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346B1 -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346B1
KR102246346B1 KR1020200166875A KR20200166875A KR102246346B1 KR 102246346 B1 KR102246346 B1 KR 102246346B1 KR 1020200166875 A KR1020200166875 A KR 1020200166875A KR 20200166875 A KR20200166875 A KR 20200166875A KR 102246346 B1 KR102246346 B1 KR 102246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abel
air gap
adhesive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Priority to KR1020200166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88Labels or ticket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part, e.g. with address of sender or other reference on separate section to main label; Multi-copy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86Forms or constructions provided with adaptations for labelling mach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의 수용 용기 상단에 점착되어 실링하기 위한 라벨 유닛(label unit); 및 라벨 유닛의 하면의 전면에 적층되어 형성되며, 라벨 유닛에 점착력을 제공하는 본딩 유닛(bonding unit)을 포함하는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라벨지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System for partial adhesive label with airgap and layer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을 에어갭을 구비하는 이중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내용물이 담긴 용기의 상부에 점착되어 실링하기 위한 라벨지로서 내부에는 에어갭을 형성하여 함몰에 대한 복원력을 구비하며, 상부에 개봉 개시 공간을 형성하여 개봉력을 구비하는 이중 라벨지 및 그 적층 방법에 대한 기술분야이다.
시장조사 기관 마켓리서치퓨처(MarketResearchFuture)에 따르면, 2019~2023년까지 전 세계 화장품 및 미용용기 시장은 연평균 5.2%성장하여 356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성장의 배경에는 개발도상국의 생활 수준 향상으로 미용, 청결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진 영향이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소형, 휴대용, 편리성 등의 기능에 대한 수요와 새로운 패키징 기술 혁신이 결합하면서 향후 전체 시장 성장의 동력이 될 것이라 분석하였다.
화장품을 안전하게 밀봉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의 상부에는 점착성 라벨지가 밀착되어진 형태로 제품 출하되고 사용자에게 전달되어진다.
점착성 라벨지는 내용물을 온도, 습도, 광, 미생물 등의 자연환경에서 보호하며, 화장품을 제작, 운반, 보관할 때에 내용물의 손실이나 오염을 방지하며, 화장품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용기의 상단에 점착되어 내용물을 실링(sealing)하는 점착성 라벨지는 외주면의 일측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었으며, 이와 같은 구조는 화장품의 용기 상단에 밀착되어 점착되는 영역 외에 돌출된 부분이 접히도록 설계되었으며, 용기를 열고 닫는 과정을 통하여 실링된 부분의 밀착성이 소실되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내용물에 대한 안정성 및 안전성은 물론, 사용자로부터 신뢰도를 떨어뜨리게 되어 고객의 만족도와 함께 매출의 영향까지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술적인 다양한 시도가 다수의 특허문헌에서 발견되고 있다.
먼저, "화장품 용기의 밀봉 라벨(등록번호10-1914007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1의 경우, 화장품 용기의 화장품 수용면을 밀봉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화장품 수용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단되어 구비되는 라벨 용지 본체; 화장품 용기의 화장품 수용면의 테두리에 접하도록 라벨용지의 화장품 수용면과 접하는 면에 배치되는 제1 점착영역; 및 화장품 수용면에 인접한 테두리 벽에 접하도록 제1 점착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점착영역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의 밀봉 라벨을 제공한다.
특허문헌1의 경우, 밀봉하고자 하는 화장품 용기 수용체 면 뿐만 아니라 용기 내측면에도 첨착되어 화장품 내용물 침식으로 발생할 수 있는 밀봉 라벨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라벨에 관한 것이다.
또한 선행 특허문헌(실용신안)으로서 "콤팩트 케이스용 씰링라벨(공개번호20-2017-0003540호, 이하 특허문헌2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2의 경우, 콤팩트 케이스용 씰링라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의 밀봉성을 높이는 동시에 쉬운 제거를 위한 손잡이를 가진 콤팩트 케이스용 이중씰링라벨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2의 경우, 씰링라벨의 외각선 바깥으로 튀어나오는 부분이 없이 몸체 크기에 맞는 두 장의 필름을 겹친 후 손잡이가 될 일부분만 남기고 한 장의 필름이 되도록 붙임으로써 내용물의 밀봉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손잡이 부분을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가 씰링라벨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및 그 제작 공정(등록번호10-1971509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도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여 개시한다.
특허문헌3의 경우, 화장품의 특정 물질이 담긴 용기의 상부를 실링하도록 하는 라벨지로서, 부분적으로 점착층이 형성되고 부분적으로 개구된 구조를 통해 개봉시 손잡이용 포켓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이중 라벨지와 이에 대한 제작 공정에 대한 기술분야이다.
