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634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634B1
KR101973634B1 KR1020120092116A KR20120092116A KR101973634B1 KR 101973634 B1 KR101973634 B1 KR 101973634B1 KR 1020120092116 A KR1020120092116 A KR 1020120092116A KR 20120092116 A KR20120092116 A KR 20120092116A KR 101973634 B1 KR101973634 B1 KR 101973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us
mobile terminal
gesture
displa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6711A (ko
Inventor
김융
이서연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2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634B1/ko
Priority to US13/961,212 priority patent/US20140055427A1/en
Publication of KR20140026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7Pen manipulated menu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 및 스타일러스의 바디 및 상기 스타일러스의 팁(tip)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타일러스를 통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제스쳐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타일러스를 통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제스쳐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하여, 이동 단말기를 보다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타일러스를 통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제스쳐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하여, 이동 단말기를 보다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단말기에는 스타일러스(stylus)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보다 정밀한 터치동작을 수행할 수 잇다.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를 통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제스쳐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하여, 이동 단말기를 보다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및 스타일러스의 바디 및 상기 스타일러스의 팁(tip)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타일러스를 통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제스쳐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및 스타일러스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대 위치 및 상기 스타일러스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엑티브 상태, 딤 상태, 락 상태, 스탠바이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스타일러스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타일러스의 디스플레이 접촉 여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디스플레이이 접촉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회득한 사용자의 제스쳐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스타일러스를 통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제스쳐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하여, 이동 단말기를 보다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스타일러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 스타일러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 스타일러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도 6 스타일러스의 통상적인 사용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은 도 6 스타일러스에 대한 다양한 제스쳐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21은 도 1 이동 단말기와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6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대한 제스쳐 동작에 따른 잠금해제 관련 기능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29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대한 제스쳐 동작에 따른 삭제 관련 기능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내지 도 34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대한 제스쳐 동작에 따른 메모 관련 기능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 내지 도 39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대한 제스쳐 동작에 따른 스크롤 관련 기능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대한 푸쉬 동작에 따른 기능 선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1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대한 러빙(rubbing) 동작에 따른 기능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2 내지 도 44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와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에 따른 기능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 및 도 46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따른 기능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 내지 도 50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대한 쉐이킹(shaking) 동작에 따른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1 및 도 52는 도 1 이동 단말기에 콜(call)이 수신된 경우의 스타일러스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3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를 사용한 문자체의 보정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4 내지 도 56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와 관련된 일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7 내지 도 59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와 관련된 다른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0 내지 도 62는 도 1 이동 단말기와 특정 스타일러스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c 및 도 2d는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부(151)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물리적으로 표시패널들이 분할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바디가 힌지나 슬라이드로 체결된 폴더형 또는 슬라이드형 이동 단말기에서, 제 1디스플레이부(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어느 한 바디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부(또는 보조 디스플레이부, 외부 디스플레이부)는 다른 바디의 내부면이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부는 이동 단말기와 분리된 디스플레이부로써, 이동 단말기 바디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도 2c와 같이 표시패널 내에서 논리적으로 분할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근접 센서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도 3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개의 이동단말기들(100), 다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 270),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275), 및 모바일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s; MSCs, 280)을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퍼블릭스위치텔레폰네트워크(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 PSTN, 29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은 백하울 라인들(backhaul lines)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들(270)에 연결된다. 상기 백하울 라인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E1/T1, ATM, IP, PPP,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두 개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들(275)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 기지국(270)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섹터들(sectors)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omnidirectional antenna) 또는 상기 기지국(270)으로부터 특정한 방사방향으로 조정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각각의 섹터는 다이버시티수신(diversity reception)용 안테나 두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270)은 다수개의 주파수 할당들(frequency assignments)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파수 할당들은 특정 스펙트럼(예를들어, 1.25MHz, 5Mhz)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인터섹션(intersection)은 CDMA 채널로 칭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들(27)은 또한 기지국 트랜스시버 서브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s; BTSs)으로 칭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기지국 제어기(275)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들(270)을 집합적으로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들은 또한 "셀 사이트"라고 표기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주어진 기지국(270)의 개별적인 섹터들이 셀 사이트들로 일컬어질 수 있다.
