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837B1 -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837B1
KR101969837B1 KR1020170034145A KR20170034145A KR101969837B1 KR 101969837 B1 KR101969837 B1 KR 101969837B1 KR 1020170034145 A KR1020170034145 A KR 1020170034145A KR 20170034145 A KR20170034145 A KR 20170034145A KR 101969837 B1 KR101969837 B1 KR 101969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module
smart devic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258A (ko
Inventor
김광우
김혜랑
최군휘
최청휘
Original Assignee
김광우
김혜랑
최군휘
최청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우, 김혜랑, 최군휘, 최청휘 filed Critical 김광우
Priority to KR1020170034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83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8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y delegation of authentication, e.g. a proxy authenticates an entity to be authenticated on behalf of this entity vis-à-vis an authentication 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인에게 물리적으로 대여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시스템과 통신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무선 보조 단말기;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 시스템과 통신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며,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의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설정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의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설정하는 설정 모듈; 및 상기 설정 모듈의 설정 값을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에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상기 송신 모듈로부터 상기 설정 값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설정 값에 따라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활성화시키는 활성 모듈; 및 상기 활성 모듈에서 활성화시킨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 시스템과 통신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차량을 스마트 기기로 제어하면서도 제어용 스마트 기기를 타인에게 대여해주지 않고, 별도의 차량 제어용 보조 단말기에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제어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차량 제어용 보조 단말기를 타인에게 대여해주는 것만으로 타인이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별도의 차량 제어용 보조 단말기에 제약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제어 권한을 제한적으로 부여하여 시간, 날짜 및 거리 범위 등의 조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OF WIRELESS SECONDARY TERMINAL FOR CONTROLLING VEHICLE CONTROLLED BY SMART DEVICE}
본 발명은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의 잠금장치를 해제하거나, 시동을 거는 등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컨트롤러가 존재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컨트롤러의 일종으로 키(Key)를 이용하는 기계적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스마트 키(Smart key)를 이용한 스마트 키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 키 시스템은, 스마트 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하는 것만으로도 차량의 잠금장치 해제와 엔진 시동 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 키 시스템 또한 종래의 키 방식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항상 스마트 키를 소지하고 있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처럼 별도의 스마트 키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평상시에도 필수적으로 소지하는 스마트 기기 등으로 차량을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 키 대신 가상의 전자키를 생성하고 이를 스마트 기기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만으로 차량의 잠금장치 해제와 시동 등 차량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별도로 스마트 키를 소지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 기기 제어 방식의 경우, 발렛 파킹(Valet Parking)과 같이 일시적으로 타인에게 차량의 제어권을 넘겨주어야 하는 상황에서는 사용자 본인의 스마트 기기까지 같이 빌려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마트폰을 이용해 차량을 제어하는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1300788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차량을 스마트 기기로 제어하면서도 제어용 스마트 기기를 타인에게 대여해주지 않고, 별도의 차량 제어용 보조 단말기에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제어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차량 제어용 보조 단말기를 타인에게 대여해주는 것만으로 타인이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별도의 차량 제어용 보조 단말기에 제약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제어 권한을 제한적으로 부여하여 시간, 날짜 및 거리 범위 등의 조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은,
타인에게 물리적으로 대여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시스템과 통신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무선 보조 단말기;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 시스템과 통신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며,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의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설정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의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설정하는 설정 모듈; 및
상기 설정 모듈의 설정 값을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에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상기 송신 모듈로부터 상기 설정 값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설정 값에 따라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활성화시키는 활성 모듈; 및
