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818B1 - 개선된 확장성을 갖는 hf 필터 모듈 - Google Patents

개선된 확장성을 갖는 hf 필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818B1
KR101965818B1 KR1020177009579A KR20177009579A KR101965818B1 KR 101965818 B1 KR101965818 B1 KR 101965818B1 KR 1020177009579 A KR1020177009579 A KR 1020177009579A KR 20177009579 A KR20177009579 A KR 20177009579A KR 101965818 B1 KR101965818 B1 KR 101965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witch
filter unit
switches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3694A (ko
Inventor
에드가 슈미트함머
토마스 메츠거
Original Assignee
스냅트랙,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냅트랙,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냅트랙,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53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 H03J5/24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 H03J5/242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used exclusively for band selection
    • H03J5/244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used exclusively for band selection using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Circuit Networks Thereof (AREA)
  • Filters That Use Time-Delay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기능이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고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HF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모듈은 각자의 HF 필터 및 2개의 가능성있는 스위칭 상태들을 갖는 스위치를 갖춘 2개의 필터 유닛들을 포함한다. 2개의 필터 유닛들은 병렬로 접속된다.

Description

개선된 확장성을 갖는 HF 필터 모듈{HF FILTER MODULE WITH IMPROVED EXPANDABILITY}
본 발명은 추가 주파수 대역이 커버되도록 복수의 필터들에 의해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는 HF 모듈들, 예컨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을 위한 필터 모듈들에 관한 것이다.
HF 모듈들은 모바일 무선 디바이스들에서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프론트 엔드(front end)의 HF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모듈들 및 그들의 포함된 HF 필터들은, 모바일 무선 디바이스에서, 서로 간섭함이 없이, 정확한 주파수들을 갖는 HF 신호들이 적절한 수신 증폭기들로 송신될 수 있고 정확한 주파수들을 갖는 HF 신호들이 전력 증폭기에 의해 안테나로 송신될 수 있음을 보장하는 데 책임이 있다. 최신 통신 디바이스들은 줄곧 증가하는 개수의 주파수 대역들 또는 송신 시스템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소위 "캐리어 집합(carrier aggregation)", 즉 확장된 대역폭 요건에 대한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의 조합은 종래의 HF 모듈들을 그들의 한계들로 이끈다.
복수의 HF 필터들을 프론트 엔드 모듈의 신호 경로 내의 다중 스위치들과 접속시켜서 적절한 HF 필터를 통해 연관된 신호 경로들을 관련 신호들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다중 스위치들은 복수의 스위치 위치들을 갖는데, 이들은 한편으로는 신호 품질을 감소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확장성을 어렵게 만든다. 그 이유는, HF 모듈이 추가의 주파수 대역들 또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동시에 송신할 수 있어야 하는 경우, 다중 스위치가, 대체로, 심지어 더 높은 내부 회로 복잡도로 새롭게 설계될 확장된 다중 스위치로 대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HF 모듈의 확장은, 상이한 회로 컴포넌트들이 서로 간섭함이 없이, 추가의 회로 컴포넌트들이 구조적 요소에 수용되어야 한다는 문제를 수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가하는 대역폭 요건에 더 용이하게 적응될 수 있고, 보다 많은 추가의 설계 노고 없이 더 높은 컴포넌트 밀도를 가능하게 만들고, 개선된 신호 품질을 허용하는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모듈은 듀플렉서 기능을 허용할 수 있어야 하고, 여기서 개별 (듀플렉서) 필터들 사이의 또는 연관된 스위치들 사이의 절연은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러한 모듈에 대한 적절한 용도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들은 독립 청구항들의 주제 사항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유리한 실시예들을 특정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HF 모듈은 2개의 필터 유닛들을 포함한다. 그렇게 하여, 2개의 필터 유닛들 각각은 입력 및 출력을 갖는 제1 HF 필터뿐 아니라 2개의 가능성있는 스위칭 상태들을 갖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한다. 각각의 필터 유닛에서, 제1 스위치는 제1 HF 필터의 입력 또는 출력에 접속된다. 2개의 필터 유닛들 자체는 서로 병렬로 접속된다.
