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619B1 -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619B1
KR102109619B1 KR1020190091043A KR20190091043A KR102109619B1 KR 102109619 B1 KR102109619 B1 KR 102109619B1 KR 1020190091043 A KR1020190091043 A KR 1020190091043A KR 20190091043 A KR20190091043 A KR 20190091043A KR 102109619 B1 KR102109619 B1 KR 102109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ing
unit
granular
informa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태
Original Assignee
박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태 filed Critical 박기태
Priority to KR1020190091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5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providing fire-res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건물의 상층 작업이 가능하도록, 입상배관을 층간 구멍에 실링하여 열화를 방지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입상배관의 외주면을 커버하여, 입상배관을 홀딩하는 배관 홀딩부; 입상배관을 커버한 배관 홀딩부 하부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장착되어, 층간 구멍에 상기 입상배관이 고정되도록 하는 차열부; 차열부를 커버하여 열화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차열부를 보호하는 내화 보드부; 및 배관 홀딩부의 상기 외주면을 커버하며, 자중에 의한 하향 가압력을 내화 보드부에 가해, 차열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홀딩 커버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Upright piping fixing system for upper building construction}
본 발명은 상부층에서만 단면적으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건물에 입상배관을 설치하는 작업에 있어서 입상배관과 층간 구멍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입상 배관을 홀딩하며, 하부로부터 인가되는 열을 상부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최근 몇 년간 건설투자, 수주, 기성 등 주요 지표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국내 경제성장과 고용증가율의 결과를 가져왔다. 건설투자 증가율은 2015년 6.6%, 2016년 10.7%, 2017년 7%(예상치)를 기록하면서 경제성장 기여율이 50%에 육박하고 있을 정도로, 건설업 취업자수 역시 타 산업군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건설업의 기여율 이 2017년 상반기 42.8%로 크게 확대될 정도로 건설시장이 활발하다.
특히 최근에는 신규 주택수요의 축소와 더불어 질적으로도 신규 주택공급 시장에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국내 주택보급률이 향상됨에 따라 향후에는 대규모 택지개발에 의한 주택공급이 사라지고, 고객의 수요에 맞춘 고객 맞춤형 소량 공급 시대가 본격 전개되기 시작할 전망이다. 대량 주택공급 시대에는 개별 고객의 니즈가 무시되고 획일화된 대량 공급을 통해 저비용으로 주택보급률 100%를 달성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향후에는 개별 소비자가 기존에 살고 있는 주택에서 충족되지 않는 잠재적인 니즈를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고객 맞춤형 주택 공급에 중점을 두면서 건설시장이 활발해질 전망이다.
주택수요의 다양화 및 질적 변화와 관련해 시사점이 큰 통계 중 하나는 우리나라의 주택투자가 선진국과 동일한 소득수준에서 상대적으로 훨씬 더 저조했다는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가 선진국에 비해 훨씬 저비용의 효율적인 공동주택 위주로 주택을 공급해왔고, 1000인당 주택 수 비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주택의 양적 공급 자체도 적었기 때문이다. 결국 향후 우리나라에도 선진국과 주택투자 격차를 줄이기 위한 고급주택 수요, 다주택 수요가 증가할 것이며,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선진국형 정책으로의 패러다임 변화가 요구하고 있지만, 이에 따른 대책이나 해결책의 준비가 많이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글로벌적으로 시공 방법에 관한 여러가지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으로는"내화충진재가 삽입되는 층간 입상배관 시공구조 (등록번호 제 10-1637197 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1의 경우, 내화충진재가 삽입되는 층간 입상배관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슬래브에 관통슬리브가 매립되고, 관통슬리브를 관통하게 끼워져 입상배관이 시공되는 층간 입상배관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입상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관통슬리브에 삽입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의 둘레를 따라서 끼워져 입상배관과 슬리브 사이에 위치하도록 시공되는 내화충진재와, 상기 삽입부재가 감싸여진 입상배관이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삽입부재는 입상배관의 외주연을 감싸게 장착되는 관체의 하단부에 측면으로 돌출되게 차단날개를 형성하여 관통슬리브 하단과 입상배관의 이격된 공간을 차단함으로써 슬리브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층부의 천정을 마감할 수 있게 하여 상층부에서 내화충진재를 삽입하고 입상배관을 고정하는 작업만으로 하층부에서 관통슬리브 내부가 노출되지 않고 하층부의 천정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등록번호 제 10-1603620 호, 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설치되어 장착구에 관통 설치되는 입상배관을 연결고정하기 위한 입상배관 연결장치로서, 