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739B1 -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739B1
KR101980739B1 KR1020170062540A KR20170062540A KR101980739B1 KR 101980739 B1 KR101980739 B1 KR 101980739B1 KR 1020170062540 A KR1020170062540 A KR 1020170062540A KR 20170062540 A KR20170062540 A KR 20170062540A KR 101980739 B1 KR101980739 B1 KR 101980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handle
flange
lead film
sea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7117A (ko
Inventor
이병국
김명재
박광수
송희재
유기민
조경식
차규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2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739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4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the cover having an unsealed portion for initiating remo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로부터 리드 필름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리드 필름의 변형으로 인한 제품의 외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instant food packing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즉석식품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로부터 리드 필름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리드 필름의 변형으로 인한 제품의 외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음식의 조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조리기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조리기구가 충분하게 갖추어지는 않은 상황 또는 시간이 충분하게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음식의 조리에 곤란함이 따를 수밖에 없다.
최근 음식의 조리가 곤란한 상황에서 간편하게 취식 가능한 즉석식품의 판매량이 급격하게 늘고 있다.
즉석식품은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하여 단시간 내에 조리할 수 있는바, 조리기구가 충분하게 갖추어지는 않은 상황 또는 시간이 충분하게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다.
한편, 즉석식품 포장 수단의 하나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2137호(공개일 : 2011. 10. 12.)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벽체 내측에 저장부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저장부의 개방을 차단하는 리드 필름;을 포함하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가 있다.
상기한 즉석식품 포장 용기에서 리드 필름은 상기 본체 상단의 테두리를 따라 열접합, 다시 말해 실링되는 바, 저장부 내측으로의 이물질 및 공기 유입이 차단되므로 즉석식품의 보존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실링 상태의 리드 필름은 본체로부터의 제거가 쉽지 않으므로 즉석식품의 취식에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즉석식품 제조 업체에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A') 제조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필름(20')의 일부를 삼각형 형태로 본체(10')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리드 필름(20')의 일부가 본체(10') 외측으로 돌출되면 돌출부위(24)를 파지하여 당김으로써 본체(10')로부터 리드 필름(20')이 비교적 쉽게 제거된다.
그러나, 리드 필름(20')의 일부를 본체(10')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위(24)가 리드 필름(20')의 실링 이후 제품의 살균 과정에서 미치는 고열로 인하여 말리거나 굴곡지며 변형되므로 제품의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본체로부터 리드 필름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리드 필름의 변형으로 인한 제품의 외관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즉석식품 포장 용기 이용시 본체로부터 리드 필름의 제거에 번거로움이 따랐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즉석식품 포장 용기에서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드 필름 일부가 제품 살균 과정에서 미치는 고열로 인하여 변형됨에 따라 제품의 외관 품질이 저하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는, 벽체 내측에 일정한 용적의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 상단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실링되어 상기 저장부의 개방을 차단하는 리드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리드 필름은,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부 내경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실링부;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실링부의 내외측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2실링부; 및 상기 제2실링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플랜지부 외측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미실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플랜지부 외측으로 이어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그 최소 폭이 5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는 1.0-3.0mm 폭의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는 상기 미실링부로 향하는 돌출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구간은 외측으로 향하며 점차로 뽀족해지는 쐐기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실링부는 도트형 또는 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미실링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제조방법은, 