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572A - 디스플레이 기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572A
KR20150145572A KR1020140075716A KR20140075716A KR20150145572A KR 20150145572 A KR20150145572 A KR 20150145572A KR 1020140075716 A KR1020140075716 A KR 1020140075716A KR 20140075716 A KR20140075716 A KR 20140075716A KR 20150145572 A KR20150145572 A KR 20150145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bezel
image
display devic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105B1 (ko
Inventor
김승민
나정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5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105B1/ko
Priority to US14/738,401 priority patent/US9632358B2/en
Publication of KR20150145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초슬림 베젤을 갖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월의 구성시 비디오 월에 표시되는 영상의 왜곡 정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되는 광원, 상기 광원이 수용되는 바텀새시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을 고정시키고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고정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몰드의 내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용부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기는 문자는 도형 등의 데이터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를 말한다. 디스플레이 기기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가 장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는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못하는 수동 광소자이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구조에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크기 및 광효율 등이 달라지게 되어 전체적인 액정표시장치의 기계적, 광학적 특성이 많은 영향을 받는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직하형과 에지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액정 패널의 밑면에 광원을 두어, 패널 전면을 직접 조광하는 방식이다.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이 액정 패널의 후방 일측에 구비된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패널의 하부에 복수의 램프가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램프로부터 발광된 광이 액정표시패널에 직접 공급되므로 고휘도를 요구하는 대화면 액정표시장치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비디오월(Video wall) 기능이다. 비디오월 기능이란,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가 하나의 스크린으로 인식되는 기능으로서,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전체 영상의 일부분을 표시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가 전체로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슬림 베젤을 갖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되는 광원; 상기 광원이 수용되는 바텀새시;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을 고정시키고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고정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몰드의 내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용부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측면의 일부가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몰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는 베젤부 및 상기 베젤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위치된 베젤부의 배면에는 프리즘부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측에는 상기 베젤부에 의해 커버되는 부분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보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서 시각적으로 확인되는 영상의 크기가 더 크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측면부에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는 암부가 구비된다.
상기 암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암부는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에 검정색 염료가 도포되어 구비된다.
상기 암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에는 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 측으로 입사되는 광을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 측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에 반사테이프를 접착시켜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는 광학시트 및 확산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광학시트의 측단부 및 상기 확산판의 측단부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되는 광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광원이 수용되는 바텀 새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을 고정시키고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고정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몰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위치되는 베젤부 및 상기 베젤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의 내측에는 연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된다.
상기 베젤부의 배면에는 프리즘부가 구비된다.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는 암부가 구비된다.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에는 반사부가 구비된다.
상기 측면부에는 복수 개의 연장부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 개의 연장부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는 광학시트 및 확산판이 배치되고, 상기 광학시트 및 상기 확산판은 상기 복수 개의 연장부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초슬림 베젤을 갖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하여 비디오 월을 구성할 때, 비디오 월에 표시되는 영상의 왜곡 정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월 시스템은 비디오 월(110)을 형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들(1A 내지 1L)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들(1A 내지 1L)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제어부(120)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들(1A 내지 1L)은 케이블(131,13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비디오 월(110)이란,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들(1A 내지 1L)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대화면을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디오 월(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들(1A 내지 1L) 각각은 동일한 이미지의 일부분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들(1A 내지 1L) 전체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기처럼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들(1A 내지 1L)은 각 디스플레이 기기에 설치된 통합 커넥터(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들(1A 내지 1L)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케이블(131,132)을 통해 제어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131,132)은 비디오 신호용 케이블(131)과 통신용 케이블(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어부(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들(1A 내지 1L)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1A 내지 1L)로부터 송신되는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1A 내지 1L)의 밝기, 명암, 위치 등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비디오 월(110)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제어부(120)와 연결된 모니터(121)에 출력될 수 있다.
