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246B1 -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246B1
KR101976246B1 KR1020160155631A KR20160155631A KR101976246B1 KR 101976246 B1 KR101976246 B1 KR 101976246B1 KR 1020160155631 A KR1020160155631 A KR 1020160155631A KR 20160155631 A KR20160155631 A KR 20160155631A KR 101976246 B1 KR101976246 B1 KR 101976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weight
resin composition
aromatic vinyl
anti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7236A (ko
Inventor
배승용
김연경
김주성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60155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2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2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5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2Alkali metal carbonates

Abstract

본 발명의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5 내지 65 중량% 및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35 내지 95 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및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10 ㎛인 항균제 0.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항균제는 탄산나트륨 및 탄산수소나트륨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항균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ANTIBACTERIAL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항균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한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의 건강과 위생에 대한 관심 및 소득 수준의 향상에 따라, 항균위생 기능이 포함된 열가소성 수지 제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생활 용품 및 전자 제품 등의 표면에서 균을 제거하거나 억제할 수 있는 항균 처리를 한 열가소성 수지 제품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안정적이며 신뢰성을 가진 기능성 항균 소재(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항균제의 첨가가 반드시 필요하며, 상기 항균제는 무기 항균제와 유기 항균제로 나눌 수 있다.
무기 항균제는 은이나 동 등의 금속 성분이 함유된 항균제로 열안정성이 우수하여,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항균성 수지)의 제조에 많이 사용되지만, 유기 항균제에 비하여 항균력이 부족하여 과량 투입이 요구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과 가공 시 균일 분산 문제, 금속 성분에 의한 변색 등의 단점이 있어, 사용에 많은 제약이 있다.
유기 항균제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싸고, 적은 양으로도 항균 효과가 좋지만, 때로는 인체 독성을 지니며, 특정 균에 대하여만 효과가 있는 경우가 있고, 고온 가공 시, 분해되어 항균 효과가 상실될 우려가 있다. 또한, 가공 후 변색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용출 문제로 항균 지속성이 짧은 단점이 있어,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는 유기 항균제의 범위는 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항균제가 적용되고, 우수한 항균성, 외관 특성 등을 구현할 수 있는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96385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항균제가 적용되고, 우수한 항균성, 외관 특성 등을 구현할 수 있는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5 내지 65 중량% 및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35 내지 95 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및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10 ㎛인 항균제 0.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항균제는 탄산나트륨 및 탄산수소나트륨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가 그라프트 중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형상 분석 레이저 마이크로스코프 장비로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표면 조도가 0.35 내지 1.0 ㎛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JIS Z 2801 항균 평가법에 의거하여, 5 cm × 5 cm 크기 시편에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을 접종하고, 24시간 후 측정한 항균 활성치가 각각 2 내지 7 및 2 내지 6.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항균제가 적용되고, 우수한 항균성, 외관 특성 등을 구현할 수 있는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A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A) 열가소성 수지; 및 (B)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10 ㎛인 항균제를 포함한다.
(A)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는 (A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A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고무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일 수 있다.
(A1)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로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가 그라프트 공중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등을 첨가하여 중합할 수 있고, 상기 중합은 유화중합, 현탁중합, 괴상중합 등의 공지의 중합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로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부타디엔),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등의 디엔계 고무 및 상기 디엔계 고무에 수소 첨가한 포화고무, 이소프렌고무, 폴리부틸아크릴산 등의 아크릴계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 삼원공중합체(EPDM)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엔계 고무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부타디엔계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함량은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체 중량(100 중량%) 중 5 내지 65 중량%, 예를 들면 10 내지 60 중량%, 구체적으로 20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질 중합체(고무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Z-평균)는 0.05 내지 6 ㎛, 예를 들면 0.15 내지 4 ㎛, 구체적으로 0.25 내지 3.5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외관, 난연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고무질 공중합체에 그라프트 공중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체 중량(100 중량%) 중 15 내지 94 중량%, 예를 들면 20 내지 80 중량%, 구체적으로 30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피로도, 내충격성,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 (메타)아크릴산 및 이의 알킬에스테르, 무수말레인산, N-치환말레이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함량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체 100 중량% 중 1 내지 50 중량%, 예를 들면 5 내지 45 중량%, 구체적으로 10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로는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인 스티렌 단량체와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인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g-ABS),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인 스티렌 단량체와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g-MBS)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전체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 중, 5 내지 65 중량%, 예를 들면 10 내지 50 중량%, 구체적으로 20 내지 