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454A -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Google Patents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454A
KR20170106454A KR1020177023380A KR20177023380A KR20170106454A KR 20170106454 A KR20170106454 A KR 20170106454A KR 1020177023380 A KR1020177023380 A KR 1020177023380A KR 20177023380 A KR20177023380 A KR 20177023380A KR 20170106454 A KR20170106454 A KR 20170106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aerosol
amount
puff
atom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6165B1 (ko
Inventor
케이 오오이시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Abstract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도록 구성된 무화부와, 상기 무화부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적하는 전원과, 복수의 모드 중에서 선택된 모드로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무화부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와,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와는 별개로 정해져서, 상기 무화부의 구동을 제한하는 제한 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NON-COMBUSTING FLAVOR INHALER}
본 발명은,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源)을 무화(霧化)하도록 구성된 무화부를 구비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관한 것이다.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도록 구성된 무화부를 구비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로서, 무화부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을 사용자가 바꾸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14/0123990호 명세서
제1 특징은,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도록 구성된 무화부와, 상기 무화부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적하는 전원과, 복수의 모드 중에서 선택된 모드로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무화부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와,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와는 별개로 정해져서, 상기 무화부의 구동을 제한하는 제한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 특징은,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는, 미리 정해진 전환 순서에 따라 차례로 전환되고, 상기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무화부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指標)는, 서로 일정값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 특징은,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지표는, 소정 횟수의 퍼프 동작을 반복하는 일련의 동작인 퍼프 동작 시리즈에서 상기 무화부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인 총 에어로졸량이며, 상기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단위시간 에어로졸량은, 서로 2.0㎎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혹은, 상기 지표는, 1회의 퍼프 동작에서 상기 무화부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인 표준 에어로졸량이며, 상기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표준 에어로졸량은, 서로 0.3㎎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혹은, 상기 지표는, 1회의 퍼프 동작에서 상기 무화부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인 표준 에어로졸량이며, 상기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표준 에어로졸량은, 서로 0.3㎎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 특징은,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지표는, 소정 횟수의 퍼프 동작을 반복하는 일련의 동작인 퍼프 동작 시리즈에서 상기 무화부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인 총 에어로졸량이며, 상기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단위시간 에어로졸량은, 서로 2.0㎎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5 특징은,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지표는, 1회의 퍼프 동작에서 상기 무화부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인 표준 에어로졸량이며, 상기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표준 에어로졸량은, 서로 0.3㎎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6 특징은,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지표는, 단위시간에서 상기 무화부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인 단위시간 에어로졸량이며, 상기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단위시간 에어로졸량은, 서로 0.15㎎/초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7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6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모드 선택 상태에서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모드 선택 상태는, 어떤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의 모드의 전환이 행해진 타이밍에 있어서의 순간적인 상태, 혹은, 상기 타이밍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상태이며, 상기 모드 선택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형태는, 상기 타이밍의 직전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형태와 다른 것을 요지로 한다.
제8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6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모드 선택 상태, 퍼프 상태 및 비퍼프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형태는,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제1 퍼프 발광 형태와, 상기 제한 모드에 있어서의 제2 퍼프 발광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퍼프 발광 형태는, 상기 제1 퍼프 발광 형태와 다르고, 상기 모드 선택 상태는, 어떤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의 모드의 전환이 행해진 타이밍에 있어서의 순간적인 상태, 혹은, 상기 타이밍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상태이며, 상기 퍼프 상태는, 퍼프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이고, 상기 비퍼프 상태는, 퍼프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상태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9 특징은, 제7 특징 또는 제8 특징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형태의 색 온도는, 모두 5500K 이하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0 특징은, 제9 특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형태는, 서로 200K 이상 다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1 특징은, 제7 특징 또는 제8 특징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형태는, Lab 색 공간에서 a*이 양의 값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2 특징은, 제11 특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형태의 색차 ΔE*ab는, 서로 3.0 이상 다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3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2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모드를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전환하기 위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은, 누름 버튼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조작은, 상기 누름 버튼의 압하(押下)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4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2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모드를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전환하기 위한 조작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은, 환상(環狀)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조작은, 상기 환상 부재의 회동(回動)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5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4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한 모드의 선택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행하지 않고, 상기 일정 기간의 경과 후에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행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6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상기 전원을 갖는 전장(電裝) 유닛과 상기 무화부를 갖는 무화 유닛을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수단을 구성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7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6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비흡구단에서부터 흡구단(吸口端)을 향해 흡인되는 공기에 의해서 변화하는 응답값을 출력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값에 기초하여 퍼프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특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모드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도 5는, 변경 예 1에 관계되는 환상 부재(30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도 6은, 변경 예 1에 관계되는 환상 부재(30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르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해서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개시의 개요]
배경 기술에서 언급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서는, 무화부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을 사용자가 바꿀 수 있지만, 이러한 전환(모드의 전환)이 실제로 기능하고 있는지 여부, 즉, 에어로졸량의 변화 유무는 주로 미각에 의해 판별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변화를 사용자가 확인하는 것은 곤란한 경우가 있다.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도록 구성된 무화부와, 상기 무화부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적하는 전원과, 복수의 모드 중에서 선택된 모드로 상기 무화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무화부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와,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와는 별개로 정해져서, 상기 무화부의 구동을 제한하는 제한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동작 모드는, 복수의 동작 모드에 더해, 무화부의 구동을 제한하는 제한 모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모드를 제한 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의 감소를 사용자가 명확하게 지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무화부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량의 전환(모드의 전환)이 실제로 기능하고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 모드는, 무화부의 구동을 제한하는 모드이면 된다. 따라서, 제한 모드는,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모드이어도 된다. 혹은, 제한 모드는,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이 행해지는 모드이지만, 제한 모드에서 무화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은 소정값보다 작은 값(사용자가 지각하는 레벨보다 적은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제한 모드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가 전체적으로 전원이 절단된 상태와는 다른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제한 모드에서, 제어 회로 등에 대한 전력 공급은 계속된다(통전 상태이다).
[제1 실시 형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이하에서,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끽미(香喫味) 성분을 흡인하기 위한 기구이며, 비흡구단에서부터 흡구단으로 향하는 방향인 소정 방향 A를 따라서 뻗은 형상을 가진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간단히 향미 흡인기(100)로 칭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는, 흡인기 본체(110)와, 카트리지(130)를 가진다.
