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873B1 - 채광조절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채광조절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873B1
KR101979873B1 KR1020180076111A KR20180076111A KR101979873B1 KR 101979873 B1 KR101979873 B1 KR 101979873B1 KR 1020180076111 A KR1020180076111 A KR 1020180076111A KR 20180076111 A KR20180076111 A KR 20180076111A KR 101979873 B1 KR101979873 B1 KR 101979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ight transmitting
light
transmitting film
pr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레넬팩토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레넬팩토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레넬팩토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76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873B1/ko
Priority to PCT/KR2018/010746 priority patent/WO202000471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채광조절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채광조절장치는 태양의 고도가 제1 고도범위 내이면, 표면에 비대칭의 프리즘이 형성된 투광필름의 제1 면이 창문 바깥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태양의 고도가 제2 고도범위 내이면, 상기 투광필름의 제2 면이 창문 바깥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Description

채광조절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natural lightings}
본 발명은 실내로 들어오는 채광을 조절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로 들어오는 빛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이나 가정 등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으로 인해 창문 근처는 매우 밝은 반면 창문에서 먼 곳은 상대적으로 어둡다. 또한, 창문 근처의 직사광선으로 인해 창문 근처에 위치한 LCD 모니터 등이 잘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 등에서 실내로 들어오는 채광을 조절하기 위하여 블라인드나 차단필름을 사용한다. 그러나 블라인드나 차단필름은 햇빛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단하므로 실내로 들어오는 광량이 감소하여 실내를 어둡게 만든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내에 들어오는 빛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채광조절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광조절장치의 일 예는, 표면에 프리즘이 형성된 투광필름; 및 상기 투광필름의 배치 방향을 전환하는 필름장착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광조절장치의 일 예는, 표면에 제1 프리즘이 형성된 제1 투광필름; 표면에 제2 프리즘이 형성된 제2 투광필름; 및 상기 제1 투광필름 및 상기 제2 투광필름을 각각 감거나 푸는 필름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광필름과 상기 제2 투광필름의 굴절각도는 서로 다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광조절장치의 일 예는, 표면에 프리즘이 형성된 투광필름; 및 상기 투광필름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광조절방법의 일 예는, 태양의 고도가 제1 고도범위 내이면, 표면에 비대칭의 프리즘이 형성된 투광필름의 제1 면이 창문 바깥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태양의 고도가 제2 고도범위 내이면, 상기 투광필름의 제2 면이 창문 바깥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로 유입되는 빛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 고도에 따라 빛의 방향을 조절하여 채광이 실내 특정 영역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지 않으므로 자연광을 이용하여 실내를 일정 이상 밝게 만들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광 조절에 사용되는 투광필름의 일 예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광필름을 통과하는 빛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채광조절장치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광조절방법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광조절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광 조절에 사용되는 투광필름의 일 예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투광필름(100,200,300,400)은 지지필름(110,210,310)과 지지필름(110,210,310)의 일 평면에 형성된 프리즘(120,220,320)을 포함한다. 지지필름(110,210,310)과 프리즘(120,220,320)은 한 가지의 폴리머 재질과 여러 가지의 이종 재질을 합성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재질에 따라 광투과율과 굴절율, 또는 자외선에 대한 반응이 다르므로, 이를 이용하여 투광필름(100,200,300,400)의 투광성능 및 내구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지지필름(110,210,310)은 투광성을 가진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필름 또는 PMMA(Polymethyl methacrylate) 필름으로 형성되고, 프리즘(120,220,320)은 자외선 경화 수지(UV resin) 또는 PC(polycarbonat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25㎛ 두께의 지지필름(110,210,310)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60㎛ 두께로 도포하고 자외선으로 경화시킨다. 그리고 자외선 경화 수지의 표면을 프리즘 패턴으로 잘라낸다. 이때, 프리즘 패턴과 대응되는 패턴의 칼날이 형성된 롤러를 이동하여 프리즘(120,220,320)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리즘(120,220,320)은 10㎛ 두께의 기저층(130,230,330)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즘(120,220,320)을 50㎛ 깊이로 형성하면 10㎛ 두께의 기저층(130,230,330)이 형성된다.
