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574B1 -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574B1
KR101968574B1 KR1020180128649A KR20180128649A KR101968574B1 KR 101968574 B1 KR101968574 B1 KR 101968574B1 KR 1020180128649 A KR1020180128649 A KR 1020180128649A KR 20180128649 A KR20180128649 A KR 20180128649A KR 101968574 B1 KR101968574 B1 KR 101968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int
stirring
mo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석두
Original Assignee
양석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석두 filed Critical 양석두
Priority to KR1020180128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8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9/84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01F9/14
    • B01F15/00025
    • B01F15/00038
    • B01F15/00123
    • B01F15/0043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40Parts or components, e.g. receptacles,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B01F29/403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 B01F29/4035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a receptacle rotating around two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40Parts or components, e.g. receptacles,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B01F29/403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 B01F29/4036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a plurality of rotating receptacles
    • B01F29/40363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a plurality of rotating receptacles having perpendicular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0Maintenance of mixers
    • B01F35/12Maintenance of mixers using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0Maintenance of mixers
    • B01F35/145Washing or cleaning mixer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in this subclass; Inhibiting build-up of material on machine parts using other means
    • B01F35/1452Washing or cleaning mixer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in this subclass; Inhibiting build-up of material on machine parts using other means us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2009/0067
    • B01F2009/00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Mixing paints or paint ingredients, e.g. pigments, dyes, colours, lacquers or enamel
    • B01F2215/00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료 재료가 용기에 공급되는 제1위치, 상기 용기에 공급된 도료 재료의 교반이 이루어지는 제2위치, 상기 교반이 이루어진 상기 용기 내부의 도료가 배출되는 제3위치 및 상기 배출이 완료된 용기를 세척하는 제4위치에 상기 용기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도료 재료를 교반하도록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교반 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4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용기 이동부; 상기 교반 날개를 상기 용기 내부에 삽입하거나 상기 용기의 이동시 상기 교반 날개를 상기 용기로부터 도피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교반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교반 날개를 상기 구동원에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 및 상기 용기가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4위치에 정확히 배치되도록 상기 용기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상기 용기의 이동량을 제어토록 하는 용기위치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 {PAINT MANUFACTURING EQUIPMENT AND PAINT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AT}
본 발명은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료 재료의 투입부터 도료를 담았던 용기의 세척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고, 용기에 삽입되어 교반공정을 행하는 교반 날개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용기 이동부의 회전량을 정확히 감지하여 재료의 투입 및 교반 날개의 삽입이 이루어질 때에 재료가 유실되거나 교반 날개가 용기와 간섭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성액상페인트, 특히 분산페인트는 대형용해기가 있는 공장에서 페인트제조생산자에 의해 제조되며, 용해기는 톱니링에서 높은 원주 속도의 결과로 탁월한 분산효과를 상승시키는 톱니원판을 구비한 고속교반기이다.
분산페인트의 공장제조에 있어서, 필요할 경우 침윤제, 소포제 및 방부제등의 제2성분과 혼합하에 1차 주수는 용해기에 부가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교반기에 의해 안료 및 충전제가 서서히 삽입된다.
분산동작 완료 후에 획득된 안료페이스트는 저속으로 회전하는 교반기에 의해 결합제로서 소성분산제와 혼합된다.
완성된 페인트는 30~50%의 분산페인트의 물분율을 가진 캔으로 공급되고, 분산페인트의 제조방법은, 물에 재분산 가능한 소성분말(분산분말)이 사용되며, 분산분말은 안정한 수성소성분산을 형성시키기 위해 물에 교반되는 소성분말이다.
wacker-chemie사의 Vinmapas 분산분말과 같이 물에 재분산되는 소성분말은, 재개발에 의하여, 분산페인트의 큰 물분율 수송을 피할 수 있는 가능성 및 분산혼합물과 물에 의하여 처리지점에서 직접 분산페인트를 혼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지금까지의 절차에서는 분산분말을 교반하였으며, 또는 목제 교반기 또는 교반기를 설치한 드릴링머신에 의해 현장에서 혼합물에 분산분말을 함유한 분말조성물을 교반하였다.
