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188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188B1
KR102402188B1 KR1020170083630A KR20170083630A KR102402188B1 KR 102402188 B1 KR102402188 B1 KR 102402188B1 KR 1020170083630 A KR1020170083630 A KR 1020170083630A KR 20170083630 A KR20170083630 A KR 20170083630A KR 102402188 B1 KR102402188 B1 KR 102402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matrix
pattern
display device
optical sheet
vall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126A (ko
Inventor
정찬성
박상태
배명욱
윤동진
장문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3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188B1/ko
Priority to US16/018,980 priority patent/US10739499B2/en
Priority to PCT/KR2018/007388 priority patent/WO2019004766A1/en
Publication of KR20190003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과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는 광학 시트를 구비하며, 광학 시트 중 블랙 매트릭스 및 액티브 영역의 일부에, 프레넬 패턴이 형성되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액티브 영역에서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산과 골의 깊이 차가 커진다. 이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랙 매트릭스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랙 매트릭스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가시광 등을 이용하여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한편, 상업용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외부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배치하는 경향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상업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주변의 베젤로 인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몰입감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주변의 베젤을 사이즈를 저감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랙 매트릭스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베젤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여, 베젤 감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과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는 광학 시트를 구비하며, 광학 시트 중 블랙 매트릭스 및 액티브 영역의 일부에, 프레넬 패턴이 형성되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액티브 영역에서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산과 골의 깊이 차가 커진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과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와, 복수의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는 광학 시트를 구비하며, 광학 시트 중 블랙 매트릭스 및 액티브 영역의 일부에, 프레넬 패턴이 형성되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액티브 영역에서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산과 골의 깊이 차가 커진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티브 영역과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는 글래스 기판를 구비하며, 글래스 기판 중 블랙 매트릭스 및 액티브 영역의 일부에, 프레넬 패턴이 형성되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액티브 영역에서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산과 골의 깊이 차가 커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과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는 광학 시트를 구비하며, 광학 시트 중 블랙 매트릭스 및 액티브 영역의 일부에, 프레넬 패턴이 형성되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액티브 영역에서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산과 골의 깊이 차가 커진다. 이에 의하면, 액티브 영역에서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광의 굴절이 더 커지게 되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랙 매트릭스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 주변에 배치되는 베젤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베젤 감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프레넬 패턴에 의해, 렌즈와 같은 효과가 구현되며, 특히, 복수의 골의 가상 연장선은 비구면 곡선으로서, 액티브 영역에서 블랙 매트릭스 방향으로 갈수록, 골의 깊이가 커짐으로써, 광의 굴절이 더 커져,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랙 매트릭스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베젤 감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블랙 매트릭스의 폭 보다, 프레넬 패턴이 형성된 패턴부의 폭이 더 크도록함으로써, 패턴부에 의한 광의 굴절로 인하여, 액티브 영역 내의 화면 픽셀이, 확대가 되어, 블랙 매트릭스 상부에 표시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광학 시트가, 베이스부와,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며, 프레넬 패턴을 구비하는 패턴부를 포함하며, 패턴부의 폭 보다 베이스부의 높이가, 더 크도록 설정함으로써, 블랙 매트릭스에 인접한 액티브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 열화가 저감되게 된다.
또한, 광학 시트가, 베이스부와,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며, 프레넬 패턴을 구비하는 패턴부를 포함하며, 블랙 매트릭스의 폭 보다, 베이스부의 높이가, 더 크도록 설정함으로써, 블랙 매트릭스에 인접한 액티브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 열화가 저감되게 된다.
