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512B1 - 당구게임 진행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 - Google Patents

당구게임 진행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512B1
KR101975512B1 KR1020160147016A KR20160147016A KR101975512B1 KR 101975512 B1 KR101975512 B1 KR 101975512B1 KR 1020160147016 A KR1020160147016 A KR 1020160147016A KR 20160147016 A KR20160147016 A KR 20160147016A KR 101975512 B1 KR101975512 B1 KR 101975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er
information
score
game
billi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0172A (ko
Inventor
신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큐
신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큐, 신중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큐
Priority to KR1020160147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5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0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6Computing the game s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3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with other kinds of input
    • A63F2009/2435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with other kinds of input using a video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3Image generating hardwa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5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 A63F2300/5546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using player registration data, e.g. identification, account, preferences, game histo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1Score compu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구게임 진행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타격한 수구의 이미지 즉 색상을 분석하여 득점상황인지 플레이어 교체상황인지를 판단하여 득점 입력 및 플레이어 교체정보 입력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별도로 플레이어가 수동으로 획득점수 입력과 플레이어 교체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게임 집중은 물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당구게임 진행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각각의 당구대별로 설치되어 게임정보 입력과 그 게임정보를 육안확인하도록 터치패널이 설치된 모니터를 갖는 당구대단말기(100)와, 상기 당구대단말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연결되어 각각의 당구대별로 설치된 당구대단말기로부터 게임자정보 및 게임 결과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메인단말기(200)와, 각각의 당구대 상측에 설치되어 당구경기를 촬영하여 상기 당구대단말기(100)로 그 촬영영상을 전달하는 촬영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당구게임 진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당구대단말기(100)는, 상기 촬영장치(300)로부터 전달된 영상으로부터 직전 타격한 수구의 색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색상의 동일여부에 따라 득점상황인지 플레이어 교체상황인지를 판단하는 이미지분석부(110)와, 상기 이미지분석부(110)에서 분석된 정보에 따라 획득점수를 연산하는 득점연산부(120)와, 상기 득점연산부(120)에서 연산된 득점 정보와 상기 이미지분석부(110)에서 분석된 플레이어 교체 유무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득점연산부(120)는, 상기 이미지분석부(110)에서 분석된 영상 이미지에서 어느 한명의 플레이어가 타격한 동일 색상의 수구 타격횟수가 1회인 경우에는 '0득점'한 것으로 산정하고, 동일한 색상의 수구 타격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에는 타격횟수에서 1을 뺀 점수를 득점으로 산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당구게임 진행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System for Playing Billiard Ga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당구게임 진행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타격한 수구의 이미지 즉 색상을 분석하여 득점상황인지 플레이어 교체상황인지를 판단하여 득점 입력 및 플레이어 교체정보 입력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별도로 플레이어가 수동으로 획득점수 입력과 플레이어 교체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게임 집중은 물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당구게임 진행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구는 많은 사람들이 즐겨 이용하는 게임으로서, 4구, 포켓볼, 쓰리 쿠션, 식스볼 등 다양한 게임 방식이 있다.