비디오 월(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들(1A 내지 1L)은 동일한 규격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1디스플레이 기기(1A)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 기기(1A)는 고정몰드(10), 디스플레이 패널(20), 백라이트 유닛(50) 및 바텀 새시(60)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50)은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후방에 이격 배치된다. 백라이트 유닛(50)은 바텀 새시(60)에 수용되고, 고정몰드(10)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방을 고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후방에는 복수의 광학 시트(30)가 구비될 수 있다. 광학시트(30)는 보호 필름(31), 프리즘 필름(32,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필름(31)은 프리즘 필름(32,33)의 전방에 배치되어 먼지 등의 스크래치에 민감한 프리즘 필름(32,33)을 보호한다. 광학시트(30)의 후방에는 확산판(40)이 위치될 수 있다.
프리즘 필름(32,33)의 전방면에는 삼각기둥 모양의 프리즘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프리즘 필름(32,33)에 의해, 확산판(40)에서 확산된 광이 전방의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후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될 수 있다.
프리즘 필름(32,33)은 2장이 사용될 수 있다. 프리즘필름(32,33)을 통과한 빛은 디스플레이 패널(20)에 수직하게 진행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이 균일한 휘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50)으로부터 발광된 광은 확산판(40)에 의해 확산되어 광학시트(3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확산판(40)에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는 구슬 모양의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시트(41)는 확산판(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시트(41)에 의해 확산판(40)의 하면을 통해 출사된 빛이 다시 확산판(40)으로 안내될 수 있다. 반사시트(41)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카보네이트(PC)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50)은 인쇄회로기판(51) 및 인쇄회로기판(51)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52)를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52)는 백라이트 유닛(50)의 전방에 위치한 확산판(40) 측으로 광을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다이오드(52)는 인쇄회로기판(51)의 일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50)은 확산판(40)의 후방에 위치되어 확산판(40) 측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1)은 반사판(41)의 후방에 위치되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52)는 반사판(41)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1)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을 통해 바텀 새시(60)에 고정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1)은 복수의 발광다이오드(52)가 실장된 면의 배면이 바텀 새시(60)의 바닥면(62)에 고정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52)는 백색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고,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박막 트랜지스터(TFT:thin film transistor)와 화소 전극이 구비된 제1기판(211) 및 제1기판(211)의 일측에 위치하고 컬러필터 및 구동원이 구비된 제2기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211)과 제2기판(210) 사이에는 액정층(212)이 구비될 수 있다. 제1기판(211)의 하부면 또는 제2기판(210)의 상부면에는 편광시트(22,23)가 부착될 수 있다. 제1기판(211), 제2기판(210) 및 액정층(212)이 조합된 모듈을 액정표시모듈(21)이라 할 수 있다.
제1기판(211)의 일측에는 구동 신호 인가를 위한 구동부(25)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25)는 연성인쇄회로기판(26), 구동칩(27) 및 회로기판(28)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칩(27)은 연성인쇄회로기판(26)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28)은 연성인쇄회로기판(26)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26)은 베이스 필름상에 칩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COF(Chip On Film)의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26)은 TAP(Tape Automated Bonding)기술을 이용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G(Chip On Glass) 형태일 수도 있다.
제2기판(210)에는 블랙매트릭스(213)가 형성될 수 있고, 블랙매트릭스(213) 사이에는 컬러필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블랙매트릭스(213)는 크롬산화물이나 검은색 안료를 포함하는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컬러필터는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3개의 서브층(미도시)이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액정층(212)의 배열을 조정하여 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비발광소자로서 백라이트 유닛(50)으로부터 빛을 공급받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바텀 새시(60)는 바텀 측면(61) 및 바닥면(62)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측면(61)은 바닥면(62)의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바닥면(62)에는 백 라이트 유닛(50)이 안착될 수 있다. 바텀 새시(60)의 바닥면(62)에는 방열시트(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몰드(10)는 베젤부(11) 및 측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부(11)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 가장자리를 감쌀 수 있다. 측면부(12)는 베젤부(11)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측면부(12)의 적어도 일부는 바텀 새시(60)와 접촉될 수 있다.