한편,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액티브 영역에서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산의 각도가 작아지도록 함으로써,광의 굴절이 더 커지게 되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랙 매트릭스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베젤 감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과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와, 복수의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는 광학 시트를 구비하며, 광학 시트 중 블랙 매트릭스 및 액티브 영역의 일부에, 프레넬 패턴이 형성되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액티브 영역에서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산과 골의 깊이 차가 커진다. 이에 의하면, 액티브 영역에서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광의 굴절이 더 커지게 되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랙 매트릭스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는 베젤의 폭이 줄어드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베젤 감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티브 영역과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는 글래스 기판를 구비하며, 글래스 기판 중 블랙 매트릭스 및 액티브 영역의 일부에, 프레넬 패턴이 형성되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액티브 영역에서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산과 골의 깊이 차가 커진다. 이에 의하면, 액티브 영역에서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광의 굴절이 더 커지게 되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랙 매트릭스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베젤 감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의 복수의 프레넬 패턴 중 어느 한 프레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4의 복수의 프레넬 패턴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도 6의 II-II'의 단면도의 다양한 예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도 7a 또는 도 7b의 광학 시트에 의한 영상표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a 또는 도 7b의 광학 시트에 의한 영상표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III- III'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IV-IV'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a의 디스플레이 장치(100b)는, 디스플레이(180)와, 디스플레이(180) 주변의 베젤(CS)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도 1b와 같이, 영상이 표시되는 패널(PAN)에 대응하는 액티브 영역(ACT), 액티브 영역(ACT)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BMa,BMb)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b)는, 디스플레이(180)의 액티브 영역(ACT) 및 블랙 매트릭스(BMa,BMb) 상의 광학 시트(2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광학 시트(210)와 블랙 매트릭스(BMa,BMb)의 측면에, 베젤(CS)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의 구조에 따르면, 액티브 영역(ACT)에서 영상이 표시되므로, 직진 방향으로 광이 출력된다.
한편, 도 1a 및 도 1b의 구조에 따르면, 블랙 매트릭스(BMa,BMb)에서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블랙 매트릭스(BMa,BMb)의 전면에서는, 영상 시청이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액티브 영역(ACT)에서 출력되는 광의 진행 방향이, 대부분 직진이며, 일부의 광이, 블랙 매트릭스(BMa,BMb) 방향으로 경사지게 출력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블랙 매트릭스(BMa,BMb)의 전면에서는, 영상 시청이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B-B'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2a의 디스플레이 장치(10b)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d)와,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d) 사이의 베젤(Bea,Beb),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d) 주변의 베젤(CS)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d) 중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80a~180b)는, 도 2b와 같이, 영상이 표시되는 패널(PANa,PANb)에 대응하는 액티브 영역(ACTa,ACTb), 액티브 영역(ACTa,ACTb)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BMa,BMb, BMc,BMd)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b)는, 도 2b와 같이, 액티브 영역(ACTa,ACTb) 및 블랙 매트릭스(BMa,BMb, BMc,BMd) 상의 광학 시트(210a,210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광학 시트(210a,210b)와 블랙 매트릭스(BMa,BMd)의 측면에, 베젤(CS)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b의 구조에 따르면, 액티브 영역(ACTa,ACTb)에서 영상이 표시되므로, 직진 방향으로 광이 출력된다.
특히, 도 2b의 구조에 따르면, 블랙 매트릭스(BMa,BMb, BMc,BMd)에서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블랙 매트릭스(BMa,BMb, BMc,BMd)의 전면에서는, 영상 시청이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액티브 영역(ACTa,ACTb)에서 출력되는 광의 진행 방향이, 대부분 직진이며, 일부의 광이, 블랙 매트릭스(BMa,BMb, BMc,BMd) 방향으로 경사지게 출력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블랙 매트릭스(BMa,BMb, BMc,BMd)의 전면에서는, 영상 시청이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80a~180b) 사이의 베젤(Bea)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특히,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80a~180b) 사이의 베젤(Bea)로 인하여,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80a~180b) 사이의 베젤(Bea)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몰입감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랙 매트릭스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한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베젤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여, 베젤 감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I-I'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디스플레이(180) 