4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전체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 중, 5 중량%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6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A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통상적인 고무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에 사용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등의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등을 혼합한 후, 이를 중합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중합은 유화중합, 현탁중합, 괴상중합 등의 공지의 중합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전체 100 중량% 중, 20 내지 90 중량%, 예를 들면 30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함량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전체 100 중량% 중, 10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20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300,000 g/mol, 예를 들면, 15,000 내지 15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성형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전체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 중, 35 내지 95 중량%, 예를 들면 50 내지 90 중량%, 구체적으로 55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함량이 전체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 중, 35 중량%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9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B) 항균제
본 발명은 항균제로 탄산수소나트륨 및/또는 탄산나트륨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항균제는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로 측정한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10 ㎛, 예를 들면 2 내지 9 ㎛일 수 있다. 상기 항균제의 평균 입자 크기가 1 ㎛ 미만일 경우, 항균제 분진 날림 및 정량 투입에 어려움이 있으며, 추가 공정 또는 설비가 요구되어 실제 적용에서는 불리하고, 10 ㎛를 초과할 경우,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표면 조도가 상승하여 외관 특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항균제는 탄산수소나트륨 형태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가공 시, 탄산나트륨 형태로 변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항균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10 중량부, 예를 들면 0.3 내지 8 중량부, 구체적으로 0.3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항균제 함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항균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외관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난연제, 충진제, 산화 방지제, 적하 방지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안료, 염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00 내지 280℃, 예를 들면 250 내지 26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외관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형상 분석 레이저 마이크로스코프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표면 조도가 0.35 내지 1.0 ㎛, 예를 들면 0.4 내지 0.95 ㎛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고초균, 녹농균, 살모넬라균, 폐렴균,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등 다양한 세균에 대해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서, JIS Z 2801 항균 평가법에 의거하여, 5 cm × 5 cm 크기 시편에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을 접종하고, 24시간 후 측정한 항균 활성치가 각각 2 내지 7 및 2 내지 6.5, 예를 들면 3 내지 6.5 및 3 내지 6.5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펠렛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성형품은 항균성, 외관 특성, 내충격성, 유동성(성형 가공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므로, 신체 접촉이 잦은 항균 기능 제품 등으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열가소성 수지
하기 (A1)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28 중량% 및 (A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72 중량%를 포함하는 고무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였다.
(A1)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45 중량%의 Z-평균이 310 nm인 폴리부타디엔 고무(PBR)에 55 중량%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중량비: 75/25)가 그라프트 공중합된 g-ABS를 사용하였다.
(A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 68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32 중량%가 중합된 SAN 수지(중량평균분자량: 130,000 g/mol)를 사용하였다.
(B) 항균제
(B1) 평균 입자 크기가 5 ㎛인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였다.
(B2) 평균 입자 크기가 5 ㎛인 탄산나트륨을 사용하였다.
(B3) 평균 입자 크기가 100 ㎛인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였다.
(B4) 평균 입자 크기가 0.5 ㎛인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였다.
(B5) 평균 입자 크기가 20 ㎛인 탄산칼슘(CaCO3)을 사용하였다.
(B6) 평균 입자 크기가 100 ㎛인 인산칼슘(Ca3(PO4)2)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6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23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36,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80℃에서 4시간 이상 건조 후, 6 Oz 사출기(성형 온도 250℃, 금형 온도: 60℃)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표면 조도(단위: ㎛): 형상 분석 레이저 마이크로스코프 장비(KEYENCE社, VK-X100)를 사용하여, 광학현미경 10배 배율 이미지의 Surface Roughness 모드로 2.5 mm 두께 시편의 표면 조도(Ra)를 측정하였다.
(2) 항균 활성치: JIS Z 2801 항균 평가법에 의거하여, 5 cm × 5 cm 크기 시편에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을 접종하고, 24시간 후 항균 활성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5 6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1) (중량부) 1 0.3 5 - - - - - 0.1 11
(B2) (중량부) - - - 1 - - - - - -
(B3) (중량부) - - - - 1 - - - - -
(B4) (중량부) - - - - - 1 - - - -
(B5) (중량부) - - - - - - 1 - - -
(B6) (중량부) - - - - - - - 1 - -
표면 조도 0.61 0.43 0.92 0.72 1.13 0.31 1.06 1.42 0.41 1.18
항균 활성치 황색포도상구균 6.2 6.0 6.3 6.2 6.1 6.2 0.1 0.2 1.8 6.2
대장균 6.1 6.1 6.2 6.0 6.0 6.1 0.3 0.5 1.2 6.3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항균성, 외관 특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평균 입자 크기가 100 ㎛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한 비교예 1은 표면 조도가 높아 외관 특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평균 입자 크기가 0.5 ㎛인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한 비교예 2는 분진 날림이 발생하여 정량 투입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탄산수소나트륨 및 탄산나트륨이 아닌, 평균 입자 크기가 20 ㎛인 탄산칼슘을 사용한 비교예 3 및 평균 입자 크기가 100 ㎛인 인산칼슘을 사용한 비교예 4는 외관 특성이 저하되고, 항균성이 크게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항균제의 함량이 실시예에 비해 적게 사용된 비교예 6은 항균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고, 과량 사용된 비교예 7은 외관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6)