관통홀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하층의 입상배관이 하부에서 내측으로 끼워지는 끼움 홈이 형성된 끼움부와, 상층의 입상배관이 상부에서 내측으로 관통홀로 끼워지고 상층의 입상배관의 하단부를 상방 지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층의 입상배관 또는 하층의 입상배관의 측면으로 직경이 확장 형성되어 발포내화충진제가 수용되는 발포제 수용공간이 형성된 슬리브몸체 및 발포제 수용공간을 패쇄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입상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배관용 가변형 내화고정구 (등록번호 제 10-1666369 호,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하나의 가변형 고정구로 내경이 다른 다양한 규격의 슬리브에 사용할 수 있으며, 슬리브와 가변형 고정구 사이 틈새를 통해 하층부로 전달되는 층간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슬리브에 가변형 고정구를 밀착하여 결합하고, 화재 시 슬리브 개구부를 통해 상층부로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배관용 가변형 내화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당 발명은 슬래브 등을 관통하는 배관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슬리브 내부에 가변형 고정구를 체결함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고정구는 고정부재인 환형 고정구와 외경을 변경하는 수단인 가변형 체결부로 형성하고, 내경이 다른 다양한 규격의 슬리브에 맞도록 환형 고정구에 가변형 체결부를 수직이동하여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가변형 고정구로 다양한 규격의 슬리브에 결합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가변형 고정구가 슬리브에 밀착되게 결합됨으로써, 슬리브 개구부를 통해 층간소음이 하층부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 (공개번호 제 10-2017-0084970 호, 이하 특허문헌4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4의 경우,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내화충전재의 외측을 시멘트로 채울 수 있는 수용부를 형성하거나 금속재 벽을 형성함으로 화재발생시 발포되는 내화충전재가 PVC입상배관의 내측으로만 팽창되어 적은 용량으로도 보다 빠르고 확실하게 방화구획이 밀폐되어 비용 절감 및 밀폐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하였으며, 배관지지구 없이도 내화충전재와 PVC입상배관을 동시에 관통슬리브 내측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자재 및 인건비가 절감되고 내화충전재 안착부 하부에 발포유도공을 형성하여 화재시 내화충전재가 보다 빠르게 발포되어 방화구획을 밀폐하므로 화재의 전파를 방지하고 소화를 유도하며 시공 후 발포유도공을 통해 감리자가 육안으로 내화충전재의 설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해당 발명은 PVC입상배관의 외주면을 내화충전재가 둘러싸도록 링 형상의 내화충전재 안착부를 형성하며 내화충전재의 저면을 받쳐주는 부분이 PVC입상배관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가압시켜 고정시켜주도록 PVC입상덕트 파지부를 형성하고 내화충전재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지지하는 내측면이 형성되는 소켓본체로 구성되어, 방화시 내화충전재가 PVC입상배관 내측으로만 발포되도록 유도하되, 상기 내화충전재 안착부는, 화염과 열의 전달로 빠른 발포를 위해 하부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발포유도공이 형성되는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마지막으로,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 (등록번호 제 10-1975356 호, 이하 특허문헌 5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5의 경우, 충전재 케이스가 저가의 TPU 재질로 이루어지면서도 높은 내구성 및 난연성을 가질 수 있으며, 충전재 케이스가 배관 파이프와 접하는 내주면에 방수 및 슬리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배관 파이프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충전재 케이스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장치의 구성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배관 파이프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클램프와, 상기한 고정 클램프의 하부에 설치되는 충전재 케이스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와 배관 파이프의 사이에 설치되는 내부 단열재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화 충전재와,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의 상부와 상기한 배관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한 충전재 케이스는 원재료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hermalplastic Poly Urethan, TPU)에 탈크, 슬립제(slip agent)를 혼합한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탄소섬유 35~45 중량부, 난연제 20~25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 13~15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생성된 TPU 복합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작한다.
등록번호 제 10-1637197 호 등록번호 제 10-1603620 호 등록번호 제 10-1666369 호 공개번호 제 10-2017-0084970 호 등록번호 제 10-1975356 호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입상배관과 층간 구멍 사이에 입상배관을 고정시키는 내화부재를 추가하여 입상배관을 고정시킬 수 있다.
둘째, 입상배관이 층간 구멍에 삽입되어 설치된 후, 입상배관과 층간 구멍 사이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입상배관이 수평을 유지하는지 확인할 수 있어 사고예방이 가능하다.
