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509B1 -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및 그 제작 공정 - Google Patents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및 그 제작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509B1
KR101971509B1 KR1020180058210A KR20180058210A KR101971509B1 KR 101971509 B1 KR101971509 B1 KR 101971509B1 KR 1020180058210 A KR1020180058210 A KR 1020180058210A KR 20180058210 A KR20180058210 A KR 20180058210A KR 101971509 B1 KR101971509 B1 KR 101971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adhesive
double label
label paper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Priority to KR1020180058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88Labels or ticket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part, e.g. with address of sender or other reference on separate section to main label; Multi-copy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86Forms or constructions provided with adaptations for labelling mach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케이스의 상단 원주면에 점착되어 실링하기 위한,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첨착 이중 라벨지를 제작하기 위한 공정과 이에 따른 제품으로서, 상원단을 투입하는 공정; 상원단에 포켓부를 형성하는 공정; 상원단의 하면에 하원단을 투입하는 공정; 상원단에 하면에 하원단을 적층하여 상호 접합하는 합지공정; 및 상단 원주면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라인을 따라 상원단 및 하원단을 절개하고, 소정의 관통구가 상원단 내면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절개하는 공정을 통해, 화장품 용기 등의 실링 기능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상원단의 핸들 라벨층의 하면은 점착층이 제거되어 개봉시 손잡이용 포켓의 기능을 가지는 이중 라벨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및 그 제작 공정{Patial adhesive double label having pocke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와 그 제작 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화장품의 특정 물질이 담긴 용기의 상부를 실링하도록 하는 라벨지로서, 부분적으로 점착층이 형성되고 부분적으로 개구된 구조를 통해 개봉시 손잡이용 포켓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이중 라벨지와 이에 대한 제작 공정에 대한 기술분야이다.
화장품 등의 용기에는 그 내용물의 보관과 밀봉을 위하여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의 상부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 점착성 라벨지가 밀착되도록 제품이 출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경우, 이러한 화장품의 용기 상단에 형성된 라벨지는 개봉시에 손잡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라벨지의 외주면의 일측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도록 하였다.
종래의 이와 같은 구조는 화장품의 용기 상단의 원주, 즉 내주면에 밀착되는 영역 외에 개봉시 사용되는 돌출된 부분의 경우, 화장품 용기의 커버를 덮는 경우 화장품의 용기 상부를 실링하는 영역으로 돌출된 부분이 접히도록 설계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설계 구조는 돌출된 부분의 접힌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화장품 용기를 닫고 보관하고 이를 유통하는 과정에서 라벨지를 통해 화장품 용기의 상부의 실링에 부분적인 밀착성이 소실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결과적으로 화장품 용기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트리게 되며, 이는 곧 화장품을 판매하는 회사에 대한 고객의 신뢰도와 만족도를 떨어트리는 결과로 기인하게 된다.
기존에는 특정 영역의 실링과 개방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1중의 라벨지에 특정 영역만 점착층이 제거된 상태로 형성시켜, 점착층이 제거된 영역을 손잡이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는데, 이러한 구조는 대부분 물티슈용 개공부 커버 라벨지에서 주로 응용되는 구조였다.
화장품의 용기와 관련된 라벨지에 대한 특허문헌은 아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물티슈의 상부 개공부의 개폐를 위한 점착성 라벨지에 대한 기술적인 다양한 시도는 다수의 특허문헌에서 발견되고 있다.
먼저, "물티슈용기(등록번호 제20-0457266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 내에서 관련된 기술을 개시한다.
특허문헌1(실용신안)의 경우, 물티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물티슈인출구가 형성된 용기본체의 상면에 덮개가 힌지연결된 프레임이 부착되고 프레임내에 노출된 물티슈인출구를 포함하는 부위에 일측에 반원형 탭이 형성된 점착스티커가 저면의 점착제층에 의하여 점착된다. 특허문헌1에 따르면, 점착스티커의 일측에 형성된 탭에 폭이 좁은 연장부를 가지고 저면에 점착제층이 없는 돌출부가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물티슈 리필용 지퍼백(공개번호 제20-2010-0008081호, 이하 특허문헌2라 한다.)"도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며 공개하고 있다.
