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722B1 -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Google Patents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722B1
KR101972722B1 KR1020187004917A KR20187004917A KR101972722B1 KR 101972722 B1 KR101972722 B1 KR 101972722B1 KR 1020187004917 A KR1020187004917 A KR 1020187004917A KR 20187004917 A KR20187004917 A KR 20187004917A KR 101972722 B1 KR101972722 B1 KR 101972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pening
cavity
atomizatio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0687A (ko
Inventor
마나부 다케우치
타쿠마 나카노
마나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0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Abstract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하우징 공동을 가지는 하우징과,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와, 적어도 상기 무화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하우징 공동의 내압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와, 흡인 동작 또는 취입 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 공동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1 구조와, 상기 흡인 동작 및 상기 취입 동작 이외의 소정 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 공동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구조는, 상기 하우징의 흡구단에 설치된 흡구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흡인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 개시 또는 종료를 실시하는 무화 제어를 실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무화 제어와는 상이한 소정 제어를 실시한다.

Description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NON-COMBUSTION-TYPE FLAVOR INHALER}
본 발명은,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源)을 무화(霧化)하는 무화부를 가지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를 흡인하기 위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가 알려져 있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를 가진다.
이러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서는, 흡인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흡인 구간에 있어서 무화부에 전원 출력이 공급되고, 흡인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비흡인 구간에 있어서 무화부에 전원 출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인 구간과 비흡인 구간의 판별에는, 흡인 구간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센서로서는, 흡인 동작에 의해 변화하는 값을 출력하는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2).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2014/150704호 특허문헌 2: 국제공개 제2014/066730호
제1 특징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로서, 하우징 공동(空洞)을 가지는 하우징과,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와, 상기 하우징 공동의 내압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와, 적어도 상기 무화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흡인 동작 또는 취입 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 공동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1 구조와, 상기 흡인 동작 및 상기 취입 동작 이외의 소정 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 공동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구조는, 상기 하우징의 흡구단에 설치된 흡구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흡인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의 개시 또는 종료를 실시하는 무화 제어를 실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무화 제어와는 상이한 소정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 특징은,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는, 상기 하우징 공동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의 대기 공간을 연통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조에 포함되는 상기 개구는, 상기 흡구 개구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 특징은, 제1 특징 또는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는, 상기 소정 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 공동의 내압을 높이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3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 상기 제2 구조 및 상기 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비흡구단 측으로부터 흡구단 측을 향하여, 상기 제2 구조, 상기 센서 및 상기 제1 구조의 순서로 배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5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4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는, 상기 하우징의 비흡구단에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6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공동은, 상기 제1 구조로부터 상기 센서까지 연통되는 제1 공동 및 상기 제2 구조로부터 상기 센서까지 연통되는 제2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동 및 상기 제2 공동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구획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7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6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출력값은, 상기 무화부의 무화 제어를 실시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문턱값 및 상기 무화부의 무화 제어와는 상이한 소정 제어를 판정하는 제2 문턱값과 비교되며, 상기 제1 문턱값은, 상기 제2 문턱값보다도 큰 것을 요지로 한다.
제8 특징은, 제7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는, 상기 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제1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고, 상기 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제2 문턱값을 초과하도록, 상기 하우징 공동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9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8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는, 상기 하우징 공동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의 대기 공간으로 연통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0 특징은, 제9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에 포함되는 상기 개구는, 상기 하우징의 비흡구단의 단면에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1 특징은, 제9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에 포함되는 상기 개구로서 제1 개구 및 제2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한 면에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2 특징은, 제9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에 포함되는 상기 개구로서 제1 개구 및 제2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하우징의 비흡구단의 단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3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2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긴 방향 및 상기 긴 방향에 직교하는 짧은 방향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구조는, 상기 짧은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 측면보다도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4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3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는, 상기 하우징과는 별체(別體)로서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5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4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비흡구단에는, 상기 무화부에 적어도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전극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구조는, 상기 전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6 특징은, 제15 특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긴 방향 및 상기 긴 방향에 직교하는 짧은 방향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전극 부재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가지고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7 특징은, 제16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전극 부재는, 상기 하우징 공동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의 대기(大氣) 공간을 연통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부재에 포함되는 개구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한쪽의 비흡구측단보다도, 상기 긴 방향에 있어서 흡구단 측에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8 특징은, 제16 특징 또는 제17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긴 방향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상기 긴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형성되는 투영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이간하고, 또한, 상기 제1 전극보다도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9 특징은, 제18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전극 부재는, 개구를 가지고, 상기 개구는, 상기 투영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보다도 내측 또한 상기 제2 전극보다도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0 특징은, 제16 특징 내지 제19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의 비흡구측단은, 상기 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비흡구측단보다도 흡구단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1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20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소정 제어는, 유저가 정규 유저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어, 퍼프 동작 시리즈를 개시 또는 종료하는 제어,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상기 제어부에서 카운트되고 있는 값의 리셋 제어, 및, 상기 제어부에서 관리되고 있는 값의 통지 제어 중, 적어도 어느 1개의 제어인 것을 요지로 한다.
상술한 특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비흡구단에는, 엔드 캡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구조는, 상기 엔드 캡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술한 특징에 있어서, 상기 엔드 캡은, 상기 하우징 공동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의 대기 공간으로 연통되는 개구를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술한 특징에 있어서, 상기 엔드 캡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술한 특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구조는, 상기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술한 특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긴 방향 및 상기 긴 방향에 직교하는 짧은 방향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하우징의 비흡구단에는, 상기 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는 슬라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구조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술한 특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공동에는, 상기 하우징 공동 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동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구조는, 상기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술한 특징에 있어서, 상기 소정 동작은, 상기 제2 구조에 포함되는 개구를 유저의 손가락의 불룩한 부분으로 막는 동작인 것을 요지로 한다.
상술한 특징에 있어서, 상기 소정 동작은, 상기 제2 구조에 포함되는 탄성 부재를 압하(押下)하는 동작인 것을 요지로 한다.
상술한 특징에 있어서, 상기 소정 동작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슬라이드하는 동작인 것을 요지로 한다.
상술한 특징에 있어서, 상기 소정 동작은,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하우징 공동 내에서 이동시키는 동작인 것을 요지로 한다.
상술한 특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 형상 또는 각통 형상을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술한 특징에 있어서,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상태를 통지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2 구조보다도 상기 하우징의 흡구단 측에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술한 특징에 있어서,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상태를 통지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2 공동보다도 상기 하우징의 흡구단 측에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무화 유닛(12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센서(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어 회로(5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 도 5는, 변경예 1에 관련되는 전장(電裝) 유닛(1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도 6은, 변경예 2에 관련되는 전장 유닛(1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도 7은, 변경예 3에 관련되는 전장 유닛(1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도 8은, 변경예 4에 관련되는 전장 유닛(1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도 9는, 변경예 5에 관련되는 전장 유닛(1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도 10은, 변경예 6에 관련되는 전장 유닛(1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개시의 개요]
배경 기술에서 언급한 센서는, 흡인 구간의 검출(즉, 무화부의 무화 제어)에 이용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고, 다른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무화부의 무화 제어에서 이용하는 센서를 다른 용도로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발견했다.
개시의 개요에 관련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하우징 공동을 가지는 하우징과,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와, 상기 하우징 공동의 내압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와, 적어도 상기 무화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흡인 동작 또는 취입 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 공동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1 구조와, 상기 흡인 동작 및 상기 취입 동작 이외의 소정 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 공동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구조는, 상기 하우징의 흡구단에 설치된 흡구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흡인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 개시 또는 종료를 실시하는 무화 제어를 실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무화 제어와는 상이한 소정 제어를 실시한다.
