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101A - 정전용량 센서 - Google Patents

정전용량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101A
KR20170007101A KR1020160057704A KR20160057704A KR20170007101A KR 20170007101 A KR20170007101 A KR 20170007101A KR 1020160057704 A KR1020160057704 A KR 1020160057704A KR 20160057704 A KR20160057704 A KR 20160057704A KR 20170007101 A KR20170007101 A KR 20170007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 line
insulating substrate
annular portion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지 시노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7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capacitance
    • G01D5/241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capacitance by relative movement of capacitor electrodes
    • G01D5/2417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capacitance by relative movement of capacitor electrodes by varying sepa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감도이며 시인성이 우수한 정전용량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전용량 센서(1)는, 절연기판과, 당해 절연기판의 한쪽 면에,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1환형상부(22)를 가지도록, 제1전극선(21)을 두 방향을 따라서 배치하여 형성된 검출용 전극(20)과, 절연기판의 다른 한쪽 면에, 제1환형상부(22)보다도 작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환형상부(32)를 복수 가지도록, 제2전극선(31)을 두 방향을 따라서 배치하여 형성된 구동용 전극(30)을 구비하며, 제2전극선(31)은, 평면시에서의 절연기판의 검출용 전극(20)과 구동용 전극(30)이 중복되는 영역에 있어서, 제1환형상부(22)의 안쪽에 제2환형상부(32)의 모서리부(70)가 복수 포함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정전용량 센서{ELECTROSTATIC CAPACITANCE SENSOR}
본 발명은, 절연물을 개재하여 다른 층에 형성된 한쌍의 전극을 구비한 정전용량 센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절연물을 개재하여 다른 층에 형성된 구동용 전극과 검출용 전극을 구비한 정전용량 센서가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류의 정전용량 센서에서는, 구동용 전극과 검출용 전극과의 결합용량이 작을수록, 정전용량 센서의 검출결과를 이용하는 IC 쪽에서의 고감도에 관한 조정 폭을 크게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결합용량을 작게 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구동용 전극의 각 도전선과 검출용 전극의 각 도전선에 대해서 각각, 동일한 형상 또한 동일한 사이즈의 메시 패턴을 형성하고,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 상호의 메시 패턴을 하프 핀치 어긋나게 하여 센서를 구성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구동용 전극과 검출용 전극과의 결합용량은 메시 패턴의 핀치가 크게 영향을 준다. 또, 결합용량을 작게 하는 방법으로서 메시 패턴의 핀치를 변경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러한 정전용량 센서를 액정패널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메시 패턴의 핀치를 변경하면, LCD 칼라필터의 형상으로부터 도출되는 모아레 대책의 설계 룰에 의거한 설계를 하기 어렵게 되어, 외관 품위의 확보에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하기에 출전을 나타내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과 같이, 메시의 밀도를 조밀함에서 성김으로 변경하는 것이 고려된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터치패널은, 투명기판과, 투명기판의 한쪽 면에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된 제1도전선을 가지는 제1전극과, 투명기판의 다른 한쪽 면에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된 제2도전선을 가지는 제2전극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1도전선의 피치는, 제2도전선의 피치의 정수배가 되도록 구성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4-35612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터치패널의 평면시에 있어서, 제1전극은 제2전극에 중복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제1전극이 제2전극에 중복되어 있어도 어라인먼트 정밀도의 관계로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 외관상, 전극선이 다른 부위에 비해 굵게 보여서, 당해 터치패널을 개재하여 배치되는 표시화면의(표시의) 시인성이 악화된다.
