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889B1 -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 - Google Patents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889B1
KR101966889B1 KR1020180003371A KR20180003371A KR101966889B1 KR 101966889 B1 KR101966889 B1 KR 101966889B1 KR 1020180003371 A KR1020180003371 A KR 1020180003371A KR 20180003371 A KR20180003371 A KR 20180003371A KR 101966889 B1 KR101966889 B1 KR 101966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outer pot
inner pot
heater rod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석
윤지영
Original Assignee
최우석
윤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우석, 윤지영 filed Critical 최우석
Priority to KR1020180003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 A47J41/0072Double walled vessels comprising a single insulating layer between inner and outer wa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솥의 내부에 내솥을 삽입 설치하고 외솥의 가열에 의해 내솥의 내용물을 익히거나 삶을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솥의 내부에 내솥을 삽입 설치하되 외솥의 바닥면에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히터봉이 삽입되는 다수 개의 히터봉삽입관을 외부와 밀폐되도록 설치하여 히터봉에 의해 내솥이 신속하게 가열되도록 하고, 외솥의 내측 하부측에 내솥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턱을 구비하되 내솥에서 넘치는 국물이나 찌꺼기 등이 외솥 바닥으로 흘러가도록 하는 통로를 구비하여 외솥의 내부청소를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높이는 전기 히터봉을 이용하는 이중 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a dual kettle}
본 발명은 외솥의 내부에 내솥을 삽입 설치하고 외솥의 가열에 의해 내솥의 내용물을 익히거나 삶을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솥의 내부에 내솥을 삽입 설치하되 외솥의 바닥면에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히터봉이 삽입되는 다수 개의 히터봉삽입관을 외부와 밀폐되도록 설치하여 히터봉에 의해 내솥이 신속하게 가열되도록 하고, 외솥의 내측 하부측에 내솥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턱을 구비하되 내솥에서 넘치는 국물이나 찌꺼기 등이 외솥 바닥으로 흘러가도록 하는 통로를 구비하여 외솥의 내부청소를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높이는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주를 만드는 과정에서는 우선적으로 콩을 잘 씻어 불린 후 커다란 솥에 콩과 물을 채워 넣은 후 이를 가열하여 콩을 삶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과거에는 이를 위하여 커다란 아궁이에 불을 지피고 솥에 콩과 물을 넣은 후 가열하며 바닥면의 콩이 눌어붙지 않도록 길다란 주걱을 이용하여 솥의 바닥면을 수시로 저어가며 콩을 삶아야 하였다. 이러한 콩을 삶는 과정은 적게는 수시간에서 많게는 십수시간까지 꾸준히 가열 작업을 해야 하므로 한명의 인원이 동시에 복수의 솥에서 작업할 수 없고, 또한, 작업자에게 요구되는 노동의 강도가 세서 건장한 작업자라 하더라도 연속하여 일을 수행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기계적 방식을 이용하여 콩을 저어주는 장치 또는 중탕기를 이용하여 콩이 일정 온도 이상 가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등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장치들은 콩을 삶고난 후 구조물이 복잡하여 청소에 어려움이 있거나, 또는 중탕기에 쓰인 망체를 들어내어 대상물을 반출해야 하므로 망체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내부의 대상물을 가열하는데에 그쳐 대상물의 가열시 발생되는 스팀, 외부로 방출되는 유실열 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므로 새로이 물을 보충하여 가열할 때 연료비가 많이 들고 물의 가열시간만큼 작업시간이 추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대형으로 제작되어 많은 양의 대상물을 한꺼번에 수용하여 가열하여도 이의 배출에 어려움이 없고, 구조가 간단하여 위생 유지에 효과적이며, 스팀 및 유실열을 재활용하여 작업 시간 및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에 종래에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518260호의 '솥'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솥은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통형 용기 형상으로 형성된 외솥과; 내외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복수의 홀이 천공된 원통형 용기 형상의 내솥 몸체와, 상기 내솥 몸체의 상단 외주연에 결합되는 링형의 외곽링과, 상기 내솥 몸체의 하단 일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내솥 받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기 외솥의 내부에 상기 외솥의 내주연으로부터 상기 내솥 몸체의 외주연이 이격되도록 삽입되는 내솥과; 하단이 상기 외솥의 상단에 밀착되는 돔형의 뚜껑과; 상기 외솥과 상기 뚜껑을 결합하는 결합 장치; 및 상기 외솥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외솥에 열을 공급하는 버너;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솥은 외솥에 구비되어 열을 공급하는 버너가 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스불꽃에 의한 그을음이나 연기로 인해 작업환경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작업자의 건강까지도 해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버너 연료인 가스 비용이 고가여서 경제성이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고, 또 가스는 계속적으로 지켜봐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많은 애로가 있다.
