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600B1 -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공정 - Google Patents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600B1
KR101965600B1 KR1020180103389A KR20180103389A KR101965600B1 KR 101965600 B1 KR101965600 B1 KR 101965600B1 KR 1020180103389 A KR1020180103389 A KR 1020180103389A KR 20180103389 A KR20180103389 A KR 20180103389A KR 101965600 B1 KR101965600 B1 KR 101965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s
source
cooling
temperatur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규
Original Assignee
이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규 filed Critical 이병규
Priority to KR1020180103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3/00Shrinking wrappers, containers, or container covers during or after packaging
    • B65B53/02Shrinking wrappers, containers, or container covers during or after packaging by heat
    • B65B53/04Shrinking wrappers, containers, or container covers during or after packaging by heat supplied by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04Sterilising wrappers or receptacle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B65B55/06Sterilising wrappers or receptacle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6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 B65B2220/20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the primary packaging being bags, the secondary packaging being further bags, the primary bags being either finished or formed concurrently with the secondary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24Cooling filled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은 원재료를 이용하여 소스를 제조한 후,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특히, 벌크 형태로 한번 포장된 소스 내에 금속성의 이물질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안전하게 소스를 포장 및 유통시킬 수 있으며, 안정성이 확인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함으로써 운반 과정 및 보존 과정에서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공정{Method for double packaging of manufactured sauce}
본 발명은 가공품과 야채, 육류 등의 원재료를 다듬어서 소스를 만든 후 포장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제조된 소스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유통기한을 길게 유지시킬 수 있는 내포장 및 외포장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내용물 또는 액상내용물과 고상내용물의 혼합물을 만충시킨 상태로 포장되어 생산된 제품들은 상기 포장의 개봉 시, 만충된 충진수 및 이수 등의 액상내용물이 넘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액상은 물이나 기름과 같이 자유로이 유동하여 용기의 모양에 따라 그 모양이 변하며 일정한 형태를 가지지 않고 압축해도 거의 부피가 변하지 않는 물질을 뜻하며, 고상은 단단한 것, 즉, 일정한 형태와 부피를 가지고 있는 물체 뿐만 아니라 유동성고체, 즉, 유동성과 점착성이 있는 묵,두부나 젤리와 같이 완전한 고체 상태가 아닌 액체가 반쯤 엉겨서 이루어진 반고체상태의 물질을 포함한다.
종래 포장방법은, 내용물을 용기에 100% 만충시킨 상태에서 용기의 개봉부를 실링하여 포장하는 것으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장의 개봉 시, 만충된 충진수 및 이수 등의 액상내용물이 넘쳐흘러 주변을 지저분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내용물의 넘침을 의식하여 포장을 약한 힘으로 개봉함에 따라 포장이 완전 개방되지 않고 일부만 개방되어 내용물을 토출하는데 상당한 번거로움을 발생시키는 등의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내용물을 만충시킨 후 포장용기의 하부, 리드필름의 상부 일단을 변형시켜 상기 10% ~ 20%의 내용물을 배출하며 실링하는 방법이 발명되었으나, 개봉 시, 충진된 액상의 내용물이 흘러 넘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은 있지만, 상기의 포장과정을 진행시키기 위한 포장설비가 복잡하고 내용물의 충진 후, 용기를 변형하고 실링함으로서 용기의 변형과정 중 내용물의 손상 및 로스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연속공정이 아닌 단속공정으로 인해 생산효율이 저하되며 내용물을 충진한 상태에서 용기를 변형시키고 실링함으로서 실링이 견고하지 못하여 불안정하게 되고, 유통과정 중 상기 변형된 포장용기의 하부일단이 외부충격에 의해 임의적으로 변형되어 내용물이 손상 또는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은 존재하였다.
