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054B1 - 날실의 개선된 보유를 위한 실눈을 구비한 헤들 - Google Patents

날실의 개선된 보유를 위한 실눈을 구비한 헤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054B1
KR101966054B1 KR1020120030404A KR20120030404A KR101966054B1 KR 101966054 B1 KR101966054 B1 KR 101966054B1 KR 1020120030404 A KR1020120030404 A KR 1020120030404A KR 20120030404 A KR20120030404 A KR 20120030404A KR 101966054 B1 KR101966054 B1 KR 101966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p
yarn
region
head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037A (ko
Inventor
크리스티안 게르쓰
라인너 그로스만
마리오 구센코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120110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03C9/024Eye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헤들로서 제조되고, 균일한 플라스틱 재료로 단일 부재로 제조될 수 있는 실눈(14)을 구비한 헤들(10)에 관한 것이다. 헤들(10)은 날실(15)을 보유하기 위한 실눈(14)을 구비한다. 헤들 본체(13)의 길이방향(L)으로, 실눈(14)은 서로 대향한 두 개의 실 지지 표면들(26)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실 지지 표면들(2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들(10)의 일 구현예에서, 입구 측부(16)로부터 실눈(14)의 출구 측부(17)까지 굴곡된 경로를 따른다. 실 입구 측부(16)에 접하는 제1 굴곡 영역(27)의 곡률은 실 출구 측부(17)에 접하는 제2 굴곡 영역(28)의 곡률보다 크다. 날실의 방향(K)을 가로지르면서 길이방향(L)을 가로지르는 횡단 방향(Q)으로, 실눈(14)은 두 개의 안내 웨브들(33, 34)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그 단부 영역들(38)은 날실 입구 측부(16)로부터 날실 출구 측부(17)까지의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실 지지 표면들(26)의 양 측부들 상에서 통과할 수 있다. 중앙 영역에서, 날실(K)의 방향으로의 두 개의 안내 웨브들(33, 34)은 삽입 분리(y)를 갖는 삽입 구멍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안내 영역들(33, 34)의 형태 및 실 지지 표면들(26)의 형태는 서로 독립적으로 설계되지만, 하나의 헤들(10) 내에서 서로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날실의 개선된 보유를 위한 실눈을 구비한 헤들 {HEDDLE WITH A THREAD EYE FOR IMPROVED HOLDING OF THE WARP THREAD}
본 발명은 직조기의 헤들 프레임을 위한 헤들(heddle)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헤들 프레임에는 다수의 헤들이 설치되며, 각 헤들은 실눈(thread eye)을 가지고, 헤들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이 실눈을 통해 하나의 날실이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직조기가 동작중일 때, 씨실이 통과하는 개구(shed)를 생성하기 위해 헤들 프레임이 상하로 이동된다. 현대의 직조기들에서, 헤들 프레임은 높은 빈도수로 상하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헤들에 높은 요구조건들이 부여되게 된다. 헤들과 헤들을 통과하는 날실이 높은 가속 또는 감속을 받게 될 때에도, 날실에 대한 손상 및 헤들의 과도한 마모가 회피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피하고자 하는 경우 실눈의 디자인은 매우 중요해진다.
EP 1 795 635 A1호는 리본형 날실을 위한 헤들을 개시하고 있다. 이 헤들의 실눈은 주로 평탄한, 리본형 헤들 본체에 형성된 슬롯형 구멍으로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실눈은 실이 그 위에 놓여지는 표면의 영역에서 소정 반경이 부여된다. 이 반경은 그 반경을 갖는 에지가 실눈의 상부 또는 하부 측부에 부착되어 있는 별개의 원통형 또는 부분 원통형 요소들을 부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설상부들(tongue)이 실눈의 상부 또는 하부 측부에 인접한 평탄한 헤들 본체의 평면 외부로 굴곡되고, 그 결과, 굴곡 반경이 실눈의 에지에 생성되며, 이는 리본형 헤들을 위한 실 지지 표면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와이어로 제조된 헤들 본체를 구비한 헤들이 US 6 283 163 B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헤들 본체의 두 개의 평행한 와이어들 사이에 마일론(maillon)이 삽입되어 실눈을 형성한다. 마일론은 실눈을 향한 반경을 갖는다.
US 6 145 549 또한 단면이 직사각형인 헤들 본체를 구비한 리본형 날실들을 위한 헤들을 개시하고 있다. 실눈은 평행사변형의 형상으로 설계되며, 실 지지 표면들을 형성하는 두 개의 에지들은 수평 및 수직에 관하여 일정각도로 형성된다. 실눈은 날실이 진입하는 측부와 실눈이 빠져나가는 측부 양자 모두에서 둥글고, 이들 사이의 실 지지 표면은 평면형이다.
EP 1 739 215 A1으로부터 공지된 플라스틱 실-보호 헤들은 일 실시예에서 그 실 지지 표면들이 평면 또는 홈 형상을 가지는 실눈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실눈은 날실 입구측 또는 날실 출구측에서 펀늘형 연장부(funnel-shaped extension)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펀늘형 연장부는 도면들에서 굴곡부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펀늘형 연장부의 경로는 더 이상 상세히 설명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는, 실 지지 표면이 홈의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에서 날실이 실 지지 표면과 접촉하는 경우 단지 측방향으로만 적절한 안내를 받게 된다는 것이 단점이다. 날실이 실 지지 표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경우, 헤들 본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날실의 방향으로 서로에 관하여 오프셋되어 있는 두 개의 좁은 안내 웨브들에 의해서만 측방향 안내가 제공된다. 헤들은 그 길이방향 축 둘레로 비틀려질 수 있다.
