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640B1 - 잎새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잎새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640B1
KR101973640B1 KR1020120137895A KR20120137895A KR101973640B1 KR 101973640 B1 KR101973640 B1 KR 101973640B1 KR 1020120137895 A KR1020120137895 A KR 1020120137895A KR 20120137895 A KR20120137895 A KR 20120137895A KR 101973640 B1 KR101973640 B1 KR 101973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accharide
composition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molecul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3631A (ko
Inventor
진유진
신보현
김영소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137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64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3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분자량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잎새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잎새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GRIFOLA FRONDOSA FRUIT BODY}
본 발명은 특정 분자량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잎새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분류학적으로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Aphyllphorales),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잎새버섯속(Grifola)에 속하는 버섯으로 여름과 가을에 참나무류, 활엽수류 생입목, 고사목의 지제부나 뿌리 주변에 다발로 발생하며, 한국, 일본, 유럽, 미국 등에 분포하는 백색부후균이다. 잎새버섯은 식용이면서 약리작용이 뛰어난 기능성 버섯으로 인체의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종양 억제율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잎새버섯은 또한 면역에 관여하는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및 대식세포(macrophage)의 활성을 상승시켜 암을 저해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 범위의 분자량을 가지는 다당류를 포함하는 잎새버섯의 자실체의 추출물이 항암 외에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043800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잎새버섯 자실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잎새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상기 추출물은 2,000 내지 10,000 Da 분자량을 가지는 다당류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엘라스타아제를 활성화시키고 콜라게나아제(MMP-1) 저해하여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할 수 있어서, 피부 탄력 향상 및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를 가지므로 항노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고 피부장벽 기능을 회복시켜서 피부 보습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항균력을 가지고 지질합성(Lipogenesis)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개선 효과가 있고, 가려움을 완화시키면서도 자극이 없어서 유용하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잎새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상기 추출물은 2,000 내지 10,000 Da 분자량을 가지는 다당류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분류학적으로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Aphyllphorales),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잎새버섯속(Grifola)에 속하는 버섯으로 여름과 가을에 참나무류, 활엽수류 생입목, 고사목의 지제부나 뿌리 주변에 다발로 발생하며, 한국, 일본, 유럽, 미국 등에 분포하는 백색부후균이다.
본 명세서에서 "자실체"는 포자낭의 집합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버섯은 균사체와 자실체로 이루어져 있는데, 균사체는 버섯의 뿌리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고 자실체는 눈에 보이는 갓과 대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잎새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은 추출과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세척하고 건조시킨 잎새버섯 자실체 또는 이를 세말화한 잎새버섯 자실체 가루를 물 또는 유기용매에 넣고 추출하여 침적시킨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잎새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원료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30~70% 농도의 에탄올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은 이후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상온에서 냉침, 가열 및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용매를 증발,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의 분자량이 2,000 Da 미만이면 특유의 구조적 특징이 사라져 충분한 효능을 나타내기 어렵고, 10,000 Da을 초과하면 피부 투과율이 떨어져서 충분한 효능을 발휘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다당류의 분자량은 2,200 내지 9,800, 2,400 내지 9,600, 2,600 내지 9,400, 2,800 내지 9,200, 3,000 내지 9,000, 3,200 내지 8,800 또는 3,400 내지 8,600 D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β-1,3-글루칸(β-1,3-glucan) 및 β-1,6-글루칸(β-1,6-gluca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버섯 다당체의 구조가 1,3-β-D-글루코스의 주쇄에 1,6-β-D-글루코스의 측쇄 구조인 반면, 잎새버섯의 다당체는 일반적인 구조와 더불어 1,6-β-D-글루코스의 주쇄에 1,3-β-D-글루코스의 측쇄 구조가 혼재되어 있는 형태이며, 잎새 버섯이 나타내는 효능은 이와 같은 잎새버섯 다당체의 특이 구조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β-글루칸(β-glucan)"은 포도당(glucose)을 구성단위로 포함하는 다당류로, 이를 구성하는 단당류인 포도당은 β-글리코시딕 결합 (β-glycosidic bonds)로 결합되어 있다. β-글루칸(β-glucan)을 구성하는 단당류의 구조는 다음 화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2099518795-pat00001
본 명세서에서 "β-1,3-글루칸(β-1,3-glucan)"은 β-글루칸이 1,3-글리코시딕 결합 (1,3-glycosidic bonds)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의미하고, "β-1,6-글루칸(β-1,6-glucan)"은 β-글루칸이 1,6-글리코시딕 결합 (1,6-glycosidic bonds)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음 화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12099518795-pat00002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포도당(glucose)의 복합체(polymer)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다당류는 화학식 1의 단당류들을 β-1,3-글리코시딕 결합 (1,3-glycosidic bonds) 또는 β-1,6-글리코시딕 결합 (1,6-glycosidic bonds)으로 연결한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β-1,3-글리코시딕 결합 (1,3-glycosidic bonds) 및 β-1,6-글리코시딕 결합 (1,6-glycosidic bonds)으로 연결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음 화학식 3-5와 같다.