통상적으로 당구게임은 플레이어가 자신의 순서에 플레이를 진행하고 해당 플레이어에서 획득한 스코어를 관리판에 기록하여 게임을 진행하는데, 관리판은 수개의 가로대 각각에 다수의 스코어 표시알이 구비되어 플레이어가 당구게임을 하여 얻은 스코어에 따라 스코어 표시알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당구 스코어를 기록 관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코어 표시알을 이동하여 스코어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경우 해당 게임이 종료된 이후에 별도로 기록하지 않으면 스코어를 종합적으로 기록 관리할 수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스코어를 전자적으로 입력하고 이를 기록하는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112683호에는 스코어를 터치스크린 모니터에 입력하고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스코어를 입력하고 해당 스코어, 게임 시간 등과 같은 게임 정보를 기록 관리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이용한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이용한 당구 게임 진행시스템의 경우 플레이어가 스코어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플레이어가 자기순서의 플레이를 마치고 터치스크린 모니터가 구비된 당구대 단말기로 이동하여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통해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특히, 상기 기술의 경우는 타격중인 플레이어는 물론, 함께 게임을 진행하는 대기 플레이어가 점수를 계산하고 있어야 함에 따라 게임에 집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따른 집중력 저하로 본인의 실력을 모두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에 촬영영상에서 수구의 영상이미지를 분석하여 득점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 기술의 경우는 수구를 트랙킹한 영상이미지 전체를 분석하도록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고사양의 컴퓨터가 필요함은 물론 장시간에 걸쳐 영상이미지를 분석함에 따라 정보를 처리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려 중간중간 쉬는 시간을 가져야 하는 등 원활한 게임진행을 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가 발명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1406340호의 기술에서 핸디캡을 산정시에는 플레이어가 플레이어 교체 및 점수 산정을 위해 임의로 터치 및 점수 입력을 통해 하여야 함으로써 잘못 입력시 부정확한 핸디캡 점수가 산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벤트 및 당구대회 개최 등을 위한 정확한 핸디캡 점수 산정을 위해 이미지 트래킹에 의한 당구공의 색상분석 기술이 필요하였다.
등록공보공보 제1406340호(2014.06.03, 핸디캡점수 산정이 가능한 당구게임 관리시스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2683호(2011.10.13,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이용한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구의 영상이미지를 분석하여 수구의 색상을 통해 득점상황인지 플레이어 교체상황인지를 판단하여 획득점수 입력과 플레이어 교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플레이어가 획득점수와 플레이어 교체를 수동입력하지 않아도 되며, 그로 인해 게임 진행중인 플레이어가 점수계산을 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게임에 더욱 집중할 수 있음은 물론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당구게임 진행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구의 영상이미지에서 수구의 색상을 통해 득점유무를 확인함으로써 고사양의 컴퓨터가 필요하지 않으며, 정보의 처리시간도 대폭 줄일 수 있는 당구게임 진행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설정된 획득점수 이상을 득점하거나 설정된 연승 게임수 이상으로 연승하는 경우 등의 이벤트를 부여하여 고객유치 등의 당구게임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당구게임 진행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당구게임 진행시스템은, 각각의 당구대별로 설치되어 게임정보 입력과 그 게임정보를 육안확인하도록 터치패널이 설치된 모니터를 갖는 당구대단말기(100)와, 상기 당구대단말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연결되어 각각의 당구대별로 설치된 당구대단말기로부터 게임자정보 및 게임 결과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메인단말기(200)와, 각각의 당구대 상측에 설치되어 당구경기를 촬영하여 상기 당구대단말기(100)로 그 촬영영상을 전달하는 촬영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당구게임 진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당구대단말기(100)는, 상기 촬영장치(300)로부터 전달된 영상으로부터 직전 타격한 수구의 색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색상의 동일여부에 따라 득점상황인지 플레이어 교체상황인지를 판단하는 이미지분석부(110)와, 상기 이미지분석부(110)에서 분석된 정보에 따라 획득점수를 연산하는 득점연산부(120)와, 상기 득점연산부(120)에서 연산된 득점 정보와 상기 이미지분석부(110)에서 분석된 플레이어 교체 유무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당구대단말기(100)에는 게임자가 자신의 타격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고자 하는 경우 해당 타격에 대해 리플레이시켜 볼 수 있는 리플레이선택부(111)와, 득점상황이 아닐 때와 득점상황에서의 파울 발생이나 반칙이 발생된 경우에 원위치할 수 있는 변경버튼(105)이 구비되고,
