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123B1 - 휴대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123B1
KR101862123B1 KR1020110087527A KR20110087527A KR101862123B1 KR 101862123 B1 KR101862123 B1 KR 101862123B1 KR 1020110087527 A KR1020110087527 A KR 1020110087527A KR 20110087527 A KR20110087527 A KR 20110087527A KR 101862123 B1 KR101862123 B1 KR 101862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application
pen
character
hand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220A (ko
Inventor
박현미
고상혁
김태연
김현경
박혜빈
오세기
전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123B1/ko
Priority to US13/546,488 priority patent/US20130050141A1/en
Priority to EP12182255.5A priority patent/EP2565770B1/en
Priority to CN201210315973.5A priority patent/CN102968206B/zh
Priority to JP2012192142A priority patent/JP2013054745A/ja
Publication of KR20130024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receiv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ransmitted by the digitiser, e.g. tablet driving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는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의 클릭 여부에 따라 각각 제1정전기를 가지는 제1입력 및 제2정전기를 가지는 제2입력을 발생하는 펜과, 상기 펜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여 이에 따른 제1입력 및 제2입력의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는 펜의 터치에 의해 터치패널을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분석하는 과정과, 입력이 제1정전용량 변화를 가지는 제1입력이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제1입력에 대응되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1입력 처리과정과, 입력이 제2정전용량 변화를 가지는 제2입력이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호출 또는 설정된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입력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반입력, 핸드라이팅 문자 및 드로잉 등을 포함하며, 제2입력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호출 및 특정 동작의 실행을 명령하는 명령어가 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INPUT DEVICE AND METHOD ON TERMINAL EQUIPMENT HAVING A TOUCH MODUL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패널을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펜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단말기는 터치 디바이스를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며, 터치패널에 터치 위치를 감지하여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이런 터치 디바이스는 정전용량(electrostatic capacitive) 감지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손가락 터치 중심의 인터랙션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손가락 터치 방식은 정밀한 작업을 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터치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손가락과 동시에 다른 입력방법에 대한 요구가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메모하기, 그림 그리기 등과 같이 정밀하고 세밀한 입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펜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펜 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제 사용하는 펜의 경험을 터치 모바일 디바이스에도 그대로 적용하여 손가락 터치만 가지고는 경험하지 못했던 펜 제스츄어, 펜 핸드라이팅 등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입력과 상기 제1입력과 독립적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거나 또는 특정 커맨드를 수행하기 제2입력을 발생하고, 휴대단말기가 상기 제1입력과 제2입력에 따라 각각 설정된 기능 또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펜의 입력에 따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제어를 할 수 있고, 핸드 라이팅에 의한 문자 입력을 할 수 있으며, 드로잉 이미지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 포함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펜에 버튼을 추가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제어와 독립적으로 휴대단말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호출 및 특정 커맨드를 발생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입력을 발생할 수 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입력장치가, 버튼을 구비하며, 버튼 클릭 여부에 따라 각각 제1정전기를 가지는 제1입력 및 제2정전기를 가지는 제2입력을 발생하는 펜과, 상기 펜 터치시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을 분석하여 제1입력이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제1입력에 대응되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며, 제2입력이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호출 또는 설정된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제1입력 및 제2입력에 따라 처리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입력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반입력, 핸드라이팅 문자 및 드로잉 등을 포함하며, 상기 제2입력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호출 및 특정 동작의 실행을 명령하는 명령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입력방법이, 펜이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버튼 클릭 여부에 따라 각각 제1정전기를 가지는 제1입력 및 제2정전기를 가지는 제2입력을 발생하며, 상기 펜의 터치에 의해 터치패널을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이 제1정전용량 변화를 가지는 제1입력이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제1입력에 대응되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1입력 처리과정과, 상기 입력이 제2정전용량 변화를 가지는 제2입력이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호출 또는 설정된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입력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반입력, 핸드라이팅 문자 및 드로잉 등을 포함하며, 상기 제2입력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호출 및 특정 동작의 실행을 명령하는 명령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치 디바이스를 휴대단말기에서 펜을 사용하여 터치 기능을 수행하므로써 특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정밀한 동작 제어를 할 수 있고, 핸드 라이팅에 의한 문자 입력을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드로잉 이미지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 포함시킬 수 있어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펜에 버튼을 추가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제어와 독립적으로 휴대단말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호출 및 특정 커맨드를 발생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에 펜을 사용하여 입력 기능을 수행하므로써 펜 특화 핸드라이팅 경험이 모바일 전반으로 확장되게 되고, 이를 통해 기존에는 할 수 없었던 펜을 사용한 특화 사용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펜 세팅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 도 3b는 도 2와 같은 펜 세팅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펜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입력의 일반 입력에 대한 형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입력의 형태에 대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상기 도 4에서 수행되는 제1입력의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상기 도 6에서 처리되는 제1입력의 일반입력에 대한 처리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펜을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a는 문자작성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핸드라이팅 패드(handwriting IME)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및 도 9b는 문서작성 어플리케이션에서 핸드라이팅되는 문자 및 문서를 수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드로잉 입력을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a - 도 11g는 도 10과 같은 드로잉 모드를 수행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입력을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처리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a -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리치메모 리스트 및 리스트를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치메모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5b는 리치메모에서 사용되는 드로잉패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치메모에 포함된 퀵메모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6의 퀵메모 리스트에서 퀵메모를 생성하기 위한 패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퀵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펜의 입력에 따른 동작모드들에 대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펜 터치에 따라 특정 기능 또는 커맨드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라는 휴대전화기, MP3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 태블릿 PC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펜은 버튼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의 수단을 구비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입력은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패널을 통해 감지되는 입력신호를 의미하며, 제2입력은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터치패널을 통해 감지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문서작성모드라 함은 사용자의 hand writing된 글자 입력을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하며, 드로잉모드라함은 사용자의 hand writing에 의한 드로잉 입력을 이미지로 변환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한다. 이때 드로잉 모드에서 핸드라이팅된 글자는 인식 명령 발생시 문자데이타로 변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10은 버튼11 및 헤드12, 그리고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는 몸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12는 도전성 물질(예를들면 실리콘 고무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버튼11의 눌림 여부에 서로 다른 크기의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을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120은 정전용량 감지 방식의 터치 디바이스가 될 수 있으며, 표시부130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20은 상기 펜10 및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터치를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표시부130은 휴대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동작화면을 표시한다.