국내공개특허 제 10-2016-0103708 호
발명은 내·외부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가변수단이 구비된 가변형 용기를 제공하고 상기 용기를 선변형한 후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포장방법을 제공하여, 연속공정 상의 내압포장을 통해 안정성 및 생산성을 증가시키며, 개봉 시, 충진물의 상부에 형성된 여유공간에 의해 충진된 액상내용물의 넘침을 방지하고 고상내용물의 상부에 소스 및 고명 등을 용이하게 첨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통 과정중 상기 가변수단의 임의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액상 또는 고상의 내용물을 내압포장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본 방법은 미리 정해진 소스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복수개의 원재료의 종류를 확인하고, 복수개의 원재료 마다 정해진 정량을 수취함으로써 소스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를 준비하는 원재료 준비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준비된 복수개의 원재료에 포함된 금속성 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50m/s 이상 60m/s이하의 풍속으로 에어워시하는 에어 세척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준비된 복수개의 원재료를 나선형의 칼날이 장착된 호퍼에 담고, 500~700rpm의 회전속도로 모터를 구동되는 모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원재료들을 고르게 배합하는 배합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배합된 복수개의 원재료가 배합되는 동안, 200~250℃로 15~20분간 가열하여 원재료를 액상상태의 소스로 만드는 가열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가열 단계에서 생성된 소스에, 10.5 ~ 13의 pH를 제공하기 위한 염기성 완충제 1 내지 5 중량%,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고, 점도를 약 50 cp 미만으로 감소시키는 식품 허용성 천연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 코코베타인, 레시틴(Lecithin), 사포닌, 데실글로코사이드(Decyl Glucoside), 애플아미노산, 쟁탄검(Xanthan Gum)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수용성 항미생물제 1 내지 6 중량 %, 칼슘 침전물을 조절하기 위한 칼슘 이온 포착제 1 내지 3 중량% 및 정제수 86 내지 96 중량%로 혼합된 살균제를 전체 소스 중량의 0.3%투입한 후, 100~12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살균시키는 살균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살균된 소스를 10~30mesh의 크기로 여과하여 45 ~ 55brix의 당 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40 ~ 55℃로 진공 농축하는 하는 진공 농축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농축된 소스를 가요성 중합체 필름으로부터 형성된 밀봉 가능한 백에 넣고, 실리카 기재 분말을 3000 ppm 내지 8000 ppm 첨가하여 백 내부의 잔류 수분을 흡수시켜, 소스백을 벌크로 생성하는 내포장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소스백이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에서 금속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벌크 형태의 소스백에 포함된 금속성 이물질을 검출하는 금속 검출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소스백을 미리 결정된 수량만큼 묵음 포장하는 외포장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공정 상의 내압포장을 통해 안정성 및 생산성을 증가시키며, 개봉 시, 충진물의 상부에 형성된 여유공간에 의해 충진된 액상내용물의 넘침을 방지하고 고상내용물의 상부에 소스 및 고명 등을 용이하게 첨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통과정중 상기 가변수단의 임의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3번의 냉각 방법을 거침으로써 소스를 동결할 때 신선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최대 빙결정 생성대의 영향을 조절하여 제조된 소스에 포함된 에너지인자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벌크로 포장된 소스 내의 금속을 검출하는 공정을 통해서, 소스 제조 과정에서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안전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개시에 의한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냉동 및 제 2 냉동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원재료의 온도 및 냉각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하여, 본원발명의 원재료를 배합하는 호퍼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 칼날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 센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개시에 의한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101에서는 미리 정해진 소스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복수개의 원재료의 종류를 확인하고, 복수개의 원재료 마다 정해진 정량을 수취함으로써 소스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를 준비하는 원재료 준비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102에서는 준비된 복수개의 원재료에 포함된 금속성 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50m/s 이상 60m/s이하의 풍속으로 에어워시하는 에어 세척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103에서는 준비된 복수개의 원재료를 나선형의 칼날이 장착된 호퍼에 담고, 500~700rpm의 회전속도로 모터를 구동되는 모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원재료들을 고르게 배합하는 배합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104에서는 배합된 복수개의 원재료가 배합되는 동안, 200~250℃로 15~20분간 가열하여 원재료를 액상상태의 소스로 만드는 가열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105에서는 가열 단계에서 생성된 소스에, 10.5 ~ 13의 pH를 제공하기 위한 염기성 완충제 1 내지 5 중량%,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고, 점도를 약 50 cp 미만으로 감소시키는 식품 허용성 천연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 코코베타인, 레시틴(Lecithin), 사포닌, 데실글로코사이드(Decyl Glucoside), 애플아미노산, 쟁탄검(Xanthan Gum)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수용성 항미생물제 1 내지 6 중량 %, 칼슘 침전물을 조절하기 위한 칼슘 이온 포착제 1 내지 3 중량% 및 정제수 86 내지 96 중량%로 혼합된 살균제를 전체 소스 중량의 0.3%투입한 후, 100~12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살균시키는 살균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105에서는 살균된 소스를 10~30mesh의 크기로 여과하여 45 ~ 55brix의 당 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40 ~ 55℃로 진공 농축하는 하는 진공 농축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106에서는 농축된 소스를 가요성 중합체 필름으로부터 형성된 밀봉 가능한 백에 