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642B1 - 호야빵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호야빵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642B1
KR101975642B1 KR1020160164897A KR20160164897A KR101975642B1 KR 101975642 B1 KR101975642 B1 KR 101975642B1 KR 1020160164897 A KR1020160164897 A KR 1020160164897A KR 20160164897 A KR20160164897 A KR 20160164897A KR 101975642 B1 KR101975642 B1 KR 101975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wder
rice flour
b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710A (ko
Inventor
배경식
Original Assignee
배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경식 filed Critical 배경식
Priority to KR1020160164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6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64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04Products made from materials other than rye or wheat flou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04Products made from materials other than rye or wheat flour
    • A21D13/047Products made from materials other than rye or wheat flour from cereals other than rye or wheat,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1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filled before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8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4Anim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6/00Other treatment of flour or dough before baking, e.g. cooling, irradiating, heating
    • A21D6/001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2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 A21D8/04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treating dough with microorganisms or enzy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야빵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10~30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황설탕 5~10 중량부, 물 10~15 중량부, 올리브유 1~3 중량부, 밀가루 10~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b) 팥 1~5 중량부, 블루베리 1~5 중량부, 겨자 1~2 중량부, 복분자 1~5 중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가루로 만들고,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1~3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재료를 꿀 1~2 중량부와 혼합하여 앙금을 준비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이후 반죽과 앙금을 형틀에 투입하고, 이를 150 내지 170로 가열하여 호야빵을 굽는 단계를 포함한 호야빵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야빵 제조방법을 이용한 호야빵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야빵 및 그 제조방법{HOYA BREA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반죽을 이용한 호야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팥 앙금대신에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추가 및 대체하여 제조되는 호야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붕어빵은 밀가루 반죽과 팥앙금을 형틀에 넣고 구워낸 빵으로서, 주로 노점상들이 판매하는 간식이다. 특히, 겨울철에 따뜻하게 구워낸 붕어빵은 대다수의 국민들이 그 맛을 알 정도로 유명한 빵이다. 이러한 붕어빵의 제조에 필요한 반죽을 대량으로 제조하여 공급하는 사업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맛과 식감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들이 계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619533호에서는 밀가루 30~37 중량%, 찰보리가루 16~18 중량%, 옥수수 전분 11~12 중량%, 흰 우유 5.5~6 중량%, 날계란 19.5~20.5 중량%, 마가린 5~5.5 중량%, 포도당 1~1.5 중량%, 베이킹 파우더 2~2.5 중량%, 소다 0.3~0.5 중량%, 소금 0.3~0.5 중량%, 액상 바닐라 2.2~2.5 중량%, 특미당 0.195~0.494 중량% 및 계피분 0.005~0.006 중량%의 조성비로 이루어진 붕어빵용 생지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04-11577호에서는 소량의 흑미를 혼합한 붕어빵용 반죽이 개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물 50~60, 밀가루 42.5~31.5, 옥수수가루 2~3, 설탕 2.5~3.5, 흑미가루 2~1, 제염 0.6~0.75, 탄산수소나트륨 0.4~0.25의 중량비율(%)로 배합하여 1차 반죽물을 조성하고 동 반죽물 80~90, 액상마가린20~10의 중량비율(%)로 배합 조성하여서 이루어지는 흑미가루가 혼합되는 붕어빵 반죽물을 개시하고 있다.대한민국 특허 575049호에서는 형틀에서 쉽게 이탈되고, 우수한 식감과 맛을 가진 붕어빵을 제조하기 위해서,물 36.00 내지 40.00 중량%, 밀가루 38.40 내지 48.60 중량%, 소다 0.03 내지 0.05중량%, 백설탕 1.40 내지2.60 중량%, 소금 0.25 내지 0.90 중량%, 마가린 12.78 내지 15.00 중량%, 튀김가루 0.26내지0.90 중량%, 전지분유 0.41 내지 1.31 중량%, 가지가루 0.26 내지 0.82 중량%, 제빵 개량제 0.01 내지 0.02 중량%를 혼합된 제빵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붕어빵들은 전부 밀가루를 기반으로 제조된 제품이어서, 쌀을 주식으로 하는 소비자들이 식사 대용으로 받아들여지기 어려웠고, 간식으로서만 소비되는 한계가 있어 왔다.