Figure 112012099518795-pat00003

Figure 112012099518795-pat00004
Figure 112012099518795-pat00005
Figure 112012099518795-pat00006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의 다당류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다당류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항노화, 보습, 항균 및 항염증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하면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9.5중량%, 0.01~9중량%, 0.03~8.5중량%, 0.05~8중량%, 0.07~7.5중량%, 0.09~7중량%, 0.1~6.5중량%, 0.3~6중량%, 0.5~5.5중량% 또는 0.7~5중량%의 다당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잎새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항노화'란 당업계에 알려진 노화 과정을 늦추거나 막거나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효능을 말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피부 내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거나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거나 또는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주름을 개선시키는 효능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거나 또는 피부 주름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잎새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시키고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유도시켜서 피부의 수분을 증가킴에 따라 촉촉한 피부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상기 조성물은 표피 분화의 불완전함으로 생기는 피부건조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건선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잎새버섯 자실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상기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여드름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력을 보인다. 그러므로 상기 조성물은 여드름의 치료 및 완화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균은 여드름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콩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고,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어서, 항염증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프로스타글란딘 또는 인터루킨의 발현을 억제 또는 저해시키거나 또는 프로스타글란딘 또는 인터루킨의 활성을 억제 또는 저해시킴에 따라 항알러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추출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항노화, 보습, 항균 및 항염증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하면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9.5중량%, 0.01~9중량%, 0.03~8.5중량%, 0.05~8중량%, 0.07~7.5중량%, 0.09~7중량%, 0.1~6.5중량%, 0.3~6중량%, 0.5~5.5중량% 또는 0.7~5중량%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화장료의 형태로 제형화 할 경우,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또는 팩 등의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식품 첨가제 또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효유, 치즈, 요구르트, 주스, 생균제제, 정제, 과립제, 드링크제, 캐러멜, 다이어트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고, 통상적인 차 잎 형태나 티백 및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해초 엑기스 등의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01~3 중량%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타블렛, 분말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단순 음용, 주사 투여, 스프레이 방식 또는 스퀴즈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서는 정제, 환제, 과립제,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패ㅊ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은 투여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1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 mg/kg/일 내지 5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험예 1]
1. 잎새버섯 다당체의 추출
잎새버섯 자실체 또는 자실체 배양액으로부터 국내 특허출원 제2001-0062648호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다당체를 추출하였다. 잎새버섯 다당체는 건조한 잎새버섯 자실체를 분쇄하여 분말 상태로 제조한 후 80℃의 증류수에 침지하여 다당체 성분을 용해한 다음, 여과용 부직포를 이용하여 용해되지 않은 부분과 불순물을 제거하고, 제조된 용액을 자연건조하거나 동결건조하여 파우더 또는 스펀지 상의 다당체 고형분을 얻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2. 다당체의 가수분해 실시
추출한 잎새버섯 다당체를 증류수,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용액 등과 같은 적절한 용매에 용해하여 용액을 제조한 후, 산에 의한 가수분해 및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를 실시하였다.
1N HCl에 잎새버섯 다당체를 10%(w/v)의 농도로 용해시킨 후, 100?에서 3시간 동안 가수분해를 실시하여 산에 의한 가수분해를 진행하였다. 가수분해 종료를 위해 0.2N의 NaOH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으로 중화시켰다.
아울러, 잎새버섯 다당체를 1%(w/v)의 농도로 0.2M의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용액(pH 5.0)에 용해시킨 후, 베타-글루카나제를 20U/ml의 농도로 투입하고 50?에서 2시간 동안 반응하여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를 실시하였다. 온도를 낮추어 가수분해를 종료하였다.
