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520B1 - 로타리 식품 포장기 - Google Patents

로타리 식품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520B1
KR102473520B1 KR1020220092796A KR20220092796A KR102473520B1 KR 102473520 B1 KR102473520 B1 KR 102473520B1 KR 1020220092796 A KR1020220092796 A KR 1020220092796A KR 20220092796 A KR20220092796 A KR 20220092796A KR 102473520 B1 KR102473520 B1 KR 102473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nozzle
packaging machine
light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돈
Original Assignee
박경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돈 filed Critical 박경돈
Priority to KR1020220092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0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tary table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8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causing operation of audible or visible alarm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식품의 소스(sauce)와 원재료를 섞이는 식품을 팩 단위로 포장하기 위하여 소스를 숙성 보관 및 소스 내 고형을 제거하는 원액통과 자동충진기 및 로타리 포장 장치를 결합한 일체형의 로타리 식품 포장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의 막힘이 방지되어 포장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스가 투입되지 않은 불량품 생산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로타리 식품 포장기{ROTARY FOOD PACKING MACHINE}
본 발명은 식품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식품을 포장하는 일체형 로타리(rotary) 식품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식품을 자동으로 포장하여 대량 생산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식품의 원재료를 순차적으로 포장용 팩에 투입하기 위하여 로타리(rotary) 포장기가 사용된다.
그러나 식품용 소스(sauce)가 원액 보관소에서 포장기로 이동할 시에 고형으로 인하여 노즐(nozzle)이 막히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노즐이 막힌 상태에서 포장기가 계속 작동할 경우 소스 공급을 위한 가압장치, 소스의 이동을 위한 배관 등이 파손될 수 있으며, 미처 소스가 투입되지 않은 불량품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3282호 (2017.04.27.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9734호 (2019.04.11.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식품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기 위한 자동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식품용 소스의 고형을 제거하여 노즐의 막힘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식품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기 위한 자동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식품용 소스의 고형을 제거하여 노즐의 막힘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식품의 소스(sauce)와 원재료를 섞이는 식품을 팩 단위로 포장하기 위하여 소스를 숙성 보관 및 소스 내 고형을 제거하는 원액통과 자동충진기 및 로타리 포장 장치를 결합한 일체형의 로타리 식품 포장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의 막힘이 방지되어 포장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스가 투입되지 않은 불량품 생산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부 및 깔때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막힘 감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 및 소스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암이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의 상승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의 하강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의 상승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모듈, 노즐부, 관부, 소스용기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삽입부 및 노즐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접점단자, 접점핀, 충진제어부, 가압부 및 전자석간의 전기 연결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충진 상태의 소스용기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 청소 상태의 소스용기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 식품 포장기의 회전축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부하 감지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원기둥 형상의 물체에 회전력이 가해졌을 때 변형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동작 감지부의 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동작 감지부의 작동 상태를 도 15와 동일한 시점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도 15의 상측에서 내려다본 시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상측에서 내려다본 시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타리(rotary) 식품 포장기는, 식품의 원재료와 소스를 포장용 팩(pack)에 투입시켜 자동으로 포장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타리 식품 포장기는, 충진부 및 배치부를 포함한다.
충진부는 소스를 포장용 팩의 내부로 소스를 투입시키는 구성이다.
충진부는, 내부에 소스가 투입되어 보관되는 소스용기(40); 상기 소스용기(40) 내부에 구비되어 소스에 포함된 고형 물질을 제거하는 고형제거부(41); 관 형태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소스용기(40)에 연결되는 관부(42); 및 상기 관부(42)의 타단에 연결되는 노즐부(43);를 포함한다.
소스용기(40)는 형태가 제한되지 않으며, 내부에 소스가 투입되어 보관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소스용기(40)는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소스용기(40)는 밀폐가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용기(40)는 상단에 개폐부가 구비되되, 가스켓(gasket)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는, 소스의 숙성을 위한 것으로서, 외부의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소스를 숙성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소스용기(40)는 온도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부는 소스용기(4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여 소스의 숙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소스용기(40)는 단열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고형제거부(41)는 소스용기(40) 내부에 구비되고 소스의 제조에 필요한 재료 중, 고형 성분을 제거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고형제거부(41)는 분쇄 장치를 포함하여 소스에 포함된 고형 성분을 잘게 분쇄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고형제거부(41)는 필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필터부가 소스용기(40) 내부의 공간을 이분한다. 예를 들어, 필터부는 소스용기(40) 내부의 공간을 상측 및 하측으로 분리시킨다. 소스의 원재료는 소스용기(40)의 상측으로 투입되고, 하측에 연결되는 관부(42)를 통해 배출된다. 이에 따라, 필터부를 통과할 수 없는 고형 성분은 상측에 잔류하게 되고, 필터부를 통과한 액상 성분 및 작은 입자 성분만이 관부(4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고형제거부(41)가 구비됨에 따라, 고형 성분에 의해 후술할 관부(42) 및 노즐부(43)가 막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노즐부(43)는 후술할 깔때기부(310)의 상측에 배치된다. 관부(42)로부터 소스가 이동되어 노즐부(43)를 통해 배출된다. 노즐부(43)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나, 노즐부(43)의 배출구(44)는 내경이 포장용 팩의 입구보다 작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관부(42)는 소스용기(40)에 연결되어 소스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구성이다. 바람직하게, 관부(42)는 소스용기(40)의 하측 일단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소스가 중력에 의해 소스용기(40)로부터 관부(42)로 용이하게 이동된다.