벽체 내측에 일정한 용적의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 상단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본체를 준비하는 본체 준비단계; 상기 플랜지부와 외곽이 일치하는 리드 필름을 준비하는 리드 필름 준비단계; 상기 리드 필름의 외곽과 상기 플랜지부의 외곽을 일치시킨 후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상기 리드 필름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를 일정한 폭으로 접합하여 상기 플랜지부의 내경에 인접하는 제1실링부를 형성하는 제1실링부 형성단계;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상기 리드 필름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를 일정한 폭으로 추가 접합하여 상기 제1실링부의 내외측을 포함하여 중첩되는 제2실링부를 형성하는 제2실링부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실링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플랜지부의 최외곽 사이에는 미실링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은, 리드 필름이 제1실링부, 제2실링부 및 미실링부를 포함하는바, 제1실링부 및 제2실링부에 의해 본체 내측의 저장부가 이중으로 밀봉됨으로써 저장부 내에 수용되는 즉석식품이 안정적으로 밀봉될 뿐만 아니라 미실링부 내측으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리드 필름을 들어올림에 따라 제1실링부 및 제2실링부가 비교적 수월하게 박리되므로 이에 의해 본체로부터 리드 필름의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은, 제1실링부 및 제2실링부에 의해 실링되는 리드 필름의 가장자리가 본체 외측으로 미돌출되는바, 제품 살균 과정에서 고열이 미치더라도 리드 필름의 가장자리 및 미실링부 구간 내의 리드 필름이 말리거나 굴곡지는 등의 변형이 방지되므로 리드 필름의 변형으로 인한 제품의 외관 품질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에서 리드 필림의 실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에서 미실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에서 리드 필름의 제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종래 즉석식품 포장 용기에서 리드 필름 박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종래 즉석식품 포장 용기에서 리드 필름 돌출부위의 변형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제조방법의 개략적 공정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A)는, 본체(10) 및 리드 필름(2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벽체(11) 내측에 일정한 용적의 저장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11) 상단 외측으로 일정한 폭의 플랜지부(1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부(12)에 즉석식품(100)을 투입함으로써 상기 본체(10)에 상기 즉석식품(100)이 수용되고, 상기 플랜지부(13)를 따라 상기 리드 필름(20)을 실링함으로써 상기 즉석식품(100)이 밀봉된다.
이와 같은 상기 본체(10)는 상기 플랜지부(13) 외측으로 이어지는 손잡이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14)를 파지함에 따라 조리 과정 및 취식 과정에서 상기 본체(10)의 취급이 용이하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는(14)는 상기 플랜지부(13)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만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례일 뿐 상기 플랜지부(13) 어느 일측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본체(10)에서 상기 플랜지부(13)는 그 최소 폭이 5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부(13)의 최소 폭이 5mm 미만인 경우, 상기 리드 필름(20)의 실링 폭 부족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13)와 상기 리드 필름(20)의 접합이 불안정할 수 있으나, 상기 플랜지부(13)의 최소 폭이 5mm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리드 필름(20)의 실링 폭이 안정적으로 확보되므로 상기 플랜지부(13)와 상기 리드 필름(20)의 접합이 안정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13)의 최소 폭이 5mm 미만인 경우, 상기 리드 필름(20)의 실링 폭 부족에 의해 이중 실링이 곤란할 수 있으나, 상기 플랜지부(13)의 최소 폭이 5mm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리드 필름(20)의 이중 실링이 원활하다.
상기 리드 필름(20)은 상기 플랜지부(13)를 따라 실링되어 상기 저장부(12)의 개방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상기 리드 필름(20)은, 제1실링부(21) 및 제2실링부(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실링부(21)는, 상기 플랜지부(13)를 따라 접합되어 상기 저장부(12)를 밀봉하는 부위이고, 상기 제2실링부(22)는 상기 플랜지부(13)를 따라 접합되어 상기 저장부(12)를 추가 밀봉하는 부위이다.
여기서, 상기 제1실링부(21)는, 상기 플랜지부(13)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부(13)의 내경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실링부(22)는 상기 플랜지부(13)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실링부(21)의 내외측을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실링부(21)에 의해 상기 저장부(12)의 밀봉, 즉 상기 저장부(12) 내측으로의 이물질 및 공기 유입이 차단되고, 상기 제2실링부(22)에 의해 상기 저장부(12)의 추가 밀봉, 즉 상기 저장부(12) 내측으로의 이물질 및 공기 유입이 재차 차단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저장부(12)가 이중으로 밀봉되어 상기 저장부(12)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즉석식품(100)이 안정적으로 보관된다.
한편, 상기 제2실링부(22)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링부(21)가 형성된 이후 형성된다.
따라서, 접합 형태가 선형인 상기 제1실링부(21)를 형성한 이후 접합 형태가 도트형인 상기 제2실링부(22)를 상기 제1실링부(21)에 중첩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2실링부(22)의 영역이 상기 제1실링부(21) 내외곽에 구분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 필름(20)은 미실링부(23)를 포함한다.