제1 스위치 및 제1 필터는 각각의 필터 유닛에 직렬로 접속될 수 있다. 2개의 가능성있는 스위칭 상태들 중 하나에서, 제1 스위치의 입력은 HF 필터에 직렬로 접속된 제1 스위치의 출력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된다. 연관된 제2 가능성있는 스위칭 상태에서, 제1 스위치의 입력은 제1 HF 필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HF 모듈의 더 용이한 확장성은 커버될 주파수 대역마다 하나의 필터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획득된다. 그렇게 하여, 각자의 필터 유닛의 각각의 제1 HF 필터는 활성화될 수 있지만, 또한, 모듈 내의 제1 스위치를 통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다중 스위치들에 대한 필요성이 제거된다. 다중 스위치의 태스크는 복수의 이중 스위치들로 전달되는데, 여기서, 대체로, 1개 또는 2개와 같은 적은 수의 이중 스위치들만이 HF 필터를 통한 신호 흐름을 허용하여, 활성 스위치들의 전체 회로 복잡도가 감소되고 신호 품질이 개선되게 한다. 더 많은 수의 이중 스위치들에 의한 회로 복잡도의 증가는 스위치당 회로 복잡도의 감소에 의해 보다 더 많이 보상된다.
이 경우, 모든 필터 유닛들의 모든 제1 스위치들이 공통 신호 버스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필터들의 모든 신호 출력들은 추가 신호 버스에 접속될 수 있거나, 또는 추가 스위치들을 통해 그러한 버스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HF 모듈의 회로 복잡도는 오로지 커버될 HF 필터들의 수에 따라서 선형으로 증가한다. 자신의 스위치 및 자신의 HF 필터를 갖는 각각의 필터 유닛이 실현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문제 없이 그리고 실질적으로 HF 도체 경로 교차 없이, 서로 적층되는 방식으로 배열되거나 또는 서로 옆에 배열되는 복수의 필터 유닛들의 어셈블리가 가능하다.
필터 유닛 내의 필터들 및 스위치들의 조합에 의해, 더 높은 컴포넌트 밀도가 실현될 수 있는데, 이는, 각자의 유닛들이 가능성있는 3D 집적의 결과로서, 회로 컴포넌트들이 서로의 상부에 적층되거나 또는 필터 유닛들이 서로의 상부에 적층된다는 더 적은 공간 요건을 갖기 때문이다. 명백히 간소화된 신호 라우팅은, 듀플렉서의 경우에서와 같이, 신호 품질을 개선하고 절연을 증가시킨다. 상이한 필터 유닛들의 개별 필터들은 물리적으로 서로에게 소정 거리를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상이한 간소화된 스위치들의 실현은 공통 칩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칩 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 있는 상이한 스위치들을 갈바니 전기로(galvanically) 접속시킴으로써 신호 품질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기 사항이 적어도 하나의 필터 유닛에 적용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필터 유닛은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스위치는 이어서 2개의 가능성있는 스위칭 상태들을 갖는다. 제1 스위치는 HF 필터의 입력에 접속되고, 제2 스위치는 HF 필터의 출력에 접속된다. 따라서, 제1 HF 필터는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 사이에 접속된다. 제1 스위치들이 제1 신호 버스에 접속되고 제2 스위치들이 제2 신호 버스에 접속되는 경우, 제1 HF 필터들은 어떠한 신호 버스에도 개별적으로 접속될 수 없거나, 제1 신호 버스에만 접속될 수 있거나, 제2 신호 버스에만 접속될 수 있거나, 또는 양쪽 신호 버스들 모두에 접속될 수 있다.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유닛이 입력 및 출력을 갖는 제2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필터는 제1 필터와 병렬로 접속된다. 각자의 필터 유닛의 제1 필터 및 제2 필터는 그들의 중심 주파수들에 대해 그리고 (대역 통과 필터의 경우) 그들의 대역폭들에 대해 실현되어 각자의 필터 유닛이 듀플렉서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유닛당 듀플렉서 기능이 가능하다. 그러나, 추가 필터들 및 추가 이중 스위치들을 제공함으로써, 필터 유닛당 쿼드플렉서들 또는 헥사플렉서들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유닛이 2개의 가능성있는 스위칭 상태들을 갖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제3 스위치가 제2 필터의 입력에 접속된다.