일반적으로, 이 절차에서는 영구적으로 용해기를 설치한 공장에서 제조된 액상분산페인트의 경우와 동일한 품질을 달성할 수 없고, 이는, 우수한 분산효과에 필요한 전단력이 이 절차에서는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형 수성액상페인트 제조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수성액상페인트 제조장치는, 분말성분과 물에서 수성액상페인트 제조장치에서, 이동용 프레임은, 혼합모터 및 용해기를 구비하며, 스프링을 통하여 혼합용기에 내려지는 혼합유닛과, 계측모터, 운반소자를 가진 계측용기 및 충전깔때기를 구비한 계측유닛과, 계측작업 및 혼합작업을 제어하는 제어소자를 가진 스위칭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1-0006088호(2001년 01월 15일 공개, 발명의 명칭 : 분말성분과 물에서 수성액상페인트를 제조하는 이동용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페인트 제조장치는, 연속 공정을 행하기 위한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대량의 페인트를 짧은 시간 내에 제조하기 어렵고, 대량의 페인트를 제조하기 위해 연속 공정을 행하는 자동화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용기 내부에 삽입되어 교반공정을 행하는 스크루 또는 교반 날개의 교체를 용이하게 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용기에 재료를 투입하는 공정 및 용기를 이동시키면서 교반공정 등을 연속적으로 행할 때에 용기의 이동량을 정확히 감지하기 어려워 페인트 재료가 용기 외부로 유실되거나 스크루 또는 교반 날개가 용기 내부로 삽입될 때에 용기와 간섭되면서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도료 재료의 투입부터 도료를 담았던 용기의 세척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고, 용기에 삽입되어 교반공정을 행하는 교반 날개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용기 이동부의 회전량을 정확히 감지하여 재료의 투입 및 교반 날개의 삽입이 이루어질 때에 재료가 유실되거나 교반 날개가 용기와 간섭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료 재료가 용기에 공급되는 제1위치, 상기 용기에 공급된 도료 재료의 교반이 이루어지는 제2위치, 상기 교반이 이루어진 상기 용기 내부의 도료가 배출되는 제3위치 및 상기 배출이 완료된 용기를 세척하는 제4위치에 상기 용기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도료 재료를 교반하도록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교반 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4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용기 이동부; 상기 교반 날개를 상기 용기 내부에 삽입하거나 상기 용기의 이동시 상기 교반 날개를 상기 용기로부터 도피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교반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교반 날개를 상기 구동원에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 및 상기 용기가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4위치에 정확히 배치되도록 상기 용기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상기 용기의 이동량을 제어토록 하는 용기위치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4위치는 상기 교반기의 승강축이 되는 지지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위치하고, 상기 용기 이동부는 상기 각각의 용기가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4위치를 차례로 순환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용기를 동시에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도료 재료의 공급,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도료 재료의 교반, 상기 제3위치에서 상기 교반된 도료의 배출 및 상기 제4위치에서 상기 용기의 세척이 일괄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용기위치판단부는, 회전되는 기둥부재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물결 모양의 패턴을 그리는 패턴성형부; 상기 기둥부재 측면에 그려지는 패턴의 돌출부위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포토센서; 및 상기 포토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에서 패턴의 돌출부위 개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포토센서를 통과한 상기 기둥부재의 회전량을 판단하고, 상기 기둥부재의 회전량이 설정치에 도달되면 정지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용기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4위치에 정확히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원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복수 개의 용기를 회전시키면서 제1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용기에 도료 재료를 투입하는 투입단계; (b) 도료 재료가 투입되는 상기 용기가 제2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용기에 교반 날개를 삽입하고 회전시켜 교반작동을 행하는 교반단계; (c) 상기 용기가 제3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용기로부터 도료를 배출시키는 배출단계; 및 (d) 상기 용기가 제4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용기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세척작동을 행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료 제조방법은, 도료 재료가 용기에 공급되는 제1위치, 상기 용기에 공급된 도료 재료의 교반이 이루어지는 제2위치, 상기 교반이 이루어진 상기 용기 내부의 도료가 배출되는 제3위치 및 상기 배출이 완료된 용기를 세척하는 제4위치에 상기 용기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도료 재료를 교반하도록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교반 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4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용기 이동부; 상기 교반 날개를 상기 용기 내부에 삽입하거나 상기 용기의 이동시 상기 교반 날개를 상기 용기로부터 도피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교반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교반 날개를 상기 구동원에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 및 상기 용기가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4위치에 정확히 배치되도록 상기 용기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상기 용기의 이동량을 제어토록 하는 용기위치판단부를 포함하는 도료 제조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은, 도료 재료를 용기에 투입하는 과정, 용기에 담긴 도료 재료를 교반하는 과정, 교반이 완료된 도료를 배출하는 과정, 용기를 세척하는 과정을 