공지된 종래 기술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헤들의 실눈 내에서 날실의 보유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 및 청구항 제 10 항의 특징들을 가지는 헤들에 의해 충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들의 제1 실시예에 따라서, 헤들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 배열되어 있는 두 개의 실 지지 표면들은 각각 제1 굴곡 영역 및 제2 굴곡 영역을 구비하고, 곡률들은 서로 다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굴곡 영역들의 곡률은 각각 일정한 반면, 두 개의 굴곡 영역들의 굴곡부들의 크기들이 서로 다르다. 특히, 제1 굴곡 영역의 곡률은 제2 굴곡 영역의 곡률보다 큰 크기를 갖는다. 제1 굴곡 영역은 실눈의 날실 취입 측부에 할당될 수 있고, 제2 굴곡 영역은 실눈의 날실 출구 측부에 할당될 수 있다. 개구가 개방될 때, 하나 이상의 헤들 프레임들이 상부 및 하부 개구 위치들에 위치된다. 날실들은 여기서 직조기의 백 레스트(back rest) 또는 파트 로드(part rod)들로부터 시작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전향되며, 실눈의 외부로의 날실 출구 각도 및 실눈 내로의 날실 입구 각도에서 수평 평면 또는 폐쇄 개구 위치로 날실 평면을 가로질러 이동한다. 여기서, 날실 출구 각도는 일반적으로 날실 입구 각도보다 크다. 실눈 내의 날실이 실 지지 표면을 따라 놓여지는 경로를 최적화하기 위해, 날실 지지 표면은 서로 다른 곡률들을 갖는 두 개의 굴곡 영역들을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가장 큰 가능한 접촉 영역에 걸친 실 지지 표면과 날실의 부하를 분배하기 위해 날실들과 실 지지 표면 사이의 가장 큰 가능한 접촉 영역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방식으로 특히 날실들이 어떻게든 최대로 신장되는 경우 샤프트들이 그 최대 거리로 이동할 때 날실의 매우 균등한 부하부여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을 통해 실 파손부(thread breakage)들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날실은 전체 접촉 표면을 따라 연장하고 항상 실 지지 표면에 대해 굴곡되며, 그래서, 예로서, 실눈의 에지에서의 날실 상의 국지적 과도한 응력이 회피된다. 필요시, 예로서, 비교적 두꺼운 플라스틱 헤들들의 경우에, 실 지지 표면은 또한 다수의 굴곡 영역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독립적으로, 날실을 보유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양태는 실눈의 영역에서 날실의 측방향 안내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헤들 본체의 길이방향에 횡단하는 방향 및 날실이 날실 입구 측부로부터 날실 출구 측부로 실눈을 통과하는 경우 날실의 방향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실눈이 각 측부 상의 안내 웨브에 의해 구속된다. 횡단 방향으로의 이들 안내 웨브들 사이의 거리는 주로 날실의 두께에 조절되며, 따라서, 이는 날실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바늘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지 못할 정도로 매우 작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디자인에서, 안내 웨브들 각각은 중앙 절결부(cutout)를 구비하고, 여기서, 날실 방향으로 날실 입구 측부에 할당된 안내 웨브의 전방 에지가 실눈의 날실 입구 측부로부터, 그리고, 날실 출구 측부에 할당된 다른 안내 웨브의 후방 에지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으며, 그에 의해, 후방 에지도 실눈의 날실 출구 측부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게 된다. 날실 입구 측부로부터 날실 출구 측부의 방향으로 보면, 입구 측부 안내 웨브의 후방 에지는 출구 측부 안내 웨브의 전방 에지에 관하여 더 전방에 위치된다. 이 방식으로, 삽입 개구가 날실의 방향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하나의 안내 웨브의 전방 에지와 다른 안내 웨브의 후방 에지 사이에 생성된다.
따라서, 중앙 섹션에서, 웨브들은 날실의 방향에서 볼 때 매우 좁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날실의 적절한 측방향 안내를 달성하기 위해서, 각 안내 웨브는 각각의 경우에 양 측부들 상에서 중앙 섹션에 인접하는 단부 섹션을 구비하며, 이는 중앙 섹션을 그와 연계된 실눈의 실 지지 표면에 연결한다. 안내 웨브들의 단부 섹션들은 그들이 인접하는 전체 실 지지 표면을 따라 날실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말하자면, 단부 섹션들은 실 지지 표면들 옆에 융기된 날실들을 위한 안내 러그(lug)들이다. 이 방식으로, 예로서, 헤들 프레임의 높은 가속들 또는 감속들의 결과로서 날실이 약간 실 지지 표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질 때에도 날실들의 측방향 안내가 또한 보증된다. 단부 섹션들로 연장되는 안내 트랙들도 헤들이 그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비틀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헤들 프레임이 그 개방 개구 위치에 있을 때, 실눈의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디자인은 날실에 대한 개선된 측방향 안내를 제공한다. 동시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횡단 방향으로의 적절히 큰 삽입 구멍이 생성된다.