주변의 베젤(CS)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도 4와 같이, 영상이 표시되는 패널(PAN)에 대응하는 액티브 영역(ACT), 액티브 영역(ACT)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BM), 액티브 영역(ACT)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의 블랙 매트릭스(BM) 상의 광학 시트(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300)는, 블랙 매트릭스(BM) 및 액티브 영역(ACT)의 일부에, 프레넬 패턴(311)이 형성되며, 프레넬 패턴(311)은, 복수의 산(Pma~Pmn)과 골(Pva~Pvn)을 구비하며,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산과 골의 깊이 차(Dpa~Dpn)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도 4의 확대 도면과 같이,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산(Pma~Pmn)의 높이는 일정하고, 골(Pva~Pvn)의 높이가 낮아져, 결국, 산과 골의 깊이 차(Dpa~Dpn)가 커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프레넬 패턴(311)의 패턴에서의 산과 골의 깊이 차(Dpa~Dpn)가 커지므로,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액티브 영역(ACT)에서 출력되는 광의 굴절이 더 커지게 되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랙 매트릭스(BM)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4의 확대 도면과 같이,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산(Pma~Pmn)의 높이는 일정하고, 골(Pva~Pvn)의 높이가 낮아지되, 복수의 골(Pva~Pvn)의 가상 연장선이 비구면 곡선(CUR)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골(Pva~Pvn)의 높이가 비선형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특히,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골(Pva~Pvn)의 높이의 변화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골(Pva~Pvn)의 높이의 변화가 점차 증가하므로, 즉, 높이가 비선형적으로 낮아지므로,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프레넬 패턴(311)에 의한 굴절이, 비선형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특히,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프레넬 패턴(311)에 의한 굴절이, 더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랙 매트릭스(BM)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BM) 주변에 배치되는 베젤(Cs)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베젤 감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광학 시트(300)나, 베젤 주변에 별도의 광학 렌즈를 구비하지 않고도, 복수의 프레넬 패턴(fresnel pattern)을 이용함으로써, 광학 시트(300)의 두께가 얇아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4와 같이, 블랙 매트릭스(BM)의 폭(WBM) 보다, 프레넬 패턴(311)이 형성된 패턴부(310)의 폭(B)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같이, 프레넬 패턴(311)이, 광학 시트(300)의 단부에 형성되며, 블랙 매트릭스(BM)의 상부는 물론, 액티브 영역(ACT)의 일부의 상부에도, 형성됨으로써, 액티브 영역(ACT)에서 출력되는 광이, 프레넬 패턴(311)을 통해, 블랙 매트릭스(BM) 방향으로 더 많이 굴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랙 매트릭스(BM)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BM) 주변에 배치되는 베젤(Cs)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베젤 감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광학 시트(300)는, 베이스부(320)와, 베이스부(320) 상에 배치되며, 프레넬 패턴(311)을 구비하는 패턴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베이스부(320)가, 디스플레이(180)의 액티브 영역(ACT)과, 블랙 매트릭스(BM) 상에, 부착되고, 패턴부(310)가, 베이스부(320) 상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패턴부(310)가 블랙 매트릭스(BM)의 상부, 및 액티브 영역(ACT)의 일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프레넬 패턴(311)은, 도 4와 같이, 음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광학 시트(300)의 전체 높이 중 일부 영역에 음각 형태로, 프레넬 패턴(311)이 형성되므로, 프레넬 패턴(311)의 마모 등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베이스부(320)는, 실리콘(silic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굴절은 대략 1.42일 수 있다.
한편, 프레넬 패턴(311)의 굴절은, 베이스부(320) 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대략 1.5 내지 1.8의 굴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베이스부(320)의 높이(A)는, 1 내지 5 mm 일 수 있다.
한편, 패턴부(310)의 폭(B) 보다 베이스부(320)의 높이(A)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패턴부(310)의 폭(B)이 커져, 블랙 매트릭스(BM)는 물론, 액티브 영역(ACT)의 상당 영역까지 확장되는 경우, 패턴부(310)에 의해, 액티브 영역(ACT)에서 출력되는 광 중 블랙 매트릭스(BM) 방향으로 굴절되는 광이 많아지므로, 블랙 매트릭스(BM)의 전면에서 영상 시청이 가능하나, 시청시 영상의 휘도 또는 해상도 등이 저하되게 된다.
이에 따라, 패턴부(310)의 폭(B)은, 블랙 매트릭스(BM)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나, 베이스부(320)의 높이(A)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부(310)의 폭(B)이, 베이스부(320)의 높이(A) 보다 작은 경우, 즉, 패턴부(310)의 폭(B) 보다 베이스부(320)의 높이(A)가 더 큰 경우, 블랙 매트릭스(BM)의 전면에서 영상 시청이 가능하면서, 시청시 영상의 휘도 또는 해상도 등은 유사하게 유지되게 된다.
이에 따라, 영상의 휘도 또는 해상도 등은 유사하게 유지하면서, 블랙 매트릭스(BM)의 전면에서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블랙 매트릭스(BM)의 폭(WBM) 보다, 베이스부(320)의 높이(A)가 더 큰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턴부(310)의 폭(B) 보다 베이스부(320)의 높이(A)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므로, 블랙 매트릭스(BM)의 전면에서 영상 시청이 가능하면서, 시청시 영상의 휘도 또는 해상도 등은 유사하게 유지하게 하기 위해, 블랙 매트릭스(BM)의 폭(WBM) 보다, 베이스부(320)의 높이(A)가 더 큰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의하면, 광학 시트(300)의 측면, 및 블랙 매트릭스(BM)의 측면에 형성되는 베젤(CS)이 배치될 수 있으며, 광학 시트(300)의 패턴부(310)에 의해, 베젤(CS)의 전면에서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도 5a는 도 4의 복수의 프레넬 패턴 중 어느 한 프레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도 4의 복수의 프레넬 패턴의 상면도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프레넬 패턴(311)은, 산(Pm)과 골(Pv1,Pv2)을 구비할 수 있다.
