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387B1 - β-gluca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및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β-gluca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및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387B1
KR100832387B1 KR1020050116767A KR20050116767A KR100832387B1 KR 100832387 B1 KR100832387 B1 KR 100832387B1 KR 1020050116767 A KR1020050116767 A KR 1020050116767A KR 20050116767 A KR20050116767 A KR 20050116767A KR 100832387 B1 KR100832387 B1 KR 100832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can
dermatitis
pruritus
compared
media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7377A (ko
Inventor
양건주
신현동
박복련
손창우
장희정
이형식
김종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루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루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루칸
Priority to KR1020050116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387B1/ko
Publication of KR20070057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3Burn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81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involving autoimmunity, allergy, immediate hypersensitivity, delayed hypersensitivity, immunosuppression, immunotolerance, or an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발명은 β-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세포 증식을 촉진시키고 콜라겐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창상, 상처 및 화상에 대해 치료효과가 뛰어나며, 부종, 소양증 및 혈관 확장 억제 효과를 통해 알레르기성 피부염과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β-글루칸, 알레르기성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피부세포 재생

Description

β-gluca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및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Wound and Dermatitis Comprising Glucan as Active Ingredient}
도 1은 PCA 반응 유발된 동물 모델에, 2, 1, 0.5, 0.2 및 0.1% 농도의 글루칸 (GLUCAN), 1, 0.5 및 0.1% 농도의 덱사메타존 (DEXA) 및 1 g/㎏ 농도의 아토팜 (ATOP)을 적용한 피부에서의 에반스 블루 반점의 크기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PCA 반응 유발된 동물 모델에, 매체 대조군(A), DEXA 1%(B), 0.5%(C) 및 0.1%(D), GLUCAN 2%(E), 1%(F), 0.5%(G), 0.2%(H) 및 0.1%(I), ATOP 1 g/㎏(J)를 적용한 피부에서의, 국소 진피 부종 변화를 나타낸 조직병리학 사진이다. 스케일 바는 200 ㎛로 표시된다.
도 3은 화합물 48/80(COM)의 주입에 의해 유발된 국소 혈관확장 동물 모델에, 2, 1, 0.5, 0.2 및 0.1% 농도의 GLUCAN, 1, 0.5 및 0.1% 농도의 DEXA 및 1 g/㎏ 농도의 ATOP를 적용한 피부에서의, 에반스 블루 반점의 크기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4는 화합물 48/80(COM)의 주입에 의해 유발된 국소 혈관확장 동물 모델에, 매체 대조군(A), DEXA 1%(B), 0.5%(C) 및 0.1%(D), GLUCAN 2%(E), 1%(F), 0.5%(G), 0.2%(H) 및 0.1%(I), ATOP 1 g/㎏(J)를 적용한 피부에서의, 국소 진피 부종 변화를 나타낸 조직병리학 사진이다. 스케일 바는 200 ㎛로 표시된다.
5는 β-글루칸을 0.02 ㎎/㎖ 및 0.05 ㎎/㎖ 농도로 HaCa T 세포에 처리한 후 MTT 분석을 통해 확인한 세포증식 결과이다.
6은 β-글루칸을 20μM 및 50μM 농도로 HaCa T 세포에 처리한 후 웨스턴 블랏 분석을 통해 확인한 콜라겐 발현 결과이다.
본 발명은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β-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또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어린이에게 매우 일반적으로 나타나지만 모든 연령에서 유발되는 만성의 가려운 피부 상태이며, 습진 및 아토피 습진으로 알려져 있고 피부염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은 '아토피성 성향'을 가진 사람에서 유발되는데, 아토피성 성향은 아토피 피부염, 천식 및 고초열(알러지성 비염) 중의 하나 또는 모두를 유발한다. 종종 이러한 상태는 부모, 아이 또는 형제간에도 영향을 준다. 천식, 습진 또는 고초열의 가족력은 유아기의 아토피 피부염을 진단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은 소아의 경우 15-20% 정도 발현되나, 성인에서는 1-2% 정도에 국한되어 관찰된다(Kiczuk et al., Ann Univ Mariae Curie Sklodowska[Med], 2004, 59:503-7; Foroughi et al., Curr Opin Pediatr, 2005, 17(5):658-63; Nakahara and Furue, Nippon Rinsho, 2005, 63:80-5; Williams HC, N Engl J Med, 2005, 352:2314-24).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피부 적용의 용이성으로 인해 국소 치료법(로션, 크림 및 연고)이 사용되고 있다. 피부 표면에 아토피의 합병증으로 유발되는 염증 및 상처 등에 국소 치료법이 먼저 적용되며, 이러한 처치는 아토피 피부염의 진행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kinner R, J Cutan Med Surg, 2004, 8:22-31).
수동 피부 아나필락시스(Passive Cutaneous Anahylaxis, PCA)는 제I형 알레르기성 피부염에 대한 치료제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Matsuda et al., Biol Pharm Bull, 2002, 25:809-12). 항체가 피부의 국소면에 주입된 뒤 항원이 염료(dye)와 함께 정맥내로 주입될 때 혈관확장성 피부 반응이 유발된다. 따라서 급속하게 유발되는 모세관 확장 및 혈관 투과성의 증가에 의해 누출된 염료의 양과 농도에 의해 혈관 확장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Yoshida et al., Int Arch Allergy Appl Immunol, 1979, 59:373-82). PCA는 극소량의 항체를 검출 할 수 있는 비교적 민감한 반응이며, 즉시형 과민반응(immediate hypersensitivity)의 기작을 연구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약물의 효과는 누출된 염료의 직경, 누출된 안료의 양 및 피부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기초로 하 여 평가된다(Teixeira et al., Br J Pharmacol, 1996, 118:317-24; Kubo et al., Biol Pharm Bull, 1997, 20:511-6; Matsuda et al., Biol Pharm Bull, 2002, 25:809-12).
국소성 스테로이드 도포는 다양한 피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선택되어오고 있지만, 피부 위축 및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PA) 축 억제와 같은 심각한 국소 및 전신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되어 왔다(Gupta and Chow, J Cutan Med Surg, 2004, 8:244-7). 글루코코티코이드 중에서, 덱사메타손은 아토피 피부염에 대해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국소 스테로이드 중의 하나이며(Ganir et al., Acta Paediatr Jpn, 1996, 38:702-4; Matsumoto et al., Skin Res Technol, 2005, 11:209-17), 새로운 항-알러지 약을 개발하는데 대조 약물로서 빈번히 사용되어져 왔다(Shichinohe et al., J Vet Med Sci, 1996, 58:419-23; Ohtsuka et al., J Pharmacol Sci, 2003, 91:263-6).
