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733B1 -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733B1
KR101970733B1 KR1020170130025A KR20170130025A KR101970733B1 KR 101970733 B1 KR101970733 B1 KR 101970733B1 KR 1020170130025 A KR1020170130025 A KR 1020170130025A KR 20170130025 A KR20170130025 A KR 20170130025A KR 101970733 B1 KR101970733 B1 KR 101970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hin film
porous
platinum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0657A (ko
Inventor
권오중
김영광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3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7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40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25Methods fo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54Contact plating, i.e. electroless electrochemical p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38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48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4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 H01M4/865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layer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03Supports for the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25Methods fo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53Electro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소거품 형판(template)을 사용하여 다공성 박막 형성이 가능한 다공성 구리 박막을 우선 형성한 후 구리를 백금으로 치환함으로써 다공성 백금 박막을 제조하고, 이를 연료전지용 전극으로 응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porous Pt thin film for fuel cell}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소거품 형판(template)을 사용하여 다공성 박막 형성이 가능한 다공성 구리 박막을 우선 형성한 후 구리를 백금으로 치환함으로써 다공성 백금 박막을 제조하고, 이를 연료전지용 전극으로 응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백금은 귀금속 중 하나로 높은 촉매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산화환원전위를 가지고 있는 물질이다. 매우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활성이 뛰어나 연료전지 촉매 등에 쓰이고 있으며 따라서 이를 이용한 촉매층 형성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인 촉매층 형성법으로는 분무법과 전사법이 많이 쓰이고 있으며 촉매의 입자크기 조절과 표면적의 증대를 통해 성능 및 내구성의 개선을 중점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중에 하나도 입자가 아닌 박막 형태의 촉매층을 만드는 방법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역오팔 구조, 휘스커 구조 등이 다공성 촉매층 사례로서 제시되었지만 방법이 복잡하고 촉매층의 구조제어가 어렵다는 단점으로 인해 큰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전해도금은 기판을 금속 전구체 용액에 넣고 기판 쪽에 전자를 흘려주면 기판 표면의 전자가 근처의 금속 전구체를 만나 환원시키고 환원된 금속이 기판 위에 증착되는 것을 기본원리로 한다. 이러한 이유로 기판이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전도체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인가 전압 또는 전류밀도, 인가 전하량 등에 따라 전착된 박막의 모양, 두께 등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백금과 같은 촉매활성이 높은 물질의 전해도금 같은 경우 도금과 동시에 백금이 촉매로 작용하여 기존 전압대에서 일어나지 않는 수소거품 형성 등이 일어나서 전류 효율(current efficiency)이 떨어져 효과적인 박막 형성이 어렵다. 더구나 본 연구에서 형판(template)로 사용하고자 하는 수소 거품이 기판이 아닌 백금 위에서 발생하여 다공성의 백금박막 형성이 불가능하다.
구리는 은 다음으로 열 전도율, 전기전도도가 좋은데 반해 가격이 싸서 실생활에 널리 쓰이는 물질로서 가장 대표적으로는 전선에 사용되고 있으며 화학반응성이 좋아 다른 금속과 합금을 이루어 각종 집기 및 주화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구리의 전해도금은 오래 기간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다양한 구조의 박막형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전해도금을 진행할 때 큰 과전압을 가해주면 수소가 생성하는데 이를 형판으로 이용하여 다공성 박막을 형성하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구리는 산화환원전위가 0.34 V(vs SHE)로 백금의 산화환원전위인 0.73 V(vs SHE)보다 낮아 치환이 가능한 물질 중에 하나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수소거품 형판(template)을 사용하여 다공성 박막 형성이 가능한 다공성 구리 박막을 우선 형성한 후 구리를 백금으로 치환함으로써 다공성 백금 박막을 제조하고, 이를 연료전지용 전극으로 응용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17-00042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거품 형판(template)을 사용하여 다공성 박막 형성이 가능한 다공성 구리 박막을 우선 형성한 후 구리를 백금으로 치환함으로써 다공성 백금 박막을 제조하고, 이를 연료전지용 전극으로 