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356B1 -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356B1
KR101975356B1 KR1020180069379A KR20180069379A KR101975356B1 KR 101975356 B1 KR101975356 B1 KR 101975356B1 KR 1020180069379 A KR1020180069379 A KR 1020180069379A KR 20180069379 A KR20180069379 A KR 20180069379A KR 101975356 B1 KR101975356 B1 KR 101975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iller
pipe
t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상훈
Original Assignee
(주)인성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성시스템 filed Critical (주)인성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069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충전재 케이스가 저가의 TPU 재질로 이루어지면서도 높은 내구성 및 난연성을 가질수 있으며, 충전재 케이스가 배관 파이프와 접하는 내주면에 방수 및 슬리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배관 파이프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충전재 케이스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장치의 구성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관 파이프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클램프와, 상기한 고정 클램프의 하부에 설치되는 충전재 케이스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와 배관 파이프의 사이에 설치되는 내부 단열재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화 충전재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의 상부와 상기한 배관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는 원재료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hermalplastic Poly Urethan, TPU)에 탈크, 슬립제(slip agent)를 혼합한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탄소섬유 35~45 중량부, 난연제 20~25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 13~15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생성된 TPU 복합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작한다.

Description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firestop seal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이 발명은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충전재 케이스가 저가의 TPU 재질로 이루어지면서도 높은 내구성 및 난연성을 가질수 있으며, 충전재 케이스가 배관 파이프와 접하는 내주면에 방수 및 슬리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배관 파이프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충전재 케이스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화충전구조는 건축물에 화자개 발생했을 때,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인접실이나 층으로 급속하게 퍼지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것으로,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843호(2012년 9월 20일 고시) '내화구조의 인정 및 관리기준'의 제2조(정의)에 "내화충전구조라 함은 방화구획의 수평ㆍ수직 설비 관통부, 조인트 및 커튼월과 바닥사이 등의 틈새를 통한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것으로서, 제21조에 의한 세부 운영지침에서 정하는 절차와 방법, 기준에 따라 시험한 결과 성능이 확인된 재료 또는 시스템"으로 정의되어 있다.
상기한 세부운영지침에서는 내화충전구조를 각종 배관류, 전선관, 전선/통신 케이블류(버스덕트 포함), 덕트류에 해당하는 충전구조시스템을 말하는 '설비관통부 충전시스템'과, 벽, 바닥 등 개별 구조체 내부 또는 구조체간의 연결부에 선형적으로 발생하는 '선형조인트 충전시스템'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상기한 선형조인트 충전시스템은 '일반 선형조인트 충전시스템'과 '커튼월 선형조인트 충전시스템'으로 구분하고 있다.
참고로, 내화충전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내화충전재의 외측을 시멘트로 채울 수 있는 수용부를 형성하거나 금속재 벽을 형성함으로 화재발생시 발포되는 내화충전재가 PVC 입상배관의 내측으로만 팽창되어 적은 용량으로도 보다 빠르고 확실하게 방화구획이 밀폐되어 비용 절감 및 밀폐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하였으며, 배관지지구 없이도 내화충전재와 PVC 입상배관을 동시에 관통 슬리브 내측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자재 및 인건비가 절감되고 내화 충전재 안착부 하부에 발포유도공을 형성하여 화재시 내화충전재가 보다 빠르게 발포되어 방화구획을 밀폐하므로 화재의 전파를 방지하고 소화를 유도하며 시공후 발파유도공을 통해 감리자가 육안으로 내화충전재의 설치 유무를 확인할수 있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7-0084970호(공개일자 2017년 07월 21일)의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에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개번호 10-2017-0084970호를 포함한 종래의 내화충전 장치는 충전재 케이스가 고가의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비싸거나, 저가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내구성 및 난연성이 떨어지는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7-00849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충전재 케이스가 저가의 TPU 재질로 이루어지면서도 높은 내구성 및 난연성을 가질수 있는,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전재 케이스가 배관 파이프와 접하는 내주면에 방수 및 슬리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배관 파이프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충전재 케이스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장치의 구성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관 파이프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클램프와, 상기한 고정 클램프의 하부에 설치되는 충전재 케이스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와 