특허문헌2(실용신안)의 경우, PVC(또는 기타연질합성수지류)지퍼백을 팩에포장된 물티슈의 리필용백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인데, 특허문헌2의 현존의물티슈팩[도6]에서 밀폐덮개를 제거하여 리필용물티슈팩[도7]으로 만들고 이 리필용물티슈팩을 교환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기위하여 제작된 리필전용 겉포장으로 밀폐덮개(B)를 부착시킨 PVC 또는 연질플라스틱류의 재질을 사용한 지퍼(또는 벨크로, 스냅버튼)백에 대한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개봉 확인용 물티슈 용기 덮개(공개번호 제20-2017-0002831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 역시 본 발명 그 자체는 아니지만, 관련된 내용에 대한 배경적 기술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개봉 확인용 물티슈 용기 덮개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면에 인출공을 형성한 물티슈 용기의 상부에 결합하여 인출공을 덮고, 일부 절취하여 상기 물티슈 용기의 개봉 및 상기 인출공의 개방을 이루는 개봉부; 및 물티슈 용기의 상부에 접합하고, 내측면에 상기 개봉부의 테두리를 접합하는 테두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들 기술들은 1중의 점착성 라벨지의 매우 제한적인 부분에만 점착층의 제거 공정을 가하게 되고 이러한 점착층 제거 영역을 손잡으로서 활용하는 등의 제한적이며 퇴보적인 기술적 사상만을 개시하고 있는바, 화장품 용기 등에 사용되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실링 능력의 부재 등으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 등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등록번호 제20-0457266호 공개번호 제20-2010-0008081호 공개번호 제20-2017-0002831호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및 그 제작 공정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내용물의 실링력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라벨지의 개봉 및 재점착에 사용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도록 하되, 이러한 손잡이가 내용물의 실링력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한다.
셋째, 라벨지 개봉을 위한 손잡이가 사용에 따른 노후과 용기 뚜껑의 개폐에 따라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그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및 그 제작 공정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제작 공정의 경우, 내용물을 수용하는 케이스의 상단 원주면에 점착되어 실링하기 위한,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첨착 이중 라벨지를 제작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S100) 상원단을 투입하는 공정; (S200) 상기 상원단에 포켓부를 형성하는 공정; (S300) 상기 상원단의 하면에 하원단을 투입하는 공정; (S400) 상기 상원단에 하면에 상기 하원단을 적층하여 상호 접합하는 합지하는 공정; 및 (S500) 상기 상단 원주면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라인을 따라 상기 상원단 및 상기 하원단을 절개하고, 소정의 관통구가 상기 상원단 내면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절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제작 공정의 상기 (S200) 단계는, (S210) 상기 상원단에 형성된 상기 포켓부의 하면의 점착층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며, 상기 상단 원주면에 대응하는 영역의 하면의 점착층은 잔존시키는 점착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제작 공정의 상기 (S500) 공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팅 블레이드가 상기 상원단의 두께만큼만 선택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소정의 관통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제작 공정은, (S600) 상기 상단 원주면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라인을 따라 절개된 상기 하원단의 여백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제작 공정은, (S700) 상기 하원단의 여백만이 선택적으로 제거된, 상기 하원단의 하면에 백업층이 투입되어 합지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제작 공정은, (S900) 상기 상단 원주면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라인을 따라 절개된 상기 상원단의 여백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의 경우, 내용물을 수용하는 케이스의 상단 원주면에 점착되어 실링하기 위한,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첨착 이중 라벨지로서, 상기 상단 원주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점착되며, 상기 상단 원주면을 실링하는 하원단; 상기 하원단 상면에 적층되며, 상기 하원단의 상면 중, 상기 상단 원주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하원단과 접합되는 상원단; 상기 상원단 중 소정의 영역만 선택적으로 상기 하원단과의 비접착되도록 형성되는 포켓부; 및 상기 상원단 중 상기 포켓부와 상기 상단 원주면에 대응하는 영역 외의 영역만이 선택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의 상기 포켓부는, 상기 하원단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봉시 손잡이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및 그 제작 공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의 경우, 백업층의 후지로 합지함으로써 최종 라벨링 획득하는 과정에서 시트가 찢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롤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상원단의 핸들 라벨층의 하면은 점착층이 제거되어 개봉시 손잡이용 포켓의 기능을 가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화장품 용기 등의 상단 테두리에는 하원단이 밀착하며, 이러한 상단 테두리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원단의 점착부가 대응되도록 하는바, 화장품 용기 등의 실링 기능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의 제작 공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도 1의 상원단 투입 공정에서 투입되는 상원단의 층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인쇄 단계와 점착 제거 단계에 따른 상원단의 상면과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하원단 투입 공정 후, 합지 공정에 따른 상원단과 하원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백업층 합지 후, 상원단의 여백을 제거한 공정을 거친 최종 산출물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들이다.