일 실시 예로, 투광필름(100,200,300,4000의 상부에 별도의 지지필름을 추가함으로써 프리즘(120,220,320)을 보호할 수 있고 IR 코팅 등을 통해 열차단율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투광필름(100,200,300,400)의 두께 등은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일 뿐 본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의 투광필름(100,200,300,400)은 종래의 다양한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지지필름(110,210,310)과 프리즘(120,220,320)은 폴리에스테르나 자외선 경화 수지 외에 투광성을 지닌 다양한 종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리즘(120,220,320)은 비대칭형이다. 즉, 프리즘의 두 경사의 각도는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도 1의 프리즘(120)은 지지필름(110)의 평면에 대한 법선과 15도, 40도의 사잇각을 가진 두 경사를 포함하고, 도 2의 프리즘(220)은 지지필름의 평면에 대한 법선과 15도, 46도의 사잇각을 가진 두 경사를 포함하고, 도 3의 프리즘(320)은 지지필름의 평면에 대한 법선에 대해 0도 및 80도의 경사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프리즘 중 어느 하나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형태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투광필름은 일정간격(예를 들어, 1mm 간격)으로 프리즘이 존재하는 영역(420)과 존재하지 않는 영역(410)이 반복된다. 도 4의 투광필름(400)은 프리즘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410)을 통해 외부 시야 확보가 다른 투광필름(100,200,300)보다 유리하다.
투광필름(100,200,300,400)에 입사하는 광은 프리즘(120,220,320)에 의해 굴절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입사각도(도 5의 a)에 따라 입사광의 굴절각도(도 5의 b)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의 투광필름을 창문에 설치한 경우에 시간에 따라 태양 고도가 변경되면 창문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빛의 굴절각도가 달라진다. 투광필름(100,200,300,400)의 프리즘(120,220,320)의 경사 각도에 따라, 실내 유입되는 빛이 태양 고도가 낮은 아침에는 바닥으로 굴절되나(도 5의 (B) 참조), 태양 고도가 높은 오후에는 바닥이 아닌 천장으로 굴절될 수 있다(도 5의 (A) 참조). 실내 들어오는 빛의 굴절각도가 태양 고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빛이 굴절되어 들어올 수 있다. 이에 본 실시 예는 투광필름(100,200,300,400)의 배치방향을 전환하여 태양의 고도와 관계없이 빛이 실내 일정한 방향으로 들어오는 방법을 도 6 이하에서 제시한다.
입사광은 프리즘(120,320,420)의 경사각도에 따라 굴절각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입사광에 대해 다양한 굴절각도를 가진 투광필름(100,200,300,400)은 프리즘(120,320,420)의 두 경사의 각도를 조절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동일 투명필름이라도 그 배치방향을 다르게 하면, 입사광의 굴절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광필름(100,200,300,400)을 도면 그대로 배치하는 방법, 상하 방향을 바꾸어 배치하는 방법, 좌우 방향을 바꾸어 배치하는 방법, 상하 및 좌우의 모든 방향을 바꾸어 배치하는 방법 등 4가지의 배치 방법이 존재하며, 4가지 배치 방법에 따라 입사광에 대한 굴절각도가 서로 달라진다. 따라서 투광필름(100,200,300,400)의 두 경사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투광필름의 배치방향에 따라 입사광에 대한 다양한 굴절각도를 가진 투광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각 투광필름(100,200,300,400)의 굴절각도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프리즘(120,320,420)이 형성된 도 1 내지 도 3의 투광필름(100,200,300)에 대해, 기 설정된 굴절각도 범위(예를 들어, 0~60도)로 굴절되는 입사광의 입사각도 범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동일 투광필름(100,200,300,400)에 대해 그 배치방향에 따라, 기 설정된 굴절각도 범위(예를 들어, 0~60도)로 굴절되는 입사광의 입사각도 범위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태양 고도(즉, 입사광의 입사각도)에 따라 투광필름의 배치방향을 전환하거나 서로 다른 투광필름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실내 특정 영역으로 채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6 이하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 이하의 투광필름의 일 예로, 도 1 내지 도 4에서 살펴본 투광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대칭형의 프리즘이 형성된 다양한 종류의 투광필름이 도 6 이하의 실시 예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채광조절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채광조절장치는 투광필름(600)과 투광필름(600)의 배치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필름장착부(610)를 포함한다.