그러므로, 다른 방법으로서, 구동용 전극과 검출용 전극과 층간 거리를 넓히는 것으로 대책을 세우는 것이 고려될 수 있으나, 박형화의 관점에서 득책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따라서, 고감도이며 시인성이 우수한 정전용량 센서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정전용량 센서의 특징구성은, 절연기판과, 상기 절연기판의 한쪽 면에,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1환형상부를 가지도록, 제1전극선을 두 방향을 따라 배치하여 형성된 검출용 전극과, 상기 절연기판의 다른 한쪽 면에, 상기 제1환형상부보다도 작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환형상부를 복수 가지도록, 제2전극선을 두 방향을 따라 배치하여 형성된 구동용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2전극선은, 평면시에서의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검출용 전극과 상기 구동용 전극이 중복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환형상부의 안쪽에 상기 제2환형상부의 모서리부가 복수 포함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특징구성으로 하면, 검출용 전극 및 구동용 전극의 평면시에 있어서, 검출용 전극을 형성하는 제1전극선 및 구동용 전극을 형성하는 제2전극선으로 이루어지는 외관상의 각각의 피치를 상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정전용량 센서를 액정패널에 적용한 경우에도, 모아레 대책의 설계 룰을 일탈하지 않고, 고감도이며 시인성이 우수한 정전용량 센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검출용 전극이 가진 제1환형상부 안에 구동용 전극을 구성하는 제2환형상부의 모서리부를 2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환형상부를 긴변의 길이=짧은변의 길이×2를 구비하는 직사각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더미배선을 제1환형상부의 중앙부에 배치함으로써, 평면시에 있어서 제1전극선, 제2전극선 및 더미배선으로 구성된 외관상의 메시 패턴을 등간격으로 할 수 있으며, 시인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제1환형상부 안에 제2환형상부의 모서리부를 4개 이상 형성하는 경우에도, 제1환형상부의 긴변과 짧은변과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대응 가능하다. 이와 같이, 검출용 전극의 매시 패턴의 개구률(제1환형상부의 크기)을 구동용 전극의 개구률(제2환형상부으 크기)보다도 크게 설정함으로써, 구동용 전극으로부터의 전계의 확산이 커져서, 검출감도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절연기판의 한쪽 면 또는 다른 한쪽 면에 배치된 제3전극선을 가진 더미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3전극선은, 평면시에서의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제1환형상부를 상기 제2환형상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부분적으로, 더미배선을 배치함으로써, 검출용 전극과 구동용 전극과의 외관상의 피치를 변경하는 일이 없으므로, 시인성을 악화시키지 않고, 결함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3전극선과, 상기 절연기판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선과 동일한 면에 배치된 상기 제1전극선 및 상기 제2전극선 중의 한쪽과는, 상기 동일한 면 안에 있어서 교차하지 않도록,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전극선이 절단되어 있는 개소를 가지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검출용 전극을 구성하는 제1전극선과, 구동용 전극을 구성하는 제2전극선과, 더미배선을 구성하는 제3전극선이 교차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검출감도를 손상시키지 않는 전극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절연기판의 한쪽 면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용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상기 제1환형상부와 동일한 형상의 제3환형상부를 복수 가지도록, 제3전극선을 두 방향을 따라 배치하여 형성된 더미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3전극선은, 평면시에서의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더미배선과 상기 구동용 전극이 중복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3환형상부의 안쪽에 상기 제2환형상부의 모서리부가 복수 포함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검출용 전극과 구동용 전극과의 외관상의 피치, 및 더미배선과 구동용 전극과의 외관상의 피치를 동일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용량 센서를 액정패널에 적용한 경우에도, 고감도이며 시인성이 우수한 정전용량 센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전극선과, 상기 제3전극선은, 상기 제1전극선이 뻗어 있는 두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검출용 전극, 구동용 전극 및 더미배선으로 구성되는 절연기판의 평면시에 있어서의 메시형상의 개구률을 일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시인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감도이며 시인성이 우수한 정전용량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정전용량 센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정전용량 센서의 전극 패턴의 형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그 밖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전용량 센서의 전극 패턴의 형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그 밖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전용량 센서의 전극 패턴의 형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그 밖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전용량 센서의 분해사시도.
본 발명에 관한 정전용량 센서는, 터치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의 검출에 이용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정전용량 센서(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정전용량 센서(1)를 분해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전용량 센서(1)는, 절연기판(10), 검출용 전극(20), 구동용 전극(30), 더미배선(40), 점착시트(OCA(Optical Clear Adhesive)(50), 커버패널(6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절연기판(10)은,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박판 형상의 기초재이며, 후술하는 검출용 전극(20), 구동용 전극(30), 더미배선(40)이 형성되는 기판으로서 이용된다. 정전용량 센서(1)의 하부에 액정모니터 등을 구비하고, 그 표시 화면을 사용자에게 시인시킬 경우에는, 절연기판(10)은 투명한 것을 이용하면 된다.