특허문헌3의 경우, 내용물을 수용하는 케이스의 상단 원주면에 점착되어 실링하기 위한,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첨착 이중 라벨지를 제작하기 위한 공정과 이에 따른 제품으로서, 상원단을 투입하는 공정; 상원단에 포켓부를 형성하는 공정; 상원단의 하면에 하원단을 투입하는 공정; 상원단에 하면에 하원단을 적층하여 상호 접합하는 합지공정; 및 상단 원주면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라인을 따라 상원단 및 하원단을 절개하고, 소정의 관통구가 상원단 내면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절개하는 공정을 통해, 화장품 용기 등의 실링 기능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상원단의 핸들 라벨층의 하면은 점착층이 제거되어 개봉시 손잡이용 포켓의 기능을 가지는 이중 라벨지를 개시한다.
종대의 경우, 용기의 내용물을 밀봉하기 위한 라벨지의 손잡이가 라벨지로부터 돌출되어 용기의 개폐에 의해 돌출된 라벨지의 들뜸이 발생하였는데, 특허 문헌2와3의 경우, 내부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종래의 문제점에 해당하는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제한적인 기술적 사상만을 개시하고 있는바, 들뜸 현상을 제외한 다양한 문제점에 대하여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등록번호10-1914007호 공개번호20-2017-0003540호 등록번호10-1971509호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라벨지 내부에 에어갭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에어갭을 통해 라벨지 함몰에 의한 내용물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라벨지 개봉에 대한 개봉 개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되, 라벨지 개봉 개시 공간이 라벨지 내에 형성되어 용기 개폐에 의한 훼손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은 내용물의 수용 용기 상단에 점착되어 실링하기 위한 라벨 유닛(label unit); 및 상기 라벨 유닛의 하면의 전면에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라벨 유닛에 점착력을 제공하는 본딩 유닛(bond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상기 본딩 유닛은, 소정의 깊이만큼 절개되며, 상기 본딩 유닛의 내면만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상기 본딩 유닛의 내부에 소정의 에어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상기 시스템은, 상기 본딩 유닛 하면에 제공되어 라벨지를 서포팅하는 서포팅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상기 본딩 유닛은, 상기 서포팅 유닛과 상기 본딩 유닛이 소정의 깊이로 절개되며, 상기 서포팅 유닛과 상기 본딩 유닛의 내면이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에어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상기 에어갭은, 소정의 내부압력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내부압력을 통해 상기 내용물과 상기 라벨 유닛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상기 에어갭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라벨 유닛이 임의 함몰되면, 상기 소정의 내부압력에 의해 상기 라벨 유닛의 상면의 수직 위치를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상기 라벨 유닛은, 상면에 선택적으로 접착되며 상기 라벨 유닛의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상기 커버부는, 라벨 유닛과 선택적 본딩을 형성하여 상기 라벨 유닛과 상기 커버부를 상호 접착하는 접착부; 및 상기 라벨 유닛과 선택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라벨 유닛과 상기 커버부 사이의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파우치(pouch)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상기 파우치부는, 상기 소정의 공간을 통해 사용자의 개봉 개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접착부를 따라 스티키 아웃라인(sticky outline)을 형성하며, 상기 스티키 아웃라인은, 상기 커버부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일부 형성되며,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영역을 고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상기 커버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파우치부가 상기 수용 용기로부터 탈거시 상기 돌출된 영역으로부터 상기 라벨 유닛의 외주면을 향해 힘이 분산되어 상기 수용 용기로부터 상기 커버부와 상기 라벨 유닛이 동시에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상기 서포팅 유닛은, 상기 서포팅 유닛의 몸체를 형성하는 보디부; 및 상기 보디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딩 유닛과 접촉되는 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상기 라벨 유닛은, 사용자에 의해 개봉이 개시되면 상기 접착부와 상기 라벨 유닛의 일부면이 접착을 유지하며 상기 수용 용기로부터 동시에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연장되는 표면을 형성하되 상기 커버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그립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상기 서포팅 유닛은, 하면 또는 상면에 강도를 형성하며, 내면이 선택적으로 제거되는 경우에도 상기 라벨 유닛의 형상이 유지되어 상기 라벨 유닛을 서포팅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상기 서포팅 유닛은, 상면과 하면의 인장 강도에 차등을 두어, 임의 절개에 대하여 단계적 저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적층 방법은 (s1) 서포팅 유닛 상에 본딩 유닛이 적층된 상태로 마련하는 단계; (s2) 상기 본딩 유닛을 목적하는 영역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절개하며, 상기 서포팅 유닛의 표면에 제2소정 깊이로 절개하는 단계; (s3) 상기 본딩 유닛 중, 목적하는 영역 외의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s4) 상부에 라벨 유닛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적층 방법의 상기 방법은, (s4) 단계 후, (s5) 상기 라벨 유닛의 미리 설정된 라벨 형상에 따라 일정 깊이로 절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적층 방법의 상기 방법은, (s5) 단계 후, (s6) 상기 미리 설정된 라벨 형상 외 여백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적층 방법의 상기 (s3) 방법은, 상기 목적하는 영역 외의 부분은 외력에 의하여 