흡인기 본체(110)는, 향미 흡인기(100)의 본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카트리지(130)를 접속 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흡인기 본체(110)는, 통체(110X)를 갖고 있으며, 카트리지(130)는, 통체(110X)의 흡구단에 접속된다. 흡인기 본체(110)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도록 구성된 무화 유닛(111)과, 전장 유닛(112)을 가진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무화 유닛(111)은, 통체(110X)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통체(111X)를 가진다. 무화 유닛(11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저버(111P)와, 윅(111Q)과, 무화부(111R)를 가진다. 리저버(111P), 윅(111Q) 및 무화부(111R)는, 제1 통체(111X)에 수용된다. 리저버(111P)는, 에어로졸원을 보유한다. 예를 들면, 리저버(111P)는, 수지(樹脂) 웹 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공질체(孔質體)이다. 윅(111Q)은, 리저버(111P)에 보유되는 에어로졸원을 빨아올리는 에어로졸 흡인부의 일 예이다. 예를 들면, 윅(111Q)은, 유리 섬유에 의해 구성된다. 무화부(111R)는, 윅(111Q)에 의해 빨려 올라온 에어로졸원을 무화한다. 무화부(111R)는, 예를 들면, 윅(111Q)에 소정 피치로 권회(卷回)되는 발열 저항체(예를 들면, 전열선)에 의해 구성된다.
에어로졸원은,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체이다. 에어로졸원은,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 웹 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공질체에 의해 보유된다. 공질체는, 비담배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담배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원은, 니코틴 성분 등을 함유하는 향미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에어로졸원은, 니코틴 성분 등을 함유하는 향미원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에어로졸원은, 니코틴 성분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향미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에어로졸원은, 니코틴 성분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향미원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무화 유닛(111)으로서, 가열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가열 타입의 유닛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무화 유닛(111)은, 초음파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초음파 타입의 유닛이어도 된다.
전장 유닛(112)은, 통체(110X)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통체(112X)를 가진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전장 유닛(112)은, 통기공(112A)을 가진다. 통기공(112A)으로부터 도입되는 공기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화 유닛(111)(무화부(111R))으로 안내된다. 상세하게는, 전장 유닛(112)은, 전원(10)과, 센서(20)와, 누름 버튼(30)과, 발광 소자(40)와, 제어 회로(50)를 가진다.
전원(10)은,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이다. 전원(10)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축적한다. 예를 들면, 전원(10)은, 센서(20), 발광 소자(40) 및 제어 회로(50)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적한다. 또한, 전원(10)은, 무화 유닛(111)(무화부(111R))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적한다.
센서(20)는, 비흡구단에서부터 흡구단으로 향해 흡인되는 공기(즉, 사용자의 퍼프 동작)에 의해서 변화하는 응답값을 출력한다. 센서(2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 센서이다.
누름 버튼(30)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여 밀어넣도록 구성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누름 버튼(30)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비흡구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비흡구단에서부터 흡구단으로 향하는 방향(즉, 소정 방향 A)으로 밀어넣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누름 버튼(30)이 소정 횟수에 걸쳐 연속적으로 밀어 넣어진 경우에,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이 투입된다. 또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은, 퍼프 동작이 행해지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절단된다.
발광 소자(40)는, 예를 들면, LED나 전등 등의 광원이다. 발광 소자(40)는, 소정 방향 A를 따라서 뻗은 측벽에 설치된다. 발광 소자(40)는, 비흡구단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소정 방향 A의 축선 상에서 비흡구단의 근방에 발광 소자가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사용자는, 퍼프 동작 중에 있어서, 발광 소자(40)의 발광 패턴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발광 소자(40)의 발광 패턴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패턴이다.
제어 회로(50)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회로(50)는, 발광 소자(40)의 발광 패턴을 제어하고, 무화 유닛(111)(무화부(111R))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카트리지(130)는, 향미 흡인기(100)를 구성하는 흡인기 본체(110)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다. 카트리지(130)는, 흡구로부터 빨려 들어오는 기체(이하, 공기)의 유로 상에서 무화 유닛(111)보다 흡구측에 설치된다. 바꿔 말하면, 카트리지(130)는, 반드시 물리공간적으로 무화 유닛(111)보다 흡구측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무화 유닛(111)으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을 흡구측으로 안내하는 에어로졸 유로 상에서 무화 유닛(111)보다 흡구측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즉, 제1 실시 형태에서, 「흡구측」은, 에어로졸 흐름의 「하류」와 같은 뜻이라고 생각해도 되고, 「비흡구측」은, 에어로졸 흐름의 「상류」와 같은 뜻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130)는, 카트리지 본체(131)와, 향미원(132)과, 메쉬(133A)와, 필터(133B)를 가진다.
카트리지 본체(131)는, 소정 방향 A를 따라서 뻗은 통 모양 형상을 가진다. 카트리지 본체(131)는, 향미원(132)을 수용한다.
