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872B1 -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 Google Patents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872B1
KR101915872B1 KR1020167030256A KR20167030256A KR101915872B1 KR 101915872 B1 KR101915872 B1 KR 101915872B1 KR 1020167030256 A KR1020167030256 A KR 1020167030256A KR 20167030256 A KR20167030256 A KR 20167030256A KR 101915872 B1 KR101915872 B1 KR 101915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output
value
senso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023A (ko
Inventor
마나부 다케우치
타쿠마 나카노
마나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9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7/02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detachable connect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44Heating of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5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Joule effect, i.e. electric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7Ligh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인렛으로부터 아웃렛까지 연속하는 공기유로를 갖는 하우징과,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와, 콘덴서를 갖고 있고, 유저의 퍼프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콘덴서의 전기 용량을 나타내는 값을 출력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에 의해,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2 이상의 상기 출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가 소정 부호를 갖고 있으며, 또한, 상기 소정 부호를 갖는 기울기의 절대치가 소정치보다도 큰 경우에, 상기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한다.

Description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NON-COMBUSTION FLAVOR INHALER}
 본 발명은,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霧化)하는 무화부를 갖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를 흡인하기 위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가 알려져 있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를 갖는다.
이러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서는, 퍼프 동작을 하고 있는 퍼프 구간에 있어 무화부에 전원 출력이 공급되고, 퍼프 동작을 하지 않은 비퍼프 구간에 있어서 무화부에 전원 출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즉,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서는, 적어도 퍼프 구간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필요하다. 이러한 센서로서는, 퍼프 동작에 의해 변화하는 값을 출력하는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표 2010-506594호 특허문헌 2 : 국제공개 제2012/072790호
제1의 특징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로서, 인렛으로부터 아웃렛까지 연속하는 공기유로를 갖는 하우징과,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와, 콘덴서를 가지며, 유저의 퍼프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콘덴서의 전기 용량을 나타내는 값을 출력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에 의해,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2 이상의 상기 출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가 소정 부호를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소정 부호를 갖는 기울기의 절대치가 소정치보다 큰 경우에, 상기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의 특징은, 제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되기 전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치를 감시하는 주기는, 상기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된 후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치를 감시하는 주기보다도 짧고, 상기 퍼프 구간의 종료가 검출된 후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치를 감시하는 주기는, 상기 퍼프 구간의 종료가 검출되기 전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치를 감시하는 주기보다도 짧은 것을 요지로 한다.
제3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또는 제2의 특징에 있어서, Δt는,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치를 감시하는 주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D(n)는, 시간 t(n)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α(n)는, 정(正)의 정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S(n)는, 시간 t(n)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S(n)={D(n)-D(n-α(n))}/(α(n)×Δt)에 의해,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를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연속하는 m회(m은, 2 이상의 정수)의 S(n)에 대해서, S(n)이 상기 소정 부호의 값이며, 또한, S(n)의 절대치가 제1의 값보다도 큰 조건이 만족되어진 경우에, 상기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의 특징은, 제3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판정할 때에 참조되는 상기 출력치의 샘플링 주기는, 소정 시간보다도 길고,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퍼프 구간에 있어서 변동하는 상기 출력치의 파장의 평균치의 1/2보다도 긴 것을 요지로 한다.
제5의 특징은, 제3의 특징 또는 제4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속하는 m회의 S(n) 중에서 1회의 S(n)에 대해서, S(n)가 상기 소정 부호의 값이며, 또한, S(n)의 절대치가 제2의 값보다 작은 조건이 만족되어진 경우에, 상기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하고, 상기 제2의 값은, 상기 퍼프 구간에 있어서 변동하는 상기 출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의 절대치의 평균치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6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 5의 특징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콘덴서 마이크로폰 센서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7의 특징은, 제1의 특징 내지 제 6의 특징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센서에 대한 전원 출력의 공급을 개시 및 정지하기 위한 스위치 부재를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무화 유니트(1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센서(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제어 회로(5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퍼프 구간의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발광 태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발광 태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퍼프 동작 시리즈에 있어서 전력 제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퍼프 동작 시리즈에 있어서 전력 제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1회당 퍼프 동작에 있어서 전력 제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1회당 퍼프 동작에 있어서 전력 제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변경예 1의 퍼프 동작 시리즈에 있어서 전력 제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의 변경예 2의 퍼프 동작 시리즈에 있어서 전력 제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아래의 도면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아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 형태의 개요]
배경 기술에서 언급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서는,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치의 절대치에 의해 퍼프 구간이 검출되고 있다. 그렇지만, 발명자들은, 열심히 검토한 결과, 검출치의 절대치를 감시하는 것만으로는, 퍼프 구간의 오류 검출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면, 검출치의 절대치와 역치(threshold)와의 비교에 의해 퍼프 구간의 개시를 검출하는 경우에, 낮은 역치(threshold)를 설정하면, 퍼프 구간의 개시 검출의 리스펀스가 향상되지만, 오류 검출이 증대해 버린다. 한편, 높은 역치(threshold)를 설정하면, 오류 검출이 감소하지만, 퍼프 구간의 개시 검출의 리스펀스가 악화된다. 즉, 상기 트레이드 오프 관계가 불가피하다.
실시 형태의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인렛으로부터 아웃렛까지 연속하는 공기유로를 갖는 하우징과,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와, 콘덴서를 가지고 있으며, 유저의 퍼프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콘덴서의 전기 용량을 나타내는 값을 출력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에 의해,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2 이상의 상기 출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가 소정 부호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소정 부호를 갖는 기울기의 절대치가 소정치보다도 큰 경우에, 상기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한다.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는,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2 이상의 출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가 소정 부호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소정 부호를 갖는 기울기의 절대치가 소정치보다도 큰 경우에,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한다. 따라서, 높은 곳에서의 압력 변화나 사람 소리의 진동 등의 본래 퍼프 구간의 개시로서 의도하지 않는 센서의 출력 결과를 퍼프 구간의 개시로 잘못 검출할 우려 및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의 추종성이 악화될 우려를 경감할 수가 있어, 퍼프 구간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가 있다. 즉, 퍼프 구간의 검출 정밀도의 향상 및 전원 출력의 추종성의 향상을 양립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의 검출에 있어서, 유저의 퍼프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콘덴서의 전기 용량을 나타내는 값을 출력하는 센서가 이용된다. 즉, 흡인 동작의 초기 및 종기에 있어서 공기유로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의 압력 변화가 특이적인 점에 주목하고, 이러한 압력 변화를 출력 가능한 센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퍼프 구간의 검출 리스펀스가 향상된다.
[제1 실시 형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아래에서, 제1 실시 형태의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무화 유니트(1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를 흡인하기 위한 기구이며, 비흡구측으로부터 흡구측을 향해 소정 방향(A)을 따라 이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흡구측」은, 에어로졸 흐름의 「하류」와 같은 의미라고 생각해도 되며, 「비흡구측」은, 에어로졸 흐름의 「상류」와 같은 의미라고 생각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전장 유니트(110)와, 무화 유니트(120)를 가진다. 전장 유니트(110)는, 무화 유니트(120)에 인접하는 부위에 암커넥터(111)을 가지고 있으며, 무화 유니트(120)는, 전장 유니트(110)에 인접하는 부위에 수커넥터(121)를 가진다. 암커넥터(111)는, 소정 방향(A)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나선상의 홈을 가지고 있으며, 수커넥터(121)는, 소정 방향(A)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나선상의 돌기를 가진다. 암커넥터(111) 및 수커넥터(121)의 나합에 의해, 무화 유니트(120)와 전장 유니트(110)가 접속된다. 무화 유니트(120)는, 전장 유니트(110)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전장 유니트(110)는, 전원(10)과, 센서(20)와, 누름 버튼(30)과, 발광소자(40)와 제어 회로(50)를 가진다.
전원(10)은, 예를 들면, 리튬이온 전지이다. 전원(10)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축적한다. 예를 들면, 전원(10)은, 센서(20), 발광소자(40) 및 제어 회로(50)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적한다. 또한, 전원(10)은, 후술하는 열원(80)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적한다.
센서(20)는, 콘덴서를 가지고 있으며, 비흡구측으로부터 흡구측을 향해서 흡인되는 공기(즉, 유저의 퍼프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콘덴서의 전기 용량을 나타내는 값을 출력한다. 여기에서는, 센서(20)에 의해 출력되는 값은 전압치이다. 센서(20)는, 예를 들면, 콘덴서 마이크로폰 센서이다.
구체적으로는, 센서(20)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센서 본체(21)와, 커버(22)와, 기판(33)을 가진다. 센서 본체(21)는, 예를 들면, 콘덴서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센서 본체(21)의 전기 용량은, 공기도입공(125)으로부터 흡인되는 공기(즉, 비흡구측으로부터 흡구측을 향하여 흡인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압력)에 의해 변화한다. 커버(22)는, 센서 본체(21)에 대해서 흡구측에 설치되고 있으며, 개구(22A)를 가진다. 개구(22A)를 갖는 커버(2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센서 본체(21)의 전기 용량이 변화하기 쉽고, 센서 본체(21)의 응답 특성이 향상된다. 기판(33)은, 센서 본체(21)의 전기 용량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면, 전압치)을 출력한다.
또한, 도 3에서는, 센서 본체(21)의 흡구측단만을 커버(22)가 덮고 있지만, 제1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커버(22)는, 센서 본체(21)의 흡구측단에 더하여, 센서 본체(21)의 측면을 덮고 있어도 된다. 도 3에서는, 센서(20)보다도 흡구측에 공기도입공(125)이 마련되는 케이스가 예시되고 있지만, 제1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공기도입공(125)은, 센서(20)보다도 비흡구측에 마련되고 있어도 된다.
도 1로 돌아와, 누름 버튼(30)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외측에서 안쪽을 향해 밀어넣듯이 구성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누름 버튼(30)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비흡구단에 설치되고 있고, 비흡구단으로부터 흡구단을 향하는 방향{즉, 소정 방향(A)}으로 밀어넣듯이 구성된다. 예를 들면, 누름 버튼(30)이 소정 회수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밀어넣어졌을 경우에,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이 투입된다. 또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은, 퍼프 동작이 이루어지고 나서 퍼프 동작을 하지 않은 채로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에 끊어져도 된다.
발광소자(40)는, 예를 들면, LED나 전등 등의 광원이다. 발광소자(40)는, 소정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측벽에 설치된다. 발광소자(40)는, 비흡구단의 근방의 측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소정 방향(A)의 축선상에 있어서 비흡구단의 단면에만 발광소자가 설치되는 케이스와 비교하여, 유저는, 퍼프 동작 중에 있어서, 발광소자(40)의 발광 패턴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가 있다. 발광소자(40)의 발광 패턴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상태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패턴이다.
