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872B1 - 절단공구의 풋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절단공구의 풋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872B1
KR101974872B1 KR1020170150439A KR20170150439A KR101974872B1 KR 101974872 B1 KR101974872 B1 KR 101974872B1 KR 1020170150439 A KR1020170150439 A KR 1020170150439A KR 20170150439 A KR20170150439 A KR 20170150439A KR 101974872 B1 KR101974872 B1 KR 101974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cutting tool
locking
butt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정제헌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0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7/00Guide fences or stop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Measuring equipment thereon
    • B27B27/10Devices for moving or adjusting the guide fences or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9/00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ight reciprocating saw blades, e.g. hacksaws
    • B23D49/001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ight reciprocating saw blades, e.g. hacksaws transportable, e.g. fitted with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공구의 전방에 구비되는 풋의 길이 조정시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간편하게 록킹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한 절단공구의 풋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의 내부 하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102)와; 상기 본체(101)의 전방으로부터 가이드부재(102)의 안쪽에서 출입되도록 구비되고, 서포트 바아(111)와, 상기 서포트 바아(111)의 양쪽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홈(113)이 형성되는 풋(110)과; 상기 풋(110)의 길이 조정을 위해 록킹 및 해제동작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풋 버튼(120)과; 상기 풋 버튼(120)의 동작에 따라 풋(110)의 록킹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풋버튼(120)과 방향을 달리하여 배치되는 이동 레버(130) 및 록킹핀(140)과; 상기 록킹핀(140)의 움직임에 따라 압축되도록 탄지되는 탄성부재(150)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핀(140)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141)와 지지돌기(142)를 포함하고, 가이드 돌기(141)의 한쪽은 가이드부재(102)의 한쪽 걸림홈(102a)에 걸리도록 하는 록킹부(143)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반대편은 끝단부가 절곡되어 탄성부재(150)가 삽입되어 탄지되도록 하는 지지부(144)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돌기(142)와 절곡된 지지부(144)의 사이에 간격(145)이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절단공구의 풋 제어장치{Foot Controlling Apparatus of Cutting Tool}
본 발명은 절단공구의 풋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공구의 전방에 구비되는 풋의 길이 조정시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간편하게 록킹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단공구, 예를 들어 왕복동 충전 컷쏘(cut saw)는 톱날의 왕복운동에 의해 본체가 받는 반력을 작게 억제하고, 보다 편리한 절단 작업 수행을 위해 본체 전단부에 설치된 풋(foot)을 통해 예컨대 절단 대상물에 지지하면서 절단 작업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의 절단공구의 사시도로서, 종래의 절단공구(1)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방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풋(20)을 포함한다.
상기 풋(20)에는 본체(10)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톱날(미도시)이 관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풋(20)은 필요에 따라 본체(10)의 선단부로부터 노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톱날의 길이 또는 절단하고자 하는 작업물의 형상에 따라 효율적인 절단 작업이 가능하도록 몇 단계(예를 들어 3단계)로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절단공구(1)의 일부 분리 사시도로서, 풋(20)의 길이 조정시에는, 본체(10)의 전방측 내부 하부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재(12)안에 풋 버튼(30)이 마련되고, 상기 풋 버튼(30)의 누름에 따라 풋(20)의 길이가 조정되도록 하는 록킹부재(40)가 갖추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12)의 양쪽 측면에는 각각 걸림홈(12a)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풋 버튼(30)은 누름부(31)와, 상기 누름부(31)의 상부로 형성되는 연결편(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부재(40)는 상기 풋 버튼(30)의 연결편(32)과 연결되어서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풋(20)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서 절단공구(1)의 본체(10)안으로 출입되는 서포트 바아(21)와, 상기 서포트 바아(21)의 가운데에 절개되어 형성되는 이동통로(22)와, 서포트 바아(21)의 길이방향 양쪽 측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걸림홈(2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40)는 풋 버튼(30)의 연결편(32)과 연결됨과 동시에, 록킹부재(40)의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홈(41)에 탄성부재(42)가 수직방향으로 탄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안착홈(41)으로 인해 그 저면은 안착홈(41)의 양쪽보다 하부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절단공구(1)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40)가 풋(20)의 서포트 바아(21)의 양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23)의 어느 하나에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풋(20)의 길이(돌출길이)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가이드 부재(12)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된 풋 버튼(30)의 누름부(31)를 누르면, 누름부(31)의 연결편(32)과 연결된 록킹부재(40)가 상부 방향으로 상승하여 풋(20)의 서포트 바아(21)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홈(23)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록킹이 해제된다. 