또한 내솥의 내용물이 익거나 삶아지면서 외솥의 바닥으로 넘치는 국물 및 찌꺼기 등을 깨끗하게 청소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KR 10-1518260 (등록번호) 2015.04.30. KR 10-2009-0087368 (공개번호) 2009.08.17. KR 20-0370793 (등록번호) 2004.12.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중공의 원통형 외솥 내부에 내솥을 삽입 설치하되 외솥의 바닥면에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장치의 히터봉이 삽입되는 다수 개의 히터봉삽입관을 외부와 밀폐되도록 설치하고 그 상부측으로 내솥이 설치되도록 하여 히터봉에 의해 내솥이 신속하게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가스 사용에 비해 연료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을 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솥의 내측 하부측에 내솥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턱을 구비하되 상기 지지턱에 내솥에서 넘치는 국물이나 찌꺼기 등이 외솥 바닥으로 흘러가도록 하는 통로를 구비하여 외솥의 내부청소를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위생을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이중 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열장치를 전기로 발열되는 히터봉을 통해 내솥이 제어부에 자동으로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가열 작업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어 가열 대상물이 상부로 인입되고 배출되며, 외솥과 내솥으로 된 이중 솥에 있어서, 상부면이 개구되는 원통형상의 외솥(110)과; 상기 외솥(110)의 내부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삽입 설치되고 몸체부에 다수의 타공(121)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내솥(120); 상기 외솥(110)의 상부면 개구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뚜껑(130), 및 상기 외솥(110)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솥(1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상기 내솥(120)의 하부면을 가열하는 히터(140);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140)는 컨트롤러(150)에 의해 외부 전원의 공급으로 가열되는 히터봉(141)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솥(110)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히터봉(141)이 삽입되는 히터봉설치관(111)이 구비되며; 상기 외솥(110)의 벽체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내측에 구비되는 외솥내벽체(110a)와, 외부로 노출되는 외솥외벽체(110b), 및 상기 외솥내벽체(110a)와 상기 외솥외벽체(110b) 사이에 구비되어 열을 차단하는 단열보온재(110c)로 구성되고, 상기 외솥(110)의 바닥체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외솥내벽체(110a)의 하단면부를 따라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솥(120)이 지지되도록 하는 내솥지지턱(112)과, 상기 내솥지지턱(112)에 의해 형성되면서 외솥내벽체(110a)에서 바닥면에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발생된 공간으로 상기 히터봉설치관(111)이 설치되는 바닥공간부(113)로 구성되고, 상기 외솥(110)을 형성하는 상기 외솥내벽체(110a)의 하부측은 좌우 양측면 및 후면부가 내측으로 굴곡되는 곡면형상의 라운드부(114)로 형성되며, 상기 내솥지지턱(112)은 좌우 양측면 및 후면부가 직선형으로 구비되는 'ㄷ'형상의 직선부(112a)와 상기 직선부(112a)의 전면부에 곡선형으로 구비되는 곡면부(112b)로 형성되며, 상기 내솥지지턱(112)의 상기 직선부(112a)에는 돌출면이 제거되어 내솥과 접촉되지 않는 연통부(118)가 형성 구비되며, 가열 대상물이 담지된 내솥(120)에서 상기 타공(121)으로 배출된 부산물은 상기 라운드부(114)에서 모여진 후 상기 연통부(118)를 거쳐 내솥 하부에 위치한 바닥공간부(113)에 유입되며, 상기 바닥공간부(113)에는 외부와 연통된 배출관(119)을 통하여 배출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솥지지턱(112)은 좌우 양측면 및 후면부가 직선형으로 구비되는 'ㄷ'형상의 직선부(112a)와 상기 직선부(112a)의 전면부에 곡선형으로 구비되는 곡면부(112b)로 형성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히터봉설치관(111)은 상기 바닥공간부(113)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되, 상기 내솥지지턱(112)의 후면부에는 상기 히터봉설치관(111)의 후단부를 설치 고정하는 후방브라케트(115)가 구비되며, 상기 외솥외벽체(110b)의 외벽 하부측에는 상기 히터봉설치관(111)의 전단부를 설치하는 외측전방브라케트(116)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은 중공의 원통형 외솥 내부에 내솥을 삽입 설치하되 외솥의 바닥면에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장치의 히터봉이 삽입되는 다수 개의 히터봉삽입관을 외부와 밀폐되도록 설치하고 그 상부측으로 내솥이 설치되도록 하여 히터봉에 의해 내솥이 신속하게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가스 사용에 비해 연료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솥의 