검출용 전극(20)은, 절연기판(10)의 한쪽 면(10A)에,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1환형상부(22)를 가지도록, 제1전극선(21)을 두 방향을 따라서 배치하여 형성된다. 제1전극선(21)이란, 검출용 전극(20)을 형성하는 도체이며, 절연기판(10)의 한쪽 면(10A)에 패터닝된다. 제1전극선(21)은, 예를 들면, 구리(Cu)나 은(Ag)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Cr, Mo/Al/Mo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1전극선(21)의 선폭은 10μm 이하, 피치(인접하는 평행한 2개의 제1전극선(21)의 사이의 거리)는 500~2000μm 정도로 하면 된다. 제1환형상부(22)란, 제1전극선(21)에 의해 구획되는 구획 중의 최소구획이다.
"두 방향을 따라서"라고 함은, 절연기판(10)에 있어서 설정된 소정의 2개의 방향이다. 제1전극선(21)은, 이 2개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검출용 전극(20)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스트립전극(23)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스트립전극(23)으로부터 인출배선(24)이 형성된다. 또한, 도 1에는, 스트립전극(23)의 일부가 확대된 도면이 표시된다. 이 확대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형의 제1환형상부(22)를 복수 형성하도록 제1전극선(21)이 패터닝된다. 인접하는 2개의 제1환형상부(22)는, 서로 인접하는 변을 공유하여 구성된다.
구동용 전극(30)은, 절연기판(10)의 다른 한쪽 면(10B)에,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2환형상부(32)를 가지도록, 제2전극선(31)을 두 방향을 따라서 배치하여 형성된다. 제2전극선(31)이란, 구동용 전극(30)을 형성하는 도체이며, 절연기판(10)에 있어서 검출용 전극(20)이 형성된 면(10A)의 뒷면(10B)에 패터닝된다. 제2전극선(31)은, 제1전극선(21)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구리(Cu)나 은(Ag)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Cr, Mo/Al/Mo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2전극선(31)의 선폭은 10μm 이하, 피치(인접하는 평행한 2개의 제2전극선(31)의 사이의 거리)는 500~2000μm 정도로 하면 된다. 제2환형상부(32)란, 제2전극선(31)에 의해 구획되는 구획 중의 최소구획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전극선(31)은, 제1전극선(21)이 뻗어 있는 두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즉, 제2전극선(31)의 각각이 뻗어 있는 방향과, 제1전극선(21)의 각각이 뻗어 있는 방향이 일치하도록 제2전극선(31)이 배치된다. 구동용 전극(30)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스트립전극(33)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스트립전극(33)으로부터 인출배선(34)이 형성된다. 또한, 도 1에는, 스트립전극(33)의 일부가 확대된 도면이 표시된다. 이 확대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형의 제2환형상부(32)를 복수 형성하도록 제2전극선(31)이 패터닝된다. 인접하는 2개의 제2환형상부(32)는, 서로 인접하는 변을 공유하여 구성된다.
또, 제2환형상부(32)는, 제1환형상부(22)보다도 작은 사이즈로 구성된다. 작은 사이즈로 구성된다고 함은. 상세한 것은 뒤에 설명하겠지만, 제2환형상부(32)의 면적이 제1환형상부(22)의 면적보다도 작은 것을 말한다.
