트 열화 요인에 대하여 우수한 저항성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내산성 시험
내산성 시험을 위하여 일반 OPC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1번 시편), 상기 2에서 제조된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2번 시편) 및 상기 2에서 제조된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3번 시편)을 이용하여 각각 4 ㎝ × 4 ㎝ × 16 ㎝ 크기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도 1은 제작된 시편의 사진이다. 상기 2에서 제조된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한 3번 시편의 경우, 일반 OPC 시멘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로 시편을 제작한 후, 전체 면적의 절반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2에서 제조된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작하였다. 도 2는 이와 같이 제작된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한 3번 시편의 사진이다.
제작된 시편을 14일간 대기 중에서 양생시킨 후, 5% 황산 용액에 넣고 7일 동안 시간 경과에 따른 모르타르 표면의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3 내지 5에 나타낸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 OPC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로 만들어진 1번 시편 및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3번 시편의 마감재 조성물이 도포되지 않은 오른쪽 부위는 심하게 부식되었으나,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로 만들어진 2번 시편은 거의 완벽한 형태를 유지하였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일반 OPC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로 만들어진 1번 시편은 황산과 반응하여 부식이 심하게 진행되었으며, 부식 반응에 따라 형태가 무너져 그로부터 떨어져 나온 침적물이 시편 주변에 쌓였다. 반면,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로 만들어진 2번 시편은 그 형태가 거의 완벽하게 유지되었으며, 시편 주위에 반응으로 인한 침적물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3번 시편의 내산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시편의 우측(일반 OPC 시멘트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은 심하게 부식되었으나, 시편의 좌측(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이 표면에 도포된 부분)은 거의 완벽하게 시편의 형태를 유지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이 일반 OPC 시멘트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에 비하여 산에 대한 저항성이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염화물 저항성 시험
4 ㎝ × 4 ㎝ × 16 ㎝의 몰드 가운데에 철근(rebar)을 삽입하고, 몰드 내에 일반 OPC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및 상기 2에서 제조된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각각 충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염화물 저항성 시험을 위한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된 시편을 등록특허 제10-1579290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측정 장치에 의해 염화물 저항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큰 용기 내에 철망을 깔고 시편을 올려 놓은 다음, 7% 염화칼슘 용액을 시편 상단까지 부었다. 변환기를 이용하여 220볼트의 교류를 24볼트 직류로 변환시켜, (+)극을 시편 중앙의 철근의 부착시키고, (-)극을 용기 내 철망과 연결시켰다. 이후, 전원을 연결하면 염화칼슘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Cl- 및 OH-가 (+)극의 철근 쪽으로 이동하면서 활발히 반응이 진행되며, 이러한 반응을 이용하여 모르타르 표면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 때, 철망은 스테인레스 철망을 사용하였으며,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철망 주변에 칼슘이 축적되는 것을 제거하였다.
도 8은 일반 OPC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로 만들어진 시편의 염화칼슘 용액 침적 후 전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 경우, 전하를 걸어주면 염화칼슘에서 발생된 Cl- 이온이 콘크리트 내부로 들어가 (+)극 시편의 철근에 부착되어 철근의 부식이 진행되었다. 철근이 부식되면서 부피 팽창으로 인해 시편이 균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후 염화칼슘 용액이 철근 표면에 더 빠르게 접근하게 되어 부식 진행이 더 가속화되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OPC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로 만들어진 시편의 경우 초기에는 전류 변화가 없었으나, 시편 2의 경우 균열 발생에 의해 전류 상승이 측정되었다.