2개의 필터들이 듀플렉서의 필터들을 구성하는 경우, 제1 스위치가 듀플렉서의 전송 신호 경로 및 수신 신호 경로로부터 선택된 신호 경로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제3 스위치는 이에 따라 상기에 나타낸 2개의 신호 경로들 중 각자 다른 것에 접속된다. 제2 스위치는 안테나 신호 경로와 같은 공통 신호 경로에 접속된다.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유닛 내의 각각의 스위치가 3개의 커넥터들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각각의 스위치는 제1 커넥터를 가지며, 이를 통해 각각의 스위치가 필터 유닛의 HF 필터에 접속된다. 추가로, 각각의 스위치가 3개의 커넥터들 중 제2 커넥터로 종단 임피던스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임피던스 조절은 종단 임피던스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지에 대해 적절한 임피던스 값을 통해 종단을 제공하여, 예를 들어 원치 않는 반사를 배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유닛에서, 각각의 스위치는 3개의 커넥터들 중 그의 제3 커넥터로 신호 버스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게 하여, 제1 스위치는 그의 제3 커넥터를 통해 제1 신호 버스에 접속될 수 있고, 제2 스위치는 그의 제3 커넥터를 통해 제2 신호 버스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유닛들의 각자의 스위치 위치에 의해 선택되는 최적으로 적응된 HF 필터를 통해 제1 신호 버스와 제2 신호 버스 사이에서 HF 신호들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유닛이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그에 의해 필터 유닛의 스위치들의 스위칭 상태들이 제어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 회로는 외부 회로 환경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디코딩하고, 개별 스위치들로 지향되는 각자의 스위치 신호들을 생성한다.
추가로, 필터 유닛의 제1 스위치의 제3 커넥터가 송신 증폭기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송신 증폭기는, 이 경우, MMMB-PA(multi-mode-multi-band power amplifier)와 같은 종래의 전력 증폭기일 수 있다.
추가로, 필터 유닛의 제2 스위치의 제3 커넥터가 안테나 커넥터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안테나 커넥터는, 이 경우, 통신 디바이스의 안테나에 접속될 수 있다.
추가로, 필터 유닛의 제3 스위치의 제3 커넥터가 수신 증폭기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수신 증폭기는, 예를 들어, 종래의 저잡음 증폭기일 수 있다.
특히, 모든 필터 유닛들의 제1 스위치들의 모든 제3 커넥터들이 송신 증폭기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모든 필터 유닛들의 제2 스위치들의 모든 제3 커넥터들이 안테나 커넥터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모든 필터 유닛들의 제3 스위치들의 모든 제3 커넥터들이 수신 증폭기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모든 필터 유닛들의 제1 스위치들의 제3 커넥터들의 접속은, 이 경우, 제1 신호 버스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모든 필터 유닛들의 제2 스위치들의 제3 커넥터들의 접속은 공통 제2 신호 버스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모든 필터 유닛들의 제3 스위치들의 모든 제3 커넥터들의 접속은 공통 제3 신호 버스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필터 유닛들의 개수는 2개로 제한되지 않는다. HF 모듈은 하나 이상의 추가 필터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필터 유닛들의 개수는, 또한, 5개, 6개, 7개, 8개, 9개, 또는 10개일 수 있다.
추가로, 모든 필터 유닛들이 동일한 회로 토폴로지(topology)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필터 유닛들의 HF 필터들은 각각 대역 통과 필터들일 수 있고, 그들의 대역폭들 및/또는 중심 주파수들 면에서 각자 상이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동일한 필터 유닛의 HF 필터들이 서로 바로 인접한 통과 대역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HF 모듈은, 예를 들어, 모바일 무선 디바이스에서, 예컨대 모바일 전화기에서, 또는 모바일 무선 유닛에서, 예컨대 자동차에서 사용될 수 있다. 소위 SMART 셀들 또는 소위 피코셀(pico cell)들에서의 사용이 또한 가능하다. WLAN 라우터들 또는 WLAN 최종 사용자 디바이스들에서, 또는 예를 들어 매일 그리고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객체들과 같은 "사물 인터넷"의 객체들에서의 사용이 또한 가능하다.
HF 모듈, 그의 구조, 및 그의 기능이 개략적인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모듈의 주요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필터 유닛의 회로 컴포넌트들의 입력들 및 출력들의 명칭을 도시한다.
