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136B1 - 연결 확립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연결 확립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136B1
KR101979136B1 KR1020177024553A KR20177024553A KR101979136B1 KR 101979136 B1 KR101979136 B1 KR 101979136B1 KR 1020177024553 A KR1020177024553 A KR 1020177024553A KR 20177024553 A KR20177024553 A KR 20177024553A KR 101979136 B1 KR101979136 B1 KR 101979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connection
service
identifi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9661A (ko
Inventor
동쿤 리
차오펑 멍
커 왕
Original Assignee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09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연결 확립 방법 및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그 방법은: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며, 연결을 위해 요청되는 제2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식별자 및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것; 및 연결 참조 정보를 획득하고,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연결 참조 정보가 충족한다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클라이언트와 제1 클라이언트 사이의 연결을 확립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서비스 처리에 필요한 연결을 실현한다.

Description

연결 확립 방법 및 디바이스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빈번하게 발생한다: 사용자 A가 문제에 대해 사용자 B에게 연락해야 하지만, 그러나 사용자 A는 사용자 B의 연락처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사용자 B와 연락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문제는 원활하게 진행될 수 없다: 그러나, 사용자 B의 관점에서, 임의의 무작위의 연락에 의해 방해 받기를 좋아하지는 않지만, 상기 언급된 문제의 처리를 위해서만은 연락을 받고 싶어 할 것이다. 현재, 사용자 A와 사용자 B 양자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는 것은 여전히 불가능하다.
상기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서비스 처리에 필요한 연결을 실현하기 위해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솔루션에 의해 구현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연결 확립 방법이 제공되는데, 연결 확립 방법은: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며, 연결을 위해 요청되는 제2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식별자 및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것;
연결 참조 정보를 획득하고,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연결 참조 정보가 충족한다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클라이언트와 제1 클라이언트 사이의 연결을 확립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행되는 연결 확립 방법이 제공되는데, 연결 확립 방법은:
연결을 위해 요청되는 제2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식별자 및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는 것;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연결 참조 정보가 충족한다는 것을 서버가 결정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클라이언트와의 서버를 통한 연결을 확립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연결 확립 디바이스가 제공되는데, 연결 확립 디바이스는: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며, 연결을 위해 요청되는 제2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식별자 및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요청 수신 모듈;
연결 참조 정보를 획득하도록, 그리고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연결 참조 정보가 충족한다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클라이언트와 제1 클라이언트 사이의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연결 확립 디바이스가 제공되는데, 연결 확립 디바이스는:
연결을 위해 요청되는 제2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식별자 및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요청 전송 모듈;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연결 참조 정보가 충족한다는 것을 서버가 결정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클라이언트와의 서버를 통한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확립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따르면, 두 클라이언트 사이의 연결은,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연결 참조 정보가 충족하는 경우에만 확립되는데, 이것은 서비스 처리를 위해 필요로 되는 연결을 실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확립 방법의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확립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연결 확립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확립 방법을 위해 차량(car)을 이동시키는 시나리오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또 다른 연결 확립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확립 방법의 인터페이스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또 다른 연결 확립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확립 디바이스의 구조도를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연결 확립 디바이스의 구조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또 다른 연결 확립 디바이스의 구조도.
본 출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확립 방법은, 사용자 A와 사용자 B 사이에서 서비스가 수행되어야 하고 서비스 제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의 연결 확립에 적용된다. 연결 확립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응용 시나리오는, 다음 두 가지 시나리오를 예로 들어 간략하게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장씨(Zhang)는 쇼핑을 하기 위해 길가에 그의 차량을 주차한다. 그러나, 장씨는 차량에 자신의 연락처 정보를 남기는 것을 잊어 버린다; 사용자 왕씨(Wang)는, 장씨의 차량이 자신이 가는 길을 막고 있기 때문에, 차량을 몰고 지나 가려다 정지해야 한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는, 왕씨가 장씨에게 연락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차량 이동" 필요성에 의해 야기되는 연결 요청은 "차량 이동" 서비스로 칭해질 수도 있으며, 장씨와 연결하기 위한 왕씨에 의한 요청은 차량 이동 서비스에 의해 야기된다.
또 다른 예의 경우, 장씨는 한 쇼핑몰에 있는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하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린다. 발급된 대기 번호가 100에 달하는 줄에는 많은 사람들이 있으며, 줄에서 장씨 앞에는 50명이 있다. 장씨는 대기 시간이 너무 길다고 생각하여, 레스토랑에 자신의 연락처 정보를 남기지 않고 쇼핑몰을 돌아다닌다; 거의 장씨의 번호에 도달하는 경우, 레스토랑은 장씨에게 연락하기를 원하고 가능한 한 빨리 돌아올 것을 그에게 상기시킨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레스토랑이 장씨에 연락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대기 행렬(queuing)" 필요성에 의해 야기되는 연결 요청은 "대기 행렬" 서비스로 칭해질 수도 있으며, 장씨와 연결하기 위한 레스토랑에 의한 요청은 대기 행렬 서비스에 의해 야기된다.