응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b) 기판에 구리를 전해도금하여 다공성 구리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다공성 구리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백금 전구체 용액에 침지하여 구리를 백금으로 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은 탄소 종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 이전에 (a) 기판을 질산 및 황산의 혼합용액에 침지한 후 초음파 조사하는 기판의 전처리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질산 및 황산의 부피비는 1 : 2 내지 4이고; 상기 초음파의 주파수는 20 내지 30 kHz이며; 상기 초음파의 출력은 50 내지 60 W이며; 상기 초음파의 조사 시간은 10 내지 20 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 사용되는 도금액은 0.5 내지 1 M의 구리 전구체 및 0.1 내지 1 M의 황산 용액의 혼합 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기판을 작동전극으로 하여 정전류 방법으로 도금하고, 인가되는 전류밀도는 3 내지 10 A/cm2, 전하량은 1 mC/cm2 내지 100 C/cm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기판을 작동전극으로 하여 정전류 방법으로 도금하고, 인가되는 전압은 수소 기준 전극 대비 0 내지 -10 V, 전하량은 1 mC/cm2 내지 100 C/cm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1 μM 내지 20 mM의 백금 전구체 용액에 상기 다공성 구리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0 내지 95 ℃ 조건으로 3 내지 10 시간 동안 침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은 탄소 종이이고; 상기 (b) 단계 이전에 (a) 기판을 질산 및 황산의 혼합용액에 침지한 후 초음파 조사하는 기판의 전처리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질산 및 황산의 부피비는 1 : 2 내지 4이며; 상기 초음파의 주파수는 20 내지 30 kHz이며; 상기 초음파의 출력은 50 내지 60 W이며; 상기 초음파의 조사 시간은 10 내지 20 분이며; 상기 (b) 단계에서 사용되는 도금액은 0.5 내지 1 M의 구리 전구체 및 0.5 내지 1 M의 황산 용액의 혼합 용액이며; 상기 (b) 단계는 기판을 작동전극으로 하여 정전류 방법으로 도금하고, 인가되는 전류밀도는 3 내지 10 A/cm2, 전하량은 1 mC/cm2 내지 30 C/cm2이며; 상기 (c) 단계는 1 μM 내지 20 mM의 백금 전구체 용액에 상기 다공성 구리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60 내지 95 ℃ 조건으로 3 내지 10 시간 동안 침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은 상기 다공성 구리 박막의 표면에 다공성 백금 박막이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소거품을 형판(template)을 사용하여 다공성 박막 형성이 가능한 다공성 구리 박막을 우선 형성한 후 구리를 백금으로 치환함으로써 다공성 백금 박막을 제조하고, 이를 연료전지용 전극으로 응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처리 전과 후의 탄소종이 접촉각을 나타낸 이미지이다[(a) 기판의 전처리 전 및 (b) 기판의 전처리 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다공성 구리 박막의 주사 전자 현미경 이미지이다[(a) 스케일바 200 μm 및 (b) 스케일바 20 μm].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다공성 백금 박막의 주사 전자 현미경 이미지이다[(a) 스케일바 40 μm 및 (b) 스케일바 1 μm].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다공성 백금 박막를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 (PEMFC)에 적용하여 얻은 배압에 따른 단위전지 성능측정 그래프다.
본 발명은 백금의 높은 촉매활성으로 인하여 수소거품 형판(template)을 이용한 다공성 백금 박막의 형성이 어려운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전류밀도 영역에서 정전류를 인가하여 수소거품 형판(template)을 이용한 다공성 구리 박막을 우선적으로 형성한 후 구리와 백금을 치환함으로써, 다공성 및 박막의 두께 제어가 가능한 다공성 백금 박막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b) 기판에 구리를 전해도금하여 다공성 구리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다공성 구리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백금 전구체 용액에 침지하여 구리를 백금으로 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은 탄소 종이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은 탄소 종이 또는 탄소 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탄소 종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 이전에 (a) 기판을 질산 및 황산의 혼합용액에 침지한 후 초음파 조사하는 기판의 전처리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습윤성이 낮은 기판을 사용하여 전해도금할 경우 핵 형성 및 박막 성장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기판의 전처리 단계를 통하여 기판의 습윤성(wettability)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조사는 초음파 혼(ultrasound horn) 또는 초음파 세척기(ultrasonic cleaner) 등 다양한 초음파 발생장치들을 이용해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질산 및 황산의 부피비는 1 : 10 내지 10 : 1, 바람직하게는 1 : 2 내지 4이고; 상기 초음파의 주파수는 20 내지 100 kHz,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kHz이며; 상기 초음파의 출력은 1 내지 100 W,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W이며; 상기 초음파의 조사 시간은 10 초 내지 2 시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분일 수 있다.