배관 파이프의 사이에 설치되는 내부 단열재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화 충전재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의 상부와 상기한 배관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는 원재료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hermalplastic Poly Urethan, TPU)에 탈크, 슬립제(slip agent)를 혼합한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탄소섬유 35~45 중량부, 난연제 20~25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 13~15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생성된 TPU 복합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작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장치의 구성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의 내측에는 내화 충전재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충전재 안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한 충전재 안착부가 배관 파이프(P)와 접하는 내주면에는 방수 및 슬립방지층이 설치되며, 상기한 방수 및 슬립방지층은 타포린 직조원단과 논슬립 시트를 합지하여 제작하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hermalplastic Poly Urethan, TPU)에 탈크, 슬립제(slip agent)를 혼합한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탄소섬유 35~45 중량부, 난연제 20~25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 13~15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생성된 TPU 복합 조성물을 성형하여 충전재 케이스를 제작하는 단계와, 폴리에틸렌과 에틸렌-헥센 코폴리머 직조원사 원료수지 60~80 중량%와, 직조원사의 일면에 도포되는 코팅용 폴리에틸렌수지 15~25 중량%와, 색상구현을 위한 폴리에틸렌 칼라 마스터뱃치가 5~15 중량%의 구성으로 타포린 원단을 직조하는 단계와, LLDPE(Linear Low-Density Poly Ethylene) 40~60 중량%와, PP(Poly Propylene) 20~40 중량%와, HPPE(High Density Poly Ethylene) 10~30 중량%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폴리머수지를 270~290℃의 용융온도로 멜팅하여 압착롤에 의해 압착됨으로써 논슬립 시트를 제작하는 단계와, 타포린 직조원단과 논슬립 시트를 합지하여 상기한 방수 및 슬립방지층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충전재 안착부의 내주면에 상기한 방수 및 슬립방지층을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의 충전재 안축부에 내화 충전재를 안착시킨 후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홀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의 내부에 내부 단열재를 설치한 후에 배관 파이프를 충전재 케이스의 내부로 관통시켜서 고정 클램프를 이용하여 관통 파이프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의 상부와 상기한 배관 파이프의 외주면에 차열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상기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hermalplastic Poly Urethan, TPU)은 4,4'-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에 폴리부틸 아디페이트디올 95~110 중량부, 1,4-부탄디올 30~50 중량부로 합성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상기한 탈크는 폴리우레탄(TPU) 100 중량부에 대해서 15~20 중량부로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상기한 슬립제는 아마이드계 슬립제를사용하며, 폴리우레탄(TPU)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5~0.07 중량부로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상기한 난연제는 몰리브덴선 안티몬, 수산화알미늄, 산화몰리브덴, 수산화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충전재 케이스가 저가의 TPU 재질로 이루어지면서도 높은 내구성 및 난연성을 가질수 있으며, 충전재 케이스가 배관 파이프와 접하는 내주면에 방수 및 슬리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배관 파이프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충전재 케이스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 장치의 차열재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물 내지 대체물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예로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방향에 관한 표현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에 표현된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연결된다"거나 "접속된다"라는 표현은 직접적인 연결 또는 접속뿐만이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는 연결 또는 접속을 포함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장치의 구성은, 콘크리트 구조물(B)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관 파이프(P)를 콘크리트 구조물(B)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클램프(1)와, 상기한 고정 클램프(1)의 하부에 설치되는 충전재 케이스(3)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3)와 배관 파이프(P)의 사이에 설치되는 내부 단열재(2)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3)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화 충전재(4)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1)의 상부와 상기한 배관 파이프(P)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차열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3)는 원재료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hermalplastic Poly Urethan, TPU)에 탈크, 슬립제(slip agent)를 혼합한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탄소섬유 35~45 중량부, 난연제 20~25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 13~15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생성된 TPU 복합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작한다.