흡착되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적층 방법의 상기 (s5) 방법은, 상기 목적하는 영역의 내부에 소정의 에어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라벨지 내부 에어갭을 형성하며 에어갭은 소정의 압력으로 내용물과 라벨지를 일정간격 유지하여 내용물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에어갭 내부의 소정의 압력에 의하여 라벨지 함몰 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 라벨지 함몰로 인한 내용물 파손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라벨지 내부에 라벨지 개봉 개시 공간을 구비하여 용기의 개폐로 인한 라벨지 훼손 및 실링 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라벨지 내부에 라벨지 개봉 개시 공간으로부터 일정한 방향으로 힘이 분산되어 라벨지의 개봉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라벨 유닛과 본딩 유닛을 통해 에어갭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라벨 유닛과 본딩 유닛을 통해 에어갭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제2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에어갭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에어갭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파우치부를 구비하는 이중 라벨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파우치부를 구비하는 이중 라벨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복원력을 구비하는 에어갭을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내용물 용기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적층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라벨 유닛과 본딩 유닛을 통해 에어갭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라벨 유닛과 본딩 유닛을 통해 에어갭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제2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에어갭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에어갭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파우치부를 구비하는 이중 라벨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파우치부를 구비하는 이중 라벨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복원력을 구비하는 에어갭을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내용물 용기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적층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은 라벨 유닛(label unit, 100), 본딩 유닛(bonding unit, 200)을 포함할 수 있다. 라벨 유닛(100)의 경우, 내용물의 수용 용기 상단에 점착되어 실링하기 위하여 내용물의 수용 용기의 내주면을 따라 점착될 수 있다.
또한, 본딩 유닛(200)의 경우, 라벨 유닛(100)의 하면의 전면에 적층되어 형성되며, 라벨 유닛(100)에 점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딩 유닛(200)은 라벨 유닛(100)이 내용물의 수용 용기 상단에 점착될 수 있도록 점착력을 제공하며, 용기의 상단에서 외부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다.
라벨 유닛(100)은 용기 상단의 내면에 부착되어 내용물을 외부의 공기, 수분, 광, 미생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라벨 유닛(100)이 용기 상단의 내면과 그 길이가 동일 유사하여 용기 상단에 점착되어 내용물을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벨 유닛(100)의 하면의 전면 즉, 하면의 전 영역에 걸쳐 적층된 본딩 유닛(200)은 용기 상단에 점착될 외주면을 제외한 내면의 영역에 대하여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딩 유닛(200)의 경우, 상면에 라벨 유닛(100)과의 접착을 유지하기 위하여 라벨 유닛(100)과 접촉하는 면은 접착력을 구비하여 접착되어 용기 상단에서 본딩 유닛(200)과 라벨 유닛(100)이 동시에 탈거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본딩 유닛은, 소정의 깊이만큼 절개되며, 본딩 유닛(200)의 내면만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본딩 유닛(200)의 내부에 소정의 에어갭(10)을 형성할 수 있다.
본딩 유닛(200)은 내면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제거 영역을 구분하는 절개가 이루어지며, 절개 라인을 따라 용기에 점착될 외주면은 라벨 유닛(100)에 남게 되고 내면만이 제거되어 지게 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의 라벨 유닛(100)의 전 영역에 형성된 본딩 유닛(200)이 (b)와 같이 절개 라인을 따라 내면만이 선택적으로 제거되어진 것을 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내면 절개에 대한 공정은 필수적이며, 향후 본딩 유닛(200)의 내면은 점착 성분이 남아있지 않도록 버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벨 유닛(100)은 상면에 인쇄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는데,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며, 인쇄층은 본딩 유닛(200)의 제거 과정 이후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거 과정 이전에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과정은 본딩 유닛(200)의 제거 과정을 전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딩 유닛(200)이 제거된 라벨지는 하면이 도4의 (b)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은 도4의 (a)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면은 높이차가 형성되지 않지만, 하면의 경우 본딩 유닛(200)이 형성된 영역과 본딩 유닛(200)이 제거된 영역의 높이차가 구비되며, 이러한 높이차를 통한 라벨지의 내부 영역은 에어갭(10)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은 본딩 유닛(200) 하면에 제공되어 라벨지를 서포팅하는 서포팅 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내면만이 제거된 상태의 라벨지는 예컨대, 도4와 같이 라벨 유닛(100)이 원형인 경우 내면의 본딩 유닛(200)이 제거되고 라벨 유닛(1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영역을 따라 본딩 유닛(200)이 남은 상태가 되는데, 본딩 유닛(200)이 노출된 상태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 공급과정에서 본딩 유닛(200)으로 불순물 투입이 생길 수 있다.