향미원(132)은, 흡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유로 상에서 무화 유닛(111)보다 흡구측에 설치된다. 향미원(132)은, 에어로졸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에 향끽미 성분을 부여한다. 바꿔 말하면, 향미원(132)에 의해서 에어로졸에 부여되는 향미는, 흡구로 운반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 향미원(132)은, 무화 유닛(111)으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에 향끽미 성분을 부여하는 원료편(原料片)에 의해 구성된다. 원료편의 크기는, 0.2㎜ 이상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원료편의 크기는, 0.2㎜ 이상 0.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의 크기가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증대하기 때문에,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으로부터 향끽미 성분이 방출되기 쉽다. 따라서, 원하는 양의 향끽미 성분을 에어로졸에 부여하는 데에 있어서, 원료편의 양을 억제할 수 있다.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으로서는, 살담배, 담배원료를 입상(粒狀)으로 성형한 성형체를 이용할 수 있다. 단, 향미원(132)은, 담배원료를 시트 모양으로 성형한 성형체여도 된다. 또한,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은,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면, 민트, 허브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향미원(132)에는, 멘톨 등의 향료가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은, 예를 들면, JIS Z 8801에 준거한 스테인리스 체를 이용하여, JIS Z 8815에 준거하는 체 분리에 의해 얻어진다. 예를 들면, 0.71㎜의 눈 크기를 갖는 스테인리스 체를 이용하여, 건조식 또 기계식 진탕법에 의해 20분간에 걸쳐 원료편을 체 분리에 의해, 0.71㎜의 눈 크기를 갖는 스테인리스 체를 통과하는 원료편을 얻는다. 이어서, 0.212㎜의 눈 크기를 갖는 스테인리스 체를 이용하여, 건조식 또 기계식 진탕법에 의해 20분간에 걸쳐 원료편을 체 분리에 의해, 0.212㎜의 눈 크기를 갖는 스테인리스 체를 통과하는 원료편을 제거한다. 즉,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은, 상한을 규정하는 스테인리스 체(눈 크기=0.71㎜)를 통과하고, 하한을 규정하는 스테인리스 체(눈 크기=0.212㎜)를 통과하지 않는 원료편이다. 따라서, 실시 형태에서는,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의 크기의 하한은, 하한을 규정하는 스테인리스 체의 눈 크기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의 크기의 상한은, 상한을 규정하는 스테인리스 체의 눈 크기에 의해 정의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 향미원(132)은, 알칼리성의 pH를 갖는 담배원이다. 담배원의 pH는, 7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8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pH를 7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해, 담배원으로부터 발생하는 향끽미 성분을 에어로졸에 의해 효율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원하는 양의 향끽미 성분을 에어로졸에 부여하는 데에 있어서, 담배원의 양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담배원의 pH는,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pH를 12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향미 흡인기(100)(예를 들면, 카트리지(130) 또는 흡인기 본체(110))에 대한 손상(부식 등)을 더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향미원(132)으로부터 발생하는 향끽미 성분은 에어로졸에 의해 반송되고 있으며, 향미원(132) 자체를 가열할 필요는 없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메쉬(133A)는, 향미원(132)에 대해 비흡구측에서 카트리지 본체(131)의 개구(開口)를 막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필터(133B)는, 향미원(132)에 대해 흡구측에서 카트리지 본체(131)의 개구를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 메쉬(133A)는,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이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조밀도를 가진다. 메쉬(133A)의 조밀도는, 예를 들면, 0.077㎜ 이상 0.198㎜ 이하의 눈 크기를 가진다. 필터(133B)는, 통기성을 갖는 물질에 의해 구성된다. 필터(133B)는,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133B)는,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이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조밀도를 가진다.
(블록 구성)
이하에서,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50)는, 제어부(51)를 가진다. 제어부(51)는, 센서(20) 및 조작 인터페이스(80)에 접속됨과 아울러, 무화부(111R) 및 발광 소자(40)에 접속된다. 조작 인터페이스(80)는, 무화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모드를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조작 인터페이스(80)는, 누름 버튼(30)이다.
첫째로, 제어부(51)는, 복수의 모드 중에서 선택된 모드로 무화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51)는,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응답값에 따라, 퍼프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특정한다. 제어부(51)는, 퍼프 상태에서 무화부(111R)에 전력을 공급하고, 퍼프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비퍼프 상태에서 무화부(111R)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복수의 모드는, 무화부(111R)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와, 복수의 동작 모드와는 별개로 정해져서, 무화부(111R)의 구동을 제한하는 제한 모드를 포함한다.
복수의 동작 모드란, 사용자가 에어로졸을 흡인하기 위한 모드이며, 각 동작 모드에서 무화부(111R)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은 서로 다르다. 복수의 동작 모드는, 미리 정해진 전환 순서에 따라 차례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작 모드로서 4개의 동작 모드가 존재하는 경우에, 전환 순서는, 제1 동작 모드→제2 동작 모드→제3 동작 모드→제4 동작 모드→제한 모드의 형태로 정해진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서 무화부(111R)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는, 서로 일정값 이상의 차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모드의 전환 순서는, 전환 순서가 서로 인접하는 모드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가 가능한 범위에서 커지도록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가 큰 순서로, 동작 모드 A, 동작 모드 B, 동작 모드 C 및 동작 모드 D가 마련되는 경우에 대해 생각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전환 순서는, 동작 모드 C→동작 모드 A→동작 모드 D→동작 모드 B→제한 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동작 모드 B→동작 모드 D→동작 모드 A→동작 모드 C→제한 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에어로졸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가 큰 순서(또는 작은 순서)로 동작 모드를 열거한 상태에서 인접하는 지표를 갖는 동작 모드의 전환 순서가 연속하지 않도록 전환 순서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하는 지표를 갖는 동작 모드의 전환 순서가 연속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러한 동작 모드 사이에 제한 모드를 두도록 전환 순서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표는, 소정 횟수의 퍼프 동작을 반복하는 일련의 동작인 퍼프 동작 시리즈에서 무화부(111R)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인 총 에어로졸량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총량은, 서로 2.0㎎ 이상의 차이를 가진다. 이에 의해, 무화부(111R)에 적용되는 동작 모드가 전환된 경우에, 에어로졸량의 차이를 사용자가 지각하기 쉽다.
또한, 각 동작 모드를 선택한 때, 소정 횟수의 퍼프 동작을 반복하는 일련의 동작에 의해 발생한 에어로졸의 총량, 즉 총 에어로졸량은, 통상 종이말이(紙卷) 담배에서 이용되는 에어로졸량의 측정 수단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ISO법으로 불리는 끽연기(喫煙機)에 관한 국제 표준법에 준거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해당 방법에 의해 에어로졸량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소정 횟수의 퍼프 동작을 7회로 규정하여 측정을 행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흡구단에 캠브리지 필터를 배치한 상태에서 35ml의 퍼프 동작을 2초간에 걸쳐 행한 후, 58초의 인터벌(퍼프 동작을 행하지 않는 대기 시간)을 둔다고 하는 일련의 조작을, 7회 반복했다. 그 후, 캠브리지 필터에 포집된 성분을 정량 분석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의 총량을 측정했다. 마찬가지 조건에서의 분석을, 각 동작 모드에서 행하는 것에 의해, 각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총량을 측정했다. 또한, 상기 국제 표준법에 규정되는 끽연 조건 및 더 구체적인 분석 방법에 대해서는 WO 2007010407(HARTMANN DIDIER et al.)에 특히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혹은, 지표는, 1회의 퍼프 동작에서 무화부(111R)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인 표준 에어로졸량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표준 에어로졸량은, 서로 0.3㎎ 이상의 차이를 가진다. 이에 의해, 무화부(111R)에 적용되는 동작 모드가 전환된 경우에, 에어로졸량의 차이를 사용자가 지각하기 쉽다.