셋째, 입상배관에 누수가 발생할 시, 관리서버에 누수 정보가 전송되어 관리자가 입상배관을 교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은 건물의 상층 작업이 가능하도록, 입상배관을 층간 구멍에 실링하여 열화를 방지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입상배관의 외주면을 커버하여, 상기 입상배관을 홀딩하는 배관 홀딩부; 상기 입상배관을 커버한 상기 배관 홀딩부 하부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층간 구멍과 상기 입상배관을 상호 밀폐하여 상하 열을 차단하는 차열부; 상기 차열부를 커버하여 열화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상기 차열부를 보호하는 내화 보드부; 및 상기 배관 홀딩부의 상기 외주면을 커버하며, 자중에 의한 하향 가압력을 상기 내화 보드부에 가해, 상기 차열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홀딩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의 경우, 안전 정보를 획득하여, 외부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안전 컨트롤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관 홀딩부는, 상기 배관 홀딩부의 내주면을 형성하고, 상기 입상배관의 상기 외주면과 접촉되어 상기 입상배관을 커버하는 외주면 커버부; 및 상기 배관 홀딩부의 외주면을 형성하고, 상기 홀딩 커버부가 상기 입상배관을 열화손상 방지하도록 상기 홀딩 커버부가 접촉되는 홀딩 커버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의 상기 차열부는, 상기 층간 구멍 내면과 접촉되어 삽입되며, 상기 입상배관을 커버하고 있는 상기 배관 홀딩부의 외주면과 상기 층간 구멍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 시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상기 입상배관을 상기 층간 구멍에 고정되는 직접 고정부; 상기 층간 구멍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직접 고정부가 상기 입상배관을 고정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직접 고정부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 유지부; 및 상기 직접 고정부와 상기 고정 유지부를 소정의 각도가 형성되도록 연결하며, 상기 입상배관이 설치될 때 발생하는 하향 가압력으로 인해 상기 소정의 각도가 변화하도록 하는 각도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의 상기 내화 보드부는, 상기 차열부 상면과 접촉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차열부가 이탈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면 보호부; 및 상기 홀딩 커버부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홀딩 커버부의 상기 자중에 의한 상기 하향 가압력을 인가받는 외부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의 상기 홀딩 커버부는, 상기 배관 홀딩부와 접촉되어, 상기 입상배관을 더 보호하도록 하는 홀딩 보호부; 및 상기 내화 보드부 상면과 접촉되며, 상기 중력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하향 가압력을 상기 내화 보드부에 전달하는 가압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의 상기 안전 컨트롤부는, 상기 입상배관 외벽과 상기 층간 구멍 내면 사이에서 소정의 길이마다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입상배관과 상기 층간 구멍 간의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 정보를 획득하는 수평 감압부; 획득한 상기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상배관이 상기 층간 구멍에서 수평하게 기립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상기 수평 정보를 획득하는 수평 확인부; 상기 입상배관 외벽과 상기 배관 홀딩부 사이에서 상기 소정의 길이마다 상기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누수를 감지하여 누수 정보를 획득하는 누수 감지부; 상기 수평 정보와 상기 누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안전 정보로 변환하는 안전 정보 변환부; 및 상기 안전 정보를 상기 외부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안전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정보는, 상기 수평 정보와 상기 누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의 상기 수평 감압부는, 외부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전도성 플레이트로, 상기 압력에 의해 한쌍의 전도성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가 프레싱되는 프레싱부; 내열성(耐熱性)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싱부 표면 전체를 커버하여 상기 프레싱부가 고온으로부터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프레싱 커버부; 상기 프레싱부가 압력에 의해 프레싱되면,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에서 발생하는 상기 정전용량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 정보를 획득하는 압력 정보 획득부; 및 획득한 상기 압력 정보를 상기 수평 확인부에 전송하는 압력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의 상기 수평 확인부는, 상기 수평 감압부로부터 상기 압력 정보를 수신받는 압력 정보 수신부; 수신한 복수 개의 상기 압력 정보를 비교하는 압력 정보 비교부; 비교된 상기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평 정보를 획득하는 수평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수평 정보를 상기 안전 정보 변환부에 전송하는 수평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의 상기 누수 감지부는, 외부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는 복수 개의 전도성 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전극부; 내열성(耐熱性)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전극부를 커버하며, 미세한 홀이 소정의 거리 마다 배치되어 있는 전극 커버부; 상기 미세한 홀을 통해 상기 전극부로 전도성의 액체가 유입되면,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전극부 사이의 전도도의 변화 유무를 감지하는 전도도 감지부; 상기 전도도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누수 정보를 획득하는 누수 정보 획득부; 및 획득한 상기 누수 정보를 상기 안전 정보 변환부에 전송하는 누수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의 상기 안전 정보 저장부는, 상기 안전 정보에 일련 번호를 할당하는 일련 번호 할당부; 상기 일련 번호가 할당된 상기 안전 정보를 분할하여, 복수 개의 파일로 생성하는 정보 분할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파일을 상기 외부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서버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을 이용하여 입상배관을 설치할 시, 상층에서만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하층 작업을 위한 인건비와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입상배관을 설치한 후, 입상배관이 노후화되어도 실시간으로 입상배관과 층간 구멍 사이의 수평 정보를 획득하여 지속적인 입상배관의 관리가 가능하여 미연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입상배관에 누수가 발생할 시, 관리 서버로 누수 정보가 전송되어 누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의 입상배관과 배관 홀딩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의 입상배관과 차열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의 차열부를 보호하고 있는 내화 보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의 홀딩 커버부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안전 컨트롤부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의 입상배관에 수평 감압부 및 누수 감지부가 부착되어 있는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의 수평 감압부 및 수평 감압부가 배치되어 있는 입상배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안전 컨트롤부에 포함되어 있는 수평 확인부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의 누수 감지부 및 입상배관에 배치되어 있는 누수 감지부의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안전 컨트롤부에 포함되어 있는 안전 정보 저장부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의 입상배관과 배관 홀딩부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의 입상배관과 차열부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의 차열부를 보호하고 있는 내화 보드부의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의 홀딩 커버부의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안전 컨트롤부의 블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의 입상배관에 수평 감압부 및 누수 감지부가 부착되어 있는 단면도이다. 도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의 수평 감압부 및 수평 감압부가 배치되어 있는 입상배관의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안전 컨트롤부에 포함되어 있는 수평 확인부의 블록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의 누수 감지부 및 입상배관에 배치되어 있는 누수 감지부의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층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안전 컨트롤부에 포함되어 있는 안전 정보 저장부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은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자 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입상배관(10), 층간 구멍(30), 배관 홀딩부(110), 차열부(120), 내화 보드부(130) 및 홀딩 커버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건물의 층간 구멍(30)에 입상배관(10)을 설치하기 위해 배관 홀딩부(110)가 입상배관(10)의 외벽을 1차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배관 홀딩부(110)가 커버한 입상배관(10)이 층간 구멍(10)에 연결고정하기 위해 층간 구멍(10)과 입상배관(10)을 차열부(120)가 고정할 수 있다.