내측 하부측에 내솥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턱을 구비하되 상기 지지턱에 내솥에서 넘치는 국물이나 찌꺼기 등이 외솥 바닥으로 흘러가도록 하는 통로를 구비하여 외솥의 내부청소를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위생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장치를 전기로 발열되는 히터봉을 통해 내솥이 제어부에 자동으로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가열 작업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의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히터봉을 이용하는 이중 솥의 대한 상태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의 외솥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의 외솥 내부의 절개 사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1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면이 개구되는 원통형상의 외솥(110)과,
상기 외솥(110)의 내부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삽입 설치되고 몸체부에 다수의 타공(121)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내솥(120),
상기 외솥(110)의 상부면 개구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뚜껑(130), 및
상기 외솥(110)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솥(1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상기 내솥(120)의 하부면을 가열하는 히터(140)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140)는 컨트롤러(150)에 의해 외부 전원의 공급으로 가열되는 다수의 히터봉(141)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솥(110)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히터봉(141)이 삽입되는 다수의 히터봉설치관(111)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히터봉(141)을 상기 히터봉설치관(111)에 삽입 설치하여 상기 컨트롤러(150)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히터봉(141)이 가열되면 상기 히터봉설치관(111)이 가열되면서 상기 외솥(110) 내부에 삽입 설치된 상기 내솥(120)이 가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외솥(11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방되고 측면부와 하부면은 밀폐되는 원통형상의 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솥(120)은 상기 외솥(110)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갭을 두어 삽입 설치되면서 상기 내솥(120)의 타공(121)으로부터 액체가 흘러나와 상기 외솥(110)의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외솥(110)은 그 벽체 내부에 보온재를 구비하여 상기 히터(140)에 의해 가열되어도 외솥의 외벽체가 뜨겁지 않아 화상의 위험을 막아 주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외솥(110)은 벽체와 바닥체로 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벽체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내측에 구비되는 외솥내벽체(110a)와, 외부로 노출되는 외솥외벽체(110b), 및 상기 외솥내벽체(110a)와 상기 외솥외벽체(110b) 사이에 구비되어 열을 차단하는 단열보온재(110c)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체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벽체의 외솥내벽체(110a)를 따라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솥(120)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내솥지지턱(112)과 상기 내솥지지턱(112)에 의해 형성되면서 상기 히터봉설치관(111)이 설치되는 바닥공간부(11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솥(110)을 형성하는 상기 외솥내벽체(110a)의 내측하단부는 좌우 양측면 및 후면부가 내측으로 굴곡되는 곡면형상의 라운드부(114)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전면은 히터(140)가 삽입되는 곳이고, 후면은 히터(140) 삽입부의 반대편을 의미한다.
상기 내솥지지턱(112)은 상기 라운드부(114)가 끝나는 단부에서 상부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외솥(110)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상기 내솥(120)의 하부면을 상기 바닥공간부(113)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솥지지턱(112)은 좌우 양측면 및 후면부가 직선형으로 구비되는 'ㄷ'형상의 직선부(112a)와 상기 직선부(112a)의 전면부에 곡선형으로 구비되는 곡면부(112b)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내솥지지턱(112)을 이루는 상기 곡면부(112b)의 돌출 높이는 상기 직선부(112a)의 돌출 높이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되며, 직선부(112a)에서도 곡면부(112b) 쪽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차 높아진다.