특히, 상기 기판으로 탄소 종이를 사용함과 동시에 기판의 전처리시 상기 조건으로 초음파 조사를 수행하였을 경우에는, 연료전지의 음극으로(양극으로는 상용촉매 Pt/C 40 wt% 사용) 적용하면 다공성 백금 박막이 기판 전체 면적에 SEM으로 분간 가능한 오차 범위 내에서 기판에 균일한 두께로 담지됨을 확인하였고, 또한 500 회 cyclic voltammetry(CV) 진행 후에도 기판에 형성된 다공성 백금 박막의 유실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상기 기판으로 다른 종류의 것을 사용하거나, 상기 기판으로 다른 종류의 것을 사용함과 동시에, 상기 초음파 조사의 모든 조건에서의 수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판 상에 상기 다공성 백금 박막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500 회 cyclic voltammetry(CV) 진행 후에 기판에 형성된 다공성 백금 박막의 유실이 현저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 사용되는 도금액은 0.5 내지 1 M의 구리 전구체 및 0.1 내지 1 M의 황산 용액의 혼합 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기판을 작동전극으로 하여 정전류 방법으로 도금하고, 인가되는 전류밀도는 3 내지 10 A/cm2, 전하량은 1 mC/cm2 내지 100 C/cm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기판을 작동전극으로 하여 정전류 방법으로 도금하고, 인가되는 전압은 수소 기준 전극 대비 0 내지 -10 V, 전하량은 1 mC/cm2 내지 100 C/cm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1 μM 내지 20 mM의 백금 전구체 용액에 상기 다공성 구리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0 내지 95 ℃ 조건으로 3 내지 10 시간 동안 침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백금 전구체 용액은 K2PtCl6, K2PtCl4, H2PtCl6 및 PtCl2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백금 전구체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K2PtCl6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하기 실시예 또는 비교예 등에는 명시적으로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기판에 대하여 (b) 단계 이전에 기판의 전처리 단계의 포함 여부를 달리하고, 기판 전처리 단계의 조건, 구리 도금액의 종류, 구리 전해도금시 전류밀도와 전하량 및 백금 치환 단계의 조건을 변화시켜 제조한 다공성 백금 박막에 대하여 투과전자현미경(TEM)을 통하여 그 형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다른 조건 및 다른 수치 범위에서와는 달리, 아래 조건이 모두 만족하였을 때 상기 다공성 백금 박막이 다공성 구리 박막의 표면에 완전히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구리의 노출이 전혀 없었음)되거나 또는 구리가 모두 백금으로 치환된 형태로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다만, 아래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다공성 백금 박막이 다공성 구리 박막의 표면에 완전히 둘러싸이지 않고 구리가 노출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구리가 모두 백금으로 치환되지 않고 일부만 치환됨(다공성 백금 박막이 다공성 구리 박막의 표면으로 둘러싸인 형태는 아님)을 확인하였다.
(ⅰ) 기판은 탄소 종이, (ⅱ) (b) 단계 이전에 기판을 질산 및 황산의 혼합용액에 침지한 후 초음파 조사하는 기판의 전처리 단계를 추가로 포함, (ⅲ) 전처리 단계에서 질산 및 황산의 부피비는 1 : 2 내지 4, (ⅳ) 전처리 단계에서 초음파의 주파수는 20 내지 30 kHz, (ⅴ) 전처리 단계에서 초음파의 출력은 50 내지 60 W, (ⅵ) 전처리 단계에서 초음파의 조사 시간은 10 내지 20 분, (ⅶ) (b) 단계에서 사용되는 도금액은 0.5 내지 1 M의 구리 전구체 및 0.1 내지 1 M의 황산 용액의 혼합 용액, (ⅷ) (b) 단계는 기판을 작동전극으로 하여 정전류 방법으로 도금하고, 인가되는 전류밀도는 3 내지 10 A/cm2, 전하량은 1 mC/cm2 내지 30 C/cm2, (ⅸ) (c) 단계는 1 μM 내지 20 mM의 백금 전구체 용액에 상기 다공성 구리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60 내지 95 ℃ 조건으로 3 내지 10 시간 동안 침지하여 수행.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은 상기 다공성 구리 박막의 표면에 다공성 백금 박막이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및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
1. 기판의 전처리 단계
전해도금의 기판으로 쓰인 탄소종이는 습윤성이 낮다. 낮은 습윤성은 전해도금 시 핵형성 및 박막 성장이 용이하지 않기에 전처리를 진행하였다. 전처리는 질산과 황산의 부피비를 1:3으로 맞춘 용액을 제조하여 탄소종이를 넣은 후 초음파 세척장비로 초음파를 조사하여 진행하였다. 초음파 조사시간은 15 분으로 하였으며 조사가 끝난 후 증류수로 잔여물을 제거해주었다(초음파 주파수는 20 내지 30 kHz, 초음파 출력은 50 내지 60 W로 수행).