필름장착부(610)는 투광필름(600)의 너비보다 긴 길이를 가진 원통 형태이다. 필름장착부(610)의 양단은 창문 등과 같이 채광 조절이 필요한 곳의 일측에 접착제나 못 등 종래의 다양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투광필름(600)은 도 7과 같이 필름장착부(610)에 걸쳐지는 형태로 설치된다. 투광필름(600)의 오른쪽이 아래로 내려오는 경우(A)와 투광필름의 왼쪽이 아래로 내려오는 경우(B)가 존재한다. (A) 경우의 투광필름의 배치방향은 (B) 경우의 투광필름의 배치방향에 대해 상하 및 좌우가 바뀐다. 즉, 프리즘의 배치 형태가 바뀌어 동일한 입사각도에 대해, (A) 경우의 굴절각도와 (B) 경우의 굴절각도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투광필름(600)의 너비 및 길이는 채광조절장치가 설치되는 창문의 너비 및 높이에 해당하거나, 창문의 높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광필름(600)의 길이가 창문 높이의 2배 이상이면, 투광필름의 오른쪽이 아래로 내려오고 왼쪽이 모두 위로 올라가서 창문에 오른쪽의 투광필름(600)만 배치되는 경우(A)와 투광필름(600)의 왼쪽이 아래로 내려오고 오른쪽이 모두 위로 올라가서 창문에 투광필름(600)의 왼쪽만 배치되는 경우(B)와 함께 투광필름의 오른쪽 및 왼쪽이 균등하게 양쪽으로 내려와 창문에 모두 배치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투광필름(600)의 오른쪽 및 왼쪽이 균등하게 내려와 창문에 배치되면, 입사광은 굴절각도가 서로 다른 오른쪽의 투광필름과 및 왼쪽의 투광필름(600)을 모두 통과하여야 하므로 입사각도에 따라 입사광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차단되거나 입사광이 실내 특정 영역으로 굴절될 수 있다.
투광필름(600)의 양단에 일정한 무게를 가진 막대(602,604)가 존재할 수 있다. 막대(602,604)를 이용하여 투광필름(600)이 창문에 평평한 형태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막대(602,604)는 생략 가능하다. 다른 예로, 투광필름(600)의 양단에 고리, 벨크로(Velcro) 또는 끈 등의 다양한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투광필름을 창문 아래쪽에 고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채광조절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서 살핀 채광조절장치는 투광필름(600)의 오른쪽 또는 왼쪽을 과도하게 당기는 경우 투광필름(600)이 필름장착부(610)를 이탈하여 아래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의 채광조절자치는 투광필름(700) 두께보다 두껍고 투광필름(700) 양단의 막대(702,704)의 두께보다 좁은 슬릿구조를 포함하는 필름장착부(710)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의 실시 예에서, 필름장착부(610,710)는 창문 등과 같이 채광 조절이 필요한 곳에 고정되며, 사용자가 필름장착부(610,710)에 걸쳐진 투광필름(600,700)의 오른쪽 또는 왼쪽을 당길 수 있다. 다른 예로, 필름장착부(610,710)는 모터를 포함하며, 투광필름(600,700)이 걸쳐지는 필름장착부(610,710)의 원통부분이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모터와 연결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필름장착부(610,710)의 원통부분을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회전시켜 투광필름(600,700)이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내려오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필름장착부(610,710)는 별도의 제어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장치는 타이머 기능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에 필름장착부(610,710)의 모터를 제어하여 투광필름(600,700)의 오른쪽 또는 왼쪽이 아래로 내려오도록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채광조절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채광조절장치는 병렬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투광필름(800,81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개의 투광필름(800,810)을 도시하고 설명한다.
제1 투광필름(800)과 제2 투광필름(810)은 동일한 입사각도에 대해 서로 다른 굴절각도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투광필름(800)과 제2 투광필름(810)은 동일한 투광필름이며, 다만, 그 배치방향(예를 들어, 상하 방향, 좌우방향, 상하 및 좌우 방향 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투광필름(800)과 제2 투광필름(810)은 프리즘이 서로 대칭되지 않는 서로 다른 투광필름일 수 있다.
