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744B1 - 동시 제어가 용이한 투명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동시 제어가 용이한 투명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744B1
KR101968744B1 KR1020170162815A KR20170162815A KR101968744B1 KR 101968744 B1 KR101968744 B1 KR 101968744B1 KR 1020170162815 A KR1020170162815 A KR 1020170162815A KR 20170162815 A KR20170162815 A KR 20170162815A KR 101968744 B1 KR101968744 B1 KR 101968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film
signal
transparent display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수성
Original Assignee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2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01L51/44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1Electrodes
    • H10K30/82Transparent electrodes, e.g.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면에 제1 축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신호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필름 및 상기 제1 필름의 아래에 위치하며, 하부면에 상기 제1 축과 교차하는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신호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신호라인의 제1 단부가 형성된 상기 제2 필름의 일부분이 제1 필름에 형성된 절개부를 관통하여 제1 필름의 상부로 노출되며, 제1 단부가 교차하는 제1 신호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시 제어가 용이한 투명 디스플레이 {TRANSPARENT DISPLAY FOR EASY CONCURRENT CONTROL}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러 개의 발광소자를 동시에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LED 패키지를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는 광고, 메세지 전달, 인테리어, 조경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LED 패키지를 이용한 종래 투명 디스플레이는 LED 패키지의 각 리드 프레임(공통, R, G, B)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4개의 신호라인을 필요로 하며, 각 신호라인은 서로 교차하지 않고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공급부까지 연결되어야 한다.
또한 복수 개의 LED 패키지를 동일하게 제어하고자 할 때에는 동일하게 제어되어야 할 LED 패키지로 연결된 복수 개의 신호라인마다 동일한 신호를 동시에 공급하여야 한다.
따라서 복잡하고 긴 회로패턴을 형성해야 하며, 회로 패턴이 많은 면적을 차지하며, 복수 개 LED 패키지를 동일하게 제어하기 위해 각각의 신호라인에 동시에 동일한 신호를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운 제어의 문제점들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30796호 "투명 전광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동시에 동일하게 제어하기 용이한 신호라인 구조를 갖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호라인이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호라인의 길이를 최소화해 신호지연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름 교차를 이용하여 평면적으로 교차하되 전기적으로 분리된 신호라인 패턴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쪽 면에 신호라인이 형성된 두 개의 필름을 조립하여 형성함으로써 제조가 간편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는 상부면에 제1 축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신호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필름; 및 상기 제1 필름의 아래에 위치하며, 하부면에 상기 제1 축과 교차하는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신호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필름에는 상기 제1 신호라인의 인접영역에 상기 제1 필름을 관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신호라인의 제1 단부가 형성된 상기 제2 필름의 일부분이 상기 절개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필름의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1 단부가 교차하는 상기 제1 신호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필름에는 서로 이웃한 N개의 상기 제1 신호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제1 신호라인 일측에는 상기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필름에는 신호공급부에 연결된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단부까지 상기 제2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N개의 상기 제2 신호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N개의 제2 신호라인 각각은 서로 다른 개수의 제1 신호라인과 교차하도록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단부까지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며, 교차하는 제1 신호라인 중 상기 신호공급부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제1 신호라인의 일측에 형성된 절개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장 멀리 위치한 제1 신호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N은 2이상의 자연수).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신호공급부에 더 가까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필름에는 상기 제2 신호라인의 제1 단부 주변을 ㄷ자로 절개하는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필름은 각각 1개의 상기 제2 신호라인이 형성된 N개의 선형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개의 선형 필름은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N개의 선형 필름은 상기 신호공급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제1 신호라인으로부터 상기 신호공급부까지의 영역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라인의 일 단부와 타 단부에 각각 제1 발광소자와 제2 발광소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신호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2 신호라인을 통해 상기 제1 발광소자와 제2 발광소자에 동일한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동시에 동일하게 제어하기 용이한 신호라인 구조를 가지며, 신호라인이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필름 교차를 이용하여 평면적으로 교차하되 전기적으로 분리된 신호라인 패턴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제조가 간편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의 예시적인 제1 필름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예시적인 제2 필름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제4도는 제1 신호라인과 제2 신호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영역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5도는 제2 필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제6도는 제2 필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용어 "중심", "세로", "상", "하", "앞", "뒤", "좌", "우", "수직", "수평", "꼭대기", "바닥", "안", "밖" 등이 가리키는 방향이나 위치관계는 첨부된 도면이 가리키는 방향이나 위치관계를 기초로 것으로, 단지 본 발명을 해석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 가리키는 장치나 구성요소가 반드시 특정된 방향을 갖고 있다거나 특정된 방향으로 구성되고 조작된다는 것을 제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외에, 용어 "제1", "제2"는 단지 설명의 목적일 뿐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1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100)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제1 필름(10)의 상부면에 복수 개의 발광소자(11)들이 위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는 2개 이상의 발광소자를 동일하게 제어하기 위해 복수 개의 발광소자의 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 신호라인(12)들이 제1 축(예를 들어 도 1의 x축)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발광소자를 동일하게 제어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태의 제1 신호라인(12)의 일 단부와 타 단부에 동일하게 제어되어야 할 발광소자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신호라인(12)은 발광소자들 사이에 연결된 신호라인이기 때문에 제1 신호라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신호공급부(30)로부터의 신호를 제1 신호라인에 공급하기 위한 제2 신호라인(22)이 필요하다.