상기 득점연산부(120)는, 상기 이미지분석부(110)에서 분석된 영상 이미지에서 어느 한명의 플레이어가 타격한 동일 색상의 수구 타격횟수가 1회인 경우에는 '0득점'한 것으로 산정하고, 동일한 색상의 수구 타격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에는 타격횟수에서 1을 뺀 점수를 득점으로 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단말기(200)는 각각의 당구대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게임 결과정보를 토대로 해당 플레이어의 연속득점, 연승, 다승, 핸디캡 정보를 산출하여 설정된 조건에 도달하면 이벤트를 부여해줌과 아울러, 상기 산출되는 플레이어의 연속득점, 연승, 다승, 핸디캡 정보를 일일, 월별, 연별로 집계되어 이벤트를 부여해주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당구게임 진행시스템에 따르면, 수구의 색상으로 득점여부 및 획득점수를 판단하여 플레이어 교체 및 획득점수 입력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별도로 플레이어가 점수계산을 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게임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일 또는 월별 이벤트 진행을 통한 고객유치 등 당구게임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당구게임 진행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게임 진행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당구게임 진행과정을 보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구게임 진행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구게임 진행시스템은 각각의 당구대별로 설치되어 게임정보 입력과 그 게임정보를 육안확인하도록 터치패널이 설치된 모니터를 갖는 당구대단말기(100)와, 상기 당구대단말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연결되어 각각의 당구대별로 설치된 당구대단말기로부터 게임자정보 및 게임 결과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메인단말기(200)와, 각각의 당구대 상측에 설치되어 당구경기를 촬영하여 상기 당구대단말기(100)로 그 촬영영상을 전달하는 촬영장치(300)를 포함하고, 상기 당구대단말기(100)는 상기 촬영장치(300)에서 전달된 영상으로부터 수구의 색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색상의 동일여부에 따라 득점상황인지 플레이어 교체상황인지를 판단하는 이미지분석부(110)와, 상기 이미지분석부(110)에서 분석된 정보에 따라 획득점수를 연산하는 득점연산부(120)와, 상기 득점연산부(120)에서 연산된 득점 정보와 상기 이미지분석부(110)에서 분석된 플레이어 교체 유무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득점연산부(120)는 상기 이미지분석부(110)에서 분석된 어느 한명의 플레이가 타격한 수구의 타격횟수를 통해 점수를 연산하게 되는데, 동일한 색상의 수구 타격횟수가 1회인 경우에는 '0득점'한 것으로 산정하고, 동일한 색상의 수구 타격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에는 타격횟수에서 1을 뺀 점수를 득점으로 산정하게 된다.
상기 당구대단말기(100)는 당구대 각각에 설치되어 있으며, 당구 게임자가 게임종류 및 게임룰을 선택하고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필요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게임정보와 득점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당구대단말기(100)는 터치패널이 설치된 모니터(101)와, 그 모니터(101)의 상측 또는 일측에 보조모니터(102)가 설치되어 있으며, 모니터(101)의 화면 터치를 통해 게임정보를 입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모니터(101)는 터치패널이 설치되어 스크린의 터치를 통해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고 이를 즉시 표시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입력된 정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거나 이를 메인단말기(20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보조모니터(102)는 상기 촬영장치(300)에서 촬영된 당구게임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으로, 당구게임 영상 외에 메인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광고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당구게임 영상과 광고영상은 보조모니터에 분할되어 출력될 수도 있고, 게임자가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당구대단말기(100)는 촬영장치(3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DB(103)가 마련되고, 그 영상DB(103)에 저장된 영상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영상출력제어부(104)가 마련됨은 당연하다.
상기 메인단말기(200)는 당구장 전체의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당구장의 카운터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의 상기 당구대단말기(100)와 연결되어 게임자정보 및 게임 결과정보는 물론 촬영된 게임 영상을 전달받아 저장하고 관리하게 된다.