지상파 DMB 송신기(295)는 상기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이동단말기들(100)에 방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방송수신모듈(111)은 일반적으로 상기 DMB 송신기(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른 타입의 방송 및 멀티캐스트 시그널링(broadcast and multicast signaling)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여러가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들(300)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위성들(300)은 몇몇 또는 모든 이동단말기들(1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두개의 위성들이 도시되었으나, 위치정보는 그보다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위성들로부터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다른 타입의 위치추적기술(예를 들어, GPS 기술을 대신하거나 또는 그에 더하여 사용될 수 있는 위치추적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몇몇 또는 모든 상기 GPS 위성들(300)은 별도로 또는 부가적으로 위성 DMB 전송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작동중에, 상기 기지국들(270)은 여러개의 이동단말기들(100)로부터 역방향 링크 신호들(reverselink signals)을 수신한다. 상기 이동단말기들(100)은 통화 중이거나, 메시지를 보내고 있거나, 그리고 다른 통신을 수행 중일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역방향 링크 신호는 상기 기지국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된 데이타는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 제어기(275)로 전송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275)는 콜 리소스 할당(call resource allocation)을 제공하며, 그리고 기지국들(270) 사이의 소프트 통화채널전환(soft handoffs)의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을 포함하는 이동관리기능(mobility management functionality)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는 또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MSCs, 280)로 전송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상기 퍼블릭스위치텔레폰네트워크(PSTN, 290)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추가적인 루팅 서비스들(routing services)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상기 퍼블릭스위칭텔레폰네트워크(290)는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와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과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은 차례로 상기 기지국들(270)을 제어하여 순방향 링크 신호들을 상기 이동단말기들(100)로 전송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이동 단말기(100, 100a)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통상적인 형태의 디스플레이(151)가 마련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한 손으로 디스플레이(151)를 터치할 수 있는 크기 정도의 이동 단말기(100)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a)는 통상적인 경우보다 큰 형태의 디스플레이(151a)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a)를 파지한 손 만으로는 디스플레이(151a)를 터치할 수 없는 크기 정도의 이동 단말기(100a)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스타일러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바디 내부에 스타일러스(10)가 수납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일 측에는 스타일러스(10)가 수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측에 수납되었던 스타일러스(10)는, 사용자의 동작 등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 바디에 마련되어 있던 스타일러스결합공(20)에 삽입되어 있던 스타일러스(10)가, 스타일러스결합공(20)에서 분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로 인출된 스타일러스(1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5 스타일러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스타일러스(10)는, 바디(15)와, 바디(15)의 일 끝단 측의 팁(11, tip)과, 팁(11)의 타 끝단 측의 후방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5)는,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게 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통상적인 사용환경에 있을 때,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바디(15)를 파지하여 스타일러스(10)를 조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디(15)는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팁(11)은, 스타일러스(10)가 디스플레이(151)에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통상적인 사용환경에 있을 때, 바디(15)를 파지한 사용자는 팁(11)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151)와 접촉되는 팁(11)은,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재질의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방부(17)는, 스타일러스(10)의 상측 끝단일 수 있다. 후방부(17)를 통하여, 스타일러스(10)가 이동 단말기(100)의 바디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결합공(20)에 스타일러스(10)를 삽입하면, 후방부(17)의 형상에 의하여, 스타일러스(10)가 바디에 걸림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은 도 6 스타일러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10)는, 제어부(21)와, 무선통신부(31)와, 센싱부(41)와, 배터리(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는, 스타일러스(10)의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스타일러스(10)의 각 부분을 제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무선통신부(31)는, 스타일러스(10)가 외부의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31)는,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으로 구성되어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센싱부(41)는,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쳐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41)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하는 자세감지센서, 스타일러스(10)의 특정 지점에 대한 사용자 손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 스타일러스(10)의 바디(15) 중 특정 지점에 위치한 버튼식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센싱부(41)를 통하여,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쥐거나, 특정 방향으로 향하게 하거나, 흔드는 등의 제스쳐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배터리(51)는, 제어부(21)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10) 각 부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51)에 대한 충전은, 스타일러스(10)를 스타일러스결합공(20)에 결합시키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터리(51)에 대한 충전은,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와 스타일러스(10)에 상호 대응된 단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무선으로 스타일러스(10)의 배터리(51)가 충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쳐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는 단계(S10)가 진행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10)는, 센싱부(41)를 통하여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바닥에 상태인지, 스타일러스(10)를 들고 사용을 준비하고 있는 상태인지, 스타일러스(10)를 바르게 들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151)에 스타일러스(10)의 팁(11)이 접촉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한 통삭적인 동작은, 디스플레이(151)에 스타일러스의 팁(11)이 접촉되며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1)에 팁(11)이 접촉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접촉 사실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151)에 팁(11)이 접촉되면, 접촉 지점을 산출(S30)하여 접촉 지점에 궤적을 표시(S40)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접촉 지점은, 디스플레이(151) 평면 상의 일 지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 평면 상의 일 지점이 접촉되면, 제어부(180)는 그 사실을 반영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51)에 그에 대응된 궤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팁(11)이 이동하는 궤적을 따라 실선을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151)에 팁(11)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스타일러스(10)의 현 상태를 산출(S50)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10)의 현 상태는, 센싱부(41)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10)를 들고 있는가 여부, 스타일러스(10)가 어떠한 상태로 들려 있는가 여부 등이 센싱부(41)를 통하여 감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현 상태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S60)가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를 파지된 상태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제스쳐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제스쳐를 통하여,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한 사용자의 의사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디스플레이(151)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글씨는 쓰는 듯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밑그림을 스케치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펜을 돌리는 동작(pen spinning)과 같이 스타일러스(10)를 돌리는(stylus spinning) 제스쳐를 취하는 경우에는, 표시된 화면을 전환(screen changing)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51)에 대한 정밀한 터치동작의 감지수단이라는 종래의 스타일러스(10)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도 9는 도 6 스타일러스의 통상적인 사용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1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입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타일러스(10)의 팁(11)이 접촉된 디스플레이(151)의 특정 지점을 가압하면, 디스플레이(151)의 터치센서가 그 지점을 감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손가락 보다 폭이 좁은 스타일러스(10)의 팁(11)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보다 정밀한 입력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도 6 스타일러스에 대한 다양한 제스쳐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10)는,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에 가하는 다양한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쳐는,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쳐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10)는, 제1 위치(P1), 제2 위치(P2) 또는 제3 위치(P3)에 있을 수 있다. 제1 위치(P1)는, 스타일러스(10)가 지면 내지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에 대하여 수직 상태에 있는 위치일 수 있다. 제2 위치(P2)는, 스타일러스(10)가 지면 내지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 있는 위치일 수 있다. 제3 위치(P3)는, 스타일러스(10)가 지면 내지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에 대하여 나란하게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 있는 위치일 수 있다.
