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525B1 - 롤러 차양 시스템 - Google Patents

롤러 차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525B1
KR101972525B1 KR1020120050951A KR20120050951A KR101972525B1 KR 101972525 B1 KR101972525 B1 KR 101972525B1 KR 1020120050951 A KR1020120050951 A KR 1020120050951A KR 20120050951 A KR20120050951 A KR 20120050951A KR 101972525 B1 KR101972525 B1 KR 101972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main
fabric sheet
sections
main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331A (ko
Inventor
하리 바인브렌너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20127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4Draw bars, including elements attached to it, e.g. sliding shoes, gripping elements or pull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5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 B60J1/208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for rea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1. 차량(10)을 위한 롤러 차양 시스템(20)이 개시된다.
2.1 본 발명은 특히 차량(10)의 후방 윈도우(12)에서 그늘을 제공하기 위한, 차량용 롤러 차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적재 상태와 기능 상태 사이에서 당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유연성 직물 시트(24)를 가지고, 직물 시트의 말단 단부에 제공된 당김 프로파일(40); 및, 기능 상태에 있을 때 직물 시트(24)의 양쪽 측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평행(非平行)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안내 레일(30);을 구비하고, 당기 프로파일(40)은 반대편 단부들에 있는 2 개의 미끄럼 부재(45)들을 포함하고, 미끄럼 섹션들 각각은 하나의 안내 레일(30)과 맞물리고, 당김 프로파일(40)은 적재 상태에 있을 때 당김 방향으로 향하는 덮개면(46a,46b)을 포함하고, 덮개 면은 직물 시트(24)의 유출 슬롯(16a)을 덮고, 당김 프로파일(40)은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당김 프로파일은 직물 시트(24)의 말단 단부에 접합된 주 구획부(42) 및 안내부에 의해 당김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주 구획부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2 개의 가동 단부 구획부(44)들을 포함하고, 덮개 면(46a, 46b)은 주 구획부(42)상의 메인 섹션(46a) 및 단부 구획부(44)상의 측부 섹션(46b)들을 포함한다.
2.2 본 발명에 따라서, 당김 프로파일(40)의 길이가 감소될 때 덮개면(46a,46b)의 측부 섹션(46b)은 주 구획부(42)에 의해 감싸인 수용 포켓(42a) 안으로 진입한다.

Description

롤러 차양 시스템{Roller blind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롤러 차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후방 윈도우에서 차양을 제공하기 위한 롤러 차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일반적인 롤러 차양 시스템은 유연성 직물 시이트를 포함하는데, 유연성 직물 시이트는 윈도우를 덮으려는 목적을 위한 것으로서 적재 상태와 기능 상태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직물 시이트의 말단 단부에 당김 프로파일 및 2 개의 안내 레일들을 포함하는데, 안내 레일들은 기능 상태에 있을 때 직물 시이트의 양쪽 측부들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지 않다. 안내 레일들을 따른 안내된 움직임의 목적을 위하여, 당김 프로파일은 반대편 단부들에 2 개의 미끄럼 부재들을 포함하고, 그들 각각은 안내 레일들중 하나와 맞물림으로써, 직물 시트를 제어된 방식으로 기능 위치로 움직이기 위하여 당김 프로파일이 안내 레일들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다. 당김 프로파일은 덮개면을 더 포함하는데, 덮개면은 적재 위치에 있을 때 당김 방향으로 지향되고 직물 시트의 유출 슬롯을 덮는 역할을 한다.