따라서, 외식 분야의 사업화 활성화 및 소비자 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보다 소비자 기호에 따라 쉽게 접근하여 판매율을 높이고 고객 만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호야빵 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야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밀가루 대신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를 이용하여 반죽을 제조하고, 다양한 앙금의 종류를 제공하여 소비자들에게 보다 만족감을 주며 영양가 있는 간식 및 식사대용인 호야빵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형틀에 구울 때, 초벌 하여 굽는 것을 통해 속은 촉촉, 겉은 바삭한 호야빵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a)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10~30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황설탕 5~10 중량부, 물 10~15 중량부, 올리브유 1~3 중량부, 밀가루 10~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b) 팥 1~5 중량부, 블루베리 1~5 중량부, 겨자 1~2 중량부, 복분자 1~5 중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가루로 만들고,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1~3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재료를 꿀 1~2 중량부와 혼합하여 앙금을 준비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이후 반죽과 앙금을 형틀에 투입하고, 이를 150 내지 170℃로 가열하여 호야빵을 굽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단계는, 아사이베리 가루 10~20 중량부, 비타민나무열매가루 10~20 중량부, 아로니아 가루 10~20 중량부, 마키베리 가루 10~20 중량부, 아마씨가루 10~20 중량부, 보리새싹가루 10~20 중량부, 청국장가루 10~20 중량부, 코코아가루 10~20 중량부, 강황가루 10~20 중량부, 어성초가루 10~20 중량부, 비트가루 10~20 중량부, 카레가루 10~20 중량부, 홍삼가루 10~20 중량부, 오이가루 10~20 중량부, 배추가루 10~20 중량부, 딸기가루 10~20 중량부, 바나나가루 10~20 중량부, 망고가루 10~20 중량부, 블루베리가루 10~20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는, 아사이베리 1~5 중량부, 아로니아 1~5 중량부, 마키베리 1~5 중량부, 아마씨 1~5 중량부, 비트 1~5 중량부, 오이 1~5 중량부, 배추 1~5 중량부, 딸기 1~5 중량부, 바나나 1~5 중량부, 망고 1~5 중량부, 당근 1~5 중량부, 토마토 1~5 중량부, 수박 1~5 중량부, 사과 1~5 중량부, 포도 1~5 중량부, 고구마 1~5 중량부, 마 1~5 중량부, 칡 1~5 중량부, 파 1~5 중량부, 마늘 1~5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및 (b)단계는, 호두1~5중량부, 땅콩1~5중량부, 율무1~5중량부, 깨1~5중량부, 잣1~5중량부, 아몬드1~5중량부, 밤1~5중량부, 피스타치오1~5중량부, 은행1~5중량부, 캐슈넛1~5중량부, 피칸1~5중량부, 해바라기씨1~5중량부, 도토리1~5중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견과류를 선택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는, 형틀의 온도를 100 내지 120℃로 조절하여 초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단계는, 상기 혼합된 반죽을 18~24℃의 실온에서 20~30분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는, 상기 앙금을 0~5℃의 냉장온도에서 20~30분 냉장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호야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야빵 및 그 제조방법은 밀가루를 대신하여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를 이용하여 보다 건강한 간식 및 식사용 호야빵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팥앙금 대신에 소비자 기호에 따른 과일 및 야채, 견과류를 더 넣음으로써, 영양가가 높은 건강한 간식 및 식사대용 호야빵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초벌로 굽는 단계를 포함하여 호야빵 반죽의 속은 촉촉하고, 겉은 바삭하여 가장 맛있는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호야빵 제조방법을 나열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야빵 제조방법은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황설탕, 물, 올리브유, 밀가루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S100), 팥, 블루베리, 겨자, 복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가루로 만들고,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재료를 꿀과 혼합하여 앙금을 준비하는 단계(S200) 및 상기 단계 이후 반죽과 앙금을 형틀에 투입하고, 이를 150 내지 170로 가열하여 호야빵을 굽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S100)단계는, 혼합된 반죽을 18~24℃의 실온에서 30분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쌀가루로 반죽을 제조 시 반죽은 18~24℃의 실온에서 30분 숙성하며, 현미가루로 반죽을 제조 시 반죽은 18~24℃의 실온에서 50분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미의 경우는 쌀보다 두꺼운 겨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쌀보다 더 오래 반죽을 숙성시키는 것이 쌀가루로 반죽했을 때와 비등한 부드러운 식감을 낼 수 있는 최적의 숙성시간이다.
상기(S100)단계는, 물엿, 올리고당, 조청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혼합하여 앙금을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앙금은 단맛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단맛을 내는 상기 재료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S200)단계는, 상기 앙금을 0~5℃의 냉장온도에서 20~30분 냉장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죽을 앙금을 0~5℃의 냉장온도에서 20~30분 냉장 숙성시키는 것은 앙금에 가미된 재료들이 서로 잘 섞이고, 약간 얼려있는 상태로 보존되기 때문에 오래 두고 먹을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상기(S300)단계 이후에는,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장은 호야빵 브랜드 명이 명시된 일회용 상자 및 종이로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 별로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하겠다.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황설탕, 물, 올리브유, 밀가루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S100)는,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10~30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황설탕 5~10 중량부, 물 10~15 중량부, 올리브유 1~3 중량부 밀가루 10~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이다.
종래의 붕어빵이나 국화빵같은 경우에는 주 재료를 밀가루로 사용하여 반죽을 만드는 반면에 본 발명은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밀가루와 섞어 반죽을 만들 수 있다.
쌀가루에는 글루텐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아 셀리악병과 같은 그루텐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도 먹을 수 있다.
또한, 쌀가루는 밀가루보다 2배정도 많은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이 있어서 아토피 및 알레르기 예방 효과가 있다.
또한, 인체의 근육과 내장, 중요한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고 열량은 낮아 다이어트 및 각종 성인병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미네랄 등 우리 몸에 필요한 10가지의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되어 있어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높여 주기도 한다.
따라서, 쌀가루는 10~30 중량부 이상 및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넣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죽을 할 때 글루텐이 없는경우 반죽을 뭉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나, 최근 개발로 인하여 글루텐 없이도 반죽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상기 개발된 쌀가루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현미가루에서 현미의 식이섬유는 인체에는 흡수되지 않고 과다한 각종 영양소의 장내 흡수를 늦춰줌으로써 칼로리 섭취를 억제한다. 변의 양을 많게 하고 장벽을 자극해 변비를 예방해준다. 또한 체내 콜레스테롤을 정상화시켜 각종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에도 좋으며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해 노화를 늦춰준다. 어린이의 두뇌개발에도 좋다.