1회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의 에어로졸량은, 상기한 에어로졸의 총량을 측정하는 조건에서 7회 반복한 조작을 1회로 행하는 것에 의해 측정했다. 혹은, 상기한 에어로졸의 총량을 측정하는 조건에서 얻어진 총량을, 반복 조작 횟수인 7로 나누는 것에 의해, 산술적으로 요구해도 된다. 해당 측정 조건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동작 조건이 극단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한, 표준 에어로졸량이란 즉, 총 에어로졸량의 1/7인 양이다. 즉, 동작 조건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한, 표준 에어로졸량에 있어서의 0.3㎎ 이상의 차이란, 총 에어로졸량에 있어서의 2.0㎎의 차이보다 더 큰 차이이다(2.0㎎/7<0.3이기 때문에).
혹은, 지표는, 끽연 동작이 행해지고 나서의 단위시간에 있어서의 무화부(111R)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인 단위시간 에어로졸량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단위시간 에어로졸량은, 서로 0.15㎎/초 이상의 차이를 가진다. 이에 의해, 무화부(111R)에 적용되는 동작 모드가 전환된 경우에, 에어로졸량의 차이를 사용자가 지각하기 쉽다.
단위시간당 에어로졸량은, 상기한 1회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의 에어로졸량의 측정 조건 중, 2초간에 걸쳐 35ml를 흡인하는 퍼프 동작을, 1초간에 걸쳐 17.5ml를 흡인하는 동작으로 치환하여 측정했다. 또한, 에어로졸량의 정량 분석을 행할 때에 피크가 약한(검출량이 적은) 경우에는, 상기 조작을 복수 회 행한 후에, 횟수 분을 나눔으로써 정량 분석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해당 측정 조건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동작 조건이 극단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한, 단위시간 에어로졸량이란 즉, 표준 에어로졸량의 1/2인 양이다. 즉, 동작 조건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한, 단위시간 에어로졸량에 있어서의 0.15㎎/초의 차이란, 표준 에어로졸량에 있어서의 0.3㎎ 이상의 차이와 같다.
각각의 지표가 나타내는 에어로졸량은, 예를 들면, 허용하는 연속 퍼프 동작의 횟수나, 흡인 센서가 흡인을 검지한 때의 발열 저항체로의 최대 통전 시간, 발열 저항체의 가열 온도, 발열 저항체를 구성하는 재료 종류, 적산한 퍼프 횟수에 따른 의도적인 전력 변화, 전력의 Duty 제어 등,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제한 모드란, 무화부(111R)의 구동을 제한하는 모드이면 된다. 따라서, 제한 모드는, 무화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모드이어도 된다. 혹은, 제한 모드는, 센서(2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모드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센서(20)에 대한 전력 공급이 정지되면, 무화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도 정지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한 모드를 무화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모드, 혹은, 제한 모드를 센서(2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모드로 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의 발생을 정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동작 모드와의 모드 사이의 차이를, 사용자는 더 명확하게 지각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차이를 사용자가 더 명확하게 지각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인터페이스(80)가, 에어로졸량의 변화를 담당하는 인터페이스인 것을 사용자에게 직감적으로 이해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혹은, 제한 모드는, 무화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이 행해지는 모드이지만, 제한 모드에서 무화부(111R)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은 소정값보다 작은 값(사용자가 지각하는 레벨보다 적은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발열 저항체를 100℃ 미만으로 가열하는 정도의 전력 공급을 행해도 된다. 100℃ 미만이면,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지각하는 레벨의 에어로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100℃ 미만으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다시 동작 모드가 선택된 때, 발열 저항체의 온도를 원하는 값에 가까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즉, 예열을 행할 수 있다. 또한, 100℃ 미만으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동작 모드 시에 가열된 발열 저항체가 급격히 냉각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발열 저항체 근방에 잔류한 기체의 급격한 응축에 의한 미량인 에어로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100℃ 미만의 가열은, 소정 시간 후에 종료해도 된다. 소정 시간 후에 가열을 종료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기체의 응축을 억제하면서 대기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단, 제한 모드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체로서 전원이 절단된 상태와는 다른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제한 모드에서, 발광 소자(40) 또는 제어 회로(50)에 대한 전력 공급은 계속된다(통전 상태이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제어부(51)는, 조작 인터페이스(80)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무화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모드를 전환한다. 사용자 조작은, 복수의 동작 모드에 포함되는 2개의 동작 모드 사이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제1 조작과,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와 제한 모드 사이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제2 조작을 포함한다. 제2 조작(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예를 들면, 제4 동작 모드로부터 제한 모드로의 전환)은, 제1 조작(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예를 들면, 제1 동작 모드로부터 제2 동작 모드로의 전환, 제2 동작 모드로부터 제3 동작 모드로의 전환, 제3 동작 모드로부터 제4 동작 모드로의 전환)과 다르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한 모드로 모드를 전환한 취지를 명시적으로 지각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 인터페이스(80)가 누름 버튼(30)인 경우를 예로 들면, 사용자 조작은, 누름 버튼(30)의 압하(押下)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제1 조작은, 예를 들면, 누름 버튼(30)을 제1 시간에 걸쳐 압하하는 조작이다. 제2 조작은, 예를 들면, 누름 버튼(30)을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에 걸쳐 압하하는 조작이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한 모드로 모드를 전환한 취지를 명시적으로 지각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작 및 제2 조작은, 누름 버튼(30)이 소정 횟수에 걸쳐 연속적으로 압입되는 조작(전원 투입 조작)과 다른 것은 물론이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제어부(51)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의 선택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무화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을 행하지 않고, 일정 기간의 경과 후에 무화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 기간은 비교적 짧은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초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1초 이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모드의 전환에 의해 에어로졸이 발생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모드가 잘못 전환된 취지(오동작 내지 오조작) 등을 지각하기 쉽다. 또한, 모드의 전환에 수반하여 무화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 등의 동작 조건이 급격히 변화하는 것에 의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구성하는 부품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무화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의 정지는, 센서(2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시키지 않고, 무화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형태여도 된다. 혹은, 무화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의 정지는, 센서(2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형태여도 된다.
둘째로, 제어부(51)는, 발광 소자(4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1)는, 모드 선택 상태, 퍼프 상태 및 비퍼프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발광 소자(40)의 발광 형태를 제어한다. 모드 선택 상태란, 어떤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의 모드의 전환이 행해진 타이밍에 있어서의 순간적인 상태, 혹은, 타이밍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상태이다. 퍼프 상태란, 퍼프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이다. 비퍼프 상태란, 퍼프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상태(퍼프 동작 사이의 대기 상태)이다.