배치부는 포장용 팩을 상기 충진부가 소스를 투입하는 위치로 배치시키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치부는 테이블부(300), 깔때기부(310) 및 구동부(10)를 포함한다.
테이블부(300)는 포장용 팩이 거치되어 회전을 통해 포장용 팩을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테이블부(300)는 원형 또는 링형의 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포장용 팩(P)이 테이블부(300)의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거치되어 테이블부(30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된다. 테이블부(300)는 중심(c)에 형성된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도 1에 화살표로 도시)된다. 회전축(21)은 후술할 구동부(10)와 연결되어 구동부(10)에 의해 회전된다.
깔때기부(310)는 소스를 포장용 팩의 입구까지 투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소스가 포장용 팩으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통상적인 깔때기의 목적과 크게 다르지 않다. 바람직하게, 깔때기부(310)는 테이블부(300)의 외측 둘레 상측에 소정 각도의 간격(도 2에 도시된 부호 A 참조)을 갖고 배치되며, 각 포장용 팩은 각각의 깔때기부(310)의 하측에 거치된다. 깔때기부(310)의 투입구는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포장용 팩의 입구를 향하도록 구비된다. 깔때기부(310)는 테이블부(300)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깔때기부(310)는 깔때기지지부(311)를 통해 상기 회전축(21)에 연결된다.
구동부(10)는 상기 회전축(21)을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구동부(10)는 전력 등 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축(21)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라, 구동부(10)는 전기에너지를 회전력으로 전환하는 동력부, 예를 들면, 전기 모터(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구동부(10)는 모터 및 모터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부(300) 및 깔때기부(310)는 구동부(10)의 회전에 따라, 각 포장용 팩이 순차적으로 노즐부(43)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세하게, 구동제어부는 테이블부(300)가 깔때기부(310) 간의 간격(도 2에 도시된 부호 A 참조)만큼 회전하고, 소스가 포장용 팩에 투입되는 동안 정지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구동부(10)를 제어한다. 이하에서, 이러한 테이블부(300)의 회전 운동을 '스텝 회전 운동'이라고 한다.
한편, 고형제거부(41)를 통해 소스 내 고형을 제거하더라도 미처 제거되지 않은 고형이나, 작은 크기의 고형이 관부(42) 또는 노즐부(43) 내부에 누적 침전되어 막힘이 발생될 수 있다. 막힘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한 막힘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관부(42) 또는 노즐부(43) 내부에 침전된 고형을 '침전 고형(S)'이라고 한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막힘 감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막힘 감지부는 노즐날개부(431), 노즐고정부(432), 노즐스프링(433), 접점단자(434) 및 접점핀(435)을 포함한다.
노즐날개부(431)는 노즐부(43)가 노즐스프링(433)의 탄성에 의한 반발력을 받도록 하는 구성이다. 노즐날개부(431)는 노즐부(43)의 측면으로 돌출된 날개 형태를 갖는다. 후술할 노즐스프링(433)이 노즐날개부(431)의 하측에 위치됨으로써 노즐날개부(431)는 상측으로 반발력을 받는다.
노즐고정부(432)는 노즐부(43)를 테이블부(30)의 상측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노즐고정부(432)는 노즐날개부(431)의 하측에 고정되어 구비되며, 노즐날개부(431) 및 후술할 노즐스프링(433)을 지지한다.
접점핀(435) 및 접점단자(434)는 충진제어부(Controller)와 연결되어 노즐부(43) 내부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서로 접촉되면 충진제어부(Controller)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접점핀(435)은 노즐날개부(43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고 노즐스프링(433)의 중심에 위치된다.
접점단자(434)는 노즐고정부(432)의 상면에 형성되며 접점핀(435)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다.
노즐스프링(433)은 접점단자(434) 및 접점핀(435)의 이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노즐스프링(433)은 노즐고정부(432) 및 노즐날개부(431) 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노즐스프링(433)은 노즐고정부(432)에 의해 지지되며 탄성 반발력을 통해 노즐날개부(431)를 상측으로 밀어내어 지지한다.
