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492B1 - 자동차의 좌석벨트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좌석벨트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492B1
KR0163492B1 KR1019960009788A KR19960009788A KR0163492B1 KR 0163492 B1 KR0163492 B1 KR 0163492B1 KR 1019960009788 A KR1019960009788 A KR 1019960009788A KR 19960009788 A KR19960009788 A KR 19960009788A KR 0163492 B1 KR0163492 B1 KR 0163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button
guide
fr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9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657A (ko
Inventor
박장원
진성우
배기영
Original Assignee
정몽훈
주식회사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훈, 주식회사성우 filed Critical 정몽훈
Priority to KR1019960009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492B1/ko
Publication of KR970069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4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7Horizontally or transversally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되는 좌석벨트의 인출점을 이루는 디링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하는 좌석벨트의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수동방식으로 조작 되는 버튼을 측방향에서 눌러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구조의 간소화와 동작의 원활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버튼(22)을 누르면 수평방향으로 로크핀(27)이 이동되어 프레임(10)이 형성되는 걸림홈(14)으로 부터 상기 로크핀(27)이 슬라이드공(23)으로 이동됨에 따라 슬라이더(2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서 높낮이 조절이 되고, 조절 완료후에는 버튼(22)의 누름력을 제거하면 리턴 스프링(23)에 의해 버튼(22)이 원위치로 복귀됨데 따라 로크핀(27)이 다시 걸림홈(14)으로 삽입되어 록킹되도록 된 것으로서 구조의 간소화 및 동작 원활성이 도모되어 원가 절감 및 구조의 내구성 강화와 더불어서 조작간편성이 도모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좌석벨트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의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 장치의 요부 종단면 일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 선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보인 개략요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1 : 가이드
12 : T홈 13 : 슬라이드공
14 : 걸림흠공 20 : 슬라이더
21 : 슬라이더카바 22 : 버튼
23 : 리턴스프링 24 : 슬라이더 가이드
25 : 슬라이더 플레이트 26 : 핀 가이드
27 : 로크핀 28 : 너트
30 : 프레임카바 40 : 좌석벨트
41 : 디딩
본 발명은 승차자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좌석벨트의 인출지점을 변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좌석벨트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측 방향에서 버튼을 조작하여 좌석벨트의 인출점 높낮이를 조절가능하게 하므로서 구조의 간소화가 도모되도록 하는 동시에 작동성 향상이 도모되도록 발명된 자동차의 좌석벨트의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좌석에 착석한 상태에서의 승차자 신체에 좌석벨트를 적합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좌석벨트의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좌석벨트의 인출점 높이 조절은 대개 수동 조작에 의해 조절되도록 하고 있으며, 어깨와 목부분의중간 지점 위치에 좌석벨트의 인출지점이 위치하도록 조절시키는 것이 안전성 내지는 착용 편리성이 있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좌석벨트의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는 승차자의 신체에 따라 벨트 인출 지점을 적절히 조절시켜야 하므로 조절 편리성이 도모되어 하는 한편, 좌석벨트가 안전기능 및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그 부속장치의 일종인 벨트 인출점 높이 조절 장치에 있어서도 구조적인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좌석벨트의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들은 대개 상,하방향으로 버튼을 누름 조작하여 벨트 인출 지점이 변위되도록 하는 조작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서 구조상에 있어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가져야만 하였다.
동작구조에 있어서, 관련부품이 많을수록 구조적인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므로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좌석벨트의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들에 있어서는 구조의 내구성이 아무래도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좌석벨트는 추돌이나 급정지시에 신체가 좌석으로부터 이탈하려는 관성력이 크게 작용되는 것이므로 좌석벨트에 따르는 관련구조 및 그 부속장치에 있어서도 구조적인 내구성이 떨어지면 안전도에 문제가 발생될 소지가 커지게 된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면 조립공수 증대에 따른 생산성 저하가 초래되는 문제를 수반하게 하는 한편,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하므로서 소비자가 부담해야 하는 구입가격 상승을 야기하게 한다.
특히, 종래의 좌석벨트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는 로크핀을 해지시키기 위한 구조가 복잡한 동시에 로크핀의 전, 후 운동을 함에 있어 프레임의 걸림공과, 핀 가이드 그리고 로크핀의 측면이 수직방향으로 동작되므로서 작동시에 마찰의 발생이 많음에 따라 소음 발생과 더불어 작동성이 그다지 원활함을 도모하지 못하는 문제를 수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좌석벨트의 인출지점을 변위시키도록 하는 조작을 측방향에서 버튼을 누름 조작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좌석벨트의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적인 내구성을 가지면서도 구조가 간단한 장치를 제공하므로서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을 도모하게 하려는데 있으며, 또 다른 목적은 작동서이 우수한 장치를 제공하므로서 조작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하게 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제에 고정되는 프레임에 로크핀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핀이동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핀이동장공 일측에는 이것과 연통되는 걸림흠공을 등간격적으로 형성시켜 로크핀이 걸림홍에 걸림 및 이탈되도록 하는 한편, 이러한 로크핀의 동작이 측방향에서 누름조작되는 버튼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측방향으로 누름 조작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로크핀, 그리고 상기 로크핀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공 및 그 일측에 등간격적으로 형성되는 걸림흠공을 다수 구비하는 프레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장치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크게 구분하여 차체(미도시)에 고정볼트(1)에 의해 고정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을 지지부재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20)로 구성된다.