필름장착부(820,830)는 제1 투광필름(800)과 제2 투광필름(810)을 각각 감거나 푸는 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필름장착부(820)가 제1 투광필름(800)을 모두 감고, 제2 필름장착부(830가 제2 투광필름(810)을 아래로 푸는 경우(A), 제1 필름장착부(820)가 제1 투광필름(800)을 아래로 풀고, 제2 필름장착부(830)가 제2 투광필름(820)을 모두 감는 경우(B), 또는 제1 및 2 필름장착부(820,830)가 모두 제1 및 제2 투광필름(800,810)을 아래로 모두 푼 경우(C) 등이 존재한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채광조절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채광조절장치는 투광필름이 탈부착되는 필름장착부(910)를 포함한다. 필름장착부(910)는 투광필름(900)의 막대(902,904)가 걸쳐질 수 있는 홈(920)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투광필름(900)의 양단의 막대(902,904)를 필름장착부(910)에 다양한 배치방향으로 탈부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채광조절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채광조절장치는 투광필름(1000)의 배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제어부(1010,1020))를 포함한다. 각 각도제어부(1010,1020)는 투광필름(1000)의 양단이 연결된 고정부(1002,1004)를 일정 길이 내에서 왼쪽-오른쪽으로 이동시켜 투광필름(1000)의 배치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부(1002)가 가장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제2 고정부(1004)가 가장 왼쪽으로 이동하는 경우(A)에 투광필름(1000)의 배치각도는 제1 각도(θ1)가 되고, 제1 고정부(1002)가 가장 왼쪽으로 이동하고 제2 고정부(1004)가 가장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B)에 투광필름(1000)의 배치각도는 제2 각도(θ2)가 된다.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입사광의 각도에 따라 투광필름의 배치각도를 달리하여 입사광이 실내 특정 영역으로 향하도록 굴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투광필름(1000)의 위쪽 및 아래쪽이 모두 일정 거리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투광필름의 위쪽 또는 아래쪽만 움직임이 가능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각 각도제어부(1010,1020)는 투광필름(1000)이 연결된 고정부(1002,1004)를 이동시키는 모터와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스위치와 연결되며, 사용자는 스위치 조작을 통해 모터를 제어하여 고정부(1002,1004)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는 타이머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따라 모터를 제어하여 고정부(1002,1004)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각 시간별 원하는 투광필름의 배치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광조절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태양의 고도가 제1 고도 범위 내이면, 투광필름의 제1 면이 창문 밖을 향하도록 배치한다(S1100). 태양의 고도가 제2 고도 범위 내이면, 투광필름의 제2 면이 창문 밖을 향하도록 배치한다(S1110). 투광필름의 서로 다른 면이 창문 밖을 향할 수 있도록, 도 6 내지 도 10의 채광조절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투광필름의 배치 방향의 전환은 제어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광조절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채광조절장치는 태양 고도를 파악한다(S1200). 또는 채광조절장치는 시간별 또는 계절별 태양고도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채광조절장치는 태양 고도에 따라 도 10의 채광조절장치의 투광필름의 배치각도를 제어한다(S1210).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광필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투광필름의 오염을 방지하고 스크래치에 대한 내구성을 증가하며 IR 차단기능을 포함하는 투광필름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프리즘(1310) 표면에 PET(polyester) 필름으로 이루어진 보호층(1330)을 접착제(1320)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보호층(1330)의 표면에 IR 코팅층(1340)을 형성한다. 또한, 지지필름(1300)의 아래에는 접착제(1350)와 얇은 보호필름(1360)이 존재한다. 도 13의 실시 예는 아래의 보호필름(1360)을 제거한 후 창문 등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필름(1300)은 PMMA으로 구성되고, 프리즘(1310)은 PC로 구성되고, 보호층(1330)은 PET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창문 등의 부착을 위하여 지지필름(1400)의 아래에는 접착제(1440)가 존재하고, 프리즘(1410)의 상단에는 보호층(1420)과 IR 코팅층(1430)이 존재한다. 지지필름(1400)은 PET로 구성되고, 프리즘(1410)은 PC 또는 자외선 경화 수지(UV resin) 등으로 형성되고, 보호층(1420)은 PC 또는 PET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보호층과 프리즘 사이에 접착제가 존재할 수 있다. 도 14의 실시 예는 지지필름(1400)이 창문 등을 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지지필름(1500)과 프리즘(1510)의 방향은 도 13 및 도 14와 반대 방향이다. 프리즘(1510)의 아래쪽에 접착제(1520)를 이용하여 부착된 보호층(1530)과 보호층(1530) 아래에 IR 코팅층(1540)이 존재한다. 본 실시 예는 IR 코팅층(1540)이 창문을 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지지필름(1500)은 PET로 형성되고, 프리즘은 자외선 경화 수지(UB resin)로 형성되고, 보호층은 PMM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표면에 프리즘이 형성된 투광필름; 및
    상기 투광필름의 배치방향을 전환하는 필름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즘은 0보다 큰 서로 다른 각도의 두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투광필름은 상기 필름장착부에 걸쳐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투광필름의 오른쪽을 아래로 내릴 때와 왼쪽을 아래로 내릴 때 프리즘이 향하는 방향이 달라지고,
    상기 투광필름의 배치방향의 전환을 이용하여 태양 고도와 관계없이 빛이 실내 일정한 방향으로 들어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장착부는 상기 투광필름의 너비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진 원통형태이고,
    상기 필름장착부에 걸쳐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상기 투광필름의 오른쪽을 아래로 내릴 때와 왼쪽을 아래로 내릴 때의 배치방향은 상하 및 좌우가 서로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조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비대칭형이고,
    상기 투광필름의 굴절각도는 비대칭형의 프리즘으로 인해 배치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조절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필름의 양단에 위치한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장착부는 상기 투광필름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막대의 두께보다 좁은 슬릿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투광필름은 상기 슬릿구조를 통과하여 걸쳐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조절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태양의 고도가 제1 고도범위 내이면, 상기 투광필름의 제1 면이 창문 바깥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태양의 고도가 제2 고도범위 내이면, 상기 투광필름의 제2 면이 창문 바깥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조절장치.