상술된 헤들의 두 가지 실시예들은 또한 바람직하게 함께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두 개의 굴곡 영역들 내의 실 지지 표면들이 날실의 방향으로만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 지지 표면은 두 개의 안내 웨브들 사이의 횡단 방향으로 평탄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날실이 횡단 방향의 홈 같이 굴곡되는 실 지지 표면 내에서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측방향 안내는 전적으로 두 개의 안내 웨브들에 의해 제공된다.
비교적 작은 곡률, 즉, 더 큰 곡률 반경을 갖는 굴곡 영역의 길이는 비교적 큰 곡률을 갖는 굴곡 영역의 길이보다 더 클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배 클 수 있다. 여기서, 길이는 날실 입구 측부와 날실 출구 측부 사이의 대응 굴곡 영역의 표면을 따라 측정된다. 두 개의 서로 대향한 실 지지 표면들 사이의 최소 거리의 위치는 여기서 비교적 작은 곡률을 갖는 굴곡 영역에 위치된다. 이러한 배열을 통해, 전체적으로 최소의 가능한 곡률을 갖는 실 지지 표면이 형성되며, 이는 날실 상에 부여되는 응력들을 최소화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실 지지 표면들은 날실 입구 측부로부터 날실 출구 측부까지의 그 전체 길이를 따라 굴곡된다. 여기서, 서로 다른 곡률들을 갖는 단 두 개의 굴곡 영역들을 제공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제1 굴곡 영역은 날실 입구 측부에 인접하고 전이 위치에서 날실 출구 측부로 연장하는 제2 굴곡 영역으로 변한다. 여기서, 전이 위치에서 실 지지 표면에 대한 탄젠트는 전이 위치에 도달할 때 제1 굴곡 영역의 곡률 및 제2 굴곡 영역의 곡률 양자 모두에 대해 접선방향인 것이 유익하다. 두 개의 굴곡 영역들 사이의 전이 위치는 에지들이나 단차부들 없이 형성된다.
제1 굴곡 영역의 곡률은 날실 입구 각도에 적응되고, 제2 굴곡 영역의 곡률은 날실 출구 각도에 적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로서, 헤들 프레임의 개방 개구 위치, 즉, 최대 상승위치에서 날실이 실 지지 표면과 접촉하는 두 개의 굴곡 영역들을 위한 접촉 지점을 결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그리고, 공지된 날실 입구 및 출구 각도들에 기초하여, 각 굴곡 영역의 반경 또는 곡률은 날실이 접촉 지점들 각각에서 실 지지 표면에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측방향 안내 웨브들은 중앙 영역 및 두 개의 단부 영역들에서 그 두께가 실질적으로 일정한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식으로, 날실이 그를 따라 활주하는 실눈을 향해 대면하는 안내 웨브들의 내부 측부와 헤들 본체의 외부 측부 양자 모두에 평면 표면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실 지지 표면들 각각에 수직인 단부 섹션의 높이가 날실의 직경보다 큰 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식으로, 실 지지 표면과의 접촉이 소실되는 경우에 날실의 양호한 측방향 안내가 여전히 달성된다.
실 지지 표면에 대해 직각인 단부 영역의 높이는 안내 웨브의 중앙 영역을 향한 날실의 방향으로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단부 영역의 좁은 단부는 헤들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존재할 수 있다. 이 각진 경로는 직선 및/또는 굴곡 및/또는 전후 굴곡 디자인일 수 있다. 실눈을 통과하는 날실이 단부 영역의 좁은 측부에 도달하면, 이를 따라 활주되고, 최종적으로 실 지지 표면으로 안내된다. 유사하게, 두 개의 헤들들 사이의 헤들 프레임을 통과하는 날실은 단부 영역에 걸려 있지 않으며, 각진 좁은 측부를 따라 활주되고 최종적으로 헤들로부터 자체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들에서, 실눈은 직접적으로 헤들 본체에 의해 형성되거나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들은 실눈에서 삽입체 없이 형성된다. 특히, 마일론들 같은 어떠한 추가적 물체들도 여기에 사용되지 않는다.
헤들은 전체적으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플라스틱 헤들을 구성한다. 이는 예로서 주조, 사출 성형 또는 전사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플라스틱 헤들은 단일 부재로 형성된다. 제조 공정에서의 다수의 개별 부품들의 연결을 피할 수 있다. 플라스틱 헤들들은 낮은 질량 및 내식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문에, 이들은 매우 높은 작동 속도에 도달할 수 있는 워터-제트 직조기들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속 청구항들 및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알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들을 설명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다. 또한, 도면들을 참조한다.
도 1은 날실의 방향을 가로질러 횡단 방향으로 본 헤들의 개략 예시도이다.
도 2는 예로서 도시된 두 개의 헤들 프레임들을 통한 날실 경로의 원리를 고찰하는 개략 예시도이다.
도 3은 측부로부터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 2에 따른 날실 경로를 도시한다.
도 4는 실눈의 영역에서 헤들 본체의 날실의 방향을 가로질러 횡단 방향으로 본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날실의 방향으로 본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 4에 따른 헤들의 실눈이다.