확실히, 상세히 열거되지 않을 많은 유사한 예가 있다; 상기의 예로부터, 본 출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확립 방법의 목적은, 왕씨가 장씨와 연락이 닿아 장씨가 차량을 이동하러 돌아올 수 있도록, 또는 레스토랑이 장씨와 연락이 닿아 장씨가 레스토랑에서의 식사를 하러 돌아올 수 있도록, 사용자 A와 사용자 B 사이에서 서비스가 처리되어야 할 때 연결 확립을 달성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장씨에게는, 차량 이동 또는 대기 행렬과 같은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 때문에만 연락을 하고, 그를 무작위적으로 괴롭히지 않을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확립 방법은 도 1에서 도시되는 시스템 아키텍처를 수반한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은 서버(11), 제1 클라이언트(12) 및 제2 클라이언트(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클라이언트(12) 및 제2 클라이언트(13)는, 연결될 사용자 A 및 사용자 B에 각각 대응하는 클라이언트일 수도 있고, 한편 서버(11)는 이들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서버이다. 예로서, 상기의 차량 이동 시나리오에서, 장씨와 왕씨는 그들의 스마트폰 상에 "알리페이 웰릿(Alipay Wallet)"을 설치할 수 있다. 장씨의 스마트폰 상의 알리페이 웰릿은 제1 클라이언트로 칭해질 수도 있고, 왕씨의 스마트폰 상의 알리페이 웰릿은 제2 클라이언트로 칭해질 수도 있으며, 상응하여, 서버(11)는 알리페이 서버(Alipay server)이다. 연결 확립은 알리페이 서버와 알리페이 웰릿 사이의 협력을 통해 차량 이동 서비스를 위해 실현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의 대기 행렬 시나리오에서, 레스토랑은 자신의 단말 상에 알리페이 웰릿을 설치할 수도 있고, 장씨도 또한 자신의 휴대 전화 상에 알리페이 웰릿을 설치한다. 연결 확립은, 알리페이 서버와 알리페이 웰릿 사이의 협력을 통해 대기 행렬 서비스를 위해 마찬가지록 실현된다.
제1 클라이언트와 제2 클라이언트는 반드시 상기의 알리페이 웰릿일 필요는 없을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형태는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의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들은, 단지,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확립 방법을 구현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본 출원에 따른 연결 확립 방법의 주요 구현 플로우가 하기에서 먼저 설명될 것이고, 그 다음, 상기에서 언급되는 차량 이동 시나리오 및 대기 행렬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방법의 응용예가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 확립 방법의 구현 플로우가 예시된다. 그 방법은 서버에 의해 구현되며, 다음을 포함한다:
201.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며, 연결을 위해 요청되는 제2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식별자 및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것;
202. 연결 참조 정보를 획득하고,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연결 참조 정보가 충족한다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클라이언트와 제1 클라이언트 사이의 연결을 확립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3은 연결 확립 방법의 구현 플로우를 예시한다. 그 방법은 클라이언트에 의해 구현되며, 다음을 포함한다:
301. 연결을 위해 요청되는 제2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식별자 및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는 것;
302.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연결 참조 정보가 충족한다는 것을 서버가 결정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클라이언트와의 서버를 통한 연결을 확립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201 및 단계 301에서, 서비스 연결 요청은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버로 전송될 수도 있다. 예로서, 차량 이동 시나리오에서의 알리페이 클라이언트의 사용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알리페이 웰릿"에서 기능 옵션인 "차량 이동"이 설정될 수도 있다. 차량이 이동되기를 소망하는 왕씨가 기능 옵션인 "차량 이동"을 선택하면,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서비스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 요청 전송이 기능 옵션인 "차량 이동"을 클릭하는 것에 의해 트리거되기 때문에, 요청은 "차량 이동"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면, 서비스 식별자와 동등한 "01"을 전달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왕씨가 기능 옵션인 "차량 이동"을 선택하면, 기능에 포함되는 몇몇 하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들 하위 메뉴 하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의해 전송되는 요청은 차량 이동 서비스 식별자를 또한 전달할 수도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서비스 연결 요청에서 전달되는 클라이언트 식별자는, 예를 들면, 차량번호판 번호이다.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5에서 도시되는 실시형태를 참조한다.
또한, 상기의 서비스 연결 요청에서 전달되는 연결을 위해 요청되는 제2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식별자는,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연결될 대상 오브젝트가 제2 클라이언트이라는 것을 서버가 알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로서, 대기 행렬 시나리오에서의 알리페이 클라이언트의 사용을 통해, 레스토랑의 단말 상에 알리페이 웰릿이 설치될 수 있고, 기능 옵션인 "대기 행렬"이 알리페이 웰릿에서 설정된다. 기능 옵션인 "대기 행렬"은 대기 행렬을 위한 2 차원 바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장씨가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하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릴 때, 그는 자신의 휴대 전화의 알리페이 웰릿을 사용하여 대기 행렬을 위한 2 차원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알리페이 웰릿이 상기에서 언급되는 2 차원 바코드를 스캔한 이후, 레스토랑의 단말은 장씨의 알리페이 웰릿의 식별자, 예를 들면, 알리페이 웰릿의 계좌 번호를 획득할 수 있고, 계좌 번호는 클라이언트 식별자로 참조될 수 있다. 레스토랑이 대기 행렬 기능을 통해 서버로 서비스 연결 요청을 전송할 때, 클라이언트 식별자가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서비스 연결 요청에 포함되는 서비스 식별자는 대기 행렬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웨이터가 대기 행렬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레스토랑의 대기 행렬 단말(queuing terminal) 상에 설치된 알리페이 웰릿에서 기능 옵션인 "대기 행렬"을 입력하면, 연결 요청은, 서비스의 인터페이스에서 전송될 때, "대기 행렬" 기능, 즉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자동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202에서, 서비스 연결 요청의 수신시, 서버는 연결 참조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고,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연결 참조 정보가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서비스 제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서버는 제1 클라이언트와 제2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연결이 확립되는 것을 허용한다.