개시의 개요에서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흡인 동작 또는 취입 동작에 의해 하우징 공동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1 구조와, 흡인 동작 및 취입 동작 이외의 소정 동작에 의해 하우징 공동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 구조를 구비하고, 센서는, 하우징 공동의 내압 변화를 검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에어로졸원의 무화 개시 또는 종료를 실시하는 무화 제어와는 상이한 소정 제어를 실시하는 트리거를 검출하는 부재로서 무화 제어에 이용하는 센서를 이용하기 때문에, 무화 제어에 이용하는 센서의 용도가 넓어진다. 또한, 1개의 센서에 의해 복수의 제어를 실시하는 트리거를 검출하면,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도 있다.
[실시 형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무화 유닛(12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를 흡인하기 위한 기구이며, 비흡구단 측으로부터 흡구단 측을 향하는 방향인 긴 방향(A)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전장 유닛(110)과, 무화 유닛(120)을 가진다. 전장 유닛(110)은, 무화 유닛(120)에 인접하는 부위에 암(雌) 커넥터(111)를 가지고 있고, 무화 유닛(120)은, 전장 유닛(110)에 인접하는 부위에 수(雄) 커넥터(121)를 가진다. 암 커넥터(111)는, 긴 방향(A)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나선 형상의 홈을 가지고 있고, 수 커넥터(121)는, 긴 방향(A)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나선 형상의 돌기를 가진다. 암 커넥터(111) 및 수 커넥터(121)의 나사 결합에 의해, 무화 유닛(120)과 전장 유닛(110)이 접속된다. 무화 유닛(120)은, 전장 유닛(1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하우징 공동(104)을 가지는 하우징(100X)을 가진다. 하우징 공동(104)은, 센서(20)에 대해 흡구단 측에 설치되는 제1 공동(105)과, 센서(20)에 대해 비흡구단 측에 설치되는 제2 공동(106)을 포함한다. 하우징(100X)은, 긴 방향(A) 및 긴 방향(A)에 직교하는 짧은 방향(B)을 가진다. 하우징(100X)은, 원통 형상 또는 각통 형상 등의 통 모양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0X)은, 적어도 흡인 동작에서 이용하는 통기 개구(101in) 및 흡구 개구(100out)를 가진다. 흡구 개구(100out)는, 하우징(100X)의 흡구단에 설치되어 있고, 통기 개구(101in) 및 흡구 개구(100out)는, 제1 공동(105)에 연통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장 유닛(110)은, 하우징(100X)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장 하우징(110X)을 가지고 있고, 전장 하우징(110X)은, 통기 개구(101in)의 일부를 구성하는 개구(110in)를 가진다. 무화 유닛(120)은, 하우징(100X)의 일부를 구성하는 무화 하우징(120X)을 가지고 있고, 무화 하우징(120X)은, 통기 개구(101in)의 일부를 구성하는 개구(120in)와, 흡구 개구(100out)를 구성하는 개구(120out)를 가진다. 개구(110in) 및 개구(120in)는, 암 커넥터(111) 및 수 커넥터(121)가 접속된 상태로 연통된다.
여기서, 하우징(100X)의 비흡구단의 단면에는, 배터리(10)를 충전하기 위한 전극 부재(210)가 설치된다. 전극 부재(210)는,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과, 절연 부재(213)와, 개구(214)를 가진다.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은, 배터리(10)에 접속되어 있고, 외부 전원과 배터리(10)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배터리(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2 전극(212)은, 긴 방향(A)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긴 방향(A)에 직교하는 면에 형성되는 투영면에 있어서, 제1 전극(211)과 이간하고, 또한, 제1 전극(211)보다도 내측에 설치된다. 제2 전극(212)의 비흡구측단은, 긴 방향(A)에 있어서, 제1 전극(211)의 비흡구측단보다도 흡구단 측에 설치된다. 절연 부재(213)는,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을 절연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제2 공동(106)에 연통되는 개구(214)는, 하우징 공동(104)(여기에서는, 제2 공동(106))으로부터 하우징(100X) 외측의 대기 공간에 연통되는 개구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2 공동(106)은, 하우징(100X) 외측의 대기 공간에 개구(214)를 통하여 연통되고 있다. 개구(214)는, 투영면에 있어서 제1 전극(211)보다도 내측 또한 제2 전극(212)보다도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개구(214)는,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 중 어느 한편(여기에서는, 제1 전극(211))의 비흡구측단보다도, 긴 방향(A)에 있어서 흡구단 측에 설치된다. 또한, 전극 부재(210)가 하우징(100X)의 비흡구단의 단면(端面)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214)는, 하우징(100X)의 비흡구단의 단면에 설치된다고 생각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기 개구(101in) 및 흡구 개구(100out)는, 흡인 동작 또는 취입 동작에 의해 하우징 공동(104)(여기에서는, 제1 공동(105))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1 구조를 구성한다. 전극 부재(210)는, 흡인 동작 및 취입 동작 이외의 소정 동작에 의해 하우징 공동(104)(여기에서는, 제2 공동(106))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 구조를 구성한다. 소정 동작은, 예를 들면, 유저의 손가락의 불룩한 부분에 의해 제2 전극(212)의 선단에 의해 구성되는 개구를 막는 동작이며, 제2 공동(106)의 내압을 높이는 동작이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전극 부재(210)는, 소정 동작에 의해 하우징 공동(104)(여기에서는, 제2 공동(106))의 내압을 높이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극 부재(210)는, 하우징(100X)의 내측 측면에 끼워 넣어진다. 즉, 전극 부재(210)는, 짧은 방향(B)에 있어서 하우징(100X)의 외측 측면보다도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배치된다. 전극 부재(210)는, 하우징(100X)과 별체로 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공동(105) 및 제2 공동(106)은, 하우징(100X) 내에서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센서(2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1 공동(105)은, 통기 개구(101in) 및 흡구 개구(100out)로부터 센서(20)까지 연통되는 공동이라고 생각하면 되고, 제2 공동(106)은, 전극 부재(210)로부터 센서(20)까지 연통되는 공동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구조(통기 개구(101in) 및 흡구 개구(100out)), 제2 구조(전극 부재(210)) 및 센서(20)는, 하우징(100X)의 비흡구단 측으로부터 흡구단 측을 향하여, 제2 구조, 센서(20) 및 제1 구조의 순서로 배치된다.
전장 유닛(110)은, 배터리(10)와, 센서(20)와, 발광 소자(40)와, 제어 회로(50)를 가진다.
배터리(10)는,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이다. 배터리(10)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축적한다. 예를 들면, 배터리(10)는, 센서(20), 발광 소자(40) 및 제어 회로(50)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적한다. 또한, 배터리(10)는, 후술하는 무화부(80)(무화부)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적한다.