상기 미실링부(23)는 상기 플랜지부(13)와 미접합되는 부위이다.
이때, 상기 미실링부(23)는 상기 플랜지부(13)의 최외곽으로부터 상기 본체(10) 내측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미실링부(23)가 상기 제2실링부(2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플랜지부(13) 외측으로 이어질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미실링부(23)를 통해 상기 리드 필름(20)과 상기 플랜지부(13) 사이로 사용자 손가락 투입이 가능하므로 상기 미실링부(23) 내측으로 투입된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리드 필름(20) 일부를 파지하여 들어올림에 따라 상기 제2실링부(22) 및 상기 제1실링부(21)가 쉽게 박리되어 이에 의해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리드 필름(20)의 제거가 용이하다.
한편, 상기 리드 필름(20)에서 상기 제1실링부(21)의 접합 형태는 1.0-3.0mm 폭의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실링부(21)의 폭이 1.0mm 미만인 경우, 실링 폭이 미미함에 따라 상기 제1실링부(21)에 의한 밀봉이 불안정할 수 있고, 상기 제1실링부(21)의 폭이 3.0mm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실링부(21)가 상기 플랜지부(13)의 상당 부분을 차지함에 따라 상기 제2실링부(22)의 형성이 곤란할 수 있는바, 상기 제1실링부(21)는 그 폭이 1.0-3.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실링부(21)는 상기 미실링부(23)로 향하는 돌출구간(21a)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구간(21a)은 상기 미실링부(23)로 향하는 형태적 특성상 상기 미실링부(23) 내측으로 투입된 손가락에 의해 상기 리드 필름(20)이 들어 올려질 때 상기 리드 필름(20)과 함께 자연스럽게 들어 올려지므로 이에 의해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제1실링부(21)의 박리가 원활하다.
이때, 상기 돌출구간(21a)은 외측으로 향하며 점차로 뽀족해지는 쐐기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형태적 특성상 말단의 접합 면적에 비해 선단의 접합 면적이 작아지므로 상기 제1실링부(21) 내측에서 외측으로 작용하는 압력, 즉 전자레인지 등을 통한 조리 시 상기 본체(10) 내의 상기 즉석식품(100)이 가열됨에 따라 상승하는 상기 본체(10) 내부의 압력에 대한 저항성이 커져 상기 본체(10)와의 접합 상태 유지가 원활하면서도 상기 미실링부(23) 내측으로의 손가락 투입에 의해 상기 리드 필름(20)이 들어 올려질 때 더욱 쉽게 들어 올려지므로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제1실링부(21)의 박리가 더욱 원활하다.
한편 상기 제1실링부(21)과 제2실링부(22)는 접합강도에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제1실링부(21)가 형성된 이후, 제2실링부(22)를 중첩하여 추가 형성할 수 있으며, 접합면적이 중첩된 제1실링부(21)의 접합강도는 제2실링부(22)의 접합강도보다 강하게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 필름(20)에서 상기 제2실링부(22)의 접합 형태는 선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가급적 점 형태로 분포하는 도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실링부(22)의 접합 형태가 도트형으로 형성되면 선형으로 형성될 때에 비해 상기 본체(10)와의 접합 면적이 감소하여 상기 미실링부(23) 내측으로의 손가락 투입에 의해 상기 리드 필름(20)이 들어 올려질 때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제2실링부(22)가 비교적 수월하게 박리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리드 필름(20)의 제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미실링부(23)는 그 형태적 특성상 제품 살균 과정에서 고열이 미치더라도 상기 미실링부(23) 구간 내의 상기 리드 필름(20)이 말리거나 굴곡지는 등의 변형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미실링부(23) 내측으로의 손가락 투입에 의해 상기 리드 필름(20)이 들어 올려질 때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제2실링부(22)가 상기 미실링부(23)의 경계를 따라 상기 플랜지부(13) 외측 방향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수월하게 박리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리드 필름(20)의 제거가 용이하다.
