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737B1 - 표시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737B1
KR101971737B1 KR1020120139810A KR20120139810A KR101971737B1 KR 101971737 B1 KR101971737 B1 KR 101971737B1 KR 1020120139810 A KR1020120139810 A KR 1020120139810A KR 20120139810 A KR20120139810 A KR 20120139810A KR 101971737 B1 KR101971737 B1 KR 101971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button
light source
liquid crystal
back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697A (ko
Inventor
고지 후쿠다
마코토 야마오카
다쿠미 오타
마사히로 곤도
도시오 다무라
도모히사 가토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 가이샤 혼다 아쿠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 가이샤 혼다 아쿠세스 filed Critical 카부시키 가이샤 혼다 아쿠세스
Publication of KR20130064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과제] 인쇄된 버튼을 이용하여, 가능한 한 큰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인쇄필름(220)은 터치패널(200)의 유리기판(210)에 부착됨과 아울러, 액정 디스플레이(410)를 구성하는 베젤(430)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410)에서 실제의 표시에는 기여하지 않는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예를 들면 결정된 영역 내에서 보다 큰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DISPLAYING DEVICE AND NAVIGATION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와 터치패널을 구비한 표시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터치패널에 인쇄된 조작용의 버튼을 부착한 표시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에서 이용되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조작은, 통상, 액정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에 중첩하여 마련된 터치패널과, 표시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기계식의 조작버튼으로 행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계식의 조작버튼을 이용하는 것에 의한 폐해(弊害)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표시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표시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터치패널상에 인쇄된 조작버튼을 배치한 표시장치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6에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표시장치(1)는 백라이트(2)와, 백라이트(2)의 전방에 배치된 액정 디스플레이(3)와, 액정 디스플레이(3)의 전방에 배치된 터치패널(4)과, 터치패널(4)상에 인쇄된 인쇄필름(5)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인쇄필름(5)에는 조작버튼이 인쇄되어 있으며, 터치패널(4)과 인쇄필름(5)의 조작버튼에 의해서, 종래의 기계식의 조작버튼의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또, 도 6에서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백라이트(2)로부터의 출사광을 액정 디스플레이(3)와, 인쇄필름(5)의 조작버튼에 조사한다.
이 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필름(5)은 액정 디스플레이(3)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터치패널(4)에 인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표시장치는 사양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고정 기능의 조작버튼을 가지는 표시장치를 저비용으로 실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4422527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과 같은 표시장치(1)는 인쇄필름(5)이 액정 디스플레이(3)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게 되므로, 인쇄필름(5)을 위한 영역이 필요하게 되어 버린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3)의 주위에는 항상 인쇄필름(5)을 위한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통상, 차재(車載)용의 네비게이션 장치는 1DIN, 2DIN이라는 것과 같은 규격화된 영역에 장착되는 것이 많다. 그 때, 선행기술 1과 같은 구성이면, 규격화된 영역 내에서 액정 디스플레이를 최대화하려고 해도, 적어도 인쇄필름을 배치하는 영역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액정 디스플레이의 최대화에도 한계가 있다는 과제가 있다.