또한, 당뇨병 환자에게는 혈당관리가 가장 중요한 데, 식후 포도당의 혈당지수를 100%로 보았을 때 백미의 혈당지수는 70~79%인데 반해 현미의 혈당지수는 60~69%로 나타나며 당뇨병에 효과가 있다.
또한, 현미는 프로테아제 방지제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암 진행을 늦춰준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사람들은 대장, 흉부, 전립선암의 발생률이 낮다. 섬유소의 미생물 발효에 의해서 생성된 휘발성 지방산 중 부티르산이 체내에서 산화되면 포도당의 산화를 50%나 감소시키므로 포도당을 절약하고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켜 대장암의 발생을 줄인다고 한다.
또한, 쌀겨에 있는 파틴산은 과잉 섭취된 칼슘의 흡수를 막아서 결석을 예방한다. 결석 환자는 소변에 많은 양의 칼슘이 섞여 나오는 과칼슘뇨증을 조심해야 한다. 하지만 파틴산은 무기질의 장내 흡수를 방해함으로써 근육과 심장의 기능을 낮게 하고 성장불량과 성욕감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현미식을 할 때는 종피의 잔류농약에 조심하고 야채나 우유를 많이 섭취해 미네랄 결핍에 빠지지 않게 해야 하면 결석을 예방하는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현미는 오래 씹어 먹어야 하기 때문에 적게 먹어도 포만감을 느껴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이다.
따라서, 현미가루는 10~30 중량부 이상 및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가루는 국산 밀가루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 상기 (S100)단계의 다른 실시예로, 아사이베리 가루 10~20 중량부, 비타민나무열매가루 10~20 중량부, 아로니아 가루 10~20 중량부, 마키베리 가루 10~20 중량부, 아마씨가루 10~20 중량부, 보리새싹가루 10~20 중량부, 청국장가루 10~20 중량부, 코코아가루 10~20 중량부, 강황가루 10~20 중량부, 어성초가루 10~20 중량부, 비트가루 10~20 중량부, 카레가루 10~20 중량부, 홍삼가루 10~20 중량부, 오이가루 10~20 중량부, 배추가루 10~20 중량부, 딸기가루 10~20 중량부, 바나나가루 10~20 중량부, 망고가루 10~20 중량부, 블루베리가루 10~20 중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열된 채소 및 과일은 각종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질이 풍부하게 함유 되어 있어, 밀가루에 함유된 안 좋은 성분 등을 배제하여 인체에 이롭고, 다이어트 및 피부개선, 심혈관 질환 예방 등의 효과를 나타내며, 사람들에게 영양가 있는 간식 및 식사 대용 호야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과 다른 색다른 맛을 즐길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황설탕은 두 번째로 정제한 설탕으로 백설탕과 흑설탕의 중간이며, 수분 함유량도 중간정도로 함유하고 있다.
또한, 황설탕은 미네랄이 풍부하고, 예전에는 강장, 진통, 정신안정, 위장의 원활화 등의 약리작용을 하는 약으로 쓰였다고 한다.
사상체질에서는 체질에 관계없이 모든 체질에 유익한 식품이라고도 되어 있다.
따라서, 황설탕은 5~10 중량부 이상 및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리브유는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식물성 기름 가운데 가장 높고 필수지방산인 올레인산이 65~80% 정도 들어 있다.
올레인산은 혈액 중에 좋은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증가시키고 나쁜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올리브유에 함유된 비타민 E와 프로비타민이 피부 노화를 막고 노폐물과 독소를 배출해 피부를 매끄럽고 건강하게 유지시켜 준다.
또한, 살균정화능력이 있어 피부 뾰루지 등이 생긴 곳에 바르면 트러블이 진정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올리브유는 1~3 중량부 이상 및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팥, 블루베리, 겨자, 복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가루로 만들고,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재료를 꿀과 혼합하여 앙금을 준비하는 단계(S200)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도록 하겠다.
팥은 제빵에서 가장 일반적인 앙금으로 잘 알려져 있다.
상기 팥은 소변에 이롭고, 수종을 가라앉히고 염증을 없애주며 주독을 풀어주는 여러 가지 효능이 있다. 또 몸이 비대한 사람이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몸이 여윈 사람이 몸이 튼튼해지므로 묘한 작용도 있다.
또한, 팥에는 비타민 B1이 아주 많이 들어 있는데 우리 체내에서 비타민B1이 부족하게 되면 각기병을 비롯해서 신경, 위장, 심장 등에 여러 가지 증세가 나타나게 된다.
특히, 비타민B1은 신경과 관련이 깊어 이것이 부족하게 되면 식욕부진, 피로감, 수면장애, 기억력감퇴, 신경쇠약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따라서 팥은 이러한 중세 및 질병의 예방과 퇴치를 위해 아주 좋은 식품이며, 특히 신경을 많이 쓰는 정신근로자나 수험생 등에게 더욱 좋은 식품이다. 또 신장병, 당뇨병 등에도 유효하다.