  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5 내지 65 중량% 및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35 내지 95 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및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10 ㎛인 항균제 0.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항균제는 탄산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가 그라프트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형상 분석 레이저 마이크로스코프 장비로 측정한 2.5 mm 두께 시편의 표면 조도가 0.35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JIS Z 2801 항균 평가법에 의거하여, 5 cm × 5 cm 크기 시편에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을 접종하고, 24시간 후 측정한 항균 활성치가 각각 2 내지 7 및 2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60155631A 2016-11-22 2016-11-22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76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631A KR101976246B1 (ko) 2016-11-22 2016-11-22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631A KR101976246B1 (ko) 2016-11-22 2016-11-22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236A KR20180057236A (ko) 2018-05-30
KR101976246B1 true KR101976246B1 (ko) 2019-05-07

Family

ID=6230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631A KR101976246B1 (ko) 2016-11-22 2016-11-22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2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042A (ko) * 2021-12-28 2023-07-0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항바이러스성 성형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817A (ja) 1999-04-30 2000-11-14 Ishizuka Glass Co Ltd 樹脂添加剤
KR100696385B1 (ko) * 2005-12-30 2007-03-19 제일모직주식회사 항균성 및 광택성이 우수한 시트 공압출용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20140259486A1 (en) 2013-03-14 2014-09-18 Church & Dwight Co., Inc. Plastic bristles infused with carbonate
JP2015514391A (ja) * 2012-02-20 2015-05-21 エミネート リミテッド 重炭酸ナトリウム製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817A (ja) 1999-04-30 2000-11-14 Ishizuka Glass Co Ltd 樹脂添加剤
KR100696385B1 (ko) * 2005-12-30 2007-03-19 제일모직주식회사 항균성 및 광택성이 우수한 시트 공압출용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15514391A (ja) * 2012-02-20 2015-05-21 エミネート リミテッド 重炭酸ナトリウム製品
US20140259486A1 (en) 2013-03-14 2014-09-18 Church & Dwight Co., Inc. Plastic bristles infused with carbo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236A (ko)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16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26819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874160B1 (ko)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90082148A (ko)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9008207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86148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76246B1 (ko)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4560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80113040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157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7222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65353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48399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023517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764903B1 (ko) 도금 특성이 우수한 친환경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8007183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15075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2572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96801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639153B1 (ko) 항균성이 우수한 저취 abs계 수지 조성물
KR102013502B1 (ko)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16137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30100042A (ko) 항바이러스성 성형품
KR101528390B1 (ko) 대전 방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33381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