여기서, 도 2에는, 절연기판(10)에 형성된 검출용 전극(20) 및 구동용 전극(30)의 평면시의 일부가 표시된다. 단,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절연기판(10)은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전극선(31)은, 평면시에서의 절연기판(10)의 검출용 전극(20)과 구동용 전극(30)이 중복되는 영역에 있어서, 제1환형상부(22) 안쪽에 제2환형상부(32)의 모서리부(70)가 복수 포함되도록 배치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환형상부(22) 및 제2환형상부(32)는, 평면시가 사각형으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제2환형상부(32)의 모서리부(70)"라고 함은, 제2환형상부(32)를 구성하는 사각형의 4개의 꼭지점부가 해당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환형상부(22)에 제2환형상부(32)의 모서리부(70)가 2개씩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더미배선(40)은, 절연기판(10)의 한쪽 면(10A) 또는 다른 한쪽 면(10B)에 배치된 제3전극선(41)을 가진다. 제3전극선(41)은, 평면시에서의 절연기판(10)의 제1환형상부(22)를 제2환형상부(32)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더미배선(40)은, 절연기판(10)의 다른 한쪽 면(10B)에 배치된다. 제3전극선(41)은, 제1전극선(21)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구리(Cu)나 은(Ag)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Cr, Mo/Al/Mo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3전극선(41)의 선폭은 10μm 이하, 피치(인접하는 평행한 2개의 제3전극선(41)의 사이의 거리)는 500~2000μm 정도로 하면 된다
"평면시에서의 절연기판(10)의 제1환형상부(22)를 제2환형상부(32)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된다"라고 함은, 절연기판(10)을 수직 윗방향에서 보아, 제1전극선(21)에 의해 형성된 제1환형상부(22)가, 제3전극선(41)에 의해 제2환형상부(32)와 동일한 사이즈의 구획으로 나누어짐을 의미한다. 이로써, 평면시의 절연기판(10)의 적어도 제1환형상부(22)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R1)과, 제2환형상부(32)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R2)이 중복되어 있는 영역(R)에 있어서, 제1전극선(21), 제2전극선(31) 및 제3전극선(41)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을, 보다 작게, 또한, 동일한 사이즈로 구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전극선(41)은, 제1전극선(21)이 뻗어 있는 두 방향 중 피치가 작은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즉, 제3전극선(41)의 각각이 뻗어 있는 방향과, 제1전극선(21)의 각각이 뻗어 있는 방향이 일치하도록 제3전극선(41)이 배치된다.
제3전극선(41)과, 절연기판(10)에 있어서 제3전극선(41)과 동일한 면에 배치된 제1전극선(21) 및 제2전극선(31) 중의 한쪽과는, 당해 동일한 면 안에 있어서 교차하지 않도록,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전극선이 절단되어 있는 개소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전극선(41)은, 제2전극선(31)이 배치된 절연기판(10)의 면(10B)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절연기판(10)에 있어서 제3전극선(41)과 동일한 면에 배치된 제1전극선(21) 및 제2전극선(31) 중의 한쪽"이라 함은, 제2전극선(31)이 해당된다.
따라서, 제3전극선(41)과 제2전극선(31)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절단된 부분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전극선(31)과 제3전극선(41)이 교차하는 부분에 있어서, 제3전극선(41)이 절단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출용 전극(20)의 제1전극선(21)은, 더미배선(40)의 제3전극선(41)과 구동용 전극(30)의 제2전극선(31)과는, 절연기판(10)의 다른 면에 형성되므로, 제1전극선(21)은 절단되지 않고 구성된다.