소스를 배출하기 위해 소스용기(40)로부터 노즐부(43)로 충진 압력이 가해진다. 노즐부(43)가 막히지 않았을 때 노즐부(43) 내부의 압력은 노즐부(43)에서 소스가 배출됨에 따라 적정 수준으로 유지된다. 이 때, 노즐스프링(433)은 노즐부(43) 내부의 압력에 의해 노즐부(43)가 하측으로 가압되는 힘의 크기보다 큰 탄성한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a> 참조)
반면, 노즐부(43) 내부가 침전 고형(S)으로 인해 막힌 경우, 노즐부(43) 내부의 압력은 소스가 배출되지 않으므로 소스의 충진 압력에 의해 증가한다. 따라서 충진 압력을 차단하지 않으면 노즐부(43) 및 관부(42)가 파손될 수 있다. 먼저, 막힘 감지부를 통해 충진제어부가 노즐부(43)가 막힌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관부(42) 또는 노즐부(43)가 막힌 경우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노즐부(43)가 하측으로 힘을 받는다. 그에 따라 노즐스프링(433)이 압축되고 접점핀(435)이 접점단자(434)와 접촉된다. 접점핀(435) 및 접점단자(434)는 충진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접점핀(435) 및 접점단자(434) 간 통전에 의해 충진제어부는 관부(42) 또는 노즐부(43)가 막힘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충진제어부는 관부 또는 노즐부가 막힌 것을 인지하면, 소스의 충진을 중단하기 위하여 충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진제어부는 소스의 충진을 중단하기 위하여 후술할 충진부에 연결되는 가압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50) 및 소스용기(4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용기(40)에는 가압부(50)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가압부(50)는 소스용기(40)의 상측 일단에 충진가압관(52)을 통해 연결된다. 가압부(50)는 충진가압관(52)을 통해 소스용기(40) 내부로 충진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소스용기(40)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소스용기(40)로부터 관부(42)를 통해 소스가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침전 고형(S)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청소모듈은 노즐부(43)에 침전된 고형을 제거함으로써 노즐부(43)의 막힘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청소모듈은 회전부(511); 상승부(514); 및 노즐삽입부(515);를 포함한다.
회전부(511)는 상승부(514) 및 노즐삽입부(515)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회전부(511)는 가압부(50)와 청소가압관(51)을 통해 연결되며 청소 암 (arm)(512)을 회전시킨다.
청소 암(512)은 회전부(511)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청소용 충진 가스를 상승부(514)로 전달시키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청소 암(512)은 회전부(511)와 상승부(514)를 연결하는 관 형태로 구비되고, 정상 상태에서 제1 위치(R1)에 배치된다. 상술한 막힘 감지부를 통해 노즐부(43)가 막힌 상태임이 감지되면, 충진제어부는 청소 암(512)이 제2 위치(R2)로 이동되도록 회전부(511)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2 위치(R2)란, 노즐삽입부(515)가 노즐부(43)와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위치이다.
도 4는 청소 암(512)이 제1 위치(R1)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청소 암(512)이 제2 위치(R2)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청소 암(512)이 회전부(511)에 의해 90°회전함으로써 제1 위치(R1) 및 제2 위치(R2)에 위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도시되었다.
상승부(514)는 노즐삽입부(515)를 상승시켜 노즐부(43)와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청소 암(512)의 끝단에는 수직 방향의 관 형태인 슬라이드부(513)가 형성되고, 상승부(514)는 슬라이드부(513)와 연결되어 슬라이드부(513)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상승부(514)의 일 단에는 노즐삽입부(515)가 형성된다.
노즐삽입부(515)는 노즐부(43)와 결합되어 노즐부(43)의 내부로 청소용 충진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노즐삽입부(515)는 끝단에 상측 방향으로 삽입구(516)가 형성되는 관 형태로 구비된다. 삽입구(516)는 노즐부(43)의 끝단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음각되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청소 암(512)이 제2 위치(R2)에 오도록 회전되면, 삽입구(516)가 노즐부(43)의 하측에 위치되게 된다. 이후, 상승부(514)가 슬라이드부(513)를 따라 상승하여 삽입구(516)가 노즐부(43)의 끝단에 결합된다. (도 6 참조) 이에 따라, 가압부(50)로부터 공급되는 청소용 충진 가스가 청소가압관(51), 회전부(511), 청소 암(512), 슬라이드부(513), 상승부(514) 및 노즐삽입부(515)를 순서대로 거쳐 노즐부(43)의 끝단으로 공급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514)의 하강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승부(514)의 하강 상태에서 슬라이드부(513)의 개구부는 상승부(514)의 내벽에 의해 차단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승부(514)의 상승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승부(514)의 상승 상태에서 슬라이드부(513)의 개구부는 상승부(514)의 내벽에 형성된 개구부와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슬라이드부(513), 상승부(514), 노즐삽입부(515) 및 노즐부(43)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청소용 충진 가스가 노즐부(43)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모듈, 노즐부(43), 관부(42), 소스용기(40)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청소 암(512)을 통해 청소용 충진 가스가 공급되어 슬라이드부(513), 상승부(514), 노즐삽입부(515), 노즐부(43), 관부(42), 소스용기(40)를 통과하며 침전 고형(S)을 밀어내어 소스용기(40)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소스용기(40)의 일 측면에는 배출구(44)가 구비되고, 소스용기(40)의 내부에는 관통관(45)이 구비될 수 있다.