넣고, 실리카 기재 분말을 3000 ppm 내지 8000 ppm 첨가하여 백 내부의 잔류 수분을 흡수시켜, 소스백을 벌크로 생성하는 내포장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107에서는 소스백이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에서 금속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벌크 형태의 소스백에 포함된 금속성 이물질을 검출하는 금속 검출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108에서는 소스백을 미리 결정된 수량 만큼 묵음 포장하는 외포장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따라 원재료 준비 단계는, 복수개의 원재료를 열풍 건조, 마이크로파 건조, 감압 건조, 동결건조 중 어느 하나의 건조 방식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개시에 의하여, 건조된 복수개의 원재료를 -8℃ 내지 -0℃의 범위의 과냉각 가능 온도에서 제 1 냉각 시키는 제 1 냉각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냉각 단계의 유지 중에 복수개의 원재료의 과냉각 상태가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냉각 판단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냉각 판단 단계에서 냉각된 복수개의 원재료의 과냉각 상태가 해제된 경우, 복수개의 원재료의 냉각 온도를 과냉각 가능 온도보다 낮은 냉동 온도로 냉각하는 제 2 냉각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2 냉각 단계에서 냉동된 복수개의 원재료를 과냉각 가능 온도 이상의 1 ~ 5℃의 저온 냉동 온도로 보관하는 보관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제 2 냉각 단계에서의 복수개의 원재료의 냉각 속도는 제1 냉각 단계에서의 복수개의 원재료의 냉각 속도보다 빠르고, 제 2 냉각 단계는 복수개의 원재료의 온도가 제 2 냉각 단계의 냉동 온도와 동일해질 때 까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외포장 단계는, 소스백을 80~100℃의 물에 30초간 담구어 비닐을 수축시킨 후 컨베이어 밸트를 이용하여 소스백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개시에 의하여, 소스백을 -10℃ 내지 -7℃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금속 검출 단계는, 소스백에 포함된 금속성 이물질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자기장의 변화가 임계값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 이송 컨테이너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자기장의 변화가 감지된 소스백을 이송 컨테이너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소스백은 액상의 소스를 내압 포장하기 위한 가변형 용기로서, 내부 및 외부 압력에 의하여 용적이 변형될 수 있는 가변수단을 용기 내부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가열 단계에서, 소스의 보존을 위하여 식용 방부제를 소스의 중량에 대하여 0.02%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따라 식용 방부제는 35℃에서 굴절률이 1,670~1,750인 유지류에 대하여 모링가 1 %, 감태추출물 0.5~1%, 황금추출물 4~5%, NOS(유황)4~5%, 감초엑스 0.5~1%, 프로폴리스추출물 1~2%, L솔비톨 0.2~1%, 폴리에칠글리콜 1500 0.5~2%, 농글리세린 10%, 착향제: 유향 0.2%, 페퍼민트오일 0.2%, L-멘톨 0.1%, 효소처리 스테비아 0.3~0.5%, 자이리톨 0.3~0.5%, 몰약 0.3%, 식용 은박 0.02%, 용제인 정제수 20~24%를 첨가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에서는 수분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해 세척과정이 시간의 유예없이 연속으로 즉시 이루어지도록 하며,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에어는 복수개의 원재료가 컨베이어의 갈고리 등에 걸려 세척된 상태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세척이 마무리된 이후 에어를 제공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장치를 통해 에어가 사방에서 복수개의 원재료에 분사되도록 한다.
에어의 온도는 1 ~ 5℃의 온도가 되도록 하며, 복수개의 원재료가 세척 및 에어워시 단계에서의 온도차로 인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또한 공급되는 에어의 풍속은 20 ~ 60 m/s, 시간은 1 ~ 5분간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40 m/s, 1분 미만으로 제공되는 에어로 인해 수분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50m/s, 5분을 초과하여 제공되는 에어로 인해 수분제거는 효과적이나 복수개의 원재료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에어워시가 마무리된 후에는 복수개의 원재료를 일정 시간 건조하도록 한다. 에어워시를 통해 이물질 및 수분이 제거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원재료는 그대로 컨베이어의 갈고리에 걸린 상태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 시간은 30분 ~ 1시간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건조되는 공간에서의 온도는 1 ~ 5℃가 되도록 하며, 습도는 1 ~ 5%가 되도록 한다.
에어워시된 복수개의 원재료를 열풍 건조, 마이크로파 건조, 감압 건조, 동결건건조 중 어느 하나의 건조 방식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조된 복수개의 원재료를 -7℃ 내지 -1℃의 범위의 과냉각 가능 온도에서 제 1 냉각 시키는 제 1 냉각 단계, 제 1 냉각 단계의 유지 중에 복수개의 원재료의 과냉각 상태가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냉각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냉각 판단 단계에서 냉각된 복수개의 원재료의 과냉각 상태가 해제된 경우, 복수개의 원재료의 냉각 온도를 과냉각 가능 온도보다 낮은 냉동 온도로 냉각하는 제 2 냉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냉각 단계에서 냉동된 복수개의 원재료를 과냉각 가능 온도 이상의 1 ~ 5℃의 저온 냉동 온도로 보관하는 보관 단계, 복수개의 원재료의 저온 냉동 온도가 유지된 상태에서, 저온 냉동 온도의 복수개의 원재료를 미리 결정된 크기로 2차 세절 하는 제 2 세절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세절과정에서는 별도로 육류에 대한 뼈의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때 복수개의 원재료의 심부온도는 1 ~ 5℃ 가 유지된 상태에서 세부 세절 전 그 심부온도가 상기 7 ~ 8℃의 범위가 되도록 하며, 이후 세절이 마무리된 후에는 다시 1 ~ 5℃ 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 2 세절과정에서 온도를 일정범위 올리는 이유는 지나치게 낮은 상태에서 세절이 이루어지는 경우 전기톱날과 같은 세절기구에 의해 복수개의 원재료가 잘게 썰어지며 소실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원재료의 신선도와 육질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세부 세절되는 과정에서 소실될 수 있는 비율을 낮추기 위해 온도를 일시적으로 7 ~ 8℃의 범위로 높이도록 하며, 이는 요부세절단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사항이기도 하다.
또한, 제 2 세절된 복수개의 원재료로부터 금속성 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풍속 50m/s 이상 60m/s이하로 2차 에어워시하는 제 2 에어워시 단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에어워시 단계는 2차 에어워시는 전 단계인 세부 세절과정에서 전기톱날과 같은 세절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금속성 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2차 제거하기 위한 과정이다.