예로서, 다시, 차량 이동 시나리오에서, 자신의 차량를 주차하는 장씨는 무작위적으로 연락 받기를 원하지는 않지만, 그러나 자신의 차량이 이동되어야 하는 것을 다른 사람이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연락 받기를 원한다. 따라서, 서비스 제한 조건은, 차량 이동 상황의 특성에 따라, "장씨 및 왕씨의 차량이 100m의 거리 이내에 있다"는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차량이 이동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서는, 일반적으로, 주차된 차량이 도로를 막고 있고, 차단된 차량이 주차된 차량에 비교적 가까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장씨 및 왕씨의 차량이 100m의 거리 이내에 있다"는 서비스 제한 조건은 판단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정량화되었으며, "제1 클라이언트와 제2 클라이언트 사이의 거리가 100 이내이다"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의 위치는, 장씨가 차량을 주차하는 동안 제1 클라이언트를 통해 서버에 보고하는 위치, 즉 차량이 주차되는 위치일 수도 있다; 한편, 제2 클라이언트의 위치는 왕씨의 현재 차량이 막혀 있을 때 제2 클라이언트를 통해 서버에게 왕씨에 의해 보고되는 위치이다. 이 예에서, 제1 클라이언트 및 제2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고되는 위치 정보는 연결 참조 정보로 칭해질 수도 있는데, 서버는, 연결 참조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한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서버가 연결 참조 정보를 획득하는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는 보고할 주도권을 쥐거나 서버는 보고를 위한 통지를 전송한다.
또한, 두 클라이언트가 이 단계에서 연결되도록,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클라이언트와 제1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서버가 연결을 확립하는 다양한 방식이 또한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클라이언트와 제2 클라이언트 사이의 포워딩 디바이스로서, 서버는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될 메시지를 제2 클라이언트로 직접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서버를 통한 포워딩 없이 제1 클라이언트가 제2 클라이언트와 개별적으로 연락하도록, 서버는 제2 클라이언트의 미리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제1 클라이언트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제2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장씨의 전화 번호가 제1 클라이언트로 전송되고, 전화 번호 획득시, 제1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왕씨는 장씨에게 직접적으로 전화를 건다. 이 때, 그것은 실제로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간의 연락이다. 간단한 설명의 목적을 위해, 그들의 본 출원의 실시형태에서 제1 클라이언트와 제2 클라이언트 사이의 연결로서 통칭된다. 다른 연결 방식은 상세히 열거되지 않을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확립 방법을 통해, 서버는, 서비스 제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연결을 확립하도록 두 클라이언트를 제어하고, 그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 있는 한, 클라이언트에서 설정되는 기능 옵션을 통해 연결에 대해 서버에게 요청할 수 있다. 그것은 매우 편리하다. 연결 확립 방법의 특정한 응용예가 몇몇 시나리오의 예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예로서, 도 4에서 도시되는 차량 이동 시나리오를 참조하면, 장씨는 그의 차량(41)을 도로가에 주차하고, 왕씨는 자신의 차량(42)을 동일한 위치를 통과하도록 운전하고 장씨의 차량이 도로를 막고 있고 이동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한다. 이 때, 왕씨는 장씨에게 연락하기 시작한다. 도 5에서 도시되는 구현 플로우를 참조하고, 제2 클라이언트가 장씨의 휴대 전화 상에 설치되어 있고, 제1 클라이언트가 왕씨의 휴대 전화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라이언트는 예로서 알리페이 웰릿인 것으로 가정하면, 장씨가 차량을 주차하기 시작하는 순간에서부터 왕씨가 장씨와 연락하는 순간까지의 전체 처리 플로우는 다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501. 제2 클라이언트는 주차 정보를 서버에 보고하는데, 주차 정보는 연결 참조 정보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주차 정보는 다음의 두 부분을 포함한다; 제2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식별자 및 연결 참조 정보.
여기서, 제2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식별자는 제2 클라이언트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제2 클라이언트가 알리페이 웰릿인 경우, 클라이언트 식별자는 알리페이 웰릿의 계좌 번호일 수 있거나, 또는 제2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관계를 갖는 어떤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 측은 사용자의 알리페이 웰릿과 사용자의 차량번호판 번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를 저장하고, 그 후, 서버는 차량번호판 번호에 따라 대응하는 알리페이 웰릿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량번호판 번호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식별자로 또한 칭해진다; 다른 예의 경우, 서버 측은 사용자의 알리페이 웰릿과 사용자의 행렬 대기 번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를 저장한다. 서버가 사용자의 대기 행렬 번호를 통지 받으면, 서버는 대기 행렬 번호에 따라 사용자의 알리페이 웰릿을 찾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대기 행렬 번호는 클라이언트 식별자로서 칭해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이 실시형태에서의 클라이언트 식별자는, 클라이언트 자신의 정보(예를 들면, 알리페이 웰릿의 계좌 번호), 또는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관계를 갖는 정보(예를 들면, 알리페이 웰릿에 대응하는 차량번호판 번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연결 참조 정보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결정할 때 서버에 의해 사용된다. 즉, 서비스 연결 확립에 필요한 서비스 제한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서버가 결정할 때, 연결 참조 정보가 필요로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의 연결 참조 정보는 주차 위치 정보일 수 있고, 서버는, 위치 정보에 따라, 그것이 위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고; 대안적으로, 연결 참조 정보는 다른 시나리오에서 시간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장씨가 그의 차량(41)을 주차했을 때, 그는 휴대폰 상의 제2 클라이언트인 알리페이 웰릿을 실행한다. 도 6은 알리페이 웰릿의 일부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인터페이스는 많은 응용 기능을 포함하며, 기능 옵션 중 하나는 "나는 차를 주차하고 싶다"이다. 장씨는 이 기능을 선택하는데, 이 기능은 알리페이 웰릿 클라이언트가 주차 정보를 서버에 보고하도록 트리거한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주차 정보는 다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클라이언트 식별자(예를 들면, 알리페이 웰릿의 계좌 번호, 장씨의 차량의 차량번호판 번호), 및 장씨의 차량의 주차 위치. 여기서, 차량번호판 번호에 관해서는, 장씨가 자신의 차량번호판 번호를 입력하도록, 장씨가 "나는 차를 주차하고 싶다"라는 기능을 클릭한 이후 입력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주차 위치에 관해서는, 제2 클라이언트가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위치 결정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일 수 있고, 위치 정보는 경도 및 위도 좌표일 수 있다. 또한, 이 단계에서 보고되는 장씨의 차량의 주차 위치가 서버에 의한 서비스 제한 조건의 후속하는 결정에서 사용될 것이기 때문에, 주차 위치 정보는 연결 참조 정보로 칭해질 수도 있다.