또한, 각기병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왔으며, 속이 열한 것 과 소갈을 다스리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 명의 별록 " 에는 팥은 한열과 속이 열한 것을 다스리며 소명을 이롭게 하고 소갈 에도 좋다고 되어있고 " 약성본초 " 에는 팥은 열독을 다스리고 악혈을 없애며 또 비와 위를 튼튼하게 해준다 하고 기록되어 있다. 부종에는 뽕나무 삶은 물에 팥을 달여 수시로 마시면 효과적이다. 또 과음으로 인해 구토가 심할 때에는 팥을 달여 그물을 자주 마시면 빨리 낫는다. 그리고 각기병으로 고생하는 사람은 팥과 율무쌀을 8 : 2의 비율로 넣고 삶아 설탕을 조금 넣어 하루에 세번씩 꾸준히 먹으면 치료에 큰 도움이 된다 .
따라서, 팥은 1~5 중량부 이상 및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루베리에는 시력에 좋은 안토시아닌이 함유되어 있는데, 포도보다 30배 이상 많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블루베리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은 항산화 기능을 갖으며 망막쇠퇴병을 제한하고, 눈의 피로를 예방하는 데 효과 적이다.
블루베리가 뼈를 강하게 만드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블루베리는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는 데, 뇌에 작용하여 뇌가 활성화 되고, 치매예방에 효과가 있다.
또한, 식물 유지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콜레스테롤을 과하게 흡수하지 못하도록 억제시켜주고, 장에서 유해물질이 생성되지 못하도록 하여 변비를 해소하고 대장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겨자는 암세포가 증식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항암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상처 난 부위에 바를 경우에는 각종 신경계질환으로 인한 통증 및 근육통 완화에 효과가 있으며, 혈액순환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폐기능을 강화시켜주어 기관지 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다.
또한, 시니그린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강력한 살균작용과 항산화작용을 하여 체내 활성산소를 억제하여 노화 예방에 효과가 있다.
또한, 수족냉증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체내의 지방을 태우는 기능이 있어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있다.
복분자는 오디, 블루베리와 함량을 비교했을 때, 약 3배가량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으며, 안토시아닌은 블루베리보다 약 7배가량 많이 함유하고 있다고 한다.
복분자는 눈에 좋은 비타민A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눈에 쌓인 피로를 풀어주고 시력을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다.
또한, 각종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항산화 기능까지 있어 정력강화에 도움이 되고, 전립선 비대증, 체력 증강 효과가 있다
또한, 비타민A, C와 각종 미네랄이 함유되어 세포에 무리한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여 세포의 파괴와 노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기능을 강화시켜주며 이에따른 숙취해소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피토에스트로겐이 함유되어 있어, 여성호르몬을 생성하는 난포 등을 자극해 호르몬 분비를 원활하게 해주어 갱년기, 골다공증 및 빈혈에 효과가 있다.
또한, 타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노페물을 배출시텨 항암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여성의 몸을 따뜻하게 해주어 임신가능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팥, 블루베리, 복분자는 1~5 중량부, 겨자 1~2 중량부 이상 및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꿀은 비염이나 알레르기 치료에 효과가 있다.
또한, 기침과 인후통 완화에 효과적이며, 특히 메밀 꿀이 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항산화 물질이 있어, 뇌세포의 손상을 감소시키고 보호하여 기억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
또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활력을 돋우는데 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소화장애를 겪을 시에도 장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 노화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꿀에 함유된 유산균 및 비피더스균과 같은 이로운 균을 통한 면역력 강화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꿀 1~2 중량부 이상 및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팥, 블루베리, 겨자 및 복분자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가루화 시켜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중 하나를 선택한 뒤 꿀과 함께 혼합하여 앙금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앙금을 준비하는 단계(S200)에서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를 혼합시키는 것은 앙금이 잘 뭉쳐지게 하기 위해서 이다.
또한, 앙금이 반죽과 섞이는 것을 방지하여 깔끔한 맛을 낼 수 있다.
본 발명 상기(S200)단계의 다른 실시예로, 팥, 블루베리, 겨자, 복분자 외에도 아사이베리 1~5 중량부, 아로니아 1~5 중량부, 마키베리 1~5 중량부, 아마씨 1~5 중량부, 비트 1~5 중량부, 오이 1~5 중량부, 배추 1~5 중량부, 딸기 1~5 중량부, 바나나 1~5 중량부, 망고 1~5 중량부, 당근 1~5 중량부, 토마토 1~5 중량부, 수박 1~5 중량부, 사과 1~5 중량부, 포도 1~5 중량부, 고구마 1~5 중량부, 마 1~5 중량부, 칡 1~5 중량부, 파 1~5 중량부, 마늘 1~5 중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사이 베리는 항산화 기능, 항염증 기능, 콜레스테롤 조절 효과가 있다.
아로니아는 안티에이징에 강력한 효과가 있다.
미키베리는 항산화 기능, 활성산소 생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아마씨는 피부질환 개선, 혈액순환, 신진대사 촉진, 심혈관질환 예방 및 항암효과 갱년기 완화 효과가 있다.
비트는 자당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체내에서 분해되면 포도당으로 변환되어 뇌에 영양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는 효과가 있다.
오이는 수분과 비타민C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에 좋고 포만감을 주어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있다.