도 8은 도 6 및 7의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파운데이션 수용용기)에 적용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및 그 제작 공정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의 제작 공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도 1의 상원단 투입 공정에서 투입되는 상원단의 층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인쇄 단계와 점착 제거 단계에 따른 상원단의 상면과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하원단 투입 공정 후, 합지 공정에 따른 상원단과 하원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백업층 합지 후, 상원단의 여백을 제거한 공정을 거친 최종 산출물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들이다. 도 8은 도 6 및 7의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파운데이션 수용용기)에 적용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및 그 제작 공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도면들과 함께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의 제작 공정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의 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러한 이중의 층의 상층 즉, 상원단에는 이러한 이중층을 오픈하도록 돕는 포켓부(111)를 형성하는 것을 그 주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제작 공정에 의한 결과물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상단면을 커버하며 실링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용기의 개봉시에는 포켓부(111)를 손가락 예컨대, 집게 손가락의 끝으로 집어서 오픈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하게 된다.
배경기술 등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라벨지는 1중의 라벨이었으면서, 이러한 용기의 개봉을 위하여 용기의 상단 원주면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를 구비하도록 되었는바, 이러한 돌출된 영역으로 인하여 라벨지의 실링력이 약화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었던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의 제작 공정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라벨지의 상부를 형성하게 되는 상원단(100)을 먼저 준비하도록 하며, 이러한 상원단(100)을 공정의 초기 과정으로 투입하는 과정을 가지게 된다.
상원단(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인쇄가 이루어질 수 있는 핸들 라벨층(110)이 구비되며, 그 하부에는 제 1 점착층(120)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원단(100)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예시 외에도, 제 1 점착층(120)의 하부에는 이들 핸들 라벨층(110)과 제 1 점착층(120)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이른바 후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원단 투입공정(S100)에서는 이를 제거하고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원단 투입공정(S100) 이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원단 처리공정(S200)을 가지게 된다.
상원단 처리공정(S200)의 경우, 인쇄 단계(S210)나 점착 제거단계(S220)를 가질 수 있는데, 인쇄 단계(S210)의 경우, 본 상원단 처리공정(S200)의 단계에서 필수 불가결한 요소는 아니며, 점착 제거단계(S220)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점착 제거단계(S220)의 경우, 도 2에서의 제 1 점착층(120)의 점착물질을 영역에 따라 선택적으로만 제거, 이른바 골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영역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하는 이중 라벨지의 모양이 원형이며, 그 원형 내부에 형성되는 포켓부(111)의 모양이 도 3(a)에 도시된 포켓부(111)의 형상과 같다면, 포켓부(111)의 그 하면에는 제 1 점착층(120)이 제거되도록 한다.
아울러, 절개부(112)는 후술하게 되는 절개 공정(S500)에서 절개되고, 향후 버려지는 영역인데, 이러한 절개부(112)의 하면에는 제 1 점착층(120)이 제거될 수도 있고, 제거를 하지 않아도 향후, 절개공정(S500) 및 상원단 여백 제거 공정(S900)에서 제거함으로써 없애질 수도 있도록 할 수 있다.