센서(20)는, 하우징 공동(104)의 내압 변화를 검출한다. 상세하게는, 센서(20)는, 제1 공동(105)의 내압과 제2 공동(106)의 내압의 차압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센서(20)는, 콘덴서를 가지는 센서이며, 제1 공동(105)의 내압과 제2 공동(106)의 내압의 차압에 따른 콘덴서의 전기용량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면, 전압값)을 출력한다. 센서(20)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커버(21)와, 기판(22)과, 전극막(23)과, 고정 전극(24)과, 제어 회로(25)와, 개구(26)와, 개구(27)를 가진다. 커버(21)와 하우징(100X)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지 않고, 제1 공동(105) 및 제2 공동(106)은, 하우징(100X) 내에서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센서(2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기판(22)에는, 고정 전극(24) 및 제어 회로(25)가 설치된다. 전극막(23)은, 제1 공동(105)의 내압과 제2 공동(106)의 내압의 차압의 변화에 따라 변형된다. 고정 전극(24)은, 전극막(23)과 콘덴서를 형성한다. 콘덴서의 전기용량은, 전극막(23)의 변형에 의해 변화한다. 제어 회로(25)는, 전극막(23)의 변형에 의해 변화하는 전기용량을 검출한다. 개구(26)는, 제1 공동(105)에 연통한다. 따라서, 흡인 동작에 의해 제1 공동(105)의 내압이 변화함과 동시에 전극막(23)이 변형된다. 개구(27)는, 제2 공동(106)에 연통한다. 따라서, 소정 동작에 의해 제2 공동(106)의 내압이 변화함과 동시에 전극막(23)이 변형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흡인 동작을 실시했을 경우, 제1 공동(105)의 내압이 저하하는 반면, 제2 공동(106)의 내압은 실질적으로는 변화하지 않고, 대기압과 거의 동등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센서(20)는 제1 공동(105)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를 검출한다. 또한 예를 들면, 취입 동작을 실시했을 경우, 제1 공동(105)의 내압이 상승하는 반면, 제2 공동(106)의 내압은 실질적으로는 변화하지 않고, 대기압과 거의 동등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센서(20)는 제1 공동(105)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를 검출한다. 또한 예를 들면, 소정 동작을 실시했을 경우, 제2 공동(106)의 내압이 상승하는 반면, 제1 공동(105)의 내압은 실질적으로는 변화하지 않고, 대기압과 거의 동등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센서(20)는 제2 공동(106)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를 검출한다.
도 1로 돌아와, 발광 소자(40)는, 발광 태양(態樣), 즉, 발광의 색, 점등/소등, 점등시의 패턴 등에 의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 상태를 통지한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 상태는, 예를 들면, 전원 온 또는 전원 오프 등의 상태여도 되고, 흡인 상태 또는 비흡인 상태 등의 상태여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발광 소자(40)는, 전극 부재(210)보다도 하우징(100X)의 흡구단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발광 소자(40)는, 제2 공동(106)보다도 하우징(100X)의 흡구단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흡인 동작/취입 동작 및 소정 동작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발광 소자(40)를 시인(視認)하기 쉽다. 혹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상태는, 후술하는 제어부(51)에서 관리되고 있는 값(예를 들면, 퍼프 동작의 누적 회수, 1회의 퍼프 동작 시리즈에 있어서의 퍼프 동작의 누적 회수, 퍼프 동작 시리즈의 누적 회수, 배터리(10)의 잔량, 에어로졸원의 잔량 등)이어도 된다.
제어 회로(50)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 회로(50)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도 4를 참조).
무화 유닛(120)은, 도 2에 나타내듯이, 리저버(60)와, 액(液) 유지 부재(70)와, 무화부(80)와, 파괴부(90)를 가진다. 무화 유닛(120)은, 캡슐 유닛(130)과, 흡구 유닛(140)을 가진다. 여기서, 무화 유닛(120)은, 대기를 내부로 취입하기 위한 개구(120in)와, 수 커넥터(121)를 통하여 전장 유닛(110)(센서(20))에 연통되는 공기 유로(122)와, 통 모양으로 배치되는 세라믹(123)을 가진다. 무화 유닛(120)은, 무화 유닛(120)의 외형을 형성하는 통 모양의 무화 하우징(120X)을 가진다. 세라믹(123)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은,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즉, 세라믹(123)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 및 상술한 공기 유로(122)는, 제1 공동(105)의 일부를 형성한다. 세라믹(123)은, 예를 들면, 알루미나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리저버(60)는, 에어로졸원을 저장한다. 리저버(60)는, 수지 웹 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공질체(孔質體)이다. 리저버(60)는, 액 유지 부재(70)에 에어로졸원을 공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액 유지 부재(70)의 일부와 적어도 접촉한다.
또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세라믹(123)이 리저버(6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리저버(60)에 의해 유지되는 에어로졸원의 휘발이 억제된다.
액 유지 부재(70)는, 리저버(6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로졸원을 유지한다. 예를 들면, 액 유지 부재(70)는, 유리 섬유에 의해 구성되는 윅(wick)이다.
무화부(80)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가열한다. 즉, 무화부(80)는, 액 유지 부재(70)에 의해 유지되는 에어로졸원을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무화한다. 예를 들면, 무화부(80)는, 무화부(80)에 공급되는 전원 출력에 의해 발열하는 저항 발열체이다. 무화부(80)는, 액 유지 부재(70)에 돌려 감아진 와이어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무화부(80)로서, 가열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가열 타입의 부품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무화부는,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되고, 초음파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초음파 타입의 부품이어도 된다.
파괴부(90)는, 캡슐 유닛(130)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소정 막(133)의 일부를 파괴하기 위한 부재이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파괴부(90)는, 무화 유닛(120)과 캡슐 유닛(130)을 나누기 위한 격벽 부재(126)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격벽 부재(126)는,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수지이다. 파괴부(90)는, 예를 들면, 긴 방향(A)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의 중공침이다. 중공침의 선단을 소정 막(133)에 찌르는 것에 의해, 소정 막(133)의 일부가 파괴된다. 또한, 중공침의 내측 공간에 의해 무화 유닛(120)과 캡슐 유닛(130)을 공기적으로 연통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중공침의 내부에는, 담배원(131)을 구성하는 원료가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조밀도를 가지는 망목(網目)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목의 조밀도는, 예를 들면, 80 메시 이상 200 메시 이하이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캡슐 유닛(130) 내에 중공침이 침입하는 깊이는, 1.0mm 이상 또한 5.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mm 이상 또한 3.0m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소정 막(133)의 소망 부위 이외의 부위를 파괴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소정 막(133)과 필터(132)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충전되는 담배원(131)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간으로부터의 중공침의 이탈이 억제되기 때문에, 중공침으로부터 필터(132)에 이르는 적절한 공기 유로를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긴 방향(A)에 대한 수직 단면(斷面)에 있어서, 수직침의 단면적은, 2.0mm2 이상 또한 3.0m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중공침을 뽑아냈을 때에, 캡슐 유닛(130)으로부터 담배원(131)이 탈락하는 것이 억제된다.
중공침의 선단은, 긴 방향(A)에 대한 수직 방향에 대하여, 30° 이상 또한 45° 이하의 경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파괴부(90)는, 캡슐 유닛(130)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소정 막(133)에 인접하는 부위여도 된다. 이러한 부위에 대해 유저가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소정 막(133)의 일부가 파괴되어도 된다.
캡슐 유닛(130)은, 본체 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캡슐 유닛(130)은, 담배원(131)과, 필터(132)와, 소정 막(133)을 가진다. 또한, 소정 막(133)과 필터(132)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에, 담배원(131)이 충전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 유닛이란, 캡슐 유닛(130) 이외의 부위에 의해 구성되는 유닛이다. 예를 들면, 본체 유닛은, 상술한 전장 유닛(110), 리저버(60), 액 유지 부재(70) 및 무화부(80)를 포함한다.