제어 회로(50)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회로(50)는, 발광소자(40)의 발광 패턴을 제어하고,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한다.
무화 유니트(120)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지지체(60)와, 흡수체(70)와, 열원(80)과, 파괴부(90)를 가진다. 무화 유니트(120)는, 캅셀 유니트(130)와 흡구 유니트(140)를 가진다. 여기서, 무화 유니트(120)는, 외기를 내부로 받아들이기 위한 공기도입공(125)과 수커넥터(121)를 통해서 전장 유니트(110){센서(20)}에 연통하는 공기유로(122)와, 통 모양으로 배치되는 세라믹(123)을 갖는다. 무화 유니트(120)는, 무화 유니트(120)의 외형을 형성하는 통 모양의 외벽(124)을 가진다. 세라믹(123)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은, 공기유로를 형성한다. 세라믹(123)은, 예를 들면, 알루미나를 주성분으로 포함한다.
지지체(60)는, 통 모양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에어로졸원을 지지한다. 에어로졸원은,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체이다. 지지체(60)는,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이 함침된 공질체(孔質體)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공질체는, 예를 들면, 수지웹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세라믹(123)이 지지체(60)의 내측에 배치되고 있어, 지지체(60)에 의해 지지되는 에어로졸원의 휘발이 억제된다.
흡수체(70)는, 지지체(60)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있고, 에어로졸원을 지지체(60)로부터 빨아 들이는 물질에 의해 구성된다. 흡수체(70)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에 의해 구성된다.
열원(80)은,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가열한다. 즉, 열원(80)은,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의 일 예이다. 예를 들면, 열원(80)은, 흡수체(70)에 권취된 전열선이다. 열원(80)은, 흡수체(70)에 의해 빨아 들여진 에어로졸원을 가열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열원(80)으로서 가열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가열 타입의 부품을 예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무화부는,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되며, 초음파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초음파 타입의 부품이어도 된다.
파괴부(90)는, 캅셀 유니트(130)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소정막(133)의 일부를 파괴하기 위한 부재이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파괴부(90)는, 무화 유니트(120)와 캅셀 유니트(130)를 나누기 위한 격벽 부재(126)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격벽 부재(126)는,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수지이다. 파괴부(90)는, 예를 들면, 소정 방향(A)을 따라 이어지는 원통상의 중공침이다. 중공침의 선단을 소정막(133)에 찌르는 것에 의해, 소정막(133)의 일부가 파괴된다. 또한, 중공침의 내측 공간에 의해 무화 유니트(120)과 캅셀 유니트(130)를 공기적으로 연통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중공침의 내부에는, 담배원(131)을 구성하는 원료가 통과하지 않는 정도의 엉성함을 갖는 그물망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물망의 엉성함은, 예를 들면, 80 메쉬 이상 200 메쉬 이하이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캅셀 유니트(130) 내에 중공침이 침입하는 깊이는, 1.0mm 이상이며 5.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mm 이상이며 3.0m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소정막(133)의 소망 부위 이외의 부위를 파괴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소정막(133)과 필터(132)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충전되는 담배원(131)의 이탈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관련 공간으로부터의 중공침의 이탈이 억제되기 때문에, 중공침으로부터 필터(132)에 이르는 적절한 공기유로를 매우 적절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소정 방향(A)에 대한 수직 단면에 있어서, 수직침의 단면적은, 2.0mm2 이상이며 3.0m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중공침을 뽑아 냈을 때에, 캅셀 유니트(130)로부터 담배원(131)이 탈락하는 것이 억제된다.
중공침의 선단은, 소정 방향(A)에 대한 수직 방향에 대해서, 30°이상이며 45°이하의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파괴부(90)는, 캅셀 유니트(130)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소정막(133)에 인접하는 부위이어도 된다. 이러한 부위에 대해서 유저가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소정막(133)의 일부가 파괴되어도 된다.
캅셀 유니트(130)는, 본체 유니트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캅셀 유니트(130)는, 담배원(131)과, 필터(132)와, 소정막(133)을 가진다. 또한, 소정막(133)과 필터(132)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에, 담배원(131)이 충전되고 있다. 여기서, 본체 유니트란, 캅셀 유니트(130) 이외의 부위에 의해 구성되는 유니트이다. 예를 들면, 본체 유니트는, 상기 전장 유니트(110), 지지체(60), 흡수체(70) 및 열원(80)을 포함한다.
담배원(131)은, 에어로졸원을 지지하는 지지체(60)보다도 흡구측에 설치되고 있어, 에어로졸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과 함께 유저에 의해 흡인되는 향미를 발생한다. 여기서, 담배원(131)은, 소정막(133)과 필터(132)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로부터 유출하지 않도록, 고체상의 물질에 의해 구성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담배원(131)으로서는, 썬 담배, 담배 원료를 입상으로 성형한 성형체, 담배 원료를 시트상에 성형한 성형체를 이용할 수 있다. 담배원(131)에는, 멘톨 등의 향료가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담배원(131)이 담배 원료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는, 담배 원료가 열원(80)으로부터 멀어지고 있기 때문에, 담배 원료를 가열하지 않고 향미를 흡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담배 원료의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불필요한 물질의 흡인이 억제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필터(132) 및 소정막(133)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충전되는 담배원(131)의 양은, 0.15g/cc 이상이며 1.00g/cc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132) 및 소정막(133)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있어서 담배원(131)이 점유 하는 체적의 점유율은, 50% 이상이며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132) 및 소정막(133)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용적은, 0.6ml 이상이며 1.5m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캅셀 유니트(130)를 적절한 크기로 유지하면서, 유저가 향미를 충분히 맛볼 수가 있는 정도로 담배원(131)을 수용할 수 있다.
파괴부(90)에 의해 소정막(133)의 일부가 파괴되어, 무화 유니트(120)와 캅셀 유니트(130)가 연통한 상태에 있어서, 캅셀 유니트(130)의 선단 부분(피 파괴 부분)으로부터 필터(132)의 말단까지, 1050cc/min의 유량으로 공기를 흡인했을 경우의 캅셀 유니트(130)의 통기 저항(압력 손실)은, 전체적으로, 10mmAq 이상이며 100mmAq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mmAq 이상이며 90 mmAq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담배원(131)의 텅기 저항을 상기의 바람직한 범위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이 담배원(131)에 의해 지나치게 여과되는 것이 억제되어, 효율적으로 향미를 유저에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1mmAq는, 9.80665Pa에 상당하기 때문에, 상기 통기 저항은, Pa로 표현할 수도 있다.
필터(132)는, 담배원(131)에 대해서 흡구측에 인접되어 있고, 통기성을 갖는 물질에 의해 구성된다. 필터(132)는,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132)는, 담배원(131)을 구성하는 원료가 통과하지 않는 정도의 엉성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132)의 통기 저항은, 5mmAq 이상이며 20mmAq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담배원(131)으로부터 발생하는 증기 성분을 효율적으로 흡착하면서, 에어로졸을 효율적으로 통과시킬 수가 있어, 적절한 향미를 유저에게 공급할 수가 있다. 또한, 유저에 대해서 적절한 공기의 저항감을 줄 수 있다.
담배원(131)의 질량과 필터(132)의 질량과의 비율(질량 비율)은, 3:1 ~ 20: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4:1 ~ 6:1의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소정막(133)은, 필터(132)와 일체로 성형되고 있으며, 통기성을 갖지 않는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소정막(133)은, 담배원(131)의 외면 중에서, 필터(132)와 인접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피복한다. 소정막(133)은, 젤라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의해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젤라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통기성을 갖지 않고, 또한, 박막의 형성에 적합하다. 또한, 젤라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담배원(131)에 포함되는 수분에 대해서 충분한 내성을 가질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특히 내수성이 뛰어난다. 또한, 젤라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은, 내염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담배원(131)이 염기성 성분을 가지는 경우에도, 염기성 성분에 의해 열화하기 어렵다.
소정막(133)의 막 두께는, 0.1μm 이상이며 0.3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소정막(133)에 의해 담배원(131)을 보호하는 기능을 유지하면서, 소정막(133)의 일부를 용이하게 파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막(133)은, 필터(132)와 일체로서 성형되지만, 소정막(133)은, 예를 들면, 풀 등에 의해 필터(132)에 접착된다. 또는, 소정 방향(A)에 대해서 수직 방향에 있어서, 소정막(133)의 외형을 필터(132)의 외형보다도 작게 설정하여, 소정막(133) 내에 필터(132)를 넣어, 필터(132)의 복원력에 의해 소정막(133) 내에 필터(132)를 감합해도 된다. 또는, 소정막(133)을 계합하기 위한 계합부를 필터(132)에 설치해도 된다.
여기서, 소정막(133)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정 방향(A)에 대한 수직 단면에 있어서, 오목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케이스에서는, 오목 형상을 가지는 소정막(133)의 내측에 담배원(131)을 충전한 후에, 담배원(131)이 충전된 소정막(133)의 개구를 필터(132)에 의해 닫는다.
소정 방향(A)에 대한 수직 단면에 있어서, 소정막(133)이 오목 형상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 소정막(133)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의 단면적 중에서, 최대의 단면적{즉, 필터(132)가 감합되는 개구의 단면적}은, 25mm2 이상이며 80 m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mm2 이상이며 55mm2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소정 방향(A)에 대한 수직 단면에 있어서, 필터(132)의 단면적은, 25mm2 이상이며 55m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방향(A)에 있어서의 필터(132)의 두께는, 3.0 mm 이상이며 7.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구 유니트(140)는, 흡구공(141)을 가진다. 흡구공(141)은, 필터(132)를 노출하는 개구이다. 유저는, 흡구공(141)으로부터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과 함께 향미를 흡인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흡구 유니트(140)는, 무화 유니트(120)의 외벽(124)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흡구 유니트(140)는, 외벽(124)의 내면에 감합하도록 구성된 컵 형상을 가진다. 그렇지만,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구 유니트(140)는, 힌지 등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외벽(124)에 장착되고 있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흡구 유니트(140)는, 캅셀 유니트(130)와 별개로서 설치된다. 즉, 흡구 유니트(140)는, 본체 유니트의 일부를 구성한다. 그렇지만,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구 유니트(140)는, 캅셀 유니트(130)와 일체로 설치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흡구 유니트(140)는, 캅셀 유니트(130)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한 것과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공기도입공(125)(인렛)으로부터 흡구공(141)(아웃렛)까지 연속하는 공기유로(122)를 갖는 무화 유니트(120)의 외벽(124)(하우징)을 가진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 유로(122)가 무화 유니트(120)에 의해 구성되지만, 공기 유로(122)의 태양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 유로(122)는, 전장 유니트(110)의 하우징 및 무화 유니트(120)의 하우징의 쌍방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제어 회로)
아래에서, 제1 실시 형태의 제어 회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제어 회로(50)를 나타내는 불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제어 회로(50)는, 퍼프 검출부(51)와 발광소자 제어부(52)와 열원 제어부(53)를 가진다.