점착 제거단계(S220)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도 3에서 포켓부(111)의 그 하면에는 비점착 영역(121)을 형성하도록 하며, 용기의 상단부 원주면에 대응되는 영역인 점착부(113)의 하면인 점착 영역(122)에는 점착이 잔존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원단 처리공정(S200) 후에는 하원단 투입공정(S300)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의 제작 공정의 경우, 도 1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원단(200)을 상원단(100)의 하면에 적층하여 상호 합지하는 과정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상원단(100)의 점착부(113)과 점착영역(122)의 경우, 하원단(200)의 상면에 접착되도록 하여, 향후 최종 생산물(도 6 내지 8)에서는 이들이 상호 떼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접합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원단(200)의 경우, 최초로 공급되는 형태인 후면 라벨층(210), 후면 점착층(220), 그리고 후면 후지층(230)의 형태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도 4 참조).
합지 공정(S400)이 끝난 후에는, 상원단(100)과 하원단(200)을 목적하는 바에 맞추어 절개하는 공정(S500)을 가지게 된다.
먼저, 상원단(100)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부분 중, 실선, 즉, 용기의 상단 원주면(도 8 참조)에 대응하는 영역인 점착부(113)의 아웃터 라인(outer line)을 따라 절개하도록 하고, 상원단(110)의 내면 중 절개부(112)를 따라 절개하도록 한다.
하원단(200)의 경우, 하원단 투입공정(S300) 후 즉시, 혹은 동시에 하원단에 일부를 절개하고 여백을 제거한 후 상원단(100)의 하면에 합지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포켓부(111)의 경우, 절개부(112)에 인접한 실선은 절개할 수 있으나, 점선 부분은 절개해서는 안되는 영역이다..
상단부(100)의 경우, 절개부(112)의 형성을 위하여, 절개부(112, 123) 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상단부(100)의 절개부(112, 123)만을 절개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팅 블레이드(cutting blade)가 이들 상원단(100)의 핸들 라벨층(110)과 제 1 점착층(120)의 두께만큼만 선택적으로 정교하게 관통하여 절개하고, 이러한 소정의 관통구(절개부 112, 123 참조)를 형성하는 것이 매주 중요한 공정 작업에 해당한다.
절개 공정(S500) 중, 하원단(200)의 절개의 경우, 용기의 상단 원주면(도 8 참조)에 대응하는 영역이면서 동시에 상원단(100)의 점착부(113)의 아웃터 라인(outer line)에 대응하는 라인을 따라 절개하게 된다.
하원단(200)의 절개의 경우, 상원단(100)을 절개하는 커팅 블레이드(cutting blade)을 이용하여 상원단(100)의 아웃 라인 절개시에 함께 절개하여도 무방하다.
절개 공정(S500)을 거친 이들 상원단(100) 및 하원단(200)의 경우, 도 4에서는 원형 실선을 따라서는 모두 절개되며, 상원단(100)의 절개부(112)는 상원단(100)만 선택적으로 절개되어 있다.
이후, 하원단(200)의 여백 즉, 도 4의 아웃 라인의 외부 영역이 모두 제거되는 하원단 여백 제거 공정(S600)을 가질 수 있다.
하원단(200)의 여백이 제거되면, 도 4에서 상원단(100)은 절개만 된 상태로 그대로 유지되며, 하원단(200)만 아웃터 라인(outer line)의 내부 영역은 잔존하며, 아웃 라인의 외부 영역만 제거되어 있는 것이다.
도 4에서 하원단(200)의 아웃 라인 외면의 경우, 모두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도 4에서 하원단(200)의 아웃 라인 내면의 경우, 후면 후지층(230)만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하원단(200) 중 후면 라벨층(210)과 후면 점착층(220)은 잔존하도록 형성되는 것 바람직하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의 제작 공정의 경우, 백업층 투입공정(S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백업층 투입공정(S700)의 경우, 이른바 후지 갈아타기라고 재명명할 수도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원단(100)이 절개된 상태로 하원단(200)은 원형 아웃라인 내부만 남은 상태로 제품이 공급되는 경우, 공급사에 공급된 후 롤러 형태 등의 공정에 투입되면, 이들 상원단(100)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후지를 필름이나 기타 질긴 재질로 서포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새로운 후지를 갈아타는 이와 같은 공정은 백업층(300, 도 5 참조)이 하원단 여백 제거공정(S600) 후 상원단(100)과 (여백이 제거된)하원단(200)의 하부에 공급된 후, 점착되어 합지될수 있다.