골(Pv1)과 골(Pv2) 사이의 거리를 피치(pitch)라 정의할 수 있으며, 골(Pv2)과 수직선과의 각도를 θ1로서, 드래프트 각도(draft angle)라 정의하며, 골(Pv1)과 수평선과의 각도를 θ2로서, 프레넬 각도(fresnel angle)라 정의할 수 있으며, 산(Pm)의 내부 각도를 산의 각도(θ3)라 정의할 수 있다.
한편, 프레넬 패턴(311)은, 복수의 산(Pma~Pmn)과 골(Pva~Pvn)을 구비하며,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산(Pma~Pmn)의 각도(θ3)가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산(Pma~Pmn)의 각도(θ3)가 작아지는 경우, 액티브 영역(ACT)에서 출력되는 광은, 프레넬 패턴(311)에 의해, 블랙 매트릭스(BM) 방향으로 굴절되므로, 블랙 매트릭스(BM)의 전면에서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5b에 따르면, 프레넬 패턴(311)에 의해, 명부 영역(Arb)과 암부 영역(Ard)으로 구분되게 된다. 도면에서는 암부 영역(Ard) 보다 명부 영역(Arb)의 폭이 더 넓은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5a에서 정의되는 프레넬 패턴(311) 내의 파라미터 중, 피치(pitch)가,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암부 영역(Ard)이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블랙 매트릭스(BM)의 전면에서, 영상 시청이 더 잘 보이게 된다. 즉, 블랙 매트릭스(BM)의 실제 폭 보다, 감소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베젤의 실제 폭 보다, 감소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a에서 정의되는 프레넬 패턴(311) 내의 파라미터 중, 드래프트 각도(θ1)가,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암부 영역(Ard)이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블랙 매트릭스(BM)의 전면에서, 영상 시청이 더 잘 보이게 된다. 즉, 블랙 매트릭스(BM)의 실제 폭 보다, 감소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베젤의 실제 폭 보다, 감소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II-II'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6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d)와,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d) 사이의 베젤(Bea,Beb),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d) 주변의 베젤(CS)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d) 중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80a~180b)는, 도 7a 또는 도 7b와 같이, 영상이 표시되는 패널에 대응하는 액티브 영역(ACTa,ACTb), 액티브 영역(ACTa,ACTb)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BMa,BMb, BMc,BMd)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도 7a와 같이, 액티브 영역(ACTa,ACTb) 및 블랙 매트릭스(BMa,BMb, BMc,BMd) 상의 광학 시트(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광학 시트(500)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80a~180b) 사이의 베젤(Bea) 상에도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광학 시트(500)와 블랙 매트릭스(BMa,BMd)의 측면에, 베젤(CS)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a의 구조에 따르면, 광학 시트(500)는, 액티브 영역(ACTa,ACTb) 및 블랙 매트릭스(BMa,BMb, BMc,BMd) 상에 부착되는 베이스부(520), 베이스부(520)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프레넬 패턴(511a,511b)을 구비하는 패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프레넬 패턴(511a,511b)은, 베젤(Bea)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프레넬 패턴(511a,511b)에 대한 내용은, 도 3 내지 도 5b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즉, 복수의 프레넬 패턴(511a,511b) 각각은, 복수의 산(Pma~Pmn)과 골(Pva~Pvn)을 구비하며,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산과 골의 깊이 차(Dpa~Dpn)가 커질 수 있다.
복수의 프레넬 패턴(511a,511b) 내의 블랙 매트릭스의 폭 보다, 프레넬 패턴(511)이 형성된 패턴부(510)의 폭(B)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의 프레넬 패턴(511a,511b) 내의 복수의 골(Pva~Pvn)의 가상 연장선은 비구면 곡선일 수 있다.