배추에 푸른 잎은 철분, 칼륨, 엽록소, 비타민C가 많고, 노란 고갱이에는 비타민A가 풍부하다. 이에따라, 겨울철 감기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배추에는 알칼리성 칼슘이 함유되어 있어, 밥, 국수, 고기 등의 산성식품을 중화시키는 기능이 있으며, 단백질, 지방, 당질의 함령이 낮아서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있다.
딸기는 항산화 성분인 안토시아닌이 풍부하여 암 세포를 줄이는 데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비타민C에 의해 멜라닌 색소가 침착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거나 원인인 콜레스테롤이 체내에 축적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바나나는 식이섬유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변비에 효과가 있다.
또한, 팩틴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위장을 안정시켜 설사에 효과가 있다.
또한, 쉽게 포만감을 느껴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망고는 비타민과 베타카로틴, 폴리페놀이 풍부하여 세포손상과 암예방에 효과가 있다.
또한, 전립선 암, 결장 암, 유방 암 예방에 효과가 있다.
또한, 비타민K가 함유되어 있어 뼈를 건강하게 해주며, 체내에 칼슘흡수를 도와 골다공증에 효과가 있다.
당근은 베타카로틴과 비타민A가 풍부하여 눈의 피로와 시력을 보호하는데 효과가 있어 야맹증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토마토, 수박, 사과, 포도와 같은 채소 및 과일은 식이섬유질 및 비타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개선 및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
고구마, 칡, 마과 같은 뿌리식물은 포만감을 느끼게 해주는 식사대용 식품이며 식이섬유질도 다량 함유되어 있어 다이어트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파와 마늘은 기름이 들어가는 음식인 빵 종류에 첨가하면 느끼함을 잡아주어 깔끔한 맛을 내는 효과가 있으며, 체내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나열된 재료들은 1~5 중량부 이상 및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뿌리식물은 삶아서 일정하게 깍뚝썰기하고 및 상기 야채 및 과일은 즙 또는 잘게 썰어 꿀과 혼합하여 앙금으로 만드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채소 및 과일은 빵에는 부족한 비타민 및 식이섬유질이 함유되어 있어 기호에 맞게 하나이상을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상기(S100)단계 및 상기 (S200)단계의 또 다른 실시예로, 호두1~5중량부, 땅콩1~5중량부, 율무1~5중량부, 깨1~5중량부, 잣1~5중량부, 아몬드1~5중량부, 밤1~5중량부, 피스타치오1~5중량부, 은행1~5중량부, 캐슈넛1~5중량부, 피칸1~5중량부, 해바라기씨1~5중량부, 도토리1~5중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견과류를 선택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호두는 과자의 재료로 이용되고 자양제 · 강장제로서, 유정(遺精) · 변비 치료에 쓰인다.
호두의 배합량은 1~5 중량부가 좋다. 호두의 배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변비 및 자양강장에 대한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호두의 배합량이 5중량부 초과일 경우, 체중이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다.
땅콩은 지질 45%, 단백질 30% 이상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B1·B2도 들어 있어서 영양적으로 우수한 식품이다.
땅콩의 배합량은 1~5 중량부가 좋다. 땅콩의 배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두뇌에 대한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땅콩의 배합량이 5중량부 초과일 경우, 설사나 변비가 올 수 있다.
율무는 포아폴과에 속하는 일년초이다. 율무의 일반성분은 수분 10.4%, 단백질 21.3%, 지방 3.7%, 탄수화물 61.1%, 섬유 2.0%, 무기질 1.4%이다. 율무쌀에는 자양강장의 효과가 있어 강장효과와 이뇨, 미용에 좋다. 율무는 항산화 작용을 하여 노화방지 효능이 있다. 또한, 율무의 텍스트린이 장 기능을 활성화 시켜주어 숙변 제거, 변비 해소, 노폐물 배출 등의 효능이 있다. 율무는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여 혈관에 쌓이는 지방 및 콜레스테롤 제거하여 혈관을 깨끗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혈액순환을 좋게할 수 있어 고혈압, 동맥경화 등 혈관계 질환에 좋다. 율무는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켜 혈당량을 낮춰주므로 당뇨병에 좋다. 율무의 콘시롤라이드라는 성분은 암을 억제시키고, 암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율무의 그루켄이라는 성분은 불규칙한 혈압수치를 조절해 주는 효능이 있어 고혈압, 저혈압 환자에게 좋다.
또한, 율무는 불임치료 효능이 있다. 율무를 꾸준히 섭취하면 배란을 유발하는 작용을 하여 불임여성의 임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율무를 과다 섭취하면 임신 중인 여성은 유산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율무의 배합량은 1~5 중량부가 좋다. 율무의 배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노폐물 배출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땅콩의 배합량이 5중량부 초과일 경우, 유산의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
깨는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여 피부는 물론 건강에 우수한 식품이다.
깨의 배합량은 1~5 중량부가 좋다. 깨의 배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피부 미용에 대한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깨의 배합량이 5중량부 초과일 경우, 체중이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다.
잣은 지방유가 약 74% 정도 들어 있고 그 주성분은 올레인산·리놀렌산이다. 약성은 온화하고 맛이 달다. 오래 먹으면 노인성변비에 장의 유동운동을 촉진시키면서 배변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잣의 배합량은 1~5 중량부가 좋다. 잣의 배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노인성 변비에 대한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잣의 배합량이 5중량부 초과일 경우, 체중이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다.