당김 프로파일은 그것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직물 시트의 말단 단부에 접합된 주 구획부 및, 2 개의 단부 구획부들을 포함하는데, 단부 구획부들은 당김 방향에 직각으로 안내 유닛에 의해 메인 섹션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덮개면은 주 구획부상의 메인 섹션 및 단부 구획부상의 측부 섹션으로 함께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유형의 롤러 차양 시스템은 종래 기술에서 알려져 있다. 이들은 특히 차량에서 이용되는데, 후방 윈도우의 영역에 그늘을 제공하기 위하여 후방 윈드스크린의 영역에서 특히 이용된다. 후방 윈드스크린(rear windscreen)이 종종 대략 사다리꼴의 형태를 가진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당김 프로파일이 따라가면서 움직일 수 있는 안내 레일들은 대부분의 경우에 그들이 당김의 방향에서 서로 접근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안내 레일들과 맞물리는 미끄럼 부재들 사이의 거리는 당김 프로파일이 안내 레일들을 따라서 움직일 때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당김 프로파일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2 개의 부분적인 섹션들로 구성된다. 미끄럼 부재들을 포함하는 2 개의 단부 구획부들은 당김 방향에 횡방향으로 중앙의 메인 섹션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어서, 당김 프로파일의 전체적인 길이는 안내 레일들의 위치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일반적인 롤러 차양 시스템은 예를 들면 유럽 출원 EP 1736335 A2 에 공지되어 있다. 롤러 차양 시스템의 롤러 샤프트는 여기에서 소품 선반(parcel shelf)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직물 시트가 차량의 내부로 통과하게 되는 유출 슬롯에 의해 소품 선반이 간섭을 받는다. 유출 슬롯이 차량 내부로부터 또는 후방 윈도우를 통하여 바라보이는 외부로부터 더 이상 보이지 않는 방식으로, 롤러 차양 시스템이 적재되어 있을 때, 차량 내부를 향하는 당김 프로파일상의 덮개면들은 미관상의 이유로 유출 슬롯을 덮는 목적을 가진다.
유럽 출원 EP 17 36 335 A2 에서 설명된 상기 시스템의 경우에, 덮개면의 측부 섹션들을 형성하는 단부 구획부들은 주 구획부보다 큰 단면을 가진다. 차양이 기능 상태에 있을 때 통상적으로 발생되는, 당김 프로파일이 짧아진 상태에 있을 때, 그것은 주 구획부상으로 밀리게 된다. 롤러 차양 시스템이 적재된 상태에 있을 때 소망의 덮는 효과는 이들 단부 구획부들이 밀려진 상태로써 만족스럽게 달성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능 상태와 관련해서는 그것이 불리하다. 그러므로, 당김 프로파일이 루프 라이너(roof liner)의 영역에 위치되는 기능 상태에서, 루프 라이너가 전체적으로 평탄할지라도, 주 구획부의 영역에 있는 작은 단면은 빛에 대하여 개방된 간극을 남기며, 이것은 불리하게 느껴진다. 이러한 문제는 루프 라이너가 만곡될 때 더욱 두드러진다. 만곡된 루프 라이너에서는 연장 방향에서 만곡된 측부 가장자리를 가지도록 메인 섹션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롤러 차양 시스템이 공지된 일반적인 구성을 가진다면, 그러한 만곡은 주 구획부의 반대편 단부들에 대하여 전체로 연장될 수 없는데, 왜냐하면 단부 영역들에서 단부 구획부들이 주 구획부상으로 밀리도록 하기 위하여 대략 일정한 단면을 나타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 상태에 있을 때와 기능 상태에 있을 때 양쪽에서 종래 기술에 비해 미관 및 기능면에서 장점이 있는 일반적인 유형의 롤러 차양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덮개면의 측부 섹션들은 당김 프로파일의 길이가 감소될 때 덮개면의 측부 섹션들이 주 구획부로 둘러싸인 수용 포켓 안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단부 구획부들 또는 그들에 의해서 형성된 적어도 덮개면은, 당김 프로파일이 짧아질 때 주 구획부상으로 밀려들지 않지만, 주 구획부의 안으로 밀리도록 구성된다.
주 구획부상의 메인 섹션 및 단부 구획부상의 측부 섹션에 의해서 함께 구성된 덮개면은 당김 프로파일의 길이가 변화될 때 측부 섹션들의 가시적인 부분이 감소되는 것으로서 덮개면의 표면을 변화시키며, 왜냐하면 가시적인 부분이 주 구획부 안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주 구획부에 의해 형성된 덮개면의 메인 섹션은 변화되지 않고 유지되며, 완전하게 보인다.
결과적으로, 주 구획부 및 단부 구획부로 구성된 당김 프로파일의 다수 부품 구성은 적재 상태 및 기능 상태에서 똑같이 드러나지 않으며, 왜냐하면 기능 상태에서 늘 발견되는 바로서, 짧아진 당김 프로파일의 경우에, 단부 구획부들이 부분적으로, 그리고 바람직스럽게는 거의 완전히 주 구획부 안으로 움직이고, 따라서 거의 보이지 않게 된다. 주 구획부의 길이와 비교하여, 단부 구획부들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다. 바람직스럽게는 단부 구획부들 각각이 당김 프로파일의 전체 길이의 20 % 미만이고, 특히 10 % 미만을 구성하며, 여기에서 그 숫자는 당김 프로파일의 최대로 연장된 길이에서 보이는 덮개면의 부분에 관한 것이다.