일괄적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공정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은, 일반 도료는 물론 재료의 혼합이 어려운 석재상 도료의 제조시에도 혼합 정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장면의 균일성 저하 및 색감이나 질감 저하의 우려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은, 용기 내부에 삽입되어 교반작업을 행하는 교반 날개를 원터치 방식으로 제1 이동 기어 샤프트 또는 제2 이동 기어 샤프트에 착탈시킬 수 있는 교체부가 구비되므로 교반 날개가 장기간 구동되어 마모가 발생되는 경우에 작업자가 교체부를 조작하여 교반 날개의 교체작업을 손쉽게 행할 수 있어 도료 제조장치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은, 용기의 이동량을 감지하는 용기위치감지부가 구비되므로 각각의 공정에 해당하는 용기가 이동될 때에 각각의 공정이 이루어지는 정확한 위치에 용기가 위치될 수 있게 되어 용기에 투입되는 재료가 용기 외부로 유실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용기 내부로 삽입되는 교반 날개가 용기와 간섭되면서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의 교반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의 착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의 교반기 제1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의 교반기 제2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의 교반기 제3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의 교반기 제4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의 용기위치판단부에 구비되는 패턴성형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의 용기위치판단부에 구비되는 포토센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의 교반기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의 착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의 교반기 제1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의 교반기 제2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의 교반기 제3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의 교반기 제4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의 용기위치판단부에 구비되는 패턴성형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의 용기위치판단부에 구비되는 포토센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는, 도료 재료가 공급되는 부분, 도료 재료의 교반이 이루어지는 부분, 도료를 배출하는 부분 및 용기를 세척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된 용기(300)가 동시에 이동됨으로써, 도료 재료의 공급, 도료 재료의 교반, 도료의 배출 및 용기의 세척이 일괄적으로 수행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료 재료가 공급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제1위치(P1), 교반기(100)에 의하여 도료 재료의 교반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해당하는 제2위치(P2), 교반이 완료된 도료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해당하는 제3위치(P3) 및 용기(300)를 세척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제4위치(P4)에 각각 용기(300)가 배치되며, 제1위치(P1) 내지 제4위치(P4)를 차례로 순환하도록 여러 용기(300)들이 동시에 이동됨으로써 도료 재료의 공급, 도료 재료의 교반, 교반된 도료의 배출 및 용기(300)의 세척이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된다.
이때, 제1위치 내지 제4위치는 교반기(100)의 승강축이 되는 지지부(500)를 중심으로 방사상(放射狀)으로 위치하고, 용기 이동부(200)는 지지부(500)를 중심으로 각각의 용기(300)를 동시에 회동시키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위치(P1)에 있던 용기(300)는 도료 재료를 공급받고 제2위치(P2)로 회동되고, 교반 날개가 용기(300) 내부로 하강하며 유성 기어부(120)에 의하여 교반 날개가 자전 및 공전된다.
유성 기어부(120)에 의하여 교반 날개가 자전 및 공전되는 것은 용기(300) 내부의 전체 단면적에 걸쳐 도료 재료를 골고루 혼합하기 위함이고, 도료 재료의 교반이 완료되면 교반 날개가 도피 위치로 상승되고, 이어서 제3위치(P3)로 용기(300)가 회동된다.
제3위치(P3)에서는 용기(300) 내부에 담겨 있는 교반이 완료된 도료가 도료통(410)에 배출되고, 도료의 배출이 완료되면 용기(300)는 제4위치(P4)로 회동되며 다음 작업을 위하여 세척된다.
세척 완료된 용기(300)는 다시 제1위치(P1)로 회동되며 새로운 도료 재료를 공급받으며, 상기의 설명은 하나의 용기(300)가 각 위치로 이동하면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며, 나머지 용기(300)들도 각 위치에 따라 해당 공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위치(P1)에 있던 용기(300)가 제2위치(P2)로 이동하면, 이와 동시에 제4위치(P4)에 있던 용기(300)는 제1위치(P1)로 이동하여 도료 재료를 공급받고, 제1위치(P1) 내지 제4위치(P4) 각각에 용기(300)가 배치되므로 도료 제조에 필요한 모든 과정은 일괄적으로 동시에 수행된다.
이러한 연속 공정(continuous process) 방식은 공정과 공정 사이를 전환하는데 허비되는 시간을 줄여주고 여러 공정을 동일한 장소에서 동시에 진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따라서 단일 품목의 대량 생산은 물론, 다양한 품종의 소량 생산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각각의 용기가 지지부(50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위치함으로써, 제조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적어지게 되므로 공간 이용의 효율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제조 장치는, 도료 재료를 교반하는 교반기(100), 교반기(100)를 용기(300) 내부로 삽입하거나 용기(300)의 이동시 교반기(100)를 도피시키는 승강부(150) 및 각 위치에 배치된 용기(300)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용기 이동부(200)와, 교반기(100), 승강부(150) 및 용기 이동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장치 전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500)와, 도료통(410)을 이송하는 이송부(400)를 포함한다.
이송부(400)는 제3위치(P3)에서 용기(300) 내부의 도료 재료가 배출된 도료통(410)을 지지하고 이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장치이고, 교반기(100)는 용기에 담겨져 있는 도료 재료를 균일하게 혼합 및 교반하는 역할을 행한다.
승강부(150)는 용기(300)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면 교반 날개가 용기(30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교반기(100)를 하강시키고, 용기(300)의 이동시 교반 날개가 용기(300)의 이동을 방해되지 않도록 교반 날개가 도피되는 위치로 교반기(100)를 승강시킨다.