아몬드는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고 비타민 E가 풍부하여 피부 미용에도 좋으며 철분이나 칼슘도 풍부해 건강에 좋다.
아몬드의 배합량은 1~5 중량부가 좋다. 아몬드의 배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노화예방과 다이어트에 대한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아몬드의 배합량이 5중량부 초과일 경우, 체중이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다.
밤은 탄수화물·단백질·기타지방·칼슘·비타민(A·B·C) 등이 풍부하여 발육과 성장에 좋다. 특히 비타민C가 많이 들어 있어 피부미용과 피로회복·감기예방 등에 효능이 있으며 생밤은 비타민C 성분이 알코올의 산화를 도와 주어 술안주로 좋다. 당분에는 위장 기능을 강화하는 효소가 들어 있으며 성인병 예방과 신장 보호에도 효과가 있다.
밤의 배합량은 1~5 중량부가 좋다. 밤의 배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노화예방과 두뇌활동에 대한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밤의 배합량이 5중량부 초과일 경우,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피스타치오는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기능을 하여 심혈관 기능을 건강하게 유지해준다고 한다. 불포화지방산이 들어 있어 암을 예방하기도 한다.
피스타치오의 배합량은 1~5 중량부가 좋다. 피스타치오의 배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심혈관 기능 건강에 대한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피스타치오의 배합량이 5중량부 초과일 경우, 변비가 유발할 수 있다.
은행은 혈관계질환 예방, 혈액노화 방지, 콜레스테롤을 낮춰주는 역할 및 체내 노폐물 배출 등에 효과가 있다.
은행의 배합량은 1~5 중량부가 좋다. 은행의 배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혈관계질환에 대한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은행의 배합량이 5중량부 초과일 경우, 청산배당체라는 성분이 있어 몸에서 열이나거나 호흡에 어려움이 올 수 있어 적당량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슈넛은 지방, 단백질, 철분, 비타민 B1 등의 영양가가 풍부하고 독특한 맛을 낸다. 인도 서부지역에서 닭과 채소 요리에 쓰인다. 또한 종자는 중화풍의 볶음이나 스튜 등에 이용하기도 한다.
캐슈넛의 배합량은 1~5 중량부가 좋다. 캐슈넛의 배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빈혈 및 다이어트에 대한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캐슈넛의 배합량이 5중량부 초과일 경우, 체중이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다.
피칸은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뇌신경을 안정시키는 칼슘과 신경비타민인 비타민 B군의 함량도 대단히 높아 영양적으로 우수한 견과류입니다. 아메리칸인디언의 주요 식량이었고 파이, 케이크, 아이스크림등에 이용된다.
피칸의 배합량은 1~5 중량부가 좋다. 피칸의 배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뇌신경 안정에 대한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피칸의 배합량이 5중량부 초과일 경우, 체중이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다.
해바라기씨는 칼륨, 마그네슘, 철, 아연 등 미네랄이 풍부하고, 뼈를 튼튼하게 하는 칼슘, 혈액을 생성하는 철분이 함유되어 있다.
해바라기씨의 배합량은 1~5 중량부가 좋다. 해바라기씨의 배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빈혈 및 뼈 건강에 대한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해바라기씨의 배합량이 5중량부 초과일 경우, 체중이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다.
도토리는 저칼로리 식품으로 다이어트에 효과적이고, 해독작용을 하여 각종 유해균과 바이러스 증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도토리의 배합량은 1~5 중량부가 좋다. 도토리의 배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다이어트 및 해독작용에 대한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도토리의 배합량이 5중량부 초과일 경우, 타닌 성분이 있어 변비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견과류를 (S100) 및 (S200)단계에 더 포함할 경우에 반죽 및 앙금에 씹히는 맛이 생기며 각 견과류에 함유된 성분으로 부족한 호야빵의 영양분을 더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견과류는 빵에는 부족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필수지방산과 트립토판이,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어 기호에 맞게 하나이상을 선택하여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200)단계 이후 반죽과 앙금을 형틀에 투입하고, 이를 150 내지 170로 가열하여 호야빵을 굽는 단계(S300)를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형틀의 온도는 150 내지 170로 가열하여 3 분 내지 5분 정도 굽는 것이 겉 반죽이 익는 가장 바람직한 온도 및 시간이다.
그 150 이하로 굽게 되면 겉 반죽이 덜 익게 되어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없으며, 소화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그 170이상으로 굽게 되면 겉 반죽이 타면서 아크릴아미드가 발생하는데 발암물질로 구분되는 성분으로 암을 유발할 수 있다.