여기서, 모드 선택 상태에 있어서의 발광 소자(40)의 발광 형태는, 어떤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의 모드의 전환이 행해진 타이밍의 직전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타이밍의 직전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는, 퍼프 상태에 있어서의 발광 소자(40)의 발광 형태여도 되고, 비퍼프 상태에 있어서의 발광 소자(40)의 발광 형태여도 되며, 발광 소자(40)가 발광하지 않는 발광 상태(소등)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모드의 전환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시각으로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드가 잘못 전환된 취지(오동작 또는 오조작)를 사용자가 지각하기 쉽다. 혹은, 모드가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하기 쉽다. 이때, 일정 기간이란 1초 정도의 비교적 짧은 시간이어도 되고, 일정 시간이란 퍼프 동작이 행해지기 직전까지 계속되는 시간이어도 된다. 즉, 모드 선택 상태는, 비퍼프 상태를 포함해도 되고, 비퍼프 상태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발광 소자(40)의 발광 형태는, 복수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제1 발광 형태와, 제한 모드에 있어서의 제2 발광 형태를 포함한다. 제2 발광 형태는, 제1 발광 형태와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모드 선택 상태, 퍼프 상태 및 비퍼프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한 모드를 용이하게 지각할 수 있다. 또한, 각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제1 발광 형태는 서로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발광 형태의 색 온도 및 제2 발광 형태의 색 온도는, 5500K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500K 이하인 발광 상태는, 예를 들면, 퍼프 상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로서 사용된다. 단,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5500K 이하인 발광 형태는, 모드 선택 상태 또는 비퍼프 상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각 모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의 색 온도는, 모두 5500K 이하이고, 또한,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각 모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의 색 온도는, 서로 200K 이상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각 모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의 색 온도는, 각 모드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양이 많은 순서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각 모드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서는, 상술한 총 에어로졸량, 표준 에어로졸량, 단위시간 에어로졸량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의 양과 색 온도의 관계성에 일정한 법칙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는 색 온도와 에어로졸의 관계성을 감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혹은, 제1 발광 형태의 색 온도 및 제2 발광 형태는, Lab 색 공간에서 a*가 양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Lab 색 공간에서 a*가 양의 값인 발광 형태는, 예를 들면, 퍼프 상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로서 사용된다. 단,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a*가 양의 값인 발광 형태는, 모드 선택 상태 또는 비퍼프 상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각 모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는, Lab 색 공간에서 a*가 양의 값이고, 또한, 서로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각 모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의 색차 ΔE*ab는, 서로 3.0 이상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각 모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의 a*는, 각 모드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양이 많은 순서로 큰 것이 바람직하다. 각 모드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서는, 상술한 총 에어로졸량, 표준 에어로졸량, 단위시간 에어로졸량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의 양과 색 공간의 관계성에 일정한 법칙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는 색 공간과 에어로졸의 관계성을 감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모드 선택 상태, 퍼프 상태 및 비퍼프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어서도, 각 동작 모드나 제한 모드 등의 각 모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가 다르게 되어 있어도 된다. 단, 퍼프 상태에서, 각 모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가 다르게 되어 있고, 모드 선택 상태 및 비퍼프 상태에서, 각 모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가 같아도 된다.
또한, 모드 선택 상태, 퍼프 상태 및 비퍼프 상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는, 서로 다르게 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모드 선택 상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는, 발광 소자(40)의 점멸이고, 퍼프 상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는, 발광 소자(40)의 점등이며, 비퍼프 상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의 색은, 퍼프 상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의 색과 다르게 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제어부(5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의 선택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즉, 모드 선택 상태에서 무화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을 행하지 않고, 일정 기간 경과 후에 무화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51)는, 무화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퍼프 상태 및 비퍼프 상태에 있어서의 발광 형태와는 다른 발광 형태로 발광 소자(40)를 발광시켜도 된다. 이때, 일정 기간은 비교적 짧은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2초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초 이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작용 및 효과)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동작 모드는, 복수의 동작 모드에 더하여 무화부(111R)의 구동을 제한하는 제한 모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무화부(111R)를 제어하는 모드를 제한 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의 감소를 사용자가 명확하게 지각할 수 있어, 무화부(111R)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량의 전환(모드의 전환)이 실제로 기능하고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변경 예 1]
이하에서, 제1 실시 형태의 변경 예 1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무화부(111R)를 제어하는 모드를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전환하기 위한 조작 인터페이스(80)가 누름 버튼(30)인 경우를 예시했다. 이에 대해, 변경 예 1에서는, 조작 인터페이스(80)는,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환상 부재(30A)이다.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은, 사용자 조작은, 환상 부재의 회동이다.
구체적으로는, 환상 부재(30A)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X)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즉, 흡인기 본체(110))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내측으로 오목한 손잡이부(90)를 갖고 있으며, 환상 부재(30A)는, 손잡이부(90)보다 비흡구측으로 설치된다. 이에 의해, 흡인 시에 있어서 손잡이부(90)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보유하는 사용자가 잘못하여 환상 부재(30A)를 조작하는 사태가 억제된다.
여기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즉, 흡인기 본체(110))의 표면에는, 무화부(111R)에 적용되는 모드를 가리키는 지시 마크(300)가 설치된다. 환상 부재(30A)의 표면에는, 각 모드의 위치를 가리키는 모드 마크가 설치된다. 모드 마크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마크(310)(동작 모드 마크(3101)∼동작 모드 마크(3104))와, 제한 모드를 나타내는 제한 모드 마크(320)를 포함한다. 또한, 도 6은, 환상 부재(30A)가 회동 방향으로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동작 모드 마크(310)와 제한 모드 마크(320)의 간격(P2)은, 서로 이웃하는 동작 모드 마크(310)의 간격(P1)보다 작다. 즉, 복수의 동작 모드에 포함되는 2개의 동작 모드 사이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제1 조작은, 환상 부재(30A)를 제1 각도에 걸쳐 회동하는 조작이며,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와 제한 모드 사이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제2 조작은, 환상 부재(30A)를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에 걸쳐 회동하는 조작이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한 모드로 모드를 전환한 취지를 명시적으로 지각할 수 있다.
변경 예 1에서, 환상 부재(30A)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즉, 흡인기 본체(110))보다 내측으로 들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가 원주(圓柱) 형상인 경우에 있어서, 환상 부재(30A)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표면에 대해 두께(D)만큼 내측으로 들어가 있다. 또한, 환상 부재(30A)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 중, 가장 큰 지름을 갖는 부분의 표면에 대해, 두께(D)만큼 내측으로 들어가 있으면 된다. 두께(D)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횡으로 놓고 평면상에 둔 경우라도, 환상 부재(30A)가 평면과 접하는 일이 없어, 환상 부재(30A)의 오조작을 억제할 수 있다.
