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248B1 -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 - Google Patents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248B1
KR101978248B1 KR1020180006510A KR20180006510A KR101978248B1 KR 101978248 B1 KR101978248 B1 KR 101978248B1 KR 1020180006510 A KR1020180006510 A KR 1020180006510A KR 20180006510 A KR20180006510 A KR 20180006510A KR 101978248 B1 KR101978248 B1 KR 101978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part
forming
adjusting
mold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옥
Original Assignee
(주)동국세라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국세라믹 filed Critical (주)동국세라믹
Priority to KR1020180006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2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 B28B3/26Extrusion dies
    • B28B3/2681Adjustable dies, e.g. for altering the shape of the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금형몸체를 이용하여 복수개 벽돌을 압출 성형하여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 및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고 제1성형부와 제2성형부를 통해 압출성형된 벽돌을 현장에서 커팅하여 2개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형몸체를 제1조절몸체와 제2조절몸체 및 고정몸체로 구비하여 제1조절몸체와 제2조절몸체를 고정몸체로부터 좌우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하나의 금형으로 벽돌의 크기별 압출성형이 가능하여 작업편의성 및 경제적인 효율성을 얻을 수 있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multilayered forming type brick forming mold}
본 발명은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하고자 하는 벽돌의 크기에 따라 압출성형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벽돌금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벽돌을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벽돌금형으로 복수개 벽돌을 동시에 성형하도록 하여 벽돌성형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은 점토를 선별, 배합, 숙성, 분쇄, 반죽하는 제토공정과, 제토공정에서 가공된 점토를 일정한 비율의 물과 반죽하여 진공 압출 하는 성형공정과, 일정규격으로 절단하여 원하는 형태의 제품을 만드는 절단공정과, 제품의 최대강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가열로에서 열처리하는 소성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벽돌을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벽돌을 진공 압출성형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크기로 벽돌을 생산함은 물론 벽돌의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기 위해 벽돌금형이 압출기 선단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압출기를 통해 반죽된 점토가 진공 압출되는 과정에서 벽돌금형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벽돌의 형상은 물론 벽돌이 모양과 크기가 결정되어 생산된다.
그러나, 종래 벽돌금형은 하나의 벽돌금형에 의해 동일한 크기로만 벽돌이 압출성형되기 때문에 벽돌의 크기별로 각각 다른 성형부 크기를 갖는 벽돌금형을 각각 구비해야 함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성형부를 갖는 벽돌금형을 각각 구비하는 비용에 의해 부담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벽돌금형은 하나의 벽돌금형을 이용하여 하나의 벽돌만을 압출성형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벽돌의 압출성형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고 경제적인 비효율성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1633864호인 벽돌 및 타일의 동시 성형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절단공정과 소성공정을 진행하기에 앞서, 점토를 압출 성형하기 위한 성형장치에 있어서, 점토를 압출시키는 압출기, 상기 압출기에 결합되어 벽돌두께와 타일두께를 합한 사이즈의 압출공이 형성된 성형틀, 상기 압출공이 벽돌 사이즈와 타일 사이즈로 구획될 수 있도록 상기 성형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수평 배치되어 압출되는 점토를 벽돌과 타일의 사이즈로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수단은 성형틀의 선단부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튜브로 구성되되, 상기 튜브에는 비점착액을 배출시켜 상호 점착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토출공이 더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다른 예로, 공개특허 10-2009-0052672호인 점토 벽돌의 표면 무늬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점토를 기계적으로 가공하고 반죽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벽돌의 단면 형상과 같은 압출금형을 전방의 압출부에 설치하여 압출물을 압출하는 압출기와, 압출기 전방에 지지대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그 지지대를 따라 승강 가능케 설치되는 작동대의 전면에 성형날을 설치하는 점토 벽돌 성형 장치에 있어서, 압출기의 압출부 전면에 설치되는 압출금형의 압출공 내측면에 0.5 ~ 2.0mm 깊이로 일정 폭을 가지는 요입홈부를 1-N 개소에 나란히 형성하여 압출 과정에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벽돌과 타일을 동시 성형하도록 하고 벽돌과 타일의 분리면에 색소를 도포하도록 하거나 또는 절삭자국에 의해 절삭무늬가 연출하도록 하고 있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크기별로 달라지는 벽돌을 압출성형하고자 할 경우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성형부를 갖는 금형을 각각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633864호(2016.06.21.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9-0052672호(2009.05.26. 공개)