프레임(10)은 양측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가이드(11)를 구비하므로서 T홈(12)이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고, 바닥면부(20a)에는 슬라이더(20)의 이동을 위한 슬라이더(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13) 일측에는 록킹을 위한 다수의 걸림홈공(14)이 등간격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20)는 크게 구분하여 슬라이더카바(21)와 슬라이더 가이드(24) 및 슬라이더 플레이트(25)를 구비한다.
슬라이더 카바(21)는 결합 리브(21a) 및 홈부(30a)에 의해 프레임카바(30)의 결합공(31)에 조립되도록 설치되고, 너트 관통공(21b) 및 일측에 버튼공(21c)을 구비하고 있으며, 하부에는 지지리브체(21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버튼공(21c)에 위치하여 누를 수 있도록 설치되는 버튼(22)는 리턴 스프링(23)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도도록 슬라이더 가이드(24)에 설치된다. 버튼(22)과 슬라이더 가이드(24)에 설치된다. 버튼(22)과 슬라이더 가이드(24)에서 부호 22a와 24a는 리턴 스프링(23)을 지지하는 지지리브이고, 24b는 버튼(22)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이며, 하부에 지지리브체(21b)가 관통되는 구멍(24g)을 가지고 있다.
버튼(22)에 슬라이더 가이드(24)의 장공(24c)를 관통하는 로크핀(27)이 핀결합공(22b)이 억지끼움 되도록 설치된다.
장공(24c)하측에 너트관통공(24b)을 구비하는 슬라이더 가이드(24)는 슬라이더 카바(21)에 결합되고, 슬라이더 가이드(24)에는 장공(25a)과 너트결합공(25b)을 가진 슬라이더 프레이트(25)가 결합리브(24e)에 의해 조립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24) 및 슬라이더 플레이트(25)의 장공(24c)(25a)에는 핀가이드(26)의 결합부(26a)가 삽입되도록 결합하므로서 로크핀(27)이 가이드 장공(26b)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슬라이더 플레이트(25)의 너트 결합공(25b)에는 너트(28)가 억지끼움 결합되어 너트 관통공(21b)(24b)을 통과하는 구조를 이루게 되며, 하부의 구명(25c)을 통해 지지리브체(21d)가 관통하여 프레임(10)이 바닥면부(10a)에 면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더 가이드(24)의 사변 모서리부에 각각 구비하는 가이드돌부(24f)는 프레임(10)의 T홈(12)에 결합되어 타이트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인(10)과 슬라이더(20)의 조립을 제1도 및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프레임(10)은 고정볼트(1)에 의해 차체(미도시)에 설치된다. 다음 프레임(10)에 슬라이더(20)가 조립되는데, 이 슬라이더 가이드(24)의 가이드돌부(24f)가 T홈(12)내로 삽입되도록 조립시키게 된다. 그리고 너트(28)에 좌석벨트(40)가 연결되는 디림(D-RING)(41)이 체결되도록 조립시키므로서 조립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슬라이더(20)의 슬라이더 가이드(24)는 프레임(10)의 양측 가이드(11) 사이에 조립되어 상, 하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안내되게 되고, T홈(12)내에서는 가이드돌부(24f)가 이동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슬라이더(20)는 불필요한 유동됨이 없이 타이트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도모된다.
다음,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 장치는 평상시에 로크핀(27)이 프레임(10)이 걸림홈공(14)에 삽입되어 걸림되어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좌석벨트(40)의 인출지점, 즉 디링(41)이 위치하는 지점을 변위시키는 높이 조절을 하려고 할때에는 버튼(22)을 측방향으로 누른다.