아토팜TM(ATOPALMTM)은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하는 다양한 피부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크림이며, 쇠비름(Portulaca oleracea) 추출물 등의 다양한 활성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고 있어, 그 항-알러지 활성이 비교적 잘 알려져 있다(Rashed et al., J Ethnopharmacol, 2003, 88:131-6; Malek et al., J Ethnopharmacol, 2004, Jul 03(1):57-62).
하지만, 이러한 치료제들은 치료 효과가 낮을 뿐만 아니라 내성의 문제점을 유발하므로 이를 대체할 새로운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피부염 치료제의 낮은 치료 효과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β-글루칸이 피부세포 재생에 효과적이고, 알러지성 피부염 및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해 기존의 치료제에 비해 높은 치료 효과를 보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β-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및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나타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β-글루칸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창상 및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치료학적 유효성분으로서 β-글루칸을 포함하며, 피부염으로는 알러지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이 모두 적용 가능하다.
글루칸의 일종으로서 베타-글루칸은 제빵에서 사용되는 효모, 귀리 및 보리의 세포벽 및 메이테이크(maitake)와 같은 수많은 약용 버섯으로부터 분리된 섬유질-타입의 복합 당(폴리사카라이드)이다. 베타-글루칸의 일차적인 용도 두가지는 면역 시스템을 향상시키는 것 및 혈중 콜레스테롤 레벨을 낮추는 것이다. 시험관 내 및 동물에서의 수많은 실험적 연구에서 베타-글루칸이 백혈구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실, 1960년 이래로 베타-글루칸에 대한 수백개의 연구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러한 연구에서는 특히 베타-1,3-글루칸이 대식세포 및 호중구성 백혈구로 알려진 백혈구 세포를 활성화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알려주고 있다. 이러한 세포들은 외부 침입에 대해 일차적으로 방어하는 면역 시스템의 하나를 제공한다. 베타-글루칸 활성화된 대식세포 또는 호중구성 백혈구는 종양 세포를 인식하여 죽이며,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유발되는 세포 찌꺼기를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의 회복 속도를 가속화하여 면역 시스템의 다른 부분을 추가적으로 활성화시킨다. 베타-글루칸은 귀리 시리얼의 콜레스테롤-강하 작용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이다. 다른 수용성-섬유질과 함께 베타-글루칸에 의해 콜레스테롤과 결합하고, 이로 인해 대변에 있는 이러한 분자들을 제거하는 것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유용하다. 귀리 또는 효모로부터 유도된 베타-글루칸을 이용한 수많은 이중 맹검법에 의하면, 사용 후 최소한 4주 뒤에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나며, 약 전체 콜레스테롤에 대해 10% 감소 및 LDL에 대해 8%의 감소 및 HDL 콜레스테롤이 0 내지 16%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β-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혈관확장 및 이로 인한 부종 억제 효과를 나타내고, 알레르기성 소양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접촉성 피부염의 부종과 소양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알레르기성 피부염과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하는 다양한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β-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피부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피부세포 구성물질인 콜라겐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세포를 효과적으로 재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세포 재생과 관련된 상태인 창상, 상처 및 화상 등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β-글루칸의 치료학적 유효용량은 0.1 내지 0.2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β-글루칸은 최소농도 0.1%에서도 알러지성 피부염과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해 유효한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발명의 β-글루칸은 임상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β-글루칸은 실제 임상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β-글루칸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실험물질 및 실험방법
(1) 실험동물 및 사육
20 마리의 수컷 위스타(Wistar) 쥐(6주령, SLC, JAPAN)를 10일 동안 순응시키고 난 뒤에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동물들은 20-25℃의 온도와 30-35%의 습도로 유지되는 사육장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케이지에 5마리씩 넣어 키웠다. 명:암 사이클을 12시간:12시간으로 유지하였고, 자유 식이(Samyang, Korea) 및 급수하였다. 모든 동물들은 PCA 유발시켰다. 본 실험에서, 혈관확장 변화 및 조직학적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동물들을 다시 2개의 하부그룹으로 나누었다. 각 하부그룹에, 10마리의 동물이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모든 실험동물은 워싱턴 대학의 연구실에서 발행한 실험동물의 사육 및 사용에 관한 지침서(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 by Institute of Laboratory Animal Resources, Commission on Life Science, National Research Council, USA on 1996, Washington D.C)에 따랐다.
(2) 시험 시료의 투여
β-글루칸 및 DEXA (Sigma, USA) 및 ATOP (Neopharm, Korea)를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β-글루칸은 빛을 차단하고 변질을 막을 수 있도록 4℃ 냉장고에서 보관하였다.
2.5% β-글루칸(β-글루칸, Glucan Corp. Ltd., Korea)을 증류수로 희석하여 2, 1, 0.5, 0.2 및 0.1% 농도로 만들고, DEXA를 0.5%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CMC·Na; Sigma, USA)에 현탁하여 1, 0.5 및 0.1% 농도로 만들었다. ATOP는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제형으로 사용하였다. 모든 테스트 물질을 면도한 등쪽의 감작 부위(sensitization site)에 하루에 2회씩 2일 동안 국소 적용하였으며, 항원 노출 1시간 전에 한 번 더 도포하였다.
β-글루칸의 항알러지 효과 및 아토피 피부염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1) 수동 피부 아나필락시스(PCA) 유발 모델, 2) 화합물 48/80(COM) 유발 국소 혈관확장 모델, 3) COM 유발 소양증 모델, 4) 혈소판 활성 인자(PAF) 유발 소양증 모델, 5) 프로테아제(PA) 유발 소양증 모델, 6) 모기 타액샘 추출물(SGE) 유발 알러지성 소양증 모델, 7) DNFB 유발된 접촉성 피부염 모델 및 8) 피크릴 클로라이드(PC) 유발된 지연성 접촉성 피부염 모델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투여된 용량과 용량 스케쥴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05070489906-pat00001
(3) 알러지 반응 또는 접촉성 피부염의 유발 및 평가
(3-1) 수동 피부 아나필락시스(PCA) 반응 유발
GLUCAN의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을 쥐의 OVA(난백 단백질) 항혈청으로 유발된 수동 피부 아나필락시스(Passive Cutaneous Anaphylaxix; PCA)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IgE를 함유하는 쥐의 항-OVA 혈청은 스토트랜드와 쉐어의 방법(Stotland and Share, Can J Physiol Pharmacol, 1974, 52:1119-25)을 이용해 준비하였다. OVA (1.0 ㎎; Sigma, USA) 및 알루미늄 하이드록시드 젤(10 ㎎; Aldrich, USA)을 포함하는 0.5 ㎖의 식염수 현탁액을 진피내로 주입한 다음에, 불활성의 보데텔라 퍼튜시스(Bordetella pertussis) 박테리아 현탁액(2×1010 세포/㎖) 1.0 ㎖을 쥐의 복강내로 주입하여 감작시켰다. 7일 후에, 0.5 ㎖의 식염수 현탁액을 근육내로 주입한 후에, 1.0 ㎖의 불활성 박테리아 현탁액을 복강내로 주입하여 다시 감작시켰다. 1차 감작 14일 후에, 상기 쥐를 펜토바비탈(pentobarbital)로 마취시켜, 목동맥으로부터 방혈한 후,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쥐의 항-OVA 혈청을 수득하였다. 항-OVA IgE 항체의 역가는 48시간째에 쥐의 균질성 PCA로 측정하였다. 역가는 약 5 mm 직경을 측정하여 양성 반응을 유발하는 최종 희석에 대한 상호간의 비율로 표시하였다. IgE를 함유하는 항-OVA 혈청의 역가는 1:32였다. 상기 혈청은 사용하기 전까지 -80℃에 보관하였다.