상기 활성 모듈에서 활성화시킨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 시스템과 통신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차량의 시동 여부, 도어락 개폐 여부, 트렁크 개폐 여부 및 크락션(Klaxon) 작동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유지되는 시간을 더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유지되는 날짜를 더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유지되는 거리 범위를 더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송신 모듈로부터 상기 설정 값을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활성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설정 값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성 모듈은,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디폴트값으로 모두 비활성화 상태이며,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설정 값에 따라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모듈은, 이동통신(Mobile Tele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및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에 상기 설정 값을 송신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차량 시스템과 적외선, RFI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Key Fob 무선통신 및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가 상기 활성 모듈에 의해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활성화 상태인 동안,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상실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차량을 스마트 기기로 제어하면서도 제어용 스마트 기기를 타인에게 대여해주지 않고, 별도의 차량 제어용 보조 단말기에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제어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차량 제어용 보조 단말기를 타인에게 대여해주는 것만으로 타인이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별도의 차량 제어용 보조 단말기에 제약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제어 권한을 제한적으로 부여하여 시간, 날짜 및 거리 범위 등의 조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서, 스마트 기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서, 무선 보조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의 작동 예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10)은 스마트 기기(100) 및 무선 보조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1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마트 기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시스템(300)과 통신하여 차량을 제어하며, 무선 보조 단말기(200)의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설정한다. 여기서 차량 시스템(300)은, 차량에 탑재된 시스템으로서, 스마트 기기(100) 또는 무선 보조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차량 시스템(300)은, 차량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차량의 시동 여부, 도어락 개폐 여부, 트렁크 개폐 여부 및 크락션(Klaxon) 작동 여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100)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200) 제어 시스템이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일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대표적으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phone)이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스마트 기기(100)는, 이러한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않으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라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10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무선 보조 단말기(200)는, 타인에게 물리적으로 대여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시스템(300)과 통신하여 차량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조 단말기(200)는, 차량에 보관하는 별도의 단말기일 수 있다. 무선 보조 단말기(200)는,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차량 시스템(300)과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무선 보조 단말기(20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보조 단말기(200)는, 타인에게 물리적으로 대여되는 것이므로, 휴대성이 좋고 일반인들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종래의 스마트 키 형태의 단말기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100)로 무선 보조 단말기(200)의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설정한 후, 무선 보조 단말기(200)를 타인(예를 들어, 발렛 파킹 직원)에게 대여할 수 있다. 그러면 타인은 무선 보조 단말기(200)를 통해 차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개인정보가 저장된 스마트 기기(100)를 타인에게 대여하지 않고 무선 보조 단말기(200)만을 대여해줌으로써 일시적으로 차량의 제어권을 넘겨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서, 스마트 기기(1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의 스마트 기기(100)는, 설정 모듈(110) 및 송신 모듈(120)을 포함한다.
설정 모듈(110)은, 무선 보조 단말기(200)의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 모듈(110)은, 차량 시스템(300)이 제어하는 각각의 기능마다 스마트 기기(100)가 아닌 무선 보조 단말기(200)에서도 제어가 가능한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 모듈(110)은, 제어 권한 설정에 따른 설정 값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 모듈(110)은, 차량의 시동 여부, 도어락 개폐 여부, 트렁크 개폐 여부 및 크락션 작동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설정 모듈(110)은, 무선 보조 단말기(200)를 통해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고, 도어락을 열 수 있으며, 크락션도 작동시킬 수 있으나, 트렁크만은 열 수 없도록 제어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무선 보조 단말기(200)를 타인에게 대여하는 경우에도, 타인이 무선 보조 단말기(200)를 통해 차량의 발렛 파킹 등에 필요한 차량의 제어가 가능하나 트렁크만은 열지 못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트렁크에 보관된 짐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송신 모듈(120)은, 설정 모듈(110)의 설정 값을 무선 보조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송신 모듈(120)은, 이동통신(Mobile Tele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및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무선 보조 단말기(200)에 설정 값을 송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서, 무선 보조 단말기(2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의 무선 보조 단말기(200)는, 수신 모듈(210), 활성 모듈(220) 및 제어 모듈(230)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210)은, 스마트 기기(100)의 송신 모듈(120)로부터 설정 값을 수신한다. 수신 모듈(210)은, 이동통신(Mobile Tele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및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설정 값을 수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활성 모듈(220)은, 수신 모듈(210)이 수신한 설정 값에 따라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활성화시킨다. 차량의 보안을 위해 무선 보조 단말기(200)의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은 디폴트값으로 모두 비활성화 상태이며, 활성 모듈(220)은, 수신 모듈(210)이 수신한 설정 값에 따라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 또한, 활성 모듈(220)은, 무선 보조 단말기(200)가 차량의 제어 권한을 상실하면,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모두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무선 보조 단말기(200)의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비활성화 상태이며, 사용자가 필요시에만 무선 보조 단말기(200)의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킴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차량에 대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수신 모듈(210)은, 스마트 기기(100)의 송신 모듈(120)로부터 설정 값을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또한, 활성 모듈(220)은, 수신 모듈(210)이 수신한 설정 값에 따라 실시간으로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킨다. 