본원의 발명자는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검토를 거듭한 결과, 액정 디스플레이는 통상 액정패널과, 액정패널의 주변을 덮는 베젤(bezel)로 구성되어 있고, 이 액정 디스플레이와 배면 측에 배치되는 표시용 백라이트와,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면 측에 배치되는 터치패널과, 터치패널상에 배치되는 인쇄버튼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로서, 인쇄버튼을 터치패널상에서의 베젤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에 상도(想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인쇄된 버튼을 이용하여, 가능한 한 큰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주변을 덮는 베젤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 측에 배치된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상에 배치된 인쇄버튼을 구비한 표시장치로서, 상기 인쇄버튼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베젤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제1 형태에 관한 표시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터치패널과의 사이에는, 프레임 모양의 홀더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인쇄버튼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버튼용 백라이트가 상기 홀더의 상기 베젤과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제2 형태에 관한 표시장치로서, 상기 버튼용 백라이트는 버튼용 도광판과, 버튼용 광원과, 상기 버튼용 광원을 실장(實裝)하는 버튼용 실장기판으로 구성된 엣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이며, 상기 버튼용 광원은 탑-뷰(top-view) 방식의 LED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제1 형태에 관한 표시장치로서, 상기 표시패널은 기판상에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소스선이 매트릭스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상기 복수의 소스선에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쇄버튼은 상기 드라이버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5 형태는, 제1 형태에 관한 표시장치로서, 상기 터치패널의 전면 측에는 프레임 모양의 전(前)케이스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인쇄버튼과 대응하는 위치에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6 형태는, 제1 형태에 관한 표시장치로서, 상기 표시패널은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이 개재한 액정패널이고, 상기 액정패널로 이루어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 측에는 표시용 백라이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7 형태는, 제6 형태에 관한 표시장치로서, 상기 표시용 백라이트는 표시용 도광판과, 표시용 광원과, 상기 표시용 광원을 실장하는 표시용 실장기판으로 구성된 엣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이며, 상기 표시용 광원은 탑-뷰 방식의 LED 광원이고, 상기 인쇄버튼은 상기 표시용 광원과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8 형태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주변을 덮는 베젤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 측에 배치된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상에 배치된 인쇄버튼을 가지는 표시장치와, 네비게이션 수단을 구비한 네비게이션 장치로서, 상기 인쇄버튼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베젤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형태에 관한 발명에서는, 인쇄버튼이 표시패널의 주위를 덮는 베젤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에 기여하지 않는 영역을 인쇄버튼의 영역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결정된 영역 중에서 보다 큰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형태에 관한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와 터치패널과의 사이에 홀더를 배치하고, 이 홀더에 버튼용 백라이트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인쇄버튼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 베젤과 겹치는 위치에 버튼용 백라이트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에 기여하지 않는 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3 형태에 관한 발명에서는, 버튼용 백라이트를 버튼용 도광판과, 버튼용 광원과, 버튼용 실장기판으로 구성하고, 이 버튼용 광원을 탑-뷰 방식의 LED 광원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버튼용 도광판과 버튼용 실장기판과의 거리를 좁게 하여,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4 형태에 관한 발명에서는, 인쇄버튼과, 표시패널에 형성된 드라이버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디스플레이에서 베젤 폭이 가장 넓어지는 위치에 인쇄버튼이 위치하게 되므로, 보다 한층 큰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다.