본 발명의 내솥(120)은 바닥 중심부를 중심으로 점차 올라가는 곡면을 취하여 바닥 중심부가 가장 밑으로 내려가며, 바닥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바닥 중심부에서 점차 상승된다. 이러한 내솥의 구조로 바닥중심부는 히터봉(141)가 가깝게 되면서 열을 빨리 받고 동시에 상기 내솥지지턱(112)에 의하여 안정적인 지지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직선부(112a)보다 가장자리에 위치한 곡면부(112b)의 높이가 더 높아야 내솥(120)을 바닥에 수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외솥(110)은 그 내부로 상기 내솥(120)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내솥(120)의 바닥 하부면이 상기 내솥지지턱(112)의 직선부(112a)와 곡면부(112b)에 걸쳐져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상기 내솥지지턱(112)의 상기 직선부(112a)에는 상기 외솥(110)과 상기 내솥(120)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되는 물이나 찌꺼기(이하 '부산물'이라 한다)를 상기 바닥공간부(113)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연통부(118)가 더 형성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통부(118)는 'ㄷ' 형상으로 된 상기 내솥지지턱(112)의 상기 직선부(112a)의 각 직선 구간마다 또는 일부 직선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통부(118)는 돌출부가 제거되어 내솥을 지지하지 않는 부분으로, 슬롯형태나 구멍의 형태로 물이나 찌꺼기가 빠져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면 족하다.
상기 연통부(118)는 상기 외솥(110) 내부로 상기 내솥(120)이 상시 설치된 상태에서 그 내부로 물을 부어 청소하거나 또는 상기 내솥(120)을 빼낸 상태에서 상기 외솥(110) 내부로 물을 부어 청소하는 경우 물과 찌꺼기, 또는 내솥(120)에서 상기 통기(121)을 통해 빠져나오는 부유물 등을 상기 외솥(110)의 바닥공간부로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어 청소가 쉽고 외솥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히터봉설치관(111)은 상기 바닥공간부(113)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되, 상기 내솥지지턱(112)의 상기 직선부(112a)의 후면부에는 상기 히터봉설치관(111)의 후단부를 설치 고정하는 후방브라케트(115)가 구비되며, 상기 외솥외벽체(110b)의 외벽 전면 하부측에는 상기 히터봉설치관(111)의 전단부를 설치하는 외측전방브라케트(11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후방브라케트(115)는 상기 히터봉설치관(111)의 후단부 설치가 용이하도록 'U'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히터봉설치관(111)은 그 후단부가 상기 외솥(110)의 내측에 구비되면서 끝단부가 상기 후방브라케트(115)에 의해 막히게 되고, 상기 히터봉설치관(111)의 선단부는 상기 외측전방브라케트(116)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면서 상기 히터봉(141)이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외솥(110)의 하부측은 외부와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고 외측에서는 상기 히터봉설치관(111)의 선단부를 통해 상기 히터봉(141)을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어, 히터봉의 고장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바닥공간부(113)는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외솥내벽체(110a)에서 바닥면에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발생된 공간이다. 외솥(110)은 고정되어 바닥으로부터 히터봉에 의하여 가열되는 것으로 외솥의 바닥면은 평평한 원형의 판 형상으로 외솥외벽체(110b)의 상부에는 단열보온재가 놓여지고, 그 위에 외솥내벽체(110a)가 배치된다. 바닥면의 (단열)보온재는 히터봉에서 발산되는 열이 바닥면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솥으로 열이 집중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바닥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히터봉 주변의 외솥외벽체(110b)와 외솥내벽체(110a) 사이의 간격이 다른 곳보다 넓고, 이곳에는 보온재가 마련되며, 이러한 보온재는 열이 발산되는 히터봉 주위에 두텁게 형성되어 내솥으로의 열집중을 강화시키게 된다.