승강부(150)는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고, 지지부(500)를 승강축으로 삼아 교반기(100)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용기 이동부(200)는 지지부(500)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원판 형상으로서 용기 이동부(200)에는 다수의 용기(300)가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며, 용기 이동부(200)는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다수의 용기(300)가 제1위치(P1) 내지 제4위치(P4)에 위치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또한 용기 이동부(200)에는 도료의 배출 또는 용기(300)의 세척을 위하여 틸팅부(210)가 마련되고, 제3위치에서 배출되는 도료는 도료통(410)에 담겨 포장되며, 이송부(400)에 의하여 적재 장소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교반기(100)는 구동원(110)과, 구동원(110)에 연결되는 유성 기어부(120)와, 상기 유성 기어부(120)에 연결되어 자전 및 공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반 날개를 구비한다.
구동원(110)은 구동 기어(121)의 구동력을 제공하고, 구동원(110)은 구동 기어 풀리(1212)에 벨트로 연결되고, 구동 기어 풀리(1212) 및 구동 기어(121)는 구동 기어 샤프트(1211)를 회전 중심축으로 한다.
교반 날개는 180도 대칭인 위치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교반 날개(130a) 및 제2 교반 날개(130b)로 이루어지지만, 교반 날개의 수와 배치 각도는 특별히 한정될 필요가 없다.
유성 기어부(120)는 구동 기어(121)와, 제1 이동 기어(122a)와, 제2 이동 기어(122b)를 구비하고, 제1 이동 기어(122a)는 구동 기어(121)에 맞물리며 구동 기어 샤프트(1211)를 공전축으로 하고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를 자전축으로 한다.
또한, 제2 이동 기어(122b)는 구동 기어(121)에 맞물리며 구동 기어 샤프트(1211)를 공전축으로 하고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를 자전축으로 한다.
제1 이동 기어(122a)와 제2 이동 기어(122b)는 교반 날개의 수에 맞추어 마련되므로 한 쌍의 교반 날개가 마련되는 경우, 제1 교반 날개(130a) 및 제2 교반 날개(130b)는 제1 이동 기어(122a) 및 제2 이동 기어(122b)에 각각 연결되어 자전 및 공전된다.
구동 기어 샤프트(1211)는 구동 기어 풀리(1212)에 직결되어 구동력을 제공받을 뿐, 유성 기어부(120)의 자유 회전을 구속하지 않고,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및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는 자전 가능하도록 유성 기어부(120)에 장착되며, 구동 기어(121)에 맞물려 제1 이동 기어(122a) 및 제2 이동 기어(122b)가 공전됨으로써 유성 기어부(120)가 회전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교체부(80)는,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또는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에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삽입홈부(82)와, 삽입홈부(82)에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돌고 교반 날개의 상단에 형성되는 레일부재(84)와, 레일부재(84)가 삽입홈부(82) 내측 단부까지 삽입되면 레일부재(84)를 구속하는 착탈부(86)와, 착탈부(86)에 의한 레일부재(84)의 구속을 해제하여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또는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와 교반 날개를 분리시키는 해제부(88)와, 레일부재(84)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또는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 단부를 마감하여 레일부재(84)의 분리가 방지하는 마개부재(87)를 포함한다.
따라서 교반공정을 장기간 진행하여 교반 날개가 마모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교체부(80)를 조작하여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또는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에서 교반 날개를 분리하여 새로운 교반 날개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마개부재(87)를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또는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해제부(88)를 조작하여 레일부재(84)의 구속을 해제하고, 교반 날개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레일부재(84)가 삽입홈부(82)로부터 슬라이딩되면서 교반 날개가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또는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로부터 분리된다.
삽입홈부(82)는 그 단면 형상이 'T'모양으로 형성되어 입구부 보다 넓은 걸림공간부(82a)가 내측에 형성되고, 삽입홈부(8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일부재(84)가 슬라이딩되며 삽입된다.
삽입홈부(82)의 하단은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또는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하단이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지고,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및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의 하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마개부재(87)가 회전되면서 결합된다.
레일부재(84)가 삽입홈부(82)의 상단까지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면 착탈부(86)에 의해 레일부재(84)가 구속되는데, 착탈부(86)는, 레일부재(84)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후크부재(86a)와, 후크부재(86a)와 걸림결합되도록 걸림공간부(82a) 내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부재(86b)와, 걸림부재(86b)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공간부(86c)와 걸림부재(86b) 사이에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86d)를 포함한다.
따라서 레일부재(84)가 삽입홈부(82)를 따라 상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삽입홈부(82)의 상단까지 삽입되면 후크부재(86a)가 걸림부재(86b)를 작동공간부(86c) 내측으로 가압하면서 삽입되고, 후크부재(86a)의 삽입이 완료되면 압축되었던 제1탄성부재(86d)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걸림부재(86b)를 걸림공간부(82a) 내측으로 돌출시키므로 걸림부재(86b)와 후크부재(86a)가 걸림결합되면서 레일부재(84)가 삽입홈부(8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레일부재(84)를 삽입홈부(82)의 상단까지 삽입한 상태에서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또는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의 하단에 마개부재(87)를 결합시키면 삽입홈부(82)의 하단이 마감되면서 레일부재(84)가 하측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하게 된다.