본딩 유닛(200)의 불순물 투입으로 인하여, 용기의 상단에 점착력이 제대로 형성될 수 없으며, 불순물로 인해 내용물에 미칠 영향 또한 존재하므로 서포팅 유닛(300)을 통해 본딩 유닛(200)을 보호하여 이후 공정을 위해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서포팅 유닛(3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부(320), 필름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디부(320)의 경우, 서포팅 유닛(300)의 몸체를 형성하며, 필름부(310)는 보디부(320)의 상면에 형성되어 본딩 유닛(200)과 접촉되도록 2중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서포팅 유닛(300)은 후지에 해당하며, 서포팅 유닛(300) 중 본딩 유닛(200)과 접촉하는 층은 필름이 형성되어 본딩 유닛(200)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층이 필름부(310)라 할 수 있다.
또한, 서포팅 유닛(300)의 몸체는 다양한 소재를 형성할 수 있다.
서포팅 유닛(300)은 라벨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이동의 편리함과 후에 이어질 공정에서의 용이함이 모두 구비되어야 하는데, 라벨지는 보호하는 역할은 본딩 유닛(200)을 보호하여 이동 과정 중 이물질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에 해당할 것이다.
아울러, 이동 과정 중 라벨지를 하나씩 이동시키는 것보다 긴 후지에 한 번에 이동시키는 것이 편리하며, 이에 이어질 공정에서 바로 탈거 된 후 수용 용기 내면에 점착될 수 있도록 필름부(310)를 통해 용이하게 후지로부터 탈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본딩 유닛(200)의 경우, 서포팅 유닛(300)과 본딩 유닛(200)이 소정의 깊이로 절개되며, 서포팅 유닛(300)과 본딩 유닛(200)의 내면이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에어갭을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서술한 에어갭을 형성하는 라벨지 시스템의 경우, 본딩 유닛(200)의 내부만이 에어갭을 형성하지만, 이후 서술할 에어갭은 본딩 유닛(200)과 서포팅 유닛(300)에 동시에 구비되는 에어갭(10)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 유닛(100)의 전 영역에 형성된 본딩 유닛(200)과 본딩 유닛(200)의 하면에서 본딩 유닛(200)을 보호하는 서포팅 유닛(300)이 구비되어 내면이 제거될 수 있다.
서포팅 유닛(300)과 본딩 유닛(200)의 내면만이 제거되기 위하여 서포팅 유닛(300)에서 본딩 유닛(200)을 동시에 절개하도록 하는데, 절개되는 영역은 수용용기 내면에 부착될 영역과 제거될 영역을 구분하는 절개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절개된 라인을 통해 내면만이 제거되어질 수 있으며, 이때, 서포팅 유닛(300)과 본딩 유닛(200)의 내면이 동시에 제거되어 에어갭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갭의 경우, 수용 용기의 내용물과 라벨 유닛(100) 사이에서 에어갭(10)을 형성할 수 있다.
도2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딩 유닛(200)의 하부에 서포팅 유닛(300)이 구비됨과 동시에 선택적 절개가 이루어지고 내면이 제거되는 작업은 도1에 도시된 공정과정에 비해 하나의 공정이 감소되며, 공정과정의 감소는 비용의 감소로 이어져 더 저렴한 가격에 더 좋은 퀄리티의 라벨지 생산을 기대할 수 있다.
내면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본딩 유닛(200)만을 절개하거나 서포팅 유닛(300)과 본딩 유닛(200)을 한 번에 절개하는 과정은 정교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본딩 유닛(200)의 두께만큼 또는 서포팅 유닛(300)과 본딩 유닛(200)의 두께만큼 정교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에어갭(10)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라벨 유닛(100)이 임의 함몰되면, 소정의 내부압력에 의해 라벨 유닛(100)의 상면의 수직 위치를 복원시킬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갭(10)을 구비하는 라벨지는 에어갭(10)을 통해 사용자의 눌림에 대하여서 복원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에어갭(10)을 통해 나타나게 되어질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팅 유닛(300)과 라벨 유닛(100)사이의 에어갭(10)을 통하여도, 내용물과 라벨 유닛(100)사이에 형성된 에어갭(10)에도 모두 라벨 유닛(100)은 복원력을 나타낼 수 있다.