이때 제2 신호라인(22)을 제1 필름(10)에 형성할 경우 제2 신호라인은 제2 신호라인이 연결되어야 할 하나의 제1 신호라인(12)을 제외한 모든 제1 신호라인과는 교차(중첩)되지 않도록 제1 필름 상의 빈공간을 따라 신호공급부(30)까지 연장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2 신호라인을 형성할 경우 제2 신호라인의 길이가 길어져 신호가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신호라인이 형성되지 않은 빈공간을 따라 제2 신호라인을 형성함에 따라 신호라인의 경로가 복잡해지고 제1 필름 위에서 신호라인이 차지하면 면적 또한 넓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어야 할 하나의 제1 신호라인(12)으로부터 신호공급부(30)까지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도록 제1 축과 교차하는 제2 축(도 1에서 y축)과 평행하게 제2 신호라인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경우 하나의 제2 신호라인이 복수 개의 제1 신호라인과 연결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100)는 제1 신호라인(12)이 형성된 제1 필름(10)과 제2 신호라인(22)이 형성된 제2 필름(20)을 이용함으로써 제1 신호라인과 제2 신호라인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하더라도 하나의 제2 신호라인이 하나의 제1 신호라인에만 신호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100)를 도 2 내지 도 6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100)의 제조는 제1 필름 형성 단계(S100), 제2 필름 형성 단계(S200), 신호라인 연결 단계(S30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필름 형성 단계(S100)는 제1 필름(10) 상부에 발광소자(11), 제1 신호라인(12) 및 절개부(13)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2를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필름(10)의 상부면에 제1 축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1 신호라인(12)을 형성한다. 이때 제1 축 방향은 제1 신호라인이 연결해야 할 발광소자의 단자를 연결한 방향이며, 도 1에 도시된 x축의 방향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신호라인(12)을 형성한 후 제1 신호라인과 연결되어야 할 발광소자(11)를 제1 필름 상부에 위치시키고 제1 신호라인(12)과 연결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4개의 단자를 갖는 LED 패키지를 발광소자로서 도시하였으나 발광소자(11)는 4개의 단자를 갖는 LED 패키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신호라인의 인접영역에 제1 필름(10)을 관통하는 절개부(13)를 형성한다. 절개부(13)는 후술할 제2 필름의 일부분이 제1 필름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신호라인(12)의 인접영역에 형성한다.
특히 신호공급부(30)로부터 제2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신호라인이 하나의 제1 신호라인과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13)는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신호라인을 기준으로 제1 신호라인의 일측과 타측 중 신호공급부(30)에 가까운 일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부(13)는 제1 신호라인을 형성한 후 형성할 수도 있고 제1 신호라인을 형성하기 전에 제1 신호라인의 형성이 예정된 곳 일측에 미리 형성할 수도 있으며, 제1 신호라인과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필름 형성 단계(S200)는 제2 필름에 제2 신호라인(22)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름(20)은 가로에 비해 세로의 길이가 긴 선형 필름일 수 있고, 제2 필름의 길이방향으로 하나의 제2 신호라인(22)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N개의 제1 신호라인(12)에 신호 공급이 필요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필름(20)을 N개 준비할 수 있다.