변경 예 1에서는, 제1 조작과 제2 조작의 차이는, 환상 부재의 회동 각도이지만, 변경 예 1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1 조작은, 환상 부재를 제1 응력으로 회동하는 조작이고, 제2 조작은, 환상 부재를 제1 응력보다 큰 제2 응력으로 회동하는 조작이어도 된다. 바꿔 말하면, 동작 모드와 제한 모드 사이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제2 조작에 있어서의 환상 부재의 회동 용이성(반발력)은, 2개의 동작 모드 사이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제1 조작에 있어서, 환상 부재의 회동 용이성(반발력)보다 크다.
여기서, 환상 부재(30A)의 회동은, 회전축(X)을 중심으로 하여 360°회전을 허용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한 모드로부터 제1 동작 모드로의 전환이 허용된다. 혹은, 환상 부재(30A)의 회동은, 회전축(X)을 중심으로 하여 360°회전을 허용하지 않고, 일정한 회동각만을 허용하는 형태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한 모드로부터 제1 동작 모드로의 전환이 허용되지 않지만, 제한 모드로부터 제4 동작 모드로의 전환, 제4 모드로부터 제3 모드로의 전환 등이 허용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해 설명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51)는,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응답값에 의해, 퍼프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특정한다. 제어부(51)는, 퍼프 상태에서 무화부(111R)에 전력을 공급하고, 퍼프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비퍼프 상태에서 무화부(111R)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센서(20)에 대신하여 흡인 버튼을 갖고 있어도 된다(이하, 탱크 타입이라고도 한다). 제어부(51)는, 흡인 버튼이 조작(예를 들면, 압하)되어 있는 동안에 있어서 무화부(111R)에 전력을 공급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51)는, 흡인 버튼이 조작(예를 들면, 압하)되어 있지 않은 동안에 있어서 무화부(111R)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흡인 버튼이 조작되어 있는 상태는, 퍼프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퍼프 동작이고, 흡인 버튼이 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는, 퍼프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비퍼프 동작이다.
상술한 탱크 타입의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에서는,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흡인 버튼과는 별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술한 흡인 버튼이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구성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의 흡인 버튼의 압하 횟수, 압하 시간 또는 압하 압 등에 따라, 모드의 전환이 행해져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량의 정량 분석에 있어서는, 상술한 2초간의 퍼프 동작은, 2초간의 흡인 버튼의 압하로 대체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 인터페이스(80)로서, 누름 버튼(30) 및 환상 부재(30A)를 예시했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전장 유닛(112)과 무화 유닛(111)을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갖고 있으며, 접속 수단은,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수단을 구성해도 된다. 접속 수단은, 예를 들면, 전장 유닛(112)에 설치되는 커넥터 및 무화 유닛(111)에 설치되는 커넥터에 의해 구성된다. 각 커넥터는, 전장 유닛(112)과 무화 유닛(111)의 전기적인 접점을 구성한다. 전장 유닛(112) 및 무화 유닛(111)이 나사결합에 의해 접속되는 경우에는, 각 커넥터는, 나선상의 돌기를 갖는 수 커넥터 및 나선상의 홈을 갖는 암 커넥터이다. 각 커넥터는, 복수 단계의 전기적인 접점을 갖고 있으며,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의 수에 의해 모드가 정해진다. 예를 들면, 무화 유닛(111)은, 복수 단계의 전기적인 접점마다 설치되는 복수의 발열 저항체(전열선)를 갖고 있으며, 상술한 커넥터의 접속 정도(심도)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즉,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 저항체)의 수가 변화해도 된다.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 저항체의 수가 변화하는 것에 의해, 모드가 전환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모드의 전환 순서가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모드가 1개의 제한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예시했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복수의 모드는, 2 이상의 제한 모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무화부(111R)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가 서로 일정값 이상의 차이를 갖도록,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를 배열할 수 없도록 한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동작 모드 사이에 제한 모드를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에어로졸의 변화를 사용자가 명확하게 지각할 수 있어, 무화부(111R)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량의 전환(모드의 전환)이 실제로 기능하고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무화부(111R)를 제어하는 모드를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전환하기 위한 조작 인터페이스(80)로서, 누름 버튼(30)이나 환상 부재(30A)에 대해 예시했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조작 인터페이스(80)는, 부재의 슬라이드에 의해 모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동작 모드와 제한 모드 사이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제2 조작이 2개의 동작 모드 사이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제1 조작과 다르게 되어 있으면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누름 버튼(30)이 소정 횟수에 걸쳐 연속적으로 압입된 경우에,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이 투입된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전장 유닛(112)과 무화 유닛(111)의 전기적인 접속에 의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이 투입되어도 된다. 전장 유닛(112)과 무화 유닛(111)의 전기적인 비접속에 의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이 절단되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무화 유닛(111)의 흡구측에 카트리지(130)(향미원(132))가 설치된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카트리지(130)(향미원(132))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에어로졸원은 향미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로졸원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은 임의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시판되는 전자 담배 VUSE(RJR사 제)의 개조품을 사용하여, 구동 전압이 다른 모드를 복수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작성했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담배의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해 있는 전극과 전자 담배 본체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전원을 전기적으로 단선(斷線)하는 한편으로, 전력을 자유롭게 입력 가능한 전원과 해당 전극의 말단을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총 에어로졸량을 변경 가능한 장치를 작성했다. 전력 내지는 전력의 공급 시간을 적당히 변경하는 것에 의해 총 에어로졸량을 변화시켰다.
또한, 총 에어로졸량의 산출 방법은 ISO법으로 불리는 끽연기에 관한 국제 표준법에 준거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더 구체적으로는, 작성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흡구단에 캠브리지 필터를 배치한 상태에서 35ml의 퍼프 동작을 2초간에 걸쳐 행한 후, 58초의 인터벌(퍼프 동작을 행하지 않는 대기 시간)을 둔다고 하는 일련의 조작을, 7회 반복했다. 그 후, 캠브리지 필터에 포집된 성분을 정량 분석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의 총량을 측정했다.