상기한 폴리우레탄(TPU)은 4,4'-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부틸 아디페이트디올, 1,4-부탄디올을 합성하여 획득할 수 있다. 상기한 4,4'-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부틸 아디페이트디올, 1,4-부탄디올의 중량비는 얻고자하는 물성, 박막 우레탄 필름의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4,4'-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중량비가 증가하는 경우 폴리우레탄내의 하드 세그먼트의 비율이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경도 등이 상승되며, 반대로 4,4'-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중량비가 감소하는 경우 폴리우레탄내의 소프트 세그먼트의 비율이 증가하여 신장도 및 연성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4'-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에 폴리부틸 아디페이트디올 95~110 중량부, 1,4-부탄디올 30~50 중량부로 합성한다.
상기한 폴리우레탄(TPU)은 우레탄기(-NHCOO-)를 가지는 고무성 탄성체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이 탁월하고, 절연성, 내굴곡성, 착색성, 감촉 등에 있어 우수한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는 절연 연결부(2)만이 아니라 전원공급 케이블(3)의 피복 조성물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폴리우레탄(TPU)은 비PVC계 열가소성 수지로서, 유해 화합물의 발생위험이 없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소각시 대기 또는 토양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이다.
상기한 탈크는 박막 우레탄 필름 제조를 위한 TPU 복합 조성물의 연신(성형성)과 내가수분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폴리우레탄(TPU) 100 중량부에 대해서 15~20 중량부로 사용된다. 탈크가 15 중량부 미만일 경우 TPU 복합 조성물의 용융과 연신에 의한 박명 성형시 치수안정성 개선효과가 떨어지며, 탈크가 20 중량부 초과일 경우 기계적 강도 및 내마모성능의 현저한 저하가 우려된다.
상기한 슬립제는 제조공정에서 박막 우레탄 필름을 한장씩 쉽게 미끄러져서 나눠질 수 있도록 하며, 권취장치에 의한 박막 우레탄 필름을 감는 경우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아마이드계 슬립제를사용하며, 폴리우레탄(TPU)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5~0.07 중량부로 사용된다.
상기한 아마이드계 슬립제로서 불포화계인 13-시스-도코센아마이드(13-cis-docosenamide, erucamide), 9-시스-옥타데센아마이드(9-cis-octadecenamide, oleamide)와, 포화계인 옥타데칸아마이드(octadecanamide, stearamide), 도코산아마이드(docosanamide, behenamide)를 사용할 수 있으나, 불포화계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한 난연제는 몰리브덴선 안티몬, 수산화알미늄, 산화몰리브덴, 수산화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사용하며, 절연 연결부(2)의 발열로 인한 화재 가능성을 낮추어주게 된다.
상기한 탄소섬유는 인장강도 및 파단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절연 연결부(l2)에서 요구되는 인장강도 및 파단강도를 갖추게 된다.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3)의 내측에는 내화 충전재(4)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충전재 안착부(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한 충전재 안착부(31)가 배관 파이프(P)와 접하는 내주면에는 방수 및 슬립방지층(32)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방수 및 슬립방지층(32)은 타포린 직조원단과 논슬립 시트를 합지하여 제작한다.