KR1020180076111A 2018-06-29 2018-06-29 채광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1979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111A KR101979873B1 (ko) 2018-06-29 2018-06-29 채광조절장치 및 그 방법
PCT/KR2018/010746 WO2020004711A1 (ko) 2018-06-29 2018-09-13 채광조절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111A KR101979873B1 (ko) 2018-06-29 2018-06-29 채광조절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873B1 true KR101979873B1 (ko) 2019-05-17

Family

ID=66678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111A KR101979873B1 (ko) 2018-06-29 2018-06-29 채광조절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9873B1 (ko)
WO (1) WO202000471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1077A (ja) * 1992-02-21 1993-09-07 Asahi Glass Co Ltd 二重窓
JP2502614Y2 (ja) * 1989-08-08 1996-06-26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ロ―ルブラインドの衝突音防止装置
JPH11280350A (ja) * 1998-03-31 1999-10-12 Sanyo Electric Co Ltd プリズム面を有する窓
KR20120039392A (ko) * 2010-10-15 2012-04-25 주식회사 유일 길이조절이 가능한 커튼행거
KR20120087599A (ko) * 2011-01-28 2012-08-07 조인희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JP2017053104A (ja) * 2015-09-07 2017-03-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日除け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614Y2 (ja) * 1989-08-08 1996-06-26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ロ―ルブラインドの衝突音防止装置
JPH05231077A (ja) * 1992-02-21 1993-09-07 Asahi Glass Co Ltd 二重窓
JPH11280350A (ja) * 1998-03-31 1999-10-12 Sanyo Electric Co Ltd プリズム面を有する窓
KR20120039392A (ko) * 2010-10-15 2012-04-25 주식회사 유일 길이조절이 가능한 커튼행거
KR20120087599A (ko) * 2011-01-28 2012-08-07 조인희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JP2017053104A (ja) * 2015-09-07 2017-03-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日除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4711A1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6131C2 (ru) Све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JP6461600B2 (ja) 採光フィルム、採光フィルムの原反ロール、窓ガラス、ロールスクリーンおよび採光ルーバー
US10184623B2 (en) Downlight structures for direct/indirect lighting
US11499367B2 (en) Light-redirecting window covering
RU2660919C1 (ru) Освет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освет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6639019B2 (ja) 採光スラット及び採光装置
JP6642872B2 (ja) 採光部材、採光装置、ロールスクリーン及びブラインド
US20170314752A1 (en) Daylighting device and daylighting system
US10385608B2 (en) Daylighting device
US20180291681A1 (en) Daylighting member, method for manufacturing daylighting member, and daylighting apparatus
EP3372889A1 (en) Daylighting device
WO2017188318A1 (ja) 採光装置および採光システム
JPWO2016175207A1 (ja) 採光システム
US20150337593A1 (en) Prismatic Window Shade To Provide Daylight Directing Control
US20190041017A1 (en) Daylighting blind, day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US10393334B2 (en) Daylighting member, daylighting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for daylighting member
JP6715584B2 (ja) 採光フィルム
KR101979873B1 (ko) 채광조절장치 및 그 방법
WO2018003970A1 (ja) 採光装置
JP2016118608A (ja) 採光装置、採光システム
JP6757467B2 (ja) 採光装置
JPWO2019054410A1 (ja) 採光装置
JP6684709B2 (ja) 採光装置
WO2018101393A1 (ja) 採光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