참고로, 상원단(100)의 경우, 백업층(300)에 합지된 후, 상원단(100)의 여백이 제거되는 공정으로 하여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후, 상원단(100)의 경우, 도 3의 아웃라인(113의 외부 라인)의 외부 영역이 제거되는 상원단(100)의 여백이 제거되는 공정을 가질 수 있으며, 이후 제품의 형태는 도 5와 같이 투명하거나 기타 질긴 백업층(300) 상에 용기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디자인된 산출물만이 남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산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포켓부(111)를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상부를 커버하고 실링하는 것인데, 실링하기 위하여 용기의 상단 원주면에 점착하는 부분은 도 6 및 7에서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하면 점착부(113)의 그 하면이 될 것이다. 아울러, 용기를 개봉하는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포켓부(111)를 집고 떼어내도록 하는데, 이 경우에는 상원단(100)과 하원단(200)의 점착부(113)는 상호 접착되어 그 합지 상태를 유지하되, 용기의 상단 원주면과 하원단(200)만 떼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물론, 상원단(100)의 포켓부(111)는 하원단(200)과 상호 이격될 수 있도록 포켓부(111)의 밑면은 제 1 점착층(120)이 점착 제거단계(S220)에서 선택적으로 제거된 상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에 관한 제작 공정에 의할 경우, 도 6 및 7과 같은 최종 산출물을 얻어낼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의 경우, 하원단(200), 상원단(100), 포켓부(111), 및 절개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먼저, 하원단(200)의 경우, 도 8과 같이, 내용물을 수용하는 케이스의 상단 원주면을 커버하며 실링하는 라벨지로서, 이러한 상단 원주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점착되는 구성이다.
하원단(200)은 용기의 상단 원주면에 압착되면서, 자체적으로 구비하는 미세한 쿠션감을 통해, 용기의 커버, 캡 등을 닫을 경우, 자체의 점착력과 캡과 용기의 상단 원주면의 압착력과 더불어 용기의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원단(100)은 하원단(200)의 상면에 적층되는 구조인데, 이러한 적층 즉, 합지의 공정은 상술한 S40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원단(100)과 하원단의 적층은 도 4와 같은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적층 즉, 합지를 통해, 이중의 라벨지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원단(100)은 인쇄 공정을 통해 그 상면에 모양이나 글자 등을 인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원단(100)은 인쇄가 이루어질 수 있는 핸들 라벨층(110)과 그 하면에 점착 기능을 가지는 제 1 점착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원단(100)은 하원단(200)과 합지되는 과정에서 그 하면의 전(全) 면이 하원단(200)과 합지되는 것이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의 상단 원주면에 대응하는 영역 즉, 점착부(113, 122)만이 하원단(200)의 상면과 접착되어 합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원단(100)은 그 내부에 포켓부(111)과 절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포켓부(111)의 경우, 상원단(100)의 핸들 라벨층(110)의 일부인데, 그 상면은 인쇄 등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 그 하면은 제 1 점착층(120)이 제거되는 작업 즉, 골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포켓부(111)의 경우, 상원단(100)이 하원단(200)과 합지된 후에도, 하원단(200)의 상면과는 손으로 집어 올리는 경우 이격되어 일정한 포켓(pocket)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켓부(111)는 상원단(100)의 표면의 중심으로부터, 150도 내지 250도의 각도를 구비하도록 절개부(112)까지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 포켓의 형상으로서의 기능을 어느정도 수행한다고 볼 것이다.