본 발명은 벽돌금형의 성형부 크기를 가변시켜 조절하도록 하여 하나의 벽돌금형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벽돌을 압출성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벽돌금형으로 복수개 벽돌을 동시에 압출성형하도록 하여 생산성 및 작업성을 크게 형상시킬 수 있도록 한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은, 진공압출기 선단에 볼트체결되는 볼트구멍과 진공압출기를 통해 압출되는 점토에 의해 벽돌을 압출성형하는 성형부를 갖는 몸체로 이루어진 벽돌금형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몸체의 내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1성형부와; 상기 몸체의 내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2성형부로 구비되되, 상기 제1성형부와 제2성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의해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성형부는 제1구획부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2성형부는 제2구획부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몸체는, 압출성형되는 벽돌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성형부와 제2성형부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1구획부에 의해 구획된 제1성형부 일측이 구비된 제1조절몸체와; 상기 제2구획부에 의해 구획된 제2성형부 일측이 구비된 제2조절몸체와; 상기 제1구획부에 의해 구획된 제1성형부 타측과 제2구획부에 구획된 제2성형부 타측을 갖는 고정몸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조절몸체와 고정몸체 사이에 구비되어 제1조절몸체와 고정몸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1간격유지구와; 상기 제2조절몸체와 고정몸체 사이에 구비되어 제2조절몸체와 고정몸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2간격유지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조절몸체에는 상기 제1성형부 일측과 연장되는 제1단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에는 상기 제1성형부 타측과 연장되는 제2단턱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구는, 상기 제1단턱부에 안착되는 제1안착면 및 상기 제2단턱부에 안착되는 제2안착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2조절몸체에는 상기 제2성형부 일측과 연장되는 제3단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에는 상기 제2성형부 타측과 연장되는 제4단턱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구는, 상기 제3단턱부에 안착되는 제3안착면 및 상기 제4단턱부에 안착되는 제4안착면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몸체에는 각각, 상기 크기가 조절된 몸체의 제1조절몸체와 제2조절몸체 및 고정몸체를 고정하는 몸체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고정판에는, 상기 제1성형부 및 제2성형부와 대응되는 성형인출구멍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하나의 금형몸체를 이용하여 복수개 벽돌을 압출 성형하여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 및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고 제1성형부와 제2성형부를 통해 압출성형된 벽돌을 현장에서 커팅하여 2개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형몸체를 제1조절몸체와 제2조절몸체 및 고정몸체로 구비하여 제1조절몸체와 제2조절몸체를 고정몸체로부터 좌우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하나의 금형으로 벽돌의 크기별 압출성형이 가능하여 작업편의성 및 경제적인 효율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의 일예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의 다른 예의 분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의 다른 예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이 진공압출기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에 의해 압출성형된 벽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공압출기(1) 선단에 볼트체결되는 볼트구멍과 진공압출기를 통해 압출되는 점토에 의해 벽돌을 압출성형하는 성형부(10)를 갖는 몸체(20)로 이루어진 벽돌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압출기(1) 선단에 체결 고정되어 진공압출기(1)에 의해 압출되는 점토가 몸체(10)의 성형부(10)를 통과하면서 성형부(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압출성형되어 벽돌을 제조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성형부(10)는, 상기 몸체(20)의 내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1성형부(11)와, 상기 몸체(20)의 내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2성형부(12)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진공압출기(1)에 의해 압출되는 점토가 제1성형부(11)와 제2성형부(12)에 의해 2개의 벽돌이 압출성형되어 벽돌(2)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 때, 상기 제1성형부(11)와 제2성형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에 의해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제1성형부(11)와 제2성형부(12)에 의해 압출성형된 2개의 벽돌(2)은 상기 연결부(13)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압출성형되며, 연결부(13)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압출성형된 벽돌(2)을 작업현장에서 커팅하여 사용하면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압출성형된 벽돌은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벽돌(2)이 상기 연결부(13)에 의해 성형되는 연결라인(3)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압출성형되는 것으로, 작업현장에서 상기 벽돌(2)의 연결라인(3)을 커팅하여 2개의 벽돌(2)로 분리한 후 사용하면 된다.