도 6은 횡단 방향으로 본 도 4 및 도 5의 실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실 지지 표면들이 날실의 방향으로 실질적 평탄한 경로를 따르고 있는, 헤들의 실눈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안내 웨브의 둥근 좁은 측부가 측부에서 실눈을 경계짓고 있는 도 7에 따른 실눈의 변형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헤들(10)에 관한 것이다. 헤들(10)은 그 두 개의 단부들 각각에 단부 아일릿(11)을 구비한다. 단부 아일릿들(11)은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은 직조기의 헤들 프레임(12)의 헤들 지지 레일에 헤들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략적으로 헤들(10)의 헤들 본체(13)의 중심에서, 실눈(14)이 제공되며, 날실(15)을 보유하도록 기능한다. 각 날실(15)은 날실 입구 측부(16)로부터 실눈(14)의 날실 출구 측부(17)로 날실 방향(K)으로 관련 헤들(10)의 실눈(14)을 통과한다.
개구(20)를 생성하기 위해, 헤들(10)이 그 작동 위치에 있을 때 헤들 본체(13)의 길이방향(L)에 대응하는 수직 방향으로 헤들 프레임들(12)이 이동하게 된다. 헤들 프레임들(12)의 위치에 따라서, 헤들 프레임(12) 상에 배열된 헤들들(10)의 실눈들(14)을 통과하는 날실들(15)은 백레스트로부터 또는 직조기의 파트 로드들(21)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전향된다. 이 방식으로 수평 평면 외부로 이동되는 날실들(15)은 날실 입구 측부(16)에서 날실 입구 각도(α)로 실눈(14)에 진입하고, 실눈(14)으로부터 날실 출구 측부(17)에서 날실 출구 각도(β)로 빠져나온다. 날실 입구 각도(α) 및 날실 출구 각도(β)는 각각 수평 평면(E)과 날실(15)의 길이방향 중앙축(A) 사이에서 각각 측정된다. 날실 입구 각도(α) 및 날실 출구 각도(β)는 헤들 프레임(12)이 상부 개구 위치에 있는지 또는 하부 개구 위치에 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날실 입구 각도(α) 및 날실 출구 각도(β)는 또한 서로의 뒤에 배열되는 헤들 프레임들(12)과 서로 다르다. 날실 입구 각도들(α)은 일반적으로 날실 출구 각도들(β)보다 작으며, 그 이유는 백레스트(21)로부터의 헤들 프레임들(12)의 거리가 페브릭 펠(fabric fell)(22)에 대한 헤들 프레임들(12)의 거리보다 크기 때문이다.
실눈(14)은 실눈(14) 내의 날실(15)의 보유를 개선시키기 위해 특수한 형상을 갖는다. 헤들 본체(13)의 길이방향(L)으로, 실눈(14)은 그들 사이에 간격을 갖고 서로 대향한 두 개의 실 지지 표면들(26)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실 지지 표면들(26)은 날실 입구 측부(16)로부터 날실 출구 측부(17)까지 그 전체 길이를 따라 날실의 방향(K)으로 굴곡된 경로를 따른다. 굴곡된 실 지지 표면은 예로서 제1 굴곡 영역(27) 및 제2 굴곡 영역(28)으로 나누어진다. 실 지지 표면들(26)의 두 개의 굴곡 영역들(27, 28)의 곡률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각 경우에 일정하다. 이는 실 지지 표면(26)이 제1 굴곡 영역(27)에서 제1 반경(R)을 따르고, 제2 굴곡 영역에서 제2 반경(R2)을 따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개의 반경들(R1, R2)은 일정하다. 제1 반경(R1)의 크기는 제2 반경(R2)의 크기보다 크고, 그래서, 제1 곡률(1/R1)은 제2 곡률(1/R2)보다 작다. 제1 굴곡 영역(27)의 제1 반경(R1)(제 2 반경(R2)은 아님)의 중앙 지점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중앙 평면(M) 상에 위치되고, 이 길이방향 중앙 평면(M)은 실눈(14)의 영역에서 헤들 본체(13)을 통해 중앙으로 길이방향(L)으로 연장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두 개의 서로 대향한 실 지지 표면들(26)은 대략 중앙 길이방향 축(M)에서 적어도 분리되어 있다. 최소 간격의 위치는 더 낮은 곡률을 갖는 제1 굴곡 영역(27)에 있다(제 2 굴곡 영역(28)에는 있지 않음).
도 4 및 도 6에서, 제1 굴곡 영역(27)은 실눈(14)의 날실 입구 측부(16)에서 바로 시작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제1 반경(R1) 또는 그 제1 곡률(1/R1)은 날실 입구 각도(α)에 일치된다. 이 때문에, 제1 굴곡 영역(27)의 곡률은 날실(15)이 제1 굴곡 영역(27)에서 실 지지 표면(26)과 접촉하게 되는 접촉 지점에 대한 탄젠트가 그 크기가 상부 또는 하부 개구 영역에서 헤들 프레임(12)의 날실 입구 각도(α)에 대응하는 수평 평면(E)과의 각도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굴곡 영역(28)의 제2 반경(R2)의 중앙지점은 날실 출구 측부(17)와 중앙 평면(M) 사이에 위치된다.