이때 탄성부재(42)는 록킹부재(40)의 상승에 따라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풋(20)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서 원하는 길이로 조정하면, 풋(20)의 서포트 바아(21)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통로(22)가 절개되어 있어, 풋(20)의 길이 조정을 위한 이동시, 풋 버튼(30)의 연결편(32)과 간섭없이 이동이 가능하고, 이런 다음에, 누르고 있던 풋 버튼(30)의 누름부(31)를 놓으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42)의 반발력에 의해 풋 버튼(30)은 원위치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풋 버튼(30), 록킹부재(40 및 탄성부재(42)가 일렬로 정렬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정렬배치를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므로, 그 만큼 절단공구(1)의 사이즈가 커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절단공구(1)가 휴대용이라는 점에서 단점이 될 수 있다.
일본특허 제 3587987호(공고일자 : 2004년 11월 10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절단공구의 풋 위치를 조정할 때,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 간편하게 풋의 록킹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한 절단공구의 풋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하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부터 가이드부재의 안쪽에서 출입되도록 구비되고, 서포트 바아와, 상기 서포트 바아의 양쪽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풋과; 상기 풋의 길이 조정을 위해 록킹 및 해제동작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풋 버튼과; 상기 풋 버튼의 동작에 따라 풋의 록킹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풋버튼과 방향을 달리하여 배치되는 이동 레버 및 록킹핀과; 상기 록킹핀의 움직임에 따라 압축되도록 탄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풋버튼은 절단공구의 본체 한쪽 측면에서 누를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레버는, 상기 풋버튼의 푸시부와 접촉하면서 푸시부의 미는 힘에 의해 밀려서 이동하는 제 1레버편과, 상기 제 1레버편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레버편과, 상기 제 1,2레버편의 사이에 형성되어서 제 1,2레버편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해주는 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록킹핀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와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가이드 돌기의 한쪽은 가이드부재의 한쪽 걸림홈에 걸리도록 하는 록킹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반대편은 끝단부가 절곡되어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탄지되도록 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돌기와 절곡된 지지부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적은 공간을 차지하여 절단공구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그 만큼 휴대하기에 적합하고, 풋의 길이 조정을 위한 풋 버튼의 누름동작에 따른 풋의 록킹 및 해제 동작이 간편하면서도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절단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절단공구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는 종래의 절단공구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록킹상태에서 해제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단공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단공구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단공구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4a의 록킹상태에서 해제된 상태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단공구의 록킹편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종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로부터 록킹핀이 이동되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종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단공구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단공구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 분리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단공구(100)는 본체(101)의 전방에 출입되도록 구비되는 풋(110)과, 상기 풋(110)의 길이 조정을 위해 록킹 및 해제동작을 하는 풋 버튼(120)과, 상기 풋 버튼(120)의 동작에 따라 풋(110)의 록킹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레버(130)와 록킹핀(140)과, 록킹핀(140)의 움직임에 따라 압축되도록 탄지되는 탄성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1)의 하부면에는 가이드부재(102)가 갖추어지고, 그 안쪽에 풋(110)이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본체(101)의 전면에 형성된 척(104)은 절단 작업시 사용되는 톱날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재(102)는 양쪽면에 각각 걸림홈(102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걸림홈(102a)의 한쪽에 걸림핀(140)의 한쪽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걸림홈(102a)은 양쪽이 아닌 한쪽만 형성해도 무방하다.