상기 메인단말기(200)에는 게임자정보 및 게임 결과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정보저장부(210)가 구비된다. 이 정보저장부(210)는 게임자 즉 플레이어의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DB(211)와, 게임정보와 게임결과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게임정보 DB(212)와, 당구게임 대회 정보를 저장하는 대회정보 DB(213)과, 당구대단말기(100)에 광고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광고정보가 저장되는 광고정보 DB(21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메인단말기(200)에는 광고정보가 저장되는 광고정보 DB(214)가 마련되고, 상기 광고정보 DB에 저장된 광고를 각각의 당구대단말기에 전송하되 각 당구대단말기의 보조모니터(102)에 서로 다른 광고가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광고출력제어부(220)가 더 마련된다.
상기 광고출력제어부(220)에 의해 각각의 당구대단말기의 보조모니터에는 서로 다른 광고가 출력됨으로써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보조모니터에 출력되는 광고는 게임자가 임의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보조모니터에 출력되는 광고는 주변 식당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단말기(200)에는 상기 당구대단말기(100)에서의 회원인증시 회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인증부(230)가 더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당구대단말기(100)에 이미지분석부(110)와 득점연산부(120) 및 정보입력부(130)가 구비되는 것으로, 당구게임 진행시 플레이어가 직접 획득점수 및 플레이어 교체정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획득점수 및 플레이어 교체정보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하여 플레이어가 게임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당구게임 진행시 그 진행상황을 촬영하도록 하고, 그 촬영된 영상에서 게임자가 타격한 수구의 색상을 분석하여 동일 색상의 수구 타격횟수를 연산함으로써 타격횟수에 따라 득점을 산정한 후 자동 입력되도록 한 것이고, 또한 수구의 색상으로 수구 변경유무를 분석하여 플레이어를 교체할 것인지 아니면 그대로 유지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값에 따라 제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수구 타격횟수는 해당 플레이어가 계속해서 동일한 색상의 수구를 타격한 경우의 횟수를 의미하는 것이다. 예로서 흰색의 수구를 타격한 플레이어가 그 다음에도 흰색의 수구를 타격하였다면 이전 플레이어가 계속해서 타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타격횟수가 2회인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며, 흰색의 수구를 타격 후 그 다음에 노란색의 수구를 타격한 경우라면 이전 플레이어가 계속해서 타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플레이어가 타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타격횟수는 1회인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구의 색상을 통해 플레이어의 교체상황인지 득점상황인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당구대단말기(100)는 게임진행시 플레이어가 자신이 타격하는 수구 색상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처음 수구의 타격영상을 분석하여 각 플레이어의 수구를 인식하여 자동 입력하게 된다.
물론, 게임진행시 플레이어가 자신이 타격하는 수구의 색상을 결정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플레이어가 자신의 수구를 타격한 경우에 한해 획득점수 및 플레이어 교체정보가 자동 입력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플레이어가 수구를 바꿔 타격하였을 경우에는 이미지분석부에서 정확히 분석하였다고 하더라도 분석오류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당구대단말기(100)에는 플레이어가 수구를 바꿔 타격하였을 경우를 대비하여 원위치 변경버튼(105)이 구비된다.
상기 원위치 변경버튼(105)는 플레이어가 직접 누를 수 있는 버튼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당구대단말기의 모니터에 배치되어 터치를 통해 입력되도록 터치버튼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당구대단말기(100)에는 상기 원위치 변경버튼(105)이 눌러진 경우에 오류를 해결할 수 있는 과정(되돌리기, 다음, 점수빼기 등)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면서 오류를 해결하여 원위치로 변경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로서, 득점상황이 아닌 상태에서 교체된 플레이어가 수구를 바꿔 상대방 플레이어의 수구를 타격한 경우, 득점상황에서 플레이어가 실수로 수구를 바꿔 상대방 플레이어의 수구를 타격한 경우 등과 같이 득점상황이 아닐 때와 득점상황에서의 파울 발생이나 반칙이 발생된 경우에 원위치 변경버튼(105)을 눌러 오류 이전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원위치 변경버튼의 수행과정의 예로서, 득점상황이 아닌 상황에서 파울이 있을 경우에 상기 원위치 변경버튼(105)을 누르게 되면, "되돌리기 -> 다음 -> -1점 -> 다음"의 순서로 자동 수행하여 오류가 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당구대단말기는 이미지분석부에서의 영상이미지 분석결과 플레이어의 교체상황인 경우에는 예로서 '플레이어가 교체되었습니다'라는 음성멘트로 알려주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영상이미지 분석결과 득점상황인 경우에는 예로서 '1득점 하였습니다. 또는 2득점 하였습니다.'라고 음성멘트로 알려주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구의 색상을 기준으로 동일색상의 수구 타격횟수를 연산하여 득점을 산정할 수 있다.