이에 따라, 제1성형부(11)와 제2성형부(12)에 의해 압출성형된 2개의 벽돌(2)이 상기 연결부(13)에 의해 성형되는 연결라인(3)으로 서로 연결되어 압출성형되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은 물론 생산효율성이 크게 향상되며 2개의 벽돌(2)이 연결라인(3)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압출성형됨에 따라 벽돌에 대한 보관 및 이동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성형부(11)와 제2성형부(1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압출성형하고자 하는 벽돌의 크기에 관계없이 제1성형부(11)와 제2성형부(12)를 갖는 하나의 몸체(20)를 이용하여 압출성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성형부(11)는 제1구획부(14)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2성형부(12)는 제2구획부(15)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제1구획부(14)에 의해 구획된 제1성형부(11) 일측(11a)이 구비된 제1조절몸체(21)와, 상기 제2구획부(15)에 의해 구획된 제2성형부(12) 일측(12a)이 구비된 제2조절몸체(22)와, 상기 제1구획부(14)에 의해 구획된 제1성형부(11) 타측(11b)과 제2구획부(15)에 구획된 제2성형부(12) 타측(12b)을 갖는 고정몸체(23)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20)를 구비하는 고정몸체(23)의 좌측방향으로 상기 제1조절몸체(21)의 위치를 가변시켜 제1성형부(11)의 크기를 조절하고 또한, 상기 고정몸체(23)의 우측방향으로 상기 제2조절몸체(22)의 위치를 가변시켜 제2성형부(1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압출성형하고자 하는 벽돌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성형부(11)와 제2성형부(12)의 크기를 조절하여 벽돌을 압출성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조절몸체(21)와 고정몸체(23) 사이에 구비되어 제1조절몸체(21)와 고정몸체(23)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1간격유지구(30)와, 상기 제2조절몸체(22)와 고정몸체(23) 사이에 구비되어 제2조절몸체(22)와 고정몸체(23)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2간격유지구(4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몸체(13)에 대해 좌측방향으로 벌어지는 상기 제1조절몸체(21)와 상기 고정몸체(23)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제1간격유지구(30)가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1조절몸체(21)와 상기 고정몸체(23) 사이의 벌어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23)에 대해 우측방향으로 벌어지는 상기 제2조절몸체(22)와 상기 고정몸체(23)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제2간격유지구(40)가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2조절몸체(22)와 상기 고정몸체(23) 사이의 벌어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간격유지구(30)와 제2간격유지구(40)에 의해 각각 제1조절몸체(21)와 고정몸체(23) 사이의 벌어진 공간 및 상기 제2조절몸체(22)와 고정몸체(23) 사이의 벌어진 공간을 채워줌에 따라, 상기 제1조절몸체(21)와 제2조절몸체(22)를 각각 고정몸체(23)로부터 벌리더라도 제1간격유지구(30) 및 제2간격유지구(40)에 의해 벌어진 공간이 채워질 수 있어 크기별 벽돌에 대한 압출성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하나의 금형몸체(20)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벽돌을 선택에 따라 압출성형할 수 있어 금형구입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비용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조절몸체(21)에는 상기 제1성형부(11) 일측(11a)과 연장되는 제1단턱부(21a)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23)에는 상기 제1성형부(11) 타측(11b)과 연장되는 제2단턱부(23a)가 구비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구(30)는 상기 제1단턱부(21a)에 안착되는 제1안착면(31) 및 상기 제2단턱부(23a)에 안착되는 제2안착면(3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조절몸체(22)에는 상기 제2성형부(12) 일측(12a)과 연장되는 제3단턱부(22a)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23)에는 상기 제2성형부(12) 타측(12b)과 연장되는 제4단턱부(23b)가 구비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구(40)는 상기 제3단턱부(22a)에 안착되는 제3안착면(41) 및 상기 제4단턱부(23b)에 안착되는 제4안착면(4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1간격유지구(30)를 상기 제1조절몸체(21)와 고정몸체(23)에 각각 구비된 제1단턱부(21a)와 제2단턱부(23a)에 상기 제1안착면(31)과 제2안착면(32)에 안착되도록 끼우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조절몸체(21)와 고정몸체(23) 사이의 벌어진 공간에 채워 구비하고, 상기 제2간격유지구(40)를 상기 제2조절몸체(22)와 고정몸체(23)에 각각 구비된 제3단턱부(22a)와 제4단턱부(23b)에 상기 제3안착면(41)과 제4안착면(42)에 안착되도록 끼우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조절몸체(22)와 고정몸체(23) 사이의 벌어진 공간에 채워 구비한다.