3. 다당체의 여과
상기 방법으로 가수분해된 잎새버섯 다당체를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특정 분자량을 가지는 다당체만을 선별하였다.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 membrane)을 이용한 여과는 크로스플로우(Cross flow) 방식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잎새버섯 다당체의 가수분해물 용액에 압력을 가하여 분획분자량(MWCO) 10,000의 한외여과막을 통과시키고 여과된 용액을 회수하였다. 그 다음, 회수된 여과액(분자량 10,000 이하)을 동일한 장치와 방법으로 분획분자량 2,000의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통과시켜서 막을 통과한 여과액은 폐기하고 여과되지 않은 액은 다시 회수함으로써 분자량의 범위가 2,000 내지 10,000인 잎새버섯 다당체만을 선별하였다.
[ 참고예 1] 저분자량 잎새버섯 다당체의 제조
건조한 잎새버섯 자실체를 분쇄하여 분말 상태로 제조한 후 80℃의 증류수에 침지하여 다당체 성분을 용해하고, 여과용 부직포를 이용하여 용해되지 않은 부분과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제조된 용액을 자연건조하거나 동결건조하여 파우더 상의 다당체 고형분을 얻었다.
얻은 다당체 고형분을 1%(w/v)의 농도로 0.2M의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용액(pH 5.0)에 용해하였다. 이후 베타-글루카나제를 20U/ml의 농도로 투입하고 50?에서 2시간 동안 반응하여 가수분해를 실시하였다. 가수분해는 온도를 낮춤으로써 종료시켰다.
가수분해된 용액을 도 1과 같이 크로스플로우 방식으로 한외여과막을 단계별로 통과시켜 2,000~10,000Da 범위의 분자량을 가지는 다당체를 수득하였다. 우선 분획분자량 10,000Da의 한외여과막을 통과시켜 분자량 10,000Da 이하의 다당체 용액을 얻은 후 이를 다시 분획분자량 2,000Da의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반복하여 투과시켰다. 이때 투과된 용액은 2,000Da 이하의 분자량을 지니는 다당체를 포함하는 것이므로 투과되지 않고 남은 부분을 수득하여 2,000~10,000Da 분자량을 지니는 다당체를 함유한 용액을 얻었다.
(함량: 중량%)
성분(INCI 명칭)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78.0 78.0 78.0 79.0 78.0 78.0
1,3 부틸렌글리콜 -20.9 20.9 20.9 20.9 20.9 20.9
잎새버섯 다당체(MW 1,000) - - - - 1.0 -
잎새버섯 다당체(MW 2,000) 1.0 - - - - -
잎새버섯 다당체(MW 5,000) - 1.0 - - - -
잎새버섯 다당체(MW 10,000) - - 1.0 - - -
잎새버섯 다당체(MW 12,000) - - - - - 1.0
페녹시에탄올 0.1 0.1 0.1 0.1 0.1 0.1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 시험예 1]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 효능 측정
분자량에 따른 잎새버섯 다당체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능을 EGCG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사용된 엘라스타아제와 기질은 미국 시그마알드리치 사로부터 상업적으로 구매하였다
EGCG 250μM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인 비처리군은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작용의 계산방법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으며,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99518795-pat00007
A: 시험물질 무첨가, 효소 첨가에서의 파장 415 ㎚에 있어서의 흡광도
B: 시험물질 무첨가, 효소 무첨가에서의 파장 415 ㎚에 있어서의 흡광도
C: 시험물질 첨가, 효소 첨가에서의 파장 415 ㎚에 있어서의 흡광도
D: 시험물질 첨가, 효소 무첨가에서의 파장 415 ㎚에 있어서의 흡광도
화합물 억제정도(%)
비처리군 0
EGCG 65
실시예 1 38
실시예 2 45
실시예 3 58
비교예 1 6
비교예 2 13
비교예 3 25
잎새버섯 다당체의 분자량이 2,000~10,000Da에 해당하는 실시예 1~3을 처리한 경우가 분자량이 큰 경우와 동등한 저해 효능을 나타내지는 못하지만 분자량이 상기 범위보다 낮은 비교예 2와 비교하여서는 상당할만한 수준의 저해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분자량 범위의 잎새버섯 다당체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EGCG 대비 47~80%의 효능을 나타내었다.