퍼프 검출부(51)는, 유저의 퍼프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콘덴서의 전기 용량을 출력하는 센서(20)에 접속된다. 퍼프 검출부(51)는,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에 의해 퍼프 상태를 검출한다. 상세하게는, 퍼프 검출부(51)는, 에어로졸을 흡인하고 있는 퍼프 상태(퍼프 구간) 및 에어로졸을 흡인하고 있지 않은 비퍼프 상태(비퍼프 구간)를 검출한다. 이것에 의해, 퍼프 검출부(51)는,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퍼프 검출부(51)는,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1회당 퍼프 동작의 소요 시간을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퍼프 검출부(51)는,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에 의해,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한다. 여기에서는, 출력치는, 콘덴서의 전기 용량을 나타내는 전압치이다.
구체적으로는, 퍼프 검출부(51)는,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2 이상의 출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가 소정 부호(여기에서는, 부)를 가지고 있고, 또한, 소정 부호(여기에서는, 부)를 갖는 기울기의 절대치가 소정치보다도 큰 경우에,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한다. 바꾸어 말하면, 퍼프 검출부(51)는,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되기 전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만족되어지는 경우에, 퍼프 구간의 개시를 검출한다. 한편, 퍼프 검출부(51)는,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된 후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만족되어지는 경우에, 퍼프 구간의 종료를 검출한다.
여기서, 퍼프 구간의 개시에 이용하는 조건(소정치)은, 퍼프 구간의 종료에 이용하는 조건(소정치)과 같아도 되며, 달라도 된다. 또한, 퍼프 구간의 종료 판정은,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되고 나서 소정 기간(예를 들면, 200msec ~ 500msec)이 경과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된 직후에 퍼프 구간의 종료가 잘못 검출되는 사태가 억제된다.
상세하게는, 퍼프 검출부(51)는, 도 5에 나타내듯이, 샘플링 주기(Δt)에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를 감시한다. 도 5에서는,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로서 전압치를 예시하고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되기 전에 있어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를 감시하는 샘플링 주기(Δta)는,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된 후에 있어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를 감시하는 샘플링 주기(Δtb)보다도 짧다. 퍼프 구간의 종료가 검출된 후에 있어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를 감시하는 샘플링 주기(Δtc)는, 퍼프 구간의 종료가 검출되기 전에 있어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를 감시하는 샘플링 주기(Δtb)보다도 짧다.
또한,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되기 전에 있어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를 감시하는 샘플링 주기(Δta)는, 퍼프 구간의 종료가 검출된 후에 있어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를 감시하는 샘플링 주기(Δtc)와 같다. 또한,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된 후에 있어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를 감시하는 샘플링 주기(Δtb)는, 퍼프 구간의 종료가 검출되기 전에 있어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를 감시하는 샘플링 주기(Δtb)와 같다. 바꾸어 말하면, 퍼프 구간 외에 있어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를 감시하는 샘플링 주기(Δta 또는Δtc)는, 퍼프 구간 내에 있어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를 감시하는 샘플링 주기(Δtb)보다도 짧다. 퍼프 구간 외에 있어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를 감시하는 샘플링 주기(Δta 또는Δtc)는, 예를 들면, 1msec이며, 퍼프 구간 내에 있어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를 감시하는 샘플링 주기(Δtb)는, 예를 들면, 10msec이다.
아래에서, 각 기호는, 아래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Δt는,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를 감시하는 주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D(n)는, 시간 t(n)에 있어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α(n)는, 정(正)의 정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S(n)는, 시간 t(n)에 있어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n는, S(n)의 산출 회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α(n)는, 일정한 값(예를 들면, 3)이어도 되며, S(n)의 산출마다 변화해도 된다.
이러한 전제하에 있어서, 퍼프 검출부(51)는, S(n)={D(n)-D(n-α(n))}/(α(n)×Δt)에 의해,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를 산출해도 된다. 또한, D(n)은 시간 t(n)에 있어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를 나타내므로, “D(n-α(n))”는, 시간 t(n)보다“α(n)×Δt”만큼 전에 감시된 센서(20)의 출력치를 나타낸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퍼프 검출부(51)는,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되기 전에 있어서, 연속하는 m회(m는, 2 이상의 정수)의 S(n)에 대해서, 모든 S(n)이 소정 부호(여기에서는, 부)의 값이며, 또한, 모든 S(n)의 절대치가 후술하는 제1의 값보다도 큰 조건이 만족되어졌을 경우에, 퍼프 구간의 개시를 검출한다. 여기서, 퍼프 구간의 개시를 검출할 때에 이용되는 샘플링 주기(Δt)는, Δta(또는,Δtc)인 것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퍼프 검출부(51)는,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된 후에 있어서, 연속하는 m회의 S(n)에 대해서, 모든 S(n)가 소정 부호(여기에서는, 부)의 값이며, 또한, 모든 S(n)의 절대치가 제1의 값보다도 큰 조건이 만족되어졌을 경우에, 퍼프 구간의 종료를 검출한다. 여기서, 퍼프 구간의 종료를 검출할 때에 이용되는 샘플링 주기(Δt)는, Δtb(>Δta 또는Δtc)인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α(n)=3, m=3인 경우에,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되는 케이스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S(p), S(p+1) 및 S(p+2)의 모두가 부의 값이며, S(p), S(p+1) 및 S(p+2)의 모든 절대치가 제1의 값보다 크기 때문에, 시간 p+2에 있어서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된다. 또한, S(n)의 산출 방법에 대해서, 시간 p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S(p)는, S(p)={D(p)-D(p-3)/3Δt}에 의해 산출된다.
또한, 제1의 값이란, 미리 정해진 소정치이며, 센서(20)의 종류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퍼프 검출부(51)가 S(n)를 산출하는 주기는, 샘플링 주기(Δt)와 같아도 되며, 샘플링 주기(Δt)와 달라도 된다. 또한, 퍼프 검출부(51)가 S(n)를 산출하는 주기는, 샘플링 주기(Δt)의 정수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샘플링 주기(Δt) 및 S(n)의 산출 주기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샘플링 주기(Δt) 및 S(n)의 산출 주기는, 동기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기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센서(20)가 출력치를 출력하는 주기에 대해서도,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센서(20)는, 샘플링 주기(Δt) 및 S(n)의 산출 주기와 동기하여 온/오프를 반복해도 되며, 항상 온이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판정할 때에 참조되는 출력치의 샘플링 주기(예를 들면, 5msec)는, 소정 시간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판정할 때에 참조되는 출력치의 샘플링 주기는, 도 5에 나타내듯이, α(n)×Δt+(m-1)×Δt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소정 시간은, 퍼프 구간에 있어서 변동하는 출력치가 시간축상에서 이산(離散)적으로 취득된다고 하는 전제하에 있어서, 이산적으로 취득되는 출력치의 플롯으로부터 연속적인 근사 함수를 도출함과 함께, 근사 함수로부터 도출되는 파형의 주파수의 파장{도 5에 나타낸다 (λ)}의 평균치의 1/2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판정할 때에 참조되는 출력치의 샘플링 주기에 하한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되기 전에 있어서, 유저의 퍼프 동작과는 다른 사상(예를 들면, 사람 목소리의 진동 등)에 의해 상기 조건이 우발적으로 만족되어지는 것이 억제되어, 퍼프 구간의 개시를 검출하는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된 후에 대해서도, 유저가 실제로 퍼프 동작을 종료하기 전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우발적으로 만족되어지는 것이 억제되어, 퍼프 구간의 종료를 검출하는 정밀도가 향상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퍼프 검출부(51)는, 연속하는 m회의 S(n) 중에서 1회의 S(n)에 대해서, S(n)의 절대치가 제2의 값보다도 작은 조건이 만족되어진 경우에,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의 값은, 제1의 값보다도 충분히 큰 값이며, 퍼프 구간에 있어서 변동하는 2 이상의 출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절대치)의 평균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퍼프 검출부(51)는, 연속하는 m회의 S(n)의 모두에 대해서, S(n)이 소정 부호(여기에서는, 부)의 값이며, 또한, S(n)의 절대치가 제2의 값 이상인 경우에는,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하지 않는다. 한편, 퍼프 검출부(51)는, 연속하는 m회의 S(n)에 대해서, 모든 S(n)이 제1의 값보다도 큰 조건이 만족되어지고 있고, 또한, 적어도 1회의 S(n)의 절대치가 제2의 값보다도 작은 조건이 만족되어지고 있으면,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한다. 이것에 의해, 퍼프 동작과는 다른 사상에 의해 센서(20)의 전기 용량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우에도,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의 오류 검출이 억제된다. 퍼프 동작과는 다른 사상이란, 예를 들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가 탁상에 놓여져 있는 케이스에 있어서, 탁상의 진동에 의해 센서(20)의 전기 용량이 변화하는 사상이나, 유저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흡구부로부터 흡인하는 것이 아니고 불어 넣음을 하는 사상 등이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판정할 때에 참조되는 출력치의 샘플링 주기는, α(n)×Δt+(m-1)×Δt이다. 즉, m회의 S(n) 중에서 연속하는 2회의 S(n)의 산출로 참조되는 출력치의 샘플링 주기는, 서로 일부 중복 하고 있으며, α(n)는 2 이상이다. 이것에 의해, 연속하는 2회의 S(n)의 산출로 참조되는 출력치의 샘플링 주기를 중복시키지 않는 케이스, 즉,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판정할 때에 참조되는 출력치의 샘플링 주기가 α(n)×Δt×m인 케이스와 비교하여,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판정할 때에 참조되는 출력치의 샘플링 주기(α(n)×Δt+(m-1)×Δt)가 짧고, 퍼프 구간의 개시를 신속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퍼프 구간의 개시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α(n)가 1인 케이스와 비교하여, 미세한 출력치의 변동을 퍼프 구간의 개시로 검출하지 않기 때문에, 퍼프 구간의 오류 검출을 억제할 수가 있다.
발광소자 제어부(52)는, 발광소자(40) 및 퍼프 검출부(51)에 접속되고 있으며, 발광소자(40)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발광소자 제어부(52)는, 에어로졸을 흡인하고 있는 퍼프 상태에 있어서, 제1 발광 태양으로 발광소자(40)를 제어한다. 한편, 발광소자 제어부(52)는, 에어로졸을 흡인하지 않은 비퍼프 상태에 있어서, 제1 발광 태양과는 다른 제2 발광 태양으로 발광소자(40)를 제어한다.