고정몰드(10)의 적어도 일부는 바텀 새시(60)와 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몰드(10)의 베젤부(11)는 바텀 측면(61)의 전방을 커버할 수 있다. 고정몰드(10)의 측면부(12)는 바텀 측면(61)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몰드(1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3)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표시되는 화면이 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측면부(12)의 내측면에는 수용부(12a, 12b)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2a, 12b)는, 측면부(12)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 기기(1A)가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되도록 베젤부(11)가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된 경우, 측면부(12)는 베젤부(11)로부터 연장된 네 개의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부(12a, 12b)는 네 개의 측면부(12)의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수용부(12a, 12b)는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측면부(12)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수용부(12a, 12b)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 광학시트(30), 확산판(40) 등의 측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측면부(12)는 제1수용부(12a) 및 제1수용부(12a)의 후방에 형성된 제2수용부(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용부(12a)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측단부 및 광학 시트(30)의 측단부가 삽입될 수 있고, 제2수용부(12b)에는 확산판(40)의 측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백라이트유닛(50)은 바텀새시(60)에 수용되어 확산판(4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의 단부가 접촉되는 제1수용부(12a)의 내측면으로부터 측면부(12)의 외측면까지의 길이(L1)는 확산판(40)의 단부가 접촉되는 제2수용부(12b)의 내측면으로부터 측면부(12)의 외측면까지의 길이(L2)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측면부(12)에서, 제1수용부(12a)와 제2수용부(12b)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과 평행하게 제1디스플레이 기기(1A)의 내부를 향해 연장된 부분을 제1연장부(120)라 하고, 제2수용부(12b)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과 평행하게 디스플레이 기기(1A)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을 제2연장부(121)라 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연장부(120)에 안착될 수 있고, 확산판(40)의 적어도 일부는 제2연장부(121)에 안착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1연장부(120) 또는 제2연장부(12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인 L로부터 베젤부(11)가 디스플레이 기기(1A)의 내부를 향해 연장된 길이(W1), 제1연장부(120)가 연장된 길이(W2), 제2연장부(121)가 연장된 길이(W3)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직선 L은 디스플레이 패널(20)의 단부 또는 확산판(40)의 단부를 지나고 디스플레이 패널(20) 또는 확산판(40)과 수직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일 수 있다.
제2연장부(121)는 바텀 새시(60)의 바닥면(62)에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젤부(11)가 연장된 길이(W1)는, 제1연장부(120)가 연장된 길이(W2) 및 제2연장부(121)가 연장된 길이(W3)보다 짧을 수 있다. 제2연장부(121)가 연장된 길이(W3)는 제1연장부(120)가 연장된 길이(W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측단부 및 광학시트(30)의 측단부는 제1수용부(12a)의 내측면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확산판(40)의 측단부는 제2수용부(12b)의 내측면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고정몰드(10)는 투명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52)로부터 발광된 광은 고정몰드(10)를 통과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52)로부터 발광된 광은 확산판(40)에 의해 확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이 위치한 전방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52)로부터 발광된 광은 제1연장부(120), 제2연장부(121)를 통과하여 베젤부(11)의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20)에 전달될 수 있다.