제5 형태에 관한 발명에서는, 터치패널의 전면 측에 전케이스를 배치하고, 이 전케이스의 상면의 인쇄버튼과 대응하는 위치에 단차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인쇄버튼의 위치를 유저가 파악하기 쉬워짐으로써, 눈으로 보지 않아도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제6 형태에 관한 발명에서는, 표시패널은 액정패널이므로, 일반적인 표시패널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제7 형태에 관한 발명에서는, 표시용 백라이트를 표시용 도광판과, 표시용 광원과, 표시용 실장기판으로 구성하고, 이 표시용 광원을 탑-뷰 방식의 LED 광원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표시용 도광판과 표시용 실장기판과의 거리를 좁게 하여,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8 형태에 관한 발명에서는, 인쇄버튼이 표시패널의 주위를 덮는 베젤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에 기여하지 않는 영역을 인쇄버튼의 영역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결정된 영역 중에서 보다 큰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표시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액정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표시장치의 정면도와,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표시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표시장치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실시예 및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 표시장치에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서 정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표시장치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표시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설명을 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표시장치(10)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표시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표시장치(10)를 구성하는 액정모듈(4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의 (a)는 표시장치(10)의 정면도이고, 도 4의 (b)는 홀더(300)의 정면도이며, 도 5는 표시장치(10)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 4의 (a)의 A-A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표시장치(10)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장치(10)는 최표 측(유저 측)에서 전케이스(100), 터치패널(200), 홀더(300), 액정모듈(400)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전케이스(100)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이며, 표시영역과 입력영역을 겸하는 개구(110)를 형성하도록 4개의 케이스편(111, 112, 113, 114)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이다. 이 4개의 케이스편은 각각의 단면이 대략 역'L'자 모양으로 되어 있고, 상면 측에는 선단이 개구(110)로 향하는 차양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편(111, 112)은 장변 측을 구성하고, 케이스편(113, 114)은 단변 측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터치패널(200)은 전케이스(100)의 개구(110)보다도 크고, 또한 전케이스(100)의 프레임체 내에 수납되는 크기의 유리기판(21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기판(210)의 표면상에는 입력소자로서 기능하기 위한 전극이나 배선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터치패널(200)의 입력검출의 방식으로서는, 저항막 방식이나 대전용량 방식 등, 어떠한 방식에 의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 유리기판(210)의 배면 측에는 유리기판(210)의 4변을 따라서 복수의 버튼의 마크가 인쇄된 인쇄필름(220)이 부착되어 있다(도 2에서는 터치패널(200)에 사선으로 나타냄). 또, 유리기판(210)의 한 변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회로기판과 접속하기 위한 터치패널용 플렉서블 기판(230)이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홀더(300)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이며, 표시영역이 되는 개구(310)를 형성하도록 4개의 홀더편(311, 312, 313, 314)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이다. 4개의 홀더편에는 선단이 개구(310)로 향하는 차양 부분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300)의 상면 측에서는 4개의 홀더편의 차양 부분의 위에 터치패널(200)이 얹어 놓이고, 홀더(300)의 배면 측에서는 4개의 홀더편의 차양 부분이 액정모듈(400)의 위에 얹어 놓이도록 이 홀더(300)는 배치되어 있다.
또, 홀더편(311)의 차양 부분에는 터치패널(200)에 부착되어 있는 인쇄필름(220)을 비추기 위한 버튼용 백라이트(320)가 내장되어 있다.
이 버튼용 백라이트(320)는 홀더편(311)의 차양 부분에 위쪽으로 개구하는 버튼용 출사개구(321)를 마련하고, 이 버튼용 출사개구(321) 내에 수납된, 버튼용 실장기판(322)과, 버튼용 광원(323)과, 버튼용 도광판(324)으로 구성된, 소위 엣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이다.
버튼용 실장기판(322)은 버튼용 광원(323)을 실장하기 위한 것으로, 버튼용 출사개구(321)의 내벽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 버튼용 광원(323)은 LED로 이루어지는 점상(点狀) 광원이며, 소위 탑-뷰 방식의 것을 이용하고, 복수의 버튼용 광원(323)이 버튼용 실장기판(322)에 실장되어 있다. 또, 버튼용 도광판(324)은 아크릴 수지제의 판상의 부재이며, 측면으로부터 입사하는 버튼용 광원(323)으로부터의 입사광을 표면에 형성된 요철 패턴에 의해서, 상면으로부터 인쇄필름(220)으로 향하여 출사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버튼용 백라이트(320)는 탑-뷰 방식의 LED 광원을 이용하여, 버튼용 광원(323)과 버튼용 도광판(324)과의 거리가 가능한 한 짧게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버튼용 광원(323)의 광이 버튼용 도광판(324)의 측면으로부터 홀더(300)의 개구(310) 측으로 새어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장치(10)는 개구(310)와 버튼용 출사개구(321)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홀더편(311)의 일부와 베젤(430)과의 사이를 폐색하도록, 홀더편(311)을 따라서 차광부재(311)를 배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액정모듈(400)은 액정 디스플레이(410)와 표시용 백라이트(45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액정 디스플레이(410)는 액정패널(420)과, 액정패널(420)의 주변을 덮는 베젤(430)로 구성되어 있다.
액정패널(420)은 사이즈가 다른 직사각형 모양의 2매의 유리기판을 접합시킨 것이며, 어레이 기판(421)과 CF기판(422)으로 이루어져 있다.