<감작 및 노출>
생리식염수로 8배 희석한 혈청을 0.05 ㎖/부위의 용량으로 쥐의 면도한 등쪽 피부에 진피내 주입하여 감작시켰다.
감작 48시간 후에, 상기 쥐에 OVA(2.0 ㎎) 및 에반스 블루(Evans blue, 5.0 ㎎; Sigma, USA)를 포함하는 식염수 용액 0.5 ㎖를 꼬리 혈관을 통해 주입함으로써 항원 노출을 실시하였다.
(3-2) 화합물 48/80을 이용한 국소 혈관확장 유발
β-글루칸의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을 히스타민 유리 촉진제인 화합물 48/80(COM)으로 유발된 국소 혈관 확장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동물로는 SD 쥐를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은 하루에 2번씩 3일간 등쪽 제모 부위에 도포하였으며, COM 투여일에는 노출 1시간 전에 도포하였다(총 7회 도포). 2, 1, 0.5, 0.2 및 0.1% 농도의 GLUCAN을 1 g/㎏ 용량으로 도포하였으며, 10 ㎍/㎖ 농도의 COM (Sigma, USA) 50㎕를 제모한 등쪽 피부에 피내 주사하여 히스타민 유리에 의한 국소 혈관 확장을 유발하였다. COM 투여 30분 후 에반스 블루를 정맥주사한 30분 후, 모든 실험동물을 희생하여, 누출된 에반스 블루 반점의 크기, 에반스 블루 양 및 유발부위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는 DEXA (1, 0.5 및 0.1% in 0.2% CMC·Na) 및 ATOP 도포군과 비교하였다.
(3-3) 에반스 블루 반점 직경의 측정 및 누출된 에반스 블루 양의 측정
시험 종료 30분 후에, 동물들을 희생시키고, 등쪽 피부를 벗겨내었다. 혈관 확장에 의한 에반스 블루의 혈관 밖 유출의 정도 및 에반스 블루 반점의 직경은 mm 레벨의 디지털 캘리퍼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원형으로 자른 등쪽 피부(직경 10 mm)를 에반스 블루의 양을 측정하는데 사용하였다. 누출된 에반스 블루의 양(㎎/부위)은 카타야마 등의 방법(Katayama et al., Microbiol Immunol, 1978, 22:89-101)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원형의 피부에 1.0 N KOH (1.0 ㎖)를 37℃에서 48시간 동안 알칼라인 융해시킨 후에, 상기 반응 혼합액에 아세톤(6.5 ㎖)을 첨가하였다. 강력하게 섞어주고 원심분리(900ㅧg, 10분)한 후에, 상층액을 분광광도계를 이용해 620 nm에서 측정해 누출된 염료의 양을 ㎎/부위 레벨로 관찰하였다.
(3-4) 화합물 48/80을 이용한 소양증 유발 및 소양증 빈도 평가
GLUCAN의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을 히스타민 유리 촉진제인 Compound 48/80(COM)으로 유발된 소양증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물질은 하루에 1번씩 4일간 목덜미 부위에 도포하였으며, COM 투여일에는 투여 1시간 전에 도포하였다(총 5회 도포). 2, 1, 0.5, 0.2 및 0.1% 농도의 GLUCAN을 1 g/㎏ 도포하였으며, 3 ㎎/㎏ 농도의 COM(Sigma, USA) 100 ㎖/㎏을 등쪽 목덜미 부분에 피하 주사하여 히스타민 유리에 의한 알러지성 소양증을 유발하였다. COM 투여 30분 후부터 20분간 소양증을 나타내는 횟수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는 DEXA(1, 0.5 및 0.1% in 0.2% CMC·Na) 및 ATOP 도포군과 비교하였다.
COM 주입 30분 후에, 몸 전체 및 COM 주입한 부위에서 소양증이 나타나는 횟수를 20분 동안 관찰하였다.
(3-5) 혈소판 활성 인자(PAF)를 이용한 소양증 유발 및 소양증 빈도 평가
GLUCAN의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을 혈소판 활성 인자(Platelet Activating Factor; PAF)로 유발된 소양증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동물로는 ddY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은 하루에 1번씩 4일간 목덜미 부 위에 도포하였으며, PAF 투여일에는 투여 1시간 전에 도포하였다(총 5회 도포). 2, 1, 0.5, 0.2 및 0.1% 농도의 GLUCAN을 1 g/㎏ 도포하였으며, 1 ㎍/㎏ 농도의 PAF(Funakoshi Co., Ltd, JAPAN) 10 ㎖/㎏을 등쪽 목덜미 부분에 피하 주사하여 알레르기성 소양증을 유발하였다. PAF 투여 30분 후부터 20분간 소양증을 나타내는 횟수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는 DEXA(1, 0.5 및 0.1% in 0.2% CMC·Na) 및 ATOP 도포군과 비교하였다.
(3-6) 프로테아제(PA)를 이용한 소양증 유발 및 소양증 빈도 평가
GLUCAN의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을 비만세포 활성 인자인 프로테아제(PA)로 유발된 소양증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동물로는 ddY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은 하루에 1번씩 4일간 목덜미 부위에 도포하였으며, PA 투여일에는 투여 1시간 전에 도포하였다(총 5회 도포). 2, 1, 0.5, 0.2 및 0.1% 농도의 GLUCAN을 1 g/㎏ 도포하였으며, 1 ㎎/㎏ 농도의 PA(Worthington Biochemical Corp., USA) 10㎖/㎏을 등쪽 목덜미 부분에 피하 주사하여 알레르기성소양증을 유발하였다. PA 투여 30분 후부터 20분간 소양증을 나타내는 횟수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는 DEXA(1, 0.5 및 0.1% in 0.2% CMC·Na) 및 ATOP 도포군과 비교하였다.