제1 필름(10)과 제2 필름(20)은 투명 디스플레이(100)의 구성요소로서 투명하고 얇은 기판이며, 특히 제2 필름은 그 일부분이 제1 필름(10)에 형성된 절개부(13)를 관통하여야 하므로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해 제1 신호라인 및 제2 신호라인은 ITO, IZO 등의 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탈 메쉬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필름 형성 단계(S200)를 제1 필름 형성 단계(S100) 뒤에 설명하였으나 제1 필름 형성 단계(S100)와 제2 필름 형성 단계(S200)를 동시에 또는 순서에 관계없이 수행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신호라인 연결 단계(S300)는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이용하여 제1 신호라인과 제2 신호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제1 신호라인이 형성되지 않은 제1 필름의 일 면과 제2 신호라인이 형성되지 않은 제2 필름의 일 면이 서로 맞닿도록 위치시킨다. 즉, 만약 제1 필름(10)의 상부면에 제1 신호라인(12)이 형성되어 있다면 제1 필름의 아래에 제2 신호라인(22)이 하부면에 형성된 제2 필름(20)을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제1 필름에 형성된 절개부(13)를 통해 제1 필름 아래에 있는 제2 필름(20)의 일부분을 제1 필름 상부로 노출시킨다(도 4(도 1 A영역 확대도) 참조).
이와 같이 절개부(13)를 통해 제2 필름이 제1 필름 상부로 노출되면 제1 필름 상부면에 형성된 제1 신호라인(12)과 제2 필름 하부에 형성된 제2 신호라인이 도 4에 P로 표시된 영역만큼 서로 맞닿게 되며, 용접 등의 연결 방법을 통해 P 영역에서 제1 신호라인과 제2 신호라인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신호라인의 양쪽 단부 중 제1 신호라인과 연결되는 제1 단부 반대쪽에 위치한 제2 단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공급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공급부로부터의 신호가 제2 신호라인을 통해 제1 신호라인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의 제1 신호라인(12)에 신호 공급이 필요한 경우 1대 1 연결을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필름(20)을 N개 준비할 수 있으며, 이때 신호공급부로부터 각 제1 신호라인까지의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제2 필름은 서로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2 필름의 길이가 동일하다 하더라도 N개의 제2 필름에 형성된 제2 신호라인의 길이가 상이하여야 하며, 그 길이는 서로 각각 다른 개수의 제1 신호라인과 교차될 수 있는 길이어야 하며, 각각의 제2 신호라인은 교차하는 제1 신호라인 중 신호공급부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제1 신호라인의 일측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교차하는 제1 신호라인 중 신호공급부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제1 신호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예를 들어 제1 필름에 신호공급부로부터 3개의 제1 신호라인(12-1, 12-2, 12-3)이 형성되어 있고 3개의 제1 신호라인에 각각 제2 신호라인이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 3개의 제2 신호라인 중 하나의 제2 신호라인(22-1)은 신호공급부로부터 1개의 제1 신호라인(12-1)과 중첩될 수 있는 길이어야 하며 첫 번째 제1 신호라인(12-1) 일측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첫 번째 제1 신호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제2 신호라인(22-2)은 신호공급부로부터 2개의 제1 신호라인(12-1, 12-2)과 중첩될 수 있는 길이어야 하며 두 번째 제1 신호라인(12-2) 일측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두 번째 제1 신호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 하나의 제2 신호라인(22-3)은 신호공급부로부터 3개의 제1 신호라인(12-1, 12-2, 12-3)과 중첩될 수 있는 길이어야 하며 세 번째 제1 신호라인(12-2) 일측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세 번째 제1 신호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 방법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필름이 도시되어 있다.
제2 필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1개의 제2 신호라인이 형성된 선형 필름을 사용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각각의 선형 필름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에 반해 도 5에 도시된 제2 필름의 경우 각각의 선형 필름의 일부가 연결되어 있다.