제어부(21)는, 센싱부(41)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스타일러스(10)가 어떠한 위치에 있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스타일러스(10)의 위치에 따라서, 사용자의 의도가 추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10)가 제2 위치(P2)에 위치하는 경우라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하여 입력을 수행하고자 하는 상태로 추정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10)가 제3 위치(P3)에 위치하는 경우라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한 입력을 중단하고자 하는 상태로 추정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10)가 제1 내지 3위치(P1 내지 P3) 중 특정 위치에 있을 때, 제어부(21)는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P1)에 있을 때는 제1 신호(S1), 제2 위치(P2)에 있을 때에는 제2 신호(S2), 제3 위치(P3)에 있을 때에는 제3 신호(S3)를 생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타일러스(10)의 제어부(21)에서 생성된 제1 내지 3 신호(S1 내지 S3)는 무선통신부(3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전송받은 신호에 기초하여 스타일러스(10)에 대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제스쳐를 취하였는가 판단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스타일러스(10)에 대한 다양한 제스쳐 동작을 예시하고 있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의 팁(11)이 하방을 향하도록 손(H)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는 제스쳐를 취할 수 있다.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의 팁(11)이 상방을 향하도록 손(H)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는 제스쳐를 취할 수도 있다. 즉, 스타일러스(10)의 후방부(17)가 하방을 향하도록 손(H)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한느 제스쳐를 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를 돌리는 제스쳐를 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펜 돌리기 동작과 같이 스타일러스(10)를 돌리는 제스쳐를 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의 바디(15)를 쓰다듬는 제스쳐(rubbing gesture)를 취할 수 있다. 즉, 바디(15)의 길이방향으로 손가락(F)을 움직이여 접촉지점이 연속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제스쳐를 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10)에는 버튼(19)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19)을 가압하는 푸쉬 제스쳐(push gesture)를 취할 수 있다.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를 흔드는 제스쳐(shaking gesture)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목의 스냅을 이용하여 전후 방향으로 스타일러스(10)를 흔드는 제스쳐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5 내지 도 21은 도 1 이동 단말기와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쳐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서 스타일러스(10)를 놓아두는 위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10)를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 상에 놓거나,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옆에 놓을 수 있다.
스타일러스(10)의 위치는, 이동 단말기(100)의 센싱부(도 1의 140), 스타일러스(10)에 내장된 센싱부(도 7의 41) 및/또는 무선 통신부(도 7의 31) 등을 통하여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10)가 디스플레이(151) 위에 놓여진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00) 디스플레이(151)의 터치센서를 통해서 그 사실이 감지될 수 있다. 나아가, 스타일러스(10)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임에도 디스플레이(151)의 터치센서를 통하여 압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가 디스플레이(151)를 벗어난 위치에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의 위치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가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엑티브(active) 상태, 딤(dim) 상태, 락(lock) 상태, 스탠바이(standby) 상태를 포함하는 특정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엑티브 상태는, 이동 단말기(100)가 활성화되어 통상적인 사용이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딤 상태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일정시간 없어 백라이트(미도시)가 소등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일정 시간 입력되지 않으면, 백라이트(미도시)를 소등하여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락 상태는,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접근이 제한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이동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경우, 오조작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락 스크린(lock screen)이 표시될 수 있다. 락 스크린 상에서 일정한 조작을 수행한 경우에,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엑티브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스탠바이 상태는, 상당시간 이상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 디스플레이(151)가 OFF 되는 등 최소한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상태일 수 있다. 스탠바이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 버튼 등을 조작하면, 백라이트(미도시)가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락 상태를 거치지 않고 스탠바이 상태에서 엑티브 상태로 바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락 스크린을 해제하기 위한 추가적인 동작이 필요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이동 단말기(100)가 특정한 상태를 다음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1 시점까지 이동 단말기(100)는 엑티브 상태에 있을 수 있다.
t1 시점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딤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조작이 일정 시간 이상 없어 t1 시점에 딤 상태에 진입하게 됨을 의미한다.