에어갭(10)의 내부에는 소정의 내부 압력을 구비할 수 있는데, 소정의 내부 압력은 라벨 유닛(100)이 제작 과정에서의 눌림 또는 임의의 눌림으로 함몰되는 경우 내부의 압력에 의하여 라벨 유닛(100)을 본 위치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에어갭(10)을 형성하는 내부 압력은 상온을 형성하는 섭씨15도에서 25도에서의 공기압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용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내용물과 결합을 형성하지 않는 기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에어갭(10)의 이러한 내부의 압력에 의하여 라벨 유닛(100)이 수용 용기 로부터 함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외부의 힘에 대하여도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복원력은 유통과정에서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으며, 제작 공정에서 발생되는 임의의 힘에 의한 라벨 유닛(100)의 찢어짐 및 함몰 현상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이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통한 모든 과정에 있어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라벨 유닛(100)은, 상면에 선택적으로 접착되며 라벨 유닛(100)의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10)는 라벨 유닛(100)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접착되어 형성되며, 이는 도5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 유닛(100)의 전면에 해당하는 영역을 커버할 수도 있으며 일부를 커버할 수도 있다.
목적하는 커버부(110)의 모양에 따라 또는 수용 용기의 모양 및 그 크기에 따라 커버부(110)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접착되어 질 수 있다.
아울러, 커버부(110) 또한 인쇄층(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인쇄층에는 커버부(110)의 열림 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접착되어지는 경우, 라벨 유닛(100)의 상면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착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내면의 어느 한 지점에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커버부(110)는 도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 유닛(100)의 모양이 원형일 경우, 외주면과 거의 동일하게 접착되어 질 수도 있으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의 어느 한 지점에 접착되어 질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110)의 전 영역이 라벨 유닛(100)과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커버부(110)의 경우, 접착부(111), 파우치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111)의 경우, 라벨 유닛(100)과 선택적 본딩을 형성하여 라벨 유닛(100)과 커버부(110)를 상호 접착할 수 있다.
접착부(111)는 커버부(110)에서 라벨 유닛(110)과 접촉을 형성하는 영역에 해당하며, 접착부(111)의 접착을 통하여 커버부(110)는 라벨 유닛(110)에 부착되어 질 수 있다.
또한, 커버부(110)는 라벨 유닛(110)과 접착을 형성하지 않는 영역이 제공되는데 이는 파우치부(112)에 해당하며, 파우치부(112)는 라벨 유닛(100)과 선택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라벨 유닛(110)과 커버부(110) 사이의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파우치부(112)는 라벨 유닛(110)과는 이격되어 라벨 유닛(100)과 커버부(110)사이에 파우치(pouch)와 같은 주머니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내용물을 담는 주머니가 아닌 라벨 유닛(110)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파우치와 같은 형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커버부(110)와 접착되지 않는 파우치부(112)는 커버부(110)와 라벨 유닛(11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공간은 사용자의 손을 통해 라벨지를 떼어 낼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파우치부(112)는, 소정의 공간을 통해 사용자의 개봉 개시 공간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파우치부(112)의 경우,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라벨 유닛(110)과 커버부(11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사용자가 개봉을 개시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부(112)는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된 공간이 넓게 형성되어 질 수도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인 (b)와 같이 커버부(110)로부터 약간 만 형성될 수도 있다.
개봉 개시 공간은 사용자가 파우치부(112)에 한 지점을 손으로 집에 들어 올리게 되는 영역에 대한 공간을 의미하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집어 개봉을 시작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손으로 집에 들어 올리게 되는 경우, 파우치부(112)는 라벨 유닛(100)으로부터 더 많이 이격되어 질 수 있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부(112)가 넓은 경우, 라벨 유닛(100)으로부터 많은 공간이 이격되며 주머니와 같은 형상이 만들어질 수 있으며,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부(112)가 좁은 경우, 라벨 유닛(110)으로부터 90도 정도의 각도로 들어 올려져 개봉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커버부(110)는, 접착부(111)를 따라 스티키 아웃라인(sticky outline)부(113)를 형성할 수 있다.
스티키 아웃라인부(113)의 경우, 커버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일부 형성되며,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영역을 고립시킬 수 있다.
스티키 아웃라인부(113)는 접착부(111)의 아웃라인에 해당할 수 있는데, 즉,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 유닛(100)과 접착되는 접착부(111)와 파우치부(112)의 라인에 해당될 수 있다.