상기 풋(110)은 하부에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서포트 바아(111)와, 상기 서포트 바아(111)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112)와, 서보트 바아(111)의 양쪽 측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걸림홈(1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풋(110)의 하부에는 가이드부재(102)가 마련된다.
또한, 풋버튼(120)은 절단공구(100)의 한쪽 측면에서 누를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풋버튼(120)은 누름부(121)와, 이 누름부(121)의 단부에 형성되는 지지부(122)와, 이 지지부(122)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이동레버(130)를 밀도록 하는 푸시부(123)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부(123)의 단부에는 이동레버(130)의 단부가 끼워져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끼움홈(12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레버(130)는 상기 풋버튼(120)의 푸시부(123)와 접촉하면서 푸시부(123)의 미는 힘에 의해 밀려서 이동하는 제 1레버편(131)과, 상기 제 1레버편(13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레버편(132)과, 상기 제 1,2레버편(131)(132)의 사이에 형성되어서 제 1,2레버편(131)(132)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해주는 힌지부(13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록킹핀(140)은 대략 중앙 위치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141)와 지지돌기(142)를 포함하고, 가이드 돌기(141)의 한쪽은 가이드부재(102)의 한쪽 걸림홈(102a)에 걸리도록 하는 록킹부(143)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반대편은 끝단부가 절곡되어 탄성부재(150)가 삽입되어 탄지되도록 하는 지지부(144)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지지돌기(142)와 절곡된 지지부(144)의 사이에 간격(145)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핀(140)의 가이드 돌기(141)는 절단공구(100)의 본체(101) 내부의 삽입홈(101a)에 삽입되어서 록킹핀(140)이 록킹핀(140)의 길이방향(도면상 횡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지만, 도면상 전,후 방향 즉, 풋(110)의 인출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단공구의 풋 제어장치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풋(110)의 길이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절단공구(100)의 본체(101) 측면에 마련된 풋버튼(120)을 누른 상태에서 풋(110)의 길이를 조정하면 된다.
다시 말해서, 풋버튼(120)을 누르면, 풋버튼(120)의 누름부(121)가 눌려져서 푸시부(123)가 본체(101)의 내부로 삽입되고, 그러면 푸시부(123)와 접촉하고 있는 이동레버(130)의 제 1레버편(131)이 힌지부(133)를 중심으로 밀려서 회동하면, 반대편에 마련된 제 2레버편(132)이 반대로 이동하면서 록킹핀(140)을 도면상 하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록킹편(14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141)가 상향 돌출되어 있으면서 본체(101) 내부의 삽입홈(101a)안에 삽입되어서 도면(도 8a)상 횡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고, 전,후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구속되어 있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핀(140)이 이동하는데, 록킹핀(140)의 지지돌기(142)의 한쪽 측면에 이동레버(130)의 제 2레버편(132)의 단부가 걸려서 밀게되고, 그에따라 록킹핀(140)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록킹핀(140)의 록킹부(143)는 풋(110)의 록킹시, 록킹부(143)가 풋(110)의 서포트 바아(111)의 한쪽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113)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고, 록킹부(143)의 반대편에 절곡되어 마련된 지지부(144)도 풋(110)의 서포트 바아(111)의 다른쪽 측면에 복수로 형성된 걸림홈(113)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걸려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록킹상태에서 풋(110)의 길이 조정을 위해 록킹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풋버튼(120)의 누름동작에 따라 이동레버(130)가 회동하여 록킹핀(140)이 이동하면, 록킹부(143)는 서포트 바아(111)의 한쪽 걸림홈(113)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절곡된 지지부(144)는 서포트 바아(111)의 걸림홈(113)을 지나서 가이드부재(102)의 걸림홈(102a)에 도달하여 걸림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록킹핀(140)은 도면상 풋(110)의 서포트 바아(111)의 양쪽(도 7a 및 도 7b의 상,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113)으로부터 모두 걸림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록킹핀(140)의 록킹부(143)는 서포트 바아(111)의 한쪽 걸림홈(113)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고, 반대편의 걸림홈(113)에 삽입되어 있던 절곡된 지지부(144)는 이러한 반대편의 걸림홈(113)을 지나서 가이드 부재(102)의 걸림홈(102a)에 도달하여 걸림이 이루어지지만, 록킹핀(140)의 지지돌기(1420와 지지부(144)의 끝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145)이 서포트 바아(111)의 하부 걸림홈(113)이 위치하게 되어서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풋 제어장치는 풋(110)의 록킹 해제를 위해 록킹핀(140)의 이동시, 지지부(144)에 삽입되어 있는 탄성부재(150)가 압축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150)는 록킹핀(140)의 상,하부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141) 및 지지돌기(142)와 본체(101) 내부의 걸림홈(102a)의 안쪽면에 탄지되어 있다가 록킹핀(140)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 돌기(141) 및 지지돌기(142)에 의해 밀려서 압축된다.