502. 서버는 제2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고되는 주차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이 단계에서, 서버는 알리페이 웰릿의 계좌 번호, 장씨의 차량의 차량번호판 번호, 및 장씨의 차량의 주차 위치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와 같은, 주차 정보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를 저장할 것이다; 또한, 서버 측은, 일반적으로, 제2 클라이언트의 등록 동안 제2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장씨의 연락처 정보, 예를 들면 전화 번호를 획득할 수 있고, 전화 번호는 제2 클라이언트 식별자와 묶음 처리될(bundled) 수 있다, 즉, 서버 측은 또한 장씨의 전화 번호를 상기의 대응하는 관계와 묶을 수 있다.
503. 서버는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는 서비스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데, 서비스 연결 요청은, 연결을 위해 요청되는 제2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식별자 및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차량이 이동되기를 원하는 왕씨는 자신의 휴대 전화 상에서 제1 클라이언트인 알리페이 웰릿을 실행할 수 있고, 도 6에서 도시되는 것과 유사한 인터페이스가 알리페이 웰릿 상에 또한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인터페이스는 "차량 이동" 기능을 더 포함한다. 왕씨가 기능 옵션인 "차량 이동"을 클릭하면, 왕씨가 이동되기를 원하는 차량의 차량번호판 번호를 입력하도록, 입력 상자 또는 하위 인터페이스가 팝업될 수 있다. 여기서, 왕씨는 장씨의 차량의 차량번호판 번호를 입력할 것이고 전송을 클릭하여 서비스 연결 요청을 서버로 전송할 것이다. 상기 501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서버가 차량번호판 번호와 알리페이 웰릿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를 저장하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 왕씨에 의해 입력되는 장씨의 차량번호판 번호는 "제2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식별자"로서 참조될 수도 있다. 또한, 차량번호판 번호와 제2 클라이언트의 알리페이 계좌 번호 사이에 대응하는 관계가 있기 때문에, 차량번호판 번호는 제2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식별자로서 또한 취급될 수도 있다. 요청에서 전달되는 서비스 식별자는 "차량 이동"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 단계에서, 또한, 왕씨가 기능 옵션인 "차량 이동"을 선택한 이후, 제1 클라이언트는, 서비스 연결 요청에서 전달되어 서버에 보고되는 위치 정보를 자동적으로 더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왕씨의 현재 위치와 동일하며, 위치 정보는 또한, 서버에 의한 후속 결정을 위한 연결 참조 정보이기도 하다.
504. 서버는 연결 참조 정보가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충족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서버는, 제1 클라이언트 및 제2 클라이언트에 의해 각각 보고되는 위치 정보에 따라, 두 클라이언트가 거리 임계치를 충족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한 조건은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거리 범위 임계치이다. 예를 들면, 차량 이동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은, "둘 사이의 거리가 100m의 범위 이내이다"는 것이며, 그 조건은 서버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서비스 연결 요청에서의 차량번호판 번호 및 502에서 저장되는 대응하는 관계에 따라, 서버는 차량번호판 번호에 대응하는 제1 위치 정보, 즉 장씨의 차량의 주차 위치를 획득하고, 제1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제1 위치 정보와 제2 클라이언트에 의해 보고되는 제2 위치 정보 사이의 거리가 100m 미만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인 경우, 서비스 제한 조건이 충족되고, 505가 후속하여 수행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서비스 제한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며, 서버는 "연결 거절"과 같은 프롬프트를 제1 클라이언트로 반환할 수 있다.
505. 서버는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클라이언트의 연락처 정보를 제1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한 조건이 충족된다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서버는, 502에서 저장되는 대응하는 관계에 따라, 전화 번호와 같은 장씨의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장씨의 전화 번호를 제1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이 때, 전화 번호는 실제로 제2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이고, 제1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왕씨는 제2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장씨와 전화 연락을 확립할 수 있다.
옵션적으로, 서버는 또한 제1 클라이언트와 제2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연결을 직접적으로 확립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왕씨가 제1 클라이언트를 통해 "차량 이동" 기능을 선택하고 서버에 서비스 연결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1 클라이언트를 트리거하면, 서버는 요청에서 전달되는 차량번호판 번호에 따라 대응하는 장씨의 전화 번호를 찾을 수 있고, 전화 번호에 메시지(예를 들면, 차량 이동 프롬프트 메시지)를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는데, 이것도 또한 두 클라이언트 사이의 연결 확립으로서 취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버는, 돌아와서 차량을 이동할 것을 장씨에게 촉구하기 위해, 차량번호판 번호에 따라 발견되는 장씨의 알리페이 웰릿에 차량 이동 프롬프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장씨와 왕씨 사이의 연결을 달성할 수 있는 한,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들은 열거되지 않을 것이다.
더구나, 서버가 상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요청에서 전달되는 차량번호판 번호에 따라 대응하는 장씨의 전화 번호를 찾으면,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한 조각의 식별 정보(이것은 "작은 번호"로 칭해질 수도 있음)가 생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식별 정보 "12589"가 장씨의 전화 번호에 대응하도록 사용되고, "12589"는 제1 클라이언트로 반환된다. 왕씨가 식별 정보 "12589"와 연락하는 경우, 예를 들면,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는 연결 명령이 수신되고, 연결 명령은 식별 정보를 전달하는데, 서버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로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방식은 장씨의 전화 번호를 더욱 기밀로 만들 수 있고, 더 나은 보안으로 이어진다.