이 때, 상기 제1간격유지구(30)와 제2간격유지구(40)를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상기 제1조절몸체(21)와 제2조절몸체(22) 및 고정몸체(23)에 각각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몸체(20)에는 각각, 상기 크기가 조절된 몸체(20)의 제1조절몸체(21)와 제2조절몸체(22) 및 고정몸체(23)를 고정하는 몸체고정판(5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고정판(50)에는, 상기 제1성형부(11) 및 제2성형부(12)와 대응되는 성형인출구멍(51)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간격유지구(30)와 제2간격유지구(40)에 의해 벌어진 간격이 유지되는 상기 제1조절몸체(21)와 제2조절몸체(22) 및 고정몸체(23)는 물론 상기 제1간격유지구(30)와 제2간격유지구(40)가 상기 몸체고정판(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어 벽돌의 압출성형 시 제1조절몸체(21)와 제2조절몸체(22) 및 고정몸체(23)가 흔들거리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벽돌의 외관이 미려하게 압출성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성형부 11 : 제1성형부
11a : 제1성형부 일측 11b : 제1성형부 타측
12 : 제2성형부 12a : 제2성형부 일측
12b : 제2성형부 타측 13 : 연결부
14 : 제1구획부 15 : 제2구획부
20 : 몸체 21 : 제1조절몸체
21 : 제1조절몸체 21a : 제1단턱부
22 : 제2조절몸체 22a : 제3단턱부
23 : 고정몸체 23a : 제2단턱부
23b : 제4단턱부 30 : 제1간격유지구
31 : 제1안착면 32 : 제2안착면
40 : 제2간격유지구 41 : 제3안착면
42 : 제4안착면 50 : 몸체고정판
51 : 성형인출구멍

Claims (3)

  1. 진공압출기(1) 선단에 볼트체결되는 볼트구멍과 진공압출기를 통해 압출되는 점토에 의해 벽돌을 압출성형하는 성형부(10)를 갖는 몸체(20)로 이루어진 벽돌금형에 있어,
    상기 성형부(10)는,
    상기 몸체(20)의 내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1성형부(11)와;
    상기 몸체(20)의 내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2성형부(12)로 구비되되,
    상기 제1성형부(11)와 제2성형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에 의해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성형부(11)는 제1구획부(14)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2성형부(12)는 제2구획부(15)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몸체(20)는, 압출성형되는 벽돌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성형부(11)와 제2성형부(12)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1구획부(14)에 의해 구획된 제1성형부(11) 일측(11a)이 구비된 제1조절몸체(21)와;
    상기 제2구획부(15)에 의해 구획된 제2성형부(12) 일측(12a)이 구비된 제2조절몸체(22)와;
    상기 제1구획부(14)에 의해 구획된 제1성형부(11) 타측(11b)과 제2구획부(15)에 구획된 제2성형부(12) 타측(12b)을 갖는 고정몸체(23)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조절몸체(21)와 고정몸체(23) 사이에 구비되어 제1조절몸체(21)와 고정몸체(23)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1간격유지구(30)와;
    상기 제2조절몸체(22)와 고정몸체(23) 사이에 구비되어 제2조절몸체(22)와 고정몸체(23)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2간격유지구(4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몸체(21)에는 상기 제1성형부(11) 일측(11a)과 연장되는 제1단턱부(21a)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23)에는 상기 제1성형부(11) 타측(11b)과 연장되는 제2단턱부(23a)가 구비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구(30)는,
    상기 제1단턱부(21a)에 안착되는 제1안착면(31) 및 상기 제2단턱부(23a)에 안착되는 제2안착면(32)이 구비되며,
    상기 제2조절몸체(22)에는 상기 제2성형부(12) 일측(12a)과 연장되는 제3단턱부(22a)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23)에는 상기 제2성형부(12) 타측(12b)과 연장되는 제4단턱부(23b)가 구비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구(40)는,
    상기 제3단턱부(22a)에 안착되는 제3안착면(41) 및 상기 제4단턱부(23b)에 안착되는 제4안착면(42)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

  2. 삭제
  3. 삭제
KR1020180006510A 2018-01-18 2018-01-18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 KR101978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510A KR101978248B1 (ko) 2018-01-18 2018-01-18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510A KR101978248B1 (ko) 2018-01-18 2018-01-18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248B1 true KR101978248B1 (ko) 2019-05-14