사용자가 처음에 설정한 무선 보조 단말기(200)의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변경하는 경우, 수신 모듈(210)이 설정 값을 주기적으로 수신함에 따라 변경된 설정 값을 수신하고, 활성 모듈(220)은 그 즉시 설정 값에 따라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라도 무선 보조 단말기(200)의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 모듈(230)은, 활성 모듈(220)에서 활성화시킨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시스템(300)과 통신하여 차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예시와 같이 사용자가 트렁크만은 열 수 없도록 무선 보조 단말기의 제어 권한을 설정한 경우, 활성 모듈(220)은, 설정 값에 따라 트렁크를 제외한 나머지 기능에 대한 제어 권한을 활성화시킨다. 제어 모듈(230)은, 트렁크 개폐 여부에 대한 제어 권한은 비활성화 상태이므로, 차량 시스템(300)과 통신하여 트렁크를 개폐할 수 없다. 그러나 제어 모듈(230)은, 트렁크를 제외한 나머지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은 활성화 상태이므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시스템(300)과 통신하여 해당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230)은, 차량 시스템(300)과 적외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Key Fob 무선 통신 및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의 작동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서, 스마트 기기(100)와 무선 보조 단말기(200)는 각각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시스템(300)과 통신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0)는, 직접 차량 시스템(300)과 통신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으나, 무선 보조 단말기(200)는,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부여 받은 후 제어 권한에 따라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기기(100)의 설정 모듈(110)은, 무선 보조 단말기(200)의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시간, 날짜, 거리 범위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제한하여 설정할 수 있다.
설정 모듈(110)은,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유지되는 시간을 더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렛 파킹 등의 상황에서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100)를 통해 무선 보조 단말기(200)의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유지되는 시간을 분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무선 보조 단말기(200)를 타인(발렛 파킹 직원)에게 대여하면, 타인은 설정 모듈(110)의 설정 값에 따라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무선 보조 단말기(200)를 통해 설정된 시간 동안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보조 단말기(200)는,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유지되는 시간이 얼마나 남아있는지를 알려주는 알림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부는,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작동하는 빛, 소리 또는 진동 등을 통해 타인에게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유지되는 시간을 알려줄 수 있다.
설정 모듈(110)은,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유지되는 날짜를 더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을 지인 등에게 대여하는 경우, 사용자는 차량을 대여하는 날짜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무선 보조 단말기(200)를 타인(지인)에게 대여하면, 타인은 설정 모듈(110)의 설정 값에 따라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무선 보조 단말기(200)를 통해 설정된 날짜 동안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보조 단말기(200)는,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유지되는 날짜가 얼마나 남아있는지를 알려주는 알림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부는,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유지되는 날짜를 표시하는 LED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타인에게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유지되는 날짜를 알려줄 수 있다.
설정 모듈(110)은,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유지되는 거리 범위를 더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 범위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점으로부터의 일정 거리 또는 지역 범위 등을 포함하며, 기준점은 특정 위치, 스마트 기기(100)의 위치,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300) 또는 무선 보조 단말기(200)는, GPS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기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까지만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기준점과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무선 보조 단말기(200)를 타인에게 대여하면, 타인은 설정 모듈(110)의 설정 값에 따라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무선 보조 단말기(200)를 통해 설정된 기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서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시스템(300) 또는 무선 보조 단말기(200)는 GPS 모듈을 포함하므로, GPS 모듈을 통해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위치 정보에 의해서 차량이 기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벗어났다고 판단하게 되면, 무선 보조 단말기(200)는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상실한다. 한편,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까지만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움직이면서 사용자의 위치가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으므로, 기준점은 특정 위치 이외에 스마트 기기(100)의 위치, 현재 사용자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서만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지역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무선 보조 단말기(200)를 타인에게 대여하면, 타인은 설정 모듈(110)의 설정 값에 따라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는 무선 보조 단말기(200)를 통해 설정된 지역 범위에서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기기(100)는, 무선 보조 단말기(200)가 활성 모듈(220)에 의해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활성화되는 동안,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상실할 수 있다. 만약 무선 보조 단말기(200)를 통해 차량을 제어하고 있는 동안, 스마트 기기(100)를 통해서도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면, 차량 시스템(300)의 제어가 서로 충돌할 수 있으며 기능 결함 또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시스템(300)은, 평상시에는 스마트 기기(100)에 의해서만 제어되나, 스마트 기기(100)에 의해 무선 보조 단말기(200)의 차량에 대한 권한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무선 보조 단말기(200)에 의해서만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차량을 스마트 기기로 제어하면서도 제어용 스마트 기기를 타인에게 대여해주지 않고, 별도의 차량 제어용 보조 단말기에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제어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차량 제어용 보조 단말기를 타인에게 대여해주는 것만으로 타인이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별도의 차량 제어용 보조 단말기에 제약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제어 권한을 제한적으로 부여하여 시간, 날짜 및 거리 범위 등의 조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
100: 스마트 기기
110: 설정 모듈
120: 송신 모듈
200: 무선 보조 단말기
210: 수신 모듈
220: 활성 모듈
230: 제어 모듈