여기서, 발광 태양이란, 발광소자(40)의 광량, 점등 상태의 발광소자(40)의 수, 발광소자(40)의 색, 발광소자(40)의 점등 및 발광소자(40)의 소등을 반복하는 주기 등의 파라미터의 조합에 의해 정의된다. 다른 발광 태양이란, 상기 파라미터중 어느 하나가 다른 발광 태양을 의미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발광 태양은,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에 따라 변화한다. 제1 발광 태양은,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에 따라 변화해도 되며,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발광 태양은, 연소를 수반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일반적인 담배의 사용감과 비슷하게 하기 위해서, 적색의 발광소자(40)를 점등하는 태양이다. 제1 발광 태양은, 발광소자(40)를 계속적으로 점등하는 태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제1 발광 태양은, 발광소자(40)의 점등 및 발광소자(40)의 소등을 제1 주기로 반복하는 태양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 발광 태양은, 에어로졸원이 가열되어 있지 않은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해서, 청색의 발광소자(40)를 점등하는 태양이다. 제2 발광 태양은, 발광소자(40)의 점등 및 발광소자(40)의 소등을 제1 주기보다도 긴 제2 주기로 반복하는 태양이어도 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제2 발광 태양은,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면, 제2 발광 태양은,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제어 대상의 발광소자(40)의 수가 증대하는 태양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발광소자 제어부(52)는, 1회째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 1개의 발광소자(40)를 제2 발광 태양으로 제어하고 2회째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 2개의 발광소자(40)를 제2 발광 태양으로 제어한다. 또는, 발광소자 제어부(52)는, 1회째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 n개의 발광소자(40)를 제2 발광 태양으로 제어하고, 2회째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 n-1개의 발광소자(40)를 제2 발광 태양으로 제어한다.
한편, 제2 발광 태양은,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발광소자(40)의 광량이 증대 또는 감소하는 태양이어도 된다. 또는, 제2 발광 태양은,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발광소자(40)의 색이 변화하는 태양이어도 된다.
또한, 제1 발광 태양이 퍼프 동작의 회수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1 발광 태양의 변화는, 제2 발광 태양의 변화와 기본적으로는 같은 견해이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발광소자 제어부(52)는,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가 소정 회수(예를 들면, 8회)에 이르렀을 경우에, 제1 발광 태양 및 제2 발광 태양에 따른 제어를 종료하고, 종료 발광 태양으로 발광소자(40)를 제어한다.
종료 발광 태양은, 퍼프 동작을 종료해야 할 타이밍이라는 취지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태양이면 되며, 제1 발광 태양 및 제2 발광 태양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종료 발광 태양은, 제1 발광 태양 및 제2 발광 태양보다도 발광소자(40)의 광량이 작고, 발광소자(40)의 광량이 서서히 감소하는 태양이다.
열원 제어부(53)는, 전원(10)에 접속되어 있으며, 전원(10)으로부터 열원(80)(무화부)에 대한 전원 출력(여기에서는, 전력량)을 제어한다. 또한, 전력량이란, 시간 및 전력(전압 또는 전류)의 곱셈 결과이며, 시간 및 전력에 의해 제어되는 값이다. 예를 들면, 열원 제어부(53)는, 전원(10)에 병설되는 DC-DC 컨버터 등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전원(10)으로부터 열원(8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여기서, 전원 출력의 크기(적산치)는, 열원(80)(무화부)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전압이 인가되는 케이스에 있어서는, 열원(80)(무화부)에 대해서 인가되는 전압의 값 및 전원 출력의 공급을 계속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한편, 전원 출력의 크기(적산치)는, 열원(80)(무화부)에 대해서 단속적으로 전압이 인가되는 케이스(펄스 제어)에 있어서는, 열원(80)(무화부)에 대해서 인가되는 전압의 값, 펄스폭, 펄스 간격 및 전원 출력의 공급을 계속하는 시간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열원 제어부(53)는, 퍼프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퍼프 구간에 있어서 전원(10)으로부터 열원(80)에 전원 출력의 공급을 개시함과 함께, 퍼프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비퍼프 구간에 있어서 전원(10)으로부터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의 공급을 정지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첫째, 열원 제어부(53)는,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기준 전원 출력으로부터 단계적으로 증대한다. 이것에 의해, 연소에 따라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담배의 사용감을 모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열원 제어부(53)는, 퍼프 동작의 회수가 소정 회수를 넘어선 후에 있어서 퍼프 동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기준 전원 출력보다도 작은 전원 출력을 열원(80)에 공급하도록 전원(10)을 제어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퍼프 동작을 종료해야 할 타이밍이어도, 약간의 에어로졸을 유저가 흡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저의 만족감을 증대할 수가 있다.
열원 제어부(53)는, 퍼프 동작의 회수가 소정 회수를 넘어선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에,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을 OFF로 한다. 이것에 의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을 끄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력 낭비가 억제된다.
여기서, 열원 제어부(53)는, 상기 동작을 조합하여, 퍼프 동작의 회수가 소정 회수를 넘어선 후에 있어서, 기준 전원 출력보다도 작은 전원 출력을 열원(80)에 공급하고, 퍼프 동작의 회수가 소정 회수를 넘어선 후, 또한,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에,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을 OFF로 해도 된다.
열원 제어부(53)는,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의 기울기를 증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원 출력의 기울기란, 일정 전원 출력이 유지되는 퍼프 동작의 회수와 전원 출력이 증대하는 증대폭에 의해서 정의된다. 즉,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일정 전원 출력이 유지되는 퍼프 동작의 회수가 감소한다. 또는,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전원 출력이 증대하는 증대폭이 증대한다. 또는,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일정 전원 출력이 유지되는 퍼프 동작의 회수가 감소하고, 또한, 전원 출력이 증대하는 증대폭이 증대한다.
또한, 열원 제어부(53)는, 기준 전원 출력으로서 제1 기준 전원 출력을 이용하는 제1 모드와, 기준 전원 출력으로서 제1 기준 전원 출력보다도 큰 제2 기준 전원 출력을 이용하는 제2 모드를 제어해도 된다. 기준 전원 출력으로서 3 단계 이상의 기준 전원 출력이 준비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는, 기준 전원 출력의 전환은, 누름 버튼(30)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져도 된다. 예를 들면, 1회의 누름 버튼(30)의 압하에 의해 제1 모드가 적용되고, 2회의 압하에 의해 제2 모드가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누름 버튼(30)은, 터치 센서에 의해 대체되어도 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이 투입되어도 된다. 즉, 누름 버튼(30)의 조작에 의해 전원의 투입 및 기준 전원 출력의 전환이 1개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져도 된다. 다만, 누름 버튼(30)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투입하는 동작은, 기준 전원 출력을 전환하는 동작과 별개여도 된다.
둘째, 열원 제어부(53)는,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1회당 퍼프 동작의 소요 시간이 표준 소요 시간 구간 내인 유저에게 적용해야 할 표준 모드와,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1회당 퍼프 동작의 소요 시간이 표준 소요 시간 구간보다도 짧은 유저에게 적용해야 할 단축 모드를 제어한다. 여기서, 표준 소요 시간 구간이란, 에어로졸의 공급량(TPM:Total Particulate Matter량)의 밸런스가 특히 양호한 시간 구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열원 제어부(53)는, 표준 모드의 1회당 퍼프 동작에 있어서, 제1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구간에서 표준 전원 출력을 열원(80)에 공급하도록 전원(10)을 제어하고,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의 구간에서 표준 전원 출력보다도 작은 전원 출력을 열원(80)에 공급하도록 전원(10)을 제어한다. 또한, 열원 제어부(53)는,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의 구간에 있어서,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즉시 제로로 해도 되며,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서서히 감소해도 된다.
여기서, 제1 시간은, 상기 표준 소요 시간 구간의 종료 타이밍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 시간은, 에어로졸의 공급량(TPM량)의 밸런스가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표준 소요 시간 구간의 종료 타이밍보다도 길어도 된다.
한편, 열원 제어부(53)는, 단축 모드의 1회당 퍼프 동작에 있어서, 제2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구간에서 표준 전원 출력보다도 큰 제1 전원 출력을 열원(80)에 공급하도록 전원(10)을 제어하고, 제2 시간 후의 제3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구간에서 제1 전원 출력보다도 작은 제2 전원 출력을 열원(80)에 공급하도록 전원(10)을 제어하고, 제3 시간이 경과한 후의 구간에서 제2 전원 출력보다도 작은 전원 출력을 열원(80)에 공급하도록 전원(10)을 제어한다. 또한, 열원 제어부(53)는, 제3 시간이 경과한 후의 구간에 있어서,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즉시 제로로 해도 되며,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서서히 감소해도 된다.
여기서, 제2 시간은, 상기 표준 소요 시간 구간의 개시 타이밍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2 시간은, 표준 소요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되어도 되며, 표준 소요 시간 구간의 종료 타이밍보다 길어도 된다. 제3 시간은, 상기 표준 소요 시간 구간의 종료 타이밍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3 시간은, 에어로졸의 공급량(TPM량)의 밸런스가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표준 소요 시간 구간의 종료 타이밍보다도 길어도 된다. 또한, 제1 전원 출력보다도 작은 제2 전원 출력은, 상기 표준 전원 출력과 같아도 된다. 다만, 제2 전원 출력은, 표준 전원 출력보다도 커도 되며, 표준 전원 출력보다도 작아도 된다.