수구의 색상을 판별을 통한 득점 연산 외에도 게임자가 손에 끼는 장갑과 팔에 착용하는 토시의 색상을 이용하여 득점을 연산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게임자별로 서로 다른 색상으로 장갑과 토시를 착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것이고, 이때 장갑과 토시의 색상을 수구의 색상과 맞춰주도록 하여 촬영된 영상의 판별시 명확한 판별을 통해 정확도를 더 높이도록 할 수도 있다.
장갑과 토시의 색상을 기준으로 득점을 연산하는 방식은 상기와 같은 수구의 색상을 기준으로 득점을 연산하는 방식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연산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당구대단말기에는 게임 진행전 게임정보 입력시 타격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타격시간은 실제 운용중인 국제 표준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당구대단말기는 게임자가 자신의 순번에서 수구를 타격하는 경우, 순번교체 후부터 타격에 이르는 시간을 계산하여 사전에 설정된 시간내에 수구를 타격한 것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이렇게 판단한 타격시간과 타격영상을 토대로 파울인지 득점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촬영된 영상의 분석시 득점상황인 것으로 분석된 경우라도, 설정된 타격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파울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게임자의 순번교체 명령을 내리게 되는 것이며, 파울 상황시 예로서 '파울입니다' 라고 음성멘트 등으로 게임자에게 알려주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당구대단말기에는 리플레이선택부(111)가 구비되어 있는데, 게임자가 자신의 타격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리플레이선택부에서 해당 타격에 대해 리플레이 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영상출력제어부(104)에서는 상기 리플레이선택부를 통한 리플레이 외에도 타격 후 수구가 멈춘 다음 게임자의 직전 타격영상을 출력하여 타격한 게임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타격정보를 게임자의 타격영상에 이어서 출력하도록 하거나 별도로 버튼을 눌러 바람직한 타격정보를 출력하여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단말기(200)는 각각의 당구대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게임 결과정보를 토대로 해당 플레이어의 연속득점, 연승, 다승, 핸디캡 정보를 산출하여 설정된 조건에 도달하면 이벤트를 부여해주게 된다.
상기 이벤트는 게임비 무료 이벤트, 게임비 배당 이벤트, 현금과 바꿔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또는 일정금액이 적힌 쿠폰 지급 이벤트, 특정 게임대회에 참가할 수 있는 포인트 지급 이벤트 등이다.