교반 날개를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또는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마개부재(87)를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또는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해제부(88)를 조작하여 레일부재(84)의 구속을 해제시킨다.
해제부(88)는, 한 쌍의 작동공간부(86c)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또는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의 타면까지 연장되는 통로부(88c)와, 걸림부재(86b)의 배면에 연결되고, 통로부(88c)를 따라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또는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 타면까지 연장되는 제1와이어(88a), 제2와이어(88b) 및 연결와이어(88e)와, 연결와이어(88e)가 연결되고,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또는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 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89)와, 레버부재(89)를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와이어(88a), 제2와이어(88b) 및 연결와이어(88e)에 장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89a)를 포함한다.
통로부(88c)는, 한 쌍의 작동공간부(86c)로부터 한 쌍의 통로가 연장되어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또는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 내부에서 서로 연결된 후에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또는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 타면으로 연장되고,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또는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 타면에는 레버부재(89)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홈부(82)가 형성되며, 입구부와 비교하여 넓은 이동홈부(89c)의 내부에는 레버부재(89)와 연결되고 레버부재(89)와 비교하여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블록(89b)이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블록(89b)의 일단부와 이동홈부(89c) 내벽 사이에 제2탄성부재(89a)가 개재되어 레버부재(89)를 이동홈부(89c)의 일단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는 동안에는 제1탄성부재(86d) 및 제2탄성부재(89a)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부재(86b)는 걸림공간부(82a)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레버부재(89)는 이동홈부(89c)의 일단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레일부재(84)의 구속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용기이동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500)에 용기이동부와 연결되고, 지지부(5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기둥부재(500a)에 동력원이 연결되므로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이 기둥부재(500a)에 전달되면 기둥부재(500a)가 회전되면서 용기 이동부(200)를 회전시키므로 4개의 용기(300)가 동시에 동일한 회전량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때, 기둥부재(500a)의 회전량을 조절하여 용기(300)가 각각 제1위치 내지 제4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게 제어해야 하는데, 용기위치판단부의 작동에 의해 용기의 회전량을 정확히 판단하여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용기위치판단부는, 회전되는 기둥부재(500a)의 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물결 모양의 패턴을 그리는 패턴성형부(10)와, 기둥부재(500a) 측면에 그려지는 패턴의 돌출부위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포토센서(30)와, 포토센서(3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에서 패턴의 돌출부위 개수를 카운트하여 포토센서(30)를 통과한 기둥부재(500a)의 회전량을 판단하고, 기둥부재(500a)의 회전량이 설정치에 도달되면 정지신호를 송신하여 기둥부재(500a)에 연결되는 용기(300)가 제1위치 내지 제4위치에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제동부에 정지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이 공급되어 기둥부재(500a)가 회전될 때에 패턴성형부(10)에서 제공되는 휘발성 잉크가 기둥부재(500a) 일측에 물결 모양의 패턴을 그리게 되고, 포토센서(3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신호가 제어부(34)에 송신되면 제어부(34)에서 물결 모양의 패턴 중 돌출부위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회전되는 기둥부재(500a)의 회전량을 정확히 판단하게 된다.
기둥부재(500a)가 회전되는 회전량이 설정치에 도달되면 제어부(34)로부터 정진신호가 송신되어 기둥부재의 회전이 중단되고, 제동부의 작동에 의해 기둥부재(500a)의 회전운동이 구속된다.
따라서 용기(300) 외부로 도료 재료가 유실되거나 교반 날개와 용기가 간섭되는 오작동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의 패턴성형부(10)는, 지지부(500) 일측에 배치되는 제1케이스(12)와, 제1케이스(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둥부재(500a)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며,회전되는 기둥부재(500a)에 접촉되면서 휘발성 잉크를 기둥부재(500a) 둘레면에 도포하여 물결 모양의 패턴을 성형하는 드로잉부재(14)와, 드로잉부재(14)를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도록 제1케이스(12) 내부에 설치되고, 로드가 드로잉부재(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실린더(17)와, 물결모양의 돌출부위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드로잉부재(14)가 상승 또는 하강되는 폭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1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드로잉부재(14)는, 지지대(82)에 제1힌지(14b)에 의해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되는 공급관부재(14a)와, 공급관부재(14a)의 외측 단부에 교환부(50)에 의해 연결되는 붓부재(16)와, 공급관부재(14a)에 연결되어 휘발성 잉크를 공급하는 호스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호스부재에 설치되는 펌프의 작동에 의해 호스부재를 통해 휘발성 잉크가 공급되면 공급관부재(14a) 및 교환부(50)를 통과하는 휘발성 잉크가 붓부재(16)에 적셔지고, 이송되는 소재의 측면에 붓부재(16)가 접촉되면서 휘발성 잉크가 기둥부재(500a) 둘레면에 그려지게 된다.