또한, 상기한 것과 같이, 열원 제어부(53)는,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기준 전원 출력으로부터 단계적으로 증대한다. 바꾸어 말하면, 1회당 퍼프 동작에 있어서 표준 전원 출력은,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증대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열원 제어부(53)는, 유저의 퍼프 동작의 학습에 의해, 표준 모드 또는 단축 모드를 설정해도 된다. 상세하게는, 열원 제어부(53)는, 학습에 의해 얻어진 1회당 퍼프 동작의 소요 시간이 표준 소요 시간 구간 내인 경우에, 표준 모드를 설정한다. 열원 제어부(53)는, 학습에 의해 얻어진 1회당 퍼프 동작의 소요 시간이 표준 소요 시간 구간보다도 짧은 경우에는, 단축 모드를 설정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장 유니트(110)에 대해서, 무화 유니트(120)가 착탈 가능하다. 또한, 전장 유니트(110)를 포함하는 본체 유니트에 대해서, 캅셀 유니트(130)가 착탈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전장 유니트(110)는, 복수회의 퍼프 동작 시리즈에 걸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퍼프 동작 시리즈란, 소정 회수의 퍼프 동작을 반복하는 일련의 동작이다. 따라서, 최초의 퍼프 동작 시리즈에 있어서 1회당 퍼프 동작의 소요 시간을 학습하는 것에 의해, 2회째 이후의 퍼프 동작 시리즈에 있어서 표준 모드 또는 단축 모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또는, 1회당 퍼프 동작 시리즈에 있어서, 최초의 n회의 퍼프 동작에 있어서 1회당 퍼프 동작의 소요 시간을 학습하는 것에 의해, n+1(또는, n+2)회째 이후의 퍼프 동작에 대해서 표준 모드 또는 단축 모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또는, 열원 제어부(53)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표준 모드 또는 단축 모드를 설정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는, 표준 모드 및 단축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에 설치된다. 또한, 1회당 퍼프 동작 시리즈 내에 있어서, 표준 모드 및 단축 모드의 전환을 허용해도 된다. 또는, 1회당 퍼프 동작 시리즈 내에 있어서, 표준 모드 및 단축 모드의 전환을 허용하지 않고, 최초로 설정된 모드가 고정적으로 적용되어도 된다.
(발광 태양)
아래에서, 제1 실시 형태의 발광 태양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발광 태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서는, 퍼프 동작의 회수가 8회(소정 회수)에 이르렀을 경우에, 원칙적으로, 퍼프 동작 시리즈를 유저가 종료해야 하는 케이스에 대해서 예시한다.
첫째, 발광 태양의 제1 예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듯이, 퍼프 상태에 있어서 제1 발광 패턴은, 퍼프 동작의 회수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한다. 한편, 비퍼프 상태에 있어서의 제2 발광 패턴은, 퍼프 동작의 회수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듯이, 비퍼프 상태#1 ~ 비퍼프 상태#4에 있어서는, 제2 발광 태양으로서, 발광 태양#2-1이 이용된다. 비퍼프 상태#5 ~ 비퍼프 상태#7에 있어서는, 제2 발광 태양으로서, 발광 태양#2-2가 이용된다. 비퍼프 상태#8에 있어서는, 제2 발광 태양으로서, 발광 태양#2-3이 이용된다. 또한, 9회째 이후의 비퍼프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종료 발광 태양이 이용된다.
한편, 퍼프 상태#1 ~ 퍼프 상태#8에 있어서는, 제1 발광 태양으로서, 발광 태양#1이 이용된다. 9회째 이후의 퍼프 상태에 있어서도, 제1 발광 태양으로서, 발광 태양#1이 이용되어도 되며, 8회(소정 회수)를 넘어선 퍼프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1 발광 태양 및 제2 발광 태양과 다른 발광 태양이 이용되어도 된다.
발광 태양#1, 발광 태양#2-1, 발광 태양#2-2, 발광 태양#2-3 및 종료 발광 태양은, 서로 다른 발광 태양이다. 상기한 것과 같이, 발광 태양이란, 발광소자(40)의 광량, 점등 상태의 발광소자(40)의 수, 발광소자(40)의 색, 발광소자(40)의 점등 및 발광소자(40)의 소등을 반복하는 주기 등의 파라미터의 조합에 의해 정의된다. 다른 발광 태양이란, 상기 파라미터 중 어느 하나에 차이가 나는 발광 태양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발광 태양#1은, 연소를 수반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일반적인 담배의 사용감과 비슷하게 하기 위하여, 연소를 이미지시키는 발광 태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태양#2-1은, 퍼프 동작 시리즈의 초반을 이미지시키는 발광 태양이며, 발광 태양#2-2는, 퍼프 동작 시리즈의 중반을 이미지시키는 발광 태양이며, 발광 태양#2-3은, 퍼프 동작 시리즈의 종반을 이미지시키는 발광 태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료 발광 태양은, 퍼프 동작을 종료해야 할 타이밍이라는 취지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태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발광 태양의 제1 예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듯이, 퍼프 상태에 있어서 제1 발광 패턴 및 비퍼프 상태에 있어서 제2 발광 패턴의 쌍방은, 퍼프 동작의 회수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듯이, 비퍼프 상태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제2 발광 태양으로서, 발광 태양#2-1, 발광 태양#2-2 및 발광 태양#2-3이 이용된다.
한편, 퍼프 상태#1 ~ 퍼프 상태#4에 있어서는, 제1 발광 태양으로서, 발광 태양#1-1이 이용된다. 퍼프 상태#5 ~ 퍼프 상태#7에 있어서는, 제1 발광 태양으로서, 발광 태양#1-2가 이용된다. 퍼프 상태#8에 있어서는, 제1 발광 태양으로서, 발광 태양#1-3이 이용된다. 또한, 9회째 이후의 퍼프 상태에 있어서는, 발광 태양#1-4가 이용된다.
발광 태양#1-1은, 퍼프 동작 시리즈의 초반을 이미지시키는 발광 태양이며, 발광 태양#1-2는, 퍼프 동작 시리즈의 중반을 이미지시키는 발광 태양이며, 발광 태양#1-3은, 퍼프 동작 시리즈의 종반을 이미지시키는 발광 태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 태양#1-4는, 종료 발광 태양과 마찬가지로, 퍼프 동작을 종료해야 할 타이밍이라는 취지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태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듯이, 비퍼프 상태#1{즉,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 투입 직후의 비퍼프 상태}에 있어서의 발광 태양이 제2 발광 태양(발광 태양#2-1)인 케이스에 대해서 예시했다. 그렇지만,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퍼프 상태#1에 있어서의 발광 태양은, 제2 발광 태양과 다른 개시 발광 태양이어도 된다. 개시 발광 태양은, 퍼프 동작을 개시할 준비가 되었다는 취지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태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퍼프 동작 시리즈에 있어서 전력 제어)
아래에서, 제1 실시 형태의 퍼프 동작 시리즈에서의 전력 제어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퍼프 동작 시리즈에 있어서 전력 제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서는, 퍼프 동작의 회수가 8회(소정 회수)에 이르렀을 경우에, 원칙적으로, 퍼프 동작 시리즈를 유저가 종료해야 하는 케이스에 대해서 예시한다. 또한, 비퍼프 상태에 있어서는, 열원(80)에 전원 출력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도 8 및 도 9에서는, 비퍼프 상태에 있어서 전원 출력의 거동이 생략되고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에서는, 열원(80)에 공급되는 전원 출력이 열원(80)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케이스에 대해서 예시한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원 출력이 전압과 같은 의미라고 생각해도 된다. 또한, 도 8은, 기준 전압으로서 제1 전압을 이용하는 제1 모드(Low 모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9는, 기준 전압으로서 제1 전압보다도 높은 제2 전압을 이용하는 제2 모드(High 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기준 전압이 차이가 나지만, 제1 모드(Low 모드) 및 제2 모드(High 모드)에 있어서, 열원(80)에 인가되는 전압의 거동은 같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열원 제어부(53)는,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열원(80)에 인가하는 전압을 기준 전압으로부터 단계적으로 증대한다. 구체적으로는, 퍼프 상태#1 ~ 퍼프 상태#4에 있어서, 열원(80)에 인가되는 전압은 일정하며, 기준 전압이 열원(80)에 인가된다. 퍼프 상태#5 ~ 퍼프 상태#7에 있어서는, 열원(80)에 인가되는 전압은 일정하며, 기준 전압보다 1 단계 큰 전압이 열원(80)에 인가된다. 퍼프 상태#8에 있어서는, 기준 전압보다 2 단계 큰 전압이 열원(80)에 인가된다. 9회째 이후의 퍼프 상태에 있어서는, 기준 전압보다 작은 전압이 열원(80)에 인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열원 제어부(53)는,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열원(80)에 인가하는 전압의 기울기를 증대한다.
예를 들면,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일정 전압이 유지되는 퍼프 동작의 회수가 감소한다. 즉,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퍼프 동작의 회수가 4회이며, 기준 전압보다도 1 단계 큰 전압이 인가되는 퍼프 동작의 회수가 3회이며, 기준 전압보다도 2 단계 큰 전압이 인가되는 퍼프 동작의 회수가 1회이다. 또는,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일정 전압이 유지되는 퍼프 동작의 회수가 감소한다. 또는, 2회째의 전압의 증대폭(Y)은, 1 단계째의 전압의 증대폭(X)보다도 크다.
이것에 의해, 일정 전압이 유지되는 퍼프 동작의 회수와 전압이 증대하는 증대폭에 의해 정의되는 전압의 기울기(θ1 및θ2)는,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증대한다. 바꾸어 말하면, 퍼프 동작 시리즈의 중반의 기울기(θ2)는, 퍼프 동작 시리즈의 초반의 기울기(θ1)보다도 크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열원(80)에 인가되는 전압이 증대하는 단계 수가 2 단계이지만,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원(80)에 인가되는 전압이 증대하는 단계 수는, 3 단계 이상이어도 된다. 또는, 열원(80)에 인가되는 전압이 증대하는 단계 수는, 1 단계이어도 된다.
(1회당 퍼프 동작에 있어서 전력 제어)
아래에서, 제1 실시 형태의 1회당 퍼프 동작에 있어서 전력 제어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제1 실시의 1회당 퍼프 동작에 있어서 전력 제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퍼프 동작의 회수가 8회(소정 회수)에 이르렀을 경우에, 원칙적으로, 퍼프 동작 시리즈를 유저가 종료해야 하는 케이스에 대해서 예시한다.
여기에서는, 열원(80)에 공급되는 전원 출력이 열원(80)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케이스에 대해서 예시한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 출력이 전압과 같은 의미라고 생각해도 된다. 또한, 도 10은, 표준 모드에 있어서 열원(80)에 인가되는 전압의 거동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1은, 단축 모드에 있어서 열원(80)에 인가되는 전압의 거동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표준 모드에 있어서, 제1 시간(T1)이 경과할 때까지의 구간에서 표준 전압이 열원(80)에 인가된다. 제1 시간(T1)이 경과한 후의 구간에서 표준 전압보다도 작은 전압이 열원(80)에 인가된다.
여기에서는, 제1 시간(T1)이 표준 소요 시간 구간의 종료 타이밍과 같은 케이스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제1 시간(T1)은, 상기한 것과 같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단축 모드에 있어서, 제2 시간(T2)이 경과할 때까지의 구간에서 표준 전압보다도 큰 제1 전압이 열원(80)에 인가된다. 제2 시간(T2) 후의 제3 시간(T3)이 경과할 때까지의 구간에서 제1 전압보다도 작은 제2 전압이 열원(80)에 인가된다. 제3 시간(T3)이 경과한 후의 구간에서 제2 전압보다도 작은 전압이 열원(80)에 인가된다.