종래의 붕어빵이나 국화빵의 경우에는 형틀에 정해진 온도나 시간으로 굽지 않고, 겉에 반죽이 노르스름 해질 때, 꺼내서 판매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호야빵은 다양한 재료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한번 굽는 것 이외에 재료의 양과 종류에 따라 100 내지 120℃로 초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야빵의 속은 촉촉하면서 부드럽고, 겉은 바삭한 질감을 살릴 수 있어 더욱 맛있고 정성스런 호야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호야빵의 모양을 생성하는 형틀에 있어서, 상기 형틀의 형상을 한정하지 않으며, 잉어, 국화, 밤 등 과 같은 형상으로 형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앙금의 종류에 따라 그 형상도 변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호야빵 및 그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서 이용한 호야빵과 비교 예의 앙금의 재료에 관련하여 선호도를 평가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팥앙금 호야빵
(a)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10~30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황설탕 5~10 중량부, 물 10~15 중량부, 올리브유 1~3 중량부, 밀가루 10~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b) 팥 1~5 중량부를 가루로 만들고,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1~3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재료를 꿀 1~2 중량부와 혼합하여 앙금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이후 반죽과 앙금을 형틀에 투입하고, 이를 150 내지 170로 가열하여 호야빵을 굽는 단계로 진행한 팥앙금 호야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블루베리앙금 호야빵
(a)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10~30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황설탕 5~10 중량부, 물 10~15 중량부, 올리브유 1~3 중량부, 밀가루 10~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b) 블루베리 1~5 중량부를 가루로 만들고,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1~3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재료를 꿀 1~2 중량부와 혼합하여 앙금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이후 반죽과 앙금을 형틀에 투입하고, 이를 150 내지 170로 가열하여 호야빵을 굽는 단계로 진행한 블루베리앙금 호야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겨자앙금 호야빵
(a)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10~30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황설탕 5~10 중량부, 물 10~15 중량부, 올리브유 1~3 중량부, 밀가루 10~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b) 겨자 1~2 중량부를 가루로 만들고,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1~3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재료를 꿀 1~2 중량부와 혼합하여 앙금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이후 반죽과 앙금을 형틀에 투입하고, 이를 150 내지 170로 가열하여 호야빵을 굽는 단계로 진행한 겨자앙금 호야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복분자앙금을 이용한 호야빵
(a)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10~30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황설탕 5~10 중량부, 물 10~15 중량부, 올리브유 1~3 중량부, 밀가루 10~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b) 복분자 1~5 중량부를 가루로 만들고,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1~3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재료를 꿀 1~2 중량부와 혼합하여 앙금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이후 반죽과 앙금을 형틀에 투입하고, 이를 150 내지 170로 가열하여 호야빵을 굽는 단계로 진행한 복분자앙금 호야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일반 붕어빵 및 국화빵
(a) 밀가루 10~30 중량부, 설탕 5~10 중량부, 물 10~15 중량부, 식용유 1~3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b) 팥 1~5 중량부를 가루로 만들고, 밀가루 1~3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재료를 물엿 1~2 중량부와 혼합하여 앙금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이후 반죽과 앙금을 형틀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붕어빵 및 국화빵을 굽는 단계로 진행한 붕어빵 및 국화빵을 제조하였다.
<실험 예1> 전 연령대 별 선호도 및 관능검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제빵에 대하여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의 남녀 각 10명씩 총 100명을 대상으로 관능검사 및 선호도를 실시하였다.
표1 <관능검사> 및 표2 <선호도>의 경우, 각 항목에 대하여 10점 평점법을 적용하고 실시하고, 표1은 그 평균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119407722-pat00001
Figure 112016119407722-pat00002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제빵의 관능 검사 및 선호도를 실시한 결과, 표 1과 같이 비교예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 예1(팥앙금 호야빵), 실시 예2(블루베리앙금 호야빵), 실시 예3(겨자앙금 호야빵) 및 실시 예4(복분자앙금 호야빵)가 앙금 및 반죽맛, 향, 깔끔함 및 기호성에서 모두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과 다양한 재료가 앙금에 첨가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호야빵에 대한 미감과 후감 등이 모두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각 연령대에 따른 선호도 결과를 보면, 10 대 및 20대에 가장 인기가 좋은 제빵은 실시예 1(팥앙금 호야빵)이였고, 30대가 가장 선호한 제빵은 실시예 2(블루베리앙금 호야빵)이고, 40대가 가장 선호하는 제빵은 실시예 3(겨자앙금 호야빵)이였고, 50대가 가장 맛있다고 느낀 제빵은 실시예 4(복분자앙금 호야빵)로 결과가 나왔다.