담배원(131)은, 에어로졸원을 유지하는 리저버(60)보다도 흡구단 측에 설치되어 있고, 에어로졸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과 함께 유저에 의해 흡인되는 향미를 발생한다. 여기서, 담배원(131)은, 소정 막(133)과 필터(132)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로부터 유출되지 않도록, 고체상의 물질에 의해 구성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담배원(131)으로서는, 살담배, 담배 원료를 입상(粒狀)으로 성형한 성형체, 담배 원료를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 성형체를 이용할 수 있다. 담배원(131)에는, 멘톨 등의 향료가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담배원(131)이 담배 원료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는, 담배 원료가 무화부(80)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담배 원료를 가열하지 않고 향미를 흡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담배 원료의 가열에 의해 생기는 불요 물질의 흡인이 억제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필터(132) 및 소정 막(133)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충전되는 담배원(131)의 양은, 0.15g/cc 이상 또한 1.00g/cc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132) 및 소정 막(133)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있어서 담배원(131)이 점유하는 체적의 점유율은, 50% 이상 또한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132) 및 소정 막(133)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용적은, 0.6ml 이상 또한 1.5m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캡슐 유닛(130)을 적절한 크기로 유지하면서, 유저가 향미를 충분히 맛볼 수 있는 정도로 담배원(131)을 수용할 수 있다.
파괴부(90)에 의해 소정 막(133)의 일부가 파괴되어, 무화 유닛(120)과 캡슐 유닛(130)이 연통한 상태에 있어서, 캡슐 유닛(130)의 선단 부분(피파괴 부분)으로부터 필터(132)의 말단까지, 1050cc/min의 유량으로 공기를 흡인했을 경우의 캡슐 유닛(130)의 통기 저항(압력 손실)은, 전체적으로, 10mmAq 이상 또한 100mmAq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mmAq 이상 또한 90mmAq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담배원(131)의 통기 저항을 상기의 바람직한 범위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이 담배원(131)에 의해 너무 여과되는 사상이 억제되어, 효율적으로 향미를 유저에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1mmAq는, 9.80665Pa에 상당하기 때문에, 상기 통기 저항은, Pa로 표현할 수도 있다.
필터(132)는, 담배원(131)에 대하여 흡구단 측에 인접되어 있고, 통기성을 가지는 물질에 의해 구성된다. 필터(132)는,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132)는, 담배원(131)을 구성하는 원료가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조밀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132)의 통기 저항은, 5mmAq 이상 또한 20mmAq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담배원(131)으로부터 발생하는 증기 성분을 효율적으로 흡착하면서, 에어로졸을 효율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어, 적절한 향미를 유저에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유저에 대해 적절한 공기의 저항감을 줄 수 있다.
담배원(131)의 질량과 필터(132)의 질량의 비율(질량 비율)은, 3:1∼20: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4:1∼6:1의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소정 막(133)은, 필터(132)와 일체로 하여 성형되어 있고, 통기성을 가지지 않은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소정 막(133)은, 담배원(131)의 외면 중, 필터(132)와 인접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피복한다. 소정 막(133)은, 젤라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의해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젤라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통기성을 가지지 않고, 또한, 박막의 형성에 적당하다. 또한, 젤라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담배원(131)에 포함되는 수분에 대해 충분한 내성을 얻을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특히 내수성이 뛰어나다. 또한, 젤라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은, 내염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담배원(131)이 염기성 성분을 가지는 경우에도, 염기성 성분에 의해 열화되기 어렵다.
소정 막(133)의 막 두께는, 0.1μm 이상 또한 0.3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소정 막(133)에 의해 담배원(131)을 보호하는 기능을 유지하면서, 소정 막(133)의 일부를 용이하게 파괴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소정 막(133)은, 필터(132)와 일체로서 성형되지만, 소정 막(133)은, 예를 들면, 풀 등에 의해 필터(132)에 접착된다. 혹은, 긴 방향(A)에 대한 수직 방향에 있어서, 소정 막(133)의 외형을 필터(132)의 외형보다도 작게 설정하여, 소정 막(133) 내에 필터(132)를 밀어넣어, 필터(132)의 복원력에 의해 소정 막(133) 내에 필터(132)를 끼워 넣어도 된다. 혹은, 소정 막(133)을 계합(係合)하기 위한 계합부를 필터(132)에 설치해도 된다.
여기서, 소정 막(133)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긴 방향(A)에 대한 수직 단면에 있어서, 오목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케이스에서는, 오목 형상을 가지는 소정 막(133)의 내측에 담배원(131)을 충전한 후에, 담배원(131)이 충전된 소정 막(133)의 개구를 필터(132)에 의해 덮는다.
긴 방향(A)에 대한 수직 단면에 있어서, 소정 막(133)이 오목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 소정 막(133)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의 단면적 중, 최대의 단면적(즉, 필터(132)가 감합(嵌合)되는 개구의 단면적)은, 25mm2 이상 또한 80m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mm2 이상 또한 55mm2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긴 방향(A)에 대한 수직 단면에 있어서, 필터(132)의 단면적은, 25mm2 이상 또한 55m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긴 방향(A)에 있어서의 필터(132)의 두께는, 3.0mm 이상 또한 7.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구 유닛(140)은, 흡구 개구(120out)를 가진다. 흡구 개구(120out)는, 필터(132)를 노출하는 개구이다. 유저는, 흡구 개구(120out)로부터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과 함께 향미를 흡인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흡구 유닛(140)은, 무화 유닛(120)의 무화 하우징(120X)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흡구 유닛(140)은, 무화 하우징(120X)의 내면에 감합하도록 구성된 컵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구 유닛(140)은, 힌지 등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무화 하우징(120X)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흡구 유닛(140)은, 캡슐 유닛(130)과 별체로서 설치된다. 즉, 흡구 유닛(140)은, 본체 유닛의 일부를 구성한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구 유닛(140)은, 캡슐 유닛(130)과 일체로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흡구 유닛(140)은, 캡슐 유닛(130)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어 회로)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어 회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제어 회로(5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제어 회로(50)는, 센서(20)에 접속되어 있고, 적어도 무화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1)를 가진다. 제어부(51)는, 적어도 흡인 동작(센서(20)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개시 또는 종료를 실시하는 무화부의 무화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51)는, 소정 동작(센서(20)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무화부의 무화 제어와는 상이한 소정 제어를 실시한다.
여기서, 센서(20)의 출력값은, 무화부의 무화 제어를 실시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문턱값 및 무화부의 무화 제어와는 상이한 소정 제어를 판정하는 제2 문턱값과 비교된다. 제1 문턱값은, 제2 문턱값보다도 크다. 또한, 에어로졸원의 무화 개시(전원 출력 개시)를 판정하는 문턱값(제1 문턱값)은, 에어로졸원의 무화 종료(전원 출력 정지)를 판정하는 문턱값(제1 문턱값)과 상이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1)는, 흡인 동작에 의해 제1 공동(105)의 내압이 제2 공동(106)의 내압에 비교하여 저하되고, 하우징 공동(104) 내부의 내압 변화를 검지하는 센서(20)의 출력값이 제1 문턱값을 초과한 경우에, 무화부(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개시한다. 한편으로, 제어부(51)는, 제1 공동(105)의 내압이 제2 공동(106)의 내압에 비교하여 저하되고, 하우징 공동(104) 내부의 내압 변화를 검지하는 센서(20)의 출력값이 제1 문턱값을 하회(下回)한 경우에, 무화부(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정지한다. 또한, 제어부(51)는, 소정 동작에 의해 제2 공동(106)의 내압이 제1 공동(105)의 내압에 비교하여 상승하고, 하우징 공동(104) 내부의 압력 변화를 검지하는 센서(20)의 출력값이 제1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고 제2 문턱값을 초과한 경우에, 무화부의 무화 제어와는 상이한 소정 제어를 실시한다.