예를 들면, 세절된 복수개의 원재료를 이동하는 컨베이어의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일정 풍속을 갖는 에어를 상부 및 하부를 포함하는 사방에서 복수개의 원재료를 향해 분사하게 되며, 이때 컨베이어는 세부 세절된 복수개의 원재료가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의 크기의 구멍을 갖는 것으로 하며, 그 크기는 바람직하기는 10 ~ 50 메시가 되도록 함으로써, 에어는 통과되되 세부 세절된 복수개의 원재료는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이때 가해지는 에어의 속도는 40 ~ 70 m/s가 되도록 1차 에어워시과정때 보다는 좀 더 강하게 함으로써 세부 세절된 복수개의 원재료에 붙어 있는 이물질의 이탈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며, 이물질의 제거가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동수단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에 진동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컨베이어상에서 이동되는 세부 세절된 복수개의 원재료가 컨베이어의 직상부로 근소하게 상하 유동됨을 통해 컨베이어의 면과 접촉되는 복수개의 원재료의 면이 가변되도록 함과 함께 컨베이어면과의 이격된 상태에서 에어가 접촉됨을 통해, 이물질 제거가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2차 에어워시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후에는, 자석과 같은 금속검출장치에 복수개의 원재료를 통과시키며 재차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2차 에어워시된 복수개의 원재료를 원적외선물질 층 및 음이온층을 갖춘 하우징에 수납하고, 음이온층을 갖춘 덮개를 덮은 상태에서 5 내지 30 시간 유지하여 복수개의 원재료를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복수개의 원재료를 숙성시킬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외포장은 속겹포장과 겉겹포장으로 2중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속겹포장은 공기 투과성 재질을 이용하도록 하되, 겉겹포장은 공기 비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속겹포장은 복수개의 원재료에 대해 진공밀착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속겹포장과 겉겹포장의 사이에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6 ~ 8 : 4 ~ 2의 비율로 하여 혼합가스를 채워 넣음으로써 유통과정에서의 변질을 방지하고 소스의 색상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포장이 완료된 이후에 부위별 포장된 복수개의 원재료를 저온 숙성하도록 한다. 저온숙성과정은 출하되기 전까지 지속하도록 하되, 바람직하기는 3 ~ 4일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때 온도는 단계별로 변동되도록 함으로써 도체의 육질 개선을 도모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개별포장 직후에는 1일 동안 - 2 ~ 2℃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이후 1 ~ 2일 동안은 2 ~ 5℃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이후 1일 동안은 - 1 ~ 4℃의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출하 전 일정한 온도를 유지함에 비해 육질의 개선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개별 포장된 복수개의 원재료를 미리 결정된 수량에 맞추어 묶음 포장하는 제 2 포장단계(S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포장된 복수개의 원재료를 유통하기 쉽도록 묶음 포장하는 것이다.
또한, 묶음 포장된 복수개의 원재료를 과냉각 장치를 구성하는 냉기 공급수단을 통해 냉각하는 제 3 냉각단계(S116)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단계를 거침으로써 유통 중에 복수개의 원재료가 상하거나, 육질이 상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냉동 및 제 2 냉동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원재료의에 온도 및 냉각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건조된 복수개의 원재료를 -7℃ 내지 -1℃의 범위의 과냉각 가능 온도에서 제 1 냉각 시키는 제 1 냉각 단계(S107), 제 1 냉각 단계의 유지 중에 복수개의 원재료의 과냉각 상태가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냉각 판단 단계(S10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냉각 판단 단계에서 냉각된 복수개의 원재료의 과냉각 상태가 해제된 경우, 복수개의 원재료의 냉각 온도를 과냉각 가능 온도보다 낮은 냉동 온도로 냉각하는 제 2 냉각 단계(S109)를 포함할 수 있다.
냉동식품 저장의 선도 유지에 가장 중요한 인자로는, 냉동과정에 있어서 빙결정 생성으로 인한 조직의 파괴를 통하여 해동과정에서 육즙의 생성을 유발하는 것이다. 즉, 식품을 동결할 때, 식품의 선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가 -1℃ ~ -7℃? 사이의 최대빙결정생성대이다. 이 구간에서 식품 속의 수분이 얼음으로 전환되어진다. 따라서 이 구간의 시간이 길면, 빙결정의 형태는 불균일하며, 또한 크기도 증가되어 식품의 조직을 손상시키게 된다.
구간(A)에서, 복수개의 원재료(예를 들어, 육류, 야채, 식품 등)가 수납되어 냉각되는 수납공간은 과냉각 가능 온도로 유지되어 냉각된다. 이 과냉각 가능 온도는 복수개의 원재료가 최대빙결정 생성대의 온도 영역(-1~-7℃)에서 과냉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온도에 해당되는 것이거나, 과냉각 가능 온도 자체가 이 최대빙결정 생성대의 온도 영역에 포함되는 온도이거나, 최대빙결정 생성대의 온도 영역 보다 다소 낮은 온도에 해당하여, 복수개의 원재료가 최대빙결정생성대에서 과냉각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냉각 가능 온도는 종래의 냉각 온도에 비하여 높은 온도를 유지하여, 냉각에 의해 복수개의 원재료의 온도가 하강하더라도 보다 서서히 감소하면서도, 복수개의 원재료의 과냉각 상태를 보다 장시간 유지하도록 한다.