[ 시험예 2] 콜라게나아제 ( MMP -1) 저해능
잎새버섯 다당체의 콜라게나아제 생성 저해능을 레티노익산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콜라게나아제 측정기구(미국 아머샴파마샤 사, Catalog #: RPN 2610)를 이용하여 채취한 세포배양액의 콜라게나아제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노란색을 띠는 96-공 평판(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콜라게나아제의 합성 정도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채취한 세포 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Figure 112012099518795-pat00008
화합물 발현정도(%)
비처리군 100
레티노익산 75
실시예 1 73
실시예 2 76
실시예 3 75
비교예 1 35
비교예 2 45
비교예 3 52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잎새버섯 다당체는 기질 메탈로 프로테아제(MMP-1)를 저해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3]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인체 섬유아세포를 배양한 후,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이 각각 포함된 배지로 교체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비처리군을 사용하였다. 하기 수학식 3에 의거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에 대해 콜라겐 생합성 값(RCB; Relative Collagen Biosynthesis)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99518795-pat00009
화합물 발현정도(%)
비처리군 100
실시예 1 125
실시예 2 150
실시예 3 167
비교예 1 87
비교예 2 90
비교예 3 95
잎새버섯 다당체는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진피층의 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의 주름을 예방하고 피부 활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배합성분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 비교제형예 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1 5.00 - - - - -
실시예 2 - 5.00 - - - -
실시예 3 - - 5.00 - - -
비교예 1 - - - 5.00 - -
비교예 2 - - - - 5.00 -
비교예 3 - - - - - 5.00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1.50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0.60 0.60 0.60 0.6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스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0 1.00 1.00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1.50
카프릴릭/카르릭 트리 글리세라이드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사이클로메디콘 6.00 6.00 6.00 6.00 6.00 6.00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트리에탄올 아민 0.1 0.1 0.1 0.1 0.1 0.1
[ 시험예 4] 피부 탄력 향상 효능 확인
사람에서의 피부 탄력 향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30~40대의 건강한 여성 60명을 각각 제형예 1~3과 비교제형예 1~3의 6개 군에 대해 10명씩 6조로 나누어 영양크림을 매일 1회씩 12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한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실험제품 피부탄력효과
제형예 1 0.20
제형예 2 0.31
제형예 3 0.36
비교제형예 1 0.07
비교제형예 2 0.11
비교제형예 3 0.13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잎새버섯 다당체가 함유된 제형예 1~3 및 비교제형예 2~3은 잎새버섯 다당체가 함유되지 않은 비교제형예 1을 도포한 군에 비하여 피부 탄력성이 더 증가되었다. 또한, 제형예 1~3을 도포한 군은 앞선 결과와 유사하게 비교제형예 2와 비교하여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한 시험예 1~3의 결과에서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분자량이 12,000Da인 잎새버섯 다당체는 사람 피부에 적용시 피부 투과율이 떨어져서 충분한 효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자량을 조정한 잎새버섯 다당체는 성분 자체는 분자량이 큰 경우보다 효능이 떨어지더라도 피부 투과율이 높아 사람 피부에 제형을 적용시 결과적으로 보다 높은 효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잎새버섯 다당체는 피부 탄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4] 피부 주름 개선 효능 확인
40대의 건강한 여성 60명을 각각 제형예 1~3과 비교제형예 1~3의 6개 군에 대해 10명씩 6조로 나누어 영양크림을 매일 1회씩 12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한 후, 실리콘을 이용하여 레플리카를 떠서 주름의 상태를 피부측정기(visiometer, SV60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로 측정하여 화상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사용 8주 후
임상 결과
R1 R2 R3 R4 R5
제형예 1 0.16 0.15 0.12 0.02 0.02
제형예 2 0.15 0.13 0.09 0.01 0.01
제형예 3 0.14 0.13 0.08 0.01 0.01
비교제형예 1 0.28 0.25 0.22 0.04 0.03
비교제형예 2 0.25 0.19 0.19 0.03 0.02
비교제형예 3 0.21 0.18 0.17 0.02 0.02
R1 : 주름 등고선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값
R2 : 주름 등고선을 임의로 5칸씩 나눈 후 그 중 R1값 들의 평균
R3 : 5개씩 나눈 R1값 중 최고 값
R4 : 주름 등고선의 베이스라인(baseline)에서 각 각의 꼭대기와 계곡의 값을 뺀 평균값