어레이 기판(421)은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소스선이 매트릭스 모양으로 형성되고, 게이트선과 소스선과의 교점에 스위칭 소자와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화소가 매트릭스 모양으로 복수 형성된 유리기판이다. 또, 어레이 기판(421)은 CF기판(422)보다도 큰 유리기판을 이용하고 있으며, 유리기판의 단변 측의 한 변 근방에 게이트 드라이버(423)를 복수 구비하고, 유리기판의 장변 측의 한 변 근방에 소스 드라이버(424)를 복수 구비하고 있다. 이 게이트 드라이버(423)는 유리기판상의 복수의 게이트 배선과 접속하고, 각 게이트 배선으로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또, 이 소스 드라이버(424)는 유리기판상의 복수의 소스 배선과 접속하며, 각 소스 배선으로 소스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423)와 소스 드라이버(424)는 별체인 것을 이용해도 되고, 유리기판상에 직접 형성한 것이라도 된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어레이 기판(421)의 단부에는 각 드라이버로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플렉서블 기판이 접속되어 있다.
CF기판(422)은 어레이 기판(421)의 표면에 형성된 화소마다 각각 대응하는 칼라 필터가 형성된 유리기판이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421)의 화소형성면과, CF기판(422)의 컬러필터 형성면을 대향시켜, 양 기판을 씰재로 접함시킴과 아울러, 양 기판 사이에 액정재료를 개재시킴으로써, 액정패널(420)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액정패널(420)은 전후의 면 각각에 도시하고 있지 않은 편광판을 구비하고 있다.
베젤(430)은 프레스 가공된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표시영역이 되는 개구(440)를 형성하도록 4개의 베젤편(441, 442, 443, 444)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이다. 4개의 베젤편은 각각의 단면이 대략 역'L'자 모양으로 되어 있어, 상면 측에는 선단이 개구(440)로 향하는 차양 부분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젤편(441, 442)는 장변 측을 구성하고, 베젤편(443, 444)은 단변 측을 구성하고 있다.
이 베젤(430)은 액정패널(420)의 유리기판 단부의 보호나, 금속제의 베젤에 의해서 액정패널(420)의 표면을 제전(除電)하기 위해서 등에 이용되고 있다. 이 때, 게이트 드라이버(423)가 배치된 변에 대응하는 베젤편(443)과, 소스 드라이버(424)가 배치된 변에 대응하는 베젤편(441)은, 다른 편보다도 상면 측의 차양 부분의 폭이 넓게 되어 있다. 그리고, 베젤편(443)은 게이트 드라이버(423)를 덮는 CF기판(422)에 이를 때까지 차양 부분이 늘어나고, 베젤편(441)은 소스 드라이버(424)를 덮어 CF기판(422)에 이를 때까지 차양 부분이 늘어남으로써, 게이트 드라이버(423)나 소스 드라이버(424)의 보호나, 외부로부터의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실드, 외광의 입사 방지에도 기여하고 있다.
표시용 백라이트(450)는 소위 엣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이며, 바닥 케이스(451)와, 표시용 실장기판(452)과, 표시용 광원(453)과, 표시용 도광판(454)과, 패널 지지프레임(455)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 케이스(451)는 상자 형상의 금속제 케이스이며, 이 중에 표시용 실장기판(452)과, 표시용 광원(453)과, 표시용 도광판(454)을 수용하고 있다.
표시용 실장기판(452)은 바닥 케이스(451)의 측벽을 따라서 세워져 있다. 그리고, 표시용 실장기판(452)의 표면에는 표시용 광원(453)이 실장되어 있다. 이 표시용 실장기판(452)은 액정패널(420)의 소스 드라이버(424)가 배치되어 있는 변과 동일한 변에 배치되어 있으며, 소스 드라이버(424)의 아래쪽에 광원을 배치함으로써,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또, 외부의 제어기판과 접속하기 위한 단자부(452a)를 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표시용 광원(453)은 LED로 이루어지는 점상 광원이며, 소위 탑-뷰 방식인 것을 이용하고, 복수의 표시용 광원(453)이 표시용 실장기판(452)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표시용 광원(453)은 소위 사이드-뷰 방식인 것이라도 상관없지만, 사이드-뷰 방식인 경우, 표시용 실장기판(452)을 바닥 케이스(451)의 저면에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바닥 케이스(451)의 측벽과 표시용 도광판(455)과의 거리가 넓어지므로, 이 거리를 좁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탑-뷰 방식의 LED 광원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 표시용 광원(453)은 LED와 같은 점상 광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냉음극관과 같은 선상 광원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종래 잘 알려져 있는 'L'자 모양의 냉음극관을 이용한다면, 게이트 드라이버(423)와 소스 드라이버(424)에 대응하는 변에 'L'자 모양의 냉음극관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
표시용 도광판(454)은 아크릴 수지제의 판상의 부재이며, 측면으로부터 입사하는 표시용 광원(453)의 광을 상면이나 배면에 형성된 패턴에 의해, 위쪽(액정 디스플레이(410) 측)으로 향하여 출사한다.