제2 굴곡 영역(28)에서 실 지지 표면(26)의 섹션의 길이는 제1 굴곡 영역(27)에서의 실 지지 표면(26)의 섹션의 길이보다 현저히 짧다. 전이 위치(30)에서, 실 지지 표면(26)의 두 개의 섹션들은 단차부나 에지 없이 제1 굴곡 영역(27)으로부터 제2 굴곡 영역(28)으로 변한다. 전이 위치(30)에서의 실 지지 표면(26)에 대한 탄젠트는 제1 굴곡 영역(27) 및 제2 굴곡 영역(28)에서의 실 지지 표면 영역들(26)의 두 단부들에 대해 접선방향이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단지 두 개의 굴곡 영역들(27, 28)이 제공된다. 물론,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의 변형으로서, 예로서, 날실 출구 측부(17)에 인접한 제2 굴곡 영역(28)과 날실 입구 측부(16)에 인접한 제1 굴곡 영역(27) 사이의 전이 위치(30)에서 단차부들이나 에지들이 없는 전이부를 생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굴곡 영역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날실 입구 각도(α) 및 날실 출구 각도(β)는 날실의 방향(K)으로 헤들 프레임(12)의 위치에 따라서, 그리고, 대응 헤들 프레임(12)이 상부 개구 위치에 있는지 하부 개구 위치에 있는지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예로서, 날실 입구 각도(α1, α2) 및 날실 출구 각도(β1, β2)가 나타나 있다. 날실(15)의 경로에 헤들들(10)을 일치시키기 위해, 날실 입구 각도 범위들 및 날실 출구 각도 범위들은 특정될 수 있으며, 제1 굴곡 영역(27) 및 제2 굴곡 영역(28)의 관련 실 지지 표면들(26)의 곡률은 각각에 할당된 각도 범위들에 일치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각도 범위들과 연계된 헤들 프레임들(12)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굴곡된 실 지지 표면들(26)을 갖는 헤들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로서, 매우 많은 수의 헤들 프레임들을 갖는 직조기들이 사용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간단한 직조시, 개별 헤들 프레임들(12)의 날실 입구 각도 및 날실 출구 각도는 단지 허용된 각도 범위에 걸쳐 변하며, 그래서, 사용되는 헤들들(10)은 동일할 수 있다. 예로서, 동일한 헤들(10)이 사용될 수 있는 날실 입구 각도(α)와 날실 출구 각도(β)에 대하여 5와 10도 사이의 편차를 갖는 각도 범위들이 특정될 수 있다.
상부 개구 위치 및 하부 개구 위치에서의 헤들 프레임의 날실 입구 각도와 날실 출구 각도가 매우 크게 다른 경우, 이때, 헤들(10)의 두 개의 실 지지 표면들(26)에 대해 서로 다른 곡률들이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헤들(10)의 실눈(14)의 두 개의 실 지지 표면들(26)은 대칭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들 본체(13)의 길이방향(L)에 횡단하면서 날실의 방향(K)에 횡단하는 방향(Q)으로, 실눈(14)은 출구 측부에서 안내 웨브(34)에 의해, 그리고, 입구 측부에서 안내 웨브(33)에 의해 경계지어져 있다. 두 개의 안내 웨브들(33, 34)은 횡단 방향(Q)으로 횡단 방향 분리(x)를 갖고 배열되어 있다. 횡단방향 분리(x)는 횡단 방향(Q)으로의 실눈(14)의 폭 또는 유극을 규정한다. 실눈(1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두 개의 안내 웨브들(33, 34)의 외부면들(35)은 그들이 인접하는 헤들 본체(13)의 잔여부의 외부면과 함께 봉합부가 없는 평탄한 외부면을 형성한다. 실눈(14)을 향하는 두 개의 안내 웨브들(33, 34)의 내부면들(36)은 단차부들이나 에지들이 없이 평탄하게 형성된다.
각 안내 웨브(33, 34)는 양 측부들 상에서 각각 하나의 단부 영역(38)에 인접한 중앙 섹션(37)을 구비한다. 안내 웨브들(33, 34) 각각의 두 개의 단부 영역들(38)은 두 개의 실 지지 표면들(26) 중 하나를 경계짓는다. 단부 영역들(38)은 각각에 할당된 실 지지 표면들(26)로부터 구별된다.
출구 측부 상의 안내 웨브(34)는 날실 입구 측부(16)와 연계된 전방 에지(38)를 구비한다. 입구 측부 상의 안내 웨브(33)는 날실 출구 측부(17)와 연계된 후방 에지(40)를 구비한다. 전방 에지(39) 및 후방 에지(40)는 삽입 간격(y)을 두고 날실의 방향(K)으로 배열된다. 전방 에지(39) 및 후방 에지(40)는 서로 대체로 평행하다. 삽입 간격(y)은 횡단 방향 분리(x)보다 크다. 횡단방향 분리(x)는 일반적으로 날실(15)을 실눈(14)에 삽입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이 때문에, 두 개의 안내 웨브들(33, 34)은 그 중앙 영역(37)의 구역에서 삽입 간격(y)에 의해 형성된 삽입 구멍을 구비하고, 그래서, 날실(15)을 갖는 삽입 바늘이 횡단 방향(Q)으로 날실 방향(K)에 대해 횡단 통과할 수 있거나, 두 개의 안내 웨브들(33, 34) 사이에서 이에 대해 일정 각도로 통과할 수 있다.