(3-7) 모기 타액샘 추출물을 이용한 알레르기성 소양증 유발 및 소양증 빈도 평가
GLUCAN의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을 모기 타액샘 추출물(Mosquito Salivary Gland Extracts; SGE)로 유발된 알러지성 소양증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동물로는 ICR 생쥐를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은 하루에 2번씩 4일 간 SGE 투여 부위에 도포하였으며, 최종 SGE 투여시에는 투여 1시간 전에 도포하였다(총 9회 도포). 2, 1, 0.5, 0.2 및 0.1% 농도의 GLUCAN을 1 g/㎏ 도포하였으며, 10㎍/50㎕의 SGE를 제모한 뒤쪽 등 부위에 1주일에 2번씩 4주간 피내 주사하여 감작시킨 다음 최종 투여일에는 동일한 양의 SGE를 콧등 부분에 피내 주사하여 소양증을 유발하였다. 최종 SGE 투여 직후부터 1시간 동안 나타내는 소양증의 횟수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는 DEXA(1, 0.5 및 0.1% in 0.2% CMC·Na) 및 ATOP 도포군과 비교하였다.
(3-8) DNFB 를 이용한 접촉성 피부염의 유발 및 귀 부종과 소양증 빈도 평가
GLUCAN의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을 DNP-OVA (Dinitrophenyl-derivatized ovalbumin)로 감작시킨 다음, DNFB (2,4-dinitofluorobenzene) 도포로 유발된 접촉성 피부염(Type I contact dermatitis)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동물로는 ddY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예비 반응을 통해 10% 이상의 부종을 나타낸 동물만 선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n=10). 실험동물들을 부종 측정용과 소양증 측정용의 2군으로 구분하였다. DNP-OVA (10㎍) 및 알루미늄 하이드록시드 젤(1㎎)이 포함되어 있는 0.2㎖의 생리식염수를 단회 복강 주사하여 감작시킨 7일 후 각각 귀 및 발바닥 부분에 0.1% DNFB(in EtOH) 10㎕를 도포하여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하였다. 시험물질은 감작일로부터 하루에 1번씩 6일간 항원 노출부위에 도포하였으며, 항원 노출일에는 노출 1시간 전에 도포하였다(총 7회 도포). 2, 1, 0.5, 0.2 및 0.1% 농도의 GLUCAN을 1 g/㎏ 도포하였으며, 항원 도포 직전, 도포 1시간(IPR) 및 24시간(LPR) 후 귀의 두께를 측정하여 부종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발바닥 부분에 항원을 도포한 직후부터 1시간 동안 소양증을 나타내는 빈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DEXA(1, 0.5 및 0.1% in 0.2% CMC·Na) 및 ATOP 도포군과 비교하였다.
(3-9) 피크릴 클로라이드(PC)를 이용한 지연성 접촉성 피부염 유발 및 귀 부종 평가
GLUCAN의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을 피크릴 클로라이드(PC)로 유발된 지연형 접촉성 피부염(Type IV contact dermatitis)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동물로는 ddY 생쥐를 사용하였다. 0.1 ㎖의 7% PC 용액(EtOH에 용해)을 제모한 복부 피부에 도포하여 감작시켰으며, 감작 7일 후 각각 귀의 내면에 0.02㎖의 1% PC 용액(Olive oil에 용해)을 도포하여 24시간 후 지연형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하였다. 시험물질은 감작일로부터 하루에 1번씩 6일간 귀에 도포하였으며, 항원 노출일에는 노출 16시간 후에 도포하였다(총 7회 도포). 2, 1, 0.5, 0.2 및 0.1% 농도의 GLUCAN을 1 g/㎏ 도포하였으며, 항원 도포 직전 및 24시간 후 귀의 두께를 측정하여 부종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DEXA(1, 0.5 및 0.1% in 0.2% CMC·Na) 및 ATOP 도포군과 비교하였다.
(4) 조직병리학적 검사
실험종료 후 피부 샘플을 10% 중성 완충된 포르말린에 고정시켰다. 파라핀 포매시킨 후, 3-4 ㎛ 로 절편한 다음 마슨 트리크롬(Masson Trichrome)으로 염색하 였다. 그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각 부위의 조직학 구조를 관찰하였다.
조직영상학적 분석(Histomorphometry): 자동 이미지 분석기(DMI 100-D digital CCD system; DMI, Korea)를 이용하여, 진피에서 차지하는 부종부위의 퍼센트 및 부종 부위의 장축 길이(㎛)를 측정하여 PCA 반응에 의해 유발된 부종 부위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5) 통계적 분석
모든 데이터들은 평균±S.D(n=10)로 계산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윈도우용 SPSS (Release 6.1.3., SPSS Inc., USA)를 이용해 MW 테스트(Mann-Whitney U-Wilcoxon Rank Sum W test)로 수행하였다.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매체 대조군에 대해 비교한 억제율을 계산하여, 매체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차이에서 시험 물질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수학식 1]
매체 대조군에 대한 퍼센트 변화(%)=
[(시험군의 데이터-매체 대조군의 데이터)/매체 대조군의 데이터]×100
(6) In vitro 세포증식
HaCa T 세포를 1×10⁴/웰 농도로 96웰 플레이트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조건은 통상적인 HaCa T 세포 배양 조건을 따랐다. 배양된 세포에 본 발명의 β-글루칸을 0.02 ㎎/㎖ 및 0.05 ㎎/㎖ 농도로 첨가하여 1, 2, 3, 4 및 5일 동안 배양한 후 세포를 수득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조건마다 3개씩 실험하였으며, 측정된 흡광도 값은 평균ㅁSEM으로 나타내었다.
(7) In vitro 콜라겐 발현
HaCa T 세포를 1×10⁴/웰 농도로 배양하였다. 배양조건은 통상적인 HaCa T 세포 배양 조건을 따랐다. 배양된 세포에 본 발명의 글루칸을 20 μM 및 50 μM 농도로 첨가하여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수득하여 단백질을 추출한 뒤 웨스턴 블로팅 방법으로 콜라겐 단백질의 발현양을 확인하였다.
2. 실험 결과
(1) PCA 유발 모델에서의 효과
(1-1) 에반스 블루 반점의 크기 변화
표 2 및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반스 블루 반점의 크기는 DEXA 1, 0.5 및 0.1%, GLUCAN 2, 1, 0.5, 0.2 및 0.1%, ATOP 1 g/㎏ 도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각각 -46.69%, -38.12%, -33.91%, -53.66%, -43.90%, -37.61%, -34.98%, -20.45% 및 -33.33%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모든 시험 물질 도포군에서는 매체 대조군에 비해, 도표 용량 의존적인 혈관 확장에 의해 유발된 에반스 블루 반점의 유의성 있는(p<0.01) 크기 감소가 인정되었다.