상기 외솥(110)의 외측벽으로 설치되는 상기 외측전방브라케트(115)의 상부측으로는 상기 히터(140)를 제어하는 상기 컨트롤러(150)와 상기 히터봉(141)을 연결하는 각종 케이블을 정리하는 정리함(117)이 설치 구비된다.
상기 정리함(117)은 상기 외솥(110)의 외벽체의 내부로 매립하여 설치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솥(110)의 바닥면에는 내부의 물이나 찌꺼기(부산물)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된 배출관(119)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출관(119)은 모터(미도시) 등을 연결하여 물이나 찌꺼기(부산물) 등을 강제로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외솥(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물이나 찌꺼기 등은 상기 배출관(119)을 통해 외부로 배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내솥(120)은 그 상단부에 견인브라케트(122)를 구비하여 상부로 견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외솥(110)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또는 상기 외솥(110)의 외측으로 빼내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고, 또 상기 내솥(120)의 상부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외솥(110)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간격플랜지(1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솥(110)의 내부로 상기 내솥(120)을 삽입할 때 상기 간격플랜지(123)의 간격(두께)만큼 이격되면서 설치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증기배출관(132)과 상기 배출관(119)이 보조물탱크(미도시)와 연결하여 상기 증기배출관(132)과 상기 배출관(119)에서 배출되는 물이나 증기 등이 상기 보조물탱크의 저장된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외솥(110)의 상부면에는 상기 뚜껑(130)이 구비되어 상기 외솥(110)의 상부 개방부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뚜껑(130)에는 상기 외솥(1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미도시)와, 상기 외솥(1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131), 및 상기 외솥(110) 내부의 압력이 기준치 이상으로 높이지면 증기를 배출하도록 밸브가 설치된 증기배출관(132)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뚜껑(130)은 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히터(140)의 가열에 의해 상기 외솥(110)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압력계(131)와 온도계를 통해 이를 측정하고 압력이 일정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증기배출관(132)을 개방하여 증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압력 상승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뚜껑(13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개폐장치(133)가 다수 개 설치되어 있어 상기 개폐장치(133)를 잠그거나 해제함으로써 상기 뚜껑(130)이 상기 외솥(110)의 상부 개방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장치(133)는 공지 수단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뚜껑(130)이나 상기 외솥(110)의 상부모서리 중 어느 한쪽에 힌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솥(110)의 상부모서리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는 플랜지(110d)를 구비하여 상기 뚜껑(130)이 상기 개폐장치(133)를 이용하여 상기 외솥(110)의 개방부를 밀폐시킬 때 상기 뚜껑(130)의 모서리부가 상기 플랜지(110d)와 밀착되도록 하여 밀폐되는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밀폐력을 높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장치(133)는 공지 수단에 의해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기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100)은 내솥(120)에 콩이나 삼계, 고기 등의 내용물을 넣어 상기 외솥(110) 내부에 장착한 후 상기 뚜껑(130)을 덮고 상기 개폐장치(133)로 밀폐시킨다.
이어 상기 컨트롤러(150)를 작동시켜 상기 히터봉(141)에 전기를 공급하여 히팅시키면서 상기 내솥(120)의 수용된 내용물을 익히거나 삶는다.
이때 외솥(110) 내부의 압력이 설정값보다 높으면 상기 증기배출관(132)을 통해 증기를 배출시킨다.
상기 내솥(120)의 수용된 내용물을 완전히 익히거나 삶은 후 상기 뚜껑(130)을 개방하여 상기 내솥(120)을 빼낸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내솥(120)에 구비되는 상기 타공(121)으로부터 부산물 등이 빠져 나와 상기 외솥(110)의 바닥으로 떨어져 고인다. 이때 상기 내솥(120)에서 떨어지는 부산물은 상기 바닥공간부(113)나 상기 라운드부(114) 등에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외솥(110) 내부로 물을 뿌려 이들을 상기 바닥공간부(113)로 모두 떨어뜨린다. 이때 상기 라운드부(114)에 고인 물이나 부산물은 상기 내솥지지턱(112)에 구비되는 상기 연통부(118)를 통해 용이하게 상기 바닥공간부(113)로 유입된다.