t2 시점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스탠바이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 전원이 OFF 된 상태에 진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3 시점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락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버튼이 조작되어 디스플레이(151)가 ON 되었으나, 락 스크린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t4 시점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엑티브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즉, t4 시점에서 사용자가 락 스크린을 해제하였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상태를 반드시 거쳐 상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원버튼을 직접 조작하지 않는다면, 엑티브 상태에서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딤 상태를 거쳐야 한다. 또한, 스탠바이 상태에서 엑티브 상태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락 상태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스탠바이 상태에서 엑티브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의 락 상태는, 사용자가 전원버튼을 조작하여 이동 단말기를 ON 시킨 경우에도 거치는 상태이이다. 현 상태에서 최종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특정 중간 상태를 거쳐야 하는 경우가 있는 관계로,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추가의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t5 시점에 엑티브 상태에서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딤 상태를 거치지 않고 엑티브 상태에서 스탠바이 상태로 바로 전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엑티브 상태에서 스탠바이 상태로의 직접전환은,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 동작이 있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 상에 내려놓는 제스쳐를 취하는 경우에 엑티브 상태에서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t6 시점에 스탠바이 상태에서 엑티브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락 상태를 거치지 않고 스탠바이 상태에서 엑티브 상태로 바로 전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탠바이 상태에서 엑티브 상태로의 직접전환은,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 동작이 있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이동 단말기(100)의 옆에 내려놓는 제스쳐를 취하는 경우에 스탠바이 상태에서 엑티브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t7 시점에 엑티브 상태에서 딤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엑티브 상태에서 딤 상태로의 전환은,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 동작이 있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하였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딤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 아니라, 스타일러스(10)에 대한 특정 제스쳐 동작이 있는 경우에 딤 상태로 전환될 수 있음을 의미하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엑티브 상태에서 딤 상태로의 전환은, 스타일러스(10)를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에 내려놓는 제스쳐를 취하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술한 엑티브 상태에서 스탠바이 상태로의 전환과는 다른 제스쳐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취하는 제스쳐 동작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를 명확히 반영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보다 직관적이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t8 시점에 딤 상태에서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t9 시점에 스탠바이 상태에서 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락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 락 스크린이 표시될 수 있다. 락 스크린의 표시는,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제스쳐에 다라 다르게 표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이러스(10)를 파지한 방향에 대응되도록 락 스크린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락 스크린의 해제가 보다 편리해질 수 있다.
t10 시점에 엑티브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스타일러스(10) 등을 사용하여 락 스크린을 해제하여, 엑티브 상태로 전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을 수행하던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를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 외의 영역에 내려놓는 제스쳐를 수행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10)가 디스플레이(151) 외의 영역에 내려졌다는 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10)의 센싱부(도 7의 41) 및/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센싱부(도 1의 140) 등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 외의 영역에 스타일러스(10)가 내려졌다는 사실이 감지되면, 이동 단말기(100)가 딤 상태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1)를 조명하는 백라이트(미도시)를 OFF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딤 상태로 진입하는 시점이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진 시점과는 관계 없을 수 있다. 종래의 경우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조작이 일정시간 없는 경우에 딤 상태로 진입하는 것이 아닐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쳐 동작에 의하여 딤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딤 상태에 진입하기 전까지 일정 시간 동안 백라이트(미도시)를 ON 하기 위하여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더 이상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지 않을 것이라는 사용자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를 디스플레이(151) 상에 내려놓는 제스쳐를 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 상에 스타일러스(10)가 내려지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가 스탠바이 상태에 진입되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에, 스탠바이 상태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딤 상태에서 추가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전원버튼을 선택하는 동작이 필요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 의하면, 추가의 시간경과나 별도의 동작 없이도 스탠바이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나아가, 스탠바이 상태의 진입이, 사용하고 있던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제스쳐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보다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 상에 스타일러스(10)가 올려지는 제스쳐가 있는 경우에,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가 스탠바이 상태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바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여 들어 올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스타일러스(10)의 팁(11)이 디스플레이(151)를 향하도록 파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이용하여 특정한 동작을 수행할 것을 예측할 수 있는 제스쳐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10)가 들여올려지는 제스쳐를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가 엑티브 상태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락 상태를 거치지 않고, 스탠바이 상태에서 엑티브 상태로 바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점은, 스타일러스(10)를 들어 올리는 제스쳐를 취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한 것일 수 있다. 사용자의 의도에 기초해 추가적인 다른 조작 없이 이동 단말기(100)를 즉시 사용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직관적이고 즉각적인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6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대한 제스쳐 동작에 따른 잠금해제 관련 기능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쳐에 대응한 락 스크린 해제화면(UP)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는 제스쳐를 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면,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한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파지된 스타일러스(10)가 어느 지점을 지향하고 있는가 여부를 알 수 있다. 스타일러스(10)의 팁(11)이 디스플레이(151)에 직접 접촉되지 않은 상태라고 하더라도, 제어부(180)는 파지한 상태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에 락 스크린 해제화면(UP)을 표시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한 제스쳐를 통해서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자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는 알 수 있다. 따라서 락 스크린 해제화면(UP)을 스타일러스(10)의 팁(11)의 근방에 표시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는 위치를 변경하면 락 스크린 해제화면(UP)의 위치도 그에 대응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면, 숏컷아이콘(SI)이 표시될 수 있다. 숏컷아이콘(SI)은, 락 화면에 대한 해제동작 없이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된 아이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인팅 기능에 대응된 제1 숏컷아이콘(SI1), 메모 기능에 대응된 제2 숏컷아이콘(SI2)이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면, 다른 종류의 숏컷아이콘(SI)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의 숏컷아이콘(SI)은, 이동 단말기(100)가 스탠바이 상태 내지 락 상태에 진입하기 전에 수행된 특정 기능에 대응된 아이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기능의 사용 중에 스탠바이 상태 내지 락 상태에 진입한 경우라면, 사용하던 메모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숏컷아이콘(SI)일 수 있다.