스티키 아웃라인부(113)는 커버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의 커버부(110)의 외주면은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 유닛(100)의 내면과 커버부(110)의 내면이 동일하게 접촉하는 외주면에 해당할 수 있으며,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 유닛(100)과 커버부(110)가 단차를 형성하는 외주면에 해당할 수도 있다.
스티키 아웃라인부(113)은 미리 설정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화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커버부(110)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수용 용기로부터 탈거시 돌출된 영역으로부터 라벨 유닛(100)의 외주면을 향해 힘이 분산되어 수용 용기로부터 커버부(110)와 라벨 유닛(100)이 동시에 탈거될 수 있다.
사용자가 파우치부(112)의 일부를 들어 올리는 경우, 들어올리는 지점으로부터 라벨 유닛(100)의 외주면을 향해 힘이 분산되며, 분산된 힘에 의해 손쉽게 수용 용기로부터 라벨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들어 올린 지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힘의 방향성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Figure 112020130605641-pat00001
즉, 사용자가 들어올리는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라벨 유닛(100)의 외주면을 향하여 벡터합이 0으로 수렴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파우치부(112)부터 들어 올려 지는 경우, 커버부(110)와 라벨 유닛(100)은 접착부(111)에 의하여 접착이 유지되며, 탈거 또한 커버부(110)와 라벨 유닛(100)이 함께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이중 라벨을 가지는 라벨지가 내면에 개봉 개시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제거 시 라벨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는데, 힘의 방향이 일정하게 분산되어 짐을 통해 개봉 시 라벨 분리 현상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커버부(110)의 경우, 커버부(110)로부터 연장되는 표면을 형성하되 커버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그립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립공간은 커버부(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영역에 해당하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 유닛(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립공간은 사용자가 들어 올리는 공간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접착제와 같은 접착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들어 올릴 수 없기에 접착물질을 하부에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그립공간을 돌출된 고립된 영역에 해당하며, 고립된 영역은 접착물질이 포함되지 않는 접착부(111)로부터 고립된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립공간의 경우, 모양과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되는 영역이 수용 용기 외주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서포팅 유닛(300)은, 하면 또는 상면에 강도를 형성하며, 내면이 선택적으로 제거되는 경우에도 라벨 유닛(100)의 형상이 유지되어 라벨 유닛(100)을 서포팅 할 수 있다.
종래의 서포팅 유닛(300)은 내부의 영역이 제거되는 경우, 새로운 제거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서포팅 유닛(300)으로 갈아주는 과정인 후지갈이 과정이 포함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 서포팅 유닛(300)에 강도를 형성하여 라벨 유닛(100)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며, 서포팅 유닛(300)의 일부 영역이 제거되는 경우에도 후지갈이 과정을 거치지 않을 수 있다.
서포팅 유닛(300)에 형성되는 강도는 종래의 후지갈이 과정 중 발생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을 절약할 수 있으며 후지갈이 과정 중 발생하는 버려지는 쓰레기의 양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의 서포팅 유닛(300)은, 상면과 하면의 인장 강도에 차등을 두어, 임의 절개에 대하여 단계적 저항을 형성할 수 있다.
서포팅 유닛(300)의 경우, 상면에는 필름으로 형성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필름이 형성된 표면의 경우 하면에 형성된 종이 재질 또는 합성 재질에 비하여 인장 강도가 높으며, 사용자가 임의 절개를 형성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절개에 대한 저항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인장 강도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대한 강도가 높아질 수 있는데 예컨대, 절개에 대한 저항에 대하여 공정 과정 중 일어날 수 있는 자극이나 공정 과정 중 발생하는 이동에 대하여 라벨 유닛(100)을 안전하게 서포팅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서포팅 유닛(300) 중 라벨 유닛(100)과 접촉하는 면에 대한 인장 강도가 더 세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공정 과정 또는 이동 과정 중 발생하는 저항에 대하여 라벨 유닛(100)을 서포팅 하는 것이 서포팅 유닛(300)의 목적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서포팅이 유지되기 위하여 라벨 유닛(100)과 접촉하는 면의 인장강도가 더 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적층 방법의 경우,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 서포팅 유닛(300) 상에 본딩 유닛(200)이 적층된 상태로 마련하는 단계, (s2) 서포팅 유닛(300)의 상면에 목적하는 영역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절개하며, 서포팅 유닛(300)의 표면에 제2소정 깊이로 절개하는 단계, (s3) 본딩 유닛(200) 중, 목적하는 영역 외의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s4) 상부에 라벨 유닛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의 층을 이루는 서포팅 유닛(300)은 몸체, 접착제, 보호지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몸체, 접착제으로 형성되어 질 수도 있다.