메모리140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10의 입력형태(input type)에 대응되어 동작하여야 할 기능 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11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패널120을 통해 수신되는 펜 입력형태를 분석하여 해당 기능 또는 명령어를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문자인식처리부를 구비하며, 문서작성모드에서 작성되는 핸드라이팅 문자를 인식하며, 또한 화면상에 핸드라이팅된 문자 인식 명령 발생시 핸드라이팅 문자를 인식한다. 또한 상기 상기 제어부110은 영상처리부를 구비하여 드로잉 또는 핸드라이팅된 이미지를 표시되고 있는 화면 이미지와 결합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크롭처리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표시되는 화면에서 폐곡선을 드로잉하고 크롭 명령을 발생하면 폐곡선 내의 이미지를크롭하여 처리한다.
통신부150은 휴대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50은 공중통신망과 무선통신하는 CDMA, WCDMA 또는 LTE 방식의 통신부가 될 수 있으며, 무선 인터넷망과 연결되는 wifi, wimax 또는 wibro 방식의 통신부가 될 수 있고, 또한 근거리의 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 방식의 통신부가 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0은 상기와 같은 통신부들 중에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60은 휴대단말기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며, 비디오처리부170은 휴대단말기의 비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펜10의 구조는 우리 몸에 흐르는 전류를 기기 표면에까지 잘 이르게 해주는 알루미늄 몸체에 일정 면적 이상에서 정전기를 인식하도록 넓게 펴주는 실리콘 재질의 헤드1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펜10은 버튼11을 구비하며, 상기 버튼10의 눌림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정전기를 발생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사람이 접촉한 상태(사람이 펜을 손에 잡은 상태)에서 상기 펜10은 정전기를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펜10은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크기의 정전기를 발생하며,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제2크기의 정전기를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터치패널120은 터치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터치 센서는 일정 면적 이상에서 정전기가 감지되면 이를 터치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삼성의 갤럭시S는 정사각형 기준으로 가로ㅇ세로 2.5㎜ 이상인 경우, 애플의 아이폰은 가로ㅇ세로 3㎜ 이상인 경우, 팬택 베가X는 가로ㅇ세로 5㎜ 이상의 면적에서 정전기가 감지돼야 이를 터치로 인식한다. 또한 터치패널120의 경우, 펜10의 헤드12 접촉 면적과 손가락의 접촉 면적 크기 다르다. 즉, 펜10의 접촉면적은 손가락 접촉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으며, 따라서 제어부110은 터치패널120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을 분석할 때 접촉되는 면적 크기에 따라 펜 또는 손가락 터치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펜10은 버튼의 눌림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정전기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패널120을 통해 감지되는 정전용량의 변화 값이 다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은 정전용량의 변화값에 따라 버튼 눌림 여부에 따른 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120을 구성할 때, 손가락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 및 펜10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손가락 및 펜의 터치에 따른 접촉 면적 및/또는 정전기의 크기가 다를 수 있으며, 따라서 제어부110은 각각의 터치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손가락 터치 또는 펜10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펜10의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버튼 오프 상태)에서 발생되는 터치신호를 제1입력신호라 칭하며, 버튼을 누른 상태(버튼 온 상태)에서 발생되는 터치신호를 제2입력신호로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입력신호는 탭(tap), 롱프레스(long press), 플릭(flick) 등과 같은 일반입력(general input), 라이팅(handwriting), 드로잉(drawing) 및 크롭(crop)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입력신호는 휴대단말기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 입력이 될 수 있으며, 펜10의 버튼11을 누른 상태에서 펜의 제스츄어(hand gesture)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즉, 제2입력은 펜10의 버튼11을 누른상태에서 long press, double tap(click), filck(수평, 수직), 특정 형태의 제스츄어(예를들면 원, 사각형 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은 제1입력의 일반 입력과 중복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40은 상기 제1입력신호 및 제2입력신호에 따른 기능 및 명령어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제1 또는 제2입력신호 발생시 메모리140을 참조하여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른 기능 또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펜10의 입력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은 펜입력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펜 세팅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a - 도 3b는 상기 도 2와 같은 펜 세팅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 및 도 3a -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도 3a의 311과 같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펜 설정모드(pen settings)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211단계에서 펜 설정모드임을 감지하고, 213단계에서 도 3a의 313과 같은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펜 설정모드에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은 shortcut, 사용터치영역, handwriting pad를 설정할 수 있다. 먼저 상기 shortcut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실행하는 기능을 의미하며, 사용터치영역(preferred hand side)은 펜 터치가 주로 발생되는 터치패널의 영역을 의미하고, 펜 검출(pen detection)은 문자 입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문자 입력패드(handwriting)를 온시킬 것인가를 설정하기 위함이다.
이때 사용자가 shortcut settings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7단계에서 도 3a의 315와 같이 shortcu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항목들을 표시한다. 상기 도 3a에서는 메모 항목들을 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S memo는 휴대단말기에서 펜10을 사용하여 다양한 메모(handwriting, drawing, 오디오, 이미지 등을 결합할 수 있는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리치 메모(rich memo) 기능이며, 퀵 메모(quick memo)는 hand writing 메모 기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315와 같이 표시되는 항목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2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1단계에서 선택된 항목을 short cut으로 등록한다. 상기 shortcut 기능은 상기한 바와 같이 펜10의 제2입력들 중의 하나와 매핑시킬 수 있다. 도 3a의 317은 제2입력의 더블클릭으로 가정한 경우이며, shortcut의 디폴트는 퀵메모로 설정되는 경우를 예로들어 도시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영역 설정(preferred hand side)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5단계에서 터치영역 항목을 표시한다. 이는 휴대단말기의 전체에 적용되는 기능으로, 사용자가 펜10을 사용할 때 펜10의 기울기에 따른 터치 영역 인식을 오른손 또는 왼손 사용자로 구분하여 설정하기 위함이다. 이때 사용자가 터치영역 항목(right handed, left handed)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2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9단계에서 선택된 항목에 따른 터치패널120의 터치영역을 결정한다. 즉, 제어부110은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임을 확인한 후, 선택 결과에 따라 터치패널120에서 터치영역을 설정하며, 이때 설정되는 터치영역은 다른 영역보다 인식 능력을 높여 사용한다.
또한 사용자가 펜 검출모드(pen detection)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33단계에서 펜 검출모드 온 또는 오프를 설정하도록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233단계에서 사용자가 펜 오프를 선택하면 휴대단말기의 텍스트 입력모드에서 이전에 사용된 IME(last IME)가 표시되도록 설정하며, 펜 온을 선택하면 휴대단말기의 텍스트 입력모드에서 핸드라이팅 패드(handwriting pad)가 표시되도록 설정한다. 여기서 휴대단말기의 텍스트 입력모드는 SMS, 이메일, 메신저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펜 검출모드가 오프상태에서 텍스트입력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이전 상태의 IME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상기 펜 검출모드가 온된 상태에서 331과 같이 손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전상태의 IME를 분석하여 QWERTY 모드이면 333과 같이 표시하고 3*4 키패드 모드이면 335와 같이 표시한다. 또한 341과 펜10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343과 같이 핸드라이팅 패드를 표시한다. 상기 핸드라이팅 패드의 구성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355영역에 펜10을 이용하여 라이팅하며, 라이팅된 문자는 인식되어 351영역에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핸드라이팅 동작을 수행하면서 353 영역에 표시되는 항목(soft key)들을 이용하여 문장을 작성할 수 있다.