또한, 특정 메시지, 예로서 '사랑해요', '나이스 샷' 등의 음성 이벤트일 수도 있고, 이러한 음성 이벤트는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별도로 게임비 무료 등의 이벤트와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외에도 특정 순번의 플레이어 및 손님에게 게임비 무료 이벤트 등을 더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벤트 부여를 통해 당구를 즐기는 플레이어에게는 당구게임의 묘미는 물론 더욱 집중하여 게임을 하려고 하는 투지를 심어줄 수 있고, 당구장 사업주에게는 고객유치는 물론 이를 통해 당구게임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메인단말기(200)에서 산출되는 플레이어의 연속득점, 연승, 다승, 핸디캡 정보는 일일, 월별, 연별로 집계되어 이벤트를 부여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어의 연속득점은 특성상 1게임에서 집계하도록 하고, 연승과 다승은 일일 또는 월별 집계하도록 하며, 핸디캡 정보는 월별 또는 연별 집계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당구게임 진행방법은 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당구대단말기에서 분석하여 플레이어별 획득점수 입력과 플레이어 교체정보 입력을 자동으로 수행하면서 당구게임을 진행하는 당구게임 진행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S10)하여 어느 한명의 플레이어가 타격한 동일 색상의 수구 타격횟수를 연산(S20)하여 타격횟수에 따라 획득점수를 산정하여 해당 점수를 입력(S30)하게 되고, 촬영영상에서 타격한 수구의 색상 변경유무를 판단(S40)하여 플레이어의 교체 및 유지 정보를 입력(S50)하도록 하여 플레이어가 직접 수동으로 획득점수 및 플레이어 교체정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율적으로 당구게임을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S20단계에서 동일한 색상의 수구 타격횟수가 1회인 경우에는 '0득점'한 것으로 판단하여 획득점수를 입력하지 않거나 0점인 것으로 입력하게 되는 것이고(S31), 동일한 색상의 수구 타격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에는 타격횟수에서 1을 뺀 점수만큼 득점한 것으로 판단하여 '타격횟수-1'의 점수를 입력하게 되는 것이며(S32), S40단계에서 수구의 색상이 변경된 경우에는 플레이어가 교체된 것으로 판단하여 플레이어 교체정보를 입력하는 것이고(S51), 수구의 색상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전 플레이어가 계속해서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플레이어 교체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계속해서 유지하도록 플레이어 유지정보를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S52).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게임자가 득점한 점수를 계산하지 않더라도 촬영된 영상정보만으로 득점한 점수만큼을 입력하게 되는 것이고, 또한 플레이어 교체에 따른 교체신호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수구의 변경여부를 통해 교체정보를 입력하게 됨으로써 플레이어로 하여금 불필요한 계산은 물론 당구대단말기까지 이동하여 교체정보 입력 등을 하지 않아도 되고, 그에 따라 플레이어가 해당 게임에 집중하면서 당구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당구대단말기 101: 모니터
111: 리플레이선택부 102: 보조모니터
103: 영상DB 104: 영상출력제어부
105: 원위치 변경버튼 110: 이미지분석부
120: 득점연산부 130: 정보입력부
200: 메인단말기 210: 정보저장부
211: 회원정보 DB 212: 게임정보 DB
213: 대회정보 DB 214: 광고정보 DB
220: 광고출력제어부 230: 인증부
300: 촬영장치

Claims (6)

  1. 각각의 당구대별로 설치되어 게임정보 입력과 그 게임정보를 육안확인하도록 터치패널이 설치된 모니터를 갖는 당구대단말기(100)와, 상기 당구대단말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연결되어 각각의 당구대별로 설치된 당구대단말기로부터 게임자정보 및 게임 결과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메인단말기(200)와, 각각의 당구대 상측에 설치되어 당구경기를 촬영하여 상기 당구대단말기(100)로 그 촬영영상을 전달하는 촬영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당구게임 진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당구대단말기(100)는, 상기 촬영장치(300)로부터 전달된 영상으로부터 직전 타격한 수구의 색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색상의 동일여부에 따라 득점상황인지 플레이어 교체상황인지를 판단하는 이미지분석부(110)와, 상기 이미지분석부(110)에서 분석된 정보에 따라 획득점수를 연산하는 득점연산부(120)와, 상기 득점연산부(120)에서 연산된 득점 정보와 상기 이미지분석부(110)에서 분석된 플레이어 교체 유무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당구대단말기(100)에는 게임자가 자신의 타격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고자 하는 경우 해당 타격에 대해 리플레이시켜 볼 수 있는 리플레이선택부(111)와, 득점상황이 아닐 때와 득점상황에서의 파울 발생이나 반칙이 발생된 경우에 원위치할 수 있는 변경버튼(105)이 구비되고,