적재된 상태에서, 최소 길이 연장과 비교하면 당김 프로파일은 길어진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부 구획부들은 메인 섹션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퇴됨으로써, 주 구획부로부터 후퇴된 단부 구획부상의 측부 섹션들 및, 주 구획부상의 메인 섹션에 의해 가시적인 덮개면(visible covering face)이 형성된다.
덮개면은 여기에서 적재 상태에 있을 때 덮개면이 유출 슬롯을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감추는 목적을 주로 가지는데, 직물 시트는 유출 슬롯을 통하여 차량의 내부로 드러나므로, 유출 슬롯은 특히 미관상 불리한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유출 슬롯을 덮는 것은 차량의 화물 공간과 차량의 내부 사이의 소음 절연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메인 섹션의 영역 및 측부 섹션의 영역 양쪽에서, 덮개면은 그것이 연장되는 주 방향을 가로지르는 평균 폭으로서, 바람직스럽게는 적어도 2 cm, 특히 바람직스럽게는 적어도 3 cm 를 가진다. 이러한 폭은 항상 오직 수 밀리미터의 폭인 유출 슬롯이 신뢰성 있게 덮히는 것을 보장한다. 덮개면이 유출 슬롯을 직접적으로 덮을 필요는 없다. 덮개면은 유출 슬롯이 위치된 베이스에서 함몰부(depression)를 덮을 수 있다. 또한 덮개가 유출 슬롯을 통과할 수 없는 방식으로 덮개가 유출 슬롯에 맞춰지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측부 구획부들이 주 구획부 안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덮개면의 측부 섹션들이 덮개면의 메인 섹션과 정확하게 같은 높이로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덮개면의 메인 섹션 및 측부 섹션들은 서로에 대하여 적어도 대부분이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한편으로는 측부 섹션에 대하여 법선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메인 섹션에 대하여 법선인 벡터들이 서로로부터 10°보다 크게 발산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차양 시스템에 존재하는 직물 시트가 바람직스럽게는 적재 상태에 있을 때 권취 샤프트상으로 감겨서, 당김 프로파일을 당김으로써 직물 시트가 권취 샤프트로부터 풀릴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적재된 직물 시트의 다른 구성들이 고려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콘서티나(concertina)와 같은 직물 시트를 접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덮개면의 측부 섹션 또는 전체적인 단부 구획부들이 당김 프로파일의 아래로 개방된 수용 포켓 안에서 주 구획부 안으로 삽입되는 것이 원칙적으로 가능한데, 왜냐하면 만약 수용 포켓이 상부에서 주 구획부에 의해 폐쇄되어 있기만 한다면 본 발명의 의미에서 주 구획부에 의해 수용 포켓의 엔크로져(enclosure)가 주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 구획부 안으로 삽입되는 각각의 단부 구획부의 부재가 주 구획부에 의해 완전하게 감싸이도록, 수용 포켓의 영역에서 주 구획부의 단면이 완전히 폐쇄된다면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당김 프로파일의 다수 부품 구성이 특히 잘 감춰진다. 당김 프로파일이 가장 짧은 길이를 가지는 상태에서, 단부 구획부들은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눈에 보이지 않게 감춰진다. 이러한 유형의 폐쇄된 단면은 당김 프로파일에 더 큰 안정성을 부여한다.