도 9는 상기 2에서 제조된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로 만들어진 시편의 염화칼슘 용액 침적 후 전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로 만들어진 시편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전류 상승이 측정되지 않아 균열 발생이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류량도 일반 OPC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에 있어서 측정된 전류량보다 작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지오폴리머 입자가 일반 OPC 시멘트보다 더 미세하여 더 치밀한 조직을 형성함으로써 저항이 커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 10 및 11에 600시간 동안 염화물 저항 시험을 수행한 일반 OPC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시편 및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로 만들어진 시편의 사진을 각각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2번 시편의 경우, 시험 중에 균열이 발생하여 철근에서 발생한 녹의 확산이 상당히 진행되었다. 도 10에 도시된 2번 시편은 도 8에 도시된 1번 시편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약 450시간 후에 균열이 발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도 10의 1번 시편의 경우, 아직 녹이 확산되지는 않았으나, 표면에 약하게 녹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도 11을 참조하면,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로 만들어진 시편의 경우, 동일한 시간 경과에도 불구하고 표면에 전혀 녹이 발생되지 않았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의 경우 염화물에 대하여 강한 저항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은 KSF 4042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품질 기준에 따른 물성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산, 황산염, 염화물 등의 콘크리트 열화 요인에 대한 저항성이 일반 OPC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에 비하여 훨씬 우수하다. 또한, 일반 OPC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보수 모르타르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서 일반 시멘트의 산에 대한 낮은 저항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5)

  1. 고로슬래그 36.0~39.0 중량%, 플라이애쉬 4.0~5.0 중량%, 조립 규사 40.0~45.0 중량%, 석고 4.0~6.5 중량%,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 2.5~3.5 중량%, 규산나트륨 1.5~2.5 중량%, 재분산성 수지 1.5~2.0 중량%, 및 응결조절제로서 이염기성 칼슘 포스페이트(dicalcium phosphate) 1.0~1.5 중량% 및 알칼리금속염 0.5~1.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 및 상기 규산나트륨은 상기 고로슬래그와 상기 플라이애쉬의 반응을 촉진시켜 지오폴리머를 형성하기 위한 활성제로 사용되고,
    상기 이염기성 칼슘 포스페이트 및 상기 알칼리금속염은 지오폴리머의 응결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응결조절제로 사용되며,
    상기 규산나트륨은 Na2O:SiO2의 몰비가 1:2인 분말형 규산나트륨이며,
    상기 알칼리금속염은 LiOH, KOH 또는 그 조합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보강섬유 0.1~0.3 중량%를 더 포함하는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3. 고로슬래그 35.0~37.0 중량%, 플라이애쉬 4.0~5.0 중량%, 조립 규사 5.0~8.0 중량%, 미립 규사 40.0~45.0 중량%, 석고 4.0~6.0 중량%,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 2.0~3.0 중량%, 규산나트륨 1.0~2.0 중량%, 및 재분산성 수지 2.0~2.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비정질 칼슘알루미네이트 및 상기 규산나트륨은 상기 고로슬래그와 상기 플라이애쉬의 반응을 촉진시켜 지오폴리머를 형성하기 위한 활성제로 사용되고,
    상기 규산나트륨은 Na2O:SiO2의 몰비가 1:2인 분말형 규산나트륨이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rdinary portland cement, OPC)로 만들어진 보수용 모르타르의 표면에 도포되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내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
  4. 콘크리트 보수 부위에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
    콘크리트 보수 부위의 부식된 철근을 교체하고, 녹을 제거한 후, 접착 강화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콘크리트 보수 부위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 단계 전에,
    콘크리트 보수 부위의 열화 원인 및 보수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콘크리트의 열화 부위를 치핑(chipping)하는 단계; 및
    치핑된 콘크리트 보수 부위를 고압 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단계는 스프레이 또는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단계 이후,
    콘크리트 보수 부위에 중성화 방지제, 내화학성 도막제, 또는 그 조합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보수보강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101160A 2016-08-09 2016-08-09 친환경 그린시멘트를 이용한 내염화물, 내산 콘크리트 단면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표면 보호 마감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를 보수보강하는 방법 Active KR101694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160A KR101694807B1 (ko) 2016-08-09 2016-08-09 친환경 그린시멘트를 이용한 내염화물, 내산 콘크리트 단면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표면 보호 마감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를 보수보강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160A KR101694807B1 (ko) 2016-08-09 2016-08-09 친환경 그린시멘트를 이용한 내염화물, 내산 콘크리트 단면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표면 보호 마감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를 보수보강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807B1 true KR101694807B1 (ko) 2017-01-11