R5 : 주름 등고선의 베이스라인(baseline)에서 각 각의 주름 윤곽을 뺀 값의 차이 값
상기 표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형예 1~3의 외용제 조성물이 비교제형예 1~2의 외용제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보다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또한, 분자량이 12,000Da인 잎새버섯 다당체를 함유하는 비교제형예 3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서도 본 발명에 따른 제형예 1~3이 이와 유사하거나 보다 높은 주름 개선 효능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작은 분자량의 잎새버섯 다당체에 비하여 12,000Da인 잎새버섯 다당체의 피부 투과율이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시험예 5] 피부 보습력 증가 효과 측정
건조 피부로 분류된 40~50대 성인 남녀 60명을 각각 제형예 1~3 및 비교제형예 1~3의 6개 군에 대해 10명씩 6조로 나누어 영양크림을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1주, 2주, 4주 경과한 시점, 그리고 도포를 중지한 2주 경과(총 6주 경과) 후에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에서 피부수분량측정기(Corneometer CM825, C+K Electronic Co., 독일)로 피부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시험군 수분 증가율 (%)
1주 경과 2주 경과 4주 경과 6주 경과
제형예 1 31 33 35 28
제형예 2 31 34 33 29
제형예 3 32 34 35 30
비교제형예 1 30 29 30 17
비교제형예 2 31 30 29 20
비교제형예 3 32 30 31 23
상기 표 8의 결과를 보면, 제형예 1~3 및 비교제형예 2~3을 도포한 경우 비교제형예 1을 도포한 경우에 비하여 피부수분 증가율이 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분자량이 작은 비교제형예 2및 분자량이 높은 비교제형예3과 비교하여 도포 중에는 비슷하였지만 도포 중단 후 2주가 경과한 6주째에는 제형예 1~3의 경우가 더 우수한 피부 보습력 효과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6]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 효과 측정
분자량에 따른 잎새버섯 다당체의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시 생성되는 CE(Cornified Envelop)양을 흡광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신생아의 표피로부터 분리해 일차 배양한 사람의 각질형성세포를 배양하였다. 이때, 저칼슘(0.03mM) 처리군과 고칼슘(1.2mM) 처리군을 각각 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세포 분화정도 평가시 기준으로 삼았다.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분화능(%)
저칼슘(0.03mM) 용액
(음성 대조군)
100
고칼슘(1.2mM) 용액
(양성 대조군)
210
실시예 1 255
실시예 2 263
실시예 3 277
비교예 1 102
비교예 2 203
비교예 3 213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3 및 비교예 2~3을 도포한 경우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을 처리한 경우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시예 3의 경우 분자량이 높은 비교예 3을 처리한 경우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7] 피부 장벽기능 회복 효과 측정
성인 남녀 10명의 상박을 테이프 스트립핑(Tape Stripping) 방법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에 손상을 주고 각각 하기 표 10의 조성으로 제조한 제형예 4~6 및 비교제형예 4~7의 7개 군을 도포하면서 7일 동안 하루에 한번씩 경피수분손실량(TWEL)의 회복 정도를 Vapometer(Delfin, 핀란드)로 측정 비교하였다
배합성분 제형예 4 제형예 5 제형예 6 비교제형예 4 비교제형예 5 비교제형예 6 비교제형예 7
정제수 65 65 65 65 65 65 7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30
실시예 1 5 - - - - - -
실시예 2 - 5 - - - - -
실시예 3 - - 5 - - - -
비교예 1 - - - 5 - - -
비교예 2 - - - - 5 - -
비교예 3 - - - - - 5 -
시험군 TWEL 변화 (%)
처리전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제형예 4 100 117 119 108 107 104 105
제형예 5 100 119 122 117 112 109 106
제형예 6 100 115 109 117 110 108 107
비교제형예 4 100 112 113 97 73 57 46
비교제형예 5 100 111 101 100 98 91 88
비교제형예 6 100 113 103 101 98 95 92
비교제형예 7 100 108 101 96 69 53 37
잎새버섯 다당체를 함유한 제형예 4~6을 처리한 경우에는 빠른 속도로 경피 수분 손실량이 정상으로 돌아오면서 장벽 손상이 회복됨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제형예 7 제형예 8 제형예 9 비교제형예 8 비교제형예 9 비교제형예 10 비교제형예 11 비교제형예 12
A 탈이온수(Deionized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5.0
B 에탄올 2.0 2.0 2.0 2.0 2.0 2.0 2.0 2.0
PEG-60 경화 피마자유
(hydrogenated castor oil)
0.4 0.4 0.4 0.4 0.4 0.4 0.4 0.4
향료(perfume)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C 실시예 1 5.0 - - - - - - -
실시예 2 - 5.0 - - - - - -
실시예 3 - - 5.0 - - - - -
비교예 1 - - - 5.0 - - - -
비교예 2 - - - - 5.0 - - -
비교예 3 - - - - - 5.0 - -
에리스롬마이신 - - - - - - - 5.0
[ 시험예 8]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제형예 7~9 및 비교제형예 8~12의 조성으로 제조된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가지고 여드름 원인 균주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ATCC 6919: 배지-BHI 브로쓰(broth))에 대하여 항균력을 시험하였다.