유럽 출원 EP 1736 335 A2 에 따른 설계에서 이미 사용된 바와 같이, 단부 구획부들은 주 구획부에 대하여 미끄럼 안내부들에 의해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따라서 서로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안내 표면들이 단부 구획부들 및 주 구획부상에 제공됨으로써, 단부 구획부들과 주 구획부 사이에 상대적인 선형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한다. 만약, 덮개면의 측부 섹션들이 수용 포켓 안으로 삽입되었을 때 주 구획부와 물리적인 접촉을 하지 않도록, 안내부들이 덮개면의 측부 섹션들로부터 분리되게 구성된다면 특히 유리하다. 측부 섹션들이 있는 단부들에서, 덮개면이 측부 섹션들에 대한 안내부상에 위치되지 않는다면 결과적으로 유리하다. 대신에, 덮개면과 같은 방향, 특히 상방향으로 향하는 안내 표면이 제공되는데, 그것은 소망되는 바와 같이 주 구획부와 물리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방식으로, 측부 섹션들이 있는 단부에서 덮개면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따라서 단부 구획부상에 제공된 덮개면의 측부 섹션들은 주 구획부에 대한 단부 구획부의 안내 작용에 관련되지 않는다. 그것이 당김 방향을 향하여 안내 표면으로서 작용하는 단부 구획부들 상의 다른 표면을 제공할 필요성과 관련된다는 점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은 단부 구획부를 주 구획부로 삽입하거나 또는 주 구획부로부터 후퇴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그러한 삽입 및 후퇴는 덮개면의 측부 섹션들상에 미관상 좋지 않은 긁힘 자국을 남긴다. 흔들렸을 때 측부 섹션들과 메인 섹션 사이에 소망스럽지 않은 물리적 접촉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신뢰성 있게 보장하기 위하여, 측부 섹션들을 향하여 내측으로 면하는 주 구획부의 수용 포켓의 벽과 측부 섹션들 사이의 거리가 바람직스럽게는 적어도 0.3 mm 이고, 특히 적어도 0.6 mm 이다.
특히, 만약 주 구획부가 중앙으로부터 측부들로 테이퍼지는 형태를 가진다면 유리하다. 이러한 테이퍼 형태는 주 구획부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를 따라서 제공되는데, 길이 방향 가장자리는 후방 윈드스크린 롤러 차양의 경우에, 차량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반대편 측에 있는 길이 방향 가장자리의 형태가 유리하게는 대부분 직선이다. 당김 프로파일이 대략 루프 라이너의 영역에 위치되는 경우에 직물 시트가 기능 상태에 있을 때, 만곡된 길이 방향 가장자리는 당김 프로파일이 루프 라이너까지 움직이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그것이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가 되게 하여, 차량의 내부로 빛이 들어오는 것이 가능한 한 방지된다. 자체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만곡되는 형태는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라서 단부 구획부들을 주 구획부 안으로 삽입하기 때문에, 주 구획부의 외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될 수 있고, 따라서, 직물 시트가 기능 상태에 있을 때, 당김 프로파일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측부들로 테이퍼지는 그러한 종류의 주 구획부가 사용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단부 구획부의 삽입이 상당히 유리하다.
롤러 차양 시스템이 바람직스럽게는 상기에 언급된 유출 슬롯이 제공된 덮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직물 시트가 적재 상태로부터 기능 상태로 움직일 때 직물 시트는 유출 슬롯을 통하여 당겨진다. 그러한 유출 슬롯은 주 구획부의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를 가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덮개면의 단부 구획부들이 연장될 때 유출 슬롯은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당김 프로파일에 의해 덮힌다. 사실상 덮히지 않을 수 있는 유출 슬롯의 단부들의 그 어떤 부분도 15 mm 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상기 덮개 패널이 바람직스럽게는 차량의 후방 시트 뒤에 위치된 소품 선반을 가지는데, 소품 선반은 대략 수평으로 지향된다. 유출 슬롯은 직물 시트가 적재되는 때에 당김 프로파일이 위치되는 함몰부(depression)의 베이스에 위치될 수 있어서, 적재 위치에서 대략 평탄한 표면이 형성되는데, 그 평탄한 표면이 부분적으로는 덮개 패널 및 부분적으로는 당김 프로파일의 덮개면으로 이루어진다.
권취 샤프트가 바람직스럽게는 덮개 패널의 아래에 위치되며, 적재 상태에 있을 때 권취 샤프트상으로 직물 시트가 감긴다. 직물 시트 자체는 안내 레일들의 평행하지 않은 정렬 상태 및 후방 윈드스크린의 형상에 상기 방식으로 맞춰지기 위하여 부등변 사각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본 발명은 또한 롤러 차양 시스템을 가진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후방 윈도우에서 그늘을 제공하기 위한 롤러 차양 시스템을 가진 차량에 관한 것이다. 롤러 차양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차량용 롤러 차양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서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나타날 것이며, 이것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 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차양 시스템의 적재 상태 및 기능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도 1 의 롤러 차양 시스템의 당김 프로파일의 단부 영역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롤러 차양 시스템의 당김 프로파일의 전체적인 도면이다.