Family

ID=5783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160A Active KR101694807B1 (ko) 2016-08-09 2016-08-09 친환경 그린시멘트를 이용한 내염화물, 내산 콘크리트 단면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표면 보호 마감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를 보수보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807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350B1 (ko) * 2017-06-19 2018-01-22 (주)주은건설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내산, 내황산염 및 염화 이온 침투 저항성이 우수한 친환경적인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방법
KR101862611B1 (ko) * 2017-11-15 2018-05-31 주식회사 부원지에프씨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콘크리트 보호용 코팅제 조성물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KR101902836B1 (ko) * 2017-06-01 2018-10-01 주식회사 청아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적층 자착형 점착씰 보강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시공공법
KR101894457B1 (ko) 2017-02-07 2018-10-04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해안 침식 방지용 잠제
KR101920266B1 (ko) * 2017-09-30 2018-11-22 주식회사 광림티엔아이 구조보강 및 내진보강성능과 중성화 방지 및 고인장 성능을 갖는 초속경화형 폴리우레아 조성물
KR101921544B1 (ko) * 2017-09-30 2018-11-27 주식회사 광림티엔아이 구조보강 및 내진보강성능과 중성화 방지 및 고인장 성능을 갖는 초속경화형 폴리우레아 조성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장치
KR101923918B1 (ko) * 2017-11-13 2019-02-22 주식회사 광림티엔아이 고인장 초속경화형 폴리우레아 조성물을 이용한 구조보강방법
CN109608080A (zh) * 2019-01-28 2019-04-12 广东工业大学 一种用于绿色凝胶材料的高性能活性激发剂及一种混凝土
KR20190051207A (ko)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삼명이엔씨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하수시설 보수용 내황산 모르타르 분체 조성물
KR102041976B1 (ko) * 2019-02-11 2019-11-07 고흥진 지오폴리머 및 유기 폴리머를 이용한 내산 및 구체 방수 특성을 향상시킨 콘크리트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07721B1 (ko) 2019-08-01 2020-05-07 공병하 안산암 분진 및 비정질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포졸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고강도 모르타르 조성물 및 시공 방법
KR102160181B1 (ko) * 2020-01-22 2020-09-28 공병하 속경형 지오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중앙 분리대 및 경계석의 보수보강 방법
KR20200127561A (ko) 2019-05-03 2020-11-11 주식회사 삼명이엔씨 이온교환수지와 음이온 고정 방청성분을 함유한 고내구성 모르타르 조성물
CN111960763A (zh) * 2020-08-17 2020-11-20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稳定性超高性能混凝土及制备方法
KR102182680B1 (ko) * 2020-05-18 2020-11-25 한일콘(주) 속경형 지오폴리머 보수용 몰탈 및 이를 이용한 측구, 중앙분리대, 경계석의 보수 방법
CN112551930A (zh) * 2020-12-11 2021-03-26 河南理工大学 一种用于碱矿渣水泥的包裹型激发剂及其制备方法
KR102280960B1 (ko) * 2020-07-24 2021-07-26 권영재 친환경 초속 균열보수보강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97068B1 (ko) * 2024-03-05 2024-08-21 하성우 친환경 인공 구조물의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621B1 (ko) 2007-05-02 2007-11-02 고삼석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KR101095349B1 (ko) 2011-06-23 2011-12-16 콘스타주식회사 지르코닐 클로라이드 또는 지르코닐 나이트레이트 하이드레이트를 활성제로 이용한 지오폴리머 시멘트 및 이를 이용한 내산 폴리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KR101141347B1 (ko) * 2011-11-24 2012-05-03 주식회사 세명크리텍 환경 친화적인 지오폴리머 단면복구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철근부식 및 염해, 중성화 억제 콘크리트 단면보수공법
KR20140064766A (ko) * 2011-07-01 2014-05-28 잇판자이단호진 세이산기쥬츠켄큐쇼레이카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의 누수를 동반하는 균열용 보수 재료 및 그 보수 재료를 이용한 그 균열의 보수 방법
KR101507934B1 (ko) * 2014-03-20 2015-04-08 (주)제이엔티아이엔씨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621B1 (ko) 2007-05-02 2007-11-02 고삼석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KR101095349B1 (ko) 2011-06-23 2011-12-16 콘스타주식회사 지르코닐 클로라이드 또는 지르코닐 나이트레이트 하이드레이트를 활성제로 이용한 지오폴리머 시멘트 및 이를 이용한 내산 폴리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KR20140064766A (ko) * 2011-07-01 2014-05-28 잇판자이단호진 세이산기쥬츠켄큐쇼레이카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의 누수를 동반하는 균열용 보수 재료 및 그 보수 재료를 이용한 그 균열의 보수 방법
KR101141347B1 (ko) * 2011-11-24 2012-05-03 주식회사 세명크리텍 환경 친화적인 지오폴리머 단면복구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철근부식 및 염해, 중성화 억제 콘크리트 단면보수공법
KR101507934B1 (ko) * 2014-03-20 2015-04-08 (주)제이엔티아이엔씨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보수방법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457B1 (ko) 2017-02-07 2018-10-04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해안 침식 방지용 잠제
KR101902836B1 (ko) * 2017-06-01 2018-10-01 주식회사 청아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적층 자착형 점착씰 보강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시공공법