2. 수소거품 형판(template)을 이용한 구리 전해도금을 통한 다공성 구리 박막의 형성
상기와 같이 전처리된 탄소종이를 작동전극 기판, 상대전극을 구리판으로 하여 전극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상대전극은 구리판으로 하고 도금액은 0.83 M CuSO4와 0.5 M H2SO4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도금은 정전류 방식으로 진행하며 인가전류밀도는 4 A/cm2로 설정하고 4초 동안 진행하여 16 C/cm2의 전하량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후 증류수로 세척한 후 10 내지 100 ℃의 대기 또는 진공 조건에서 건조하여 다공성 구리 박막을 형성하였다.
3. 치환과정을 통한 다공성 백금 박막의 형성
5 mM의 K2PtCl4용액을 제조하여 85 ℃로 맞춰진 항온조에 넣고 준비하였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다공성 구리 박막을 백금 전구체 용액에 넣고 4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이후 증류수로 세척해주고 상온에서 건조시켜 다공성 백금 박막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연료전지의 적용
앞선 실험에서 만들어진 다공성 백금 박막을 음극으로 사용하여 막전극접합체를 제작하였다. 양극으로는 상용촉매 Pt/C 40 wt.%를 사용하고 전해질 막으로는 Nafion 212를 사용하였다. 양극에는 수소 100 ccm, 음극에는 산소 200 ccm을 주입하여 성능을 측정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처리 전과 후의 탄소종이 접촉각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처리 후에 기판의 접촉각이 줄어들어 습윤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다공성 구리 박막의 주사 전자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소거품 형판(template)을 이용한 구리 전해도금을 통하여 다공성이 우수한 구리 박막이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다공성 백금 박막의 주사 전자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금속의 치환 단계 이후에도 형태의 변형 없이 다공성 높은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다공성 백금 박막를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 (PEMFC)에 적용하여 얻은 배압에 따른 단위전지 성능측정 그래프다.
도 4를 참조하면, I-V curve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소거품 형판을 이용하여 얻은 다공성 백금 박막은 입자가 아닌 박막 형태를 갖기 때문에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압이 걸릴수록 성능이 좋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50 kPa의 배압을 걸었을 경우 0.6 V에서 0.75 A/cm2의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Claims (10)

  1. (b) 기판에 구리를 전해도금하여 다공성 구리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다공성 구리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백금 전구체 용액에 침지하여 구리를 백금으로 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b) 단계는 기판을 작동전극으로 하여 정전류 방법으로 도금하고, 인가되는 전류밀도는 3 내지 10 A/cm2, 전하량은 1 mC/cm2 내지 100 C/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탄소 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a) 기판을 질산 및 황산의 혼합용액에 침지한 후 초음파 조사하는 기판의 전처리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질산 및 황산의 부피비는 1 : 2 내지 4이고;
    상기 초음파의 주파수는 20 내지 30 kHz이며;
    상기 초음파의 출력은 50 내지 60 W이며;
    상기 초음파의 조사 시간은 10 내지 20 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사용되는 도금액은 0.5 내지 1 M의 구리 전구체 및 0.1 내지 1 M의 황산 용액의 혼합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기판을 작동전극으로 하여 정전류 방법으로 도금하고, 인가되는 전압은 수소 기준 전극 대비 0 내지 -10 V, 전하량은 1 mC/cm2 내지 100 C/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1 μM 내지 20 mM의 백금 전구체 용액에 상기 다공성 구리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0 내지 95 ℃ 조건으로 3 내지 10 시간 동안 침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탄소 종이이고;
    상기 (b) 단계 이전에 (a) 기판을 질산 및 황산의 혼합용액에 침지한 후 초음파 조사하는 기판의 전처리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질산 및 황산의 부피비는 1 : 2 내지 4이고;
    상기 초음파의 주파수는 20 내지 30 kHz이며;
    상기 초음파의 출력은 50 내지 60 W이며;
    상기 초음파의 조사 시간은 10 내지 20 분이며;
    상기 (b) 단계에서 사용되는 도금액은 0.5 내지 1 M의 구리 전구체 및 0.1 내지 1 M의 황산 용액의 혼합 용액이며;
    상기 (b) 단계는 기판을 작동전극으로 하여 정전류 방법으로 도금하고, 인가되는 전류밀도는 3 내지 10 A/cm2, 전하량은 1 mC/cm2 내지 30 C/cm2이며;
    상기 (c) 단계는 1 μM 내지 20 mM의 백금 전구체 용액에 상기 다공성 구리 박막이 형성된 기판을 60 내지 95 ℃ 조건으로 3 내지 10 시간 동안 침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은 상기 다공성 구리 박막의 표면에 다공성 백금 박막이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