몸체의 경우, 서포팅 유닛(300)의 몸체를 형성하며 절개되지 않고 라벨 유닛(100)을 서포팅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팅 유닛(300) 중 상면에 목적하는 영역을 따라 절개하는 단계를 가지는데, 목적하는 영역은 라벨 유닛(100)과 접촉하는 목적하는 영역에 해당하며, 목적하는 영역은 수용 용기의 내주면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목적하는 영역은 수용 용기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점착을 형성하는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절개 시 본딩 유닛(200)이 절개되는 중 서포팅 유닛(300)의 표면의 일부 즉 제2소정의 깊이로 서포팅 유닛(300) 표면의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이는 본딩 유닛(200)의 재질은 소프트하여 절개 시 본딩 유닛(200)의 완벽한 절개를 위해 서포팅 유닛(300)의 일부까지 절개되어 질 수 있다.
즉, 서포팅 유닛(300)에 형성되는 제2소정의 깊이는 서포팅 유닛(300)을 절개하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절개되는 영역은 서포팅 유닛(300) 상면에 존재하는 본딩 유닛(200)만이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지는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지로 공정 과정 전에 제거되어 공정에 투입될 수도 있으며, 공정 과정 중 접착제와 함께 제거되어 질 수도 있다.
서포팅 유닛(300)의 몸체를 형성하는 층은 절개 과정 중 절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하여 절개 깊이에 대한 정교함이 요구될 수 있다.
절개과정을 거치면 상부에 라벨 유닛(100)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라벨 유닛은 수용 용기 내주면에 점착되는 경우, 가장 상부에 형성되게 된다.
라벨 유닛의 경우, 서포팅 유닛(300)에 목적하는 영역에 남아 있는 접착제와 접착을 유지하게 되며, 향후 떨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접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적층 방법의 경우, 라벨 유닛(100)의 미리 설정된 라벨 형상에 따라 일정 깊이로 절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라벨 형상은 라벨의 모양을 의미하며 용기의 내주면의 크기 또는 원하는 라벨 모양에 따라 라벨의 형상대로 절개하도록 할 수 있다.
라벨 형상대로 절개되는 과정 또한 일정 깊이 즉, 라벨 유닛(100)만을 절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라벨 유닛(100)의 두께에 대한 일정 깊이만큼 절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라벨 유닛 외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라벨은 미리 설정된 라벨 형상이 전산상에 손잡이가 외부에 형성되도록 설정되어야 하며, 전산상에 입력된 형상에 따라 일정한 깊이만큼 원하는 형상에 따라 절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적층 방법의 경우, 미리 설정된 라벨 형상 외 여백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개된 라벨 유닛(100)의 여백을 제거하는 단계를 통하여 수용 용기 내주면에 점착될 수 있는 라벨지가 형성되어 지게 된다.
라벨 유닛(100)의 여백 제거 단계를 거치면, 최종적으로 서포팅 유닛(300) 상부에 라벨 유닛(100)이 형성되어지게 되며 서포팅 유닛(300)과 라벨 유닛(100)의 사이에 접착제로 둘 사이가 접촉되어지게 된다.
접착제는 본딩 유닛(200)에 해당하며, 본딩 유닛(200)은 라벨 유닛(1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적층 방법의 경우, 상기 목적하는 영역의 내부에 소정의 에어갭(10)을 형성할 수 있다.