상기 도 2와 같은 펜 설정 모드를 수행한 후, 사용자가 펜 설정모드를 종료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23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펜 설정모드를 종료한다.
상기와 같이 펜 설정모드를 수행한 후, 사용자는 펜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수행 하거나 또는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펜10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널120의 입력은 펜10 또는 손가락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때 펜10의 입력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411단계 및 413단계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415단계에서 펜10의 제1입력인가 또는 제2입력인가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입력은 펜10의 버튼11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되는 신호이고 제2입력은 펜10의 버튼11을 누른 상태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제1입력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417단계에서 입력된 신호를 분석한 후, 419단계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2입력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4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25단계에서 입력된 신호를 분석한 후, 423단계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 해당 명령을 수행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입력의 일반 입력에 대한 형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입력의 형태에 대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제1입력은 상기 도 5a와 같은 일반입력,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핸드라이팅, 드로잉 및 크롭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의 일반 입력에서 탭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아이템을 선택하는 기능이고, long press는 관련된 정보를 팝업 표시(display contextual pop up)하는 기능이며, flick은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따라 이전 또는 다음 페이지로 이동(move to next page or previous page)하거나 또는 스크롤(scroll up or down)하는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은 버튼11을 누른 상태에서 펜10의 터치에 따른 제스츄어(hand gesture)로써, 휴대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도 5b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2입력에서 더블클릭은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상관없이 메모(상기 도 2에 펜 설정모드에서 shortcut 기능으로 퀵 메모를 설정하고, 상기 short cut을 수행하는 명령어로 제2입력의 더블클릭이 설정 된 경우) 모드로 이동하여 메모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입력에서 롱프로세스는 영상처리모드(예를들면 동영상을 표시하는 모드, 예를들면 카메라모드, 영상 재생모드 등)에서 스크린 캡쳐 명령어로 사용할 수 있으며, 플릭은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에 따라 백 또는 메뉴 호출 명령어로 사용할 수 있고, 원 형태의 입력은 홈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어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입력은 휴대단말기에서 임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입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설정된 동작(예를 들면 스크린 캡쳐)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입력의 일반 입력(general input)과 제2입력은 동일한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long press, flick 등의 형태들이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 4의 417단계에서 수행되는 제1입력의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펜10의 제1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611단계에서 제1입력을 분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입력은 상기 도 5a와 같은 일반입력, 문서작성모드에서의 핸드라이팅 문자, 드로잉모드에서의 드로잉, 이미지가 표시되는 모드에서의 크롭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펜10의 제1입력은 상기와 같은 입력 이외에 더 확장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반입력, 문서작성모드에서의 제1입력, 드로잉 입력 및 크롭 입력 등의 순서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도 5a와 같은 일반입력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6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5단계에서 해당 입력을 처리한다. 도 7은 상기 도 6의 615단계에서 처리되는 제1입력의 일반입력에 대한 처리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탭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711단계 및 713단계에서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터치된 아이템을 선택한다. 또한 long press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715단계 및 717단계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연관된 기능을 팝업 표시(display contextual pop-up)한다. 또한 플릭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7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19단계에서 플릭 방향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플릭이 수평 방향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현재의 페이지에서 이전 또는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고, 상하 방향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화면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스크롤시킨다. 상기 도 7에서는 상기 도 5a와 같이 제1입력의 일반입력이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일반입력과 입력 타입의 매핑 결과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일반입력(general input)의 형태가 tap, long press, flick인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형태의 일반입력을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두 번째로 상기 제1입력이 핸드라이팅이고, 현재의 어플리케이션이 문서작성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6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9단계에서 핸드라이팅되는 문자를 인식하여 처리할 수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펜10을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8은 도 6의 619단계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문서작성모드는 상기한 바와 같이 SMS, 이메일, 메신저 등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펜10의 터치 또는 상기 터치패널120의 일정거리 이내에 근접됨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811단계에서 도 9a와 같은 핸드라이팅 패드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핸드라이팅 패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펜10에 의해 라이팅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제2표시영역355와, 라이팅된 문자를 인식하여 표시하는 제1표시영역351 및 핸드라이팅의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 키들을 표시하는 영역35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911 영역의 symbol은 특수문자들을 호출하는 기능키로써, 로마자, 수학기호, 특수기호 등과 같은 문자들의 조합을 표시한다. 913영역의 voice는 문서작성모드에서 음성을 삽입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915영역은 세팅 기능을 수행하는 영역이다. 또한 917영역은 언어를 선택하는 영역으로 long press(또는 클릭)하면 사용할 수 있는 언어들을 팝업화면(display contextual pop up)으로 표시한다. 이때 팝업화면은 영어, 불어, 한국어 등으로 사용가능한 언어들의 항목을 표시한다. 또한 919의 IME 영역은 문서작성 패드를 변경하는 영역으로, 상기 도 9a와 같은 핸드라이팅 패드가 표시하는 상태에서 상기 IME를 선택하면 도 3b의 335와 같이 qwerty 키패드 또는 3*4 키패드가 표시된다. 그리고 921영역은 백스페이스(back space) 기능을 수행하는 영역으로, 이 영역이 선택되면 제어부110은 현재의 커서 위치를 뒤로 이동시킨다. 923 영역은 엔터키 영역으로, 작성 중인 문서의 엔터키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엔터키 영역이 터치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제2표시영역에 테스트가 있으면 insert 동작을 수행하며, 텍스트가 없고 멀티 라인인 경우에는 엔터 키 동작을 수행하고, 텍스트가 없고 멀티라인이 아닌 경우에는 "done" 기능을 수행하며, 이메일의 경우 URL 입력창에 텍스트가 없으면 "go"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도 9a와 같은 핸드라이팅 패드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표시영역 355에 핸드라이팅 문자를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은 펜10의 이동 궤적에 따라 발생되는 핸드라이팅 문자를 터치패널120을 통해 감지하여 상기 제2표시영역355에 표시하며, 또한 상기 제2표시영역353에 표시되는 핸드라이팅 문자를 인식하여 제1표시영역351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인식방법은 완성인식(단어 단위로 인식)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획 인식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문서를 작성 및 인식하는 과정에서 오인식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제1표시영역315의 하단(또는 핸드라이팅 패드의 특정 위치에 설정되는 영역)에 추천 문자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표시되는 문자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선택된 문자를 상기 제1표시영역351의 해당 문자 위치에 삽입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오입력이나 또는 문자 인식 과정에서 오인식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수정이 필요하다. 