도 4 는 당김 프로파일의 단부 영역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롤러 블라인드 시스템의 당김 프로파일을 통한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 는 차량(10)의 후방 영역을 도시하며, 후방 차량 좌석(14) 및 그 뒤에 위치된 소품 선반(16)의 영역에 대한 후방 윈도우(12)를 통한 모습을 제공한다.
롤러 차양 시스템(20)이 후방 윈도우(12)에서 그늘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롤러 차양 시스템(20)은 회전 베어링상에서 소품 선반(16) 아래에 위치된 권취 샤프트(22)를 포함하며, 도 1 에 도시된 적재 상태(stowed condition)에서, 예를 들어 직물로 구성된 유연성 직물 시트(24)가 권취 샤프트에 감긴다. 직물 시트(24)는 도 1b 에 도시된 기능 상태에 도달하기 위하여 소품 선반에 제공된 출구 슬롯(16b)을 통하여 권취 샤프트(22)로부터 풀릴 수 있다.
도 1b 의 기능 상태로 움직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다리꼴 직물 시트(24)의 말단 단부에 당김 프로파일(pull-out profile, 40)이 제공된다. 당김 프로파일은, 도 1a 및 도 1b 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미끄럼 부재들에 의하여, 말단 단부(40a,40b)에서 안내 레일(30)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안내 레일(30)들은 차량(10)의 C 필라(pillar, 18)를 따라서 도 1b 에 도시된 기능 상태에 대하여 직물 시트의 양쪽에서 연장된다.
안내 레일(30)들은 만곡된 경로를 따른다. 하단부 영역에서, 안내 레일들은 거의 수직으로 정렬되는 반면에, 상단부 영역에서 안내 레일들은 거의 수평이다. 또한, 안내 레일(30)들은 상단부의 방향으로 작은 범위로 수렴된다. 따라서 안내 레일(30)들 서로로부터의 간격은 상단부에서보다 하단부에서 크다.
안내 레일들의 만곡의 결과로서, 당김 프로파일은 그것이 도 1a 의 적재 상태로부터 도 1b 의 기능 상태로 움직일 때 회전한다. 도 1a 의 적재 상태에 있을 때 위로 향하는 당김 프로파일(40)의 표면들은 기능 상태에 있을 때 차량의 길이 방향에서 전방을 향한다.
안내 레일(30)들은 서로 평행하지 않기 때문에, 당김 프로파일(40)은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주 구획부(main segment, 42) 및 2 개의 가동 단부 구획부(44)들을 포함하며, 가동 단부 구획부의 위치는 차량(2)의 횡단 방향에서 주 구획부에 대하여 변화될 수 있다. 롤러 차양 시스템(20)이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상태에 있을 때, 단부 구획부(44)들이 연장되는데, 단부 구획부(44)들은 주 구획부(42)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고, 안내 레일(30)에 대하여 안내를 제공하도록 미끄럼 부재들이 단부 구획부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당김 프로파일은 차량(2)의 횡방향에서 최대로 연장된다. 도 1b 에 도시된 기능 상태에서, 당김 프로파일(40)은 안내 레일(30)들을 따라서 최종적인 상부 위치로 움직이는데, 단부 구획부(44)들은 주 구획부(42) 안으로 거의 완전히 삽입됨으로써, 도 1b 에 도시된 그러한 상태에서는 당김 프로파일의 다수 부품의 구성(multi-part construction)을 거의 볼 수 없다.
도 1a 의 적재 상태에서, 당김 프로파일의 덮개면(46a,46b)은 거의 완전히 출구 슬롯(16a)을 덮는다. 그러한 덮개면(46a,46b)은 주 구획부(42)상에 제공된 메인 섹션(main section, 46a)을 포함한다. 그것은 또한 단부 구획부(44)상에 제공된 측부 섹션(side section, 46b)을 포함한다. 덮개면의 이들 섹션(46a,46b)들은 함께 미관상 선호되는 방식으로 출구 슬롯(16a)을 감춘다. 롤러 블라인드 시스템이 도 1a 의 적재 조건에 있을 때, 그것의 존재는 소품 선반(16)을 가까이에서 검사할 때만 알 수 있을 뿐이다.