차열부(120)는 소정의 각도가 형성되어 있는 내화성(耐火性)의 재질의 구성으로 입상배관(10)의 외벽을 층간 구멍(20)에 고정될 수 있다.
내화 보드부(130)는 층간 구멍(20)에 연결, 고정된 입상배관(10)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차열부(120)가 외부의 충격이나 현상으로부터 자리를 이탈하지 않도록 차열부(120)의 상면에 위치하여 차열부(120)를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이다.
홀딩 커버부(140)는 입상배관(10)을 커버한 배관 홀딩부(110)를 커버하는 구성으로, 홀딩 커버부(140)는 중력에 의해 하향되어 내화 보드부(130)의 상면에 하향 가압력을 가해 내화 보드부(130)가 자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열부(120)를 이중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입상배관(10) 또한 이중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은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100)은 배관 홀딩부(110), 차열부(120), 내화 보드부(130), 홀딩 커버부(140) 및 안전 컨트롤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 홀딩부(110)는 입상배관(10)을 1차적으로 커버하는 구성으로 입상배관(1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이다.
차열부(120)는 입상배관(10)을 층간 구멍에(20)에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이다.
차열부(120)는 입상배관(10)의 외벽과 연결되어 입상배관(10)을 층간 구멍(20)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때 차열부(120)가 입상배관(10)에 연결될 때, 차열부(120)가 서로 대응하도록 한 쌍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내화 보드부(130)는 층간 구멍(20)에 입상배관(10)을 연결시킨 차열부(120)를 외부의 충격이나 현상으로부터 자리가 이탈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열부(120)는 커버하여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이다.
홀딩 커버부(140)는 입상배관(10)을 1차적으로 커버하고 있는 배관 홀딩부(110)를 커버하여 입상배관(20)을 2차적으로 보호하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이다.
안전 컨트롤부(150)는 입상배관(10)이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지 또는 입상배관(10)에서 누수가 발생하였는지 실시간으로 수평 정보와 누수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수평 정보는 입상배관(10)이 층간 구멍(20)에 설치되었을 시,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입상배관(10)이 수평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누수 정보는 입상배관(10)에서 누수가 발생할 시, 획득되는 정보로 입상배관(10)의 누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 홀딩부(110)는 외주면 커버부(111), 홀딩 커버 접촉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외주면 커버부(111)는 입상배관(10)의 외벽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접촉되는 구성이다.
홀딩 커버 접촉부(112)는 홀딩 커버부(140)와 맞닿아 접촉되는 구성으로 홀딩 커버 접촉부(112)에 홀딩 커버부(140)가 커버되어 입상배관(10)을 2차적으로 외부의 충격이나 현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배관 홀딩부(110)는 보온(保溫)의 기능과 내화성(耐火性)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열부(120)는 직접 고정부(121), 고정 유지부(122), 각도 형성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차열부(120)는 입상배관(10)을 건물의 층간 구멍(20)에 연결 고정될 수 있는 구성으로 차열부(120)는 내화성(耐火性)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입상배관(10)을 완벽하게 층간 구멍(10)에 고정되기 때문에 건물의 하층에서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게 하는 구성이다.
직접 고정부(121)는 입상배관(10)의 외벽과 층간 구명(20)의 내곽부와 접촉되는 구성으로, 입상배관(10)과 층간 구멍(20) 사이의 공간에 직접 고정부(121)가 삽입되어 마찰력으로 인해 입상배관(10)을 층간 구멍(2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고정 유지부(122)는 입상배관(10)과 층간 구멍(20)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직접 유지부(121)와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 직접 유지부(121)가 제자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층간 구멍(20) 상부에 설치되어 직접 고정부(121)를 홀딩하여 입상배관(10)에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이다.
각도 형성부(123)는 직접 고정부(121)와 고정 유지부(122)를 연결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직접 고정부(121)와 고정 유지부(122) 간에 소정의 각도를 보유하도록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다.