여기에서는, 제2 시간이 표준 소요 시간 구간의 개시 타이밍보다도 짧은 케이스를 예시하고 있다. 제3 시간이 표준 소요 시간 구간의 종료 타이밍과 같은 케이스를 예시하고 있다. 제2 전압이 표준 전압보다도 작은 케이스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제2 시간(T2), 제3 시간(T3), 제2 전압은, 상기한 것과 같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준 모드 또는 단축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1회당 퍼프 동작의 소요 시간이 변화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라도, 도 10 또는 도 11에 나타내는 전압 프로파일을 트레이스하여, 퍼프 동작의 종료와 함께 전압이 제로가 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바꾸어 말하면, 미리 정해진 동작 모드에 따라 열원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하면 되므로, 열원(80)에 전원 출력이 공급되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 걸리는 전원 출력의 공급량을 Air flow(흡인량)에 의해 계속해서 제어한다고 하는 복잡한 제어가 불필요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작용 및 효과)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회로(50){퍼프 검출부(51)}는,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2 이상의 출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가 소정 부호(예를 들면, 부)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소정 부호를 갖는 기울기의 절대치가 소정치보다도 큰 경우에,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한다. 따라서, 높은 곳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나 사람 소리의 진동 등의 본래 퍼프 구간의 개시로서 의도하지 않는 센서의 출력 결과를 퍼프 구간의 개시로 잘못 검출할 우려 및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의 추종성이 악화될 우려를 경감할 수가 있어, 퍼프 구간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즉, 퍼프 구간의 검출 정밀도의 향상 및 전원 출력의 추종성의 향상을 양립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의 검출에 있어서, 유저의 퍼프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콘덴서의 전기 용량을 출력하는 센서(20)가 이용된다. 도 5에 나타내듯이, 흡인 동작의 초기 및 종기에 있어서 공기 유로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의 압력 변화가 특이적인 점에 주목하고, 이러한 압력 변화를 출력 가능한 센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퍼프 구간의 검출의 리스폰스가 향상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퍼프 구간 외에 있어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를 감시하는 샘플링 주기(Δta 또는Δtc)는, 퍼프 구간 내에 있어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를 감시하는 샘플링 주기(Δtb)보다도 짧다. 이것에 의해, 퍼프 구간의 개시 검출의 정밀도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의 추종성을 담보하면서, 퍼프 구간에 있어서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의 감시에 필요한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퍼프 구간의 종료 검출의 정밀도가 퍼프 구간의 개시 검출의 정밀도보다도 낮아도 문제가 없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회로(50){퍼프 검출부(51)}는,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되기 전에 있어서, 연속하는 m회(m는, 2 이상의 정수)의 S(n)에 대해서, 모든 S(n)이 부의 값이며, 또한, 모든 S(n)의 절대치가 제1의 값보다도 큰 조건이 만족되어진 경우에, 퍼프 구간의 개시를 검출한다. 한편, 제어 회로(50){퍼프 검출부(51)}는,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된 후에 있어서, 연속하는 m회의 S(n)에 대해서, S(n)이 부의 값이며, 또한, S(n)의 절대치가 제1의 값보다도 큰 조건이 만족되어진 경우에, 퍼프 구간의 종료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하는 경우에, 연속하는 m회의 S(n)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퍼프 구간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소자 제어부(52)는, 에어로졸을 흡인하지 않은 비퍼프 상태에 있어서, 제1 발광 태양과는 다른 제2 발광 태양으로 발광소자(40)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비퍼프 상태에 있어서도,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가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 아닌지를 유저에게 파악시킬 수 있다. 또한, 퍼프 상태의 발광 태양이 비퍼프 상태의 발광 태양과 다르기 때문에, 연소에 따라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담배의 사용감과 비슷한 느낌을 실현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발광 태양은,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에 따라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 발광소자(40)의 발광을 시인하기 쉬운 비퍼프 상태에 있어서, 제2 발광 태양의 변화에 의해 퍼프의 진척 상태를 유저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열원 제어부(53)는,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기준 전원 출력으로부터 단계적으로 증대한다. 이것에 의해, 연소에 따라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담배에 에어로졸의 공급량을 근접시킬 수가 있어, 일반적인 담배와 비슷한 사용감을 실현할 수가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열원 제어부(53)는, 지지체(60){에어로졸원}보다도 흡구측에 담배원(131)을 배치함과 함께,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기준 전원 출력으로부터 단계적으로 증대한다. 이것에 의해, 알카로이드의 공급량이 초기 퍼프의 알카로이드의 공급량에 가까운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전자 담배와 같은 에어로졸원에 알카로이드가 포함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알카로이드의 비율은 일정하다. 따라서, 그러한 구성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담배에 에어로졸의 공급량을 근접시키기 위해서,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기준 전원 출력으로부터 단계적으로 증대하면, 에어로졸 공급량에 비례하여 알카로이드의 공급량이 증대한다.
이에 대해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체(60)(에어로졸원)보다도 흡구측에 담배원(131)이 배치되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자들은, 퍼프 회수의 증대에 따라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알카로이드의 비율이 감소한다는 현상을 찾아냈다. 이것에 의해, 일반적인 담배에 에어로졸의 공급량을 근접시키기 위해서,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기준 전원 출력으로부터 단계적으로 증대하면, 알카로이드의 공급량이 초기 퍼프의 알카로이드의 공급량에 가까운 레벨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체(60){에어로졸원}보다도 흡구측에 담배원(131)이 배치되는 구성에 있어서, 열원 제어부(53)는,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기준 전원 출력으로부터 단계적으로 증대한다. 이것에 의해, 일반적인 담배에 에어로졸의 공급량을 근접시키면서도, 알카로이드의 공급량이 초기 퍼프의 알카로이드의 공급량에 가까운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열원 제어부(53)는, 기준 전원 출력으로서 제1 기준 전원 출력을 이용하는 제1 모드와, 기준 전원 출력으로서 제1 기준 전원 출력보다도 큰 제2 기준 전원 출력을 이용하는 제2 모드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1개의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에 의해, 유저의 기호에 따른 에어로졸량을 유저가 선택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단축 모드의 도입에 의해, 1회당 퍼프 동작의 소요 시간이 표준 소요 시간보다도 짧은 유저라도, 표준 모드보다도 빨리 열원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이러한 유저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동작 모드에 의하지 않고, 제1 시간 또는 제3 시간이 경과한 후의 구간에서, 열원에 대한 전원 출력을 감소하기 때문에, 분해 물질의 흡인이 억제되어, 끽미의 저하가 억제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미리 정해진 동작 모드(표준 모드 및 단축 모드)를 준비하고 있어, 미리 정해진 동작 모드에 따라 열원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이 공급되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 걸리는 전원 출력의 공급량을 Air flow(흡인량)에 의해 계속 제어한다고 하는 복잡한 제어가 불필요하다. 바꾸어 말하면, 끽미의 저하 및 유저의 만족도의 향상을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변경예 1]
아래에서, 제1 실시 형태의 변경예 1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열원 제어부(53)는, 전원(10)으로부터 열원(80)에 인가되는 전압의 제어에 의해, 전원(10)으로부터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열원 제어부(53)는,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전압)을 기준 전원 출력(기준 전압)으로부터 단계적으로 증대한다(도 9 참조).
이것에 대해서, 변경예 1에서는, 열원 제어부(53)는, 전원(10)으로부터 열원(80)에 인가되는 전압을 펄스 제어에 의해 제어하고 있어, 열원(80)에 전압을 인가하는 펄스폭(Duty비)의 제어에 의해, 전원(10)으로부터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열원 제어부(53)는,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열원(80)에 전압을 인가하는 펄스폭을 기준 펄스폭으로부터 단계적으로 단축한다(도 12 참조).
또한, 도 12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예를 모방하여, 퍼프 상태#4와 퍼프 상태#5와의 사이에서 전원 출력을 증대하는 케이스가 예시되고 있다. 도 12에서는, 퍼프 상태#4 및 퍼프 상태#5 이외의 퍼프 상태는 생략되고 있지만, 펄스 폭(Duty비)의 제어에 의해, 도 9에 나타내는 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변경예 2]
아래에서, 제1 실시 형태의 변경예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열원 제어부(53)는, 전원(10)으로부터 열원(80)에 인가되는 전압의 제어에 의해, 전원(10)으로부터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열원 제어부(53)는,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전압)을 기준 전원 출력(기준 전압)으로부터 단계적으로 증대한다(도 9 참조).
이에 대해서, 변경예 2에서는, 열원 제어부(53)는, 열원(80)에 전압을 인가하는 시간 간격의 제어에 의해, 전원(10)으로부터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열원 제어부(53)는,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열원(80)에 전압을 인가하는 시간 간격을 기준 시간 간격으로부터 단계적으로 연장한다(도 13 참조).
변경예 2에 있어서, 기준 시간 간격이란, 유저가 퍼프 동작을 계속하고 있는 경우에, 열원(80)에 대한 전압의 인가를 계속하는 최대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저가 퍼프 동작을 계속하는 시간이 기준 시간 간격을 넘으면, 열원(80)에 대한 전압의 인가가 정지한다. 또한, 전압의 인가가 정지해도 유저의 퍼프 동작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은, 발광소자(40)의 제1 발광 태양을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1회당 퍼프 동작에 있어서 열원(80)에 공급되는 총 전원 출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도 9에 나타내는 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표준 모드 및 단축 모드가 도입되는 경우에는,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제1 시간, 제2 시간 및 제3 시간이 조정(연장)되어도 된다.
[변경예 3]
아래에서, 제1 실시 형태의 변경예 3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 회로(50){퍼프 검출부(51)}는,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되기 전에 있어서, 연속하는 m회(m은 2 이상의 정수)의 S(n)에 대해서, 모든 S(n)이 부의 값이며, 또한, 모든 S(n)의 절대치가 제1의 값보다도 큰 조건이 만족되어진 경우에, 퍼프 구간의 개시를 검출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흡구부로부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내부를 향해 불어 넣음을 실시한 케이스에 있어서도, 이러한 동작을 퍼프 구간의 개시라고 잘못 검출할 우려를 경감할 수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변경예 3에서는, 유저가 불어 넣음을 실시했을 경우에, 불어 넣음을 검출함과 함께, 불어 넣음이 검출된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수단을 더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회로(50){퍼프 검출부(51)}는,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되기 전에 있어서, 연속하는 m회의 S(n)에 대해서, 모든 S(n)가 정(正)의 값이며, 또한, 모든 S(n)의 절대치가 제1의 값보다도 큰 조건이 만족되어진 경우에, 불어 넣음의 개시를 검출한다. 즉, 변경예 3에서는, 불어 넣음을 했을 경우에 얻어지는 센서 출력 패턴이, 퍼프 동작을 했을 경우에 얻어지는 패턴에 대해서, 정부(正負)의 부호가 역이 되는 것을 이용하여, 불어 넣음의 검출이 이루어진다.