도 1b 의 기능 상태에서, 위에서 이미 설명된 방식으로, 단부 구획부(44)들은 거의 완전히 주 구획부(42)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당김 프로파일(40)이 다수의 부분들로 형성된 것을 거의 알 수 없다. 주 구획부의 덮개면(46a)은 길이 방향 가장자리를 따라서 외측으로 굽혀짐으로써, 그것은 차량의 루프 라이너(roof liner)와 거의 같은 높이로 놓인다. 따라서 빛이 통과될 수 있는 잔류 간극(19)은 매우 좁다.
도 2 는 당김 프로파일(40)의 일부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한다. 기능 상태에 있을 때 미끄럼 요소(45)들이 제공된 단부 구획부(44)들이 어떻게 주 구획부(42) 안으로 거의 완전히 삽입되는지를 점선을 통해 볼 수 있다. 단부 구획부(44)의 오직 짧은 섹션만이 주 구획부(42)로부터 여전히 돌출되는데, 단부 구획부(44)는 미끄럼 요소(45)를 유지하는 부착 구멍(44a)을 가지며, 미끄럼 요소는 도 2 에만 도시되어 있다.
당김 프로파일(40)의 구조는 도 3, 도 4 및 도 5 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여기에서 도 3 은 단부 구획부(44)들이 거의 완전히 주 구획부(42)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당김 프로파일의 전체를 도시한다.
도 5 에서 가장 상세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만약 주 구획부(42)를 전체적으로 단면으로 검사한다면, 도 1b 에 도시된 기능 상태로 도달하기 위하여 대응 단부 구획부(44)가 삽입되는 수용 포켓(42a)은 감싸여 있게 됨으로써, 그것이 관찰되는 각도에 무관하게, 단부 구획부(44)의 삽입된 섹션을 더 이상 볼 수 없다. 또한 차량(2)의 횡방향에서 주 구획부(42)에 대하여 단부 구획부(44)를 움직이는 성능은 단부 구획부(44) 및 주 구획부(42)에 있는 안내 표면(42c,44d)에 의해 만들어진다. 단부 구획부(44)의 안내 표면(44c)들은 여기에서 덮개면(46b)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된 단부 구획부들의 프로파일 섹션(44d)상에 제공된다. 덮개면(46)의 단부 섹션(46b)은 안내에 기여하지 않는다. 대신에 2 개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주 구획부(42)의 내측 벽(42d)으로부터 현저한 거리에 의도적으로 위치된다. 덮개면의 단부 섹션(46b) 대신에, 주 구획부(42)에 대한 단부 구획부(44)의 상대적인 수직 변위는 안내 표면(44e)에 의해 만들어진다.
덮개면(46b)의 단부 섹션은 주 구획부(42)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긁힘 표시 및 달가닥 거리는 소음이 회피된다. 덮개면의 단부 섹션(46b)과 주 구획부(42)의 내측 표면 사이의 거리는 이러한 경우에 대략 1 mm 이다.
도시된 롤러 차양 시스템의 여러가지 미관상의 장점이 있다. 도 1a 에 도시된 적재 상태 및 도 1b 에 도시된 기능 상태 쪽에서, 당김 프로파일(40)의 다수 부재 구조는 주목할만한 미관상의 장점에 이르게 된다. 또한 구성 방법은 바람직하지 않은 달가닥거림(rattle)이 발생되지 않게 한다.