상기 바닥공간부(113)로 유입된 물이나 부유물 등은 상기 바닥공간부(113)에 구비되는 상기 배출관(119)를 통해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 처리하여 상기 외솥(110)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다음 작업을 준비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은 외솥의 내부에 내솥을 삽입 설치하되 외솥의 바닥면에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히터봉이 삽입되는 다수 개의 히터봉삽입관을 외부와 밀폐되도록 설치하여 히터봉에 의해 내솥이 신속하게 가열되도록 하고, 외솥의 내측 하부측에 내솥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턱을 구비하되 내솥에서 넘치는 국물이나 찌꺼기 등이 외솥 바닥으로 흘러가도록 하는 통로를 구비하여 외솥의 내부청소를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
110:외솥 110a:외솥내벽체 110b:외솥외벽체 110c:단열보온재
110d:플랜지 111:히터봉설치관 112:내솥지지턱 113:바닥공간부
114:라운드부 115:후방브라케트 116:외측전방브라케트
117:정리함 118:연통부 119:배출관
120:내솥
121:타공 122:견인브라케트 123:간격플랜지
130:뚜껑 131:압력계 132:증기배출관 133:개폐장치
140:히터 141:히터봉
150:컨트롤러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되어 가열 대상물이 상부로 인입되고 배출되며, 외솥과 내솥으로 된 이중 솥에 있어서,
    상부면이 개구되는 원통형상의 외솥(110)과;
    상기 외솥(110)의 내부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삽입 설치되고 몸체부에 다수의 타공(121)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내솥(120);
    상기 외솥(110)의 상부면 개구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뚜껑(130), 및
    상기 외솥(110)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솥(1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상기 내솥(120)의 하부면을 가열하는 히터(140);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140)는 컨트롤러(150)에 의해 외부 전원의 공급으로 가열되는 히터봉(141)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솥(110)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히터봉(141)이 삽입되는 히터봉설치관(111)이 구비되며;
    상기 외솥(110)의 벽체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내측에 구비되는 외솥내벽체(110a)와, 외부로 노출되는 외솥외벽체(110b), 및 상기 외솥내벽체(110a)와 상기 외솥외벽체(110b) 사이에 구비되어 열을 차단하는 단열보온재(110c)로 구성되고,
    상기 외솥(110)의 바닥체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외솥내벽체(110a)의 하단면부를 따라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솥(120)이 지지되도록 하는 내솥지지턱(112)과, 상기 내솥지지턱(112)에 의해 형성되면서 외솥내벽체(110a)에서 바닥면에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발생된 공간으로 상기 히터봉설치관(111)이 설치되는 바닥공간부(113)로 구성되고,
    상기 외솥(110)을 형성하는 상기 외솥내벽체(110a)의 하부측은 좌우 양측면 및 후면부가 내측으로 굴곡되는 곡면형상의 라운드부(114)로 형성되며,
    상기 내솥지지턱(112)은 좌우 양측면 및 후면부가 직선형으로 구비되는 'ㄷ'형상의 직선부(112a)와 상기 직선부(112a)의 전면부에 곡선형으로 구비되는 곡면부(112b)로 형성되며,
    상기 내솥지지턱(112)의 상기 직선부(112a)에는 돌출면이 제거되어 내솥과 접촉되지 않는 연통부(118)가 형성 구비되며,
    가열 대상물이 담지된 내솥(120)에서 상기 타공(121)으로 배출된 부산물은 상기 라운드부(114)에서 모여진 후 상기 연통부(118)를 거쳐 내솥 하부에 위치한 바닥공간부(113)에 유입되며, 상기 바닥공간부(113)에는 외부와 연통된 배출관(119)을 통하여 배출되는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지지턱(112)을 이루는 상기 곡면부(112b)의 돌출 높이는 상기 직선부(112a)의 돌출 높이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되는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봉설치관(111)은 상기 바닥공간부(113)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되, 상기 내솥지지턱(112)의 후면부에는 상기 히터봉설치관(111)의 후단부를 설치 고정하는 후방브라케트(115)가 구비되며, 상기 외솥외벽체(110b)의 외벽 하부측에는 상기 히터봉설치관(111)의 전단부를 설치하는 외측전방브라케트(116)가 구비되는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