이때, 공급관부재(14a)의 후단부에 제2힌지(14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로드가 구동실린더(17)로부터 일정한 속도로 출몰되므로 공급관부재(14a)의 내측 단부가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여 붓부재(16)가 규칙적으로 승강되면서 이송 중인 기둥부재(500a) 측면에 물결모양의 패턴을 그리게 된다.
간격조절부(18)는, 공급관부재(14a)의 외측 단부의 상승 정도를 제한하도록 제1케이스(12)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제1조절실린더(18a)와, 공급관부재(14a)의 외측 단부의 하강 정도를 제한하도록 지지대(82)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제2조절실린더(18b)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기둥부재(500a)에 장기간 접촉되면 마모되는 붓부재(16)를 교체할 수 있도록 공급관부재(14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붓부재(16)가 연결되는 교환부(50)와, 교환부(50)와 공급관부재(14a)의 연결상태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탈거부(7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붓부재(16)가 마모되어 기둥부재(500a)에 그려지는 패턴이 포토센서(30)에서 감지되지 않으면 작업자는 탈거부(70)를 조작하여 교환부(50) 및 붓부재(16)를 공급관부재(14a)로부터 분리시켜 새로운 교환부(50) 및 붓부재(16)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교환부(50)는, 붓부재(16)가 일체로 연결되고, 공급관부재(14a)에 구비되는 제1유로(52b)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제2유로(54a)가 구비되는 착탈블록(52)과, 공급관부재(14a)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착탈홈부(54)와, 착탈홈부(54)에 삽입되도록 착탈블록(52)에 구비되는 돌출부(52a)를 포함한다.
따라서 붓부재(16)가 마모되어 소재에 패턴을 그리지 못하게 되면 작업자는 착탈블록(52)을 공급관부재(14a)로부터 분리시켜 새로운 붓부재(16)가 구비되는 착탈블록(52)으로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탈거부(70)는, 돌출부(52a)에 형성되는 걸림후크(72)와, 걸림후크(72)와 걸림결합되도록 착탈홈부(54) 내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돌기(74)와, 걸림돌기(74)를 착탈홈부(54) 내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탄성부재(76)와, 걸림돌기(74)를 착탈홈부(54) 외측으로 후퇴시키도록 걸림돌기(74)로부터 공급관부재(14a) 외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에 설치되는 레버(78)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돌출부(52a)를 착탈홈부(54)에 삽입시키면 걸림후크(72)가 걸림돌기(74)를 가압하여 후퇴시키면서 삽입되고, 돌출부(52a)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3탄성부재(76)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돌기(74)가 착탈홈부(54)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걸림후크(72)와 걸림돌기(74)가 걸림결합되어 착탈블록(52)과 공급관부재(14a)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에, 착탈블록(52) 및 붓부재(16)를 교체할 때에는 작업자가 레버(78)를 당기면서 제3탄성부재(76)를 압축시키고, 걸림돌기(74)를 착탈홈부(54) 외측으로 후퇴시키면 걸림돌기(74)와 걸림후크(72)의 걸림결합이 해제되면서 착탈블록(52)과 공급관부재(14a)의 연결이 해제되어 교체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은, 복수 개의 용기(300)를 회전시키면서 제1위치에 위치되는 용기(300)에 도료 재료를 투입하는 투입단계와, 도료 재료가 투입되는 용기(300)가 제2위치로 이동되면 용기(300)에 교반 날개를 삽입하고 회전시켜 교반작동을 행하는 교반단계와, 용기(300)가 제3위치로 이동되면 용기(300)로부터 도료를 배출시키는 배출단계와, 용기(300)가 제4위치로 이동되면 용기(300)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세척작동을 행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구동 기어(12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이동 기어(122a) 및 제2 이동 기어(122b)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되고,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 및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와 연결된 유성 기어부(1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제1 이동 기어(122a)에 연결된 제1 교반 날개(130a) 및 제2 이동 기어(122b)에 연결된 제2 교반 날개(130b)는 자전 및 공전을 한다.