각도 형성부(123)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고 있는 직접 고정부(121)와 고정 유지부(122)는 배관 홀딩부(110)가 커버되어 있는 입상배관(10)이 층간 구멍(20)에 삽입되어 설치될 때, 직접 고정부(121)의 일부가 입상배관(10)과 층간 구멍(2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게 되고, 입상배관(10)이 외력에 의해 하향 가압력이 발생하여 하향되면 입상배관(10)과 층간 구멍(2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있던 직접 고정부(121)의 일부가 입상배관(10)과 층간 구멍(20) 사이의 공간으로 서서히 삽입되기 시작하면서 각도 형성부(123)의 소정의 각도가 고정 유지부(122)가 층간 구멍(10) 상면에 홀딩되면서 90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화 보드부(130)는 상면 보호부(131)와 외부 보호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내화 보드부(130)는 차열부(120)를 외부의 충격이나 현상으로부터 훼손되거나 자리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열부(120)를 보호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면 보호부(131)는 차열부(120)의 상면에 접촉하여 내화 보드부(131)가 차열부(120)를 커버하도록 할 수 있다.
외부 보호부(132)는 차열부(120)를 외부의 충격이나 현상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딩 커버부(140)는 홀딩 보호부(141), 가압력 전달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홀딩 커버부(140)는 배관 홀딩부(110)를 커버하여 입상배관(10)을 2차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내화성(耐火性)의 기능을 보유할 수 있다.
홀딩 보호부(141)는 입상배관(10)을 1차적으로 커버하고 있는 배관 홀딩부(110)에 접촉되는 구성으로 홀딩 보호부(141)가 배관 홀딩부(110)에 접촉되어 커버함으로써 입상배관(10)을 2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가압력 전달부(142)는 중력에 의해 홀딩 커버부(140)에 하향 가압력이 발생하여 하향되는데 홀딩 커버부(140) 하부에 있는 내화 보드부(130)에 중력에 의해 발생된 하향 가압력을 직접적으로 가하는 구성이다.
가압력 전달부(142)에 의해 하향 가압력이 가해지는 내화 보드부(130)는 자리에서 이탈하지 않으려는 유지력이 강해져, 보호하고 있는 차열부(120)를 외부의 충격이나 현상으로부터 더욱 더 잘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 컨트롤부(150)는 수평 감압부(151), 수평 확인부(152), 누수 감지부(153), 안전 정보 변환부(154) 및 안전 정보 저장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컨트롤부(150)는 층간 구멍(20)에 설치된 입상배관(10)이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지, 누수가 발생했는지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상 배관(10)은 층간 구멍(10)에 기본적으로 마찰력을 이용하여 연결 고정될 수 있어, 마찰력으로 인하여 구성들이 훼손될 우려가 있어 실시간으로 수평 정보를 획득하여 입상배관(10)을 점검할 수 있으며, 입상배관(10)에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 여부를 누수 정보로 획득하여 관리 서버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신망은 인터넷, 인트라넷, 유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감압부(151)는 프레싱부(151a), 프레싱 커버부(151b), 압력 정보 획득부(151c) 및 압력 정보 전송부(151d)를 포함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수평 감압부(151)는 입상배관(10) 내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입상배관(10) 외벽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싱부(151a)는 외부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전도성 플레이트로 외부의 압력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프레싱부(151a)는 입상배관(10)과 층간 구멍(20) 사이에 위치한 입상배관(10)의 외벽에 배치될 수 있어, 차열부(120)에 의해 접촉되어진 입상배관(10)과 층간 구멍(20) 사이의 압력을 입력 받아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레싱 커버부(151b)는 프레싱부(151a)를 외부의 열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열성(耐熱性)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압력 정보 획득부(151c)는 프레싱부(151a)가 입상배관(10)과 층간 구멍(20)에 의해 압력이 인가되면 프레싱부(151a) 사이에서 정전용량이 발생하게 되는데,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서 달라지는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압력의 세기 정보인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압력 정보는 프레싱부(151a)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발생하는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압력의 세기 정보이다. 압력 정보 전송부(151d)는 획득한 압력 정보를 수평 확인부(152)에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이다.
도8을 참조하면, 수평 감압부(151)는 입상배관(10) 내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입상배관(10) 외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확인부(152)는 압력 정보 수신부(152a), 압력 정보 비교부(152b), 수평 정보 획득부(152c), 수평 정보 전송부(152d)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정보 수신부(152a)는 수평 감압부(151)가 획득한 압력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구성이다.
압력 정보 비교부(152b)는 수신한 압력 정보를 가상의 공간에서 크기를 비교할 수 있는 구성으로 입상배관(10)에 소정의 거리마다 설치되어 있는 수평 감압부(151)로부터 획득한 압력 정보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수평 정보 획득부(152c)는 압력 정보 비교부(152b)에서 비교된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수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수평 정보는 입상배관(10)이 층간 구멍(20)에서 수평하게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정보이다.
압력 정보 비교부(152b)에서 비교된 압력 정보가 미리 설정해놓은 소정의 임계치에 비해 낮거나, 한 개의 압력 정보가 다른 압력 정보들에 비해 낮게 측정되면 수평 정보 획득부(152c)는 수평 정보를 입상배관(10)이 층간 구멍(20)에 수평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다고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압력 정보 비교부(152b)에서 비교된 압력 정보가 미리 설정해놓은 소정의 임계치와 일치하거나, 비교된 압력 정보가 모두 일치하다고 확인되었으면 수평 정보 획득부(152c)는 입상배관(10)이 층간 구멍(20)에 수평하게 고정되어 있다는 수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수평 정보 전송부(152d)는 안전 정보 변환부(155)에 획득한 수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수 감지부(153)는 전극부(153a), 전극 커버부(153b), 전도도 감지부(153c), 누수 정보 획득부(153d) 및 누수 정보 전송부(153e)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부(153a)는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전도성 핀의 형태의 구성으로 하나의 누수 감지부(153)에 복수 개의 전극부(153a)가 포함되어 있다.