점착시트(50)는, 접합 시에 사용하는 필름 형상의 점착시트(광학호(光學糊))이며, 절연기판(10), 검출용 전극(20), 구동용 전극(30) 및 더미배선(40)으로 이루어지는 센서 패널과, 예를 들면, 화장판이나 화장필름으로서의 커버패널(60)을 접합시킬 때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정전용량 센서(1)를 구성함으로써, 검출용 전극(20)을 형성하는 제1전극선(21) 및 구동용 전극(30)을 형성하는 제2전극선(31)의 각각의 피치를 상대적으로 변화시킬 수있다. 또, 부분적으로, 더미배선(40)을 배치함으로써, 검출용 전극(20)과 구동용 전극(30)과의 외관상의 피치를 변경하지 않고 결합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용량 센서(1)를 액정패널에 적용한 경우에도, 모아레 대책의 설계 룰을 일탈하는 일 없이, 고감도이며 시인성이 우수한 정전용량 센서(1)를 실현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있어서, 검출용 전극(20)의 제1환형상부(22)를 직사각형(특히, 긴변의 길이=짧은변의 길이×2)으로서 나타냈으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용 전극(20)의 제1환형상부(22)를 정사각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제1환형상부(22)에 제2환형상부(32)의 모서리부(70)가 4개씩 포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3의 예에서는, 더미배선(40)의 제3전극선(41)은, 절연기판(10)에 있어서의 구동용 전극(30)의 제2전극선(31)이 배치된 면(10B)과 동일한 면(10B), 또한, 제1전극선(21)이 뻗어 있는 두 방향을 따라 배치되지만, 이 경우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3전극선(41)과 제2전극선(31)이 교차하지 않도록, 제3전극선(41)의 소정 부위를 절단하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정전용량 센서(1)는 절연기판(10)의 한쪽 면(10A) 또는 다른 한쪽 면(10B)에 배치된 제3전극선(41)을 가진 더미배선(40)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더미배선(40)을 구비하지 않고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3전극선(41)과, 제2전극선(31)은, 동일한 면 안에 있어서 교차하지 않도록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전극선이 절단되어 있는 개소를 가지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제3전극선(41)을 제1전극선(21)과 동일한 면 안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3전극선(41)과 제1전극선(21)이, 동일한 면 안에서 교차하지 않도록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전극선을 절단된 개소를 가지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3과 마찬가지로 검출용 전극(20), 구동용 전극(30) 및 더미배선(40)을 절연기판(10)에 형성하고, 더미배선(40)과 구동용 전극(30)과의 교차하는 부분(a)에 있어서 구동용 전극(30)의 제2전극선(31)을 절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검출용 전극(20)과 구동용 전극(30)과의 교차하는 부분(b)에 있어서 구동용 전극(30)의 제2전극선(31)을 절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검출용 전극(20)과 구동용 전극(30)과의 교차하는 부분(c)에 있어서 검출용 전극(20)의 제1전극선(21)을 절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서는, 검출용 전극(20)과 더미배선(40)과의 교차하는 부분(d)에 있어서 검출용 전극(20)의 제1전극선(21)을 절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환형상부(22) 및 제2환형상부(32)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인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평행사변형이나 마름모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전극선(21), 제2전극선(31) 및 제3전극선(41)이 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곡선이나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더미배선(40)의 제3전극선(41)이, 평면시에서의 절연기판(10)의 제1환형상부(22)를 제2환형상부(32)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기판(10)의 한쪽 면(10A)에 있어서의 검출용 전극(2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제3전극선(41)을 두 방향을 따라 배치하여 형성된 제1환형상부(22)와 동일한 형상의 제3환형상부(42)를 복수 가지는 더미배선(40)을 2개의 스트립전극(23)의 사이에 배치해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3전극선(41)은, 평면시의 절연기판(10)의 더미배선(40)과 구동용 전극(30)이 중복되는 영역에 있어서, 제3환형상부(42) 안쪽에 제2환형상부(32)의 모서리부(70)가 복수 포함되도록 배치되면 된다. 즉, 제3환형상부(42)와 제2환형상부(32)와의 관계가, 제1환형상부(22)와 제2환형상부(32)와의 관계와 같도록, 더미배선(40)을 구성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검출용 전극(20)과 구동용 전극(30)과의 와관상의 피치, 및 더미배선(40)과 구동용 전극(30)과의 와관상의 피치를 동일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용량 센서(1)를 액정패널에 적용한 경우에도, 고감도이며 시인성이 우수한 정전용량 센서(1)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2전극선(31)과, 제3전극선(41)은, 제1전극선(21)이 뻗어 있는 두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제1전극선(21)과, 제2전극선(31)과, 제3전극선(41)은, 서로 다른 두 방향을 따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절연물을 개재하여 다른 층에 형성된 한쌍의 전극을 구비한 정전용량 센서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절연기판
10A: 면(한쪽 면)
10B: 면(다른 한쪽 면)
20: 검출용 전극
21: 제1전극선
22: 제1환형상부
30: 구동용 전극
31: 제2전극선
32: 제2환형상부
40: 더미배선
41: 제3전극선
42: 제3환형상부
70: 모서리부

Claims (5)

  1. 절연기판과,
    상기 절연기판의 한쪽 면에,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1환형상부를 가지도록, 제1전극선을 두 방향을 따라 배치하여 형성된 검출용 전극과,