여기서, 상기 미실링부(23)는 상기 본체(10)에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부(14)에 배치됨으로써 어느 한 손으로 상기 손잡이부(14)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의 손가락을 상기 미실링부(23) 내측으로 투입하여 상기 리드 필름(20)을 들어올림에 따라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제2실링부(22)가 더욱 수월하게 박리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리드 필름(20)의 제거가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제조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준비단계(S1), 리드 필름 준비단계(S2), 제1실링부 형성단계(S3) 및 제2실링부 형성단계(S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준비단계(S1)는, 벽체(11) 내측에 일정한 용적의 저장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11) 상단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13)가 형성된 본체(10)를 준비한다.
상기 본체(10)에 관한 세부 사항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리드 필름 준비단계(S2)는 상기 플랜지부(13)와 외곽이 일치하는 리드 필름(20)을 준비한다.
상기 제1실링부 형성단계(S3)는 상기 리드 필름(20)의 외곽과 상기 플랜지부(13)의 외곽을 일치시킨 후 상기 플랜지부(13)를 따라 상기 리드 필름(20)과 상기 플랜지부(13) 사이를 일정한 폭으로 접합하여 상기 플랜지부(13)의 내경에 인접하는 제1실링부(21)를 형성한다.
상기 제1실링부(21)에 관한 세부 사항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제2실링부 형성단계(S4)는 상기 플랜지부(13)를 따라 상기 리드 필름(20)과 상기 플랜지부(13) 사이를 일정한 폭으로 추가 접합하여 상기 제1실링부(21)의 내외측을 포함하는 중첩되는 제2실링부(22)를 형성한다.
상기 제2실링부(22)에 관한 세부 사항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제2실링부 형성단계(S4)에서 상기 제2실링부(22)의 가장자리와 상기 플랜지부(13) 최외곽 사이에는 미실링부(2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미실링부(23)를 통해 상기 리드 필름(20)과 상기 플랜지부(13) 사이로 사용자 손가락 투입이 가능하다.
상기 미실링부(23)에 관한 세부 사항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A)의 사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벽체(11) 내측으로 상기 저장부(12)가 형성되는바, 상기 저장부(12)에 상기 즉석식품(100)을 투입함으로써 상기 본체(10) 내에 상기 즉석식품(100)이 수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벽체(11) 상단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플랜지부(13)가 형성되는바, 상기 플랜지부(13)를 따라 상기 리드 필름(20)을 실링함으로써 상기 즉석식품(100)이 밀봉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리드 필름(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실링, 즉 상기 제1실링부(21) 및 제2실링부(22)를 포함하는바, 밀봉 상태가 더욱 안정된다.
다만, 상기 리드 필름(20)이 이중으로 실링 됨에 따라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리드 필름(20) 제거에 번거로움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리드 필름(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링부(22)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플랜지부(13) 외측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미실링부(23)를 포함하는바, 상기 미실링부(23)를 통해 상기 리드 필름(20)과 상기 플랜지부(13) 사이로 사용자 손가락 투입이 가능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실링부(23) 내측으로 투입된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리드 필름(20) 일부를 파지한 후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제1실링부(21) 및 상기 제2실링부(22)가 쉽게 박리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리드 필름(20)의 제거가 용이하다.
또한 이때, 상기 제2실링부(22)의 접합 형태는 도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트형 접합 형태의 경우, 전체적으로 접합이 이뤄지지 않는 빈 공간이 전혀 없이 실링되는 선형 접합 형태에 비해 부분적으로 접합 면적 내 빈공간이 형성되며, 이에 도트형은 선형으로 형성될 때에 비해 상기 본체(10)와의 접합 면적이 감소하여 상기 미실링부(23) 내측으로의 손가락 투입에 의해 상기 리드 필름(20)이 들어 올려질 때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제2실링부(22)가 수월하게 박리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상기 리드 필름(20)의 제거가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미실링부(23) 내측으로의 손가락 투입에 의해 상기 리드 필름(20)이 들어 올려질 때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제2실링부(22)가 상기 미실링부(23)의 경계를 따라 상기 플랜지부(13) 외측 방향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비교적 수월하게 박리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리드 필름(20)의 제거가 더욱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실링부(21)는, 상기 미실링부(23)로 향하되, 쐐기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돌출구간(21a)을 포함하는바, 상기 돌출구간(21a)의 형태적 특성상 상기 미실링부(23) 내측으로의 손가락 투입에 의해 상기 리드 필름(20)이 들어 올려질 때 상기 제1실링부(21)가 더욱 쉽게 들어 올려지며 상기 본체(10)로부터 비교적 수월하게 박리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리드 필름(20)의 제거가 용이하다.