10. 차량 12. 후방 윈도우
14. 후방 차량 시트 16. 소품 선반
20. 롤러 블라인드 시스템 22. 권취용 샤프트

Claims (9)

  1. 차량(10)의 후방 윈도우(12)을 가리기 위한, 차량(10)의 롤러 차양 시스템(20)으로서,
    적재 상태와 기능 상태 사이에서 당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유연성 직물 시트(24);
    직물 시트의 말단 단부에 제공된 당김 프로파일(40); 및,
    기능 상태에 있을 때 직물 시트(24)의 양쪽 측부에 위치하며, 서로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평행(非平行)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안내 레일(30);을 구비하고,
    당김 프로파일(40)은 그것의 단부들에서 서로 반대편에 있는 2 개의 미끄럼 섹션(45)들을 포함하고, 미끄럼 섹션들 각각은 안내 레일(30)과 맞물리고,
    당김 프로파일(40)은 적재 상태에 있을 때 당김 방향으로 지향되는 덮개면(46a,46b)을 포함하고, 덮개 면은 직물 시트(24)의 유출 슬롯(16a)을 덮고,
    당김 프로파일(40)은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당김 프로파일은 직물 시트(24)의 말단 단부에 접합된 주 구획부(42) 및 안내부에 의해 당김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주 구획부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2 개의 단부 구획부(44)들을 포함하고, 덮개 면(46a, 46b)은 주 구획부(42)상의 메인 섹션(46a) 및 단부 구획부(44)상의 측부 섹션(46b)을 포함하고,
    당김 프로파일(40)의 길이가 감소될 때 덮개면(46a,46b)의 측부 섹션(46b)은 주 구획부(42)에 의해 감싸인 수용 포켓(42a) 안으로 진입하고,
    덮개면(46a, 46b)의 측부 섹션(46b)들이 수용 포켓(42a) 안에 삽입될 때 주 구획부(42)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주 구획부에 대하여 단부 구획부들을 안내하는 안내부(44c,44e,42c)는 측부 섹션(46b)으로부터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차양 시스템(20).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 포켓(42a)의 영역에서, 주 구획부(42)의 단면은 수용 포켓(42a)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차양 시스템(20).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안내부(44c, 44e, 42c)들은 안내 표면(44e)을 포함하고, 안내 표면은 덮개면(46a,46b)의 측부 섹션(46b)과 같은 방향을 향하고, 주 구획부(42)와의 물리적인 접촉이 방지되도록 안내 표면은 측부 섹션들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차양 시스템(20).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주 구획부(42)는 중심으로부터 측부들을 향하여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차양 시스템(20).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덮개 패널(16)이 유출 슬롯(16a)을 구비하여, 직물 시트(24)가 적재 상태로부터 기능 상태로 이전될 때 유출 슬롯을 통해서 직물이 당겨지고, 유출 슬롯(16a)은 주 구획부(42)의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가지고, 단부 구획부(44)들이 연장될 때, 당김 프로파일(40)은 유출 슬롯(16a)을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덮개면(46a,46b)으로 덮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차양 시스템(20).
  7. 제 6 항에 있어서,
    롤러 차양 시스템(20)이 덮개 패널의 아래에 위치된 권취 샤프트(22)를 포함하고, 적어도 적재 상태에 있을 때의 크기로 직물 시트(24)가 권취 샤프트상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차양 시스템(20).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당김 프로파일(40)이 유출 슬롯(16a)을 통과할 수 없도록, 당김 프로파일(40) 및 유출 슬롯(16a)이 서로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차양 시스템(20).
  9. 차량(10)의 후방 윈도우(12)에서 그늘을 제공하기 위한, 롤러 차양 시스템(20)을 가진 차량(10)으로서,
    롤러 차양 시스템(20)은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라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0).
KR1020120050951A 2011-05-13 2012-05-14 롤러 차양 시스템 KR101972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75843.7 2011-05-13
DE201110075843 DE102011075843A1 (de) 2011-05-13 2011-05-13 Rollo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331A KR20120127331A (ko) 2012-11-21
KR101972525B1 true KR101972525B1 (ko) 2019-04-25

Family

ID=46177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951A KR101972525B1 (ko) 2011-05-13 2012-05-14 롤러 차양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05116B2 (ko)
EP (1) EP2522535B1 (ko)
KR (1) KR101972525B1 (ko)
CN (1) CN102785553B (ko)
DE (1) DE1020110758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0095B2 (en) * 2013-08-27 2016-05-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n shield device for windshield
DE102014215150A1 (de) 2014-08-01 2016-02-04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 transparentes Flächenteil eines Kraftfahrzeugs
DE102014215153B4 (de) 2014-08-01 2022-01-27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 transparentes Flächenteil eines Kraftfahrzeugs
DE102014215154A1 (de) * 2014-08-01 2016-02-04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 Heckscheiben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4218566A1 (de) * 2014-08-01 2016-02-04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 transparentes Flächenteil eines Kraftfahrzeugs