    상기 절연기판의 다른 한쪽 면에, 상기 제1환형상부보다도 작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환형상부를 복수 가지도록, 제2전극선을 두 방향을 따라 배치하여 형성된 구동용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2전극선은, 평면시에서의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검출용 전극과 상기 구동용 전극이 중복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환형상부의 안쪽에 상기 제2환형상부의 모서리부가 복수 포함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정전용량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기판의 한쪽 면 또는 다른 한쪽 면에 배치된 제3전극선을 가진 더미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3전극선은, 평면시에서의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제1환형상부를 상기 제2환형상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는 정전용량 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선과, 상기 절연기판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선과 동일한 면에 배치된 상기 제1전극선 및 상기 제2전극선 중의 한쪽과는, 상기 동일한 면 안에 있어서 교차하지 않도록,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전극선이 절단되어 있는 개소를 가지는 정전용량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기판의 한쪽 면에 있어서의 상기 검출용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상기 제1환형상부와 동일한 형상의 제3환형상부를 복수 가지도록, 제3전극선을 두 방향을 따라 배치하여 형성된 더미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3전극선은, 평면시에서의 상기 절연기판의 상기 더미배선과 상기 구동용 전극이 중복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3환형상부의 안쪽에 상기 제2환형상부의 모서리부가 복수 포함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정전용량 센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선과, 상기 제3전극선은, 상기 제1전극선이 뻗어 있는 두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정전용량 센서.
KR1020160057704A 2015-07-10 2016-05-11 정전용량 센서 KR201700071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39005 2015-07-10
JP2015139005A JP2017021591A (ja) 2015-07-10 2015-07-10 静電容量セン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101A true KR20170007101A (ko) 2017-01-18

Family

ID=5626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704A KR20170007101A (ko) 2015-07-10 2016-05-11 정전용량 센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010713A1 (ko)
EP (1) EP3115875A1 (ko)
JP (1) JP2017021591A (ko)
KR (1) KR20170007101A (ko)
CN (1) CN106339141A (ko)
TW (1) TW2017108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3917B1 (en) * 2019-03-28 2024-07-17 Sumitomo Riko Company Limited Electrostatic transducer and electrostatic transducer un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5612A (ja) 2012-08-08 2014-02-24 Fujikura Ltd 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3058A (ja) * 2011-05-19 2012-12-10 Panasonic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6068322B2 (ja) * 2013-12-03 2017-01-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シート、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KR101512568B1 (ko) * 2013-12-24 2015-04-15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US10126859B2 (en) * 2014-02-20 2018-11-13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5612A (ja) 2012-08-08 2014-02-24 Fujikura Ltd 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5875A1 (en) 2017-01-11
JP2017021591A (ja) 2017-01-26
CN106339141A (zh) 2017-01-18
US20170010713A1 (en) 2017-01-12
TW201710858A (zh)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4417B2 (en) Touch-sensing electrode structure and touch-sensitive device
JP6225793B2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US20160085339A1 (en) Touch panel substrat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50109338A (ko)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KR20160144450A (ko)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JP2015035122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20160022925A (ko) 용량성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용 전극 매트릭스
CN104871119A (zh) 触摸面板基板和电子设备
JP6740095B2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WO2014077315A1 (ja) タッチパネル基板、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TW201910997A (zh) 觸控面板及顯示裝置
JP2017227983A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18206422A (ja) 入力装置
JP2016126731A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16126730A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KR20170007101A (ko) 정전용량 센서
JP2017227984A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6391978B2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17187857A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CN113485577B (zh) 触控面板和触控显示装置
EP3688565B1 (en) Touch control modul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touch control display apparatus
JP2016206754A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7159857B2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CN112639698A (zh) 触控结构及触控显示装置
KR101738254B1 (ko) 입력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