패널 지지프레임(455)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이며, 출사영역이 되는 개구(460)를 형성하도록 4개의 지지프레임편(461, 462, 463, 464)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이다. 4개의 지지프레임편에는 선단이 개구(310)로 향하는 차양 부분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패널 지지프레임(455)은, 배면 측에서는 바닥 케이스(451)와 함께, 차양 부분에서 바닥 케이스(451)에 수용된 각종 부재를 고정하고, 상면 측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410)를 차양 부분에서 지지하는 부재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표시용 백라이트(450)는 도시하지 않지만 바닥 케이스(451)의 저면에 반사시트가 배치되어 있거나, 표시용 도광판(454)과 패널 지지프레임(455)과의 사이에 프리즘 시트 등의 각종 광학 시트가 배치되어 있거나 해도 상관없다.
또, 액정패널(420)은 CF기판(422) 측의 상면과 베젤(430)과의 사이를 양면 테이프(470)로 접합시키고, 어레이 기판(421) 측의 이면과 패널 지지프레임(455)과의 사이를 양면 테이프(480)로 접합시킴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10)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터치패널(200)에 복수의 조작버튼의 마크가 인쇄된 인쇄필름(220)이 부착되어 있다. 이 인쇄필름(220)은, 특허문헌 1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표적인 고정 기능을 가지는 기계식의 조작버튼을 나타내는 마크나 기능의 명칭이 인쇄된 것이다.
이 인쇄필름(220)에 인쇄된 인쇄버튼(250)에 유저가 접촉되므로, 어느 위치를 유저가 눌렀는지 터치패널(200)에 의해 판단하고, 누른 위치에 따른 기능을 표시장치(10)에서 실현한다. 표시장치(10)를 네비게이션 장치의 표시부로서 이용하고 있는 본 실시례에 있어서, 이 인쇄버튼(250)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AUDIO」의 마크나, 「현재지(現在地)」의 마크 등의 문자로 이루어지는 마크(250a) 외에, 스위치나 볼륨의 조정을 나타내고 있는 도형화된 마크(250b)가 있다.
이 인쇄버튼(250)은 검은 차광성의 인쇄필름(220)에, 대응하는 마크의 형상 부분을 투명하게 하여 나타낸, 소위 흰색 윤곽 인쇄한 것이다. 따라서, 버튼용 백라이트(320)의 광을 인쇄필름(220)에 조사함으로써, 인쇄버튼(250)의 시인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이 인쇄필름(220)은, 도 2에서 사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필름편(221, 222, 223, 224)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모양의 필름이다.