즉, 표2처럼 각 연령대 별로 입맛과 선호도의 차이가 있으므로 다양한 앙금으로 제조되는 호야빵이 비교예인 일반 붕어빵 및 국화빵 보다도 판매율이 높을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호야빵은 간식뿐만 아니라, 식사대용으로도 가능한 영양과 선택의 폭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8)

  1. (a)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10~30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황설탕 5~10 중량부, 물 10~15 중량부, 올리브유 1~3 중량부, 밀가루 10~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b) 겨자 1~2 중량부를 가루로 만들고, 쌀가루 또는 현미가루 1~3 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재료를 꿀 1~2 중량부와 혼합하여 앙금을 준비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이후 반죽과 앙금을 형틀에 투입하고, 이를 150 내지 170℃로 가열하여 호야빵을 굽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앙금을 0~5℃의 냉장온도에서 20~30분 냉장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아사이베리 1~5 중량부, 아로니아 1~5 중량부, 마키베리 1~5 중량부, 아마씨 1~5 중량부, 비트 1~5 중량부, 오이 1~5 중량부, 배추 1~5 중량부, 딸기 1~5 중량부, 당근 1~5 중량부, 토마토 1~5 중량부, 수박 1~5 중량부, 사과 1~5 중량부, 포도 1~5 중량부, 고구마 1~5 중량부, 마 1~5 중량부, 칡 1~5 중량부, 파 1~5 중량부, 마늘 1~5 중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더 포함하고,
    상기 고구마, 마, 칡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더 첨가할 때는 ?아서 일정한 크기로 깍뚝썰기하고, 상기 아사이베리, 아로니아, 마키베리, 아마씨, 비트, 오이, 배추, 딸기, 당근, 토마토, 수박, 사과, 포도, 파, 마늘 중 하나이상을 선택하여 더 첨가할 때는 즙 또는 잘게 썰어 혼합하고,
    상기 (a)단계는,
    상기 혼합된 반죽을 18~24℃의 실온에서 30 내지 50분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c)단계는,
    상기 형틀의 온도를 100 내지 120℃로 조절하여 초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또는 (b)단계는,
    호두1~5중량부, 땅콩1~5중량부, 율무1~5중량부, 깨1~5중량부, 잣1~5중량부, 아몬드1~5중량부, 밤1~5중량부, 피스타치오1~5중량부, 은행1~5중량부, 캐슈넛1~5중량부, 피칸1~5중량부, 해바라기씨1~5중량부, 도토리1~5중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견과류를 선택하여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야빵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아사이베리 가루 10~20 중량부, 비타민나무열매가루 10~20 중량부, 아로니아 가루 10~20 중량부, 마키베리 가루 10~20 중량부, 아마씨가루 10~20 중량부, 보리새싹가루 10~20 중량부, 청국장가루 10~20 중량부, 코코아가루 10~20 중량부, 강황가루 10~20 중량부, 어성초가루 10~20 중량부, 비트가루 10~20 중량부, 카레가루 10~20 중량부, 홍삼가루 10~20 중량부, 오이가루 10~20 중량부, 배추가루 10~20 중량부, 딸기가루 10~20 중량부, 바나나가루 10~20 중량부, 망고가루 10~20 중량부, 블루베리가루 10~20 중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야빵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호야빵.
KR1020160164897A 2016-12-06 2016-12-06 호야빵 및 그 제조방법 KR101975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897A KR101975642B1 (ko) 2016-12-06 2016-12-06 호야빵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897A KR101975642B1 (ko) 2016-12-06 2016-12-06 호야빵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710A KR20180064710A (ko) 2018-06-15
KR101975642B1 true KR101975642B1 (ko) 2019-05-07

Family

ID=6262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897A KR101975642B1 (ko) 2016-12-06 2016-12-06 호야빵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6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494B1 (ko) * 2019-03-18 2020-05-19 김범안 모링가를 이용한 과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과자
KR102450450B1 (ko) * 2020-11-17 2022-10-04 주식회사삼조에스피피 고구마 스틱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고구마 스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672B1 (ko) * 2013-04-11 2016-01-14 주식회사 대신제과 호두과자의 제조 방법
KR101505737B1 (ko) * 2013-08-20 2015-03-25 장창충 호두과자용 반죽 조성물, 이를 이용한 호두과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24344A (ko) * 2014-04-28 2015-11-05 김서희 과일 (배,파인애플,석류,복숭아,포도,오렌지,바나나,체리,망고,코코넛,레몬,모과,사과,자몽,메론,매실,복분자,수박,참외,살구,유자,구아바 ,라임,열대과일)빵
KR101696815B1 (ko) * 2014-10-23 2017-01-16 김인경 뽕빵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710A (ko) 2018-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834B1 (ko) 컬러 가래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컬러 가래떡
Ekesa Selected superfoods and their derived super diets
KR101975642B1 (ko) 호야빵 및 그 제조방법
Yadav et al. Uses and consumption
CN104055032A (zh) 一种营养方便早餐及其制备方法
KR20180112555A (ko) 만두피 및 그 제조 방법
Goulart Super Healing Foods: Discover the Incredible Healing Power of Natural Foods
CN105794926A (zh) 一种辣木低糖营养月饼及其制作方法
KR20170133934A (ko) 아로니아가 함유된 기능성 누룽지 가공식품의 제조 방법
Boone Powerful Plant-Based Superfoods: The Best Way to Eat for Maximum Health, Energy, and Weight Loss
CN114680288A (zh) 一种多味香辣豆豉的制备方法
Meena et al. Leafy mustard: A healthy alternative to green vegetables
Rayman Healthy Eating: The Prostate Care Cookbook
KR100474730B1 (ko) 한약재를 함유하는 곡물 수프의 제조방법
KR100522411B1 (ko) 생야채 비빔밥
KR102590423B1 (ko) 돼지감자 추출물을 이용한 당뇨예방 잡곡밥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만든 당뇨예방 잡곡밥
KR102486176B1 (ko) 마농 두부 바게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604235B1 (ko) 옥수수 피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460714B1 (ko) 누룽지 닭강정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04813A (ko) 연근과 닭고기를 주재료로 한 강정의 제조방법
Babal The Yin-Yang Diet: For Balance Nutrition, Health, and Harmony
CN106359514A (zh) 低糖低脂木薯月饼及其制备方法
Ajeigbe et al. Hand book on recipes of sorghum and sorghum based foods in Nigeria
D’Souza et al. The Good Health Always Cookbook: Recipes and Nutrition Secrets for a Better You
Kathane et al. ROLE OF AYURVEDA NUTRITION I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NON–COMMUNICABLE CHRONIC DISEASES: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