    상기 득점연산부(120)는, 상기 이미지분석부(110)에서 분석된 영상 이미지에서 어느 한명의 플레이어가 타격한 동일 색상의 수구 타격횟수가 1회인 경우에는 '0득점'한 것으로 산정하고, 동일한 색상의 수구 타격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에는 타격횟수에서 1을 뺀 점수를 득점으로 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단말기(200)는 각각의 당구대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게임 결과정보를 토대로 해당 플레이어의 연속득점, 연승, 다승, 핸디캡 정보를 산출하여 설정된 조건에 도달하면 이벤트를 부여해줌과 아울러, 상기 산출되는 플레이어의 연속득점, 연승, 다승, 핸디캡 정보를 일일, 월별, 연별로 집계되어 이벤트를 부여해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게임 진행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47016A 2016-11-04 2016-11-04 당구게임 진행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 KR101975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016A KR101975512B1 (ko) 2016-11-04 2016-11-04 당구게임 진행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016A KR101975512B1 (ko) 2016-11-04 2016-11-04 당구게임 진행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172A KR20180050172A (ko) 2018-05-14
KR101975512B1 true KR101975512B1 (ko) 2019-05-07

Family

ID=6218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016A KR101975512B1 (ko) 2016-11-04 2016-11-04 당구게임 진행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5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3859B (zh) * 2019-07-30 2023-05-30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基于计算机视觉的桌球犯规判断方法及系统
KR102288745B1 (ko) 2020-02-27 2021-08-12 주식회사 에이오엔 당구게임 랭킹결정 시스템 및 그 랭킹 결정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190B1 (ko) * 2014-04-22 2014-11-06 김덕호 당구장 자동화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266B1 (ko) 2010-04-07 2013-01-17 장경일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이용한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4512A (ko) * 2012-04-09 2013-10-18 (주) 하나텍시스템 영상인식장치를 이용한 자동 당구 게임시스템
KR20150046908A (ko) * 2013-10-23 2015-05-04 주식회사 웨이브애프터 당구대 촬영용 카메라
KR101561958B1 (ko) * 2014-02-26 2015-10-21 (주)타임앤플레이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당구 게임 시스템
KR101406340B1 (ko) 2014-03-21 2014-06-13 신중섭 핸디캡점수 산정이 가능한 당구게임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190B1 (ko) * 2014-04-22 2014-11-06 김덕호 당구장 자동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172A (ko) 201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1083B2 (en) Multimedia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or refereeing in dart machines
US20120083342A1 (en) Dart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lay between remotely located competitors
JP5721041B2 (ja) ゲームシステム
KR101223266B1 (ko)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이용한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방법
US200501921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closest to the pin challenge
KR101458190B1 (ko) 당구장 자동화시스템
KR101346345B1 (ko) 당구 시뮬레이터
US20040242292A1 (en) Virtual bowling
JP4634987B2 (ja) 電子ビリヤード台及びビリヤード通信システム
KR101975512B1 (ko) 당구게임 진행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
KR101072509B1 (ko) 회원제 당구게임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205684A1 (en) Baseball Simulation Game
KR101561958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당구 게임 시스템
KR100972828B1 (ko)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EP3009173A1 (en) Assisted-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billiards
US7384342B2 (en) Golfball, a team golf game system and method of play
KR101051251B1 (ko) 실시간 당구 게임 시스템 및 당구 게임 방법
KR101880196B1 (ko) 당구게임 관리시스템
KR200240118Y1 (ko) 골프 연습장용 점수 표시 장치
KR102295017B1 (ko) 골프 로또 게임 방법
KR102455948B1 (ko) 당구 게임 관리 시스템
US20090023522A1 (en) Method of playing a golf game
KR102637297B1 (ko)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9764B1 (ko) 당구 게임 관리 시스템
KR102273581B1 (ko) 온라인 당구 게임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실력 검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