선형 필름은 적어도 신호공급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제1 신호라인으로부터 신호공급부까지의 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선형 필름의 일부분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분리된 선형 필름을 사용하는 것보다 선형 필름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용이하며, 제2 신호라인들의 제2 단부를 신호공급부(30)에 연결하는 것도 한 번에 할 수 있어 신호라인 연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제2 필름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제2 필름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제2 필름과 달리 제1 필름에 대응하는 크기의 하나의 필름에 복수 개의 제2 신호라인(22)을 모두 형성한다. 이때 각각의 제2 신호라인의 배열 및 길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1 신호라인과 연결되어야 할 제2 신호라인의 제1 단부는 절개부(13)를 통해 제1 필름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2 필름으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신호라인의 제1 단부 주변을 ㄷ자로 절개하는 절개라인(2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ㄷ자는 제2 신호라인을 절단하지 않으면서 제1 단부 주변을 절개할 수 있는 형상은 의미하는 것으로서 U자, V자 등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형상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제2 필름을 사용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제2 필름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필름이 제1 필름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기 때문에 투명 디스플레이 전체 영역에서의 기판의 평형을 유지하는데에 더 유리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는 제1 신호라인에 연결된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동일하게 제어하기 용이하고, 신호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능한 짧은 길이의 신호라인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신호라인 패턴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신호라인 형성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록 핵심구성인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의 구성 및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2 필름 하부 또는 제1 필름 상부에 절연기판(필름) 또는 절연층 등 다른 구성요소들이 더 부가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한정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발명의 사상 및 그 영역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제1 필름 11: 발광소자
12: 제1 신호라인 13: 절개부
20: 제2 필름 22: 제2 신호라인
23: 절개라인 30: 신호공급부

Claims (8)

  1. 상부면에 제1 축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신호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필름; 및
    상기 제1 필름의 아래에 위치하며, 하부면에 상기 제1 축과 교차하는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신호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필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필름에는 상기 제1 신호라인의 인접영역에 상기 제1 필름을 관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신호라인의 제1 단부가 형성된 상기 제2 필름의 일부분이 상기 절개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필름의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1 단부가 교차하는 상기 제1 신호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에는 서로 이웃한 N개의 상기 제1 신호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제1 신호라인 일측에는 상기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N은 2이상의 자연수),
    상기 제2 필름에는 신호공급부에 연결된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단부까지 상기 제2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N개의 상기 제2 신호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N개의 제2 신호라인 각각은 서로 다른 개수의 제1 신호라인과 교차하도록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단부까지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며, 교차하는 제1 신호라인 중 상기 신호공급부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제1 신호라인의 일측에 형성된 절개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장 멀리 위치한 제1 신호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신호공급부에 더 가까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에는 상기 제2 신호라인의 제1 단부 주변을 ㄷ자로 절개하는 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은 각각 1개의 상기 제2 신호라인이 형성된 N개의 선형 필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선형 필름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선형 필름은 서로 이웃한 선형 필름과 일부 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신호공급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제1 신호라인으로부터 상기 신호공급부까지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라인의 일 단부와 타 단부에 각각 제1 발광소자와 제2 발광소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신호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2 신호라인을 통해 상기 제1 발광소자와 제2 발광소자에 동일한 신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KR1020170162815A 2017-11-30 2017-11-30 동시 제어가 용이한 투명 디스플레이 KR101968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815A KR101968744B1 (ko) 2017-11-30 2017-11-30 동시 제어가 용이한 투명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815A KR101968744B1 (ko) 2017-11-30 2017-11-30 동시 제어가 용이한 투명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744B1 true KR101968744B1 (ko) 2019-04-30

Family

ID=6628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815A KR101968744B1 (ko) 2017-11-30 2017-11-30 동시 제어가 용이한 투명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7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1069A (ja) * 1998-09-11 2000-03-31 Pioneer Electronic Corp 有機elフルカラー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28646A (ko) * 2005-08-30 2007-03-1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검사를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KR20090030796A (ko) 2007-09-21 2009-03-25 조치현 투명 전광 장치
KR101764409B1 (ko) * 2017-01-13 2017-08-02 주식회사 라임디스플레이 투명 pcb 기반의 f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1069A (ja) * 1998-09-11 2000-03-31 Pioneer Electronic Corp 有機elフルカラー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28646A (ko) * 2005-08-30 2007-03-1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검사를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KR20090030796A (ko) 2007-09-21 2009-03-25 조치현 투명 전광 장치
KR101764409B1 (ko) * 2017-01-13 2017-08-02 주식회사 라임디스플레이 투명 pcb 기반의 f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54564A1 (en) Light-emitting module
US9773855B2 (en) Array substrate,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JP4583956B2 (ja) 面状光源装置の製造方法
US9921698B2 (en) Layer electrode for touchscreens
US20150340419A1 (en)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panel
CN111081720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090283790A1 (en) Circuit substrate an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JP6653022B2 (ja) ビデオウォールモジュールおよびビデオウォール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11775110B2 (en) Display apparatus
US11244634B2 (en) Display device having power wires overlapping a driving integrated circuit
KR101968744B1 (ko) 동시 제어가 용이한 투명 디스플레이
JP2008108758A (ja) フレキシブル基板
US10716215B2 (en) Display device
JP2011023620A (ja) 配線基板
KR101484915B1 (ko) Rgb led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광 장치
JP6872769B2 (ja) Ledディスプレイ装置
JP5232698B2 (ja) 多面付け基板および半導体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5913432B2 (ja) チップ型発光素子
JP2018087928A (ja) Led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303252A (ja) 回路基板
JP6817906B2 (ja) 配線基板
CN102543909A (zh) 不规则形状的封装结构及其制造方法
KR20170007101A (ko) 정전용량 센서
JP2010217469A (ja) 空間光変調装置の配線構造
TW201841109A (zh) 觸控顯示整合驅動電路以及使用其之觸控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