KR101820350B1 (ko) * 2017-06-19 2018-01-22 (주)주은건설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내산, 내황산염 및 염화 이온 침투 저항성이 우수한 친환경적인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방법
KR101921544B1 (ko) * 2017-09-30 2018-11-27 주식회사 광림티엔아이 구조보강 및 내진보강성능과 중성화 방지 및 고인장 성능을 갖는 초속경화형 폴리우레아 조성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장치
KR101920266B1 (ko) * 2017-09-30 2018-11-22 주식회사 광림티엔아이 구조보강 및 내진보강성능과 중성화 방지 및 고인장 성능을 갖는 초속경화형 폴리우레아 조성물
KR20190051207A (ko)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삼명이엔씨 아민유도체 및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하수시설 보수용 내황산 모르타르 분체 조성물
KR101923918B1 (ko) * 2017-11-13 2019-02-22 주식회사 광림티엔아이 고인장 초속경화형 폴리우레아 조성물을 이용한 구조보강방법
KR101862611B1 (ko) * 2017-11-15 2018-05-31 주식회사 부원지에프씨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콘크리트 보호용 코팅제 조성물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CN109608080A (zh) * 2019-01-28 2019-04-12 广东工业大学 一种用于绿色凝胶材料的高性能活性激发剂及一种混凝土
KR102041976B1 (ko) * 2019-02-11 2019-11-07 고흥진 지오폴리머 및 유기 폴리머를 이용한 내산 및 구체 방수 특성을 향상시킨 콘크리트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00127561A (ko) 2019-05-03 2020-11-11 주식회사 삼명이엔씨 이온교환수지와 음이온 고정 방청성분을 함유한 고내구성 모르타르 조성물
KR102107721B1 (ko) 2019-08-01 2020-05-07 공병하 안산암 분진 및 비정질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포졸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고강도 모르타르 조성물 및 시공 방법
KR102160181B1 (ko) * 2020-01-22 2020-09-28 공병하 속경형 지오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중앙 분리대 및 경계석의 보수보강 방법
KR102182680B1 (ko) * 2020-05-18 2020-11-25 한일콘(주) 속경형 지오폴리머 보수용 몰탈 및 이를 이용한 측구, 중앙분리대, 경계석의 보수 방법
KR102280960B1 (ko) * 2020-07-24 2021-07-26 권영재 친환경 초속 균열보수보강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1960763A (zh) * 2020-08-17 2020-11-20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稳定性超高性能混凝土及制备方法
CN112551930A (zh) * 2020-12-11 2021-03-26 河南理工大学 一种用于碱矿渣水泥的包裹型激发剂及其制备方法
CN112551930B (zh) * 2020-12-11 2021-08-17 河南理工大学 一种用于碱矿渣水泥的包裹型激发剂及其制备方法
KR102697068B1 (ko) * 2024-03-05 2024-08-21 하성우 친환경 인공 구조물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807B1 (ko) 친환경 그린시멘트를 이용한 내염화물, 내산 콘크리트 단면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표면 보호 마감재 그리고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를 보수보강하는 방법
CN111533517B (zh) 一种高速铁路混凝土轨道板用快速修补砂浆及其制备方法
KR102274310B1 (ko) 장기 내구성 증진을 위한 친환경성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 보강 공법
CA2817668C (en) Geopolymer mortar and method
KR101764895B1 (ko) 백화방지와 염해와 동해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보수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방법
KR102173957B1 (ko) 내산 기능을 가진 미생물과 고황산염 시멘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수중 불분리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67851B1 (ko) Kr파우더가 혼입된 친환경 폴리머 모르터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 보강방법
KR102041976B1 (ko) 지오폴리머 및 유기 폴리머를 이용한 내산 및 구체 방수 특성을 향상시킨 콘크리트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1333403B (zh) 一种磷镁基水泥混凝土涂层防护材料制备方法及应用
KR102323780B1 (ko) 서냉 슬래그 분말을 활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공법
KR102322804B1 (ko) 내구성, 내화학성 및 부착성 향상을 위한 친환경성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 보강 공법
KR101095349B1 (ko) 지르코닐 클로라이드 또는 지르코닐 나이트레이트 하이드레이트를 활성제로 이용한 지오폴리머 시멘트 및 이를 이용한 내산 폴리머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KR102251021B1 (ko) 콘크리트 단면보수용 균열저감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 공법
KR102578340B1 (ko) 노후관 보수용 초속경 고성능 고유동성 그라우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식 노후관 보수 그라우팅 공법
WO2019172349A1 (ja) 耐酸性コンクリート、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及び耐酸性コンクリート製造方法
KR10267892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친환경 방수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2107721B1 (ko) 안산암 분진 및 비정질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포졸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고강도 모르타르 조성물 및 시공 방법
KR101738575B1 (ko) 산 ,황산염 및 염화물에 의해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를 위한 에코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JP4647767B2 (ja) 水硬性組成物及びそのペースト、モルタル、コンクリート
JP3979130B2 (ja) 腐食環境施設用モルタル組成物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腐食防止工法
KR100696987B1 (ko) 보수용 방청 몰탈 조성물
JP7005719B1 (ja) 補修モルタル材料、補修モルタル組成物及び硬化体
KR102624647B1 (ko) 동해, 염해 복합 열화 대응을 위한 알루미나 시멘트 함유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 공법
JP4180949B2 (ja) 耐酸性セメント組成物
JP2001240456A (ja) 耐酸性のモルタル、グラウト及びコンクリート並びに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