항목 pH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제형예 7 5.7 > 50 ppm
제형예 8 5.7 > 50 ppm
제형예 9 5.7 > 50 ppm
비교제형예 8 5.7 최고 농도(항균력 없음)
비교제형예 9 5.7 > 50 ppm
비교제형예 10 5.7 > 50 ppm
비교제형예 11 5.7 최고 농도(항균력 없음)
비교제형예 12 5.7 > 100ppm
MIC에서 ppm 농도가 작을수록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에 대하여 유효한 물질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제형예 7~9 및 비교제형예 9~10의 경우 ppm농도가 작게 나왔으며, 특히 제형예 7~9의 경우 공지의 여드름 치료제인 에리스롬마이신을 사용한 비교제형예 12보다 ppm 농도가 현저하게 작게 나와 잎새버섯 다당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시험균에 대하여 훨씬 우수한 항균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9] 지질합성( Lipogenesis ) 억제 시험
생쥐의 섬유아세포주(fibroblast cell line)인 3T3-L1 세포를 배양하였다.
상기에서 분화가 완료된 3T3-L1 지방세포를 이용하여 수단 III 염색(S4136, sigma-aldrich)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시험물질이나 비교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만을 사용한 것이고, 다른 비교군으로 카페인 50μM을 처리하였다. 지방 축적 억제 정도는 염색된 정도를 +++, ++, +, -로 나누어 등급을 부여하였으며, 이때 +++로 갈수록 염색 정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시료 저해율%
대조군 +++
비교군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상기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잎새버섯 다당체는 지방세포 내 축적된 지방의 양이 적어 지질합성 저해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잎새버섯 다당체인 실시예 1~3의 경우에는 공지된 지질합성 저해 물질인 카페인 보다도 우수한 지질합성 저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10] 여드름 개선과 피지분비 감소 및 자극 유무의 시험
여드름을 보유하고 있는 80명을 10명씩 8개 군으로 나누고 각각의 군에 해당하는 피험자에게 상기 제형예 7~9 및 비교제형예 8~12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한 달간 사용하게 하였다. 여드름 개선 척도는 1점에서 5점까지로 하고, 1점은 '아니다', 3점은 '보통이다', 5점은 '매우 그렇다'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15에 10명의 평균점수로 표기하였다.
염증성 여드름 개선 면포성 여드름 소멸시기 여드름 재발 피지분비 감소 자극 유무
제형예 7 2.8 4일 2.3 0/10
제형예 8 3.8 3일 2.4 0/10
제형예 9 3.7 3일 2.2 0/10
비교제형예 8 1.7 11일 1.7 0/10
비교제형예 9 2.5 5일 2.0 1/10
비교제형예 10 2.7 7일 2.1 0/10
비교제형예 11 1.5 13일 2.0 0/10
비교제형예 12 4.2 2일 4.1 9/10
상기 표 15에 나타내 바와 같이, 잎새버섯 다당체를 함유한 제형예 7~9 및 비교제형예 9~10을 사용한 경우에는 비교제형예 8 및 비교제형예 11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여드름이 재발되지 않았고, 전반적으로 여드름 개선에 대해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제형예 7~9의 경우에는 매우 뛰어난 여드름 개선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항균력 표준물질을 함유한 비교제형예 12의 경우에는 여드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사용함에 있어 피부자극이 강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적당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자극이 없어 장기간의 사용에도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시험예 11] 염증 개선 효과
1.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 억제 효과
항염증 효과를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 억제 효과로 평가하였다. 잎새버섯 다당체를 이용하여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때, 잎새버섯 다당체의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 활성은 LPS를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각각 생성된 프로스타글란딘의 차이를 100%로 설정하고, LPS와 시료를 함께 처리하여 감소된 프로스타글란딘의 백분율을 통하여 대조군과 비교,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 효과)를 하기 표 16에 나타내었다.