예로서, 다른 응용 시나리오도 또한 차량 이동 시나리오인데, 이것은 도 4에서 도시되는 시나리오와 유사하다. 차이점은, 차량 이동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차량 이동" 옵션 기능만이 알리페이 웰릿에서 설정되고, 기능 옵션인 "나는 차를 주차하고 싶다"는 주차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신, 다른 방식이 대안으로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을 주차해야 하는 장씨는 자신의 차량에 하드웨어, 예를 들면, 블루투스 칩을 설치할 수 있다. 블루투스 칩은 마커로 칭해질 수 있고, 블루투스 칩은 마커 식별자로 칭해질 수 있는 칩을 식별하기 위한 ID를 포함한다.
차량이 이동되기를 왕씨가 원하는 경우, 그는 자신의 알리페이 웰릿, 즉 제1 클라이언트를 실행할 수 있으며, 알리페이 웰릿의 "차량 이동" 기능을 입력할 수 있다. 차량 이동 기능이 선택되면, 왕씨는 장씨의 차량에 가깝게 접근할 수 있다. 거리가 블루투스 통신의 조건을 충족시킬 만큼 충분히 짧으면, 왕씨의 알리페이 웰릿은 장씨의 차량의 블루투스(Bluetooth) 칩의 ID를 블루투스에 의해 획득하고 서비스 연결 요청을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연결 요청은 차량 이동 서비스 식별자 및 블루투스 칩 ID를 전달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블루투스 칩 ID는, 당분간, 제2 클라이언트의 마커 식별자로 칭해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서버 측이 알리페이 웰릿의 장씨의 계좌 번호, 차량 상의 블루투스 칩 ID, 및 장씨의 연락처 정보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를 미리 저장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서버 측에서, 알리페이 웰릿에 의해 전송되는 서비스 연결 요청이 블루투스 칩 ID를 전달한다는 것이 발견될 때마다, 그것은 왕씨가 이미 장씨의 차량에 가까워졌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그 이유는, 거리가 충분히 가까울 때에만 ID가 획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서버는 서비스 제한 조건이 충족된다는 것을 결정한다. 후속하여, 서버는 블루투스 칩 ID에 대응하는 장씨의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왕씨가 장씨와 연락하도록 제1 클라이언트로 그 연락처 정보를 반환할 수 있다.
예로서, 방법은 대기 행렬 시나리오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쇼핑몰에 있는 레스토랑에서, 장씨는 레스토랑으로 가서 식사를 한다. 그는 자신의 알리페이 웰릿을 실행하여 레스토랑의 접수 데스크에 있는 대기 행렬 단말에서 대기 행렬을 위한 2 차원 바코드를 스캔한다. 대기 행렬 번호를 받으면, 그는 근처 상점에서 쇼핑을 한다. 알리페이 웰릿이 레스토랑의 접수 데스크에 있는 대기 행렬 단말 상에 설치될 수 있는데, 알리페이 웰릿은 대기 행렬 기능을 제공한다. 대기 행렬 기능은 대기 행렬을 위한 상기의 2차원 바코드를 제공한다. 장씨가 스캔하여 번호를 받으면, 레스토랑의 대기 행렬 단말 상의 제1 클라이언트(알리페이 웰릿)는 장씨의 휴대 전화 상의 제2 클라이언트, 즉 알리페이 웰릿의 식별자(예를 들면, 계좌 번호)를 획득하고, 장씨의 알리페이 웰릿의 식별자 및 서비스 식별자(즉, 대기 행렬 서비스 정보)를 알리페이 서버로 보고한다.
장씨의 번호에 가까우면, 레스토랑은 대기 행렬 단말 상의 알리페이 웰릿의 대기 행렬 기능을 통해 장씨에게 연락하고, 다음을 포함하는 도 7에서 도시되는 플로우가 구현된다:
701. 제1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서비스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
예를 들면, 레스토랑이 자신의 대기 행렬 단말 상의 알리페이 웰릿의 대기 행렬 기능을 실행하고, 이전에 장씨의 스캐닝 및 앞서 받은 번호에 관한 정보를 찾는다. 알리페이 웰릿의 대기 행렬 기능은 레스토랑이 장씨와 연락할 트리거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락처" 버튼이 장씨의 대기 행렬 번호에 추가되고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레스토랑의 웨이터가 "연락처" 버튼을 클릭하면, 제1 클라이언트, 즉 대기 행렬 단말 상의 알리페이 웰릿은, 대기 행렬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식별자 및 제2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전달하는 서비스 연결 요청을 서버로 전송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의 "연락처" 버튼은,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획득되는 장씨의 알리페이 웰릿의 계좌 번호와 함께 묶음 처리될 수도 있다. 웨이터가 버튼을 클릭하면, 알리페이 웰릿의 계좌 번호 및 서비스 식별자(이것이 대기 행렬 서비스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됨)가 서비스 연결 요청에서 전달될 것이다. 알리페이 웰릿의 계좌 번호는 제2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식별자와 동일하다.
다른 예의 경우, 701의 구현 이전에, 장씨가 스캔하여 번호를 받은 이후, 대기 행렬 단말 상의 제1 클라이언트는 장씨의 알리페이 웰릿의 계좌 번호, 대기 행렬 번호 및 서비스 식별자 모두들 서버에 보고할 것이다. 서버 측은, 알리페이 웰릿의 계좌 번호와 대기 행렬 번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를 비롯한, 정보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를 기록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1 클라이언트가 "연락처" 버튼을 클릭하여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요청은 서비스 식별자 및 대기 행렬 번호를 전달할 수 있고, 대기 행렬 번호는 제2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식별자로 칭해질 수도 있다.