이때, 제1 교반 날개(130a)의 최외곽 부분의 자전 궤적(A1) 및 제2 교반 날개(130b)의 최외곽 부분의 자전 궤적(B1)이 용기(300)의 내부 벽면에 실질적으로 접촉될 수 있을 정도로 근접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제1 교반 날개(130a) 및 제2 교반 날개(130b)의 형상과 크기를 설계하면 제1 교반 날개(130a) 및 제2 교반 날개(130b)의 자전 및 공전에 따라 용기(300) 단면의 전체 영역에 걸쳐 누락되는 부분 없이 교반 날개가 적어도 한번 씩 거쳐갈 수 있으므로, 도료 재료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음은 물론 교반된 도료의 경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교반 날개(130a) 및 제2 교반 날개(130b)는 유성 기어부(120)에 의하여 자전 및 공전됨으로써 용기(300) 단면의 전체 영역(예를 들면 도 3의 절단면I-I'의 전체 영역, 절단면 Ⅱ-Ⅱ'의 전체 영역)을 적어도 한번 씩 거쳐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만약 용기(300)의 직경이 축방향을 따라 변동되는 경우, 제1 교반 날개(130a) 및 제2 교반 날개(130b)의 최외곽 부분의 반경은 축방향을 따라 변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절단면I-I'에 있어서 제2 교반 날개(130b)의 최외곽 부분(1321)의 반경은 참조 부호 L1 이고 절단면 I-I' 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절단면 Ⅱ-Ⅱ'에 있어서 제1 교반 날개(130a)의 최외곽 부분(1322)의 반경은 참조 부호 L2 라고 할 때, L1 이 L2 보다 더 큰 값을 갖게 된다.
한편, 교반 날개(130a, 130b)는 축방향(z축에 평행한 방향이다)을 따라 나선형으로 <46> 연장되는 블레이드(132)를 구비한다.
블레이드(132)의 말단부(134)는 용기(300)의 바닥면을 파손하지 않도록 용기(300)의 상측을 향하여 급격하게 구부러진 형상이고, 블레이드(132)의 말단부(134)는 용기(300)의 바닥면에 실질적으로 접촉할 정도로 근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300) 바닥면의 도료 재료를 골고루 혼합하고 용기(300) 바닥면에 도료가 붙어 경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제1 교반 날개(130a)의 최외곽 부분의 자전 궤적(A2) 및 제2교반 날개(130b)의 최외곽 부분의 자전 궤적(B2)이 용기(300)의 내부 벽면에 실질적으로 접촉될 수 있을 정도로 근접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기(300) 단면의 전체 영역(Ⅱ-Ⅱ' 절단면의 전체 영역)에 걸쳐 누락되는 부분 없이 교반 날개(130a, 130b)가 적어도 한번 씩 거쳐갈 수 있으므로, 도료 재료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음은 물론 교반된 도료의 경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제1 교반 날개(130a) 및 제2 교반 날개(130b)의 형상과 크기를 설계하며, 절단면 I-I'에 있어서 제2 교반 날개(130b)의 최외곽 부분(1321)의 반경은 L1 이며, 이와 대칭인 제1교반 날개(130a)의 최외곽 부분의 반경도 L1 이다.
절단면 Ⅱ-Ⅱ'에 있어서 제1 교반 날개(130a)의 최외곽 부분(1322)의 반경은 L1 보다 작은 L2 가 되며, 이와 대칭인 제2 교반 날개(130b)의 최외곽 부분의 반경도 L2 가 된다.
제1 교반 날개(130a)의 최외곽 부분(1322)의 반경 L2 는 중심축인 제1 이동 기어 샤프트(123a)를 기준으로 측정되고, 제2 교반 날개(130b)의 최외곽 부분(1321)의 반경 L1 은 중심축인 제2 이동 기어 샤프트(123b)를 기준으로 측정된다.
이로써, 도료 재료의 투입부터 도료를 담았던 용기의 세척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고, 용기에 삽입되어 교반공정을 행하는 교반 날개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용기 이동부의 회전량을 정확히 감지하여 재료의 투입 및 교반 날개의 삽입이 이루어질 때에 재료가 유실되거나 교반 날개가 용기와 간섭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4 : 드로잉부재 16 : 붓부재
17 : 구동실린더 18 : 간격조절부
30 : 포토센서 32 : 제2케이스
34 : 제어부 50 : 교환부
52 : 착탈블록 54 : 착탈홈부
70 : 탈거부 72 : 걸림후크
74 : 걸림돌기 76 : 제3탄성부재
80 : 교체부 82 : 삽입홈부
82a : 걸림공간부 84 : 레일부재
86 : 착탈부 86a : 후크부재
86b : 걸림부재 86c : 작동공간부
86d : 제1탄성부재 87 : 마개부재
88 : 해제부 88a : 제1와이어
88b : 제2와이어 88c : 통로부
88d : 가이드롤러 88e : 연결와이어
89 : 레버부재 89a : 제2탄성부재
89b : 슬라이딩블록 89c : 이동홈부
100 : 교반기 110 : 구동원
120 : 유성 기어부(planetary gear portion)
121 : 구동 기어 1211 : 구동 기어 샤프트
1212 : 구동 기어 풀리 122a : 제1 이동 기어
122b : 제2 이동 기어 123a : 제1 이동 기어 샤프트
123b : 제2 이동 기어 샤프트 130a : 제1 교반 날개
130b : 제2 교반 날개 132 : 교반 날개
134 : 말단부 150 : 승강부
200 : 용기 이동부 210 : 틸팅부(tilting portion)
300 : 용기 400 : 이송부
410 : 도료통 500 : 지지부

Claims (4)

  1. 도료 재료가 용기에 공급되는 제1위치, 상기 용기에 공급된 도료 재료의 교반이 이루어지는 제2위치, 상기 교반이 이루어진 상기 용기 내부의 도료가 배출되는 제3위치 및 상기 배출이 완료된 용기를 세척하는 제4위치에 상기 용기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도료 재료를 교반하도록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교반 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4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용기 이동부;