이때 사용자의 수정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8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19단계에서 사용자의 문서 수정요구에 따라 입력되는 핸드라이팅 문자를 재 인식하여 수정한 후 상기 813단계로 되돌아간다. 이때 상기와 같은 수정은 제2표시영역355에서 사용자의 핸드라이팅에 의해 직접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수정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문서 수정은 일반적인 문서 수정 문자를 핸드라이팅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잘못 입력한 문자는 상기 제2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오입력된 문자 위에 오버라이트하여 수정한다. 즉, 상기 도 9b의 931과 같이 US를 UK로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제2표시영역355에 표시되는 S문자 위에 K를 핸드라이팅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제2표시영역355에 라이팅된 문자에 오버라이팅되는 문자는 문자 수정으로 감지하여, 먼저 라이팅된 문자 대신에 나중에 라이팅된 문자를 인식하여 수정한 후 이를 제1표시영역351에 표시한다. 또한 문서 작성시 줄단위 또는 단어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도 9b의 933과 같이 제2표시영역355에 표시되는 해당 문자들 위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선 긋기를 하면 된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선긋기가 감지되면 선에 위치된 문자들을 삭제하여 상기 제1표시영역351에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도 9b의 935와 같이 라이팅된 문자 위에서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선긋기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전문자와 해당 문자 사이에 공간(space 기능)을 만들고, 도 9b의 937과 같이 라이팅된 문자와 문자 사이을 연결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문자와 문자 사이의 공백을 제거하며, 도 9b의 939와 같이 엔터 모양의 선긋기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해당 위치에서 줄바꾸기 기능을 수행하며, 도 9b의 941과 같이 갈매기 표시의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해당 위치에 라이팅된 문자를 삭제한다. 또한 도 9b의 943과 같이 라이팅된 문자 위에 롱터치(long press)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해당 위치에 라이팅된 문자들에 따라 문자를 수정하기 위한 단어를 단어들을 표시하며, 사용자가 표시되는 단어를 선택하면 해당 단어를 선택한다. 예를들면 상기 제2표시영역355에 표시된 문자가 "cook"이고, 상기 cook 글자 위에 상기 펜10의 long press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핸드라이팅 패드의 설정된 위치(예를들면 제1표시영역351의 하단 영역)에 대체 가능한 단어들(예를들면 cook, book, cool....)을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를 클릭(tap)하면, 제어부100은 사용자가 선택된 단어를 상기 long press된 단어로 대체하여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9a의 제2표시영역에 핸드라이팅된 문자들은 인식되어 제1표시영역351에 표시되며, 이때 상기 도 9b와 같은 수정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8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19단계에서 해당하는 수정요구에 따른 라이팅 문자들 또는 문서를 수정(문자 수정, 문장 또는 단어 삭제, 공백추가, 공백제거, 줄바꾸기, 글자삭제, 문자 변경 선택 등)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수정은 사용자가 제2표시영역355에 표시되는 문자 위에 직접 수정할 수 있으며, 제어부110은 사용자의 수정 요구에 따른 펜10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서 수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문서 수정 절차가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핸드라이팅 문자 입력 및 수정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인식하여 상기 제1표시영역351에 표시하며, 상기와 같이 문서 작성 모드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종료 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8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작성된 문자를 처리한다. 이때 상기 작성된 문자를 처리하는 방법은 문서작성모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즉, SMS인 경우에는 작성된 문서를 설정된 전화번호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동시에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EMS인 경우에는 작성된 문서를 설정된 이메일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동시에 메모리140에 저장하며, 메모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대응되는 메모(알람, 스케쥴 등)로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도 8에서는 문서작성모드에서 핸드라이팅 패드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제1입력의 라이팅 문자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지만, 핸드라이팅 패드를 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핸드라이팅되는 문자를 문서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핸드라이팅되는 문자를 표시부130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인식 명령을 발생하면, 표시중인 핸드라이팅 글자들을 인식하여 문서로 변환할 수도 있다.
세 번째로 펜10을 통한 제1입력의 드로잉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도 6의 6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23단계에서 펜10을 통해 입력되는 드로잉을 감지하여 처리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드로잉 입력을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기 도 6의 623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1a - 도 11g는 도 10과 같은 드로잉 모드를 수행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드로잉은 사용자가 드로잉모드를 선택하여 드로잉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재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핸드라이팅 또는 드로잉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작성모드에서 작성된 문서에 드로잉을 삽입 또는 추가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드로잉 모드로 진입하여 드로잉 동작을 수행한 후 이를 해당 문서에 삽입 또는 추가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해당 이미지에 드로잉 동작을 수행하여 이미지와 함께 결합(overwriting)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드로잉모드에서 사용자가 드로잉 패드의 표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10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013단계에서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잠시 중단하고 드로잉 패드를 표시한다. 예를들어 도 11a의 1111과 같이 이메일 문서를 작성하는 중에 탭 기능을 수행하면 1113과 같이 선택할 수 있는 항목들을 표시하며, 여기서 드로잉(Drawing)을 펜10을 이용하여 제1입력으로 선택(tap, click)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1115와 같이 드로잉 패드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드로잉패드에 사용자가 펜10을 이용하여 드로잉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1015단계에서 터치패널120을 통해 이를 감지하여 표시부130에 1117과 같이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드로잉 종료(1117 화면의 done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10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019단계에서 1119와 같이 드로잉 이미지를 생성하며, 1021단계에서 해당 이미지를 처리한다.
즉, 상기 도 11a와 같이 이메일을 작성하는 중에 드로잉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드로링패드를 표시하고 드로잉패드 상에 사용자의 드로잉을 표시한다. 이후 드로잉을 종료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생성된 드로잉을 이메일 메시지에 삽입하며, 사용자가 전송 등의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드로잉 이미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대방에 전송하는 동시에 메모리140에 저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드로잉 패드를 이용하여 드로잉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는 도 11c와 같이 문서작성 어플리케이션(메세지, 이메일 등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서 메시지를 작성하는 중에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드로잉 패드를 제공하여 메시지와 함께 그림을 보낼 수 있으며, 또한 도 11d와 같이 핸드라이팅 패드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즉, 텍스트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들)에서 직접 사용자가 핸드라이팅하여 드로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잉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드로잉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의 경우, 사용자가 펜10을 이용하여 제1입력의 드로잉을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10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023단계에서 현재의 화면 위에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드로잉을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드로잉을 종료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10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019단계에서 드로잉 이미지를 생성하며, 1021단계에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를 처리한다.