그리고, 필름편(221)이 가장 폭 넓게 형성되고, 인쇄필름(220)은 이 폭이 넓은 필름편(221)에 인쇄버튼(250)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 표시장치(1)로서 조립된 상태에서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편(221)만이 전케이스(100)로부터 노출하고 있어, 관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이 인쇄필름(220)은 터치패널(200)의 유리기판(210)에 부착됨과 아울러, 수직방향(도 5의 B-B로 나타내는 방향)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410)를 구성하는 베젤(430)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필름편(221)은 베젤편(441)과, 필름편(222)은 베젤편(442)과, 필름편(223)은 베젤편(443)과, 필름편(224)은 베젤편(444)과, 각각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원래 베젤(430)은, 액정 디스플레이(410)에 있어서, 실제의 표시에는 기여하지 않는 영역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필름(220)을 터치패널(200)상에서의 베젤(430)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표시장치(10)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표시장치(10)를 구비한 네비게이션 장치를 2DIN 규격의 영역에 장착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특허문헌 1과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410)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인쇄필름(220)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 버리면, 액정 디스플레이(410)는 인쇄필름(220)의 영역만큼은 작게 해야 한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터치패널(200)상에서 액정 디스플레이(410)의 베젤(430)과 겹치는 위치에 인쇄필름(220)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베젤(430)의 폭만큼 인쇄필름(220)의 배치에 필요한 영역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그 만큼 액정 디스플레이(410)를 대형화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필름(220)에 인쇄버튼(250)이 실제로 인쇄되어 있는 필름편(221)과, 액정패널(420)의 소스 드라이버(424)가 형성되어 변과 동일한 위치로 하고 있으므로, 가장 폭이 넓은 필름편(221)과 가장 폭이 넓은 베젤편(441)을 겹쳐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가장 폭이 넓은 필름편(221)과 가장 폭이 넓은 베젤편(441)을 겹쳐서 배치하고 있으므로, 홀더편(311)에 버튼용 백라이트(320)를 배치하는 구성에서는, 버튼용 백라이트(320)의 영역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필름(220)을 조사하는 광의 균일성을 보다 한층 높이기 쉬워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필름(220)에 형성된 인쇄버튼(250)의 위치에 대응하여, 전케이스(100)의 케이스편(111)의 상면에 계단부를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련성이 높은 인쇄버튼(250)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마다 케이스편(111)의 표면에 오목부(120)를 형성하고, 오목부(120)의 영역 내에 기능을 나타내는 인쇄버튼(250)이 있으면, 그 인쇄버튼(250)마다 오목부(120)의 저부에 볼록부(13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볼록부(130)는 성형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을 뿐으로, 이 볼록부(130)를 유저가 눌러도 표시장치(10)가 동작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전케이스(100)의 표면에 인쇄버튼(250)에 대응한 요철 구조를 형성해 둠으로써, 예를 들면 야간 등의 어두운 자동차 내에서 유저는 이 요철구조를 목표물로 하여, 인쇄버튼(250)의 위치를 특정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 표시장치(10)를 네비게이션 장치의 표시부로서 이용한다. 그 때, 네비게이션 장치로서는, 표시장치(10) 외에, 네비게이션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네비게이션 수단은 현재 위치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GPS 수신기나, 경로탐색이나 경로안내를 위해서 이용하는 지도정보를 기억해 두는 기억장치나, 경로탐색이나 네비게이션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수단 그 자체를 표시장치(10)와 일체로 구성해도 상관없다.
그리고, 표시장치(10)를 네비게이션 장치의 표시부로서 이용함으로써, 보다 대형의 액정 디스플레이(410)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종래 일반적인 네비게이션 장치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대형화는 곤란하였지만, 본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서는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로서, 액정패널(420)로 이루어지는 액정 디스플레이(410)를 이용하여 설명을 행했다. 그렇지만, 디스플레이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41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다른 디스플레이로 하여도 상관없다.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도 기판 보호의 목적을 위해서 등의 이유로, 유기 EL 패널의 주변이 베젤로 덮이므로, 베젤과 겹치는 위치에 인쇄필름을 배치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필름(220)을 터치패널(200)의 유리기판(210)의 이면 측에 부착하고 있지만, 유리기판(210)의 전면 측에 부착하는 구성이라도 상관없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버튼용 백라이트(320)의 광을 인쇄필름(220)에 조사하는 구성에서는, 유리기판(210)의 전면 측에 인쇄필름(220)을 부착하는 구성이라면, 버튼용 백라이트(320)의 광이 유리기판(210)에 입사하여 표시영역 내에 새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버튼용 백라이트(320)를 형성하는 구성에서는, 인쇄필름(220)은 유리기판(210)의 이면 측에 배치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인쇄버튼(250)을 인쇄필름(220)에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인쇄버튼(250) 각각을 독립한 필름으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 반드시 본 실시예와 같이 4개의 필름편은 필요하지 않고, 인쇄버튼(250)을 형성하는 필름편(221)만으로 인쇄필름(220)을 구성해도 상관없다.