    상기 교반 날개를 상기 용기 내부에 삽입하거나 상기 용기의 이동시 상기 교반 날개를 상기 용기로부터 도피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교반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교반 날개를 상기 구동원에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 및
    상기 용기가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4위치에 정확히 배치되도록 상기 용기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상기 용기의 이동량을 제어토록 하는 용기위치판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4위치는 상기 교반기의 승강축이 되는 지지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위치하고,
    상기 용기 이동부는 상기 각각의 용기가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4위치를 차례로 순환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용기를 동시에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도료 재료의 공급,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도료 재료의 교반, 상기 제3위치에서 상기 교반된 도료의 배출 및 상기 제4위치에서 상기 용기의 세척이 일괄적으로 수행되며,
    상기 용기위치판단부는,
    회전되는 기둥부재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물결 모양의 패턴을 그리는 패턴성형부;
    상기 기둥부재 측면에 그려지는 패턴의 돌출부위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포토센서; 및
    상기 포토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에서 패턴의 돌출부위 개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포토센서를 통과한 상기 기둥부재의 회전량을 판단하고, 상기 기둥부재의 회전량이 설정치에 도달되면 정지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용기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4위치에 정확히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원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28649A 2018-10-26 2018-10-26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 KR101968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649A KR101968574B1 (ko) 2018-10-26 2018-10-26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649A KR101968574B1 (ko) 2018-10-26 2018-10-26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574B1 true KR101968574B1 (ko) 2019-04-12

Family

ID=6616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649A KR101968574B1 (ko) 2018-10-26 2018-10-26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5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37861A (zh) * 2020-09-30 2021-01-19 安徽理工大学 一种切削液加工装置
CN112535991A (zh) * 2020-12-03 2021-03-23 重庆奥博铝材制造有限公司 一种铝液生产用原料配比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392Y1 (ko) * 2006-07-06 2006-10-16 대영산업주식회사 이중램 교반기
KR100880383B1 (ko) * 2008-06-26 2009-01-23 대보페인트 주식회사 도료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392Y1 (ko) * 2006-07-06 2006-10-16 대영산업주식회사 이중램 교반기
KR100880383B1 (ko) * 2008-06-26 2009-01-23 대보페인트 주식회사 도료 제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37861A (zh) * 2020-09-30 2021-01-19 安徽理工大学 一种切削液加工装置
CN112535991A (zh) * 2020-12-03 2021-03-23 重庆奥博铝材制造有限公司 一种铝液生产用原料配比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574B1 (ko) 도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료 제조방법
CN202279797U (zh) 一种自动调色涂料生产设备
CN213314468U (zh) 一套新型可定量取料的调色桶
CN217318605U (zh) 一种免烧砖面层物料搅拌装置
CN213610820U (zh) 一种自清洁的染料混配机
CN207533106U (zh) 一种高效混合机
CN110170273A (zh) 一种环氧树脂自动配料搅拌系统
CN108745043A (zh) 一种钢铁铸件生产用原料搅拌机
CN209155604U (zh) 一种色母粒自动上料搅拌机
KR102178571B1 (ko) 내부의 정비보수 및 청소가 용이한 혼합기
CN207747256U (zh) 塑料粒子混料装置
CN219682251U (zh) 一种氟碳涂料生产的调色装置
CN208642375U (zh) 一种防堵料的仲钨酸铵生产用搅拌机
CN214764862U (zh) 一种带有清洁机构的配料装置
CN219580377U (zh) 防聚团型三维混合装置
CN219897834U (zh) 一种植绒光油墨搅拌装置
CN112657414A (zh) 一种用于颜料制作的搅拌装置
CN209616079U (zh) 一种塑料加工用混合加料装置
CN218475281U (zh) 一种化工调和釜
CN220513957U (zh) 一种高混机
CN213556395U (zh) 一种模具校验用红丹搅拌装置
CN215876994U (zh) 一种可定量配比的涂料搅拌设备
CN213193451U (zh) 一种混料机
CN215239897U (zh) 一种钢球加工用磨球机的预磨结构
CN217916256U (zh) 一种丁腈手套配料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