상기와 같이 드로잉 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드로잉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다음과 같다. 현재 수행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예를들면 photo editor, video maker, gallery 어플리케이션 등)의 경우, 도 11b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이미지 위에 직접 드로잉을 하여 멀티미디어 이미지에 사용자의 드로잉이 추가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핸드라이팅 기능이 제공되는 메모 어플리케이션(예를들면 퀵메모, 리치메모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사용자가 핸드라이팅한 메모를 도 11e와 같이 이미지로 생성하여 처리할 수 있다. 즉, 메모 어플리케이션에서 작성된 핸드라이팅 문자들을 드로잉과 같이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예를들면 이북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도 11f와 같이 표시되는 이미지에 사용자가 직접 주석달기, 하이라이팅 등의 핸드라이팅 및 드로잉을 수행하여 드로잉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편집 가능한 어플리케이션(editable screen capture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도 11g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에 직접 라이팅하여 드로잉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핸드라이팅 편집이 가능한 화면 캡쳐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 상에 표시되는 모든 화면에서 해당 드로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인터넷 서핑, 잡지 화면, 문서 화면 등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들에서 해당 화면에 드로잉을 수행하여 화면을 편집할 수 있다.
네 번째로 상기 화면에 이미지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펜을 이용하여 표시되는 이미지의 특정 위치를 드로잉(원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의 폐곡선 드로잉)하고, 크롭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6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해당 화면을 크롭하여 크롭된 화면을 처리한다. 예를들면, 상기 표시부130에 사진 등과 같은 이미지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폐곡선 드로잉을 한 후 크롭 항목을 선택하여 터치(tap, click)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이미지 크롭으로 간주하고 폐곡선 내부의 이미지를 캡쳐하여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크롭된 화면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화면에 삽입 또는 추가하여 새로운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펜10의 버튼11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패널120에 터치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도 4의 415단계에서 이를 제1입력으로 감지하며, 상기 제1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17단계 및 419단계에서 입력되는 형태에 따라 일반입력, 핸드라이팅, 드로잉 또는 크롭으로 인식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한다. 그러나 상기 펜10의 버튼11을 누른 상태에서 터치패널120에 터치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ds 도 4의 421단계에서 이를 제2입력으로 감지하며, 상기 제2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25단계 및 423단계에서 입력되는 제2입력의 핸드 제스츄어에 따라 해당 명령을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제2입력은 특정 입력(예를들면 long press)을 제외한 나머지 제2입력들은 현재 수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상관없이 대응되는 명령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입력은 펜10의 버튼11을 누르지 않고 입력한다. 상기 제1입력은 손가락으로 했던 모든 인터랙션을 펜으로도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입력은 어플리케이션에서 펜 특화 기능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입력을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13a 및 도 13b는 상기 도 12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처리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1211단계에서 제2입력을 확인한 후 제2입력의 형태를 분석한다. 이때 상기 제2입력이 더블클릭이면, 1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215단계에서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처리한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은 상기 도 2와 같은 펜 설정절차에서 설정되는 shortcut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shortcut 어플리케이션이 퀵메모로 설정된 경우, 도 13a의 1311 및 1321과 같이 펜10의 버튼이 클릭된 상태에서 더블클릭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1323과 같이 shortcut으로 설정된 퀵메모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2입력이 long press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12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219단계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고 있는 화면을 캡쳐한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화면 이미지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13a의 1311 및 1321과 같이 펜10의 버튼이 클릭된 상태에서 long press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1323과 같이 표시되는 이미지를 캡쳐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2입력이 수평플릭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12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223단계에서 수평 플릭에 설정된 명령을 수행한다. 여기서는 상기 수평플릭이 우측에서 좌측이 이루어지며 설정된 명령은 back 기능으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이런 경우, 도 13b의 1311 및 1331과 같이 펜10의 버튼이 클릭된 상태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플릭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1333과 같이 "back"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2입력이 상하플릭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12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227단계에서 상하 플릭에 설정된 명령을 수행한다. 여기서는 상기 상하플릭이 하측에서 상측이 이루어지며 설정된 명령은 메뉴호출 기능으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이런 경우, 도 13b의 1311 및 1341과 같이 펜10의 버튼이 클릭된 상태에서 하측에서 상측으로 플릭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1333과 같이 "메뉴" 호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2입력이 원 형태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122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231단계에서 원에 설정된 명령을 수행한다. 여기서는 상기 원 형태의 제2입력에 설정된 명령이 홈화면 호출인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입력은 펜10의 버튼이 클릭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핸드 제스츄어가 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은 감지되는 제2입력을 분석하여 각각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입력은 Double tap 및 Long Press와 같은 Application 호출 제스츄어와, Flick (Right → Left) 및 Flick (Bottom → top) 등과 같은 특정 커맨드 실행 제스츄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입력은 펜의 버튼을 누른 상태로 기 설정된 제스츄어 입력으로써, Pen의 사용 경험을 이어 갈 수 있도록 Hard key의 기능을 Pen의 gesture로 맵핑하여 Pen 전반의 사용성 개선, Screen capture, Memo 등의 어플리케이션 호출 및 Back , Memu 등 특정 커맨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입력 및 제2입력은 상기한 바와 같이 펜이 터치패널120에 터치될 때 서로 다른 크기의 정전용량을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즉, 상기 펜10은 버튼이 클릭될 때와 클릭되지 않을 때 발생되는 정전기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펜이 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펜10이 터치패널120에 터치될 때 서로 다른 정전용량 변화를 야기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입력은 펜10의 버튼11이 클릭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감지되는 입력으로 가정하고, 제2입력은 펜10의 버튼11이 클릭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감지되는 입력으로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펜10의 버튼11이 클릭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제2입력으로 하고, 펜10의 버튼11이 클릭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제1입력으로 하여도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펜 입력 기능을 사용하면 여러 가지 특화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런 서비스 중에 하나가 메모 기능이다. 현재 휴대단말기의 메모는 문자, 이미지, 비디오 및 오디오 등이 결합된 복합 메모(이하 rich memo, s-memo) 기능을 서비스하고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를 스케쥴러로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신속하게 메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퀵 메모 기능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a -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리치메모 리스트 및 리스트를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4a - 도 14c를 참조하면, 도 14a는 리치메모를 섬네일 리스트(list by thumbnail)로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4b는 리치메모를 리스트(list by list)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4a를 참조하면, 리치메모 리스트 1411은 퀵메모 및 리치메모들의 섬네일 항목을 리스트로 도시하고 있으며, 리스트의 각 항목들의 특징은 1413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퀵메모버튼은 퀵메모들을 하나의 섬네일로 표시하며, 리치메모들을 각각 대응되는 섬네일들로 구성하여 리스트화한다. 상기 도 14a의 1411과 같은 리치메모의 섬네일 리스트들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작 메뉴 호출을 하면 도 4의 1421과 같은 메뉴가 호출된다. 여기서 상기 메뉴 호출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입력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도 5b와 같이 제2입력을 정의한 경우, 도 14a의 1411과 같이 리치메모의 섬네일 리스트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펜10의 버튼11을 클릭하고 하측 방향에서 상측방향으로 플릭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메뉴호출로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1421과 같이 표시되는 메뉴에서 해당 항목을 클릭(제1입력의 tap)하면 선택된 항목의 리스트가 1423 - 1427과 같이 표시된다.