따라서, 풋(110)의 길이 조정을 위해서, 풋(110)을 본체(101)로부터 더 빼내거나 더 삽입하여 길이를 조정한 다음, 누르고 있던 풋버튼(120)을 놓으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150)의 반발력에 의해 록킹핀(140)은 원위치되는데, 이때 지지돌기(142)에 의해 이동레버(130)의 제 2레버편(132)의 단부가 밀리면서 회동하여 힌지부(133)를 통해 제 1레버핀(131)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풋버튼(12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여기서, 상기 록킹핀(140)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록킹부(143)는 풋(110)의 서포트 바아(111)의 도면상 상부 걸림홈(113)에 진입하여 걸림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절곡된 지지부(144)는 서포트 바아(111)의 하부에 마련된 록킹홈(113)에 진입하여 걸림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절단공구(100)에 마련된 풋(110)의 길이 조정시에는, 반드시 풋버튼(120)을 누른 상태에서 풋(110)을 본체(101)로부터 더 빼거나 삽입하는 동작을 통해 풋(110)의 길이 조정을 한 다음, 눌렀던 풋버튼(120)을 놓으면 원위치되면서 록킹핀(140)에 의해 풋(110)의 록킹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풋버튼(120)과 이동레버(130) 및 록킹핀(140)의 배치상태가 서로 각도를 달리하여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종래의 일렬 배치구조에 비해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되므로 컴팩트한 공구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 : 절단공구
10 : 본체
12 : 가이드부재
12a : 걸림홈
20 : 풋
21 : 서포트 바아(support bar)
22 : 이동 통로
23 : 걸림홈
30 : 풋 버튼
31 : 누름부
32 : 연결편
40 : 록킹부재
41 : 안착홈
42 : 탄성부재
100 : 절단공구
101 : 본체
101a : 삽입홈
102 : 가이드부재
102a : 걸림홈
104 : 척
110 : 풋
111 : 서포트 바아
112 : 절개부
113 : 걸림홈
120 : 풋 버튼
121 : 누름부
122 : 지지부
123 : 푸시부
123a : 끼움홈
130 : 이동 레버
131 : 제 1레버편
132 : 제 2레버편
133 : 힌지부
140 : 록킹핀
141 : 가이드 돌기
142 : 지지돌기
143 : 록킹부
144 : 지지부
145 : 간격
150 : 탄성부재

Claims (4)

  1.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의 내부 하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102)와;
    상기 본체(101)의 전방으로부터 가이드부재(102)의 안쪽에서 출입되도록 구비되고, 서포트 바아(111)와, 상기 서포트 바아(111)의 양쪽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홈(113)이 형성되는 풋(110)과;
    상기 풋(110)의 길이 조정을 위해 록킹 및 해제동작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풋 버튼(120)과;
    상기 풋 버튼(120)의 동작에 따라 풋(110)의 록킹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풋버튼(120)과 방향을 달리하여 배치되는 이동 레버(130) 및 록킹핀(140)과;
    상기 록킹핀(140)의 움직임에 따라 압축되도록 탄지되는 탄성부재(150);
    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핀(140)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141)와 지지돌기(142)를 포함하고, 가이드 돌기(141)의 한쪽은 가이드부재(102)의 한쪽 걸림홈(102a)에 걸리도록 하는 록킹부(143)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반대편은 끝단부가 절곡되어 탄성부재(150)가 삽입되어 탄지되도록 하는 지지부(144)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돌기(142)와 절곡된 지지부(144)의 사이에 간격(14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공구의 풋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풋버튼(120)은 절단공구(100)의 본체(101) 한쪽 측면에서 누를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공구의 풋 제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버(130)는,
    상기 풋버튼(120)의 푸시부(123)와 접촉하면서 푸시부(123)의 미는 힘에 의해 밀려서 이동하는 제 1레버편(131)과, 상기 제 1레버편(13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레버편(132)과, 상기 제 1,2레버편(131)(132)의 사이에 형성되어서 제 1,2레버편(131(132)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해주는 힌지부(1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공구의 풋 제어장치.