도 3은 2개의 스위치들 및 HF 필터를 갖는 필터 유닛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3개의 스위치들 및 2개의 HF 필터를 갖는 필터 유닛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는 제어 회로를 갖는 필터 유닛을 갖춘 모듈의 개요 개관을 도시한다.
도 6은 필터 유닛 내의 종단 임피던스들의 가능성있는 연결을 도시한다.
도 7은 HF 필터, 2개의 스위치들, 및 제어 회로를 갖는 필터 유닛을 갖춘 모듈의 개관을 도시한다.
도 8은 2개의 HF 필터들, 3개의 스위치들, 및 제어 회로를 갖는 필터 유닛을 갖춘 모듈의 개관을 도시한다.
도 9는 추가 주파수 대역들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추가 필터 유닛들을 부가한 것에 의한 용이한 확장성으로서, 필터 유닛들이 공통 신호 버스를 통해 증폭기에 접속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0은 용이한 확장성으로서, 모든 필터 유닛들이 공통 신호 버스를 통해 저잡음 증폭기에 접속된 것을 도시한다.
도 11은 듀플렉서들로서 설계된 필터 유닛들의 경우에 있어서의 용이한 확장성을 도시한다.
도 12는 적층된 필터 유닛들에 의한 가능성있는 물리적 실현을 도시한다.
도 13은 서로 옆에 배열된 필터 유닛들에 의한 대안의 가능성있는 실현을 도시한다.
도 1은 기본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는데, 이러한 다이어그램에 따르면, 자신의 필터 유닛들(FE1, FE2)을 갖는 HF 모듈(M)이 실현된다. 모듈(M) 내에서, 제1 필터 유닛(FE1) 및 제2 필터 유닛(FE2)은 병렬로 접속된다. 2개의 필터 유닛들 각각은 제1 스위치(SW1) 및 제1 HF 필터(HF-F)를 갖는다. 2개의 제1 스위치들은 신호 입력을 가지며, 2개의 가능성있는 스위칭 상태들을 허용한다. 2개의 스위칭 상태들 중 각자의 상태에서, 각각의 제1 스위치의 신호 입력은 각자의 (제1) HF 필터(HF-F)에 접속된다.
동일한 또는 유사한 필터 유닛들을 부가함으로써, 모듈은 더 많은 노고 없이 그리고 특히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기본 회로 토폴로지의 커다란 변화 없이 적응될 수 있다. 캐리어 집합이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구체적으로, 상이한 HF 필터들의 조합이 제1 스위치들의 스위치 위치를 통해 활성화될 수 있다. 회로 복잡도는 종래의 HF 모듈들에 비해 감소되는데, 그 이유는 이중 스위치들만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다중 스위치들의 광범위한 회로 복잡도가 제거된다.
도 2는 상이한 커넥터들의 명칭을 나타낸다. HF 필터는 입력(I)을 통해, 즉 그의 제1 커넥터(A1)를 통해 스위치(SW)에 접속된다. 스위치(SW)의 제3 커넥터(A3)는 필터 유닛(FE)의 신호 입력을 구현한다. 스위치(SW)의 제2 커넥터(A2)를 통해, 스위치(SW)는 종단 임피던스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제2 스위치(SW2)의 커넥터들의 명칭을 나타낸다. 제2 스위치(SW2)의 제1 커넥터(A1)를 통해, 제2 스위치(SW2)는 HF 필터에 접속된다. 제2 스위치(SW2)의 제3 커넥터(A3)를 통해, 필터 유닛(FE)은 그의 출력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스위치(SW2)의 제2 커넥터(A2)를 통해, 스위치는 종단 임피던스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스위치들 및 필터들의 신호 방향이 또한 반전될 수 있어, 신호가 제2 스위치(SW2)로부터 필터를 통해 제1 스위치(SW1)로 라우팅될 수 있다.