상기 도 14b의 리치메모 리스트는 상기 도 14a의 섬네일 리스트와 다른 형태를 가지는 리스트로써, 참조부호 1451-1467은 각각 1411-1427에 대응된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리치메모 및 퀵메모를 선택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조번호 1481과 같이 섬네일 리스트화면에서 퀵메모 버튼을 클릭(tap)하면 참조번호 1491과 같은 퀵메모 리스트를 표시한다. 그리고 1491과 같이 퀵메모 리스트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펜10을 이용하여 수평플릭(우에서 좌)의 제2입력을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참조번호 1481과 같은 리칭메모의 섬네일리스트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1481과 같은 리치메모의 섬네일 리스트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펜10을 이용하여 수직플릭(하측에서 상측)의 제2입력을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메뉴를 호출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1483과 같이 리치메모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조번호1481 또는 1483과 같은 리치메모 리스트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펜10을 이용하여 생성버튼을 클릭하면 참조 번호 1485와 같은 드로잉패드를 생성하며, 사용자는 상기 드로잉패드를 통해 리치메모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491과 같이 퀵메모 리스트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퀵메모를 클릭(제1입력의 tap)하면 1493과 같은 드로잉패드 또는 1495와 같은 텍스트 패드를 생성하며,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퀵메모를 드로잉 또는 텍스트로 생성할 수 있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치메모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5b는 리치메모에서 사용되는 드로잉패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리치메모의 리스트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특정 리치메모 섬네일(또는 리스트 상의 항목)을 선택하면, 도 15a의 1511과 같이 해당하는 리치메모를는 표시한다. 이때 상기 리치메모의 형태는 1513고 같은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1511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제2입력으로 메뉴를 호출하면 1521과 같은 메뉴가 호출되며, 호출된 메뉴들에서 1523-1527과 같은 하부 메뉴들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리치메모의 리스트가 표시되는 상태는 특정 리치메모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생성버튼을 누르면 도 15b의 1551과 같은 드로잉패드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드로잉패드의 구성은 도 15b의 1555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리치메모는 텍스트 메모 이외에 드로잉에 의한 이미지 생성, 이미지 삽입, 오디오 음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치메모를 작성하는 방법은 텍스트 및 드로잉은 상기한 바와 같은 펜10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입력의 텍스트 라이팅, 드로잉 및 크롭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일반입력에 의해 리치메모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치메모의 핸드라이팅은 드로잉 패드 상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핸드라이팅 글자는 이미지로 처리될 수 있으며, 또한 메뉴를 통해 인식 명령을 발생하여 인식할 수 있다. 즉, 상기 리치메모는 펜10을 통해 드로잉, 핸드라이팅 등을 통해 작성할 수 있으며, 또한 작성된 리치메모에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등을 삽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드라이팅된 글자는 필요시 인식 명령에 의해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작성된 리치메모는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통신부150을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외부가입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치메모에 포함된 퀵메모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퀵메모들은 섬네일 리스트로 표시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메뉴 호출의 제2입력 발생시 1613과 같은 메뉴를 표시하며, 표시되는 메뉴 상에서 1615-1621과 같은 하부 메뉴들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7은 상기 도 16의 퀵메모 리스트에서 퀵메모를 생성하기 위한 패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7을 참조하면, 퀵메모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는 참조번호 1721과 같은 드로잉 패드 또는 1723과 같은 텍스트 패드를 이용하여 퀵메모를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펜10을 통해 메뉴호출을 할 수 있으며, 이때의 메뉴는 1725-1731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퀵메모 어플리케이션은 리치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때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제2입력을 통해 퀵메모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2 및 도 3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설정과정에서 shortcut 기능으로 수행할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hortcut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퀵메모가 설정된 경우, 도 18과 같이 퀵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퀵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8을 참조하면, shortcut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퀵메모가 설정된 경우, 사용자는1811과 같이 임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상태에서 shortcut 기능으로 설정된 퀵메모를 선택하기 위한 제2입력(펜10의 버튼11을 클릭한 상태에서 double tap)을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1813과 퀵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드로잉 패드를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1813과 같은 드로잉 패드 상에 퀵메모(드로잉 및/또는 핸드라이팅)를 작성하면, 제어부110은 이를 드로잉 패드 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작성된 퀵메모는 도 16의 1611과 같은 퀵메모 섬네일 리스트에 등록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휴대단말기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오직 하나의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버튼을 클릭하지 않은 상태의 입력인 제1입력 및 상기 버튼을 클릭한 상태의 입력인 제2입력을 발생하는 펜과,
    상기 펜 터치시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을 분석하여, 상기 수신된 입력이 상기 제1입력이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제1입력에 대응되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수신된 입력이 상기 제2입력이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호출 또는 설정된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제1입력 및 상기 제2입력에 따라 처리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입력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반입력, 핸드라이팅 문자 및 드로잉 등을 포함하며, 상기 제2입력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호출 및 특정 동작의 실행을 명령하는 명령어이고,
    상기 수신된 입력이 상기 제1입력의 상기 일반입력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의 입력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된 입력이 상기 제2입력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입력의 입력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명령어를 수행하고,
    상기 제1 입력의 입력방식은 탭(tap), 롱 프레스(long press), 및 플릭(fl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및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방식은 더블 클릭(double click), 롱 프레스(long press), 플릭(flick) 및 원(circle) 그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문서작성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핸드라이팅 패드를 표시하고, 상기 핸드라이팅패드에 입력되는 핸드라이팅문자를 표시하며, 상기 핸드라이팅 문자를 인식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핸드라이팅되는 문자 위에 수정을 위한 상기 제1입력이 발생되면 해당 기능으로 문자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문서작성모드는 문자메세지, 이메일 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드로잉 어플리케이션시 선택시 드로잉 패드를 표시하며, 상기 제1입력의 드로잉을 드로잉패드에서 표시하고, 드로잉 종료시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드로잉을 포함시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문자작성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생성된 드로잉을 상기 작성된 문자메세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상에 발생되면 현재의 화면 이미지에 입력되는 상기 제1입력의 드로잉을 표시하며, 드로잉 종료시 상기 화면 이미지에 상기 드로잉을 포함하여 이미지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입력방법에 있어서,
    오직 하나의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버튼을 클릭하지 않은 상태의 입력인 제1입력 및 상기 버튼을 클릭한 상태의 입력인 제2 입력을 발생시키는, 펜의 터치에 의해 터치패널을 통해 감지되는 입력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이 제1정전용량 변화를 가지는 상기 제1입력이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제1입력에 대응되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1입력 처리과정과,