중앙 영역(37)에서, 두 개의 안내 웨브들(33, 34)은 날실 방향(K)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다. 안내 웨브들(33, 34)의 폭은 대응 실 지지 표면들(26)을 향해 안내 웨브들(33, 34)의 단부 영역들(38)에서 증가한다. 단부 섹션들(38)은 그들이 인접한 전체 실 지지 표면(26)을 따라 연장한다. 이 방식으로, 실 지지 표면(26)의 영역에서, 날실(15)의 측방향 안내는 중앙 영역(37)의 안내 웨브들(33, 34)의 폭과 무관하게 보증된다. 실 지지 표면(26)에 수직으로 측정된 단부 영역들(38)의 높이는 예시적 실시예에서 적어도 날실(15)의 직경에 대응하지만, 더 큰 크기, 예로서, 날실(15)의 직경의 적어도 두 배의 높이가 선택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예로서, 직조기가 동작할 때 헤들 프레임(12)의 급격한 감속 또는 가속의 경우에 실 지지 표면(26)으로부터 분리될 때에도 날실(15)의 측방향 안내는 개선될 수 있다.
안내 영역의 중앙 영역(37)의 전방 에지(39) 및 후방 에지(40) 각각은 두 측부들에서 관련 단부 영역(38)의 좁은 측부(41)로 진행한다. 전방 에지(39), 후방 에지(40) 및 좁은 측부들(41)은 에지들을 가질 수 있거나, 에지들을 갖지 않도록 내부면(36)과 외부면(35)으로의 전이부들에서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좁은 측부(41)는 날실의 방향(K) 및 길이방향(L)에 관하여 일정각도로 형서된다. 입구 측부 안내 웨브(33) 또는 출구 측부 안내 웨브(34)의 두 개의 대향한 좁은 측부들(41) 사이의 거리는 따라서 날실 입구 측부(16)를 향해 또는 날실 축구 측부(17)를 향해 각 중앙 섹션(37)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더 커진다. 단부 영역들(38)의 이들 경사진 좁은 측부들(41)에 기인하여, 횡단 방향(Q)으로의 이동의 결과로서 좁은 측부(41)와 접촉하게 되는 날실(15)은 헤들(10)이 계속 그 길이방향(L)으로 이동할 때 관련 실 지지 표면(26)을 향해 전향되게 된다. 좁은 측부들(41)의 경사는 그 위에 놓여진 날실(15)이 좁은 측부(41)를 따라 활주하고, 최종적으로 단부 영역(38) 외측으로 미끄러져 실 지지 표면(26) 상에 놓여지게 되는 것을 보증한다.
측방향 이동의 결과로서, 비의도적으로 단부 영역(38)의 좁은 측부(41)와 접촉하게 되는 두 개의 이웃하는 헤들들(10) 사이를 통과하는 날실들에도 동일한 것이 적용된다. 이 같은 날실은 또한 헤들(10) 상에 영구적으로 걸려지지 않고 그들이 최종적으로 단부 영역들(38) 외부로 미끄러질 때까지 경사진 좁은 측부들(41)을 따라 미끄러지게 된다.
단부 영역(38)의 경사진 좁은 측부(41)는 직선일 수 있거나, 단일 또는 다수의 굴곡부들을 갖는 경로를 따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들의 변형으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은 날실의 방향(K)으로 실질적으로 평탄하며 곡률이 없는 실 지지 표면들(26)을 갖는다. 모든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실 지지 표면(26)은 횡단 방향(Q)으로 곡률을 갖지 않는다. 날실들(15)의 측방향 안내는 안내 웨브들(33, 34)의 단부 영역들(38)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헤들로서 제조되고, 균일한 플라스틱 재료로 단일 부재로 제조될 수 있는 실눈(14)을 구비한 헤들(10)에 관한 것이다. 헤들(10)은 날실(15)을 보유하기 위한 실눈(14)을 구비한다. 헤들 본체(13)의 길이방향(L)으로, 실눈(14)은 서로 대향한 두 개의 실 지지 표면들(26)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실 지지 표면들(2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들(10)의 일 구현예에서, 입구 측부(16)로부터 실눈(14)의 출구 측부(17)까지 굴곡된 경로를 따른다. 실 입구 측부(16)에 접하는 제1 굴곡 영역(27)의 곡률은 실 출구 측부(17)에 접하는 제2 굴곡 영역(28)의 곡률보다 크다. 날실의 방향(K)을 가로지르면서 길이방향(L)을 가로지르는 횡단 방향(Q)으로, 실눈(14)은 두 개의 안내 웨브들(33, 34)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그 단부 영역들(38)은 날실 입구 측부(16)로부터 날실 출구 측부(17)까지의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실 지지 표면들(26)의 양 측부들 상에서 통과할 수 있다. 중앙 영역에서, 날실(K)의 방향으로의 두 개의 안내 웨브들(33, 34)은 삽입 분리 거리(y)를 갖는 삽입 구멍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안내 영역들(33, 34)의 형태 및 실 지지 표면들(26)의 형태는 서로 독립적으로 설계되지만, 하나의 헤들(10) 내에서 서로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10 헤들
11 단부 아일릿
12 헤들 프레임
13 헤들 본체
14 실눈
15 날실
16 날실 입구 측부
17 날실 출구 측부
20 개구
21 파트 로드들
22 펠(fell)
23 리드(reed)
26 실 지지 표면
27 제1 굴곡 영역
28 제2 굴곡 영역
30 전이 위치
33 입구 측부 안내 웨브
34 출구 측부 안내 웨브
35 외부 표면
36 내부 표면
37 중앙 영역
38 단부 영역
39 전방 에지
40 후방 에지
41 좁은 측부
α 날실 입구 각도
β 날실 출구 각도
A 날실의 길이방향 중앙축
E 수평 평면
K 날실의 방향
L 길이방향
M 헤들 본체의 길이방향 중앙 평면
Q 횡단 방향
R1 제1 곡률 반경
R2 제2 곡률 반경
x 횡단 방향 분리
y 삽입 분리 거리

Claims (15)

  1. 헤들 프레임(12)을 위한 헤들(10)에 있어서,
    헤들 본체(13)를 구비하고, 상기 헤들 본체(13)는 길이방향(L)으로 연장하고 실눈(14)을 포함하며, 상기 실눈(14)은 날실(15)을 보유하도록 기능하고, 상기 날실(15)은 상기 실눈(14)의 날실 입구 측부(16)로부터 날실 출구 측부(17)로 날실 방향(K)으로 상기 실눈(14)을 통과하고,