702. 서버는 연결 참조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 대기 행렬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은, "현재 시간은 번호를 받은 시간 이후 3시간 이내이고, 제2 클라이언트의 현재 위치는 사업장(business)의 지리적 위치의 범위 이내이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레스토랑이 장씨와 연락하는 시간은 장씨가 레스토랑에서 번호를 받은 시간 이후 3 시간 이내에 있으며, 또한, 장씨의 현재 위치는 레스토랑으로부터 너무 멀지 않다, 예를 들면, 500 m의 범위 내에 있다.
서버는 서비스 제한 조건의 결정을 행하기 위해 연결 참조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연결 참조 정보는 현재 시간, 장씨의 위치, 및 레스토랑의 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현재 시간을 쉽게 획득될 수 있다. 장씨의 위치를 획득하는 것과 관련하여, 서버를 통해 위치 결정 명령이 제2 클라이언트, 즉 장씨의 알리페이 웰릿으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장씨의 알리페이 웰릿이 위치 정보를 결정하여 획득하면, 위치 정보는 서버로 반환된다. 레스토랑의 위치에 관해서는, 그것은 미리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확실히, 다른 획득 방식이 이용 가능할 수도 있으며, 그들 중 하나만이 본원에서 열거된다.
703. 서버는 연결 참조 정보가 서비스 제한 조건을 충족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서버는, 장씨가 번호를 받은 시간 이후 현재 시간이 3 시간(시간 범위 임계치)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고, 장씨가 번호를 받은 시간은, 레스토랑 클라이언트가 701에서 업로딩을 수행할 때 서버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장씨의 현재 위치와 레스토랑 사이의 거리가 1000 m(거리 범위 임계치) 이내인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
연결 참조 정보가 서비스 제한 조건을 충족한다는 것을 서버가 결정하면, 704로 진행한다;
704. 서버는 제2 클라이언트의 연락처 정보를 제1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옵션적으로, 서버는 장씨의 알리페이 계좌 번호, 장씨의 대기 행렬 번호 및 장씨의 연락처 정보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하는 관계에 따라 장씨의 번호를 찾을 수도 있고, 사업장이 장씨와 연락하도록 제1 클라이언트로 그 번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도 5에서 도시되는 실시형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서버는 장씨와 직접적으로 연락한다.
더구나, 연락될 사람으로서의 장씨의 요구를 보다 잘 충족시키기 위해, 서버는 제2 클라이언트를 통해 장씨에 의해 업로드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장씨는, 알리페이 웰릿을 통해, 그와 연락하기 위한 그가 소망하는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씨와 연락하기 위한 서비스 제한 조건으로서, "현재 시간이 번호를 받은 시간 이후 1 시간 이내이다"가 설정된다.
다른 시나리오에 대한 예는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모든 유사한 애플리케이션은 본 출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확립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그 방법은 서비스 제한 조건 또는 연결 방식에 엄격한 제한을 부과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한 조건은 동일한 와이파이 커버리지 내로 제한될 수도 있거나, 또는 동일한 지리적 범위 내로 제한될 수도 있거나, 또는 동일한 블루투스 커버리지 내로 제한될 수도 있거나, 또는 동일한 허용 범위 내로 제한될 수도 있다. 연결 방법은, 전화 연결, 인스턴트 메시징 연결, 및 지불 연결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 확립 방법은 클라이언트 및 서버를 기반으로 구현되며, 또한, 이러한 연결 확립은 서비스에 대응하며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개시되는 서비스 연결이다. 또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은 충족될 필요가 있다. 그 방법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요구, 및 연결될 단말이 무작위적으로 방해를 받지 않을 요구 둘 다를 충족한다. 더구나, 이들은 매우 편리하게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형태는 연결 확립 디바이스를 더 제공하며, 디바이스는 서버 상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요청 수신 모듈(81) 및 연결 처리 모듈(8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요청 수신 모듈(81)은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는 서비스 연결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서비스 연결 요청은, 연결을 위해 요청되는 제2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식별자 및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포함하고;
연결 처리 모듈(82)은 연결 참조 정보를 획득하도록, 그리고 연결 참조 정보가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충족한다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클라이언트와 제1 클라이언트 사이에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된다.
더구나, 연결 참조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 또는 시간 정보.
더구나, 연결 처리 모듈(82)은, 제1 클라이언트가, 연락처 정보에 따라, 제2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확립하도록,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클라이언트의 연락처 정보를 제1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더구나, 연결 처리 모듈(82)은, 제2 클라이언트의 연락처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제1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도록, 그리고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며 식별 정보를 전달하는 연결 명령을 수신하도록; 또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에 따라, 제1 클라이언트를 제2 클라이언트와 연결하도록 명시적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형태는 연결 확립 디바이스를 더 제공하며, 디바이스는 서버 상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요청 전송 모듈(91) 및 연결 확립 모듈(9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요청 전송 모듈(91)은 서비스 연결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되, 서비스 연결 요청은, 연결을 위해 요청되는 제2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식별자 및 클라이언트 식별자를 포함하고;
연결 확립 모듈(92)은,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연결 참조 정보가 충족한다는 것을 서버가 결정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클라이언트와의 서버를 통한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된다.
더구나, 도 10을 참조하면, 디바이스는, 연결 참조 정보 또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보고 모듈(9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만이 상기에서 설명되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취지와 원리 내에서 이루어지는 임의의 수정, 등가적 대체, 또는 개선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15)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연결 확립 방법으로서,
    연결을 요청하는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며, 연결이 요청된 제2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식별자 및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연결이 요청된 상기 제 2클라이언트와 연관된 지리적 위치와 연결을 요청하는 상기 제 1클라이언트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적어도 정의된 연결 참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상기 연결 참조 정보가 충족한다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사이의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제한 조건은 상기 제 2클라이언트와 연관된 상기 지리적 위치와 상기 제 1클라이언트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 범위 임계치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가 상기 거리 범위 임계치 이내인 경우, 상기 연결 참조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한 조건을 충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사이의 연결을 확립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클라이언트가, 연락처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확립하도록, 상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연락처 정보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확립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서비스 제한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확립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상기 연락처 정보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상기 연락처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 전송한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며 상기 식별 정보를 전달하는 연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연락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클라이언트를 상기 제2 클라이언트와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확립 방법.