[표 2]
Figure 112005070489906-pat00002
상기 표에서 n=10; (평균±S.D); 1) 매체 대조군에 대한 퍼센트(%) 변화; * MW 테스트에 의한 대조군과 비교해 p<0.01.
(1-2) 누출된 에반스 블루 양의 변화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출된 에반스 블루 양은 DEXA 1, 0.5 및 0.1%, GLUCAN 2, 1, 0.5, 0.2 및 0.1% 및 ATOP 1 g/㎏ 도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각각 -72.92%, -68.61%, -58.44%, -79.71%, -75.15%, -70.27%, -56.57%, -33.99% 및 -41.74%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모든 시험 물질 도포군은 매체 대조군에 비해 도표 용량 의존적인 혈관 확장에 의해 누출된 에반스 블루 양의 유의성 있는(p<0.01) 감소가 인정되었다.
(1-3)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
표 3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쥐의 OVA 항혈청과 OVA로 PCA 반응을 유발시킨 부위에서는 혈관확장에 의한 현저한 국소 진피 부종이 인정되었으나, 이러한 국소 진피 부종은 모든 시험 물질 도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모든 시험물질 도포군에서는 진피에서 국소 부종 부위가 차지하는 비율 및 부종 부위의 장축 길이가 매체 대조군에 비해 도포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p<0.01) 감소되었다.
조직병리: 진피에서 국소 부종 부위가 차지하는 비율은 DEXA 1, 0.5, 0.1%, GLUCAN 2, 1, 0.5, 0.2, 0.1% 및 ATOP 도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각각 -57.55%, -49.35%, -35.66%, -67.55%, -54.89%, -40.11%, -34.17%, -32.20% 및 -34.40%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부종 부위의 장축 길이는 DEXA 1, 0.5, 0.1%, GLUCAN 2, 1, 0.5, 0.2, 0.1% 및 ATOP 도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각각 -73.58%, -69.95%, -60.27%, -78.65%, -67.28%, -64.17%, -61.75%, -45.01% 및 -48.83%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05070489906-pat00003
상기 표에서, n=10; (평균±S.D); 1) 매체 대조군에 대한 퍼센트(%) 변화; 모든 조직병리는 자동 이미지 분석기를 이용해 수행함; MW 테스트에 의한 대조군과 비교해 *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GLUCAN은 PCA 반응에 의해 유발되는 알러지성 피부염에 매우 유효할 것으로 생각되며, 알레르기성 피부염 및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도포(외용)제로 개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인정된다. GLUCAN의 도포는 동일한 양의 DEXA 도포와 유사한 혈관확장 및 이로 인한 부종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GLUCAN 0.2%에서 ATOP과 유사한 효과가 인정되었다. GLUCAN 0.1%에서도 매우 우수한 효과가 인정되어 PCA 반응에 의해 유발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에 대한 유효 농도는 대략 0.1% 전후로 생각된다.
(2) COM 유발 국소 혈관확장 모델에서의 효과
(2-1) 에반스 블루 반점의 크기 변화
표 4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반스 블루 반점의 크기는 DEXA 1, 0.5, 0.1%, GLUCAN 2, 1, 0.5, 0.2, 0.1% 및 ATOP 도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각각 -46.08, -41.70, -27.28, -54.00, -45.56, -38.57, -32.22, -21.61 및 -32.11%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모든 시험물질 도포군에서는 매체 대조군에 비해 도표 용량 의존적인 혈관 확장에 의해 유발된 에반스 블루 반점의 유의성 있는(p<0.01) 크기 감소가 인정되었다.
[표 4]
Figure 112005070489906-pat00004
상기 표에서 n=10; (평균±S.D); 1) 매체 대조군에 대한 퍼센트(%) 변화; MW 테스트에 의한 매체 대조군과 비교해 * p<0.01.
(2-2) 누출된 에반스 블루 양의 변화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출된 에반스 블루 양은 DEXA 1, 0.5, 0.1%, GLUCAN 2, 1, 0.5, 0.2, 0.1% 및 ATOP 도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각각 -52.88, -42.77, -34.45, -68.98, -55.21, -49.70, -37.87, -23.18 및 -36.89%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모든 실험물질 도포군에서는 매체 대조군에 비해 도표 용량 의존적인 혈관 확장에 의해 누출된 에반스 블루 양의 유의성 있는(p<0.01) 감소가 인정되었다.
(2-3)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
표 5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COM 투여 부위에서는 혈관확장에 의한 국소 진피 부종 인정되었으나, 이러한 국소 진피 부종은 모든 시험물질 도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모든 시험물질 도포군에서는 진피에서 국소 부종 부위가 차지하는 비율 및 부종 부위의 장축 길이가 매체 대조군에 비해 도포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p<0.01 or p<0.05) 감소되었다.
조직병리: 진피에서 국소 부종 부위가 차지하는 비율은 DEXA 1, 0.5, 0.1%, GLUCAN 2, 1, 0.5, 0.2, 0.1% 및 ATOP 도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각각 -60.17, -46.20, -23.87, -60.07, -51.37, -39.35, -29.42, -16.01 및 -33.72%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부종 부위의 장축 길이는 DEXA 1, 0.5, 0.1%, GLUCAN 2, 1, 0.5, 0.2, 0.1% 및 ATOP 도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각각 -62.20, -52.02, -35.56, -66.20, -63.90, -54.24, -44.17, -27.66 및 -44.21%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05070489906-pat00005
상기 표에서, n=10; (평균±S.D); 1) 매체 대조군에 대한 퍼센트(%) 변화; 모든 조직병리는 자동 이미지 분석기를 이용해 수행함; MW 테스트에 의한 대조군과 비교해 * p<0.01 및 ** p<0.05.
(2-4) 고찰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GLUCAN은 COM 피내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알러지성 피부염에 매우 유효할 것으로 생각되며, 알레르기성 피부염 및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도포(외용)제로 개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인정된다. GLUCAN의 도포는 동일한 량의 DEXA 도포와 유사한 혈관확장 및 이로 인한 부종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GLUCAN 0.2%에서 ATOP과 유사한 효과가 인정되었다. GLUCAN 0.1% 에서도 매우 우수한 효과가 인정되어 COM에 의해 유발되는 히스타민 유리 알레르기성 피부염에 대한 유효 농도는 대략 0.1% 전후로 생각된다.
(3) COM 유발 소양증 모델에서의 효과
(3-1) 소양증 빈도의 변화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양증의 출현 빈도는 매체 대조군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1461.02%의 변화를 나타낸 반면, DEXA 1, 0.5, 0.1%, GLUCAN 2, 1, 0.5, 0.2, 0.1% 및 ATOP 도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각각 -74.00, -68.22, -59.72, -76.06, -73.34, -60.10, -47.83, -41.15 및 -27.69%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매체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소양증 빈도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모든 시험물질 도포군에서는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or p<0.05) 도표 용량 의존적인 알레르기성 소양증의 빈도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다.