반면, 절개부(123)의 경우, 상원단(100)에서 선택적으로 관통되어, 핸들 라벨층(110)은 물론 제 1 점착층(120)까지 제거되어, 상원단(100)에서 관통구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6(a)의 경우와 같이, 절개부(123)의 경우, 그 관통되는 영역이 포켓부(111)의 상부와 상단 원주면에 대응되는 영역 중 내주면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반면, 도 6(b)와 같이, 절개부(123)는 상단 원주면에 대응되는 영역의 일부까지 침투하여, 일부분이 개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a)와 같이, 절개부(123)는 상단 원주면에 대응되는 영역의 일부가 확장되어, 포켓부(111)의 상부에 해당하는, 상단 원주면에 대응되는 영역의 모두가 잘려나갈 수 있도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도 7(b)와 같이, 포켓부(111)는 매우 조금만 형성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상원단(100)의 점착부(113)는 상원단의 중앙의 영역까지 형성시킬 수 있으며, 절개부(112)는 상원단(100)의 외주면에 해당하는 영역까지 확장될 수도 있다.
절개부(112)의 형성시, 하나 이상의 커팅 블레이드(cutting blade)가 상원단(100)의 두께만큼만 침투하여 절개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최종 산출물의 퀄리티를 좌우하는 섬세한 기술적 요소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의 경우, 도 6 및 7에 도시된 산출물의 그 하부에 투명 백업층(300)을 추가하여 합지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백업층(300)이 합지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질긴 백업층(300)을 통해 백업층(300) 상부에 부착된 이들 이중 라벨지의 롤링시 상원단(100)의 취약성으로 인해 상원단(100)의 끊김 문제와 이러한 끊김 문제로 인한 공정상의 차질을 방지하는 주요한 기술적 요소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상원단 110: 핸들 라벨층
111: 포켓부 112: 절개부
113: 점착부 114: 여백부
120: 제 1 점착층 121: 비점착 영역
122: 점착 영역 123: 절개부
124: 여백부 200: 하원단
210: 후면 라벨층 220: 후면 점착층
230: 후면 후지층 300: 백업층

Claims (9)

  1. 내용물을 수용하는 케이스의 상단 원주면에 점착되어 실링하기 위한,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첨착 이중 라벨지를 제작하기 위한 공정에 있어서,
    (S100) 상원단을 투입하는 공정;
    (S200) 상기 상원단에 포켓부를 형성하는 공정;
    (S300) 상기 상원단의 하면에 하원단을 투입하는 공정;
    (S400) 상기 상원단에 하면에 상기 하원단을 적층하여 상호 접합하는 합지공정;
    (S500) 상기 상단 원주면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라인을 따라 상기 상원단 및 상기 하원단을 절개하고, 소정의 관통구가 상기 상원단 내면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절개하는 공정; 및
    (S600) 상기 상단 원주면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라인을 따라 절개된 상기 하원단의 여백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S200) 단계는,
    (S210) 상기 상원단에 형성된 상기 포켓부의 하면의 점착층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며, 상기 상단 원주면에 대응하는 영역의 하면의 점착층은 잔존시키는 점착 제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S500) 공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팅 블레이드가 상기 상원단의 두께만큼만 선택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소정의 관통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제작 공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제작 공정은,
    (S700) 상기 하원단의 여백만이 선택적으로 제거된, 상기 하원단의 하면에 백업층이 투입되어 합지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제작 공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제작 공정은,
    (S900) 상기 상단 원주면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라인을 따라 절개된 상기 상원단의 여백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제작 공정.