관통관(45)은 침전 고형(S)의 배출을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관통관(45)은 소스용기(40) 내부의 저면에 구비되고 소스용기(40)의 일측단을 통해 관부(42)와 연결되며, 타측단을 통해 배출구(44)와 연결된다.
이하에서, 상술한 가압부(50), 회전부(511), 상승부(514)에 의한 노즐부(43)로의 청소용 충진 가스를 공급하는 작동을 '청소 작동'이라고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삽입부(515) 및 노즐부(43)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삽입부(515)의 삽입구(516) 주위에는 전자석(517)이 매설될 수 있다. 또한, 노즐부(43)의 끝단 외주면에는 금속 팁(43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부(43) 끝단이 노즐 삽입구(516)와 결합될 때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청소용 충진 가스가 통과할 때의 가스 압력에 의해 노즐부(43)가 이탈되거나 노즐삽입부(515)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접점단자(434), 접점핀(435), 충진제어부(Controller), 가압부(50) 및 전자석(517)간의 전기 연결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접점단자(434) 및 접점핀(435)은 충진제어부(Controller)와 연결된다. 접점단자(434)와 접점핀(435)이 서로 접촉되어 통전되면, 충진제어부(Controller)는 상술한 청소 작동을 수행하도록 가압부(50)를 제어한다.
또한, 접점단자(434) 및 접점핀(435)은 전자석(517)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접점단자(434)와 접점핀(435)이 서로 접촉되어 통전되면, 전자석(517)이 작동되어 자동적으로 노즐삽입부(515)와 노즐부(43) 간 체결이 강화된다. 따라서, 충진제어부(Controller)가 전자석(517)을 제어하는데 연산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어를 위한 자원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용기(40)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소스용기(40) 내부의 저면에는 소스의 투입을 위한 저면개구부(401)가 형성되고, 저면개구부(401)와 관통관(45)은 서로 연결되어 소스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저면개구부(401)에는 회전개폐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개폐부(60)는 소스의 충진 또는 침전 고형(S)의 제거 간 관통관(45)의 역할을 선택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회전개폐부(60)는 저면개구부(401)의 일단에 구비되고, 중심부의 개폐축부(60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날개 형태로 구비된다.
도 12는 회전개폐부(60)가 소스 충진 상태인 것을 기준으로 도시되었다. 즉, 회전개폐부(60)가 수직 상태를 가짐으로써 관통관(45)의 배출구(44) 방향 통로(452)는 차단되며, 관부(42) 방향 통로(451)가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소스가 관부(42)로 이동(도 12에 화살표로 도시됨)되어 포장용 팩에 충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관통관(45)의 하면에는 턱 구조가 형성되고, 제1 가스켓(gasket)(61)이 구비될 수 있다. 턱 구조 및 제1 가스켓(61)은 소스 충진 상태에서 회전개폐부(60)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관통관(45)의 하면에는 회전개폐부(60)의 일단과 접촉되는 턱 구조가 형성되고, 턱 구조에 제1 가스켓(61)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충진되는 소스가 배출구(44) 방향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회전개폐부(60)가 노즐부(43) 청소 상태인 것을 기준으로 도시되었다. 즉, 회전개폐부(60)가 수평 상태를 가짐으로써 관통관(45)의 배출구(44) 방향 통로(452)는 활성화되며, 관부(42) 방향 통로(451)가 차단된다. 이에 따라, 침전 고형(S)이 배출구(4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도 13에 화살표로 도시됨). 바람직하게, 소스 저장공간 저면에는 제2 가스켓(gasket)(62)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가스켓(62)은 노즐부(43) 청소 상태에서 회전개폐부(60)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저면개구부(401)의 타단에는 회전개폐부(60)의 타단과 접촉되는 제2 가스켓(62)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청소 작동시에 소스용기(40)에 저장된 소스가 관통관(45)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스텝 회전 운동 중, 이물질로 인해 회전축(21)의 회전이 방해되어 회전축(21)에 과부하가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 기어의 파손 또는 로타리 식품 포장기 전체의 파손으로 인한 손해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과부하가 가해지는 경우 경고 신호를 발생시켜 관리자에게 인지시키거나 동력을 해제하여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로타리 식품 포장기는 과부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회전축(21)에는 과부하 감지부가 결합되어 과부하가 감지되는 경우 구동제어부로 경고 신호를 송신한다. 