도 2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표시된 숏컷아이콘(SI)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숏컷아이콘(SI)을 선택하면, 락 스크린 해제화면(UP)에 대한 별도 선택동작 없이 이동 단말기(100)가 기 실행되었던 메모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9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대한 제스쳐 동작에 따른 삭제 관련 기능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를 거꾸로 드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대응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를 거꾸로 파지하는 제스쳐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스타일러스(10)의 팁(11)이 후방을 향하고 후방부(17)가 디스플레이(151)를 향하도록 파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타일러스(10)를 거꾸로 파지하는 제스쳐는, 후단에 지우개가 부착된 연필을 거꾸로 드는 동작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연필로 기재한 내용을 삭제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사가 있음을 의미한다.
도 2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거꾸로 파지한 스타일러스(10)로 기 입력한 문장을 지우는 제스쳐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영역에서 좌우 내지 상하로 움직이는 삭제 제스쳐(EC)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삭제 제스쳐(EC)를 수행하면, 제어부(180)는 그에 대응된 영역의 표시를 제거할 수 있다.
도 2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거꾸로 파지한 스타일러스(10)를 디스플레이(151)의 특정 지점에 터치하는 제스쳐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점을 후방부(17)로 롱터치하는 제스쳐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지점을 후방부(17)로 롱터치하는 제스쳐를 수행하면, 디스플레이(151)의 기재가 한 번에 삭제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4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대한 제스쳐 동작에 따른 메모 관련 기능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는 특정한 화면을 표시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배경화면을 표시하고 있을 수 있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들어 디스플레이(151)에 접근하면, 제어부(180)는 퀵메모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메모기능에 대한 선택 등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하여 메모를 기재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10)를 들어 디스플레이(151)에 접근하는 제스쳐를 수행하면, 퀵메모기능이 실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한 메모기능은, 팁(11)에 의하여 터치포인트(TP)로 인식된 지점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와 스타일러스(10)의 팁(11)이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퀵메모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거리(D1)까지 팁(17)이 디스플레이(151)에 접근하면, 퀵메모기능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거리(D2)까지 팁(17)이 디스플레이(151)에 접근한 상태가 되면, 팁(17)이 이동하는 제스쳐에 대응되는 궤적이 메모판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즉, 팁(17)과 디스플레이(151)가 접촉된 상태 및/또는 일정거리 이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메모기능이 수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U1)는 제2 사용자(U2)의 영상을 카메라(121‘)를 사용해 촬영할 수 있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U2)를 촬영하는 제1 사용자(U1)는,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하여 촬영된 또는 촬영 중인 영상에 원하는 내용을 기재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재한 메모는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메모는 영상의 태그(tag)로 사용되거나, 저장되는 영상의 파일네임(file name)으로 사용되거나, 영상에 이미지로 저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5 내지 도 39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대한 제스쳐 동작에 따른 스크롤 관련 기능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0)를 돌리는 제스쳐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 돌리기(pen spinning) 동작과 같이, 손(H) 위에서 스타일러스(100)를 회전시키는 제스쳐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B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A, C, D는 현재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표시된 B 이미지의 전, 후 이미지일 수 있다.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를 손(H) 위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10)가 회전되면, 디스플레이(151)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 이미지에서 C 이미지로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에 다시 최초의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타일러스(10)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서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웹페이지(WP)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웹페이지(WP)는 스크롤링 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롤링바(IC)를 직접터치하여 웹페이지(WP)를 스크롤링 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제스쳐를 통하여서도 웹페이지(WP)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도 3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10)가 회전되면,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의 회전에 대응되도록 웹페이지(WP)를 스크롤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스타일러스(10)를 반대로 회전하면, 웹페이지(WP)가 반대로 스크롤링될 수도 있다.
도 40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대한 푸쉬 동작에 따른 기능 선택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에 마련된 버튼을 조작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10)에 마련된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면 제1 기능을 수행하고, 누르는 동작을 해제하면 제2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기능은, 예를 들어, 퀵메모의 실행과 연관될 수 있다. 즉, 버튼을 누르면 퀵메모가 실행되고, 버튼을 놓으면 퀵메모가 사라지는 동작이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1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대한 러빙(rubbing) 동작에 따른 기능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를 문지르는 제스쳐에 대응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는 일정한 밝기 및/또는 색상으로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의 바디를 쓰다듬는(rubbing) 제스쳐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F)을 바디의 상하로 움직이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10)를 쓰다듬는 제스쳐를 수행하면, 제어부(180)는 그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151)의 밝기 및/또는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1)가 밝아지거나 어두워지거나, 색상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쓰다듬는 제스쳐의 정도에 따라 변화가 연속적(line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2 내지 도 44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와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에 따른 기능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와 스타일러스(10)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표시된 궤적의 두께(thinckness), 명암(brightness), 표시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한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와 디스플레이(151) 사이의 거리(D)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1)에서 스타일러스(10) 사이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부터 디스플레이(151)와 스타일러스(10)가 접촉된 상태 중 특정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도 4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시점에 디스프렐이(151)에는 궤적들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P1-P2 궤적은, 스타일러스(10)와 디스플레이(151)가 이격된 상태에서 수행된 제스쳐에 대응된 궤적일 수 있다. P3-P4 궤적은, 스타일러스(10)와 디스플레이(151)가 접촉된 상태에서 수행된 제스쳐에 대응된 궤적일 수 있다. P1-P2 궤적과 P3-P4 궤적은, 최초에 표시되는 순간에도 두께, 명암 등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P1-P2 궤적보다 P3-P4 궤적이 보다 진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4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격된 상태에서 표시된 P1-P2 궤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점차 흐려질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P1-P2 궤적이 일정 시간 이후에 디스플레이(151)에서 완전히 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51)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타일러스(10)를 움직여 이미지를 스케치한 이후에, 스케치한 궤적을 따라 스타일러스(10)를 움직여 원하는 터치궤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스케치한 이미지가 사라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궤적을 얻을때까지 부담없이 스케치 제스쳐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10)와 디스플레이(151) 간의 직접 터치에 의한 제1 궤적(TT)은 시간의 경과와 관계없이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스타일러스(10)와 디스플레이(151 간에 직접적인 터치 없이 표시된 제2 궤적(UT)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궤적(UT)는 일정 시간 이후에는 디스플레이(151)에서 사라질 수 있다.