퍼프 검출부(51)에 있어서 불어 넣음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발광소자 제어부(52)는, 상기 제1 발광 태양 및 제2 발광 태양과 다른 발광 태양으로 발광소자(40)를 제어한다. 즉, 변경예 3에서는, 상기 제1 발광 태양 및 제2 발광 태양과 다른 발광 태양으로 발광소자(40)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불어 넣음이 검출된 것을 유저에게 통지한다.
또한, 퍼프 검출부(51)에 있어서 불어 넣음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열원 제어부(53)는, 전원(10)으로부터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기타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해 설명했지만, 이 개시된 일부를 이루는 기재 및 도면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가지 대체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향미원으로서 담배원(131)을 예시했다. 그렇지만,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향미원은, 담배 재료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향미원을 가지지 않고, 에어로졸원에 향끽미 성분이 부여되고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가 캅셀 유니트(130)를 갖는 케이스를 예시했다. 그렇지만,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향미원을 포함한 카트리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퍼프 검출부(51)는,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2 이상의 출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가 부의 부호를 갖고 있고, 또한, 부의 부호를 갖는 기울기의 절대치가 소정치보다도 큰 경우에,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하는 케이스를 예시했다. 그렇지만,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퍼프 검출부(51)는,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2 이상의 출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가 정의 부호를 갖고 있고, 또한, 정의 부호를 갖는 기울기의 절대치가 소정치보다도 큰 경우에,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실시 형태의 ”부”의 표현을 ”정”으로 바꾸면 된다. ”정” 및 ”부”의 어느 것인가를 적용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센서(20)의 종류 등, 즉, 유저의 퍼프 동작에 대한 센서(20)의 출력 패턴에 의존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20)가 콘덴서 마이크로폰 센서인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센서(20)의 종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20)는, 예를 들면, 유저의 퍼프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콘덴서의 전기 용량을 검출하는 압전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누름 버튼(30)은, 전원(10)으로부터 제어 회로(50) 및 센서(20)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개시 및 정지하기 위한 스위치 부재를 구성한다. 누름 버튼(30)의 압하에 의해 센서(20)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되기 전에 있어서, 소정 기간(예를 들면, 200msec ~ 500msec)에 걸쳐서 샘플링 주기Δta에서 감시되는 출력치가 변화하지 않는 경우에, 센서(20)를 오프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전력 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센서(20)를 오프로 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면, 50msec)이 경과했을 경우에, 센서(20)를 온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전력 절약화를 꾀하면서도,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의 추종성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샘플링 주기Δta에서 감시되는 출력치가 변화하는 경우에는, 센서(20)가 연속적으로 온으로 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센서(20)의 온/오프와는 별도의 거동으로서 센서(20)는, 샘플링 주기(Δt) 및 S(n)의 산출 주기와 동기하여 온/오프를 반복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담배원(131)이 캅셀 유니트(130) 내에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담배원(131)에 포함되는 담배 원료의 pH를 캅셀 유니트(130)마다 변경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캅셀 유니트(130)의 종류에 따라, 퍼프 동작의 회수의 증대에 따라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의 기울기를 변경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퍼프 동작의 회수는, 1회당 퍼프 동작으로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에 의해 정의되는 값(에어로졸 발생량)에 의해 보정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1회당 퍼프 동작으로 발생하는 에어로졸량이 미리 정해진 값보다 적은 경우에는, 소정 계수α(α<1)를 1회 곱셈한 값을 가산하는 것에 의해 퍼프 동작의 회수를 누적해도 된다. 한편, 1회당 퍼프 동작으로 발생하는 에어로졸량이 미리 정해진 값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소정 계수β(β>1)를 1회 곱셈한 값을 가산하는 것에 의해 퍼프 동작의 회수를 누적해도 된다. 즉, 퍼프 동작의 회수는, 반드시 정수가 아니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퍼프 동작 시리즈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에 있어서,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을 증대하는 타이밍은, 제2 발광 태양을 변화시키는 타이밍과 동기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8 ~ 도 9에 나타내듯이, 퍼프 상태#4와 퍼프 상태#5와의 사이에서 열원(80)에 대한 전원 출력(전압)이 증대하는 경우에는, 퍼프 상태#4와 퍼프 상태#5와의 사이에서 제2 발광 태양이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듯이, 제1 시간(T1) 또는 제 3시간(T3)이 경과한 후의 구간에 있어서, 표준 전압보다도 작은 전압이 열원(80)에 인가되지만, 이러한 구간에 있어서도, 제1 발광 태양이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에서는, 기준 전원 출력으로서 제1 기준 전원 출력을 이용하는 제1 모드(도 8에 나타내는 Low 모드)와, 기준 전원 출력으로서 제1 기준 전원 출력보다 큰 제2 기준 전원 출력을 이용하는 제2 모드(도 9에 나타내는 High 모드)가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제1 모드의 발광 태양은, 제2 모드의 발광 태양과 달라도 된다. 즉, 제1 모드에 있어서의 제1 발광 태양, 제2 발광 태양 및 종료 발광 태양은, 각각, 제2 모드에 있어서의 제1 발광 태양, 제2 발광 태양 및 종료 발광 태양과 달라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가 하는 각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읽기 가능 매체에 기록되어 있어도 된다. 컴퓨터 읽기 가능 매체를 이용하면,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인스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읽기 가능 매체는, 비일과성의 기록 매체이어도 된다. 비일과성의 기록 매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CD-ROM이나 DVD-ROM 등의 기록 매체이어도 된다.
또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가 실시하는 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성되는 칩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일본 특허출원 제 2014-095164호(2014년 5월 2일 출원)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들어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실시 형태에 의하면, 퍼프 구간의 검출 정밀도를 높이는 것과 함께, 퍼프 구간의 검출 리스폰스를 향상하는 것을 가능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인렛으로부터 아웃렛까지 연속하는 공기유로를 갖는 하우징과,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와,
    콘덴서를 갖고 있고, 유저의 퍼프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콘덴서의 전기 용량을 나타내는 값을 출력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치에 의해,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2 이상의 상기 출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가 소정 부호를 갖고 있으며, 또한, 상기 소정 부호를 갖는 기울기의 절대치가 소정치보다도 큰 경우에, 상기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되기 전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치를 감시하는 주기는, 상기 퍼프 구간의 개시가 검출된 후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치를 감시하는 주기보다도 짧고,
    상기 퍼프 구간의 종료가 검출된 후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치를 감시하는 주기는, 상기 퍼프 구간의 종료가 검출되기 전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치를 감시하는 주기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3. 제1항에 있어서,
    Δt는,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치를 감시하는 주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D(n)는, 시간 t(n)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α(n)은, 정의 정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D(n-α(n))는, 시간 t(n)보다도 α(n)×Δt 만큼 전에 감시된 센서의 출력치를 나타내고,
    S(n)는, 시간 t(n)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S(n)={D(n)-D(n-α(n))}/(α(n)×Δt)에 의해,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를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연속하는 m회(m은 2 이상의 정수)의 S(n)에 대해서, S(n)이 상기 소정 부호의 값이며, 또한, S(n)의 절대치가 제1의 값보다도 큰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상기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판정할 때에 참조되는 상기 출력치의 샘플링 주기는, 소정 시간보다도 길고,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퍼프 구간에 있어서 변동하는 상기 출력치의 파장의 평균치의 1/2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속하는 m회의 S(n)에 있어서, S(n)이 상기 소정 부호의 값이고, 또한 S(n)의 절대치가 상기 제1의 값보다도 큰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또한 상기 연속하는 m회의 S(n) 중에서 적어도 1회의 S(n)에 대해서, S(n)이 상기 소정 부호의 값이며, 또한, S(n)의 절대치가 상기 제1의 값보다도 큰 제2의 값보다도 작은 조건이 만족되어진 경우에, 상기 퍼프 구간의 개시 또는 종료를 검출하고,
    상기 제2의 값은, 상기 퍼프 구간에 있어서 변동하는 상기 출력치에 의해 구성되는 기울기의 절대치의 평균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콘덴서 마이크로폰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센서에 대한 전원 출력의 공급을 개시 및 정지하기 위한 스위치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KR1020167030256A 2014-05-02 2015-04-30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KR101915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95164 2014-05-02
JP2014095164 2014-05-02
PCT/JP2015/063040 WO2015167001A1 (ja) 2014-05-02 2015-04-30 非燃焼型香味吸引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023A KR20160139023A (ko) 2016-12-06
KR101915872B1 true KR101915872B1 (ko) 2018-11-06

Family

ID=543587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256A KR101915872B1 (ko) 2014-05-02 2015-04-30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KR1020167031311A KR101907769B1 (ko) 2014-05-02 2015-04-30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311A KR101907769B1 (ko) 2014-05-02 2015-04-30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0609956B2 (ko)
EP (2) EP3138422B1 (ko)
JP (2) JP6272464B2 (ko)
KR (2) KR101915872B1 (ko)
CN (2) CN106455709B (ko)
CA (2) CA2947272C (ko)
EA (2) EA029888B1 (ko)
MY (2) MY189739A (ko)
TW (2) TWI584746B (ko)
WO (2) WO2015167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4793B2 (en) 2005-07-19 2019-04-02 Juul Labs, Inc. Devices for vaporization of a substance
US10279934B2 (en) 2013-03-15 2019-05-07 Juul Labs, Inc. Fillable vaporizer cartridge and method of filling
USD842536S1 (en) 2016-07-28 2019-03-05 Juul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US10159282B2 (en) 2013-12-23 2018-12-25 Juul Labs, Inc. Cartridge for use with a vaporizer device
US10058129B2 (en) 2013-12-23 2018-08-28 Juul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20160366947A1 (en) 2013-12-23 2016-12-22 James Monsees Vaporizer apparatus
CA3132323C (en) 2013-12-23 2023-02-07 Juul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0076139B2 (en) 2013-12-23 2018-09-18 Juul Labs, Inc. Vaporizer apparatus
USD825102S1 (en) 2016-07-28 2018-08-07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with cartridge
CN112155255A (zh) 2014-12-05 2021-01-01 尤尔实验室有限公司 校正剂量控制
WO2016091658A1 (en) * 2014-12-11 2016-06-16 Philip Morris Products S.A. Inhaling device with user recognition based on inhalation behaviour
EP3272382B1 (en) * 2015-04-30 2020-09-02 Japan Tobacco Inc. Non-combustion type flavor inhaler
US9943111B2 (en) * 2015-08-31 2018-04-17 Lunatech, Llc Methods and systems for vapor cooling
US9936737B2 (en) * 2015-10-28 2018-04-10 Lunatech,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 dual function vapor device
US9936738B2 (en) * 2015-11-17 2018-04-10 Lunatech, Llc Methods and systems for smooth vapor delivery
WO2017087612A1 (en) * 2015-11-17 2017-05-26 John Cameron Portable wireless electronic vapor device
US9943116B2 (en) * 2015-11-17 2018-04-17 Lunatech, Llc Electronic vapor device warning system
UA125687C2 (uk) 2016-02-11 2022-05-18 Джуул Лебз, Інк. Заповнювальний картридж випарного пристрою та способи його заповнення
WO2017139675A1 (en) 2016-02-11 2017-08-17 Pax Labs, Inc. Securely attaching cartridges for vaporizer devices
US10405582B2 (en) 2016-03-10 2019-09-10 Pax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with lip sensing
MX2018014354A (es) * 2016-05-25 2019-04-11 Juul Labs Inc Control de vaporizador electronico.