복수개의 원재료 온도 그래프(II)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의 설정된 냉각 온도의 경우, 복수개의 원재료 온도가 하강하게 되나, 구간(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원재료가 최대빙결정생성대에서 과냉각 상태로 유지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장시간 되다가, 과냉각 상태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복수개의 원재료의 온도가 상전이온도로 상승하여 상변환 또는 상전이가 진행된다. 이러한 구간(A)의 유지 시간은 복수개의 원재료가 결빙될 때의 빙결정핵의 수에 관련되며, 유지 시간이 길어질수록 빙결정핵의 수가 감소하게 된다.
구간(B)에서, 복수개의 원재료의 상변환이 시작되면, 복수개의 원재료가 수납된 수납공간에 대한 냉각 온도를 예를 들면, -20℃와 같은 냉동 온도로 냉각을 시작한다. 이 냉동 온도는 구간(A)에서의 과냉각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 해당하며, 구간(B)에서의 냉각 속도도 구간(A)에서의 냉각 속도보다 빠르게 진행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원재료 온도가 최대빙결정생성대의 온도 영역을 보다 신속하게 통과하도록 한다. 이러한 급속 냉각에 의해, 구간(C)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원재료 온도가 최대빙결정생성대에 머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감소된다. 구간(C)의 유지 시간은 복수개의 원재료가 최대빙결정 생성대에 머무르는 시간에 해당되며, 이 시간은 얼음의 핵의 크기에 관련된다. 즉, 이 유지 시간이 짧아질수록 얼음의 핵의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특히, 빙결정핵의 수가 현저하게 적은 경우, 얼음의 핵이 더욱 작게 형성될 것이다.
구간(D)에서, 구간(B) 및 (C)에서와 같이 낮은 냉동 온도를 일정 시간 이상 유지하여, 복수개의 원재료가 전체적으로 결빙될 수 있도록 한다.
구간(D)에서, 복수개의 원재료의 결빙(또는 동결)이 전체적으로 완료되었으므로, 구간(E)에서, 수납 공간의 온도가 냉동 온도로 유지되지 않아도, 복수개의 원재료의 결빙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냉각 온도를 최대빙결정생성대의 온도 영역에 포함되거나, 상전이 온도보다 낮되, 냉동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하여 저온 냉동 보관을 수행한다. 이 저온 냉동 보관 시의 냉각 온도는 상술된 과냉각 가능 온도보다 높으나 상전이 온도보다 낮게 유지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원재료의 냉동 보관은 구간(E)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수행된다. 다만, 예를 들면, 냉동 장치로 사용자에 의한 해동 명령 또는 기설정된 냉동 시간이 완료된 경우, 복수개의 원재료에 대한 해동 구간이 수행될 수 있다.
구간(F)에서, 저온 냉동 보관 시의 냉각 온도를 저온 해동을 위한 온도로 상승시켜, 복수개의 원재료가 수납 공간 내부에서 해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해동을 위한 온도는 예를 들면, 1~2℃로 유지되어, 복수개의 원재료의 상변환이 수행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원재료의 품질에 전혀 영향이 없도록 한다. 즉, 이러한 저온 해동은 복수개의 원재료에 drip 등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수분증발 문제를 해결하여, 복수개의 원재료의 품질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한다.
또한, 소스의 포장이 완료되는 경우, 소스의 원재료, 유통기한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바코드를 생성하여 소스의 외포장에 부착시킬 수 있다.
바코드는 복수개의 원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스 및 소스의 생성 과정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담고 있어 소비자에게 소스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유통업자는 소스의 안정성과 품질 보장을 통해 소비자로부터 신뢰를 획득할 수 있을 뿐 상품의 차별화를 통해 다른 소스의 제조 및 유통업자와의 경쟁에서 앞서 나갈 수 있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하여, 본원발명의 원재료를 배합하는 호퍼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 칼날을 나타낸 것이다.
스크류 칼날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모터에 의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재료를 잘 배합시킬 수 있다.
도 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 센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기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기는 크게 검사대상물인 소스백을 이송시켜서 소스백이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시키는 이송수단(100)과; 이송수단(100)에 의해 이송되는 소스백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소스백에 포함된 금속성 이물질의 유무 및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수신하는 금속 검출 센서(200)와; 상기 금속 검출 센서(200)에 연결되어 금속 검출 센서(200)에서 감지된 자기장의 변화를 이용하여 금속성 이물질의 유무 및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이송수단(100)은 검사대상물인 소스백(이하, '원료'라고 기재함)에 금속성 이물질(이하, '이물질'이라고 기재함)이 포함되었는지 유무 및 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원료를 이송시키는 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벨트를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이송수단(100)은 컨베이어 벨트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원료를 이동시켜 원료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이송수단일 수 있다.