[표 6]
Figure 112005070489906-pat00006
상기 표에서, n=10; (평균±S.D); 1) 정상 매체 대조군(sham)에 대한 퍼센트(%) 변화; MW 테스트에 의한 정상 매체 대조군과 비교해 * p<0.01; 및 MW 테스트에 의한 정상 매체 대조군과 비교해 # p<0.05, ## p<0.05.
(3-2) 고찰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GLUCAN은 COM 피하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알러지성 소양증에 매우 유효할 것으로 생각되며, 알레르기성 피부염 및 아토피 피부염 등 소양증을 동반한 피부 질환에 대한 도포(외용)제로 개발 가능성이 인정된다. GLUCAN의 도포는 동일한 량의 DEXA 도포와 유사한 소양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본 실험에 사용한 최소 농도인 GLUCAN 0.1%에서도 ATOP에 비해 뛰어난 소양증 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GLUCAN 0.1%에서도 매우 우수한 효과가 인정되어 COM에 의해 유발되는 히스타민 유리 알레르기성 소양증에 대한 유효 농도는 0.1% 이하로 생각된다.
(4) PAF 유발 소양증 모델에서의 효과
(4-1) 소양증의 빈도 변화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양증의 출현 빈도는 매체 대조군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606.93%의 변화를 나타낸 반면, DEXA 1, 0.5, 0.1%, GLUCAN 2, 1, 0.5, 0.2, 0.1% 및 ATOP 도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각각 -70.59, -51.68, -37.39, -71.57, -56.02, -51.12, -44.12, -38.80 및 -28.15%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매체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소양증 빈도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모든 시험물질 도포군에서는 매체 대조군에서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or p<0.05) 도표 용량 의존적인 알레르기성 소양증의 빈도 감소가 각각 인 정되었다.
[표 7]
Figure 112005070489906-pat00007
상기 표에서, n=10; (평균±S.D); 1) 정상 매체 대조군(sham)에 대한 퍼센트(%) 변화; 2) 매체 대조군에 대한 퍼센트(%) 변화; MW 테스트에 의한 정상 매체 대조군과 비교해 * p<0.01; 및 MW 테스트에 의한 매체 대조군과 비교해 # p<0.05, ## p<0.05.
(4-2) 고찰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GLUCAN은 PAF 피하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알레르기성 소양증에 매우 유효할 것으로 생각되며, 알러지성 피부염 및 아토피 피부염 등 소양증을 동반한 피부 질환에 대한 도포(외용)제로 개발 가능성이 인정된다. GLUCAN의 도포는 최고 농도인 1% 군을 제외하고, 동일한 량의 DEXA 도포와 유사한 소양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본 실험에 사용한 최소 농도인 GLUCAN 0.1%에서도 ATOP에 비해 뛰어난 소양증 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GLUCAN 0.1% 에서도 매우 우수한 효과가 인정되어 PAF에 의해 유발되는 알러지성 소양증에 대한 유효 농도는 0.1% 이하로 생각된다.
(5) PA 유발 소양증 모델에서의 효과
(5-1) 소양증의 빈도 변화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양증의 출현 빈도는 매체 대조군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808.33%의 변화를 나타낸 반면, DEXA 1, 0.5, 0.1%, GLUCAN 2, 1, 0.5, 0.2, 0.1% 및 ATOP 도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각각 -67.50, -60.81, -57.01, -70.90, -62.39, -58.98, -49.41, -38.79 및 -25.69%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매체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소양증 빈도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모든 시험물질 도포군에서는 매체 대조군에서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or p<0.05) 도표 용량 의존적인 알러지성 소양증의 빈도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다.
[표 8]
Figure 112005070489906-pat00008
상기 표에서, n=10; (평균±S.D); 1) 정상 매체 대조군(sham)에 대한 퍼센트(%) 변화; 2) 매체 대조군에 대한 퍼센트(%) 변화; MW 테스트에 의한 정상 매체 대조군과 비교해 * p<0.01; 및 MW 테스트에 의한 매체 대조군과 비교해 # p<0.05, ## p<0.05.
(5-2) 고찰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GLUCAN은 PA 피하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알러지성 소양증에 매우 유효할 것으로 생각되며, 알레르기성 피부염 및 아토피 피부염 등 소양증을 동반한 피부 질환에 대한 도포(외용)제로 개발 가능성이 인정된다. GLUCAN의 도포는 동일한 량의 DEXA 도포와 유사한 소양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본 실험에 사용한 최소 농도인 GLUCAN 0.1%에서도 ATOP에 비해 뛰어난 소양증 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GLUCAN 0.1%에서도 매우 우수한 효과가 인정되어 PA에 의해 유발되는 알레르기성 소양증에 대한 유효 농도는 0.1% 이하로 생각된다.
(6) 모기 타액샘 추출물 유발된 알레르기성 소양증 모델에서의 효과
(6-1) 소양증의 빈도 변화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양증의 출현 빈도는 매체 대조군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384.16%의 변화를 나타낸 반면, DEXA 1, 0.5, 0.1%, GLUCAN 2, 1, 0.5, 0.2, 0.1% 및 ATOP 도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각각 -54.18, -43.56, -32.24, -53.38, -51.34, -42.60, -32.30, -24.89 및 -20.23%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 서, 매체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소양증 빈도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모든 시험물질 도포군에서는 매체 대조군에서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도표 용량 의존적인 알레르기성 소양증의 빈도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다.
[표 9]
Figure 112005070489906-pat00009
상기 표에서, n=10; (평균±S.D); 1) 정상 매체 대조군(sham)에 대한 퍼센트(%) 변화; 2) 매체 대조군에 대한 퍼센트(%) 변화; MW 테스트에 의한 정상 매체 대조군과 비교해 * p<0.01; 및 MW 테스트에 의한 매체 대조군과 비교해 # p<0.05.
(6-2) 고찰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GLUCAN은 SGE 피내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알러지성 소양증에 매우 유효할 것으로 생각되며, 알레르기성 피부염 및 아토피 피부염 등 소양증을 동반한 피부 질환에 대한 도포(외용)제로 개발 가능성이 인정된다. GLUCAN의 도포는 동일한 량의 DEXA 도포와 유사한 소양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 으로 관찰되었으며, 본 실험에 사용한 최소 농도인 GLUCAN 0.1%에서도 ATOP에 비해 뛰어난 소양증 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GLUCAN 0.1% 에서도 매우 우수한 효과가 인정되어 곤충에 물려서 유발되는 알레르기성 소양증에 대한 유효 농도는 0.1% 이하로 생각된다.