10 … 표시장치 100 … 전케이스
200 … 터치패널 220 … 인쇄필름
250 … 인쇄버튼 3O0 … 홀더
320 … 버튼용 백라이트 410 … 액정 디스플레이
420 … 액정패널 430 … 베젤
450 … 표시용 백라이트

Claims (8)

  1.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주변을 덮는 베젤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 측에 배치된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상에 배치된 인쇄버튼을 구비한 표시장치로서,
    상기 인쇄버튼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베젤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터치패널과의 사이에는 프레임 모양의 홀더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인쇄버튼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버튼용 백라이트가 상기 홀더의 상기 베젤과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용 백라이트는 버튼용 도광판과, 버튼용 광원과, 상기 버튼용 광원을 실장하는 버튼용 실장기판으로 구성된 백라이트이고,
    상기 버튼용 광원은 탑-뷰 방식의 LED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기판상에 복수의 게이트선과 복수의 소스선이 매트릭스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과 상기 복수의 소스선에 신호를 인가하는 드라이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버튼은 상기 드라이버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전면 측에는 프레임 모양의 전케이스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인쇄버튼과 대응하는 위치에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이 개재한 액정패널이고,
    상기 액정패널로 이루어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 측에는 표시용 백라이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표시용 백라이트는 표시용 도광판과, 표시용 광원과, 상기 표시용 광원을 실장하는 표시용 실장기판으로 구성된 엣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이며,
    상기 표시용 광원은 탑-뷰 방식의 LED 광원이고,
    상기 인쇄버튼은 상기 표시용 광원과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장치와,
    네비게이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20139810A 2011-12-08 2012-12-04 표시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KR101971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68923 2011-12-08
JP2011268923A JP5526417B2 (ja) 2011-12-08 2011-12-08 表示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697A KR20130064697A (ko) 2013-06-18
KR101971737B1 true KR101971737B1 (ko) 2019-04-23

Family

ID=4858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810A KR101971737B1 (ko) 2011-12-08 2012-12-04 표시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26417B2 (ko)
KR (1) KR101971737B1 (ko)
CN (1) CN1031640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1650B2 (ja) * 2013-07-30 2016-03-09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
KR102461988B1 (ko) * 2015-12-30 2022-10-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5739141B (zh) * 2016-04-29 2020-01-1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柔性电路板、液晶显示模组和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4809A (ja) * 2004-03-30 2005-10-13 Xanavi Informatics Corp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079A (ja) * 1993-02-04 1994-08-19 Seiko Epson Corp 入力・表示一体型電子機器の上ケースユニット
JP3450218B2 (ja) * 1999-04-15 2003-09-22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電気調理器の操作表示装置
JP2006268068A (ja) * 2005-03-22 2006-10-05 Fujitsu Ten Ltd タッチパネル装置
CN101149631B (zh) * 2006-09-20 2012-03-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可频谱显示的显示器
CN201936283U (zh) * 2010-11-23 2011-08-17 北京汇冠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交互式显示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4809A (ja) * 2004-03-30 2005-10-13 Xanavi Informatics Corp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697A (ko) 2013-06-18
CN103164077A (zh) 2013-06-19
JP2013120331A (ja) 2013-06-17
JP5526417B2 (ja) 2014-06-18
CN103164077B (zh) 2017-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4195B2 (en) Display device
JP5983031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353266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9442585B2 (en) Display device
US20150362652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ing device
WO2014083692A1 (ja) 表示装置
JP2010237493A (ja) 液晶表示装置
KR20150145572A (ko) 디스플레이 기기
JP5963849B2 (ja) 操作パネルおよびこれを備える情報機器
KR20190037340A (ko) 표시 장치
KR101971737B1 (ko) 표시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KR20150140690A (ko) 표시장치
KR20150103783A (ko) 액정 표시 장치
US922927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5031772A (ja) 液晶表示装置
JP2020076914A (ja) 表示装置
US9395567B2 (en)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at prevent cracking of a display panel without increasing in size
JP5751565B2 (ja) 表示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556662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液晶表示装置を使用した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2189666A (ja) 表示装置
KR102372343B1 (ko) 표시장치
WO2021251350A1 (ja) 表示装置
JP2018091761A (ja) 表示ユニット
JP6443176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1226838A (ja) 車両用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