광학 시트(500) 내의 패턴부(510)의 폭(B) 보다 베이스부(520)의 높이(A)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유사하게, 블랙 매트릭스의 폭 보다, 베이스부(520)의 높이(A)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프레넬 패턴(511a,511b) 각각은, 복수의 산(Pma~Pmn)과 골(Pva~Pvn)을 구비하며,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산(Pma~Pmn)의 각도가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a의 구조에 따르면, 하나의 광학 시트(50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d)의 전면에 배치되며, 형성된 프레넬 패턴에 의해, 블랙 매트릭스 전면에서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실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폭(Wbea) 보다 줄어든, Wbeo 의 영역에서만, 영상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즉, 시청자는, 실제 블랙 매트릭스 보다 줄어든 블랙 매트릭스를 인식하게 된다. 나아가, 실제 베젤 보다 줄어든 베젤을 인식하게 된다. 따라사,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d)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몰입감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도 7b는 도 7a와 달리, 제1 디스플레이(180a) 상에 제1 광학 시트(300a)가 부착되고, 제2 디스플레이(180b) 상에 제2 광학 시트(300b)가 부착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80a,180b)의 사이의 베젤(Bea)에는, 광학 시트가 부착되지 않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광학 시트(300a,300b)는, 도 3 내지 도 5b에서 기술한 광학 시트(300)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a 내지 도 8b는 도 7a 또는 도 7b의 광학 시트에 의한 영상표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8a는, 도 2b의 광학 시트(210a,210b)가 디스플레이 장치(10b)에 부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80a,180b)에서 화이트(white)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베젤(Bea)의 전면에서 인식되는 영상(81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영상(810) 내의 Bla 영역은, 베젤(Bea) 부근에 대응하는 영역으로서, 상당한 폭의 암부 영역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8b는, 도 7a 또는 도 7b의 광학 시트(500 또는 300a, 300b)가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부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80a,180b)에서 화이트(white)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베젤(Bea)의 전면에서 인식되는 영상(82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영상(820) 내의 Blc 영역은, 베젤(Bea) 부근에 대응하는 영역으로서, 도 8a에 비해, 암부 영역의 폭이 줄어들고, 암부 영역이 그라데이션 되어, 상대적으로 덜 어두운 것을 예시한다.
이와 같이, 도 7a 또는 도 7b의 광학 시트(500 또는 300a, 300b)에 의하면, 블랙 매트릭스, 또는 베젤 전면에서도, 액티브 영역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베젤 감소 효과를 인지하게 된다.
도 9는 도 7a 또는 도 7b의 광학 시트에 의한 영상표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80a~180d)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영상(91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9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다양한 장소에 배치 가능하며, 특히, 벽면에 부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비디오 월(video wall) 디스플레이 장치라 명명할 수도 있다.
제3 디스플레이(180c) 및 제4 디스플레이(180d)의 경게 영역인 Araa 영역에 대해, 도 2b의 광학 시트(210a,210b)를 적용한 경우, 실제의 베젤(Bea)의 폭과 동일한 암부 영역(Blaa)을 가지는 영상(915b)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Araa 영역에 대해, 도 7a 또는 도 7b의 광학 시트(500 또는 300a, 300b)를 적용한 경우, 실제의 베젤(Bea)의 폭 보다 작은 암부 영역(Blca)을 가지는 영상(915a)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베젤 감소 효과를 인지하게 된다.
한편, 제2 디스플레이(180b) 및 제4 디스플레이(180d)의 경게 영역인 Arbb 영역에 대해, 도 2b의 광학 시트(210a,210b)를 적용한 경우, 실제의 베젤(Beb)의 폭과 동일한 암부 영역(Blcb)을 가지는 영상(925b)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Arbb 영역에 대해, 도 7a 또는 도 7b의 광학 시트(500 또는 300a, 300b)를 적용한 경우, 실제의 베젤(Beb)의 폭 보다 작은 암부 영역(Blab)을 가지는 영상(925a)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베젤 감소 효과를 인지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0의 광학 시트(700)는, 도 4의 광학 시트(300)와 유사하나, 프레넬 패턴(711)이 광학 시트(700) 내에서 양각으로 형성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도 4와 달리, 액티브 영역 상의 프레넬 패턴(711)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712)의 높이 보다, 프레넬 패턴(711)이 형성된 패턴부(710)의 높이가 더 높게 된다.