전극 커버부(153b)는 전극부(153a)를 커버하고 있는 구성으로, 표면에 미세한 홀이 소정의 거리마다 배치되어 있는 내열성(耐熱性)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입상배관(10)에 누수가 발생하면 전극 커버부(153b)의 미세한 홀을 통해 물이 유입이 되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물이 유입이 되기 시작하면서 복수 개의 전극부(153a) 사이에 전도도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데 전도도의 변화를 기초로 누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누수 정보는 입상배관(10)에서 발생하는 누수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누수 정보는 입상배관(10)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 감지부(153)에 전도성 액체가 접촉되어 전도도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발생한 전도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입상배관(10)에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는 정보인 누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도도 감지부(153c)는 누수된 입상배관(10)에서 유입된 전도성의 액체가 전극 커버부(153b)의 미세한 홀을 통해 유입되어 복수 개의 전극부(153a)사이에는 전도성의 액체가 접촉이 된다.
유입된 전도성의 액체는 중력에 의해 복수 개의 전극부(153a) 사이에서 서로 다른 높이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서로 다른 높이는, 전극부(153a) 간에 서로 다른 전도도의 변화를 발생시키는데, 전도도 감지부(153c)는 이러한 전도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전도도의 변화가 감지되면 누수 정보 획득부(153d)는 입상배관(10)에 누수가 발생했다는 신호인 누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누수 정보 전송부(153e)는 누수 정보 획득부(153d)가 획득한 누수 정보를 안전 정보 변환부(155)에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도11의 (a)를 참조하면 누수 감지부(153)에 미세한 홀에 전도성 액체가 유입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극부(153a)는 복수 개로 배치되어 있는데 a 전극부(153a) ~ g 전극부(153a)까지 배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11-(a) 상에서 a - b 구간의 전극부(153a)에는 전도성 액체가 접촉되어 있지 않고 b - c, c - d, d - e, e - f, f - g의 각 구간마다 각각 다른 부피의 전도성 액체가 접촉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곧 전극부(153a) 각 구간마다 전도성 액체의 부피에 기초하여 전도성의 변화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 정보 저장부(155)는 일련 번호 할당부(155a), 정보 분할부(155b), 서버 저장부(155c)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정보 저장부(155)는 안전 정보로 변환된 수평 정보와 누수 정보를 외부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외부 관리 서버는, 본 시스템을 운영하는 기관의 외부 서버나 클라우드 서버 등의 개념으로 언급될 수 있다.
일련 번호 할당부(155a)는 안전 정보에 일련 번호를 할당하는 구성이다.
일련 번호 할당부(155a)에 의해 일련 번호가 할당된 안전 정보는 정보 분할부(155b)에서 복수 개로 분할되어 복수 개의 파일로 생성이 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파일로 생성된 안전 정보는 서버 저장부(155c)에 의해 외부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만약, 외부 관리 서버에서 해당 안전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안전 정보를 호출하면, 일련 번호를 매개로 복수 개의 파일로 저장되어 있던 안전 정보가 재조합되어 호출한 안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안전 정보는 수평 정보와 누수 정보를 통합하여 변환한 것으로, 입상배관(1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입상배관(10)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정보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입상배관 20: 층간 구멍
100: 입상배관 고정 시스템 110: 배관 홀딩부
111: 외주면 커버부 112: 홀딩 커버 접촉부
120: 차열부 121: 직접 고정부
122: 고정 유지부 123: 각도 형성부
130: 내화 보드부 131: 상면 보호부
132: 외부 보호부 140: 홀딩 커버부
141: 홀딩 보호부 142: 가압력 전달부
150: 안전 컨트롤부 151: 수평 감압부
151a: 프레싱부 151b: 프레싱 커버부
151c: 압력 정보 획득부 151d: 압력 정보 전송부
152: 수평 확인부 152a: 압력 정보 수신부
152b: 압력 정보 비교부 152c: 수평 정보 획득부
152d: 수평 정보 전송부 153: 누수 감지부
153a: 전극부 153b: 전극 커버부
153c 전도도 감지부 153d: 누수 정보 획득부
153e: 누수 정보 전송부 154: 안전 정보 변환부
155: 안전 정보 저장부 155a: 일련 번호 할당부
155b: 정보 분할부 155c 서버 저장부

Claims (10)

  1. 건물의 상층 작업이 가능하도록, 입상배관을 층간 구멍에 실링하여 열화를 방지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상배관의 외주면을 커버하여, 상기 입상배관을 홀딩하는 배관 홀딩부;
    상기 입상배관을 커버한 상기 배관 홀딩부 하부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층간 구멍과 상기 입상배관을 상호 밀폐하여 상하 열을 차단하는 차열부;
    상기 차열부를 커버하여 열화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상기 차열부를 보호하는 내화 보드부;
    상기 배관 홀딩부의 상기 외주면을 커버하며, 자중에 의한 하향 가압력을 상기 내화 보드부에 가해, 상기 차열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홀딩 커버부; 및
    안전 정보를 획득하여, 외부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안전 컨트롤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관 홀딩부는,
    상기 배관 홀딩부의 내주면을 형성하고, 상기 입상배관의 상기 외주면과 접촉되어 상기 입상배관을 커버하는 외주면 커버부; 및
    상기 배관 홀딩부의 외주면을 형성하고, 상기 홀딩 커버부가 상기 입상배관을 열화손상 방지하도록 상기 홀딩 커버부가 접촉되는 홀딩 커버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
  2. 삭제
  3. 건물의 상층 작업이 가능하도록, 입상배관을 층간 구멍에 실링하여 열화를 방지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상배관의 외주면을 커버하여, 상기 입상배관을 홀딩하는 배관 홀딩부;