끽연자로서의 조건을 만족하고, 또,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를 흡인할 의사가 있는 사내(社內) 모니터 50인을 대상으로, 상기한 장치를 사용한 자유 끽연을 행하게 하여, 총 에어로졸량을 어떤 양으로부터 다른 양으로 변화한 때, 해당 변화를 지각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증했다. 구체적으로는, 표 1의 「변화 전」에 나타내는 에어로졸 총량의 구동 조건으로부터, 표 1의 「변화 후」에 나타내는 에어로졸 총량의 구동 조건으로 변화시킨 때, 에어로졸 총량의 변화를 지각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증했다. 실험 조건 및 결과를 아울러,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이상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동작 모드 사이에 있어서의 총 에어로졸량의 변화를 2.0㎎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해당 모드 사이의 변화를 더 명확하게 지각하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의하면, 무화부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량의 전환이 실제로 기능하고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laims (17)

  1.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도록 구성된 무화부와,
    상기 무화부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적하는 전원과,
    복수의 모드 중에서 선택된 모드로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무화부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와,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와는 별개로 정해져서, 상기 무화부의 구동을 제한하는 제한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는, 미리 정해진 전환 순서에 따라 차례로 전환되고,
    상기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무화부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指標)는, 서로 일정값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표는, 소정 횟수의 퍼프 동작을 반복하는 일련의 동작인 퍼프 동작 시리즈에서 상기 무화부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인 총 에어로졸량이며, 상기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단위시간 에어로졸량은, 서로 2.0㎎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혹은,
    상기 지표는, 1회의 퍼프 동작에서 상기 무화부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인 표준 에어로졸량이며, 상기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표준 에어로졸량은, 서로 0.3㎎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혹은,
    상기 지표는, 1회의 퍼프 동작에서 상기 무화부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인 표준 에어로졸량이며, 상기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표준 에어로졸량은, 서로 0.3㎎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표는, 소정 횟수의 퍼프 동작을 반복하는 일련의 동작인 퍼프 동작 시리즈에서 상기 무화부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인 총 에어로졸량이며,
    상기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단위시간 에어로졸량은, 서로 2.0㎎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표는, 1회의 퍼프 동작에서 상기 무화부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인 표준 에어로졸량이며,
    상기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표준 에어로졸량은, 서로 0.3㎎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표는, 단위시간에서 상기 무화부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양인 단위시간 에어로졸량이며,
    상기 전환 순서가 이웃하는 2개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단위시간 에어로졸량은, 서로 0.15㎎/초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드 선택 상태에서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모드 선택 상태는, 어떤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의 모드의 전환이 행해진 타이밍에 있어서의 순간적인 상태, 혹은, 상기 타이밍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상태이며,
    상기 모드 선택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형태는, 상기 타이밍의 직전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형태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드 선택 상태, 퍼프 상태 및 비퍼프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형태는,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제1 퍼프 발광 형태와, 상기 제한 모드에 있어서의 제2 퍼프 발광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퍼프 발광 형태는, 상기 제1 퍼프 발광 형태와 다르게 되어 있고,
    상기 모드 선택 상태는, 어떤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의 모드의 전환이 행해진 타이밍에 있어서의 순간적인 상태, 혹은, 상기 타이밍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상태이며,
    상기 퍼프 상태는, 퍼프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이고,
    상기 비퍼프 상태는, 퍼프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형태의 색 온도는, 모두 5500K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형태는, 서로 200K 이상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1.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형태는, Lab 색 공간에서 a*가 양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형태의 색차 ΔE*ab는, 서로 3.0 이상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모드를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전환하기 위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은, 누름 버튼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조작은, 상기 누름 버튼의 압하(押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모드를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전환하기 위한 조작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은, 환상(環狀)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조작은, 상기 환상 부재의 회동(回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의 선택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행하지 않고, 상기 일정 기간의 경과 후에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갖는 전장(電裝) 유닛과 상기 무화부를 갖는 무화 유닛을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무화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수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흡구단에서부터 흡구단(吸口端)을 향해 흡인되는 공기에 의해서 변화하는 응답값을 출력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값에 기초하여 퍼프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KR1020177023380A 2015-02-27 2015-02-27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KR102136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5908 WO2016135959A1 (ja) 2015-02-27 2015-02-27 非燃焼型香味吸引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454A true KR20170106454A (ko) 2017-09-20
KR102136165B1 KR102136165B1 (ko) 2020-07-21

Family

ID=56788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380A KR102136165B1 (ko) 2015-02-27 2015-02-27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531688B2 (ko)
EP (1) EP3251529B1 (ko)
JP (1) JP6661598B2 (ko)
KR (1) KR102136165B1 (ko)
CN (1) CN107249364B (ko)
AU (1) AU2015384410B9 (ko)
EA (1) EA034513B1 (ko)
HK (1) HK1244639A1 (ko)
MY (1) MY184001A (ko)
WO (1) WO201613595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414A1 (ko) * 2018-12-14 2020-06-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16865A (ko) * 2019-08-05 2021-02-1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646502U (zh) * 2013-11-28 2014-06-18 刘秋明 一种电子烟的电池组件、雾化组件以及电子烟
KR102136165B1 (ko) * 2015-02-27 2020-07-21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US20160331912A1 (en) * 2015-05-13 2016-11-17 Michael Alexander Trzecieski Device for Vaporization of Phyto Material
CN206005954U (zh) * 2016-08-29 2017-03-15 卓尔悦欧洲控股有限公司 一种手自一体化的电子烟
CN106213590A (zh) * 2016-09-06 2016-12-14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烟雾发生装置的工作控制方法及烟雾发生装置
WO2018055761A1 (ja) * 2016-09-26 2018-03-2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器
US10524509B2 (en) * 2016-11-18 2020-01-07 Rai Strategic Holdings, Inc. Pressure sensing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CN107438374A (zh) * 2017-03-31 2017-12-05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电子烟控制方法以及电子烟