DE102016203382B4 (de) * 2016-03-02 2017-11-23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DE102017129328B4 (de) * 2017-12-08 2023-02-02 Roof Systems Germany Gmbh Sonnenschutzrollo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CN108556598B (zh) * 2018-05-18 2019-12-17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遮阳帘安装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6133A (en) 1998-04-06 2000-07-11 Alonso; Miguel Vehicle window shade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45130C (de) * 1954-05-04 1956-06-28 Happich Gmbh Gebr Befestigung von Blendrollos fuer Rueckwandfenster von Kraftfahrzeugen mittels Halteblechen
FR2646204B1 (fr) * 1989-04-19 1991-07-26 Farnier & Penin Store enrouleur notamment pour lunette arriere de vehicule et procede de fabrication
JPH0478628A (ja) * 1990-05-23 1992-03-12 Nhk Spring Co Ltd シート状物巻取装置
DE10057760B4 (de) * 2000-11-22 2004-08-12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Zentriereinrichtung für den Zugstab
DE102004020531B3 (de) * 2004-04-27 2005-09-22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justierbarer Zentrierung des Zugstabs
DE102005029559B4 (de) * 2005-06-23 2007-05-03 Bos Gmbh & Co. Kg Heckfensterrollo mit vollständiger Schlitzabdeckung durch das Auszugsprofil
DE102005052618A1 (de) * 2005-11-02 2007-05-03 Bos Gmbh & Co. Kg Heckfensterrollo ohne Restlichtspalt
DE102005062427A1 (de) * 2005-12-23 2007-07-05 Bos Gmbh & Co. Kg Rollo zur Vollbeschattung einer Heckscheibe
DE202007018180U1 (de) * 2007-11-27 2008-04-03 Bos Gmbh & Co. Kg Führungssystem für ein Fahrzeugrollo
JP5125838B2 (ja) * 2008-07-15 2013-01-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自動車用サンシェード装置
DE102010063450A1 (de) * 2010-12-17 2012-06-21 Bos Gmbh & Co. Kg Rollo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S20120186756A1 (en) * 2011-01-24 2012-07-26 Macauto Industrial Co., Ltd. Sunshade device for a rear window of a vehicle
US8215697B1 (en) * 2011-01-28 2012-07-10 Macauto Industrial Co., Ltd. Sunshading apparatus mountable on a rear window of a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6133A (en) 1998-04-06 2000-07-11 Alonso; Miguel Vehicle window shade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75843A1 (de) 2012-11-15
KR20120127331A (ko) 2012-11-21
US8905116B2 (en) 2014-12-09
US20120285638A1 (en) 2012-11-15
EP2522535A2 (de) 2012-11-14
CN102785553B (zh) 2016-03-02
CN102785553A (zh) 2012-11-21
EP2522535A3 (de) 2014-07-09
EP2522535B1 (de) 2016-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525B1 (ko) 롤러 차양 시스템
US7896057B2 (en) Roller blind for complete shading of a motor vehicle window
US9840134B2 (en) Sunshade assembly and open roof construction provided therewith
KR101473201B1 (ko) 삽입 보조기를 구비한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US8419119B2 (en) Sunshade device
US6874845B2 (en) Shade tarp as sun shield
US20100000692A1 (en) Device with a flexible curtain
JP2007223591A (ja) ウィンドウシェード及びハウジング
CN109747400B (zh) 机动车天窗用遮荫卷帘
US20130075049A1 (en) Venetian blind slats having a function of their left and right ends automatically aligned
US20170015179A1 (en)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CN109895610B (zh) 用于机动车天窗且尤其是滑顶系统的遮阳卷帘系统
JP2004099031A (ja) 自動車ウインドウのための日除け用ローラブラインド装置
US8800635B2 (en) Lateral guide for shading roller blind, and shading roller blind for motor vehicles
ES2304184T3 (es) Habitaculo de vehiculo automovil con un compartimento.
EP2628887B1 (en) Screen device
KR102529374B1 (ko) 차량용 도어커튼 장착구조
EP3162603A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US20130213585A1 (en) Profile for a bottom rail of a roller blind
US20230145201A1 (en) Shading Device and Vehicle Door
JP6724728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100666271B1 (ko) 다기능 카고 스크린 장치
CN118144514A (zh) 用于机动车的固定玻璃元件和机动车车顶
CN117067883A (zh) 卷帘装置和车辆顶部
CN116766899A (zh) 遮阳帘、卷帘装置以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