  6. 연결 확립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연결을 요청하는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방법은:
    연결이 요청된 제2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식별자 및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연결이 요청된 상기 제 2클라이언트와 연관된 지리적 위치와 연결을 요청하는 상기 제 1클라이언트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적어도 정의된 연결 참조 정보가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충족한다는 것을 상기 서버가 결정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와의 상기 서버를 통한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제한 조건은 상기 제 2클라이언트와 연관된 상기 지리적 위치와 상기 제 1클라이언트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 범위 임계치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가 상기 거리 범위 임계치 이내인 경우, 상기 연결 참조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한 조건을 충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와의 상기 서버를 통한 연결을 확립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연락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락처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클라이언트와의 상기 서버를 통한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확립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참조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확립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한 조건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확립 방법.
  9. 삭제
  10. 연결 확립 디바이스로서,
    연결을 요청하는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며, 연결이 요청된 제2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식별자 및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요청 수신 모듈; 및
    연결이 요청된 상기 제 2클라이언트와 연관된 지리적 위치 및 연결을 요청하는 상기 제 1클라이언트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적어도 정의되는 연결 참조 정보를 획득하도록, 그리고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상기 연결 참조 정보가 충족한다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사이의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처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제한 조건은 상기 제 2클라이언트와 연관된 상기 지리적 위치와 상기 제 1클라이언트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 범위 임계치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가 상기 거리 범위 임계치 이내에 있는 경우, 상기 연결 참조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한 조건을 충족하고,
    상기 연결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클라이언트가, 연락처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확립하도록, 상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연락처 정보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확립 디바이스.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처리 모듈은,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상기 연락처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며 상기 식별 정보를 전달하는 연결 명령을 수신하도록; 또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연락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클라이언트를 상기 제2 클라이언트와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확립 디바이스.
  14. 연결 확립 디바이스로서,
    연결을 요청하는 제 1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비스 연결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요청 전송 모듈로서, 상기 서비스 연결 요청은 연결이 요청된 제2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식별자 및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요청 전송 모듈; 및
    연결이 요청된 상기 제 2클라이언트와 연관된 지리적 위치 및 연결을 요청하는 상기 제 1클라이언트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적어도 정의되는 연결 참조 정보가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충족한다는 것을 상기 서버가 결정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와의 상기 서버를 통한 연결을 확립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확립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제한 조건은 상기 제 2클라이언트와 연관된 상기 지리적 위치와 상기 제 1클라이언트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 범위 임계치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가 상기 거리 범위 임계치 이내에 있는 경우, 상기 연결 참조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한 조건을 충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클라이언트와의 상기 서버를 통한 연결을 확립하도록, 상기 연결 확립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연락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연락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클라이언트와의 상기 서버를 통한 연결을 확립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확립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연결 참조 정보 또는 서비스 제한 조건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보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확립 디바이스.
KR1020177024553A 2015-02-09 2016-02-02 연결 확립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979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068088.5A CN105991702B (zh) 2015-02-09 2015-02-09 一种连接建立方法和装置
CN201510068088.5 2015-02-09
PCT/CN2016/073145 WO2016127855A1 (zh) 2015-02-09 2016-02-02 一种连接建立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661A KR20170109661A (ko) 2017-09-29
KR101979136B1 true KR101979136B1 (ko) 2019-05-15

Family

ID=5661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553A KR101979136B1 (ko) 2015-02-09 2016-02-02 연결 확립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74545B2 (ko)
JP (1) JP6496032B2 (ko)
KR (1) KR101979136B1 (ko)
CN (2) CN111642029B (ko)
SG (1) SG11201706290YA (ko)
WO (1) WO20161278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4712A (zh) * 2016-11-20 2017-02-22 合肥星服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蓝牙技术的移车呼叫装置
CN107018063A (zh) * 2017-01-19 2017-08-0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应用的数据交互方法及装置
CN107734201A (zh) * 2017-09-29 2018-02-23 北京麻袋铺科技有限公司 一种挪车方法、挪车服务系统及汽车用静电贴
CN109672791B (zh) * 2017-10-16 2021-08-2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通信连接的建立方法及装置、身份验证方法及装置
CN111615219B (zh) * 2019-04-30 2022-02-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pc5链路建立方法、设备及系统
CN111328044A (zh) * 2020-03-20 2020-06-23 上海云鱼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呼叫车主的方法、装置、服务器、客户端、终端以及存储介质
CN111417090A (zh) * 2020-03-20 2020-07-14 上海云鱼智能科技有限公司 呼叫车主的方法、装置、服务器、客户端、终端以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40907A1 (en) * 2010-01-22 2012-06-07 Bellmar Communications Llc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KR101389506B1 (ko) 2013-04-02 2014-04-25 코리아크레딧뷰로 (주) 주차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3110A (en) 1994-11-29 1996-07-02 Mitel Corporation Human machine interface for telephone feature invocation
US6041103A (en) 1996-04-16 2000-03-21 Lucent Technologies, Inc. Interactive call identification
US7103167B2 (en) 2002-05-20 2006-09-05 Callwav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ll screening
US6587554B1 (en) 1999-08-12 2003-07-01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a privacy management service with a voice mail system