도 45 및 도 46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따른 기능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도록 표출하는 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메모(EA)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를 디스플레이(151)의 일 측에 내려놓은 제스쳐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의 어느 위치에 스타일러스(10)가 놓여졌는가를 감지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10)의 위치를 감지한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와 중첩되지 않도록 메모(EA)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의 위치가 변경되면 표시된 정보의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도 4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10)가 제거되면, 표시된 정보는 다시 최초의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7 내지 도 50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대한 쉐이킹(shaking) 동작에 따른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0)를 흔드는 제스쳐에 대응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파지한 스타일러스(10)를 상하 방향으로 흔드는 제스쳐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스타일러스(10)가 지향하는 방향은, 흔드는 위치에 따라서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도 4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10)를 쉐이킹하는 제스쳐에 대응하여, 제어부(1800는 제1,2 위치(P1, P2)에 제1,2 아이콘(I1, I2)을 표시할 수 있다. 제1,2 아이콘(I1, I2)은,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기능에 대응된 아이콘(I)일 수 있다. 제1,2 아이콘(I1, I2)은,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며 표시되어 흔드는 제스쳐에 대응되어 표시되었다는 점을 보다 명확히 표현할 수 있다.
도 4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10)를 쉐이킹하는 제스쳐에 대응한 아이콘(I)은 일정한 크기로 표출될 수도 있다.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10)를 쉐이킹하는 제스쳐를 수행하면, 스타일러스(10)로 수행한 최근의 기능에 대응된 제3 아이콘(I3)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10)를 흔드는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180)는 다른 디바이스(200)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한 다른 디바이스(200) 상에서 스타일러스(10)르 흔드는 동작을 수행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그 다른 디바이스(200)로 이동 단말기(100)의 특정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제스쳐가 정보를 송신할 대상을 특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1 및 도 52는 도 1 이동 단말기에 콜(call)이 수신된 경우의 스타일러스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콜이 수신된 경우에 그에 대응된 특정 동작이 스타일러스(10)에서 수행되도록 하거나,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제스쳐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콜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가 진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동알림은, 도시한 바와 같이 콜이 수신되었음이 이동 단말기(100)에서 소리 내지 진동으로 표현되는 경우 뿐 아니라, 이동 단말기(100)가 무음 상태인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가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있는 경우에도 콜이 수신되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회전하는 제스쳐를 수행하면, 제어부(180)는 수신한 콜에 대하여 일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무음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거나, 콜을 수신하거나, 콜을 거절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콜을 거절하는 등의 동작을 스타일러스(10)로 수행하면, 해당 콜에 대한 정보가 스타일러스(10)에만 저장될 수도 있다. 즉, 숨기고 싶은 콜 등에 대한 정보가 스타일러스(10)에만 저장되고,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 동작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표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3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를 사용한 문자체의 보정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로 기재한 문자체를 보정할 수 있다.
도 5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하여 문자(TT)를 입력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하여 입력한 문자(TT)는 스타일러스(10)의 크기에 따른 그립감의 이유 등에 의하여 적절치 않게 표시될 수 있다.
도 5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하여 입력된 문자(TT)를 인식하여 보정된 문자(CTT)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스타일러스(10)로 입력된 문자(TT)를 보기 좋은 형태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4 내지 도 56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와 관련된 일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였는가 여부 등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H)으로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고 있을 수 있다.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고 있으면, 이동 단말기(100)는 그 사실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10)의 센싱부(도 7의 41)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신호 등에 기초하여 파지사실을 감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타일러스(10)가 파지된 상태가 유지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가 ON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한 상태라면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즉시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가 특정 상태에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는, 사용 중에는 ON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백라이트(back light)가 켜져 있는 상태에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입력이 일정 시간 이상 없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는 DIM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이 일정 시간 이상 없는 t1 시점에서 백라이트가 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t1 시점에서 다시 사용자의 입력이 일정 시간 이상 없으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51)는 OFF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이 일정 시간 이상 없는 t2 시점에서 디스플레이(151)가 완전히 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151)의 상태변화는 SL1 로 표시된 궤적을 따라 표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가 파지된 상태에서는, 위와 같은 통상적인 동작과 다르게 디스플레이(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가 파지된 상태에서는, SL2 및/또는 SL3로 표시된 궤적을 따라 디스플레이(151)의 상태가 변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타일러스(10)가 파지된 상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할 의사가 있는 상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를 ON 상태로 유지하거나 백라이트만 꺼진 DIM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도 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디스플레이(151)가 OFF 된 상태에서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면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FF된 상태에서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한 t1 시점에서 READY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READY 상태는, 예를 들어 백라이트가 꺼져 있는 DIM 상태일 수 있다. 또는, READY 상태는,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가 ON 되는 상태일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사용자 눈의 지향 방향 및/또는 스타일러스(10)의 조작 등을 촬영하는 카메라(121)가 ON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READY 상태에서, 스타일러스(10)를 움직이는 t2 시점에 ON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까지 ON 되어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손(H)으로 파지하면, 디스플레이(151)가 ON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도 5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ON 상태에 진입함과 함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스타일러스(10)를 이용하여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대기 상태로 준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하여 메모를 기재할 수 있는 메모어플리케이션(MA)을 디스플레이(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7 내지 도 59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와 관련된 다른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면 터치패드(TP)의 버튼을 디스플레이(151)에 표시하여, 관련 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따.