한편, 도 4와 유사하게, 광학 시트(700)는, 블랙 매트릭스(BM) 및 액티브 영역(ACT)의 일부에, 프레넬 패턴(711)이 형성되며, 프레넬 패턴(711)은, 복수의 산(Pma~Pmn)과 골(Pva~Pvn)을 구비하며,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산과 골의 깊이 차(Dpa~Dpn)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도 10의 확대 도면과 같이,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산(Pma~Pmn)의 높이는 일정하고, 골(Pva~Pvn)의 높이가 낮아져, 결국, 산과 골의 깊이 차(Dpa~Dpn)가 커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프레넬 패턴(711)의 패턴에서의 산과 골의 깊이 차(Dpa~Dpn)가 커지므로,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액티브 영역(ACT)에서 출력되는 광의 굴절이 더 커지게 되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랙 매트릭스(BM)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0의 확대 도면과 같이,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산(Pma~Pmn)의 높이는 일정하고, 골(Pva~Pvn)의 높이가 낮아지되, 복수의 골(Pva~Pvn)의 가상 연장선이 비구면 곡선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골(Pva~Pvn)의 높이가 비선형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특히,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골(Pva~Pvn)의 높이의 변화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골(Pva~Pvn)의 높이의 변화가 점차 증가하므로, 즉, 높이가 비선형적으로 낮아지므로,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프레넬 패턴(711)에 의한 굴절이, 비선형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특히,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프레넬 패턴(711)에 의한 굴절이, 더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랙 매트릭스(BM)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BM) 주변에 배치되는 베젤(Cs)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베젤 감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광학 시트(700)나, 베젤 주변에 별도의 광학 렌즈를 구비하지 않고도, 복수의 프레넬 패턴(fresnel pattern)을 이용함으로써, 광학 시트(700)의 두께가 얇아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10과 같이, 블랙 매트릭스(BM)의 폭(WBM) 보다, 프레넬 패턴(711)이 형성된 패턴부(710)의 폭(B)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학 시트(700)는, 베이스부(720)와, 베이스부(720) 상에 배치되며, 프레넬 패턴(711)을 구비하는 패턴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패턴부(710)의 폭(B) 보다 베이스부(720)의 높이(A)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패턴부(710)의 폭(B)은, 블랙 매트릭스(BM)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나, 베이스부(720)의 높이(A)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블랙 매트릭스(BM)의 폭(WBM) 보다, 베이스부(720)의 높이(A)가 더 큰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에 의하면, 광학 시트(700)의 측면, 및 블랙 매트릭스(BM)의 측면에 형성되는 베젤(CS)이 배치될 수 있으며, 광학 시트(700)의 패턴부(710)에 의해, 베젤(CS)의 전면에서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1의 광학 시트(800)는, 도 4의 광학 시트(300)와 유사하나, 도 4와 달리, 무색의 광학투명점착층(OCA(Optically Clear Adhesive) layer)을 더 구비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광학 시트(800)는, 디스플레이(180)에 부착되는 제1 광학투명점착층(835), 제1 광학투명점착층(835) 상의 베이스부(820), 베이스부(820) 상의 제2 광학투명점착층(825), 제2 광학투명점착층(825) 상의 프레넬 패턴(811)을 구비하는 패턴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투명점착층(835) 및 제2 광학투명점착층(825)에 의하면, 디스플레이(180), 베이스부(820), 패턴부(810) 사이에 안정적인 점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III- III'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2의 디스플레이 장치(1200)는, 디스플레이(180)와, 디스플레이(180) 주변의 베젤(CS)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도 13과 같이, 영상이 표시되는 패널(PAN)에 대응하는 액티브 영역(ACT), 액티브 영역(ACT)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BMa,BMb), 액티브 영역(ACT)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200)는, 디스플레이(180)의 블랙 매트릭스(BMa,BMb) 상의 글래스 기판(13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기판(1300)은, 블랙 매트릭스(BM) 및 액티브 영역(ACT)의 일부에, 프레넬 패턴(1311)이 형성되며, 프레넬 패턴(1311)은, 복수의 산(Pma~Pmn)과 골(Pva~Pvn)을 구비하며,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산과 골의 깊이 차(Dpa~Dpn)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도 13의 확대 도면과 같이,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산(Pma~Pmn)의 높이는 일정하고, 골(Pva~Pvn)의 높이가 낮아져, 결국, 산과 골의 깊이 차(Dpa~Dpn)가 커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프레넬 패턴(1311)의 패턴에서의 산과 골의 깊이 차(Dpa~Dpn)가 커지므로,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액티브 영역(ACT)에서 출력되는 광의 굴절이 더 커지게 되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랙 매트릭스(BM)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3의 확대 도면과 같이,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산(Pma~Pmn)의 높이는 일정하고, 골(Pva~Pvn)의 높이가 낮아지되, 복수의 골(Pva~Pvn)의 가상 연장선이 비구면 곡선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골(Pva~Pvn)의 높이가 비선형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특히,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골(Pva~Pvn)의 높이의 변화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골(Pva~Pvn)의 높이의 변화가 점차 증가하므로, 즉, 높이가 비선형적으로 낮아지므로,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프레넬 패턴(1311)에 의한 굴절이, 비선형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특히,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프레넬 