USD849996S1 (en) 2016-06-16 2019-05-28 Pax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USD851830S1 (en) 2016-06-23 2019-06-18 Pax Labs, Inc. Combined vaporizer tamp and pick tool
USD836541S1 (en) 2016-06-23 2018-12-25 Pax Labs, Inc. Charging device
GB201614478D0 (en) * 2016-08-25 2016-10-12 Nicoventures Holdings Ltd Control circuit for a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15601D0 (en) * 2016-09-14 2016-10-2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Receptacle section
GB201615603D0 (en) 2016-09-14 2016-10-2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Receptacle section
EP3520633A4 (en) * 2016-10-05 2020-05-27 Japan Tobacco Inc. FLAVOR INHALER AND ATOMIZATION UNIT
CN110121275A (zh) * 2016-12-30 2019-08-13 Jt国际公司 电操作的气溶胶生成系统
JP7066745B2 (ja) * 2016-12-30 2022-05-13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電気式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CN110446435B (zh) * 2017-01-24 2023-07-11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吸引装置和使其进行动作的方法及程序
CN109068731B (zh) 2017-03-06 2020-02-07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电池组件、香味吸入器、控制电池组件的方法以及存储介质
EP3586654B1 (en) 2017-03-06 2022-11-02 Japan Tobacco Inc. Battery unit for flavor aspirator
CN109068736B (zh) 2017-03-06 2021-12-21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电池组件、香味吸入器、控制电池组件的方法、及记录介质
CN110430767B (zh) * 2017-03-13 2022-09-20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吸烟系统、供电控制方法、程序、初级装置以及次级装置
CN110418582B (zh) * 2017-04-24 2022-06-14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气溶胶生成装置以及气溶胶生成装置的控制方法及程序
USD887632S1 (en) 2017-09-14 2020-06-16 Pax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US11039645B2 (en) * 2017-09-19 2021-06-22 Rai Strategic Holdings, Inc.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CA3079164C (en) * 2017-10-18 2022-11-01 Japan Tobacco Inc. Inhalation component genera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nhalation component generation device, and program
GB201717496D0 (en) 2017-10-24 2017-12-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 cartridge for an aerosol provision device
GB201717498D0 (en) 2017-10-24 2017-12-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GB201717497D0 (en) * 2017-10-24 2017-12-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 mouthpiece assembly
WO2019146061A1 (ja) * 2018-01-26 2019-08-0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並びにこれ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766938B (zh) * 2018-01-26 2022-06-11 日商日本煙草產業股份有限公司 霧氣生成裝置以及使該裝置動作之方法和電腦程式產品
GB201805263D0 (en) * 2018-03-29 2018-05-16 Nicoventures Trading Ltd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 from an aerosolisable medium, an article of aerosolisable medium and a method of operating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WO2020006109A1 (en) * 2018-06-26 2020-01-02 Juul Lab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essation of nicotine addiction
JP6577106B2 (ja) * 2018-09-07 2019-09-1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ユニット
KR102442184B1 (ko) * 2018-09-12 2022-09-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다단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03851B1 (ko) * 2018-11-12 2021-01-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WO2020142004A1 (en) * 2018-12-31 2020-07-09 Ysq International Pte. Ltd. Tobacco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9730363A (zh) * 2019-02-25 2019-05-10 黄桂花 可添加雾化剂的加热不燃烧电子烟
US11497254B1 (en) * 2019-03-11 2022-11-15 Rasheed Ali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n electronic vaping delivery unit
MY195506A (en) * 2019-04-25 2023-01-2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Protected Air Inlet
CN110179163B (zh) * 2019-06-11 2023-03-14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子烟的控制方法及电子烟
WO2021002392A1 (ja) * 2019-07-03 2021-01-0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装置の電源ユニットを動作させる方法、吸引装置の電源ユニット、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CA192725S (en) 2019-08-01 2022-04-07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325372B1 (ko) * 2020-01-15 2021-11-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4167785A1 (en) * 2020-06-18 2023-04-26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on device user authentication
KR102558568B1 (ko) * 2020-07-08 2023-07-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4199763A1 (en) * 2020-08-21 2023-06-28 JT International S.A. Operation method of an aerosol generation assembly, related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on assembly
USD985187S1 (en) 2021-01-08 2023-05-02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generator
USD984730S1 (en) 2021-07-08 2023-04-25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gener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4456A1 (en) 2011-09-06 2013-03-1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Heating smokable material
JP2013526834A (ja) 2009-09-18 2013-06-27 スマート チップ 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ック シーオー.リミテッド 電子スモーク
US20130284192A1 (en) 2012-04-25 2013-10-31 Eyal Peleg Electronic cigarette with communication enhancement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4886A (en) * 1991-04-16 1992-08-04 Ball Kenneth H Capacitive pressure transducer for use in respirator apparatus
JP3462904B2 (ja) * 1994-07-13 2003-11-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針状超音波探触子
AR002035A1 (es) * 1995-04-20 1998-01-07 Philip Morris Prod Un cigarrillo, un cigarrillo y encendedor adaptados para cooperar entre si, un metodo para mejorar la entrega de aerosol de un cigarrillo, un material continuo de tabaco, un cigarrillo operativo, un metodo para manufacturar un material continuo, el material asi obtenido, un calentador, un metodo para formar un calentador y un sistema electrico para fumar
US6615840B1 (en) * 2002-02-15 2003-09-09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 smoking system and method
US20050172976A1 (en) * 2002-10-31 2005-08-11 Newman Deborah J. Electrically heated cigarette including controlled-release flavoring
US7726320B2 (en) 2006-10-18 2010-06-0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containing smoking article
AT507187B1 (de) * 2008-10-23 2010-03-15 Helmut Dr Buchberger Inhalator
CN201683029U (zh) * 2009-04-15 2010-12-29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采用电容供电的加热雾化电子烟
JP5582803B2 (ja) * 2010-01-27 2014-09-0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5474719B2 (ja) 2010-09-28 2014-04-16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防振ゴム部材
EP2460423A1 (en) 2010-12-03 2012-06-06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aerosol generating system having improved heater control
US20120199146A1 (en) 2011-02-09 2012-08-09 Bill Marangos Electronic cigarette
ES2745204T3 (es) * 2011-08-04 2020-02-28 Fontem Holdings 1 Bv Cigarrillo electrónico
TWI546023B (zh) * 2011-10-27 2016-08-2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具有氣溶膠生產控制之電操作氣溶膠產生系統
US11517042B2 (en) * 2012-04-25 2022-12-06 Altria Client Services Llc Digital marketing applica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 users
PT2892370T (pt) * 2012-09-10 2017-02-10 Ght Global Heating Tech Ag Dispositivo para vaporizar líquido para inalação
CN103404969A (zh) * 2012-10-05 2013-11-27 佛山市新芯微电子有限公司 电子烟装置
US9854841B2 (en) * 2012-10-08 2018-01-02 Rai Strategic Holdings, Inc.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method
RU2666100C2 (ru) 2013-03-15 2018-09-05 Олтриа Клайент Сервисиз Ллк Электронное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GB2519101A (en) * 2013-10-09 2015-04-15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CN103948177A (zh) 2014-04-16 2014-07-30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具有指纹识别功能的电子吸烟装置及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6834A (ja) 2009-09-18 2013-06-27 スマート チップ 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ック シーオー.リミテッド 電子スモーク
WO2013034456A1 (en) 2011-09-06 2013-03-1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Heating smokable material
US20130284192A1 (en) 2012-04-25 2013-10-31 Eyal Peleg Electronic cigarette with communication enhanc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023A (ko) 2016-12-06
KR20160145089A (ko) 2016-12-19
CN106231935A (zh) 2016-12-14
JP6175561B2 (ja) 2017-08-02
EP3138422B1 (en) 2019-10-02
MY189739A (en) 2022-02-28
CA2947272C (en) 2018-10-30
EA201692210A1 (ru) 2017-03-31
WO2015167001A1 (ja) 2015-11-05
US10368583B2 (en) 2019-08-06
MY178983A (en) 2020-10-26
JP6272464B2 (ja) 2018-01-31
TW201545671A (zh) 2015-12-16
CA2947272A1 (en) 2015-11-05
JPWO2015167000A1 (ja) 2017-04-20
EP3138423A1 (en) 2017-03-08
CN106455709B (zh) 2019-08-20
EP3138422A1 (en) 2017-03-08
KR101907769B1 (ko) 2018-10-12
CN106455709A (zh) 2017-02-22
CN106231935B (zh) 2019-03-08
EA029888B1 (ru) 2018-05-31
TW201603722A (zh) 2016-02-01
EA201692209A1 (ru) 2017-03-31
EP3138422A4 (en) 2018-01-17
CA2947261C (en) 2019-01-15
US20170042252A1 (en) 2017-02-16
TWI595841B (zh) 2017-08-21
US20170042250A1 (en) 2017-02-16
EP3138423B1 (en) 2020-01-01
CA2947261A1 (en) 2015-11-05
JPWO2015167001A1 (ja) 2017-04-20
TWI584746B (zh) 2017-06-01
WO2015167000A1 (ja) 2015-11-05
US10609956B2 (en) 2020-04-07
EP3138423A4 (en) 2018-01-17
EA030936B1 (ru)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872B1 (ko)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JP6869321B2 (ja) 非燃焼型香味吸引器
KR101888281B1 (ko) 비 연소형 향미 흡인기
JP6543334B2 (ja) 非燃焼型香味吸引器
KR101837885B1 (ko)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컴퓨터 읽기 가능 매체
TWI674072B (zh) 非燃燒型香味吸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