Family

ID=66581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510A KR101978248B1 (ko) 2018-01-18 2018-01-18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2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8103A (zh) * 2021-06-29 2021-08-13 湖南江山春锦科技有限公司 一种沙漠治理有机材料的制备方法和装置
ES2958282A1 (es) * 2022-07-11 2024-02-06 Union Vima S L Dispositivo de produccion de elemento constructiv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205A (ko) * 1998-01-09 1999-08-05 이우춘 압출금형기
KR20090052672A (ko) 2007-11-21 2009-05-26 주식회사 삼한 씨원 점토 벽돌의 표면 무늬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KR20120013482A (ko) * 2010-08-05 2012-02-15 주식회사 홍익 벽돌 제조장치
KR101384969B1 (ko) * 2013-10-23 2014-04-15 이보영 에너지차단과 완충기능을 가진 패널 제작용 압출다이스
KR20150120040A (ko) * 2014-04-16 2015-10-27 조성홍 벽돌식 양면 문양블록 및 이의 블록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록제조방법
KR101633864B1 (ko) 2014-12-24 2016-06-27 김영래 벽돌 및 타일의 동시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205A (ko) * 1998-01-09 1999-08-05 이우춘 압출금형기
KR20090052672A (ko) 2007-11-21 2009-05-26 주식회사 삼한 씨원 점토 벽돌의 표면 무늬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KR20120013482A (ko) * 2010-08-05 2012-02-15 주식회사 홍익 벽돌 제조장치
KR101384969B1 (ko) * 2013-10-23 2014-04-15 이보영 에너지차단과 완충기능을 가진 패널 제작용 압출다이스
KR20150120040A (ko) * 2014-04-16 2015-10-27 조성홍 벽돌식 양면 문양블록 및 이의 블록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록제조방법
KR101633864B1 (ko) 2014-12-24 2016-06-27 김영래 벽돌 및 타일의 동시 성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8103A (zh) * 2021-06-29 2021-08-13 湖南江山春锦科技有限公司 一种沙漠治理有机材料的制备方法和装置
ES2958282A1 (es) * 2022-07-11 2024-02-06 Union Vima S L Dispositivo de produccion de elemento constructiv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248B1 (ko) 크기조절이 가능한 다층 성형식 벽돌금형
US200700261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uding honeycomb articles and thick-skinned ceramic honeycomb articles manufactured thereby
CA1320615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iquid filled receptacles
US4722819A (en) Die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honeycomb structures
CN104723538A (zh) 用于通过挤吹成型制造塑料制品的装置和制造塑料制品的方法
KR20120013482A (ko) 벽돌 제조장치
KR101732805B1 (ko) 타일의 연속 성형장치
CA2411881C (en) Molding apparatus with mold blocks having face adjustment
CN105196512A (zh) 塑料异型材单臂部分料流速度可调的挤出模头
KR100834509B1 (ko) 타이어용 고무 압출기의 최종 압출다이 구조
CN110087854A (zh) 包括改进的挤出头的挤出设备
CN111844684A (zh) 一种多料道挤塑模头
KR100229202B1 (ko) 자동차용 타이어 제조용 고무 플레이트 압출 다이
EP0590160B1 (en) Flat blow molding apparatus, flat blow molding method and product of flat blow molding
EP1843882A1 (en) Method, apparatus and a forming part for casting a conrete product by slipform casting
KR200250838Y1 (ko) 건축물 외장재용 제조장치
CN103891811A (zh) 花样馒头成型机
CN216466047U (zh) 一种分流式挤出单色板带模具
CN213499908U (zh) 一种尺寸可调的多用陶瓷砖坯模具
JP2005001124A (ja) タイヤ成形用未加硫ゴム成形材の押出装置
CN212795820U (zh) 一种多料道挤塑模头
EP4015189A1 (en) A stack die for extrusion moulding comprising improved die element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ack die and use thereof to provide an extruded article
KR101832925B1 (ko) 압출장치
RU2331516C2 (ru) Многоканальная экструзионная голов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лимерной строительной профильной рамной планки
KR20010027769A (ko) 점토 벽돌 제조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