  4. 삭제
KR1020170150439A 2017-11-13 2017-11-13 절단공구의 풋 제어장치 KR101974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439A KR101974872B1 (ko) 2017-11-13 2017-11-13 절단공구의 풋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439A KR101974872B1 (ko) 2017-11-13 2017-11-13 절단공구의 풋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872B1 true KR101974872B1 (ko) 2019-05-08

Family

ID=6658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439A KR101974872B1 (ko) 2017-11-13 2017-11-13 절단공구의 풋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8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987A (ja) 1981-07-08 1983-01-17 Oki Electric Ind Co Ltd 固体写真装置
KR20030033172A (ko) * 2001-10-18 2003-05-0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변속기용 변속레버
KR20030093874A (ko) * 2002-06-05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 적재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급지 카세트
CN2841228Y (zh) * 2005-12-01 2006-11-29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往复锯的支撑架调节系统
CN101642831A (zh) * 2008-08-06 2010-02-10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往复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987A (ja) 1981-07-08 1983-01-17 Oki Electric Ind Co Ltd 固体写真装置
KR20030033172A (ko) * 2001-10-18 2003-05-0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변속기용 변속레버
KR20030093874A (ko) * 2002-06-05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 적재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급지 카세트
CN2841228Y (zh) * 2005-12-01 2006-11-29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往复锯的支撑架调节系统
CN101642831A (zh) * 2008-08-06 2010-02-10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往复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519B1 (ko) 유모차의 푸쉬로드
KR20170089909A (ko) 가구 구동 장치
JP2012135398A (ja) 椅子
JP4018074B2 (ja) 自動車のシート用のランナ
KR20200003883A (ko) 이동 안내 장치 및 홈 차폐 유닛
US11667219B2 (en) Child safety seat
US6299121B1 (en) Device for fixing a vehicle seat, vehicle seat having such a device and a slide bar for such a seat
WO2017022530A1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539337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EP1930213B1 (en) Apparatus for locking cross bar to side bars of roof carrier
JP4798975B2 (ja) ケーブル用アジャスト装置およびアジャスト装置付き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KR101974872B1 (ko) 절단공구의 풋 제어장치
JP2005238533A (ja) レシプロソー
US10500989B2 (en) Child car seat and safety belt guiding apparatus thereof
JP5260902B2 (ja) 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機構
KR102215942B1 (ko)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
US6851752B2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n infant support structure
US8651577B2 (en) Adjustment device
WO2016163286A1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6744288B2 (ja) シートベルト用ショルダアジャスタ装置
JP5213133B2 (ja) 自動車のシートの調整可能なヘッドレストの上昇および下降の機構において使用するように適合されたブラケットシステム
JP4365204B2 (ja) 椅子の肘掛け等の高さ調節装置
JPH102485A (ja) 脚高さ調節装置
JP2007223345A (ja)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0163492B1 (ko) 자동차의 좌석벨트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