300: 차량 시스템

Claims (9)

  1. 타인에게 물리적으로 대여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시스템과 통신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무선 보조 단말기;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 시스템과 통신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며,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의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설정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의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설정하는 설정 모듈; 및
    상기 설정 모듈의 설정 값을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에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상기 송신 모듈로부터 상기 설정 값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설정 값에 따라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활성화시키는 활성 모듈; 및
    상기 활성 모듈에서 활성화시킨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 시스템과 통신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차량을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제어하면서도 제어용 스마트 기기를 타인에게 대여해주지 않고, 별도의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에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제어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를 타인에게 대여해주는 것만으로 타인이 차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송신 모듈로부터 상기 설정 값을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활성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설정 값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며,
    상기 활성 모듈은, 차량의 보안을 위해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디폴트값으로 모두 비활성화 상태이며,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설정 값에 따라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키며,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가 차량의 제어 권한을 상실하면,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모두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시켜,
    평상시에는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의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비활성화 상태이고, 사용자가 필요시에만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의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킴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차량에 대한 보안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차량의 시동 여부, 도어락 개폐 여부, 트렁크 개폐 여부 및 크락션(Klaxon) 작동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제어 권한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유지되는 시간을 더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유지되는 날짜를 더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유지되는 거리 범위를 더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이동통신(Mobile Tele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및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에 상기 설정 값을 송신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차량 시스템과 적외선, RFI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Key Fob 무선통신 및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무선 보조 단말기가 상기 활성 모듈에 의해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이 활성화 상태인 동안, 상기 차량에 대한 제어 권한을 상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
KR1020170034145A 2017-03-17 2017-03-17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 KR101969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145A KR101969837B1 (ko) 2017-03-17 2017-03-17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145A KR101969837B1 (ko) 2017-03-17 2017-03-17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258A KR20180106258A (ko) 2018-10-01
KR101969837B1 true KR101969837B1 (ko) 2019-04-23

Family

ID=6387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145A KR101969837B1 (ko) 2017-03-17 2017-03-17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8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2184A (ja) * 2005-03-17 2006-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権限所有装置および権限借用装置および制御装置および権限委譲システムおよび権限所有プログラムおよび権限所有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452A (ko) * 2014-12-30 2016-07-08 인포뱅크 주식회사 차량 시스템 제어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2184A (ja) * 2005-03-17 2006-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権限所有装置および権限借用装置および制御装置および権限委譲システムおよび権限所有プログラムおよび権限所有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258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07069B (zh) 无钥匙车辆系统
EP2048626B1 (en) Apparatus for medium-range vehicle communications and control
US7778186B2 (en) Fault tolerant vehicle communication and control apparatus
KR102394578B1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7751946B2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JP4507884B2 (ja)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装置を備える車両
US7725219B2 (en) Local operation remote cancellation authorizing method and system under remote operation
WO2007023886A1 (ja) 可動電子機器の動作制御装置
US10565409B2 (en) Key locker with selective access
JP2017154689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US20060059109A1 (en) Password protected keyless entry
CN109695383B (zh) 钥匙单元、控制系统、控制方法和具有存储在其中的程序的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90217817A1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unlocking a motor vehicle with integrated nfc-control device
CN105745384A (zh) 车载无线通信装置
JP3721145B2 (ja) 車載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
CN109789850B (zh) 用于运行中央闭锁设备的方法、中央闭锁设备和机动车
JP2007143024A (ja) 車載用通信システム
KR101969837B1 (ko) 스마트 기기로 제어되는 차량 제어용 무선 보조 단말기 제어 시스템
JP4591189B2 (ja) 遠隔操作装置
JP2006224894A (ja) 車両用制御装置、車両用制御システム、車両用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KR101551075B1 (ko) 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10262277A1 (en) Agent safety apparatus and method
JP2007048298A (ja) 異常発生検出方法
JP2006037410A (ja) 遠隔操作システム
JP2003212096A (ja) 無線装置を用いた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