    상기 입력이 제2정전용량 변화를 가지는 상기 제2입력이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호출 또는 설정된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입력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반입력, 핸드라이팅 문자 및 드로잉 등을 포함하며, 상기 제2입력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호출 및 특정 동작의 실행을 명령하는 명령어이고,
    상기 수신된 입력이 상기 제1입력의 상기 일반입력인 경우, 상기 제1입력의 입력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입력이 상기 제2입력인 경우, 상기 제2입력의 입력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명령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의 입력방식은 탭(tap), 롱 프레스(long press), 및 플릭(fl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및
    상기 제2 입력의 입력 방식은 더블 클릭(double click), 롱 프레스(long press), 플릭(flick) 및 원(circle) 그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 처리과정이,
    문서작성 어플리케이션 수행시 핸드라이팅 패드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핸드라이팅패드에 입력되는 핸드라이팅문자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핸드라이팅 문자를 인식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라이팅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과정이 상기 표시되는 핸드라이팅 문자 위에 수정을 위한 상기 제1입력이 발생되면 해당 기능으로 문자를 수정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작성 어플리케이션이 문자메세지, 이메일 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 처리 과정이,
    드로잉모드 어플리케이션 선택시 드로잉 패드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입력의 드로잉을 드로잉패드에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드로잉 종료시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드로잉을 포함시켜 처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문자작성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생성된 드로잉을 상기 작성된 문자메세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 처리과정이,
    상기 이미지가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제1입력의 드로잉이 발생되면 현재의 화면 이미지에 입력되는 상기 제1입력의 드로잉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드로잉 종료시 상기 화면 이미지에 상기 드로잉을 포함하여 이미지로 생성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10087527A 2011-08-31 2011-08-31 휴대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862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527A KR101862123B1 (ko) 2011-08-31 2011-08-31 휴대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US13/546,488 US20130050141A1 (en) 2011-08-31 2012-07-11 Input device and method for terminal equipment having a touch module
EP12182255.5A EP2565770B1 (en) 2011-08-31 2012-08-29 A portable apparatus and an input method of a portable apparatus
CN201210315973.5A CN102968206B (zh) 2011-08-31 2012-08-30 用于具有触摸模块的终端设备的输入装置和方法
JP2012192142A JP2013054745A (ja) 2011-08-31 2012-08-31 携帯端末機の入力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527A KR101862123B1 (ko) 2011-08-31 2011-08-31 휴대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220A KR20130024220A (ko) 2013-03-08
KR101862123B1 true KR101862123B1 (ko) 2018-05-30

Family

ID=4684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527A KR101862123B1 (ko) 2011-08-31 2011-08-31 휴대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050141A1 (ko)
EP (1) EP2565770B1 (ko)
JP (1) JP2013054745A (ko)
KR (1) KR101862123B1 (ko)
CN (1) CN1029682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4740B2 (en) 2008-06-11 2013-11-26 Pantech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ata input method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963787B1 (ko) * 2012-07-09 2019-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부가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973634B1 (ko) * 2012-08-23 2019-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039343B2 (ja) * 2012-10-04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2044460B1 (ko) * 2012-11-12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076261A (ko) * 2012-12-12 2014-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펜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KR20140117137A (ko) * 2013-03-26 2014-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용 펜을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JP2014203305A (ja) * 2013-04-05 2014-10-2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GB2512887B (en) * 2013-04-10 2017-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ing history information for a selected action
KR102157270B1 (ko) * 2013-04-26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펜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32171A (ko) * 2013-05-07 2014-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용 펜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필기 입력 방법
JP2015001751A (ja) * 2013-06-13 2015-01-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手書き入力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方法
KR102180961B1 (ko) * 2013-07-16 2020-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47935B1 (ko) 2013-08-29 2020-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62836B1 (ko) 2013-08-30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필드 속성을 이용한 컨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TWI502476B (zh) * 2013-12-02 2015-10-01 Acer Inc 電子裝置與其觸控操作方法
KR101526803B1 (ko) * 2013-12-11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조작계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US9524428B2 (en) 2014-04-28 2016-12-20 Lenovo (Singapore) Pte. Ltd. Automated handwriting input for entry fields
US20150347364A1 (en) * 2014-06-03 2015-12-03 Lenovo (Singapore) Pte. Ltd. Highlighting input area based on user input
KR20160023298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DE202015006142U1 (de) * 2014-09-02 2015-12-09 Apple Inc. Elektronische Touch-Kommunikation
US20160132301A1 (en) * 2014-11-06 2016-05-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ammatic user interface generation based on display size
US10949075B2 (en) 2014-11-06 2021-03-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command control for small screen display
CN107209608A (zh) 2015-01-28 2017-09-26 平蛙实验室股份公司 动态触摸隔离帧
WO2016130074A1 (en) 2015-02-09 2016-08-18 Flatfrog Laboratories Ab Optical touch system comprising means for projecting and detecting light beams above and inside a transmissive panel
JP2016224834A (ja) * 2015-06-03 2016-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
US9530318B1 (en) * 2015-07-28 2016-12-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uchscreen-enabled electronic devices,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providing pilot handwriting interface for flight deck systems
EP3337142A4 (en) * 2015-08-11 2019-03-13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CONTROL PROCESS THEREFOR
KR102386480B1 (ko) * 2015-10-05 2022-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입력 식별 방법 및 장치
EP4075246B1 (en) 2015-12-09 2024-07-03 FlatFrog Laboratories AB Stylus for optical touch system
CN105739873B (zh) * 2016-03-10 2018-12-0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截屏方法及终端
DK201670596A1 (en) * 2016-06-12 2018-02-19 Apple Inc Digital touch on live video
CN107656688A (zh) * 2016-07-26 2018-02-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屏幕截屏方法和装置
US10761657B2 (en) 2016-11-24 2020-09-01 Flatfrog Laboratories Ab Automatic optimisation of touch signal
KR102629629B1 (ko) 2016-12-07 2024-01-29 플라트프로그 라보라토리즈 에이비 개선된 터치 장치
WO2018141948A1 (en) 2017-02-06 2018-08-09 Flatfrog Laboratories Ab Optical coupling in touch-sensing systems