금속 검출 센서(200)는 이송수단(100)에 의해 이송되는 원료를 향하여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원료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자기장이 변화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송신 코일부(210), 수신 코일부(220) 및 절연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금속 검출 센서(200)의 배치 위치는 이송수단(100)에 의해 이송되는 원료가 이동되는 경로를 향하여 근접배치될 수 있다면 원료 이송 경로의 하부, 상부 및 측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배치된다면 어느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무방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검출 센서(200)가 원료가 이동되는 경로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송신 코일부(210)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금속 검출 센서(200) 주변에 균일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소스백이 이동되는 경로의 하부에 평면 형태로 배치되어 소스백이 이동되는 경로에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때 송신 코일부(210)는 예를 들어 도선이 평면상에서 권선되어 형성되거나 도선 패턴이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송신 코일부(210)는 균일한 자기장의 발생을 위하여 하나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송신 코일부(210)는 단선의 코일로 형성되거나 단선으로 패터닝된 도선 패턴을 갖는 박막이 사용될 수 있다.
수신 코일부(220)는 송신 코일부(210)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하여 송신 코일부(210)에서 발생된 자기장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송신 코일부(210)과 소스백이 이동되는 경로 사이에 평면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수신 코일부(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소스백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에 의해 균형이 깨진 자기장의변화를 감지하여 이물질의 유무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물질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수신 코일부(220)는 다수 개로 마련되어 해당 수신 코일부(220)에서 검출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물질의 유무 판단과 함께 그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다수개의 수신 코일부(220)는 송신 코일부(210)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같은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수신 코일부(220)는 송신 코일부(210)와 마찬가지로 도선이 평면상에서 권선되어 형성되거나 도선패턴이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수신 코일부(220)의 사이즈는 상대적으로 송신코일부(210)보다 작게 마련되어 송신 코일부(210)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여 다수개의 수신 코일부(22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수신 코일부(220)를 소스백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일렬로 이격되도록 배치하였다.
이렇게 다수개의 수신 코일부(220)를 배치하는 이유는 이물질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물질의 위치 검출 목적에 따라 수신 코일부(220)는 다양한 배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원료의 이송경로 방향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수신 코일부(220)가 원료의 이송경로 방향에 따라 일렬로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절연부(230)는 송신 코일부(210)와 수신 코일부(220)를 절연시키는 수단으로서, 송신 코일부(210)와 수신 코일부(220)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송신 코일부(210)와 수신 코일부(220)를 절연시키는 동시에 송신 코일부(210) 및 수신 코일부(220)와 이송수단(100) 사이를 절연시키는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절연부(230)는 송신 코일부(210)와 수신 코일부(22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절연막(231)과; 수신 코일부(220)를 기준으로 제 1 절연막(231)이 형성된 위치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절연막(232)과; 송신 코일부(210)를 기준으로 제 1 절연막(231)이 형성된 위치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3 절연막(233)을 포함한다.
그래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로부터 제 2 절연막([0043] 232), 수신 코일부(220), 제 1 절연막(231), 송신 코일부(210) 및 제 3 절연막(233)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절연막(231), 제 2 절연막(232) 및 제 3 절연막(233)은 각각 개별적인 절연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절연막(231), 제 2 절연막(232) 및 제 3 절연막(233)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절연부(230)는 전도성이 없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머를 사용하여 절연부(230)를 구현하였다. 한편, 수신 코일부(220)는 상기 제 2 절연막(232)에 의해 이송수단(100)과 절연되면서 정확한 이물질의 유무 및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소스백이 이동되는 경로의 하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00)는 송신 코일부(210) 및 수신 코일부(220)에 연결되어 이물질에 의해 수신 코일부(220)에서 수신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수단이다. 이때 수신 코일부(220)가 다수 개 마련되는 경우에는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다수개의 수신 코일부(220)에서 각각 감지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개별적으로 수신하여 이물질의 위치를 검출한다.
부연하자면 소스백이 이송되는 도중 다수개의 수신 코일부(220) 중 이물질이 통과되는 위치에 배치된 수신 코일부(220)에서 이물질에 의해 변화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이물질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기의 사용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상물인 원료(S)를 컨베이어 벨트 타입의 이송수단(100)을 이용하여 이송시킨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의 내부에는 금속 검출 센서(200)가 배치된다. 그리고 금속 검출 센서(200)에 전원을 인가하면 송신 코일부(210)에서 균일한 자기장(F1)이 원료가 이송되는 경로 상에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되는 소스백(S) 중에 이물질(M)이 포함되지 않았다면 균일한 자기장(F1)이 유지되고, 이를 수신 코일부(220)에서 수신하여 제어부(300)에서는 이물질이 없는 상태로 판단하는 것이다.
만약, 이송되는 소스백(S) 중에 이물질(M)이 포함된 경우에는 이물질(M)이 위치한 영역에서 균형이 깨진 자기장(F2)이 발생되고, 이를 수신 코일부(220)에서 수신하여 제어부(300)에서는 이물질(M)이 포함된 상태로 판단하는 것이다.