구동제어부는, 경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회전운동의 동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로타리 식품 포장기의 부품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과부하 감지부는 회전축(21)에 가해진 힘에 따른 회전축(21)의 변형 정도를 측정하여 과부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 식품 포장기의 회전축(21)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세하게, 로타리 식품 포장기의 회전축(21)은 구동 기어(2)에 의해 회전운동된다. 구동 기어(2)는 동력 기어(1)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동력 기어(1)는 구동부(10)에 구비되는 동력부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여기서, 테이블부(300)는 회전축(21)을 통해 구동 기어(2)와 연결된다. 상세하게, 테이블부(300)에는 결합부(3)가 고정되어 구비되고, 결합부(3)와 회전축(21)이 체결된다. 즉, 구동 기어(2)는 회전축(21)에 회전력을 가하고, 회전축(21)은 테이블부(300)에 형성된 결합부(3)와 체결되도록 구비됨으로써, 회전력이 결합부(3)를 통해 테이블부(300)로 전달되어 테이블부(300)가 회전운동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부하 감지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에서는 결합부(3)의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도 15를 참조하면, 과부하 감지부는 회전축(21)의 외주면의 일 지점으로부터 회전축(21)을 관통하여 타 지점까지 형성되는 광통로(212); 회전축(21)의 외부로부터 상기 일 지점을 향해 검출광을 입사시키는 입광부(25); 및 회전축(21)을 기준으로 상기 입광부(25)의 반대쪽에 위치되고, 상기 광통로(212)를 통과하여 상기 타 지점으로 나오는 상기 검출광을 받는 수광부(26);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입광부(25)는 상기 검출광을 발생시키는 발광부 및 입광로(251)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소정 파장 및 소정 출력의 검출광을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 발광부는 레이저(laser) 형태의 검출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제네레이터(generator)일 수 있다.
입광로(251)는 발광부에서 발생된 검출광을 광통로(212)로 가이드하여 전달하는 구성이다. 바람직하게, 입광로(251)는 전반사를 통해 검출광의 에너지가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광섬유 재질일 수 있다.
수광부(26)는 광센서 및 수광로(261)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로(261)는 광통로(212)를 통과한 검출광을 가이드하여 광센서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바람직하게, 수광로(261)는 전반사를 통해 검출광의 에너지가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광섬유 재질일 수 있다.
과부하에 의해 광통로(212)를 통해 검출광이 수광부(26)에 도달하면, 수광부(26)는 경고 신호를 구동제어부에 송신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통로(212)는 상기 입광부(25) 및 상기 수광부(26)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엇나가도록 고정된다. 이는, 과부하가 가해지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는 검출광이 수광부(26)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회전축(21)은, 강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지만, 힘이 가해지면 미소량 변형될 수밖에 없다. 도 16을 참조하면, 좌측의 원기둥 형태의 물체에, 우측과 같이 중단부에 회전력을 가하면, 중단부가 회전 방향을 따라 가장 많이 변형되고, 중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적게 변형되어, 뒤틀리는(twist) 형태의 변형이 일어난다.
실제로는 회전축(21)의 변형은 매우 작은 수준으로 일어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도면에서는 과장하여 도시하였지만, 실제 광통로(212)가 엇나가는 상기 소정의 각도는 1도 이하의 작은 각도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입광로(251), 광통로(212) 및 수광로(261)는 1mm 이하의 작은 직경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입광부(25), 광통로(212) 및 수광부(26)는 이러한 변형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통로(212)가 소정의 각도만큼 엇나가도록 고정됨으로써 회전축(21)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는 회전축(21)의 변형이 적게 일어난다. 반면, 과부하가 가해져 회전축(21)에 정상 상태보다 높은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회전축(21)이 변형되어 광통로(212)의 각도가 입광부(25) 및 수광부(26)와 일치된다. 이를 위해, 광통로(212)의 초기 각도(상기 소정의 각도)는 회전축(21)의 재질을 고려하여 회전축(21)이 파손되기 직전 최대로 변형되는 시점의 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광통로(212)의 초기 각도는, 정상 상태에서의 회전축(21)의 변형에 따른 각도 변화 보다는 크게, 파손전 회전축(21)의 최대 변형에 따른 각도 변화보다는 작게 설정된다.