    상기 실눈(14)은 서로 떨어진 상기 헤들 본체(13) 상의 두 개의 실 지지 표면들(26)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경계지어지고, 상기 두 개의 실 지지 표면들 각각은 제1 굴곡 영역(27)과 제2 굴곡 영역(28)을 구비하며,
    상기 날실 방향(K)으로 굴곡된 상기 실 지지 표면(26)의 곡률(1/R1, 1/R2)은 상기 두 개의 굴곡 영역들(27, 28)에서 서로 다르고,
    상기 제1 굴곡 영역(27)은 상기 날실 입구 측부(16)에 할당되고, 상기 제2 굴곡 영역(28)은 상기 실눈(14)의 날실 출구 측부(17)에 할당되는 헤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굴곡 영역들(27, 28)은 상기 날실 방향(K)으로만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 영역(27) 및/또는 상기 제2 굴곡 영역(28)의 곡률들(1/R1, 1/R2)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4. 제 1 항에 있어서, 더 작은 곡률(1/R1)을 갖는 상기 제 1 굴곡 영역(27)의 길이는 상기 제 2 굴곡 영역(28)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지지 표면(26) 전체는 상기 날실 방향(K)으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실 지지 표면들(26) 사이의 최소 간격의 위치는 더 작은 곡률(1/R1)을 갖는 상기 제 1 굴곡 영역(27)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굴곡 영역들(27, 28) 사이의 전이 위치가 존재하고, 상기 전이 위치(30)에서의 실 지지 표면(26)에 대한 탄젠트는 상기 제1 굴곡 영역(27)의 실 지지 표면(26)의 표면 영역의 인접 단부 및 상기 제2 굴곡 영역(28)의 실 지지 표면(26)의 인접 단부 양자 모두에 대해 접선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8. 제 1 항에 있어서, 관련 헤들 프레임(12)이 개방 개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굴곡 영역(27)의 곡률(1/R1)은 상기 날실 입구 각도(α)에 일치되고 및/또는 상기 제2 굴곡 영역(28)의 곡률(1/R2)은 상기 날실 출구 각도(β)에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 영역(27)의 곡률(1/R1)은 상기 제2 굴곡 영역(28)의 곡률(1/R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10. 헤들 프레임(12)을 위한 헤들(10)에 있어서,
    헤들 본체(13)를 구비하고, 상기 헤들 본체는 길이방향(L)으로 연장하고 실눈(14)을 포함하며, 상기 실눈(14)은 날실(15)을 보유하도록 기능하고, 상기 날실(15)은 상기 실눈(14)의 날실 입구 측부(16)로부터 날실 출구 측부(17)로 날실 방향(K)으로 상기 실눈(14)을 통과하고,
    상기 실눈(14)은 상기 헤들 본체(13) 상에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실 지지 표면들(26)에 의해 길이방향(L)으로 경계지어지고,
    상기 헤들(10)은 두 개의 안내 웨브들(33, 34)을 구비하고, 상기 두 개의 안내 웨브들은 상기 길이방향(L)에 대한 횡단 방향(Q) 및 상기 날실 방향(K)에 횡단 방향으로 상기 실눈(14)을 경계짓고, 하나의 안내 웨브(34)의 날실 입구 측부(16)에 할당된 전방 에지(39) 및 다른 하나의 안내 웨브(34)의 날실 출구 측부(17)에 할당된 후방 에지(40)는 서로로부터 간격(y)을 두고 중앙 영역(37)에서 상기 날실 방향(K)으로 통과하여, 상기 횡단 방향(Q)으로, 상기 날실(15)의 삽입을 위해 삽입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 웨브들(33, 34) 각각은 각 실 지지 표면(26)에 인접한 단부 영역(38)을 가지고, 상기 단부 영역은 상기 날실 방향(K)으로 상기 단부 영역에 할당된 전체 실 지지 표면(26)을 따라 연장하는 헤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방향(Q)으로의 단부 영역(38)의 두께는 안내 웨브(33, 34)의 중간 영역(37)의 두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12. 제 10 항에 있어서, 인접한 특정 실 지지 표면(26)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된 상기 단부 영역(38)의 높이는 상기 날실(15)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13. 제 10 항에 있어서, 각 단부 영역(38)은 인접한 상기 중앙 영역(37)으로부터 상기 헤들 본체(13)의 길이방향(L)에 대해 비스듬하게 통과하는 좁은 측부(4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14.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눈(14)은 상기 헤들 본체(13)에 의해 직접적으로 경계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15.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헤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KR1020120030404A 2011-03-28 2012-03-26 날실의 개선된 보유를 위한 실눈을 구비한 헤들 KR101966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60052.4A EP2505700B1 (de) 2011-03-28 2011-03-28 Weblitze mit einem Fadenauge zur verbesserten Aufnahme des Kettfadens
EP11160052.4 2011-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037A KR20120110037A (ko) 2012-10-09
KR101966054B1 true KR101966054B1 (ko) 2019-04-05

Family