한편, 상기 리드 필름(20)이 실링 후 진행되는 살균 과정에서 미치는 고열에 의해 말리거나 굴곡지는 등 변형되면 제품의 외관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실링부(21) 및 제2실링부(22)에 의해 실링되는 상기 리드 필름(20)의 가장자리는 상기 본체(10) 외측으로 미돌출(실제 상기 리드 필름의 가장자리는 상기 본체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나, 돌출 정도가 극히 미미하므로 미돌출로 기재하였음)되므로 제품 살균 과정에서 고열이 미치더라도 상기 리드 필름(20)의 가장자리 및 상기 미실링부(23) 구간 내의 상기 리드 필름(20)이 말리거나 굴곡지는 등의 변형이 방지되는바, 상기 리드 필름(20)의 변형으로 인한 제품의 외관 품질 저하가 방지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은, 상기 리드 필름(20)이 상기 제1실링부(21), 제2실링부(22) 및 미실링부(23)를 포함하는바, 상기 제1실링부(21) 및 제2실링부(22)에 의해 상기 본체(10) 내측의 상기 저장부(12)가 이중으로 밀봉됨으로써 상기 저장부(12) 내에 수용되는 상기 즉석식품(100)이 안정적으로 밀봉될 뿐만 아니라 상기 미실링부(23) 내측으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리드 필름(20)을 들어올림에 따라 상기 제1실링부(21) 및 제2실링부(22)가 비교적 수월하게 박리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리드 필름(20)의 제거가 용이할 수 있고, 상기 제1실링부(21) 및 제2실링부(22)에 의해 실링되는 상기 리드 필름(20)의 가장자리가 상기 본체(10) 외측으로 미돌출되는바, 제품 살균 과정에서 고열이 미치더라도 상기 리드 필름(20)의 가장자리 및 상기 미실링부(23) 구간 내의 상기 리드 필름(20)이 말리거나 굴곡지는 등의 변형이 방지되므로 상기 리드 필름(20)의 변형으로 인한 제품의 외관 품질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본체 11 : 벽체
12 : 저장부 13 : 플랜지부
14 : 손잡이부 20 : 리드 필름
21 : 제1실링부 21a : 돌출구간
22 : 제2실링부 23 : 미실링부
24 :돌출부위 100 : 즉석식품
A : 즉석식품 포장 용기

Claims (10)

  1. 벽체(11) 내측에 일정한 용적의 저장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11) 상단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13)가 형성된 본체(10); 및
    상기 플랜지부(13)를 따라 실링되어 상기 저장부(12)의 개방을 차단하는 리드 필름(20);을 포함하되,
    상기 리드 필름(20)은, 상기 플랜지부(13)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부(13) 내경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실링부(21); 상기 플랜지부(13)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실링부(21)의 내외측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2실링부(22); 및 상기 제2실링부(2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플랜지부(13) 외측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미실링부(23);를 포함하되,
    상기 미실링부(23)는 상기 플랜지부(13)의 최외곽으로부터 상기 본체(10)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는 상기 플랜지부(13) 외측으로 이어지는 손잡이부(14)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14) 상에 위치한 상기 미실링부(23)는, 상기 손잡이부(14)의 최외곽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손잡이 미실링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14) 상에 위치한 상기 제2실링부(22)는 상기 손잡이 미실링 영역의 양 측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손잡이부(14)의 최외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손잡이 미실링 영역의 양 측 가장자리를 외측에서 감싸는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손잡이 미실링 영역은 상기 손잡이부(14)의 최외곽 방향을 제외하고 양 측 및 내측의 3 방향에서 상기 제2실링부(22)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것인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그 최소 폭이 5mm로 형성되는 것인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는 1.0-3.0mm 폭의 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는 상기 제2실링부의 상기 미실링부로 향하는 돌출구간을 포함하는 것인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구간은 외측으로 향하며 점차로 뽀족해지는 쐐기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부는 도트형 또는 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실링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에 배치되는 것인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9. 벽체(11) 내측에 일정한 용적의 저장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11) 상단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13)가 형성된 본체(10)를 준비하는 본체 준비단계;