패턴(1311)에 의한 굴절이, 더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랙 매트릭스(BM)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BM) 주변에 배치되는 베젤(Cs)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베젤 감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글래스 기판(1300)이나, 베젤 주변에 별도의 광학 렌즈를 구비하지 않고도, 복수의 프레넬 패턴(fresnel pattern)을 이용함으로써, 글래스 기판(1300)의 두께가 얇아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13과 같이, 블랙 매트릭스(BM)의 폭(WBM) 보다, 프레넬 패턴(1311)이 형성된 패턴부(1310)의 폭(B)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3에 의하면, 글래스 기판(1300)의 측면, 및 블랙 매트릭스(BM)의 측면에 형성되는 베젤(CS)이 배치될 수 있으며, 광학 시트(1300)의 패턴부(1310)에 의해, 베젤(CS)의 전면에서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IV-IV'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4의 디스플레이 장치(1400)는, 디스플레이(180)와, 디스플레이(180) 주변의 베젤(CS)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도 15와 같이, 영상이 표시되는 패널(PAN)에 대응하는 액티브 영역(ACT), 액티브 영역(ACT)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BMa,BMb), 액티브 영역(ACT)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베젤(CS)은, 도 4 등과 달리, 도 15와 같이, 블랙 매트릭스(BM)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 시트(1500)는, 도 4와 달리, 베젤(CS), 블랙 매트릭스(BMa,BMb), 액티브 영역(ACT)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베젤(CS), 블랙 매트릭스(BMa,BMb), 액티브 영역(ACT) 상에 부착되는 광학 시트(1500)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400)는,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 등일 수 있다.
한편, 도 15의 광학 시트(1500)는, 블랙 매트릭스(BM) 및 액티브 영역(ACT)의 일부에, 프레넬 패턴(1511)이 형성되며, 프레넬 패턴(1511)은, 복수의 산(Pma~Pmn)과 골(Pva~Pvn)을 구비하며,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산과 골의 깊이 차(Dpa~Dpn)가 커지는 것으로 한다.
특히, 도 15의 확대 도면과 같이,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산(Pma~Pmn)의 높이는 일정하고, 골(Pva~Pvn)의 높이가 낮아져, 결국, 산과 골의 깊이 차(Dpa~Dpn)가 커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프레넬 패턴(1511)의 패턴에서의 산과 골의 깊이 차(Dpa~Dpn)가 커지므로, 액티브 영역(ACT)에서 블랙 매트릭스(BM)로 갈수록, 액티브 영역(ACT)에서 출력되는 광의 굴절이 더 커지게 되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랙 매트릭스(BM)의 전면에서도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5의 광학 시트(1500)의 특성은 도 4 내지 도 5b에서 설명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영상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과 상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는 광학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광학 시트 중 상기 블랙 매트릭스 및 상기 액티브 영역의 일부에, 프레넬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상기 산과 골의 깊이 차가 비선형적으로 커지며,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상기 프레넬 패턴에 의한 굴절이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며,
    상기 광학 시트는, 일정한 높이의 베이스부와, 상기 프레넬 패턴이 배치되는 패턴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상기 프레넬 패턴의 산의 높이는 일정하고, 상기 골의 높이는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폭 보다, 상기 프레넬 패턴이 형성된 패턴부의 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골의 가상 연장선은 비구면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의 폭 보다 상기 베이스부의 높이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높이는, 1 내지 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폭 보다, 상기 베이스부의 높이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상기 산의 각도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패턴은, 상기 광학 시트 상에 음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패턴은, 상기 광학 시트 상에 양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시트의 측면, 및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베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베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광학 시트는, 상기 베젤 상에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영상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과 상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는 광학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광학 시트 중 상기 블랙 매트릭스 및 상기 액티브 영역의 일부에, 프레넬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상기 산과 골의 깊이 차가 비선형적으로 커지며,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상기 프레넬 패턴에 의한 굴절이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며,
    상기 광학 시트는, 일정한 높이의 베이스부와, 상기 프레넬 패턴이 배치되는 패턴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상기 프레넬 패턴의 산의 높이는 일정하고, 상기 골의 높이는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폭 보다, 상기 프레넬 패턴이 형성된 패턴부의 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삭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의 폭 보다 상기 베이스부의 높이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폭 보다, 상기 베이스부의 높이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상기 산의 각도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베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광학 시트는, 상기 베젤 상에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영상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과 상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는 글래스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글래스 기판 중 상기 블랙 매트릭스 및 상기 액티브 영역의 일부에, 프레넬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넬 패턴은, 복수의 산과 골을 구비하며,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상기 산과 골의 깊이 차가 비선형적으로 커지며,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상기 프레넬 패턴에 의한 굴절이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며,