    상기 입상배관을 커버한 상기 배관 홀딩부 하부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층간 구멍과 상기 입상배관을 상호 밀폐하여 상하 열을 차단하는 차열부;
    상기 차열부를 커버하여 열화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상기 차열부를 보호하는 내화 보드부; 및
    상기 배관 홀딩부의 상기 외주면을 커버하며, 자중에 의한 하향 가압력을 상기 내화 보드부에 가해, 상기 차열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홀딩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열부는,
    상기 층간 구멍 내면과 접촉되어 삽입되며, 상기 입상배관을 커버하고 있는 상기 배관 홀딩부의 외주면과 상기 층간 구멍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 시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상기 입상배관을 상기 층간 구멍에 고정되는 직접 고정부;
    상기 층간 구멍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직접 고정부가 상기 입상배관을 고정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직접 고정부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 유지부; 및
    상기 직접 고정부와 상기 고정 유지부를 소정의 각도가 형성되도록 연결하며, 상기 입상배관이 설치될 때 발생하는 하향 가압력으로 인해 상기 소정의 각도가 변화하도록 하는 각도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
  4. 건물의 상층 작업이 가능하도록, 입상배관을 층간 구멍에 실링하여 열화를 방지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상배관의 외주면을 커버하여, 상기 입상배관을 홀딩하는 배관 홀딩부;
    상기 입상배관을 커버한 상기 배관 홀딩부 하부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층간 구멍과 상기 입상배관을 상호 밀폐하여 상하 열을 차단하는 차열부;
    상기 차열부를 커버하여 열화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상기 차열부를 보호하는 내화 보드부; 및
    상기 배관 홀딩부의 상기 외주면을 커버하며, 자중에 의한 하향 가압력을 상기 내화 보드부에 가해, 상기 차열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홀딩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화 보드부는,
    상기 차열부 상면과 접촉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차열부가 이탈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면 보호부; 및
    상기 홀딩 커버부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홀딩 커버부의 상기 자중에 의한 상기 하향 가압력을 인가받는 외부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
  5. 건물의 상층 작업이 가능하도록, 입상배관을 층간 구멍에 실링하여 열화를 방지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상배관의 외주면을 커버하여, 상기 입상배관을 홀딩하는 배관 홀딩부;
    상기 입상배관을 커버한 상기 배관 홀딩부 하부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층간 구멍과 상기 입상배관을 상호 밀폐하여 상하 열을 차단하는 차열부;
    상기 차열부를 커버하여 열화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상기 차열부를 보호하는 내화 보드부; 및
    상기 배관 홀딩부의 상기 외주면을 커버하며, 자중에 의한 하향 가압력을 상기 내화 보드부에 가해, 상기 차열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홀딩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홀딩 커버부는,
    상기 배관 홀딩부와 접촉되어, 상기 입상배관을 더 보호하도록 하는 홀딩 보호부; 및
    상기 내화 보드부 상면과 접촉되며, 상기 중력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하향 가압력을 상기 내화 보드부에 전달하는 가압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컨트롤부는,
    상기 입상배관 외벽과 상기 층간 구멍 내면 사이에서 소정의 길이마다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입상배관과 상기 층간 구멍 간의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 정보를 획득하는 수평 감압부;
    획득한 상기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상배관이 상기 층간 구멍에서 수평하게 기립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상기 수평 정보를 획득하는 수평 확인부;
    상기 입상배관 외벽과 상기 배관 홀딩부 사이에서 상기 소정의 길이마다 상기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누수를 감지하여 누수 정보를 획득하는 누수 감지부;
    상기 수평 정보와 상기 누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안전 정보로 변환하는 안전 정보 변환부; 및
    상기 안전 정보를 상기 외부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안전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정보는,
    상기 수평 정보와 상기 누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감압부는,
    외부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전도성 플레이트로, 상기 압력에 의해 한 쌍의 전도성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가 프레싱되는 프레싱부;
    내열성(耐熱性)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싱부 표면 전체를 커버하여 상기 프레싱부가 고온으로부터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프레싱 커버부;
    상기 프레싱부가 압력에 의해 프레싱되면,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 정보를 획득하는 압력 정보 획득부; 및
    획득한 상기 압력 정보를 상기 수평 확인부에 전송하는 압력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확인부는,
    상기 수평 감압부로부터 상기 압력 정보를 수신받는 압력 정보 수신부;
    수신한 복수 개의 상기 압력 정보를 비교하는 압력 정보 비교부;
    비교된 상기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평 정보를 획득하는 수평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수평 정보를 상기 안전 정보 변환부에 전송하는 수평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감지부는,