에어갭(10)은 도1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 유닛(100)과 서포팅 유닛(300) 사이에 갭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본딩 유닛(200)의 두께에 따라 두께 또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갭(10)은 사용자에 의해 라벨 유닛(100)이 임의 함몰되어도 내부에 포함된 내부압력에 의해 라벨 유닛(100)의 상면의 수직 위치를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내부 압력으로 인하여 공정 과정 중의 눌림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눌림에 대한 복원력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적층 방법의 경우, (s3) 방법은, 목적하는 영역 외의 부분은 외력에 의하여 흡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목적하는 영역 외의 부분은 외부의 외력에 의하여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계적인 방법에 의하여 외부에서 제공되는 흡착력을 통하여 본딩 유닛(200)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기계적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화된 기계적 움직임으로 흡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인가되는 흡착력은 본딩 유닛(200)과 서포팅 유닛(300) 사이의 점착되는 인력보다 강한 힘으로 흡착되어 본딩 유닛(200)의 일부가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에어갭
100: 라벨 유닛
110: 커버부
111: 접착부
112: 파우치부
113: 스티키 아웃라인
200: 본딩 유닛
300: 서포팅 유닛

Claims (2)

  1. 내용물의 수용 용기 상단에 점착되어 실링하기 위한 라벨 유닛(label unit); 및
    상기 라벨 유닛의 하면에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라벨 유닛에 점착력을 제공하는 본딩 유닛(bonding unit)을 포함하되,
    상기 라벨 유닛은,
    상면에 선택적으로 접착되며 상기 라벨 유닛의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라벨 유닛과 선택적 본딩을 형성하여 상기 라벨 유닛과 상기 커버부를 상호 접착하는 접착부; 및
    상기 라벨 유닛과 선택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라벨 유닛과 상기 커버부 사이의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파우치(pouch)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접착부를 따라 스티키 아웃라인(sticky outline)을 형성하며,
    상기 스티키 아웃라인은,
    상기 커버부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일부 형성되며,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영역을 고립시키고,
    상기 커버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용 용기로부터 탈거시 상기 돌출된 영역으로부터 상기 라벨 유닛의 외주면을 향해 힘이 분산되어 상기 수용 용기로부터 상기 커버부와 상기 라벨 유닛이 동시에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부는,
    상기 소정의 공간을 통해 사용자의 개봉 개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KR1020200166875A 2020-12-02 2020-12-02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 KR102246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875A KR102246346B1 (ko) 2020-12-02 2020-12-02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875A KR102246346B1 (ko) 2020-12-02 2020-12-02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088A Division KR102220718B1 (ko) 2020-06-24 2020-06-24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346B1 true KR102246346B1 (ko) 2021-04-28

Family

ID=75720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875A KR102246346B1 (ko) 2020-12-02 2020-12-02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633B1 (ko) * 2021-10-12 2023-03-02 이승현 적층 단차 조절을 통하여 선택적 점착 블로킹 영역을 구획하는 라벨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9309A (ja) * 2004-07-28 2006-02-09 Alps Electric Co Ltd ラベル、及びこのラベルの貼着方法
KR20170003540U (ko) 2016-04-04 2017-10-16 코스맥스 주식회사 콤팩트 케이스용 씰링라벨
KR101914007B1 (ko) 2018-02-19 2018-12-28 이승현 화장품 용기의 밀봉 라벨
KR101971509B1 (ko) 2018-05-23 2019-04-23 이승현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및 그 제작 공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9309A (ja) * 2004-07-28 2006-02-09 Alps Electric Co Ltd ラベル、及びこのラベルの貼着方法
KR20170003540U (ko) 2016-04-04 2017-10-16 코스맥스 주식회사 콤팩트 케이스용 씰링라벨
KR101914007B1 (ko) 2018-02-19 2018-12-28 이승현 화장품 용기의 밀봉 라벨
KR101971509B1 (ko) 2018-05-23 2019-04-23 이승현 포켓을 구비하는 부분 점착 이중 라벨지 및 그 제작 공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633B1 (ko) * 2021-10-12 2023-03-02 이승현 적층 단차 조절을 통하여 선택적 점착 블로킹 영역을 구획하는 라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3777B2 (ja) フラットシートで構成される複合体、複合体を得る方法、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品物を包装する方法
JP6893882B2 (ja) 喫煙物品の包装体
KR102246346B1 (ko)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
JP6268194B2 (ja) 包装袋
AU2003266753A1 (en) Film fracture feature for peelable multilayer package lid
TWI663102B (zh) 可剝離標籤及其製造方法、可剝離標籤的捲繞卷筒及物品或物質的包裝
KR20190008934A (ko) 웨트 시트 포장체
KR102246345B1 (ko)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
JP2011121617A (ja) シール蓋
KR102220718B1 (ko) 에어갭이 형성된 선택적 점착 라벨지 시스템 및 그 적층 방법
CA2421989A1 (en) Cigarette package
JP2010105671A (ja) 物品包装用フィルム
JP2016030626A (ja) 包装容器
JP5514177B2 (ja) 食品容器
JP3131104U (ja) 包装容器
JP6231139B2 (ja) ウエットシート包装体
CN211077010U (zh) 一种果蔬用保鲜膜
WO2015132768A1 (en) Sealed inner package provided with an exhaust hole regulated by an exhaust valve, sheet of packing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a sheet of packing material
WO2023112360A1 (ja) 組立式紙容器、組立式紙容器の製造方法、及び組立式紙容器の製造装置
TWI735770B (zh) 封裝
AU2018306348B2 (en) Assembly of flat sheets, method for producing the assembly,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ckaging, and method for packaging an object
US20220081191A1 (en) Container for Consumer Goods
KR101996349B1 (ko) 입방체 포장용 스티커 부재
JPH0977131A (ja) 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37481U (ja) 二重果実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