도 4는 제3 스위치의 커넥터들의 명칭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3 스위치(SW3)의 제1 커넥터(A1)는 제2 필터에 접속된다. 제3 스위치(SW3)의 제3 커넥터(A3)를 통해, 필터 유닛(FE)은 제3 스위치(SW3)에의 접속을 위해 제공되는 신호 버스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커넥터(A2)를 통해, 제3 스위치(SW3)는 종단 임피던스를 통해 접지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그것은 필터 유닛(FE)의 3개의 스위치들(SW1, SW2, SW3) 모두에 적용되어, 제1 커넥터가 필터에의 접속을 위해 각자 제공되게 한다. 제2 커넥터들(A2)은 종단 임피던스에의 접속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3 커넥터들은 3개의 가능성있는 신호 버스들 중 하나와의 접속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HF 모듈(M)이 필터 유닛(FE)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제1 스위치(SW1)의 스위치 위치는 제어 회로(STS)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회로(STS)는, 이 경우, 외부 회로 환경의 제어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이들을 스위치(SW1)에 대한 대응하는 동작 신호들로 변환할 수 있다.
도 6은 3개의 스위치들, 2개의 HF 필터들, 및 3개의 종단 임피던스(Z)들을 갖는 필터 유닛(FE)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3개의 스위치들(SW1, SW2, SW3)의 제2 커넥터(A2)는 종단 임피던스(Z)를 통해 접지에 각자 접속된다.
도 7은 HF 모듈(M) 내의 필터 유닛(FE)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제어 회로(STS)는 2개의 스위치들(SW1, SW2)의 스위칭 상태들을 제어한다.
도 8은 HF 모듈(M)의 필터 유닛(FE)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제어 회로(STS)는 3개의 스위치들(SW1, SW2, SW3) 모두의 스위칭 상태들을 제어한다. 2개의 HF 필터들(HF)은, 이 경우, 3개의 스위치들만이 요구되도록 듀플렉서의 2개의 필터들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듀플렉서의 공통 출력이 제2 스위치(SW2)를 통해 라우팅되기 때문이다.
도 9는 추가 필터 유닛들(FE)을 부가함으로써 모듈이 어떻게 확장될 수 있는지 도시한다. 입력 측 상에는 신호 버스(SIGS)가 있는데, 이는 특정 예에서 전력 증폭기(PA)에 접속된다. 제2 신호 버스(SIGS)가 있는데, 이는 안테나에 접속된다. 각자의 제어 라인(STL)을 통해 스위칭될 수 있는 필터 유닛들의 각자의 스위치들을 통해, 필터 유닛들의 필터들 각각은 증폭기로부터 안테나로의 HF 신호들에 대한 적절한 신호 경로들을 개방시키기 위해 개별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중 스위치들만이 각자 요구되고 다중 스위치들의 복잡도가 제거되므로, 신호 품질이 개선된다. 요구되는 확장에서, 각자의 다중 스위치의 새로운 구성이 또한 제거되는데,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개별 필터들이 증폭기에 접속된다. 증폭기(PA)는, 이 경우, MMMB-PA일 수 있다.
도 10은 수신된 신호들에 대해 도 9와 유사한 상황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과 유사하고 각각의 필터 유닛(FE)이 듀플렉서의 2개의 필터들 및 3개의 이중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상황을 도시하는데, 여기서 3개의 스위치들의 스위칭 상태들은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신호 버스는 전력 증폭기(PA)에 접속된다. 신호 버스는 안테나에 접속된다. 다른 신호 버스(간결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음)는, 한편으로 듀플렉서들의 각자의 수신 필터들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수신 증폭기에 접속될 것이다.
도 12는 3D 집적에 의해 최소 공간 요건을 갖는 조밀한 구조 요소를 제조하기 위해 동일한 토폴로지를 갖는 상이한 필터 유닛들이 캐리어 기판(TS) 상에서 서로의 상측에 어떻게 적층될 수 있는지 도시한다. 2개 또는 가능하게는 3개의 공통으로 사용된 신호 버스들은 모든 필터 유닛들(FE)을 통해 라우팅되는 비아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13은 캐리어 기판(TS) 상에의 필터 유닛들(FE)의 대안의 집적 가능성을 도시한다. 이 경우, 상이한 필터 유닛들(FE)은 캐리어 기판(TS) 상에서 서로의 옆에 배열되고, 예를 들어 2개 또는 가능하게는 3개의 신호 버스들(SIGS)에의 관통 접속부(through-connection)들을 통해 접속되는데, 이러한 관통 접속부는 다층 캐리어 기판(TS) 내의 상부 측면 상에 또는 금속화 층들 내에 배열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HF 모듈은 전술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특성의 것이다. 추가 필터 유닛들을 포함하는 모듈들, 또는 추가 필터들 및/또는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필터 유닛들이 또한 가능한 실시예들을 구성한다.