따라서, 상술한 전극 부재(210)는, 센서(20)의 출력값이 제1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고, 센서(20)의 출력값이 제2 문턱값을 초과하도록, 하우징 공동(104)(제2 공동(106))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고 생각해도 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소정 제어는, 유저가 정규 유저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어이어도 되고, 퍼프 동작 시리즈를 개시 또는 종료하는 제어이어도 된다. 퍼프 동작 시리즈란, 소정 회수의 흡인 동작을 반복하는 일련의 동작이다. 혹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 모드로서 복수의 동작 모드가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에 있어서, 소정 제어는,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동작 모드의 전환은, 흡인 동작(센서(20)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개시 또는 종료를 실시하는 무화부의 무화 제어를 허용하지 않고, 또한, 적어도 센서(20)에 대한 통전이 실시되고 있는 슬립 모드(전력 절약 모드)와, 흡인 동작(센서(20)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개시 또는 종료를 실시하는 무화부의 무화 제어를 허용하고, 또한, 적어도 센서(20)에 대한 통전이 실시되고 있는 레디 모드와의 전환이다. 혹은, 동작 모드의 전환은, 무화부(80)에 대한 전원 출력의 크기(전원 출력의 절대값 또는 듀티비)의 전환이다. 혹은, 동작 모드의 전환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가 통신 모듈을 가지고 있는 케이스에 있어서,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신을 허용하는지 아닌지의 전환이다. 혹은, 소정 제어는, 제어부(51)에서 카운트되고 있는 값(예를 들면, 퍼프 동작의 누적 회수, 1회의 퍼프 동작 시리즈 에 있어서의 퍼프 동작의 누적 회수, 퍼프 동작 시리즈의 누적 회수 등)의 리셋 제어이어도 된다. 혹은, 소정 제어는, 제어부(51)에서 관리되고 있는 값(예를 들면, 퍼프 동작의 누적 회수, 1회의 퍼프 동작 시리즈에 있어서의 퍼프 동작의 누적 회수, 퍼프 동작 시리즈의 누적 회수, 배터리(10)의 잔량, 에어로졸원의 잔량,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지 아닌지 등)을 발광 소자(40)의 발광 태양에 의해 통지하는 제어이어도 된다.
여기서, 제1 문턱값 및 제2 문턱값의 적어도 한쪽은, 센서(20)의 출력값의 절대값과 비교되는 값이어도 된다. 혹은, 제1 문턱값 및 제2 문턱값의 적어도 한쪽은, 2 이상의 센서(20)의 출력값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와 비교되는 값이어도 된다.
제어부(51)는, 배터리(10)에 접속되어 있고, 배터리(10)로부터 무화부(80)(무화부)에 대한 전원 출력(여기에서는, 전력량)을 제어한다. 또한, 전력량이란, 시간 및 전력(전압 또는 전류)의 곱셈 결과이며, 시간 및 전력에 의해 제어되는 값이다. 예를 들면, 제어부(51)는, 배터리(10)에 병설되는 DC-DC 컨버터 등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배터리(10)로부터 무화부(8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제어부(51)는, 무화부(80)에 대한 전원 출력의 절대값을 제어해도 되고, 무화부(80)에 대한 전원 출력의 듀티비를 제어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51)는, 취입 동작에 근거하여, 소정 제어를 실시해도 되고, 소정 제어를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취입 동작을 검출했다고 해도 아무런 제어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혹은, 센서(20)는, 흡인 동작만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취입 동작에 근거하는 소정 제어는, 상술한 소정 동작에 근거하는 무화부의 무화 제어와는 상이한 소정 제어로서 나열된 제어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취입 동작에 근거하여 소정 제어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취입 동작에 근거하는 소정 제어는, 소정 동작에 근거하는 소정 제어와는 상이한 제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작용 및 효과)
실시 형태에서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흡인 동작 또는 취입 동작에 의해 제1 공동(105)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1 구조와, 흡인 동작 및 취입 동작 이외의 소정 동작에 의해 제2 공동(106)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 구조를 구비하고, 센서(20)는, 하우징 공동(104)의 내압 변화를 검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무화 제어와는 상이한 소정 제어를 실시하는 트리거를 검출하는 부재로서 무화 제어에 이용하는 센서(20)를 이용하기 때문에, 무화 제어에 이용하는 센서(20)의 용도가 넓어진다. 또한, 1개의 센서(20)에 의해 복수의 제어를 실시하는 트리거를 검출하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도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 부재(210)(개구(214))는, 하우징(100X)의 비흡구단의 단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 공동(106)의 내압을 높이는 소정 동작이 흡인 동작에 따라 실수로 실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구조(통기 개구(101in) 및 흡구 개구(100out)), 제2 구조(전극 부재(210)) 및 센서(20)는, 하우징(100X)의 비흡구단 측으로부터 흡구단 측을 향하여, 제2 구조, 센서(20) 및 제1 구조의 순서로 배치된다. 또한, 제1 공동(105)은, 센서(20)에 대해 흡구단 측에 설치되어 있고, 제2 공동(106)은, 센서(20)에 대해 비흡구단 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 공동(106)의 내압을 높이는 소정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내압의 대소 관계(제1 공동(105)의 내압<제2 공동(106)의 내압)가 흡인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내압의 대소 관계와 동일한 반면, 취입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내압의 대소 관계는, 제1 공동(105)의 내압>제2 공동(106)의 내압이 되기 때문에, 소정 동작과 취입 동작을 판별하는 것이 용이하다.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공동(105) 및 제2 공동(106)은, 하우징(100X) 내에서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센서(2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 구조에 의해 제2 공동(106)의 내압을 높이기 쉬워지는 것에 더하여, 소정 동작에 의해 제1 공동(105)의 내압 변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 동작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 부재(210)는, 짧은 방향(B)에 있어서 하우징(100X)의 외측 측면보다도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소정 동작에 의해 제2 공동(106)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전극 부재(210)를 설치하는 경우여도, 짧은 방향(B)에 있어서의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사이즈 확대가 억제된다.
[변경예 1]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의 변경예 1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1에서는, 소정 동작에 의해 제2 공동(106)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 구조로서, 도 5(A) 또는 도 5(B)에 나타내듯이, 전극 부재(210)를 대신하여 엔드 캡(220)이 설치된다. 엔드 캡(220)은, 하우징(100X)(전장 하우징(110X))의 비흡구단에 설치되어 있고, 제2 공동(106)의 개구를 피복한다.
예를 들면, 도 5(A)에 나타내듯이, 엔드 캡(220)은, 긴 방향(A)에 있어서 전장 하우징(110X)의 내측으로 움푹 패인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제2 공동(106)으로부터 전장 하우징(110X)의 외측의 대기 공간으로 연통되는 개구(221)를 가진다. 혹은, 도 5(B)에 나타내듯이, 엔드 캡(220)은, 전장 하우징(110X)의 내측으로 움푹 패인 형상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개구(221)는, 유저의 손가락의 불룩한 부분이 전장 하우징(110X)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정도의 사이즈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221)는, 전장 하우징(110X)의 비흡구단의 단면에 설치된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손가락의 불룩한 부분 등에 의해 개구(221)를 막는 동작(소정 동작)에 의해 제2 공동(106)의 내압을 높일 수 있다.