특히, 다수개의 수신 코일부(220a, 220b, 220c)가 배치된 경우, 이물질(M)이 위치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배치된 수신 코일부(220a, 220c)에서는 균일한 자기장(F1)이 감지되는 반면에, 이물질(M)이 위치한 영역에 배치된 수신 코일부(220b)에서는 균형이 깨진 자기장(F2)이 감지됨에 따라 이러한 자기장(F2)이 감시된 수신 코일부(220b)의 상부에 이물질(M)이 위치한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검출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검사대상물인 소스백(S)에 포함된 이물질(M)의 유무 판단 및 그 위치도 검출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미리 정해진 소스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복수개의 원재료의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개의 원재료 마다 정해진 정량을 수취함으로써 소스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를 준비하는 원재료 준비 단계;
    상기 준비된 복수개의 원재료에 포함된 금속성 가루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50m/s 이상 60m/s이하의 풍속으로 에어워시하는 에어 세척 단계;
    상기 준비된 복수개의 원재료를 나선형의 칼날이 장착된 호퍼에 담고, 500~700rpm의 회전속도로 모터를 구동되는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원재료들을 고르게 배합하는 배합 단계;
    상기 배합된 복수개의 원재료가 배합되는 동안, 200~250℃로 15~20분간 가열하여 원재료를 액상상태의 소스로 만드는 가열 단계;
    상기 가열 단계에서 생성된 소스에, 10.5 ~ 13의 pH를 제공하기 위한 염기성 완충제 1 내지 5 중량%,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고, 점도를 약 50 cp 미만으로 감소시키는 식품 허용성 천연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 코코베타인, 레시틴(Lecithin), 사포닌, 데실글로코사이드(Decyl Glucoside), 애플아미노산, 쟁탄검(Xanthan Gum)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수용성 항미생물제 1 내지 6 중량 %, 칼슘 침전물을 조절하기 위한 칼슘 이온 포착제 1 내지 3 중량% 및 정제수 86 내지 96 중량%로 혼합된 살균제를 전체 소스 중량의 0.3%투입한 후, 100~12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살균시키는 살균 단계;
    상기 살균된 소스를 10~30mesh의 크기로 여과하여 45 ~ 55brix의 당 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40 ~ 55℃로 진공 농축하는 하는 진공 농축 단계;
    상기 농축된 소스를 가요성 중합체 필름으로부터 형성된 밀봉 가능한 백에 넣고, 실리카 기재 분말을 3000 ppm 내지 8000 ppm 첨가하여 상기 백 내부의 잔류 수분을 흡수시켜, 소스백을 벌크로 생성하는 내포장 단계;
    상기 소스백이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에서 금속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벌크 형태의 소스백에 포함된 금속성 이물질을 검출하는 금속 검출 단계;및
    상기 소스백을 미리 결정된 수량 만큼 묵음 포장하는 외포장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공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포장 단계는,
    속겹포장과 겉겹포장으로 2중으로 이루어진 포장 비닐을 사용하며,
    상기 속겹포장은 공기 투과성 재질이고, 상기 겉겹포장은 공기 비투과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속겹포장은 소스백에 대해 진공밀착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속겹포장과 겉겹포장의 사이에는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5 : 4의 비율로 혼합된 가스를 채워넣어 유통과정에서의 소스의 변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공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 준비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원재료를 열풍 건조, 마이크로파 건조, 감압 건조, 동결건조 중 어느 하나의 건조 방식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복수개의 원재료를 -8℃ 내지 -0℃의 범위의 과냉각 가능 온도에서 제 1 냉각 시키는 제 1 냉각 단계;
    상기 제 1 냉각 단계의 유지 중에 상기 복수개의 원재료의 과냉각 상태가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냉각 판단 단계;
    상기 냉각 판단 단계에서 냉각된 상기 복수개의 원재료의 과냉각 상태가 해제된 경우, 상기 상기 복수개의 원재료의 냉각 온도를 과냉각 가능 온도보다 낮은 냉동 온도로 냉각하는 제 2 냉각 단계;및
    상기 제 2 냉각 단계에서 냉동된 상기 복수개의 원재료를 과냉각 가능 온도 이상의 1 ~ 5℃의 저온 냉동 온도로 보관하는 보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공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냉각 단계에서의 복수개의 원재료의 냉각 속도는 제1 냉각 단계에서의 복수개의 원재료의 냉각 속도보다 빠르고, 상기 제 2 냉각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원재료의 온도가 제 2 냉각 단계의 냉동 온도와 동일해질 때 까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공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검출 단계는,
    상기 소스백에 포함된 금속성 이물질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자기장의 변화가 임계값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 이송 컨테이너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및
    상기 자기장의 변화가 감지된 소스백을 상기 이송 컨테이너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공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백은 액상의 소스를 내압 포장하기 위한 가변형 용기로서, 내부 및 외부 압력에 의하여 용적이 변형될 수 있는 가변수단을 용기 내부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공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단계에서, 소스의 보존을 위하여 식용 방부제를 상기 소스의 중량에 대하여 0.02%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식용 방부제는 35℃에서 굴절률이 1,670~1,750인 유지류에 대하여 모링가 1 %, 감태추출물 0.5~1%, 황금추출물 4~5%, NOS(유황)4~5%, 감초엑스 0.5~1%, 프로폴리스추출물 1~2%, L솔비톨 0.2~1%, 폴리에칠글리콜 1500 0.5~2%, 농글리세린 10%, 착향제: 유향 0.2%, 페퍼민트오일 0.2%, L-멘톨 0.1%, 효소처리 스테비아 0.3~0.5%, 자이리톨 0.3~0.5%, 몰약 0.3%, 식용 은박 0.02%, 용제인 정제수 20~24%를 첨가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공정.