    상기 플랜지부(13)와 외곽이 일치하는 리드 필름(20)을 준비하는 리드 필름 준비단계;
    상기 리드 필름(20)의 외곽과 상기 플랜지부(13)의 외곽을 일치시킨 후 상기 플랜지부(13)를 따라 상기 리드 필름(20)과 상기 플랜지부(13) 사이를 일정한 폭으로 접합하여 상기 플랜지부(13)의 내경에 인접하는 제1실링부(21)를 형성하는 제1실링부 형성단계;
    상기 플랜지부(13)를 따라 상기 리드 필름(20)과 상기 플랜지부(13) 사이를 일정한 폭으로 추가 접합하여 상기 제1실링부(21)의 내외측을 포함하여 중첩되는 제2실링부(22)를 형성하는 제2실링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실링부(22)의 가장자리와 상기 플랜지부(13) 최외곽 사이에는 미실링부(23)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10)는 상기 플랜지부(13) 외측으로 이어지는 손잡이부(14)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14) 상에 위치한 상기 미실링부(23)는, 상기 손잡이부(14)의 최외곽에 위치하며 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손잡이 미실링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14) 상에 위치한 상기 제2실링부(22)는 상기 손잡이 미실링 영역의 양 측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손잡이부(14)의 최외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손잡이 미실링 영역의 양 측 가장자리를 외측에서 감싸는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손잡이 미실링 영역은 상기 손잡이부(14)의 최외곽 방향을 제외하고 양 측 및 내측의 3 방향에서 상기 제2실링부(22)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것인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170062540A 2017-05-19 2017-05-19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0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540A KR101980739B1 (ko) 2017-05-19 2017-05-19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540A KR101980739B1 (ko) 2017-05-19 2017-05-19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117A KR20180127117A (ko) 2018-11-28
KR101980739B1 true KR101980739B1 (ko) 2019-05-21

Family

ID=6456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540A KR101980739B1 (ko) 2017-05-19 2017-05-19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7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2892A (ja) * 2011-09-02 2013-03-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加熱用容器及びそれに用いる蓋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3436B2 (ja) * 2003-02-26 2008-08-13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開封性包装体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2892A (ja) * 2011-09-02 2013-03-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加熱用容器及びそれに用いる蓋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117A (ko)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3325B2 (en) Food storage and cooking vessel
JP3143343U (ja) 吸着カップ蓋
JP6943982B2 (ja) 蒸気排出部が具備された調理用容器
JP7415189B2 (ja) 電子レンジ用容器の製造方法
KR102012769B1 (ko)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JP4860673B2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容器
KR200491706Y1 (ko) 전자레인지용 즉석식품 밀봉용기
JPH10316177A (ja) 電子レンジ用食品容器
KR101980739B1 (ko) 이중 실링부를 갖는 즉석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10002036A1 (en) Packaged food product for heating in oven
JP3751194B2 (ja) 電子レンジ対応の包装容器
JP2008074420A (ja) 中容器付き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KR102506105B1 (ko) 밸브를 구비하는 음식 저장 및 조리 용기
JP2010215259A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容器
JP4468479B1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JP2001328686A (ja) 密封式のトレイ型容器
JP2001287776A5 (ko)
CN211996852U (zh) 一种新型食物保鲜盒
JP6011757B2 (ja) 加熱用容器及びそれに用いる蓋材
JP3204124U (ja) 食品容器
JP4121990B2 (ja) 密閉容器
JP3040707B2 (ja) 成形容器
WO2012072086A1 (en) Microwavable packaging assembly
JP7362329B2 (ja) 容器
JP3144711U (ja) 電子レンジ用食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