[변경예 2]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의 변경예 2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변경예 1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2에서는, 도 6(A)∼도 6(C)에 나타내듯이, 변경예 1과 동일하게, 하우징(100X)(전장 하우징(110X))의 비흡구단에 엔드 캡(220)이 설치된다. 변경예 2에서는, 엔드 캡(220)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내듯이, 엔드 캡(220)은, 제2 공동(106)의 개구를 완전하게 피복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도 6(B)에 나타내듯이, 엔드 캡(220)은, 제2 공동(106)으로부터 전장 하우징(110X) 외측의 대기 공간으로 연통되는 1 이상의 개구(221)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개구(221)는, 전장 하우징(110X)의 비흡구단의 단면에 설치된다. 혹은, 도 6(C)에 나타내듯이, 전장 하우징(110X)은, 제2 공동(106)으로부터 전장 하우징(110X) 외측의 대기 공간으로 연통되는 개구(222)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개구(222)는, 예를 들면, 전장 하우징(110X)에 있어서 비흡구단의 단면과 상이한 방향을 향한 면(여기에서는, 측면)에 설치된다. 도 6(C)에 있어서, 제2 구조란 엔드 캡(220) 및 개구(222)를 형성하는 하우징의 일부를 포함한다.
엔드 캡(220)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전장 하우징(110X)의 내측에 엔드 캡(220)을 압하하는 동작(소정 동작)에 의해 제2 공동(106)의 내압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6(C)에 나타내는 케이스에서는, 개구(222)를 막은 상태로 엔드 캡(220)을 압하하지 않으면, 제2 공동(106)의 내압이 상승되지 않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변경예 3]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의 변경예 3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3에서는, 도 7에 나타내듯이, 하우징(100X)(전장 하우징(110X))은,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탄성 부분(115)을 가진다. 탄성 부분(115)은, 제2 공동(106)을 구획하는 격벽의 일부를 구성한다. 탄성 부재(115)는, 소정 동작에 의해 제2 공동(106)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 구조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제2 공동(106)의 개구는, 변경예 1 등과 동일하게, 엔드 캡(220)에 의해 피복된다. 탄성 부재(115)와 동일하게, 엔드 캡(220)도 또한, 제2 구조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2 공동(106)을 구획하는 격벽의 일부가 탄성 부재(115)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전장 하우징(110X)의 내측에 탄성 부분(115)을 압하하는 동작(소정 동작)에 의해 제2 공동(106)의 내압을 높일 수 있다.
[변경예 4]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의 변경예 4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4에서는, 소정 동작에 의해 제2 공동(106)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 구조로서 도 8(A) 또는 도 8(B)에 나타내듯이, 전극 부재(210)를 대신하여, 슬라이드 부재(230)가 설치된다. 슬라이드 부재(230)는, 하우징(100X)(전장 하우징(110X))의 비흡구단에 설치되어 있고, 제2 공동(106)의 개구를 피복한다. 슬라이드 부재(230)는, 제2 공동(106)의 용적을 변경하도록, 긴 방향(A)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8(A)에 나타내듯이, 슬라이드 부재(230)는, 전장 하우징(110X)의 외측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다. 혹은, 도 8(B)에 나타내듯이, 슬라이드 부재(230)는, 전장 하우징(110X)의 내측 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도 8(B)에 나타내는 케이스에서는, 슬라이드 부재(230)는, 탄성 부재(231)(스프링 등)를 가지고 있고, 슬라이드 부재(230)를 슬라이드한 후에 탄성 부재(231)에 의해 자동적으로 엔드 캡(220)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드 부재(230)의 슬라이드(소정 동작)에 의해 제2 공동(106)의 내압을 높일 수 있다.
[변경예 5]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의 변경예 5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5에서는, 소정 동작에 의해 제2 공동(106)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 구조로서, 도 9에 나타내듯이, 전극 부재(210)를 대신하여 가동 부재(240)가 설치된다. 가동 부재(240)는, 하우징 공동(104)(여기에서는, 제2 공동(106)) 내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가동 부재(240)는, 제2 공동(106)의 개구를 피복하는 엔드 캡(220)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공동(106)의 내압은, 가동 부재(240)의 이동에 의해 변화한다.
제2 공동(106) 내에 가동 부재(240)가 설치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흔드는 동작(소정 동작)에 의해 제2 공동(106) 내에 있어서 가동 부재(240)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2 공동(106)의 내압을 높일 수 있다.
[변경예 6]
이하에 있어서, 실시 형태의 변경예 6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 및 변경예 1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변경예 1에서는, 소정 동작에 의해 제2 공동(106)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 구조로서, 도 5(A) 또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공동(106)의 개구를 피복하는 엔드 캡(220)이 설치된다. 엔드 캡(220)은, 제2 공동(106)으로부터 전장 하우징(110X) 외측의 대기 공간으로 연통되는 개구(221)를 가진다.
이에 대하여, 변경예 6에서는,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듯이, 엔드 캡(220)에 설치되는 개구(221) 이외에, 제2 공동(106)으로부터 전장 하우징(110X) 외측의 대기 공간으로 연통되는 개구(223)가 설치된다. 개구(223)는, 예를 들면, 전장 하우징(110X)에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제2 구조란 엔드 캡(220) 및 개구(223)를 형성하는 하우징의 일부를 포함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케이스에서는, 개구(223)를 막은 상태로 손가락의 불룩한 부분 등에 의해 개구(221)를 막지 않으면, 제2 공동(106)의 내압이 상승하지 않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즉, 변경예 6에서는, 제2 구조에 포함되는 개구로서 개구(221) 및 개구(223)가 설치되어 있고, 개구(221) 및 개구(223)는, 전장 하우징(110X)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한 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개구(221)는, 전장 하우징(110X)의 비흡구단의 단면에 설치되어 있고, 개구(223)는, 전장 하우징(110X)의 측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구(223)는 단일 개구이어도 되고, 복수 개구이어도 된다. 여기서, 개구(223)의 크기는, 유저의 손가락의 불룩한 부분이 전장 하우징(110X)의 내측에 들어가지 않는 정도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개구(223)의 중심을 통과하는 개구(223)의 최소폭은, 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개구(223)의 면적은, 20m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mm2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개구(223)가 원형 개구인 경우에는, 개구(223)의 직경은, 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m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개구(223)는, 개구(223)를 막지 않은 상태에서 개구(221)만을 막은 경우에, 센서(20)의 출력값이 제2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는 정도의 통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를 복수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개구가 상기 최소폭, 면적을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러한 복수의 개구가 원형 개구인 경우에는, 각각의 개구가 상기 직경을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0(A)에 나타내는 케이스에서는, 개구(221) 및 개구(223)의 대소 관계를 특별히 따지지 않지만, 도 10(B)에 나타내는 케이스에서는, 개구(221)가 개구(223)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전장 하우징(110X)의 측면에 설치되는 개구(223)는, 전장 하우징(110X)의 비흡구단의 단면과 센서(20)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변경예 6에서는, 제2 구조는, 제2 공동(106)으로부터 하우징(100X) 외측의 대기 공간으로 연통되는 2 이상의 개구를 가진다. 따라서, 손가락의 불룩한 부분 등에 의해 2 이상의 개구를 막지 않으면, 제2 공동(106)의 내압이 상승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소정 제어가 실행되는 오동작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제2 구조가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케이스에 있어서, 최초로 막히는 개구(223)가 하우징의 비흡구단의 단면에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 공동의 내압을 높이기 위해서 막히는 개구(221)가 하우징의 비흡구단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처럼, 엔드 캡(220)이 아니라, 전극 부재(210)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에 설치되는 케이스에 있어서도, 전극 부재(210)가 가지는 개구(214)와는 별도로, 제2 공동(106)으로부터 전장 하우징(110X)의 외측의 대기 공간으로 연통되는 개구가 설치되어도 된다.