도 5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베젤(BZ)에는 터치패드(TP)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51) 외의 영역에 사용자로부터 터치입력을 받을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터치패드(TP)에는 서로 독립된 몇 개의 버튼이 위치할 수 있다. 각 버튼은, 특정 기능에 대응된 핫키(hot key)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으로의 이동 기능, 되돌아가기 기능 등에 연결되어 있는 버튼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면, 디스플레이(151)에는 터치패드(TP)의 버튼에 대응된 버튼영역(TPA)이 표시될 수 있다. 터치패드(TP)의 버튼은,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하여 선택하기 곤란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151)에 비하여 터치감도가 낮은 터치패드(TP)의 경우는, 손가락 보다 얇은 스타일러스(10)를 이용한 터치를 감지할 수 없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동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버튼영역(TPA)를 표시하여,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한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하여, 버튼영역(TPA)의 특정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영역(TPA)은, 스타일러스(10)의 파지 여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고 있는 t1 에서 t2 및 t3 이후에만 버튼영역(TPA)이 표시되고,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지 않고 있는 0 에서 t1 및 t2 에서 t3 사이에는 버튼영역(TPA)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하여 버튼영역(TPA)을 드래그하는 등의 터치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영역(TPA)의 특정 버튼을 선택하면 그 버튼에 대응된 기능이 실행되고, 버튼영역(TPA)을 드래그하면 드래그된 버튼의 갯수 등에 기초하여 그에 대응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를 사용하여 터치패드(TP)를 드래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패드(TP)의 특정 버튼을 터치하는 동작은 터치 입력이 약해서 인식되지 못할 수 있지만, 터치패드(TP)를 드래그 하는 동작은 상대적으로 터치 입력이 강하여 인식될 수 있다. 터치패드(TP)가 드래그되는 동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그에 대응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0 내지 도 62는 도 1 이동 단말기와 특정 스타일러스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와 스타일러스(10) 간의 관계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근방에는 제1,2 스타일러스(10a, 10b)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에 기 등록된 특정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반응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타일러스(10a)는 등록된 스타일러스이고 제2 스타일러스(10b)는 등록되지 않은 스타일러스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스타일러스(10a)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쳐 동작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조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타일러스(10)의 등록은, NFC 통신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스타일러스(10)를 이동 단말기(100)에 접근시키는 동작이 이루어지면 그 스타일러스(10)가 등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6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10)로 이동 단말기(100)의 베젤(BZ)을 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10)로 베젤(BZ)을 수 회 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타일러스(10)로 베젤(BZ)을 치는 동작이 수행되는가 여부는, 스타일러스(10)의 센싱부(도 7의 41)을 통하여 획득되는 신호 및/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센싱부(도 1의 140)를 통하여 감지될 수 있다.
도 6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10)로 베젤(BZ)을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그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젤(BZ)을 2회 치는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라면, 메모어플리케이션(MP)을 실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베젤(BZ)에 대한 터치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도 6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에는 카메라(121)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121)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및/또는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E)에 대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주시하고 있는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고 있는가 여부 및/또는 스타일러스(10)에 제스쳐를 가하고 있는가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눈(E) 및/또는 스타일러스(10)에 대한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180)는 그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른 곳을 보고 있는 경우에는 스타일러스(10)를 통한 입력이 중지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0)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 따라서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및
    스타일러스의 바디 및 상기 스타일러스의 팁(tip)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타일러스를 통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제스쳐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가 엑티브 상태, 딤 상태, 락 상태, 스탠바이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하며,
    상기 스타일러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내려놓는 제스쳐를 획득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스탠바이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스탠바이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는 제스쳐를 획득하면, 상기 팁의 지향방향에 대응된 위치에 락 스크린 해제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타일러스를 사용하여 상기 엑티브 상태에서 상기 스탠바이 상태 또는 상기 스탠바이 상태에서 상기 엑티브 상태로, 상기 딤 상태와 상기 락 상태를 거치지 않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타일러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이외의 영역에 내려놓는 제스쳐를 획득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딤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는 제스쳐를 상기 딤 상태에서 획득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엑티브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탠바이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는 제스쳐를 획득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엑티브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팁의 지향방향이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지향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락 스크린 해제 화면의 위치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탠바이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는 제스쳐를 획득하면, 락 스크린에 대한 해제동작 없이 엑티브 상태에 진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숏컷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타일러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스타일러스에 대한 제스쳐에 대응하여 표시한 궤적의 두께(thickness), 명암(brightness), 표시시간 등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타일러스의 위치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영상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삭제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는,
    상기 팁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하도록 상기 스타일러스를 파지하는 제스쳐, 상기 팁이 타 끝단측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하도록 상기 스타일러스를 파지하는 제스쳐, 상기 스타일러스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스쳐(spinning gesture), 상기 스타일러스를 흔드는 제스쳐(shaking gesture), 상기 스타일러스를 문지르는 제스쳐(rubbing gesture), 상기 스타일러스에 마련된 버튼을 누르는 제스쳐(pushing gesture) 중 적어도 하나의 제스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20092116A 2012-08-23 2012-08-23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73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116A KR101973634B1 (ko) 2012-08-23 2012-08-23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3/961,212 US20140055427A1 (en) 2012-08-23 2013-08-07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116A KR101973634B1 (ko) 2012-08-23 2012-08-23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711A KR20140026711A (ko) 2014-03-06