블랭크(Blank) 100%
대조군(아스피린 처리군) 25.0%
실시예 1 23.4%
실시예 2 22.8%
실시예 3 24.1%
비교예 1 0.3%
비교예 2 15.7%
비교예 3 19.1%
상기 표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잎새버섯 다당체를 함유한 실시예 1~3 및 비교예 2~3을 처리한 경우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효과가 높으며, 특히 실시예 1~3을 처리한 경우 아스피린으로 처리한 대조군과 같이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효과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잎새버섯 다당체는 우수한 염증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잎새버섯 다당체는 피부 염증 인자인 프로스타글란딘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 IL-8 생성 억제 효과
실험 하루 전 피부 각화상피세포(Normal human skin keratinocyte, NHEK, 입수처: Lonza)를 배양하였다.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인터류킨-8(Interleukin-8, IL-8)에 대한 ELISA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7에 나타내었다. ELISA는 제조회사(BD science)의 실험 방법을 이용하였다.
구분 IL-8 분비(pg/㎖)
무처리 대조군(Control) 935.12
PGSA(10㎍/㎖) 4812.60
PGSA(50㎍/㎖) 5895.08
PGSA(50㎍/㎖)+LPS(1㎍/㎖) 6814.91
실시예 1 1131.23
실시예 2 998.78
실시예 3 1007.44
비교예 1 1454.13
비교예 2 1223.76
비교예 3 1234.29
상기 표 17에서 잎새버섯 다당체가 PGSA와 LPS에 의해 증가한 IL-8의 분비를 감소 및 억제시키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잎새버섯 다당체인 실시예 1~3을 처리한 경우 IL-8 분비가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PGSA와 LPS에 의해 증가한 IL-8의 분비를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12] 가려움 완화 평가
실험 하루 전 각질형성세포(세포주명: HaCaT 입수처: ATCC)를 배양하였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과 2U/ml 트립신(Trypsin) 또는 5μM PAR-2 활성 펩타이드(SLIGKV) 처리 후 80초간의 플렉스(flex)를 측정하여 얻어낸 값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를 구한 후, 그 값을 2U/ml 트립신 또는 5μM PAR-2 활성 펩타이드(SLIGKV) 처리 시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와 비교하여 칼슘 이온들의 세포 내 유입에 대한 억제율(%)을 하기 표 18에 나타내었다.
처리물질 칼슘 이온들의 세포 내 유입에 대한 억제율(%)
트립신(2U/ml) PAR-2 활성 펩타이드(5μM)
실시예 1 34% 40%
실시예 2 41% 43%
실시예 3 37% 42%
비교예 1 0% 2%
비교예 2 23% 27%
비교예 3 25% 31%
상기 표 18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또는 PAR-2 활성 펩타이드(SLIGKV)에 의한 세포 내 칼슘 이온들의 유입이 잎새버섯 다당체의 처리에 따라 감소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잎새버섯 다당체인 실시예 1~3을 처리한 경우 세포 내 칼슘 이온들의 유입이 현저하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잎새버섯 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가려움을 유발시키는 PAR-2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소양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 예를 설명하나,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연질캅셀제
2,000 내지 10,000 Da 분자량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잎새버섯 자실체 300 mg, 팜유 2 mg, 팜경화유 8 mg, 황납 4 mg 및 레시틴 6 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캡슐당 400 mg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
2,000 내지 10,000 Da 분자량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잎새버섯 자실체 300 m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전분 96 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제제예 3] 과립제
2,000 내지 10,000 Da 분자량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잎새버섯 자실체 300 m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및 전분 600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포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1 g으로 하였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2,000 내지 10,000 Da 분자량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잎새버섯 자실체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2,000 내지 10,000 Da 분자량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잎새버섯 자실체 0.5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영양크림
배합 성분 함량(중량%)
2,000 내지 10,000 Da 분자량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잎새버섯 자실체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마사지 크림
배합 성분 함량(중량%)
2,000 내지 10,000 Da 분자량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잎새버섯 자실체 1.5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바세린 3.0
파라핀 1.5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팩
배합 성분 함량(중량%)
2,000 내지 10,000 Da 분자량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잎새버섯 자실체 0.1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노닐 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에탄올 방부제 6.0적량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6] 연고
배합 성분 함량(중량%)
2,000 내지 10,000 Da 분자량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잎새버섯 자실체 0.1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잎새버섯 자실체의 다당체 가수분해물을 포함하고, 상기 다당체는 2,000 내지 10,000 Da 분자량을 가지는 다당류인, 화장료 조성물.