KR1020180103389A 2018-08-31 2018-08-31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공정 KR101965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389A KR101965600B1 (ko) 2018-08-31 2018-08-31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389A KR101965600B1 (ko) 2018-08-31 2018-08-31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공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600B1 true KR101965600B1 (ko) 2019-04-04

Family

ID=6610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389A KR101965600B1 (ko) 2018-08-31 2018-08-31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6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520B1 (ko) * 2022-07-26 2022-12-02 박경돈 로타리 식품 포장기
CN117989833A (zh) * 2024-03-29 2024-05-07 山东乐畅调味品有限公司 一种固态调味料制备工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4232A (ko) * 1997-06-26 2001-02-26 데이비드 엠 모이어 미생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식품 세정 방법 및 조성물
KR200290465Y1 (ko) * 2002-07-03 2002-09-28 이흥주 보관이 용이한 2중 양념진공포장팩
KR20040040978A (ko) * 2002-11-08 2004-05-13 주식회사 제너시스 양념치킨 제조방법
KR20080048146A (ko) * 2006-11-28 2008-06-02 씨제이제일제당 (주) 액상 또는 고상의 내용물을 내압포장 하기 위한 가변형용기 및 그를 이용한 포장방법
KR20090013475A (ko) * 2007-08-02 2009-02-05 서강영 단감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KR20160103708A (ko) 2015-02-25 2016-09-02 김춘석 레토르트 파우치 포장밥의 제조방법
KR101702627B1 (ko) * 2016-07-18 2017-02-13 박성권 육류를 유통하기 위하여 가공 및 냉각하는 방법
KR101744452B1 (ko) * 2016-09-13 2017-06-07 (주)이룸시스템 평면형 금속 검출 센서를 이용한 금속 검출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4232A (ko) * 1997-06-26 2001-02-26 데이비드 엠 모이어 미생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식품 세정 방법 및 조성물
KR200290465Y1 (ko) * 2002-07-03 2002-09-28 이흥주 보관이 용이한 2중 양념진공포장팩
KR20040040978A (ko) * 2002-11-08 2004-05-13 주식회사 제너시스 양념치킨 제조방법
KR20080048146A (ko) * 2006-11-28 2008-06-02 씨제이제일제당 (주) 액상 또는 고상의 내용물을 내압포장 하기 위한 가변형용기 및 그를 이용한 포장방법
KR20090013475A (ko) * 2007-08-02 2009-02-05 서강영 단감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KR20160103708A (ko) 2015-02-25 2016-09-02 김춘석 레토르트 파우치 포장밥의 제조방법
KR101702627B1 (ko) * 2016-07-18 2017-02-13 박성권 육류를 유통하기 위하여 가공 및 냉각하는 방법
KR101744452B1 (ko) * 2016-09-13 2017-06-07 (주)이룸시스템 평면형 금속 검출 센서를 이용한 금속 검출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520B1 (ko) * 2022-07-26 2022-12-02 박경돈 로타리 식품 포장기
CN117989833A (zh) * 2024-03-29 2024-05-07 山东乐畅调味品有限公司 一种固态调味料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600B1 (ko)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공정
EP2260715A1 (en) Method for freezing fruit and vegetable produce
KR20190113959A (ko) 야채 조각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방법
CA2864745C (en) Pasteurization of packaged tobacco
EP2151167B1 (en) Method for producing frozen foods
US20060034980A1 (en) Packaged pasteurized fresh fruits and a method for production
CN101494989A (zh) 用于冻融农产品的设备和技术
US3193392A (en) Packaging frozen meat
KR20190119087A (ko) 야채 성분을 구비한 패키지된 식품
JP2004208505A (ja) 魚の生流通方法と生流通用包装体
Potter et al. Col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US2745756A (en) Preparation for storage of solid animal proteinaceous materials
RU2125690C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продукта к хранению и реализации
EP1714565A1 (en) A method of instant deep freezing of fluids, in particular alimentary fluids, and means for carrying out the same
JP3911249B2 (ja) 雪上保冷による農産物の保存方法
JP6660453B1 (ja) 凍結食材及びその製造方法、凍結食材の分離方法、並びに食材の製造方法
JPS6022B2 (ja) 冷凍食品の製造法
JP2024022466A (ja) 食品保管方法、食品輸送方法、食品輸送体
KR100353036B1 (ko) 침지 냉동닭의 제조방법
JPH0276536A (ja) 即席漬物の製造方法
RU2438337C1 (ru) Способ замораживания творога
JP2002191309A (ja) わさび風味のオクラの製造方法
Heldman Col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JPH09313099A (ja) 凍結刺身ユニットパック製造方法
JPH08149947A (ja) 生肉類の保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