구동제어부는 경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회전운동의 동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로타리 식품 포장기의 부품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입광부(25) 및 수광부(26)는 회전축(21)의 변형이 가장 큰 위치에 형성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회전축(21)은 일단에 결합된 구동 기어(2)로부터 회전력을 받고, 타단에 결합된 고정부(22)를 통해 회전축(21)이 결합된 결합부(3)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입광부(25) 및 수광부(26)는 구동 기어(2)와 고정부(22)의 사이에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도 17을 참조하면, 입광부(25) 및 수광부(26)는 구동 기어(2)에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즉, 입광부(25) 및 수광부(26)가 고정부(22)에 대해 갖는 위치 차이(h1)는 구동 기어(2)와 고정부(22) 사이의 위치 차이(h2)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고정부(22)는, 과부하가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회전축(2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제어부의 동력 차단과 더불어 이중으로 안전을 확보함으로써, 로타리 식품 포장기의 파손 위험도가 감소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15를 참조하면, 회전축(21)의 상기 타단에는 고정부(22)가 삽입되는 고정홈(211)이 형성되고, 고정부(22)는 상기 고정홈(211)에 삽입되어 회전축(21)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여기서, 고정부(22)는 수광부(26)에 상기 검출광이 도달하는 경우, 고정홈(211)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구동 기어(2)로부터 계속 회전력이 가해지더라도 회전축(21)이 자유롭게 회전됨에 따라, 결합부(3) 및 회전축(21) 등 각 구성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고정부(22)는 회전축(21)의 외주면에 대해 수직 방향인 제1 방향(d1)의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단이 고정홈(211)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도록 이동된다.
고정부(22)의 타단에는 돌기부(221)가 형성되고, 돌기부(221)에는 돌기부(221)를 상기 타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스프링(222)이 결합된다.
또한, 고정부(22)의 타단에는 고정부(22)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 막대(23)가 형성되고, 차단 막대(23)는 수광부(26)에 상기 검출광이 도달하는 경우 이동되어 고정부(22)에 대한 차단을 해제한다.
보다 상세하게, 차단 막대(23)는 고정부(22)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인 제2 방향(d2)의 막대 형상으로 배치되며, 차단 막대(23)의 일 측면에는 홈부(232)가 형성된다.
차단 막대(23)는 상기 수광부(26)에 상기 검출광이 도달하는 경우 상기 홈부(232)의 위치가 상기 고정부(22)의 타단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이동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홈부(232)에는 빗면(233)이 형성될 수 있다. 빗면(233)을 통해, 차단 막대(23)가 본래 위치로 복구되면서 자연스럽게 돌기부(221)를 눌러서 고정부(22) 또한 원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단 막대(23)의 일단에는 타단 방향을 향해 차단 막대(23)를 가압하는 제2 스프링(234)이 연결되며, 차단 막대(23)의 타단에는 차단 막대(23)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체(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차단 막대(23)의 상기 타단에는 핀 형태의 지지 핀(231)이 형성되고, 결합부(3)에는 지지 핀(231)이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의 핀홀(31)이 형성된다. 차단체(24)는 지지 핀(231)과 핀홀(31)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되어, 지지 핀(231)이 핀홀(31)을 통과하는 것을 막는다. 이에 따라, 차단체(24)가 이탈되면 차단 막대(23)의 이동 및 고정부(22)의 이동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중 차단을 통해 고정부(22)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은, 고정부(22)에 가해진 힘을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상세하게, 고정부(22)에는 회전축(21)을 통해 결합부(3)를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힘이 전달되기 때문에, 제1 스프링(222)은 고정홈(211)으로부터 고정부(22)를 이탈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탄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이를 차단하기 위한 물체는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차단 막대(23)는 강성 재질로 구비되어 고정부(22)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스프링(222)이 가하는 힘의 방향은 제1 방향(d1)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수직 방향인 제2 방향(d2)에 따라 이동되는 차단 막대(23)의 이동은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스프링(234)은 제1 스프링(222)보다 약한 탄성을 갖는 스프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체(24)는 고정부(22) 및 차단 막대(23)보다 약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단체(24)는 상온 수준(섭씨 0도씨 내지 50도씨 이하)에서는 고체이고, 열에너지가 가해지면 액상으로 변하는 재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차단체(24)는 밀랍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차단체(24)의 일 측면에는 수광부(26)에 검출광이 도달하는 경우, 차단체(24)에 열에너지를 가하는 가열부(27)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부하 감지부의 작동 상태를 도 15와 동일한 시점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도 15의 상측에서 내려다본 시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0은 도 18의 상측에서 내려다본 시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와 도 20 및 도 19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부하 감지부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 기어(2)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21)에 회전력이 가해지고, 정상 상태에서는 고정부(22)가 고정홈(211)에 삽입되어 회전축(21)의 회전력을 결합부(3)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결합부(3)가 회전운동된다.
반면, 과부하 상태, 즉, 결합부(3)가 더 이상 회전운동될 수 없음에도 구동 기어(2)에 의한 회전력이 계속 가해지면, 회전축(21)이 변형되어 광통로(212)가 입광부(25) 및 수광부(26)와 일치되는 각도를 갖게된다. 이에 따라, 수광부(26)에 검출광이 도달하고, 수광부(26)는 가열부(27)를 동작시켜 차단체(24)를 액화시킨다.