  2. 잎새버섯 자실체의 다당체 가수분해물을 포함하고, 상기 다당체는 2,000 내지 10,000 Da 분자량을 가지는 다당류인, 건강식품 조성물.
  3. 잎새버섯 자실체의 다당체 가수분해물을 포함하고, 상기 다당체는 2,000 내지 10,000 Da 분자량을 가지는 다당류인, 항균용 약학 조성물.
  4. 잎새버섯 자실체의 다당체 가수분해물을 포함하고, 상기 다당체는 2,000 내지 10,000 Da 분자량을 가지는 다당류인,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5. 잎새버섯 자실체의 다당체 가수분해물을 포함하고, 상기 다당체는 2,000 내지 10,000 Da 분자량을 가지는 다당류인, 비만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β-1,3-글루칸(β-1,3-glucan) 및 β-1,6-글루칸(β-1,6-gluca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조성물.
  8.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항노화용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거나 또는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조성물.
  10.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보습용인, 조성물.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균은 여드름균인, 조성물.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인,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4. 삭제
KR1020120137895A 2012-11-30 2012-11-30 잎새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73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895A KR101973640B1 (ko) 2012-11-30 2012-11-30 잎새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895A KR101973640B1 (ko) 2012-11-30 2012-11-30 잎새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631A KR20140073631A (ko) 2014-06-17
KR101973640B1 true KR101973640B1 (ko) 2019-04-30

Family

ID=5112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895A KR101973640B1 (ko) 2012-11-30 2012-11-30 잎새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6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550A2 (ko) * 2017-09-19 2019-03-28 주식회사 큐젠바이오텍 체지방 감소 보조제 및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59502B1 (ko) * 2017-12-29 2022-10-2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임계 수를 이용하여 잎새버섯으로부터 베타글루칸 함유 다당류를 수득하는 방법
KR101955895B1 (ko) 2018-04-30 2019-03-08 푸른솔푸드 주식회사 잎새버섯을 이용한 건강기능성식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009B1 (ko) 2001-10-11 2004-06-30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잎새버섯 균사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61960B1 (ko) * 2002-10-10 2004-12-16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신규한 담자균류 그리폴라 프론도사 hb0071 kctc10337bp와 이 균주로부터 생산된 다량의 다당류의 제조방법과 이의 용도
KR100832387B1 (ko) * 2005-12-02 2008-05-26 주식회사 글루칸 β-gluca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및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80064703A (ko) * 2007-01-04 2008-07-09 주식회사 글루칸 β-글루칸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631A (ko) 201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9918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ginseng berry pleurotus ferulae product
KR101887956B1 (ko) 효소 처리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663946B1 (ko) 인삼꽃 흑효모 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g3 강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4365A (ko) 인삼 또는 인삼부산물의 버섯발효를 통한 다기능 성분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73640B1 (ko) 잎새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58274B1 (ko) 인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6155A (ko) 천연 혼합물의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미백 및 보습기능성 조성물
KR20150078868A (ko) 진세노사이드 Rd, Rb2와 죽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99276B1 (ko) 납떼기콩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645439B1 (ko)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20110044966A (ko) 항산화 조성물
JP2020063225A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20100101257A (ko) 자외선 차단, 항염증, 항산화 및 항노화 조성물
KR20150057331A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76001B1 (ko)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476671B1 (ko)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60054672A (ko) 대맥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20200092669A (ko)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KR20130116641A (ko) 잎새버섯 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11718B1 (ko) 유자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6264A (ko) 용암해수 숙성 백년초 분말의 제조 방법과 그 분말의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014962B1 (ko) 콩꼬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60081161A (ko) 컴파운드 k 및 16-하이드록시-옥타데카-9,17-디엔-12,14-디이닐 에스테르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KR101705801B1 (ko) 참마 뿌리 추출 발효물, 타이칡 뿌리 추출물, 미네랄 추출물 및 포피라 움빌리칼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1165A (ko) 컴파운드 k 및 피크리오노시드 a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