KR101973634B1 true KR101973634B1 (ko) 2019-04-29

Family

ID=5014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116A KR101973634B1 (ko) 2012-08-23 2012-08-23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55427A1 (ko)
KR (1) KR1019736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834A1 (ko) * 2020-11-27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에어 포인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573A (ko) * 2012-12-31 2014-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160923B1 (en) * 2013-07-15 2015-10-13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information display using optical data
WO2015126987A1 (en) * 2014-02-18 2015-08-27 Merge Labs, Inc. Head mounted display goggles for use with mobile computing devices
KR20150135820A (ko) * 2014-05-26 2015-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320579A (zh) 2014-10-22 2015-01-28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拍照装置及方法
WO2016064106A1 (ko) 2014-10-22 2016-04-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US10042439B2 (en) * 2014-12-11 2018-08-07 Micros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ractive stylus and display device
CN105094679B (zh) * 2015-08-20 2018-10-16 北京锤子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锁屏界面的对象浏览方法及终端设备
US20170329952A1 (en) * 2016-05-13 2017-1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sual Digital Ink Applications
JP6087468B1 (ja) * 2016-09-21 2017-03-0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KR20180040985A (ko) * 2016-10-13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6778125A (zh) * 2016-11-25 2017-05-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解锁方法、装置和设备
US10496190B2 (en) 2017-01-25 2019-12-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draw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pen proximity
JP6562007B2 (ja) * 2017-01-30 2019-08-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ペン型入力装置及び表示入力システム
WO2019061222A1 (zh) * 2017-09-29 2019-04-04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多媒体内容播放控制方法、终端、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
US11023055B2 (en) * 2018-06-01 2021-06-0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n electronic device interacting with a stylus
KR102506158B1 (ko) 2018-07-30 202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76127B1 (ko) * 2018-08-08 2022-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11314288B2 (en) * 2018-11-30 2022-04-26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stylus dock
CN109710064B (zh) * 2018-12-12 2022-05-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装置、手指套、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20200115889A (ko) * 2019-03-28 2020-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펜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을 실행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14397A (ko) * 2019-07-30 202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제스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43600A (ko) * 2020-09-29 202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20048305A (ko) * 2020-10-12 2022-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바이스의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JP2022104105A (ja) * 2020-12-28 2022-07-08 日本電産株式会社 入力デバイス、及び、表示入力システム
CN116247766A (zh) * 2021-03-15 2023-06-09 荣耀终端有限公司 无线充电系统、芯片和无线充电电路
CN113835555A (zh) * 2021-09-22 2021-12-2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触控屏调节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20230352808A1 (en) * 2022-04-28 2023-11-02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n antenna window size and enhancing a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and perform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6974A1 (en) * 2001-07-03 2003-01-09 James Clough Methods and systems for increasing the input efficiency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other handheld stylus-engagable comput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8902B2 (en) * 2002-07-30 2006-06-06 Microsoft Corporation Enhanced on-object context menus
US7137076B2 (en) * 2002-07-30 2006-11-14 Microsoft Corporation Correcting recognition results associated with user input
US20050024346A1 (en) * 2003-07-30 2005-02-03 Jean-Luc Dupraz Digital pen function control
US7317449B2 (en) * 2004-03-02 2008-01-08 Microsoft Corporation Key-based advanced navigation techniques
US20080238887A1 (en) * 2007-03-28 2008-10-02 Gatewa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ing an interactive stylus button
DE102010036906A1 (de) * 2010-08-06 2012-02-09 Tavendo Gmbh Konfigurierbares Pie-Menü
KR101862123B1 (ko) * 2011-08-31 2018-05-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US8963891B2 (en) * 2012-04-26 2015-02-24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tool selection
US9164599B2 (en) * 2012-08-10 2015-10-20 Adobe Systems Incorporated Multifunctional styl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6974A1 (en) * 2001-07-03 2003-01-09 James Clough Methods and systems for increasing the input efficiency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other handheld stylus-engagable computing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834A1 (ko) * 2020-11-27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에어 포인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711A (ko) 2014-03-06
US20140055427A1 (en)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63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3458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9651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96516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6071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시 방법
KR1018675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95170B1 (ko) 이동단말기의 메뉴 표시방법
KR101398141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17957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전자 노트 시스템
CN104281405A (zh) 移动终端
KR2013012059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43150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56959A (ko) 이동 단말기
KR10172538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4988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제어방법
KR20100123336A (ko)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1005505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4963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10703B1 (ko) 이동 단말기
KR101397089B1 (ko) 이동 단말기
KR10149662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434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98170B1 (ko) 이동 단말기
KR10163738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76510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