(7) DNFB 유발된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서의 효과
(7-1) 귀 부종의 변화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IPR시(도포 1시간 후) 귀 두께의 변화는 매체 대조군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223.19%의 변화를 나타낸 반면, DEXA 1, 0.5, 0.1%, GLUCAN 2, 1, 0.5, 0.2, 0.1% 및 ATOP 도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각각 -43.44, -36.82, -23.62, -45.86, -38.58, -33.82, -26.64, -20.17 및 -17.85%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LPR시(도포 24시간 후) 귀 부종의 변화는 매체 대조군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561.27%의 변화를 나타낸 반면, DEXA 1, 0.5, 0.1%, GLUCAN 2, 1, 0.5, 0.2, 0.1% 및 ATOP 도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각각 -42.38, -34.41, -22.50, -44.57, -38.43, -28.39, -12.93, -13.50 및 -6.54%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매체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귀 두께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모든 시험물질 도포군에서는 매체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도표 용량 의존적인 귀 부종의 감소가 IPR 및 LPR에서 각각 인정되었다.
[표 10]
Figure 112005070489906-pat00010
상기 표에서, n=10; (평균±S.D); 1) 정상 매체 대조군(sham)에 대한 퍼센트(%) 변화; 2) 매체 대조군에 대한 퍼센트(%) 변화; MW 테스트에 의한 정상 매체 대조군과 비교해 * p<0.01; 및 MW 테스트에 의한 매체 대조군과 비교해 # p<0.01 및 ## p<0.05.
(7-2) 소양증의 빈도 변화
표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양증의 출현 빈도는 매체 대조군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159.59%의 변화를 나타낸 반면, DEXA 1, 0.5, 0.1%, GLUCAN 2, 1, 0.5, 0.2, 0.1% 및 ATOP 도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각각 -73.03, -63.29, -51.81, -73.11, -68.08, -65.33, -53.38, -36.01 및 -19.56%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매체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소양증 빈도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모든 시험물질 도포군에서는 매체 대조군에서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또는 p<0.05) 도표 용량 의존적인 알레르기성 소양증의 빈도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다.
[표 11]
Figure 112005070489906-pat00011
상기 표에서, n=10; (평균±S.D); 1) 정상 매체 대조군(sham)에 대한 퍼센트(%) 변화; 2) 매체 대조군에 대한 퍼센트(%) 변화; MW 테스트에 의한 정상 매체 대조군과 비교해 * p<0.01; 및 MW 테스트에 의한 매체 대조군과 비교해 # p<0.01 및 ## p<0.05.
(7-3) 고찰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GLUCAN은 DNFB에 의해 유발되는 알러지성 피부염 및 소양증에 매우 유효할 것으로 생각되며, 알러지성 피부염 및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도포(외용)제로 개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인정된다. GLUCAN의 도포는 동일한 량의 DEXA 도포와 유사한 부종 및 소양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 되었으며, 본 실험에 사용한 최소 농도인 GLUCAN 0.1%에서도 ATOP에 비해 뛰어난 부종 및 소양증 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GLUCAN 0.1% 에서도 매우 우수한 효과가 인정되어 DNFB에 의해 유발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에 대한 유효 농도는 대략 0.1% 전후로 생각된다.
(8) PC 유발된 지연성 접촉성 피부염에서의 효과
(8-1) 귀 부종의 변화
표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귀 부종의 변화는 매체 대조군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573.20%의 변화를 나타낸 반면, DEXA 1, 0.5, 0.1%, GLUCAN 2, 1, 0.5, 0.2, 0.1% 및 ATOP 도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각각 -73.45, -63.10, -51.24, -72.37, -60.21, -56.25, -47.27, -25.37 및 -31.82%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따라서, 매체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귀 두께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모든 시험물질 도포군에서는 매체 대조군에서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또는 p<0.05) 도표 용량 의존적인 귀 부종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다.
[표 12]
Figure 112005070489906-pat00012
상기 표에서, n=10; (평균±S.D); 1) 정상 매체 대조군(sham)에 대한 퍼센트(%) 변화; 2) 매체 대조군에 대한 퍼센트(%) 변화; MW 테스트에 의한 정상 매체 대조군과 비교해 * p<0.01; 및 MW 테스트에 의한 매체 대조군과 비교해 # p<0.01 및 ## p<0.05.
(8-2) 고찰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GLUCAN은 PC에 의해 유발되는 지연형 알레르기성 피부염(4형 알러지성 피부염에 매우 유효할 것으로 생각되며, 알레르기성 피부염 및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도포(외용)제로 개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인정된다. GLUCAN의 도포는 동일한 량의 DEXA 도포와 유사한 부종 및 소양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본 실험에 사용한 최소 농도인 GLUCAN 0.1%에서도 ATOP과 유사한 부종 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GLUCAN 0.1% 에서도 어느 정도 효과가 인정되어 PC에 의해 유발되는 지연형 알레르기성 피부염에 대한 유효 농도는 대략 0.1% 전후로 생각된다.
(9) β-글루칸의 피부세포 재생 촉진 효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GLUCAN은 대조군에 비해 용량 의존적으로 세포 증식 정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GLUCAN은 표피세포 구성물질인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GLUCAN이 세포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물질임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창상 치유, 운드 힐링(wound healing) 및 화상 치유와 같은 세포 재생에 효과 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알러지 피부염 및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뛰어나고 피부세포 재생 촉진 효과가 뛰어난 본 발명의 β-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및 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하기에 비경구용 제형으로 주사제, 경구용 제형으로 시럽제 및 정제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1> 주사액제의 제조방법
유효성분 10 ㎎을 함유하는 주사액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β-글루칸 1 g, 염화나트륨 0.6 g 및 아스코르브산 0.1 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 ㎖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상기 주사액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β-글루칸······················1 g
염화나트륨···················0.6 g
아스코르브산··················0.1 g
증류수·····················정량
<제제예 2> 시럽제의 제조방법
발명의 β-글루칸의 산부가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 2%(중량/부피)로 함유하는 시럽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β-글루칸의 산부가염, 사카린, 당을 온수 80 g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냉각시킨 후, 여기에 글리세린, 사카린, 향미료, 에탄올, 소르브산 및 증류수로 이루어진 용액을 제조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100 ㎖가 되게 하였다.
상기 시럽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β-글루칸의 산부가염················· 2 g
사카린 ····· ·················0.8 g
당 ························ 25.4 g
글리세린······················ 8.0 g
향미료 ······················ 0.04 g
에탄올 ·······················4.0 g
소르브산 ······················0.4 g
증류수 ·······················정량
<제제예 3> 정제의 제조방법
유효성분 15 ㎎이 함유된 정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β-글루칸 250 g을 락토오스 175.9 g, 감자전분 180 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 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 g, 활석 50 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상기 정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β-글루칸 ···················· 250 g
락토오스 ···················175.9 g
감자전분 ····················180 g
콜로이드성 규산 ················ 32 g
10% 젤라틴 용액
감자전분 ····················160 g
활석 ······················ 50 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 5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β-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세포 재생 효과 및 알레르기성 의한 부종 및 소양증의 억제 효과가 뛰어나, 창상 및 화상 등의 피부 손상 치료효과와 알레르기성 피부염 및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치료효과가 뛰어나다.