    상기 글래스 기판은, 일정한 높이의 베이스부와, 상기 프레넬 패턴이 배치되는 패턴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로 갈수록, 상기 프레넬 패턴의 산의 높이는 일정하고, 상기 골의 높이는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083630A 2017-06-30 2017-06-30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2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630A KR102402188B1 (ko) 2017-06-30 2017-06-30 디스플레이 장치
US16/018,980 US10739499B2 (en) 2017-06-30 2018-06-26 Display apparatus
PCT/KR2018/007388 WO2019004766A1 (en) 2017-06-30 2018-06-29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630A KR102402188B1 (ko) 2017-06-30 2017-06-3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26A KR20190003126A (ko) 2019-01-09
KR102402188B1 true KR102402188B1 (ko) 2022-05-25

Family

ID=6473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630A KR102402188B1 (ko) 2017-06-30 2017-06-3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39499B2 (ko)
KR (1) KR102402188B1 (ko)
WO (1) WO20190047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4604B2 (en) 2021-04-23 2023-07-04 Netflix, Inc. Adjustable light-emissive elements in a display wall
CN115225740B (zh) * 2022-06-06 2023-07-14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显示屏及成像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0366A (ja) 2011-01-20 2012-08-09 Sharp Corp 導光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579309B1 (ko) * 2009-03-31 2016-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463B1 (ko) * 2008-06-13 2011-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KR20120026229A (ko) * 2010-09-09 2012-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드 표시장치
US9588264B2 (en) * 2011-10-12 2017-03-07 Corning Incorporated Bezel-concealing display covers and display devices
KR102034586B1 (ko) 2013-07-15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비전 디바이스 및 이에 부착되는 렌즈 바
KR20150019841A (ko) 2013-08-16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KR102188105B1 (ko) * 2014-06-20 202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KR102355821B1 (ko) 2015-05-28 2022-0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355832B1 (ko) * 2015-05-28 2022-0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패널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309B1 (ko) * 2009-03-31 2016-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2150366A (ja) 2011-01-20 2012-08-09 Sharp Corp 導光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04216A1 (en) 2019-01-03
US10739499B2 (en) 2020-08-11
KR20190003126A (ko) 2019-01-09
WO2019004766A1 (en)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4282B2 (en) Curved bezel-concealing display device covers and bezel-free display devices
US10551030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20150002783A1 (en)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554611B1 (ko) 광 산란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광원 패키지
KR1024021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6197519A1 (zh) 视角扩大膜及包括其的广视角薄膜晶体管液晶显示装置
CN110308591B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WO2017177671A1 (zh) 显示装置
JP2012145944A (ja)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用カラーシフト低減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具備する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5011009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6208535A (ja) 液晶表示装置
US1113895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non-flat display surface and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CN104914609A (zh) 具不同曲率设计的显示装置
KR100875491B1 (ko)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그리고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CN110244490A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TWI431332B (zh) 規則圖案光學片
KR102073159B1 (ko) 백라이트 유닛
JP2006010788A (ja) 画像表示装置
CN101737682A (zh) 具导光板棱柱结构的背光模块及其制造方法
JP2009192610A (ja) 液晶表示装置
TW201248577A (en) Display system with wide horizontal viewing range and narrow vertical viewing range
KR101321248B1 (ko) 엘이디 패널의 고휘도화 개조를 위한 광학 필름의 적층 구조
CN111052136B (zh) 一种屏下指纹系统、光学指纹显示模组及电子装置
JP2011033803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CN210573824U (zh) 一种屏下指纹系统、光学指纹显示模组及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