[그 외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해 설명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분명해질 것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공동(105) 및 제2 공동(106)은 센서(20)에 의해 구획된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제1 공동(105) 및 제2 공동(106)이 구획되어 있지 않고, 제1 공동(105) 및 제2 공동(106)이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제2 공동(106)이 제1 공동(105)의 일부를 구성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상술한 통기 개구(101in)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하우징(110X)의 비흡구단의 단면에 1개의 개구만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제어부(51)는, 유저의 흡인 동작에 근거하여, 무화부의 무화 제어(무화부(80)에 대한 전원 출력의 제어)를 실시한다. 한편, 제어부(51)는, 유저의 흡인 동작 및 취입 동작과는 상이한 소정 동작에 근거하여, 무화부의 무화 제어와는 상이한 소정 제어를 실시한다. 흡인 동작 및 취입 동작과는 상이한 소정 동작이란, 하우징 공동(104)의 내압을 높이는 동작이면 되고, 예를 들면, 유저의 손가락의 불룩한 부분 등으로 1개의 개구를 막는 동작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 부재(210)가 하우징(100X)의 비흡구단의 단면에 설치되지만,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 부재(210)는 하우징(100X)의 비흡구단 측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배터리(10)를 충전하기 위한 부재로서 전극 부재(210)가 설치된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10)를 충전하기 위한 부재는, 전장 유닛(110)이 가지는 암 커넥터(111)이어도 된다. 즉, 암 커넥터(111)는, 배터리(10)와 접속되어 있고, 외부 전원과 배터리(10)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배터리(10)에 전력을 공급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20)의 커버(21)는, 하우징(100X) 내에서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제1 공동(105) 및 제2 공동(106)을 구획한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21)는, 제1 공동(105) 및 제2 공동(106)을 연통하는 개구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혹은, 커버(21)에 개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전극막(23)이 제1 공동(105) 및 제2 공동(106)을 연통하는 개구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향미원으로서 담배원(131)을 예시했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향미원은, 담배 재료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나아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향미원을 가지고 있지 않고, 에어로졸원에 향끽미 성분이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가 캡슐 유닛(130)을 가지는 케이스를 예시했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향미원을 포함한 카트리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20)가 콘덴서를 가지는 센서인 케이스에 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센서(2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20)는, 하우징 공동(104)의 내압 변화를 검출 가능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20)는, 제1 공동(105)의 내압과 제2 공동(106)의 내압과의 차압을 검출 가능하면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무화 제어에 이용하는 센서의 용도를 넓힐 수 있다.

Claims (21)

  1. 하우징 공동을 가지는 하우징과,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와,
    상기 하우징 공동의 내압의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와,
    적어도 상기 무화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흡인 동작 또는 취입 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 공동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1 구조와,
    상기 흡인 동작 및 상기 취입 동작 이외의 소정 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 공동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2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구조는, 상기 하우징의 흡구단에 설치된 흡구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흡인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에어로졸원의 무화의 개시 또는 종료를 실시하는 무화 제어를 실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무화 제어와는 상이한 소정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는, 상기 하우징 공동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의 대기 공간을 연통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조에 포함되는 상기 개구는, 상기 흡구 개구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는, 상기 소정 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 공동의 내압을 높이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 상기 제2 구조 및 상기 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비흡구단 측으로부터 흡구단 측을 향하여, 상기 제2 구조, 상기 센서 및 상기 제1 구조의 순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는, 상기 하우징의 비흡구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공동은, 상기 제1 구조로부터 상기 센서까지 연통되는 제1 공동 및 상기 제2 구조로부터 상기 센서까지 연통되는 제2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동 및 상기 제2 공동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출력값은, 상기 무화부의 무화 제어를 실시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문턱값 및 상기 무화부의 무화 제어와는 상이한 소정 제어를 판정하는 제2 문턱값과 비교되며,
    상기 제1 문턱값은, 상기 제2 문턱값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는, 상기 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제1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고, 상기 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제2 문턱값을 초과하도록, 상기 하우징 공동의 내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는, 상기 하우징 공동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의 대기 공간으로 연통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에 포함되는 상기 개구는, 상기 하우징의 비흡구단의 단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에 포함되는 상기 개구로서 제1 개구 및 제2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한 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에 포함되는 상기 개구로서 제1 개구 및 제2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하우징의 비흡구단의 단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긴 방향 및 상기 긴 방향에 직교하는 짧은 방향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구조는, 상기 짧은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 측면보다도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는, 상기 하우징과는 별체로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비흡구단에는, 상기 무화부에 적어도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전극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구조는, 상기 전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긴 방향 및 상기 긴 방향에 직교하는 짧은 방향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전극 부재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전극 부재는, 상기 하우징 공동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의 대기 공간을 연통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부재에 포함되는 개구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한쪽의 비흡구측단보다도, 상기 긴 방향에 있어서 흡구단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긴 방향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해 상기 긴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형성되는 투영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이간하고, 또한, 상기 제1 전극보다도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전극 부재는, 개구를 가지고,
    상기 개구는, 상기 투영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보다도 내측 또한 상기 제2 전극보다도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의 비흡구측단은, 상기 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비흡구측단보다도 흡구단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 제어는, 유저가 정규 유저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어, 퍼프 동작 시리즈를 개시 또는 종료하는 제어,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 상기 제어부에서 카운트되고 있는 값의 리셋 제어, 및, 상기 제어부에서 관리되고 있는 값의 통지 제어 중, 적어도 어느 1개의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KR1020187004917A 2015-07-28 2016-01-12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KR101972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71346 2015-07-28
JPPCT/JP2015/071346 2015-07-28
PCT/JP2016/050699 WO2017017970A1 (ja) 2015-07-28 2016-01-12 非燃焼型香味吸引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687A KR20180030687A (ko) 2018-03-23
KR101972722B1 true KR101972722B1 (ko) 2019-04-25

Family

ID=5788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917A KR101972722B1 (ko) 2015-07-28 2016-01-12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798972B2 (ko)