WO2018147782A1 (en) * 2017-02-07 2018-08-16 Flatfrog Laboratories Ab Improved stylus button control
US20180275830A1 (en) 2017-03-22 2018-09-27 Flatfrog Laboratories Ab Object characterisation for touch displays
CN110663015A (zh) 2017-03-28 2020-01-07 平蛙实验室股份公司 触摸感应装置和用于组装的方法
CN117311543A (zh) 2017-09-01 2023-12-29 平蛙实验室股份公司 触摸感测设备
JP2018032428A (ja) * 2017-10-25 2018-03-01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操作機能付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入力の識別方法
US11567610B2 (en) 2018-03-05 2023-01-31 Flatfrog Laboratories Ab Detection line broadening
KR102473081B1 (ko) * 2018-07-11 2022-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TWI780222B (zh) * 2018-09-07 2022-10-11 日商東普雷股份有限公司 靜電電容式鍵盤裝置
JP7508766B2 (ja) * 2018-10-15 2024-07-02 株式会社リコー 入力装置、入力方法、プログラム、入力システム
CN112889016A (zh) 2018-10-20 2021-06-01 平蛙实验室股份公司 用于触摸敏感装置的框架及其工具
WO2020153890A1 (en) 2019-01-25 2020-07-30 Flatfrog Laboratories Ab A videoconferencing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710384B1 (ko) * 2019-02-01 2024-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버튼 입력에 기능을 맵핑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551480B2 (en) * 2019-04-11 2023-01-10 Ricoh Company, Ltd. Handwriting input apparatus, handwriting input method, program, and input system
KR20210014397A (ko) * 2019-07-30 202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제스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1708445B (zh) * 2019-08-26 2023-08-15 义隆电子股份有限公司 主动式触控笔
CN114730228A (zh) 2019-11-25 2022-07-08 平蛙实验室股份公司 一种触摸感应设备
CN111142674B (zh) * 2019-12-31 2021-09-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JP2023512682A (ja) 2020-02-10 2023-03-28 フラットフロッグ ラボラトリーズ アーベー 改良型タッチ検知装置
CN113791725A (zh) * 2021-08-04 2021-12-14 惠州Tcl云创科技有限公司 触控笔操作的识别方法、智能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62906A1 (en) * 2009-04-08 2010-10-14 Foxconn Communication Technology Corp.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7295A (en) * 1990-10-31 1994-09-13 Go Corporation Control of a computer through a position-sensed stylus
JPH06266493A (ja) * 1993-03-17 1994-09-22 Hitachi Ltd 手書きイメージメモ処理方法
JP3353954B2 (ja) * 1993-08-13 2002-12-09 ソニー株式会社 手書き入力表示方法および手書き入力表示装置
US5500937A (en) * 1993-09-08 1996-03-19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an inked object while simultaneously displaying its recognized object
JPH08249114A (ja) * 1995-03-15 1996-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ペン入力装置
WO1997022062A1 (en) * 1995-12-14 1997-06-19 Motorola Inc. Electronic book diary and method for use therefor
TW524352U (en) * 1999-11-10 2003-03-11 U Teh Internat Corp Touch control device with pressure hand-written pen
US7224991B1 (en) * 2000-09-12 2007-05-29 At&T Corp. Method and system for handwritten electronic messaging
US6798907B1 (en) * 2001-01-24 2004-09-28 Advanced Digital Systems, Inc. System, computer software produc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processing handwritten data
US20030044069A1 (en) * 2001-08-30 2003-03-06 Yuan-Wan Ku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716058B2 (en) * 2001-09-05 2010-05-11 Voice Signal Technologies, Inc. Speech recognition using automatic recognition turn off
US6894683B2 (en) * 2002-07-10 2005-05-17 Intel Corporation Multi-mouse actions stylus
JP2005293239A (ja) * 2004-03-31 2005-10-20 Fujitsu Ltd 情報共有装置及び情報共有方法
US7646379B1 (en) * 2005-01-10 2010-01-12 Motion Computing, Inc. Wireless and contactless electronic input stylus having at least one button with optical scan and programmable pointer functionality
US7477233B2 (en) * 2005-03-16 2009-01-1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difier key behavior through pen gestures
US7661068B2 (en) * 2006-06-12 2010-02-09 Microsoft Corporation Extended eraser functions
US8111922B2 (en) * 2007-06-08 2012-02-07 Microsoft Corporation Bi-directional handwriting insertion and correction
US9019245B2 (en) * 2007-06-28 2015-04-28 Intel Corporation Multi-function tablet pen input device
JP2010020658A (ja) * 2008-07-14 2010-01-28 Panasonic Corp 情報端末装置およびその入力制御方法
US20100185627A1 (en) * 2009-01-12 2010-07-22 Kinpo Electronics, Inc. Sorting method of multimedia files
JP5366789B2 (ja) * 2009-12-18 2013-12-11 キヤノン株式会社 入力指示具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座標入力装置
US8482539B2 (en) * 2010-01-12 2013-07-09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pen system
US8952939B2 (en) * 2010-10-26 2015-02-10 Nomadbrush Llc Conductive brush for use with a computing device
US10146329B2 (en) * 2011-02-25 2018-12-0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 user interface effects for different motion gestures and motion properties
US9329703B2 (en) * 2011-06-22 2016-05-03 Apple Inc. Intelligent stylus
US9965107B2 (en) * 2011-10-28 2018-05-08 Atmel Corporation Authenticating with active styl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62906A1 (en) * 2009-04-08 2010-10-14 Foxconn Communication Technology Corp.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68206A (zh) 2013-03-13
EP2565770A2 (en) 2013-03-06
CN102968206B (zh) 2017-07-14
KR20130024220A (ko) 2013-03-08
JP2013054745A (ja) 2013-03-21
EP2565770A3 (en) 2017-10-25
EP2565770B1 (en) 2019-10-02
US20130050141A1 (en)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123B1 (ko) 휴대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US11507255B2 (en)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with animated sliding user interface transitions
AU2020267498B2 (en) Handwriting entry on an electronic device
US11054988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10025501B2 (en)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serting a character from an alternate keyboard
US8650507B2 (en) Selecting of text using gestures
US9058095B2 (en)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obile terminal thereof
EP256576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n icon in a portable terminal
US1026168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567685B2 (ja) テキスト編集を円滑化する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関連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EP26132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keypad o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US20080098331A1 (en)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with Soft Keyboards
KR20080068491A (ko)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40030361A (ko) 휴대단말기의 문자 인식장치 및 방법
CA2759066A1 (en)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JP2013127692A (ja) 電子機器、削除プログラムおよび削除制御方法
KR102143997B1 (ko) 단말장치의 정보 리스트 처리장치 및 방법
US10963143B2 (en) Data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CN114860149A (zh) 内容编辑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218820B1 (ko)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90121167A (ko) 범위 지정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20140030398A (ko) 명령어 패드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324946B1 (ko) 표시 영역 자동 분할 방법 및 장치
JP2014044673A (ja) 携帯端末装置
TW201525837A (zh) 可攜式電子裝置以及光學字元辨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