    외부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는 복수 개의 전도성 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전극부;
    내열성(耐熱性)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전극부를 커버하며, 미세한 홀이 소정의 거리 마다 배치되어 있는 전극 커버부;
    상기 미세한 홀을 통해 상기 전극부로 전도성의 액체가 유입되면,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전극부 사이의 전도도의 변화 유무를 감지하는 전도도 감지부;
    상기 전도도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누수 정보를 획득하는 누수 정보 획득부; 및
    획득한 상기 누수 정보를 상기 안전 정보 변환부에 전송하는 누수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정보 저장부는,
    상기 안전 정보에 일련 번호를 할당하는 일련 번호 할당부;
    상기 일련 번호가 할당된 상기 안전 정보를 분할하여, 복수 개의 파일로 생성하는 정보 분할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파일을 상기 외부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서버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
KR1020190091043A 2019-07-26 2019-07-26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 KR102109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043A KR102109619B1 (ko) 2019-07-26 2019-07-26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043A KR102109619B1 (ko) 2019-07-26 2019-07-26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619B1 true KR102109619B1 (ko) 2020-05-12

Family

ID=7067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043A KR102109619B1 (ko) 2019-07-26 2019-07-26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6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834B1 (ko) 2020-12-16 2021-11-11 (주)제이에이치코리아 반도체 fab 제조공정용 배관의 내화 충전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7560A (ja) * 2013-08-13 2015-03-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シール構造、このシール構造を備える原子炉建屋、この原子炉建屋を備える原子力発電プラント、及び、シール構造の施工方法
KR101603620B1 (ko) 2015-01-28 2016-03-25 황혜자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KR101637197B1 (ko) 2015-01-13 2016-07-07 (주)이화인터내셔널 내화충진재가 삽입되는 층간 입상배관 시공구조
KR101666369B1 (ko) 2015-05-13 2016-10-17 (주)세이프코리아 배관용 가변형 내화고정구
KR20170084970A (ko) 2016-01-13 2017-07-21 김흥국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
KR101975356B1 (ko) 2018-06-18 2019-05-07 (주)인성시스템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7560A (ja) * 2013-08-13 2015-03-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シール構造、このシール構造を備える原子炉建屋、この原子炉建屋を備える原子力発電プラント、及び、シール構造の施工方法
KR101637197B1 (ko) 2015-01-13 2016-07-07 (주)이화인터내셔널 내화충진재가 삽입되는 층간 입상배관 시공구조
KR101603620B1 (ko) 2015-01-28 2016-03-25 황혜자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KR101666369B1 (ko) 2015-05-13 2016-10-17 (주)세이프코리아 배관용 가변형 내화고정구
KR20170084970A (ko) 2016-01-13 2017-07-21 김흥국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
KR101975356B1 (ko) 2018-06-18 2019-05-07 (주)인성시스템 내화충전장치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834B1 (ko) 2020-12-16 2021-11-11 (주)제이에이치코리아 반도체 fab 제조공정용 배관의 내화 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620B1 (ko)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US4364210A (en) Fire barrier device
KR102084022B1 (ko) 내화충전재 일체형 슬리브
KR101985076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캡슐형 소화장치
KR102109619B1 (ko) 상부층 단면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상배관 내화충전 시스템
KR200487404Y1 (ko) 방화 및 내화재가 구비된 배관 고정구
KR102239032B1 (ko) 내화충전 일체형 벽체 슬리브
KR101610297B1 (ko) 고압 전력선의 소화장치
JP4928408B2 (ja) 排水配管用部材及び排水配管構造
KR20170004159U (ko)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US10883348B2 (en) Flow restrictor for installation in an underground conduit connected to an underground vault
KR20170084970A (ko) 발포성 내화충전재용 소켓
JP2012067596A (ja) 排水配管用部材および排水配管構造
CN104094489A (zh) 电气壳体的过热抑制系统和方法
US1088334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manhole events
KR101949859B1 (ko) 내화충전재 수용부를 갖는 관통 슬리브
KR20180072818A (ko) 파이프용 방화
KR101704409B1 (ko)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JP2008111556A (ja) 防火区画貫通部用継手
KR101702354B1 (ko) 입상배관 고정용 내화 충전재 슬리브 고정장치
CN104568635A (zh) 非能动实体防火构件的耐火试验方法
KR100444575B1 (ko)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장치
KR101571389B1 (ko) 층간 관통 슬리브에서의 화재 저항 구조체, 및 화재 저항 구조체 시공 방법
JP4617394B1 (ja) 耐火閉塞具
KR102292974B1 (ko) 소방전기공사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