버튼(22)을 누르게 되면, 핀가이드(26)의 가이드장공(26b)내에서 로크핀(27)이 수평방향, 즉 제4도 및 제5도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로크핀(27)이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이때는 걸림흠공(14)에 록킹되어 있던 로크핀(27)이 그로부터 이탈되게 되어 슬라이드공(13)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싱기와 같이 슬라이드공(13)에 로크핀(27)이 위치하는 상태는 록킹이 해지되는 상태로서, 슬라이더(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20)를 비롯하여 프레임카바(30) 전체을 움직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서 디링(41)이 위치하는 좌석벨트의 인출점 높낮이를 조절하게되는 것이며, 아울러서 조절이 끝나면 누르고 있던 버튼(22)의 누름력을 제거한다. 즉, 누르고 있던 손가락을 버튼(22)으로부터 놓게되면 버튼(22)은 리턴 스프링(23)의 탄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이동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드공(13)에서 위치 이동된 상태의 로크핀(27)은 버튼(22)과 연결된 상태이므로 버튼(22) 이동에 의해 걸림홈공(14)으로 로크핀(27)이 삽입되게 되어 록킹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크핀(27)에 의한 록킹 및 해지 동작은 로크핀(27)이 슬라이드공(13)과 걸림홈공(14)내에서 수평방향(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것은 로크핀(27)이 프레임(1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어 빠지거나 삽입되는 것이 아니므로 동작에 있어 로크핀(27)이 프레임(10)과의 마찰을 일으키지 않게 되게 되므로서 그러한 종전의 장치보다는 원활한 동작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로크핀(27)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동작되는 구조를 이루므로서 비료적 단순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장치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게 하므로 동작 구조에 있어서의 내구성 증대를 도모하게 할 수 있으며, 조립공수 절감에 따른 원가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8)

  1. 프레임의 가이드와 T홈에 안내되어 프레임카바와 결합되는 슬라이더 가이드 및 슬라이더 플레이트와 너트를 구비하는 슬라이더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슬라이더에 버튼과 로크핀을 구비하여 플레임과 록킹 및 해지되도록 동작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로크핀이 이동되는 슬라이드공과 록킹되는 걸림홈이 다수 연통되도록 등간격적으로 바닥면부에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리턴 스프링에 의해 누름반대 방향으로 탄력이 작용되도록 설치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결합되는 로크핀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프레임의 걸림홈으로 록킹되고 슬라이드공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작되는 로크핀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좌석벨트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과 리턴 스프링이 슬라이더 카바에 의해 이탈 방지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좌석벨트의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카바의 일측에 버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버튼공을 형성하고 하부에 너트 관통공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좌석벨트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에 장공과 너트관통공을 구비하게 하고 장공 양측에는 버튼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좌석벨트 인출점 높이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의 사변 모서리부에 프레임의 T홈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돌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좌석벨트의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와 슬라이더 플레이트의 장공에 핀가이드의 결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좌석벨트의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
  7. 제1항과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핀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핀가이드에 가이드장공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좌석벨트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의 양측면부가 프레임의 가이드와 면접되어 이동 안내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좌석벨트의 인출점 높이 장치.
KR1019960009788A 1996-04-01 1996-04-01 자동차의 좌석벨트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 KR0163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788A KR0163492B1 (ko) 1996-04-01 1996-04-01 자동차의 좌석벨트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788A KR0163492B1 (ko) 1996-04-01 1996-04-01 자동차의 좌석벨트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657A KR970069657A (ko) 1997-11-07
KR0163492B1 true KR0163492B1 (ko) 1998-12-15

Family

ID=1945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9788A KR0163492B1 (ko) 1996-04-01 1996-04-01 자동차의 좌석벨트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3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3566B2 (en) 2014-09-05 2017-05-09 Hyundai Motor Company Height adjuster of seat belt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3566B2 (en) 2014-09-05 2017-05-09 Hyundai Motor Company Height adjuster of seat belt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657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7412B1 (ko) 자동차시트슬라이드장치
KR200357471Y1 (ko) 자동차용 시트로킹장치의 로크가이드
US4733882A (en) Push rod for baby carriage
US4232433A (en) Seat belt buckle device
KR102271593B1 (ko) 이동 안내 장치 및 홈 차폐 유닛
US9346433B2 (en) Buckle apparatus for seat belt
KR20130081199A (ko) 차일드 시트
US11667219B2 (en) Child safety seat
US4797984A (en) Seat belt buckle
US4677716A (en) Buckle in particular for a safety belt
KR0163492B1 (ko) 자동차의 좌석벨트 인출점 높이 조절장치
US4391023A (en) Buckle arrangement for seat belts
US4945614A (en) Buckle assembly
US4450604A (en) Buckle for seat belt
KR910008165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벨트반환부재 위치조절장치
US6385823B1 (en) Buckle with noise prevention mechanism
KR100285046B1 (ko) 시트 벨트 체결장치
US4335491A (en) Belt-lock for a safety belt
JP2501496B2 (ja) レ―ルへの取付装置
KR100323844B1 (ko) 시트 벨트 체결장치
US4848796A (en)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strap return element of a vehicle safety belt
US11235683B2 (en) Vehicle seat slide apparatus
KR100271954B1 (ko)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
US20210309126A1 (en) Vehicle seat slide apparatus
CN220777710U (zh) 一种防抖动支撑臂及阅读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