베젤부(11)는 투명하게 구비되므로, 베젤부(11)에 의해 커버되는 위치에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표시되는 영상도 제1디스플레이 기기(1A)의 전방에서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하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기기(1A)의 전방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 전체에 표시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또한, 고정몰드(10)가 투명한 소재로 구비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테두리 부분에 전달되는 광량이 종래에 비해 많아지므로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테두리 부분이 어두워지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 전체에서 균일한 화질의 이미지가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 기기(1A')는 베젤부(11)의 일측에 프리즘부(11a)가 구비될 수 있다. 프리즘부(11a)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방면과 접촉되는 베젤부(11)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베젤부(11)의 후방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0)을 통과한 광은 프리즘부(11a)에 의해 굴절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외측으로 굴절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외측에는 베젤부(11)에 의해 커버되는 부분의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표시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의 I1 부분으로 입사된 광은 프리즘부(11a)에 의해 굴절되어 I2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의 I1 부분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I2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I1과 동일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외측에 위치한 베젤부(11)의 상단에 맺힐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크기보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방에서 시각적으로 확인되는 영상의 크기가 더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리즘부(11a)에 의해 광이 굴절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외측에 위치되는 베젤부(11)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이 확대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외측으로부터 베젤부(11)의 외측 단부까지의 길이(W4)에 존재하는 비활성 영역이 줄어드는 것과 같은 시각적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제1디스플레이 기기(1A')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 디스플레이 기기가 복수 개 배치되어 비디오월로 구현되면,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들 간의 비활성 영역이 종래에 비해 감소되므로, 비디오월에 표시되는 영상의 왜곡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 기기(1A'')에 구비되는 고정몰드(10)의 일측에는 암부(122,12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반사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몰드(10)가 투명한 소재로 구비되는 경우, 바텀 새시(60)에 수용되고 고정몰드(10)에 의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 등의 단부와 고정몰드(10)의 측면부(12) 사이를 통해 빛이 새어 나가는 빛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빛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부(12)의 내측면에는 암부(122,123)가 형성될 수 있다. 암부(122,123)는 검정색 염료를 측면부(12)의 내측면에 도포시켜 구비될 수 있다. 암부(122)는 디스플레이 패널(20)과 접촉되는 측면부(12)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암부(123)는 확산판(40)과 접촉하는 측면부(12)에도 구비될 수 있다.
암부(122,123)는, 측면부(12)와 접촉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 광학시트(30) 및 확산판(40)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반사부(124)는 측면부(12)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반사부(124)는 측면부(12)의 외측면에 반사율이 높은 염료를 도포하거나 반사 테이프 등을 접착시켜 구비될 수 있다. 반사부(124)에 의해 측면부(12)의 외측면 측으로 입사되는 광은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기기(1)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암부(122,123)와 반사부(124)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기(1A'')의 빛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몰드(10)가 투명한 소재로 구비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표시되는 영상의 유효표시영역이 넓어질 수 있다. 고정몰드의 베젤부의 배면에 프리즘부가 구비됨으로써 유효표시영역은 더욱 넓어질 수 있다. 고정몰드가 투명한 소재로 구비되더라도 고정몰드의 측면부에 반사부 또는 암부가 구비됨으로써 빛샘 현상이 방지되어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디스플레이 기기 10: 고정몰드
11: 베젤부 11a: 프리즘부
12: 측면부 12a: 제1수용부
12b: 제2수용부 20: 디스플레이 패널
30: 광학시트 40: 확산판
50: 백라이트 유닛 51: 인쇄회로기판
52: 광원 60: 바텀새시
61: 바텀 측면 62: 바닥면
122,123: 암부 124: 반사부

Claims (22)

  1.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되는 광원;
    상기 광원이 수용되는 바텀새시;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을 고정시키고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고정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몰드의 내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용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고정몰드의 내측면의 일부가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몰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는 베젤부 및 상기 베젤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위치된 베젤부의 배면에는 프리즘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측에는 상기 베젤부에 의해 커버되는 부분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보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서 시각적으로 확인되는 영상의 크기가 더 큰 디스플레이 기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는 암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에 검정색 염료가 도포되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단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에는 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 측으로 입사되는 광을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 측으로 반사시키는 디스플레이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에 반사테이프를 접착시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는 광학시트 및 확산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광학시트의 측단부 및 상기 확산판의 측단부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6.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되는 광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광원이 수용되는 바텀 새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을 고정시키고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고정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몰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위치되는 베젤부 및 상기 베젤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의 내측에는 연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의 배면에는 프리즘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는 암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에는 반사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는 복수 개의 연장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연장부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는 광학시트 및 확산판이 배치되고, 상기 광학시트 및 상기 확산판은 상기 복수 개의 연장부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20140075716A 2014-06-20 2014-06-20 디스플레이 기기 KR102188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16A KR102188105B1 (ko) 2014-06-20 2014-06-20 디스플레이 기기