KR1020180003371A 2018-01-10 2018-01-10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 KR101966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371A KR101966889B1 (ko) 2018-01-10 2018-01-10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371A KR101966889B1 (ko) 2018-01-10 2018-01-10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889B1 true KR101966889B1 (ko) 2019-04-08

Family

ID=66164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371A KR101966889B1 (ko) 2018-01-10 2018-01-10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8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3635A (zh) * 2019-04-11 2019-08-16 新疆鸿德堂永盛药业有限公司 一种导热均匀的中药蒸煮锅
JP6973825B1 (ja) * 2020-12-21 2021-12-01 株式会社イーティーワイ 湯煎器
CN117262738A (zh) * 2023-11-17 2023-12-22 顺帆家庭用品(南通)有限公司 一种多工位内外瓶胆封口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000A (ja) * 1996-01-24 1997-07-29 Sharp Corp 電気炊飯器
KR200370793Y1 (ko) 2004-09-21 2004-12-23 박계봉 다용도 솥
KR20090087368A (ko) 2008-02-12 2009-08-17 문상구 압력솥
KR101518260B1 (ko) 2013-12-24 2015-05-11 최우석
KR101785979B1 (ko) * 2017-01-19 2017-10-16 벽강 주식회사 멀티 히터봉 착탈식 간접 가열형 가마솥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000A (ja) * 1996-01-24 1997-07-29 Sharp Corp 電気炊飯器
KR200370793Y1 (ko) 2004-09-21 2004-12-23 박계봉 다용도 솥
KR20090087368A (ko) 2008-02-12 2009-08-17 문상구 압력솥
KR101518260B1 (ko) 2013-12-24 2015-05-11 최우석
KR101785979B1 (ko) * 2017-01-19 2017-10-16 벽강 주식회사 멀티 히터봉 착탈식 간접 가열형 가마솥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3635A (zh) * 2019-04-11 2019-08-16 新疆鸿德堂永盛药业有限公司 一种导热均匀的中药蒸煮锅
JP6973825B1 (ja) * 2020-12-21 2021-12-01 株式会社イーティーワイ 湯煎器
JP6983450B1 (ja) * 2020-12-21 2021-12-17 株式会社イーティーワイ 蒸し器
CN117262738A (zh) * 2023-11-17 2023-12-22 顺帆家庭用品(南通)有限公司 一种多工位内外瓶胆封口机
CN117262738B (zh) * 2023-11-17 2024-04-12 顺帆家庭用品(南通)有限公司 一种多工位内外瓶胆封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889B1 (ko) 전기 히터봉이 구비된 이중 솥
KR101522812B1 (ko)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
CN104879922B (zh) 一种免拆卸的热水器清洗装置及其清洗方法
JP2009018168A (ja) 小さな低温領域を備えた低い油容積のフライヤー
US10955142B2 (en) Cooking oven with steam generator inside cooking cavity
KR101636037B1 (ko) 전기가열식 튀김기
KR101222767B1 (ko) 유수 분리식 튀김기
US7777158B2 (en) Method and steaming oven and collector plate
KR101416259B1 (ko) 수유식 튀김장치
US2290742A (en) Removable tank heater
KR20200000629A (ko) 에너지 절감과 수유조 누유방지 및 튀김찌꺼기 포집으로 인한 친환경 고효율 수유식 튀김장치
KR101264271B1 (ko) 면류 조리기
EP3446043B1 (en) Boiler
CN109416196B (zh) 烧水器
JP2017062103A (ja) 蒸気調理器
JP4353922B2 (ja) 加熱調理器
JP6391255B2 (ja) 蒸気式茹で麺器
CN215424105U (zh) 电热蒸汽桶
JP2007003112A (ja) 液体タンクを有する機器および加熱調理器
KR102574934B1 (ko) 부침 조리기
KR20120111517A (ko) 수유식 튀김장치
CN209661313U (zh) 一种电加热肠粉炉
JPH0752658Y2 (ja) ステンレス製鍋
IT201900002861A1 (it) Apparato per la cottura automatica e veloce di cibi
JP6109358B2 (ja) 組付式グリル付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