차단체(24)는 고체상태에서는 지지 핀(231)의 이동을 차단하지만, 액화되면 제2 스프링(234)의 힘에 의해 밀려나서 핀홀(31)을 통해 이탈되며, 지지 핀(231)이 핀홀(31)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차단 막대(23)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되고, 홈부(232)에 돌기부(221)가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돌기부(221)가 홈부(232)에 삽입되면서 고정부(22)는 고정홈(211)으로부터 이탈하고, 회전축(21)은 결합부(3)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므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과부하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동력의 전달이 해제되어 정밀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래의 상태로 복구하기 위해서는 차단체(24)만 교체하면 되고, 차단체(24)는 저렴하고 가공이 쉬운 재질로 구비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구동제어부
21: 회전축
300: 테이블부 310: 깔때기부
P: 포장용 팩 c: 테이블부 중심
40: 소스용기 41: 고형제거부
42: 관부 43: 노즐부
44: 배출구

Claims (11)

  1. 식품의 원재료와 소스를 포장용 팩(pack)에 투입시켜 자동으로 포장하는 로타리(rotary) 식품 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팩의 내부로 소스를 투입시키는 충진부; 및
    상기 포장용 팩을 이동시켜 상기 충진부가 소스를 투입하는 위치에 배치시키는 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부는,
    내부에 소스가 투입되어 보관되는 소스용기(40);
    상기 소스용기(40) 내부에 구비되어 소스에 포함된 고형 물질을 제거하는 고형제거부(41);
    관 형태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소스용기(40)에 연결되는 관부(42);
    상기 관부(42)의 타단에 연결되는 노즐부(43);
    상기 노즐부(43)의 측면으로 돌출된 날개 형태를 갖는 노즐날개부(431);
    상기 노즐날개부(431)의 하측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노즐고정부(432);
    상기 노즐고정부(432) 및 상기 노즐날개부(431) 사이에 위치하는 노즐스프링(433);
    상기 노즐날개부(43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노즐스프링(433)의 중심에 위치되는 접점핀(435);
    상기 노즐고정부(432)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접점핀(435)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는 접점단자(434); 및
    상기 노즐부(43)가 하측으로 받는 힘이 증가하면 상기 노즐스프링(433)이 압축되어 상기 접점핀(435)과 접점단자(434)가 서로 접촉되면 소스의 충진 작동을 중단시키도록 상기 충진부를 제어하는 충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식품 포장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제거부는 소스용기(40) 내부의 공간을 상측 및 하측으로 분리시키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필터부를 통과할 수 없는 고형 성분을 상측에 잔류시키고,
    필터부를 통과한 액상 성분 및 작은 입자 성분만이 관부(4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식품 포장기.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면에 포장용 팩이 거치되고 중심에 형성된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테이블부(300);
    상기 회전축(21)과 연결되어 상기 테이블부(300)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테이블부(300)에 거치된 상기 포장용 팩의 입구를 향하도록 투입구가 배치되는 깔때기부(310);
    상기 회전축(21)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테이블부(3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0);
    상기 테이블부(300)에 거치된 상기 포장용 팩이 상기 노즐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구동부(10)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및
    상기 회전축(21)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지하고 과부하에 대한 경고 신호를 구동제어부에 송신하는 과부하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경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10)에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과부하 감지부는,
    상기 회전축(21)에 가해진 부하에 따른 상기 회전축(21)의 변형 정도를 측정하여 과부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식품 포장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감지부는,
    상기 회전축(21)의 외주면의 일 지점으로부터 회전축(21)을 관통하여 타 지점까지 형성되는 광통로(212);
    상기 회전축(21)의 외부로부터 상기 일 지점을 향해 검출광을 입사시키는 입광부(25); 및
    상기 회전축(21)을 기준으로 상기 입광부(25)의 반대쪽에 위치되고, 상기 광통로(212)를 통과하여 상기 타 지점으로 나오는 상기 검출광을 받는 수광부(26);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21)은,
    상기 광통로(212)가 상기 입광부(25) 및 상기 수광부(26)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엇나가도록 고정되며,
    상기 수광부(26)는,
    상기 회전축(21)의 변형에 따라 상기 광통로(212)의 각도가 상기 입광부(25) 및 상기 수광부(26)와 일치되어 상기 검출광이 상기 수광부(26)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경고 신호를 상기 구동제어부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식품 포장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1)은,
    일단에 결합된 구동 기어(2)로부터 회전력을 받고,
    타단에 결합된 고정부(22)를 통해 상기 회전축(21)이 결합된 결합부(3)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입광부(25) 및 상기 수광부(26)는,
    상기 구동 기어(2)와 상기 고정부(22)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식품 포장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1)의 상기 타단에는 고정부(22)가 삽입되는 고정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2)는, 상기 고정홈(211)에 삽입되어 회전축(21)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고정부(22)는,
    상기 수광부(26)에 상기 검출광이 도달하는 경우, 고정홈(2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식품 포장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2)는,
    상기 회전축(21)의 외주면에 대해 수직 방향인 제1 방향(d1)의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고정홈(211)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도록 이동되며,
    타단에는 돌기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221)에는 상기 돌기부(221)를 상기 타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스프링(222)이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22)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부(22)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 막대(23)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 막대(23)는,
    상기 수광부(26)에 상기 검출광이 도달하는 경우 이동되어 상기 고정부(22)에 대한 상기 차단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식품 포장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막대(23)는,
    상기 고정부(22)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인 제2 방향(d2)의 막대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차단 막대(23)의 일 측면에는 홈부(232)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 막대(23)는,
    상기 수광부(26)에 상기 검출광이 도달하는 경우 상기 홈부(232)의 위치가 상기 고정부(22)의 타단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식품 포장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막대(23)의 일단에는 타단 방향을 향해 상기 차단 막대(23)를 가압하는 제2 스프링(234)이 연결되며,
    상기 차단 막대(23)의 타단에는 상기 차단 막대(23)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체(24)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체(24)는, 상기 수광부(26)에 상기 검출광이 도달하는 경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식품 포장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26)에 상기 검출광이 도달하는 경우, 상기 차단체(24)에 열에너지를 가하는 가열부(27)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체(24)는, 상기 가열부(27)에서 공급되는 상기 열에너지에 의해 액상으로 변하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식품 포장기.