Claims (5)

  1. β-glucan 0.1 내지 0.2중량%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기 타액 원인 알레르기성 또는 아토피 피부염인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세포 재생용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창상 치유, 상처 치료 및 화상 치료용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50116767A 2005-12-02 2005-12-02 β-gluca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및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32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767A KR100832387B1 (ko) 2005-12-02 2005-12-02 β-gluca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및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767A KR100832387B1 (ko) 2005-12-02 2005-12-02 β-gluca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및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377A KR20070057377A (ko) 2007-06-07
KR100832387B1 true KR100832387B1 (ko) 2008-05-26

Family

ID=38354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767A KR100832387B1 (ko) 2005-12-02 2005-12-02 β-gluca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및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374B1 (ko) * 2017-11-28 2019-04-05 이노팜 주식회사 침향 추출물 및 베타글루칸(β-Glucan)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촉진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640B1 (ko) * 2012-11-30 2019-04-30 (주)아모레퍼시픽 잎새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5421A (en) * 1985-08-19 1990-12-04 Bioglucan, Lp. Soluble phosphorylated gluca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wound healing
US5223491A (en) * 1989-11-09 1993-06-29 Donzis Byron A Method for revitalizing skin by applying topically water insoluble glucan
US6165994A (en) * 1999-02-08 2000-12-26 Blue Ridge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promoting the healing of cutaneous wounds and ulcers using compositions of α-D-glucans
US6168799B1 (en) * 1997-10-24 2001-01-02 Brennen Medical, Inc. β-D-glucan topical composition
US6875754B1 (en) * 1999-03-12 2005-04-05 Biotec Asa Use of water-soluble β-(1,3) glucans as agents for producing therapeutic skin treatment ag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5421A (en) * 1985-08-19 1990-12-04 Bioglucan, Lp. Soluble phosphorylated gluca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wound healing
US5223491A (en) * 1989-11-09 1993-06-29 Donzis Byron A Method for revitalizing skin by applying topically water insoluble glucan
US6168799B1 (en) * 1997-10-24 2001-01-02 Brennen Medical, Inc. β-D-glucan topical composition
US6165994A (en) * 1999-02-08 2000-12-26 Blue Ridge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promoting the healing of cutaneous wounds and ulcers using compositions of α-D-glucans
US6875754B1 (en) * 1999-03-12 2005-04-05 Biotec Asa Use of water-soluble β-(1,3) glucans as agents for producing therapeutic skin treatment ag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374B1 (ko) * 2017-11-28 2019-04-05 이노팜 주식회사 침향 추출물 및 베타글루칸(β-Glucan)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377A (ko)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ang et al. Protective effects of Rhizoma smilacis glabrae extracts on potassium oxonate-and monosodium urate-induced hyperuricemia and gout in mice
Wu et al. Compound sophorae decoction enhances intestinal barrier function of dextran sodium sulfate induced colitis via regulating notch signaling pathway in mice
Hu et al. Sodium butyrate mitigates type 2 diabetes by inhibiting PERK-CHOP pathway of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Xie et al. Atractylodes oil alleviates diarrhea-predominant irritable bowel syndrome by regulating intestinal inflammation and intestinal barrier via SCF/c-kit and MLCK/MLC2 pathways
Lu et al. Beneficial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polysaccharides on “two-hit” acute lung injury and endotoxic fever in rats associated with anti-complementary activities
Khalid et al. Suppression of TRPV1 and P2Y nociceptors by honokiol isolated from Magnolia officinalis in 3rd degree burn mice by inhibiting inflammatory mediators
Tas et al. Protective effects of thymoquinone and melatonin on intestin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Xie et al. Polysaccharides from Polygonatum cyrtonema Hua preven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ehaviors in mice: mechanisms from the perspective of synaptic injury, oxidative stress, and neuroinflammation
Fan et al. Rosmarinic acid attenuates sodium taurocholate-induced acute pancreatitis in rats by inhibiting nuclear factor-κB activation
Jiang et al. 1-Deoxynojirimycin attenuates septic cardiomyopathy by regulating oxidative stress, apoptosis, and inflammation via the JAK2/STAT6 signaling pathway
Lv et al. Innovated formulation of TCM pangolin scales to develop a nova therapy of rheumatoid arthritis
Campos et al. Morinda citrifolia lipid transfer protein 1 exhib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modulation of pro-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
Daram et al. Investigation of anti-inflammatory and anti-arthritic potentials of Terminalia catappa bark using in vitro assays and carrageenan-induced inflammation, complete Freund's adjuvant induced arthritis model in rats
de Santana Aquino et al. Investigation of the antioxidant and hypoglycemiant properties of Alibertia edulis (LC Rich.) AC Rich. leaves
Shang et al. Inhibition of HMGB1/TLR4 signaling pathway by digitoflavone: A potential therapeutic role in alcohol-associated liver disease
Busserolles et al. Protection against 2, 4, 6-trinitrobenzenesulphonic acid-induced colonic inflammation in mice by the marine products bolinaquinone and petrosaspongiolide M
Sundar et al. Inhibition of Rb phosphorylation leads to H2S-mediated inhibition of NF-kB in acute pancreatitis and associated lung injury in mice
Wen et al. Tanshinone IIA increases levels of NeuN, protein disulfide isomerase, and Na+/K+-ATPase and decreases evidence of microglial activation after cerebral ischemic injury
KR100832387B1 (ko) β-gluca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및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Sahin et al. β-Hydroxybutyrate, one of the three main ketone bodies, ameliorates acute pancreatitis in rats by suppressing the NLRP3 inflammasome pathway
Hong et al. Paridis Rhizoma Sapoinins attenuates liver fibrosis in rats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RASAL1/ERK1/2 signal pathway
Ke et al. Ginsenoside Rb1 ameliorates age-related myocardial dysfunction by regulating the NF-κ B signaling pathway
Li et al. Codonopis bulleynana Forest ex Diels (cbFeD) effectively attenuates hepatic fibrosis in CCl4-induced fibrotic mice model
Kassaee et al. Ameliorative effect of Trigonella foenum graecum l. On lipid profile, liver histology and ldl-receptor gene expression in high cholesterol-fed hamsters
Omar et al. Metformin versus silymarin as hepatoprotective agents in mice fibrotic model caused by carbon tetrachlor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