EP (1) EP3323305B1 (ko)
JP (1) JP6408709B2 (ko)
KR (1) KR101972722B1 (ko)
CN (1) CN107920591B (ko)
CA (1) CA2993931C (ko)
EA (1) EA035280B1 (ko)
HK (1) HK1250133A1 (ko)
TW (1) TWI639394B (ko)
WO (1) WO20170179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45631A1 (en) 2005-07-19 2016-12-01 James Monsees Portable devices for generating an inhalable vapor
US10279934B2 (en) 2013-03-15 2019-05-07 Juul Labs, Inc. Fillable vaporizer cartridge and method of filling
US10638792B2 (en) 2013-03-15 2020-05-05 Juul Labs, Inc. Securely attaching cartridges for vaporizer devices
US10076139B2 (en) 2013-12-23 2018-09-18 Juul Labs, Inc. Vaporizer apparatus
US20160366947A1 (en) 2013-12-23 2016-12-22 James Monsees Vaporizer apparatus
USD825102S1 (en) 2016-07-28 2018-08-07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with cartridge
USD842536S1 (en) 2016-07-28 2019-03-05 Juul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US10159282B2 (en) 2013-12-23 2018-12-25 Juul Labs, Inc. Cartridge for use with a vaporizer device
DE202014011221U1 (de) 2013-12-23 2018-09-13 Juul Labs Uk Holdco Limited Systeme für eine Verdampfungsvorrichtung
US10058129B2 (en) 2013-12-23 2018-08-28 Juul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AU2015357509B2 (en) 2014-12-05 2021-05-20 Juul Labs, Inc. Calibrated dose control
EP3251529B1 (en) * 2015-02-27 2020-09-16 Japan Tobacco Inc. Non-burning type flavor inhaler
CA2999214A1 (en) * 2015-09-24 2017-03-30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capacitor
WO2017139595A1 (en) 2016-02-11 2017-08-17 Pax Labs, Inc. Fillable vaporizer cartridge and method of filling
US10405582B2 (en) 2016-03-10 2019-09-10 Pax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with lip sensing
USD849996S1 (en) 2016-06-16 2019-05-28 Pax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USD851830S1 (en) 2016-06-23 2019-06-18 Pax Labs, Inc. Combined vaporizer tamp and pick tool
USD836541S1 (en) 2016-06-23 2018-12-25 Pax Labs, Inc. Charging device
US10159285B2 (en) * 2017-03-31 2018-12-25 Zipline Innovations, LLC Vaporizer with improved ventilation
KR102332757B1 (ko) * 2017-04-24 2021-11-29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EP3675661B1 (en) 2017-08-28 2023-06-07 Juul Labs, Inc. Wick for vaporizer device
USD887632S1 (en) 2017-09-14 2020-06-16 Pax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IL263217B (en) 2017-11-24 2022-06-01 Juul Labs Inc Emission sensing and power circuit for vaporizers
US10687557B2 (en) * 2017-12-29 2020-06-23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vaping device with outlet-end illumination
KR20210024490A (ko) * 2018-06-26 2021-03-05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광학 기화 시스템을 갖는 전자 궐련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화기
EP3876760A1 (en) 2018-11-08 2021-09-15 Juul Labs, Inc. Cartridges for vaporizer devices
CN110506997A (zh) * 2019-09-03 2019-11-29 上海矽睿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及其控制方法
JP7285974B2 (ja) * 2020-08-05 2023-06-0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及びシステム
US20220039476A1 (en) 2020-08-10 2022-02-10 Rodrigo Escorcio Santos Nectar collector
CN112617283B (zh) * 2021-01-18 2023-03-21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烟草微颗粒加热雾化的非燃烧型烟草抽吸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6834A (ja) 2009-09-18 2013-06-27 スマート チップ 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ック シーオー.リミテッド 電子スモーク
JP2015500647A (ja) 2011-12-18 2015-01-08 エスアイエス・リソーシズ・リミテッド 充電式電子タバコ
WO2015052513A2 (en) 2013-10-09 2015-04-16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0883B2 (en) 2002-11-08 2004-11-02 Philip Morris Usa Inc. Electrically heated cigarette smoking system with internal manifolding for puff detection
CN2719043Y (zh) * 2004-04-14 2005-08-24 韩力 雾化电子烟
US20110277780A1 (en) * 2010-05-15 2011-11-17 Nathan Andrew Terry Personal vaporizing inhaler with mouthpiece cover
CN102160906B (zh) * 2010-11-01 2012-08-08 常州市富艾发进出口有限公司 口吸式便携雾化器
US8528569B1 (en) * 2011-06-28 2013-09-10 Kyle D. Newton Electronic cigarette with liquid reservoir
CA2749077A1 (en) * 2011-08-11 2013-02-11 Wisplite Technology Group Incorporated Portable electronic vapor-producing device and method
US20130340775A1 (en) * 2012-04-25 2013-12-26 Bernard Juster Application development for a network with an electronic cigarette
US9814262B2 (en) * 2012-07-11 2017-11-14 Sis Resources, Ltd. Hot-wire control for an electronic cigarette
US9854841B2 (en) * 2012-10-08 2018-01-02 Rai Strategic Holdings, Inc.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method
WO2014066730A1 (en) 2012-10-25 2014-05-01 Lbs Imports, Llc. Electronic cigarette
WO2014071625A1 (zh) * 2012-11-12 2014-05-15 Liu Qiuming 电子烟装置、电子烟及其雾化装置
WO2014106329A1 (zh) * 2013-01-05 2014-07-10 Liu Qiuming 电子烟装置、电子烟及其雾化装置
CN104968225A (zh) * 2013-01-24 2015-10-07 洛艾克有限公司 用于非易燃吸烟制品的气雾剂的功能化的方法、组分和装置
CN203103593U (zh) * 2013-02-04 2013-07-31 深圳市博格科技有限公司 电子烟快速接头
JP2014150704A (ja) 2013-02-04 2014-08-21 Toyota Industries Corp 充電装置および充電方法
CA2906456A1 (en) 2013-03-15 2014-09-25 Altria Client Services Llc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CN203329913U (zh) * 2013-05-07 2013-12-11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一种有棉雾化器及电子烟
RU2620951C1 (ru) * 2013-06-07 2017-05-30 КИМРИ ХАЙ-ТЕК ИНК., Британские Виргинские Острова Электронная сигарета
CN103349362A (zh) * 2013-06-14 2013-10-16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子烟用电池组件及电子烟
CN203398241U (zh) * 2013-08-16 2014-01-15 刘秋明 电池组件及由该电池组件制成的电子烟
EP3042576B1 (en) * 2013-09-30 2018-06-13 Japan Tobacco, Inc. Non-burning type flavor inhaler
US9820509B2 (en) * 2013-10-10 2017-11-21 Kyle D. Newton Electronic cigarette with encoded cartridge
CN103720055A (zh) * 2013-12-13 2014-04-16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子香烟及其雾化装置、供电装置和充电接头
JP2014066730A (ja) 2013-12-13 2014-04-17 Toshiba Corp 自動分析装置
CN205567814U (zh) * 2014-06-23 2016-09-14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6834A (ja) 2009-09-18 2013-06-27 スマート チップ 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ック シーオー.リミテッド 電子スモーク
JP2015500647A (ja) 2011-12-18 2015-01-08 エスアイエス・リソーシズ・リミテッド 充電式電子タバコ
WO2015052513A2 (en) 2013-10-09 2015-04-16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98972B2 (en) 2020-10-13
KR20180030687A (ko) 2018-03-23
EP3323305A4 (en) 2019-04-10
CN107920591B (zh) 2021-05-18
EA201890393A1 (ru) 2018-07-31
EP3323305A1 (en) 2018-05-23
US20180146715A1 (en) 2018-05-31
EP3323305B1 (en) 2023-11-01
HK1250133A1 (zh) 2018-11-30
TWI639394B (zh) 2018-11-01
EA035280B1 (ru) 2020-05-25
JP6408709B2 (ja) 2018-10-17
CA2993931A1 (en) 2017-02-02
WO2017017970A1 (ja) 2017-02-02
TW201707590A (zh) 2017-03-01
CN107920591A (zh) 2018-04-17
JPWO2017017970A1 (ja) 2018-03-08
CA2993931C (en)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722B1 (ko)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CN108433184B (zh) 非燃烧型香味吸取器
TWI631909B (zh) 非燃燒型香味吸嚐器
KR101837885B1 (ko)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컴퓨터 읽기 가능 매체
JP6325047B2 (ja) 非燃焼型香味吸引器及び制御方法
KR101915872B1 (ko)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KR20180083916A (ko) 전원 어셈블리,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형 향미 흡인 시스템
KR20170106454A (ko)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