  7. 내용물을 수용하는 케이스의 상단 원주면에 점착되어 실링하기 위한,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첨착 이중 라벨지에 있어서,
    상기 상단 원주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점착되며, 상기 상단 원주면을 실링하는 하원단;
    상기 하원단 상면에 적층되며, 상기 하원단의 상면 중, 상기 상단 원주면에 대응되는 영역만 선택적으로 상기 하원단과 접합되는 상원단;
    상기 상원단 중 소정의 영역만 선택적으로 상기 하원단과의 비접착되도록 형성되는 포켓부; 및
    상기 상원단 중 상기 포켓부와 상기 상단 원주면에 대응하는 영역 외의 영역만이 선택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포켓부는,
    상기 하원단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봉시 손잡이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상원단 중 상기 상단 원주면에 대응하는 영역 중, 상기 절개부에 인접하는 부분의 일부를 추가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KR1020180058210A 2018-05-23 2018-05-23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및 그 제작 공정 KR101971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210A KR101971509B1 (ko) 2018-05-23 2018-05-23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및 그 제작 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210A KR101971509B1 (ko) 2018-05-23 2018-05-23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및 그 제작 공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509B1 true KR101971509B1 (ko) 2019-04-23

Family

ID=6628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210A KR101971509B1 (ko) 2018-05-23 2018-05-23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및 그 제작 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5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3497A (zh) * 2019-12-30 2020-05-08 东莞领益精密制造科技有限公司 一种无基材双面胶的裁切方法
KR102220718B1 (ko) 2020-06-24 2021-02-25 이승현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
KR102246345B1 (ko) 2020-12-02 2021-04-28 이승현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
KR102246346B1 (ko) 2020-12-02 2021-04-28 이승현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2352A (ja) * 1998-03-27 1999-10-15 Sanseisha:Kk ポケット付きラベルの製造方法及びポケット付きラベル
KR20100008081U (ko) 2009-02-05 2010-08-13 임장오 물티슈 리필용 지퍼백
KR200457266Y1 (ko) 2009-03-13 2011-12-12 한울생약 주식회사 물티슈용기
KR20170002831U (ko) 2016-02-01 2017-08-09 이시홍 개봉 확인용 물티슈 용기 덮개
KR20170003540U (ko) * 2016-04-04 2017-10-16 코스맥스 주식회사 콤팩트 케이스용 씰링라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2352A (ja) * 1998-03-27 1999-10-15 Sanseisha:Kk ポケット付きラベルの製造方法及びポケット付きラベル
KR20100008081U (ko) 2009-02-05 2010-08-13 임장오 물티슈 리필용 지퍼백
KR200457266Y1 (ko) 2009-03-13 2011-12-12 한울생약 주식회사 물티슈용기
KR20170002831U (ko) 2016-02-01 2017-08-09 이시홍 개봉 확인용 물티슈 용기 덮개
KR20170003540U (ko) * 2016-04-04 2017-10-16 코스맥스 주식회사 콤팩트 케이스용 씰링라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3497A (zh) * 2019-12-30 2020-05-08 东莞领益精密制造科技有限公司 一种无基材双面胶的裁切方法
KR102220718B1 (ko) 2020-06-24 2021-02-25 이승현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
KR102246345B1 (ko) 2020-12-02 2021-04-28 이승현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
KR102246346B1 (ko) 2020-12-02 2021-04-28 이승현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509B1 (ko)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및 그 제작 공정
JP3195305B2 (ja) シート状開閉蓋を有する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11209317B2 (en) Resealable packaging for food produc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7842365B2 (en) Resealable label flap and base material
EP3392163A1 (en) Container structure with a built-in opening and reclosing feature
US8727205B2 (en) Reclosable pack
CN106241078A (zh) 一种卷烟包装软盒
TWI663102B (zh) 可剝離標籤及其製造方法、可剝離標籤的捲繞卷筒及物品或物質的包裝
CN103207550A (zh) 色粉盒密封组件
JP2004026197A (ja) 密閉容器用ラベルとその製造方法
JP2006213369A (ja) 易開封性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131104U (ja) 包装容器
CA2281715C (en) Tape for resealing a pack of flexible articles
JPH09204144A (ja) 封緘用ラベル
EA037540B1 (ru) Тара для потребительских товаров с повторно закрываемым клапаном
JP4322529B2 (ja) ラベル及びラベル付属シート供給帯状体
JP2011078511A (ja) 化粧料シートおよびその製法
KR102134483B1 (ko) 포장지 일체형 마스크 팩
JPS6013668Y2 (ja) 帳票パツク
JP7296127B2 (ja) シール付ラベル、シール付ラベル帯状体及びシール付ラベルを用いた包装品
KR20190044728A (ko) 봉인라벨
JPH0136784Y2 (ko)
JP2004331129A (ja) 紙と透明フィルムの複合包装体
JP4178297B2 (ja) ブリスターパッケージ
US20040060841A1 (en) Booklet blister packag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