US6889213B1 (en) * 2000-02-18 2005-05-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service to manage contact information with privacy levels
US6542749B2 (en) * 2000-06-10 2003-04-01 Telcontar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proximately located mobile users based on compatible attributes
JP2002252704A (ja) * 2000-12-18 2002-09-06 Tadashi Sumiyasu 通話支援設備、及び通話中継支援設備
SE0101265L (sv) * 2001-04-06 2002-10-07 Sven Prytz Metod och system för tillhandahållande av information om köförhållanden och för inrangering av köande kunder vid serviceställen
JP3863387B2 (ja) * 2001-05-14 2006-12-27 川端 裕文 自動車の搭乗者との通話システム
US20020188684A1 (en) 2001-06-07 2002-12-12 Robson Liang Internet telephony directly initiated from electronic mails
JP3693103B2 (ja) * 2001-09-05 2005-09-07 日本電気株式会社 予約・呼び出し管理システム
US6718021B2 (en) 2002-02-19 2004-04-06 Sbc Properties, L.P.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customized call alerts in a service for internet caller identification
US7162019B1 (en) * 2002-03-29 2007-01-09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System and method for privacy screening
US7170883B2 (en) 2002-08-07 2007-01-30 Motorola, Inc. Information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US7184527B1 (en) 2002-09-30 2007-02-27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handling telecommunication activity via a computer network
US6901139B2 (en) * 2002-10-28 2005-05-31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Calling party ringtone selection in telephone system
JP2004274196A (ja) * 2003-03-06 2004-09-30 Chan Hii Kuon 移動端末装置による会員相互の交信システム
JP2004287850A (ja) * 2003-03-20 2004-10-14 Supreme System Consulting Corp 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装置
JP2005033318A (ja) * 2003-07-08 2005-02-03 亨 ▲高▼林 仮想電話番号サービスを実現する電話端末とそのシステム
US7860230B2 (en) 2003-12-12 2010-12-28 Martin Bradley J Telephone call screening and routing device and related method
US7738861B2 (en) 2004-06-29 2010-06-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aller identification using push-to-talk protocol for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US7697923B2 (en) 2005-05-12 2010-04-13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tomatic generation of user theme videos for ring tones and transmittal of context information
US8090084B2 (en) 2005-06-30 2012-01-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Automated call router for business directory using the world wide web
JP2008072329A (ja) * 2006-09-13 2008-03-27 Ntt Docomo Inc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移動体端末装置の利用制限方法
US20080240081A1 (en) * 2007-03-30 2008-10-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ules-based restriction of incoming calls
US20090327501A1 (en) 2008-06-27 2009-12-31 Athellina Athsani Communication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00081419A1 (en) 2008-09-26 2010-04-01 Htc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WO2010119976A1 (ja) * 2009-04-15 2010-10-21 日本電気株式会社 匿名通信システム、匿名通信方法、通信制御装置、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用プログラム
US20110096914A1 (en) 2009-10-22 2011-04-28 Eng Kai Y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 Sensitive Calling
EP2594058B1 (en) * 2010-07-12 2018-03-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hanced privacy protection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1280584B1 (ko) * 2010-10-22 2013-07-02 이너비트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의 상황에 따른 전화 수신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02088698B (zh) * 2010-12-24 2013-09-0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呼叫方法和系统、呼叫码生成器、呼叫控制器和msc
CN102523236B (zh) * 2011-12-31 2015-05-20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动态连接建立方法和设备
US9516168B2 (en) * 2012-10-19 2016-12-06 Virtual Hold Technology, Llc Managing, directing, and queuing communication events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s
KR20140142389A (ko) * 2013-05-31 2014-12-12 문헌주 엔에프시 태그를 이용한 호출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40907A1 (en) * 2010-01-22 2012-06-07 Bellmar Communications Llc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KR101389506B1 (ko) 2013-04-02 2014-04-25 코리아크레딧뷰로 (주) 주차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91702B (zh) 2020-04-14
JP2018507642A (ja) 2018-03-15
JP6496032B2 (ja) 2019-04-03
CN111642029B (zh) 2023-04-18
US10674545B2 (en) 2020-06-02
CN111642029A (zh) 2020-09-08
SG11201706290YA (en) 2017-09-28
CN105991702A (zh) 2016-10-05
WO2016127855A1 (zh) 2016-08-18
KR20170109661A (ko) 2017-09-29
US20170325271A1 (en)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136B1 (ko) 연결 확립 방법 및 디바이스
CN100591152C (zh) 组通信服务方法及其移动终端和组通信服务系统
US8527575B2 (en) Queue processing system
US200702874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based communication service
EP2680620A2 (en) System having location based proximity features and methods thereof
CN101645933A (zh) 用于呼叫geosoc的系统和方法
WO2020119241A1 (zh) 车辆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A23568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self-provisioning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3205125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using bluetooth beacon information to obtain and publish fine grained user location information
CN103841517A (zh) 一种叫车信息服务的系统和方法
US9020533B1 (en) Location services
CN100386978C (zh) 一种多个移动通信终端的老弱人士走失警报系统及方法
US20090098887A1 (en) Mobile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thereof
US108124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media messaging and communications from mobile enabled networked devices directed to proximate organizations based on geolocated parameters
CN203942648U (zh) 一种叫车信息服务的系统
KR101402166B1 (ko) 서버 기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위치 정보 송수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5036871A (ja) 車両管理システム
JP6114866B1 (ja) 双方向sms配信装置及び双方向sms配信方法
CN106209567B (zh) 提供用户状态信息的方法及装置
KR100762702B1 (ko) 택시 콜 컨텐츠를 이용한 콜 택시 연결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
KR20190067862A (ko) 역할 기반 쿼리 봇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09123727A1 (en) An intelligent phone device for processing, managing, and responding to callers of pre-defined requests
KR101909730B1 (ko) 비컨을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051660A (ko) 주변 업종별 다수의 사업주에 대한 동시 문의전화 및 예약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4770A (ko) 소속지별 콜택시 서비스를 위한 택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