부호의 설명
Figure 112017034351592-pct00001

Claims (14)

  1. 2개의 필터 유닛들을 포함하는 HF(high-frequency) 모듈로서,
    상기 2개의 필터 유닛들 각각은:
    입력 및 출력을 갖는 제 1 HF 필터; 및
    2개의 가능한 스위칭 상태들을 갖는 제 1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필터 유닛들 각각에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제 1 HF 필터의 입력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2개의 필터 유닛들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2개의 필터 유닛들 중 제 1 필터 유닛은 2개의 가능한 스위칭 상태들을 갖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필터 유닛의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제 1 필터 유닛의 상기 제 1 HF 필터의 입력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제 1 필터 유닛의 상기 제 1 HF 필터의 출력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 유닛은 입력 및 출력을 갖는 제 2 HF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필터 유닛의 상기 제 1 HF 필터 및 상기 제 2 HF 필터는 공통 출력을 갖고,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 유닛은 듀플렉서를 구현하는, HF 모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 유닛은 2개의 가능한 스위칭 상태들을 갖는 제 3 스위치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3 스위치는 상기 제 2 HF 필터의 입력에 연결되는, HF 모듈.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 유닛의 상기 제 1 스위치는 3개의 커넥터들을 갖고,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 유닛의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3개의 커넥터들 중 제 1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 1 필터 유닛의 상기 제 1 HF 필터에 연결되는, HF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 유닛의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3개의 커넥터들 중 제 2 커넥터를 통해 종단 임피던스에 연결되는, HF 모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 유닛의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3개의 커넥터들 중 제 3 커넥터를 통해 신호 버스에 연결되는, HF 모듈.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 유닛은 상기 제 1 필터 유닛의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들의 스위칭 상태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HF 모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 유닛의 상기 제 1 스위치의 상기 제 3 커넥터는 송신 증폭기에 연결되는, HF 모듈.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의 제 3 커넥터는 안테나 커넥터에 연결되는, HF 모듈.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스위치의 3개의 커넥터들 중 하나의 커넥터는 수신 증폭기에 연결되는, HF 모듈.
  11.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필터 유닛들은 동일한 회로 토폴로지(topology)를 갖고;
    상기 2개의 필터 유닛들 중 상기 제 1 HF 필터들은 대역-통과 필터들이고; 그리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들은 상이한 대역폭들, 상이한 중심 주파수들, 또는 상이한 대역폭들과 상이한 중심 주파수들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HF 모듈.
  12.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HF 모듈은 모바일 무선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무선 유닛에서 사용되는, HF 모듈.
  13. 삭제
  14. 삭제
KR1020177009579A 2014-09-10 2015-07-22 개선된 확장성을 갖는 hf 필터 모듈 KR1019658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13052.9 2014-09-10
DE102014113052.9A DE102014113052B4 (de) 2014-09-10 2014-09-10 HF-Filtermodul mit verbesserter Erweiterbarkeit und Verwendung
PCT/EP2015/066775 WO2016037752A1 (de) 2014-09-10 2015-07-22 Hf-filtermodul mit verbesserter erweiterbark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694A KR20170053694A (ko) 2017-05-16
KR101965818B1 true KR101965818B1 (ko) 2019-04-04

Family

ID=5371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579A KR101965818B1 (ko) 2014-09-10 2015-07-22 개선된 확장성을 갖는 hf 필터 모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020827B2 (ko)
EP (1) EP3192180B1 (ko)
JP (1) JP6679575B2 (ko)
KR (1) KR101965818B1 (ko)
CN (1) CN106797211B (ko)
BR (1) BR112017004859A2 (ko)
DE (1) DE102014113052B4 (ko)
MX (1) MX371519B (ko)