상기한 타포린 직조원단은 폴리에틸렌과 에틸렌-헥센 코폴리머 직조원사 원료수지 60~80 중량%와, 직조원사의 일면에 도포되는 코팅용 폴리에틸렌수지 15~25 중량%와, 색상구현을 위한 폴리에틸렌 칼라 마스터뱃치가 5~15 중량%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논슬립 시트는 LLDPE(Linear Low-Density Poly Ethylene) 40~60 중량%와, PP(Poly Propylene) 20~40 중량%와, HPPE(High Density Poly Ethylene) 10~30 중량%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폴리머수지를 270~290℃의 용융온도로 멜팅하여 압착롤에 의해 압착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한 LLDPE(Linear Low-Density Poly Ethylene)는 가공성과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LG 화학에서 0.917~0.929 밀도 범위로 제공하는 수지를 사용하며, 상기한 HPPE(High Density Poly Ethylene)는 강도 및 연신 특성을 높이기 위하여 롯데케미칼에서 0.948~0.961 밀도 범위로 제공하는 수지를 사용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화충전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hermalplastic Poly Urethan, TPU)에 탈크, 슬립제(slip agent)를 혼합한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탄소섬유 35~45 중량부, 난연제 20~25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 13~15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생성된 TPU 복합 조성물을 성형하여 충전재 케이스(3)를 제작한다.
다음에, 폴리에틸렌과 에틸렌-헥센 코폴리머 직조원사 원료수지 60~80 중량%와, 직조원사의 일면에 도포되는 코팅용 폴리에틸렌수지 15~25 중량%와, 색상구현을 위한 폴리에틸렌 칼라 마스터뱃치가 5~15 중량%의 구성으로 타포린 원단을 직조한다.
이어서, LLDPE(Linear Low-Density Poly Ethylene) 40~60 중량%와, PP(Poly Propylene) 20~40 중량%와, HPPE(High Density Poly Ethylene) 10~30 중량%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폴리머수지를 270~290℃의 용융온도로 멜팅하여 압착롤에 의해 압착됨으로써 논슬립 시트를 제작한다.
다음에, 타포린 직조원단과 논슬립 시트를 합지하여 상기한 방수 및 슬립방지층(32)을 제작한다.
이어서,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3)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충전재 안착부(31)의 내주면에 상기한 방수 및 슬립방지층(32)을 접착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제작된 충전재 케이스(3)의 충전재 안축부(31)에 내화 충전재(4)를 안착시킨 후에 콘크리트 구조물(B)의 홀에 장착한다.
이어서, 충전재 케이스(3)의 내부에 내부 단열재(2)를 설치한 후에, 배관 파이프(P)를 충전재 케이스(3)의 내부로 관통시켜서 고정 클램프(1)를 이용하여 관통 파이프(P)를 콘크리트 구조물(B)에 고정시킨다.
다음에, 충전재 케이스(1)의 상부와 상기한 배관 파이프(P)의 외주면에 차열재(5)를 설치한다.
1 : 고정 클램프 2 : 내부 단열재
3 : 충전재 케이스 4 : 내화충전재
5 : 차열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hermalplastic Poly Urethan, TPU)에 탈크, 슬립제(slip agent)를 혼합한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탄소섬유 35~45 중량부, 난연제 20~25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 13~15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생성된 TPU 복합 조성물을 성형하여 충전재 케이스를 제작하는 단계와,
    폴리에틸렌과 에틸렌-헥센 코폴리머 직조원사 원료수지 60~80 중량%와, 직조원사의 일면에 도포되는 코팅용 폴리에틸렌수지 15~25 중량%와, 색상구현을 위한 폴리에틸렌 칼라 마스터뱃치가 5~15 중량%의 구성으로 타포린 원단을 직조하는 단계와,
    LLDPE(Linear Low-Density Poly Ethylene) 40~60 중량%와, PP(Poly Propylene) 20~40 중량%와, HPPE(High Density Poly Ethylene) 10~30 중량%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폴리머수지를 270~290℃의 용융온도로 멜팅하여 압착롤에 의해 압착됨으로써 논슬립 시트를 제작하는 단계와,
    타포린 직조원단과 논슬립 시트를 합지하여 상기한 방수 및 슬립방지층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충전재 안착부의 내주면에 상기한 방수 및 슬립방지층을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의 충전재 안축부에 내화 충전재를 안착시킨 후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홀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의 내부에 내부 단열재를 설치한 후에 배관 파이프를 충전재 케이스의 내부로 관통시켜서 고정 클램프를 이용하여 관통 파이프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의 상부와 상기한 배관 파이프의 외주면에 차열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hermalplastic Poly Urethan, TPU)은 4,4'-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에 폴리부틸 아디페이트디올 95~110 중량부, 1,4-부탄디올 30~50 중량부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탈크는 폴리우레탄(TPU) 100 중량부에 대해서 15~2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슬립제는 아마이드계 슬립제를사용하며, 폴리우레탄(TPU)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5~0.07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난연제는 몰리브덴선 안티몬, 수산화알미늄, 산화몰리브덴, 수산화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