US14/738,401 US9632358B2 (en) 2014-06-20 2015-06-12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16A KR102188105B1 (ko) 2014-06-20 2014-06-20 디스플레이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572A true KR20150145572A (ko) 2015-12-30
KR102188105B1 KR102188105B1 (ko) 2020-12-07

Family

ID=5486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716A KR102188105B1 (ko) 2014-06-20 2014-06-20 디스플레이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32358B2 (ko)
KR (1) KR1021881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553A (ko) * 2016-07-29 2018-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09254450A (zh) * 2017-07-13 2019-01-22 Lg 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KR20200036965A (ko) * 2018-09-28 2020-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714B1 (ko) * 2014-12-22 2021-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206671719U (zh) * 2017-03-21 2017-11-24 诚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402188B1 (ko) * 2017-06-30 202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962B1 (ko) * 2017-11-08 2019-08-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7942562A (zh) * 2017-11-27 2018-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制作方法
CN111615348B (zh) 2018-01-17 2022-04-29 安东尼股份有限公司 安装可移动电子显示器的门
US10514722B1 (en) 2019-03-29 2019-12-24 Anthony, Inc. Door for mounting a removable electronic display
KR20210027699A (ko) * 2019-09-02 2021-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286A (ko) * 2003-09-09 2005-03-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12084A (ko) * 2010-04-06 2011-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0413A (ja) * 2000-07-19 2002-02-06 Sharp Corp バックライ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381787B1 (ko) 2000-12-27 200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JP4482473B2 (ja) * 2005-03-25 2010-06-1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8103150A (ja) * 2006-10-18 2008-05-01 Mitsubishi Electric Corp 面状光源装置
KR101418932B1 (ko) * 2007-12-10 2014-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상부 수납 용기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KR101529916B1 (ko) * 2008-09-02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20110051019A1 (en) * 2009-09-03 2011-03-03 Sony Corporation Edge lighting control
US20110227810A1 (en) * 2010-03-19 2011-09-22 Mckinney Susa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econdary peripheral display
KR101706101B1 (ko) * 2010-04-20 2017-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81995B1 (ko) 2010-04-27 2013-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3035601A1 (ja) * 2011-09-05 2013-03-14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5928020B2 (ja) * 2012-03-13 2016-06-0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346083B1 (ko) 2012-04-26 2013-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M437994U (en) * 2012-05-29 2012-09-21 Young Lighting Technology Inc Display device
EP2813884A1 (en) * 2013-02-21 2014-12-17 Onyx Display Media (Pty) Ltd.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arrangement for attachment to a transparent base structure
KR102015363B1 (ko) * 2013-07-24 2019-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30296B1 (ko) * 2014-08-20 2021-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286A (ko) * 2003-09-09 2005-03-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12084A (ko) * 2010-04-06 2011-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553A (ko) * 2016-07-29 2018-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09254450A (zh) * 2017-07-13 2019-01-22 Lg 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KR20190007750A (ko) * 2017-07-13 2019-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9254450B (zh) * 2017-07-13 2022-07-12 Lg 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KR20200036965A (ko) * 2018-09-28 2020-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32358B2 (en) 2017-04-25
KR102188105B1 (ko) 2020-12-07
US20150370133A1 (en)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105B1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113554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US9746602B2 (en) Backlight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50253484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150362652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ing device
US20160062034A1 (en) Display device
KR20160070608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EP3803505B1 (en) Display apparatus
US20090058306A1 (en) Bl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JP7123701B2 (ja) 電子機器
KR20150009058A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40058991A (ko) 액정표시 장치
KR101719817B1 (ko) 액정표시장치
WO2016181838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22622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78208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04335A (ko) 액정표시장치
EP3599505B1 (en) Display apparatus
KR20120116290A (ko) 액정표시장치
KR20150105707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100071533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20067205A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1586675B1 (ko) 액정표시장치
WO2012056951A1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KR20080075938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