KR1020220092796A 2022-07-26 2022-07-26 로타리 식품 포장기 KR102473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796A KR102473520B1 (ko) 2022-07-26 2022-07-26 로타리 식품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796A KR102473520B1 (ko) 2022-07-26 2022-07-26 로타리 식품 포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520B1 true KR102473520B1 (ko) 2022-12-02

Family

ID=8441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796A KR102473520B1 (ko) 2022-07-26 2022-07-26 로타리 식품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5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4604A (ja) * 2008-03-26 2009-10-15 Sd Hachikan:Kk 粘性液状食品の充填用ノズル、充填装置および容器入り粘性液状食品の製造方法。
KR101733282B1 (ko) 2015-04-17 2017-05-08 박화춘 로터리형 자동포장기
KR101965600B1 (ko) * 2018-08-31 2019-04-04 이병규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공정
KR101969734B1 (ko) 2017-07-10 2019-04-17 박화춘 Iot 기반의 로터리형 자동 포장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4604A (ja) * 2008-03-26 2009-10-15 Sd Hachikan:Kk 粘性液状食品の充填用ノズル、充填装置および容器入り粘性液状食品の製造方法。
KR101733282B1 (ko) 2015-04-17 2017-05-08 박화춘 로터리형 자동포장기
KR101969734B1 (ko) 2017-07-10 2019-04-17 박화춘 Iot 기반의 로터리형 자동 포장시스템
KR101965600B1 (ko) * 2018-08-31 2019-04-04 이병규 제조된 소스를 이중으로 포장하는 공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식품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기 위한 자동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식품용 소스의 고형을 제거하여 노즐의 막힘을 방지하는 것이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37720B1 (en) Method for filling a gas canister for a carbonation machine
KR860002105B1 (ko) 회전형 뚜껑 장착장치
KR102004249B1 (ko) 기포 제거와 형성 방지를 위한 액체 시린지 충진기
TWI600490B (zh) 用於各別施放焊接材料堆的設備
KR101759315B1 (ko) 연속 로터리식 충전 포장 기계
KR102473520B1 (ko) 로타리 식품 포장기
US20130312370A1 (en) Welding device, use thereof as a control valve, and metering device
EP2746202B1 (en) A packing apparatus in a sterile environment with a loading and supply system of articles
JP2017509552A (ja) 使い捨てカプセルまたはポッドを形成する容器に抽出または注入飲料用の製品を放出するユニットおよび方法
KR20210030088A (ko) 액상 원료 공급장치
KR101930051B1 (ko) 스파우트 파우치 자동포장기
JP2005534034A (ja) ペースト状製品を計量及び混合するためのモジュール、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935560B1 (ko) 축압식 소화기용 불연성 가스 주입기
KR101516959B1 (ko) 이동식 액상 원료 공급장치
KR100328588B1 (ko)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정량 토출 장치
AU2012228413A1 (en) Device for closing a sample receptacle with a spherical closure element
CN112850627B (zh) 一种灌装管回吸装置及瓶装浆状药液灌装生产线
CN111727408A (zh) 分配喷嘴
CN215626703U (zh) 半流体分装设备筒状包装油脂分装机
CN110268482B (zh) 放射性颗粒分配装置
CN212415493U (zh) 一种脱胶囊装置以及冲泡装置
JPH0717269B2 (ja) 筒状物品の受け渡し装置
KR100874217B1 (ko) 액상 자동포장기
US11992988B2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CN212509543U (zh) 可定期自检的紧急拉断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