WO (1) WO201603775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5356A (ja) * 2000-10-26 2002-06-28 Epcos Ag 通信端末装置用のフロントエンド回路
JP2009159411A (ja) * 2007-12-27 2009-07-16 Hitachi Metals Ltd 高周波回路、高周波部品および通信装置
JP2013504924A (ja) * 2009-09-21 2013-02-07 ケーエムダブリュ・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無線通信基地局の共用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35523T2 (de) * 1998-11-30 2007-10-18 Robert Bosch Gmbh Schaltbare Breitbandempfängereingangsstufe für einen Mehrbandempfänger
DE19960299A1 (de) * 1999-12-14 2001-06-21 Epcos Ag Duplexer mit verbesserter Sende-/Empfangsbandtrennung
JP2001230709A (ja) * 2000-02-17 2001-08-24 Nec Shizuoka Ltd 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
DE10054968A1 (de) * 2000-11-06 2002-05-08 Epcos Ag Frontend-Schaltung mit Duplexer für ein Kommunikationssystem
DE10315046B4 (de) * 2003-04-02 2006-02-02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für ein Kommunikationsendgerät mit Multi-Mode-Betrieb
KR100547736B1 (ko) * 2003-06-26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채널의 동적 선택을 위한 스위칭 필터 모듈
US8089906B2 (en) * 2009-02-06 2012-01-03 Sige Semiconductor Inc. Dual mode transceiver
DE102011101756B4 (de) * 2011-05-17 2018-03-22 Snaptrack, Inc. Oberflächenwellenfilterbauelement
US9118302B2 (en) * 2011-08-08 2015-08-25 Skyworks Panasonic Filter Solutions Japan Co., Ltd Filter module
WO2013027580A1 (ja) * 2011-08-24 2013-02-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
US9118376B2 (en) * 2012-03-22 2015-08-25 Rf Micro Devices, Inc. Carrier aggregation front end architecture
US9071388B2 (en) * 2012-08-03 2015-06-30 Entropic Communications, LLC. Switchable diplexer with physical layout to provide improved isol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5356A (ja) * 2000-10-26 2002-06-28 Epcos Ag 通信端末装置用のフロントエンド回路
JP2009159411A (ja) * 2007-12-27 2009-07-16 Hitachi Metals Ltd 高周波回路、高周波部品および通信装置
JP2013504924A (ja) * 2009-09-21 2013-02-07 ケーエムダブリュ・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無線通信基地局の共用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113052B4 (de) 2016-03-17
EP3192180B1 (de) 2023-06-21
MX371519B (es) 2020-01-31
MX2017003241A (es) 2018-02-12
BR112017004859A2 (pt) 2017-12-12
WO2016037752A1 (de) 2016-03-17
JP6679575B2 (ja) 2020-04-15
US20170272104A1 (en) 2017-09-21
CN106797211B (zh) 2021-04-06
EP3192180A1 (de) 2017-07-19
KR20170053694A (ko) 2017-05-16
CN106797211A (zh) 2017-05-31
DE102014113052A1 (de) 2016-03-10
JP2017533625A (ja) 2017-11-09
US10020827B2 (en)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6648B2 (ja) フィルタモジュール
JP5451645B2 (ja) デュプレクサモジュール
CN105007107B (zh) 用于多频带射频信号路由的设备、方法及系统
US8222969B2 (en) Duplexer module
US9231552B2 (en) RF front-end module and mobile wireless terminal
DE102012107877B4 (de) Duplexer
JP6114198B2 (ja) 高周波フィルタ
US8995310B2 (en) Communication module
US9705557B2 (en) Front end circuit,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JP2017208656A (ja) スイッチモジュール及び高周波モジュール
US10164665B2 (en) HF circuit and HF module
KR101965818B1 (ko) 개선된 확장성을 갖는 hf 필터 모듈
JP2016524416A (ja) 共通に使用されるフィルタを有するモバイル通信装置、このモバイル通信装置の動作方法およびフィルタの使用
US10348268B2 (en) Demultiplexing circuit
US9614492B2 (en) Ultra broadband network of fixed or switched frequency selective filters
CN106134075A (zh) 高频模块
US20170077986A1 (en) Multiplexer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multiplexer
JP2009076993A (ja) 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
CN109473782B (zh) 天线及多输出端口共天线的实现方法
CN117424685A (zh) 信号传输电路和电子设备
CN117728846A (zh) 控制电路、开关控制方法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