GB201707627D0 (en) * 2017-05-12 2017-06-28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Vapour provision systems
CN107278126A (zh) * 2017-05-18 2017-10-20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电子烟的控制方法及电子烟
WO2018209632A1 (zh) * 2017-05-18 2018-11-22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电子烟的控制方法及电子烟
GB201716735D0 (en) * 2017-10-12 2017-11-29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provision systems
WO2020034771A1 (zh) * 2018-08-17 2020-02-20 深圳雾芯科技有限公司 雾化装置及其方法
JP7128709B2 (ja) * 2018-10-04 2022-08-3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
JP7053876B2 (ja) * 2018-10-26 2022-04-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生成装置、電源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電源ユニット
JP7232368B2 (ja) * 2018-10-26 2023-03-0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生成装置
KR20200061132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EP4338607A2 (en) * 2019-01-04 2024-03-20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generation
CA3124606C (en) * 2019-01-04 2023-10-10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generation
GB201903245D0 (en) * 2019-03-11 2019-04-24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EP4190177A1 (en) * 2019-03-22 2023-06-07 Nerudia Limited Smoking substitute system
JP6678936B1 (ja) * 2019-05-31 2020-04-1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制御装置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
JP2022177327A (ja) * 2019-08-30 2022-12-0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霧化用液体
KR102323785B1 (ko) * 2019-11-18 2021-11-09 주식회사 이엠텍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터 전압 감지 및 제어 회로
CN110973712A (zh) * 2019-12-25 2020-04-10 深圳市吉迩科技有限公司 气溶胶产生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427857B1 (ko) * 2020-05-14 2022-08-0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N213587421U (zh) * 2020-08-13 2021-07-02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气雾生成装置
JP6890205B1 (ja) * 2020-11-20 2021-06-1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6619B2 (ja) * 1993-02-24 2005-09-21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喫煙物品の加熱負荷へのエネルギー供給を制御する方法と装置
US20110036346A1 (en) * 2009-04-21 2011-02-17 A. J. Marketing Llc Personal inhalation devices
KR200464889Y1 (ko) * 2012-08-09 2013-02-06 주식회사 엔브라이트 무화 제어 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무화 장치
KR20130127412A (ko) * 2013-11-05 2013-11-22 주식회사 엔브라이트 무화 제어 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무화 장치
US20130319440A1 (en) * 2011-02-09 2013-12-05 Sammy Capuano Variable power control electronic cigarette
US20140123990A1 (en) 2012-11-08 2014-05-08 Ludovicus Josephine Felicien Timmermans Real time variable programmable electronic cigarette system
KR20140090138A (ko) * 2011-08-16 2014-07-16 플룸, 인크. 저온 전자 증발 장치 및 방법
WO2014205263A1 (en) * 2013-06-19 2014-12-24 Loec, Inc.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mass airflow
KR101755591B1 (ko) * 2012-05-14 2017-07-07 니코벤처스 홀딩스 리미티드 전자 증기 제공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4962A (en) * 1989-12-01 1992-09-08 Philip Morris Incorporated Flavor-delivery article
LT2982255T (lt) * 2010-08-24 2019-08-12 Jt International Sa Inhaliacinis įtaisas su medžiagos naudojimo reguliavimu
US20130340775A1 (en) * 2012-04-25 2013-12-26 Bernard Juster Application development for a network with an electronic cigarette
GB2507103A (en) * 2012-10-19 2014-04-23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inhalation device
CN203646502U (zh) * 2013-11-28 2014-06-18 刘秋明 一种电子烟的电池组件、雾化组件以及电子烟
EP3205219B1 (en) * 2014-11-10 2020-12-23 Japan Tobacco Inc. Cartridge and non-burning type flavor inhaler
KR102136165B1 (ko) * 2015-02-27 2020-07-21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CA2980426C (en) * 2015-04-02 2020-09-15 Japan Tobacco Inc. Flavor inhaler
EA036219B1 (ru) * 2015-05-01 2020-10-15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Ингалятор аромата без горения и распылительный блок
JP6391818B2 (ja) * 2015-05-29 2018-09-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
EA035280B1 (ru) * 2015-07-28 2020-05-25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Ароматический ингалятор негорючего тип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6619B2 (ja) * 1993-02-24 2005-09-21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喫煙物品の加熱負荷へのエネルギー供給を制御する方法と装置
US20110036346A1 (en) * 2009-04-21 2011-02-17 A. J. Marketing Llc Personal inhalation devices
US20130319440A1 (en) * 2011-02-09 2013-12-05 Sammy Capuano Variable power control electronic cigarette
KR20140090138A (ko) * 2011-08-16 2014-07-16 플룸, 인크. 저온 전자 증발 장치 및 방법
KR101755591B1 (ko) * 2012-05-14 2017-07-07 니코벤처스 홀딩스 리미티드 전자 증기 제공 디바이스
KR200464889Y1 (ko) * 2012-08-09 2013-02-06 주식회사 엔브라이트 무화 제어 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무화 장치
US20140123990A1 (en) 2012-11-08 2014-05-08 Ludovicus Josephine Felicien Timmermans Real time variable programmable electronic cigarette system
WO2014205263A1 (en) * 2013-06-19 2014-12-24 Loec, Inc.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mass airflow
KR20130127412A (ko) * 2013-11-05 2013-11-22 주식회사 엔브라이트 무화 제어 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무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414A1 (ko) * 2018-12-14 2020-06-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16865A (ko) * 2019-08-05 2021-02-1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51529A4 (en) 2018-09-26
MY184001A (en) 2021-03-17
CN107249364A (zh) 2017-10-13
AU2015384410A1 (en) 2017-10-05
EP3251529B1 (en) 2020-09-16
EA034513B1 (ru) 2020-02-14
HK1244639A1 (zh) 2018-08-17
CN107249364B (zh) 2020-07-21
AU2015384410B9 (en) 2020-02-20
JPWO2016135959A1 (ja) 2017-05-25
US10531688B2 (en) 2020-01-14
AU2015384410B2 (en) 2019-03-07
US20170347704A1 (en) 2017-12-07
EA201791920A1 (ru) 2017-12-29
EP3251529A1 (en) 2017-12-06
JP6661598B2 (ja) 2020-03-11
KR102136165B1 (ko) 2020-07-21
WO2016135959A1 (ja)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6454A (ko)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US11064733B2 (en) Mouth piece of an electronic smoking device having a tempering element
CN108135273B (zh) 电子吸烟装置
CN105592737B (zh) 非燃烧型香味吸取器
CN108366622B (zh) 具有用于储液器的空腔的电子吸烟装置
EP3487566B1 (en) Electronic cigarette with illuminated tip
KR101972722B1 (ko)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JP2024016120A (ja) エアロゾル送達デバイス、ならびに入力特性に基づいてエアロゾル送達デバイスを制御するための関連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TWI604799B (zh) 非燃燒型香味吸嘗器及氣溶膠送達方法
KR20160127086A (ko) 전자 흡연 물품용 제어 보디
KR20180126081A (ko) 에어로졸 송달 장치용 착탈식 전원
CN109714992A (zh) 电子蒸汽供应系统
WO2020200652A1 (en) Aerosol delivery device
JP6684891B2 (ja) 非燃焼型香味吸引器
EP3945901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