KR1020180069379A 2018-06-18 2018-06-18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 KR101975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379A KR101975356B1 (ko) 2018-06-18 2018-06-18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379A KR101975356B1 (ko) 2018-06-18 2018-06-18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356B1 true KR101975356B1 (ko) 2019-05-07

Family

ID=66656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379A KR101975356B1 (ko) 2018-06-18 2018-06-18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3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619B1 (ko) 2019-07-26 2020-05-12 박기태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4094A (ko) * 2009-11-17 2011-05-25 (주)엘지하우시스 논슬립 시트 제조용 조성물, 논슬립 시트와 이를 이용한 타일 형태의 바닥 장식재 및 제조방법
KR101637197B1 (ko) * 2015-01-13 2016-07-07 (주)이화인터내셔널 내화충진재가 삽입되는 층간 입상배관 시공구조
KR20170040020A (ko) * 2015-10-02 2017-04-12 박미순 내화 충전재 결합구조
KR20170084970A (ko) 2016-01-13 2017-07-21 김흥국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
KR101864572B1 (ko) * 2018-03-19 2018-06-04 임정택 스크롤 펌프 장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4094A (ko) * 2009-11-17 2011-05-25 (주)엘지하우시스 논슬립 시트 제조용 조성물, 논슬립 시트와 이를 이용한 타일 형태의 바닥 장식재 및 제조방법
KR101637197B1 (ko) * 2015-01-13 2016-07-07 (주)이화인터내셔널 내화충진재가 삽입되는 층간 입상배관 시공구조
KR20170040020A (ko) * 2015-10-02 2017-04-12 박미순 내화 충전재 결합구조
KR20170084970A (ko) 2016-01-13 2017-07-21 김흥국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
KR101864572B1 (ko) * 2018-03-19 2018-06-04 임정택 스크롤 펌프 장치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619B1 (ko) 2019-07-26 2020-05-12 박기태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6816B2 (ja)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の防火措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4908920B2 (ja) 防火措置構造
KR101975356B1 (ko)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
US3177900A (en) Flexible article with flame-resistant cover
EP2345535B1 (en) Fire protection system for expanded polymers
JP2008012028A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
JP4908907B2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
CN108699300A (zh) 无卤素和防火橡胶组合物和软管
JP5057506B2 (ja) ノンハロゲン系車両用防水床シート
JP4698207B2 (ja) バスダクト用防火区画貫通部構造
US9758632B2 (en) Fire retardant moldings and method for producing and using such a molding
JP2002013224A (ja) 鉄骨の耐火被覆方法及び耐火被覆構造
KR101476959B1 (ko) 자기점착성을 가지는 불연성 내화제 시트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US10563810B2 (en) Non-sag flexible insulation
JP7372734B2 (ja) 熱膨張性シート
JP2014039358A (ja)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の防火措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4324370A (ja) 耐火性部材と、その施工方法
JP5903354B2 (ja)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の防火措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0345638A (ja) 耐火複合面材、折板外壁及び防・耐火壁構成体
JP6007064B2 (ja)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の防火措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9030227A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6161982A (ja) 耐火多層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174367A (ja) 耐火膨張性パッキンを有する配管構造
JP7057202B2 (ja) 耐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38454B1 (ko) 건축물에 구획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