ID=44801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404A KR101966054B1 (ko) 2011-03-28 2012-03-26 날실의 개선된 보유를 위한 실눈을 구비한 헤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2) EP2505700B1 (ko)
JP (1) JP6042079B2 (ko)
KR (1) KR101966054B1 (ko)
CN (1) CN1027041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67447B1 (de) * 2015-03-13 2018-08-08 Groz-Beckert KG Weblitze vorzugsweise zur verarbeitung von bandförmigem kettmateria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eblitz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13949A (en) * 1921-09-08 1922-04-25 Paul A Wagner Heddle for looms
GB408188A (en) * 1933-02-23 1934-04-05 Carl Walter Braeck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yes made in a continuous piece, for healds, and to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249390A (en) * 1939-02-26 1941-07-15 Mahler Otto Heddle
CH573993A5 (ko) * 1974-04-09 1976-03-31 Staeubli Ag
CH692587A5 (de) * 1997-09-16 2002-08-15 Braecker Ag Stabförmiges Fadenführungselement für Textilmaschinen, insbesondere Weblitz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S6145549A (en) 1998-02-26 2000-11-14 Fabric Development, Inc.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rigid biaxial fabric material
FR2776676B1 (fr) * 1998-03-31 2000-05-26 Staubli Lyon Procede de fabrication d'une lisse, lisse et dispositif de formation de la foule pour metier a tisser
DE102005030632B4 (de) * 2005-07-01 2009-07-30 Groz-Beckert Kg Fadenschonende Weblitze
EP1795635B1 (de) 2005-12-08 2008-09-17 Groz-Beckert KG Weblitze für bandförmige Kettfäd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04134A (zh) 2012-10-03
EP2505704B1 (de) 2015-05-13
JP6042079B2 (ja) 2016-12-14
EP2505700B1 (de) 2014-04-30
KR20120110037A (ko) 2012-10-09
EP2505700A1 (de) 2012-10-03
EP2505704A1 (de) 2012-10-03
CN102704134B (zh) 2015-10-28
JP2012207357A (ja) 201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3222B2 (en) Loom for producing a woven article with a profiled cross section, in particular a rope
JP5450836B2 (ja) 補助緯糸効果を有する織物の製法及び織機
US20070079887A1 (en) Plastic heddle
KR101966054B1 (ko) 날실의 개선된 보유를 위한 실눈을 구비한 헤들
KR101857891B1 (ko) 레노 셀비지 형성 장치를 구비한 직조기
CN103109007B (zh) 用于在带有附加花纹效果的织物中形成织造花纹的织筘和织机
US4653545A (en) Projectile guide for a weaving machine
US3833026A (en) Device monitoring two traveling weft threads
KR200248984Y1 (ko) 직기용 종광
CA2218494C (en) Power weaving loom
EP0715009A1 (en) Means to guide the motion of a pair of weft grippers along the shed of looms
CN1876919B (zh) 织造双层织物的织机的引纬装置和装有这种装置的织机
EP3048194B1 (en) Selvage holding apparatus for loom, loo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oven fabric
KR101891527B1 (ko) 자카드 직기용 레노종광
US4549333A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a row of two different and alternating types of drop wires, and an assembly resulting from such process
WO2023188087A1 (ja) 織機用の筬
US3014503A (en) Filling inserting carrier
US5431194A (en) Series shed loom
JP2013087410A (ja) たて糸に優しいアイを有するヘルド
EP3824126B1 (en) Weaving device equipped for preventing stripe formation in fabrics with a handmade appearance
US6382261B1 (en) Laying rail structure for a series shed laying-in apparatus
US3299910A (en) Filling inserting carrier
US3424206A (en) Shuttle and guiding structure therefor
CN109072506B (zh) 用于剑杆织机的织筘
JPS61282458A (ja) 織機の横糸支持グリツパ−及びグリツパ−ストラツプ用の案内手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