KR1020170130025A 2017-10-11 2017-10-11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 KR101970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025A KR101970733B1 (ko) 2017-10-11 2017-10-11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025A KR101970733B1 (ko) 2017-10-11 2017-10-11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657A KR20190040657A (ko) 2019-04-19
KR101970733B1 true KR101970733B1 (ko) 2019-04-22

Family

ID=6628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0025A KR101970733B1 (ko) 2017-10-11 2017-10-11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7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470B1 (ko) * 2007-02-15 2008-02-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탄소 종이 표면에 탄소나노튜브를 직접 성장시키고, 그탄소나노튜브 표면에 화학기상증착법을 사용하여 백금을담지시킨 백금 나노촉매의 제조방법과 그 백금 나노촉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49B1 (ko) 2015-07-01 2017-02-22 한국화학연구원 금속-공기 전지용 다공성 양극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470B1 (ko) * 2007-02-15 2008-02-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탄소 종이 표면에 탄소나노튜브를 직접 성장시키고, 그탄소나노튜브 표면에 화학기상증착법을 사용하여 백금을담지시킨 백금 나노촉매의 제조방법과 그 백금 나노촉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Power Sources 180 (2008) pp.84 ~ 91(2008.02.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657A (ko)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ha et al. High performance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with ultra-low Pt loading electrodes prepared by dual ion-beam assisted deposition
US8465858B2 (en) Development of a novel method for preparation of PEMFC electrodes
Itaya et al. Electrodeposition of Pt ultramicroparticles in Nafion films on glassy carbon electrodes
US3356538A (en) Electrodeposited ion exchange membrane and method of forming
ZHU et al. Cu2S on Cu foam as highly efficient electrocatalyst for reduction of CO2 to formic acid
KR101584725B1 (ko) 니켈이 전기 도금된 친수성을 가지는 다공성 탄소 재료를 이용한 알칼리 음이온 교환막 물 전기 분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5734606A (zh) 一种spe水电解用超薄膜电极的结构及其制备和应用
JP2009525575A (ja) 電気化学反応器用の電極を形成するためのdli−mocvd法。
Chen et al. In situ surface reconstruction synthesis of a nickel oxide/nickel heterostructural film for efficient hydrogen evolution reaction
US20190112720A1 (en) Pulsed current catalyzed gas diffusion electrodes for high rate, efficient co2 conversion reactors
EP1797610B1 (en) Gas diffusion electrodes,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2007173109A (ja) 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電池
JP2013067858A (ja) 酸素消費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503038A5 (ja) ガス拡散媒体上に貴金属コーティング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ガス拡散電極、及び電極アセンブリー
CN113308707A (zh) 用于电化学还原二氧化碳的气体扩散电极
KR101970733B1 (ko) 연료전지용 다공성 백금 박막의 제조방법
JP2006140134A (ja) 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電池
Cheng et al. Dynamic hydrogen bubble template electrodeposited Bi on graphite felt and the effect of its post-processing in vanadium redox flow batteries
Yang et al. One-step co-electrodeposition of SnBi for efficient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arbon dioxide to formic acid
Sudoh et al. Impedance Analysis of Gas‐Diffusion Electrode Coated with a Thin Layer of Fluoro Ionomer to Enhance Its Stability in Oxygen Reduction
KR102180882B1 (ko) 초음파 분무 열분해법을 이용한 수전해 촉매 합성방법
KR102142568B1 (ko) 연료전지용 촉매지지체 형성방법 및 연료전지용 전극
US3522094A (en) Electrode including hydrophobic polymer,method of preparation and fuel cell therewith
JP2001283864A (ja) ガス拡散電極の製造方法
CN115445615B (zh) 一种纳米金属核-壳结构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