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599B1 -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에 의해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에 의해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599B1
KR101965599B1 KR1020160158597A KR20160158597A KR101965599B1 KR 101965599 B1 KR101965599 B1 KR 101965599B1 KR 1020160158597 A KR1020160158597 A KR 1020160158597A KR 20160158597 A KR20160158597 A KR 20160158597A KR 101965599 B1 KR101965599 B1 KR 101965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thyl methacrylate
blend film
polyvinyl alcohol
film
hydrophob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643A (ko
Inventor
염정현
양성백
유성훈
정대원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8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599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2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with solvents, e.g. swell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에 관한 것으로,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이 필름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제1용매에 함침시킨 상태에서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불균일계 비누화하여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으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에 의해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poly(vinyl alcohol)/poly(methyl methacrylate) blend films prepared by the heterogeneous surface saponification of poly(vinyl acetate)/poly(methyl methacrylate) blend films and a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에 관한 것이다.
유기 고분자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고분자를 용매에 용해시켜 얻게 되는 높은 점성의 고분자 용액을 접착성이 없는 넓은 평활한 면에 전개시켜 용매를 휘발시키고 필름을 얻는 용액 캐스팅법, 열과 압력을 이용하여 고분자 물질을 용융 온도 또는 연화 온도 이상으로 가열 및 응용가공하여 필름을 얻는 용융 가공법 등이 있다. 용융 가공법은 필름두께가 매우 정밀하게 조정되지 않아 필름 상에 세선(소위, 다이라인)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광학 기능성 필름과 같은 고품질 필름에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용액 캐스팅법은 용융 가공법보다 양호한 광학 등방성과 두께 균일성을 갖고, 이물질이 적은 필름을 생성할 수 있으며, 실험적으로도 사용방법 및 설치장비가 매우 간단하여 다양한 고분자소재에 대한 무기재료의 함량에 따라 뛰어난 특성을 나타내는 필름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친수성 고분자인 폴리비닐알코올은 타 고분자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점도가 낮으며, 비독성이며 생분해성과 같은 특유의 성질을 가진다. 또한 다른 고분자와의 블렌드(blend) 시 혼화성이 매우 우수하여 의료용 소재, 포장용 소재, 이형 필름, 수용성 필름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소수성 고분자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투명성, 내후성이 탁월하며, 경도, 내약품성, 표면광택, 접착성 등이 우수하며 유리의 대용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다른 플라스틱 소재와 비교하여 내충격성이 낮아 제품의 두께가 증가되고, 용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역시 자체적으로도 훌륭한 특성들을 많이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단점들로 인하여 상기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분자 블렌드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고분자 블렌드는 두 종류 이상의 고분자를 혼합한 것으로 블렌딩에 의한 고분자 물성의 개질공중합방법에 의한 개질에 비해 비용이 훨씬 적게 소요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용성 고분자 블렌드의 경우 성분 고분자들 사이의 물리·화학적 성능의 상승효과에 의해서 고분자 블렌드물의 물리·화학적 성능이 성분 고분자들 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성분고분자들 사이에 강한 분자간 인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대부분의 고분자 블렌드는 비상용성이므로 불균일계 혼합물을 이루게되며 성분 고분자 사이의 낮은 계면접착력은 불균일계 고분자 블렌드의 낮은 기계적 성능을 나타내는 주된 원인이 된다.
친수성 고분자인 폴리비닐알코올과 소수성 고분자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서로 비상용성이므로 두 고분자를 용해시킬 수 있는 단일 용매를 찾기 힘들어 블렌드가 어렵다. 그래서 graft 또는 block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블렌드의 상용성을 증대시키는 상용화제(compatibilizer)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블렌드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친수성 고분자인 폴리비닐알코올과 소수성 고분자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기술에 대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폴리비닐알코올의 전구체인 소수성인 폴리아세트산비닐과 소수성 고분자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블렌드하여 용액 캐스팅법을 사용하여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한 후, 불균일계 비누화 공정을 거쳐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 내 -OCOCH3를 -OH로 전환시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2-289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소수성 고분자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친수성 고분자인 폴리비닐알코올 블렌드를 포함하는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 상에 주름이 형성되어 비표면적이 향상된, 나노사이즈의 굴곡을 가진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양태는,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필름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제1용매에 함침시킨 상태에서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불균일계 비누화하여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으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사이즈의 굴곡을 가진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양태는, 상기 제1양태에 의해 제조된, 나노사이즈 굴곡을 가진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를 용매에 용해시킨 상태에서 바로 비누화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며,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코올을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블렌드하는 것도 아니며,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한 후 필름 형태를 유지한 채로 비누화시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비누화 시 상기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이, 필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폴리아세트산비닐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벌크중합, 용액중합, 유화중합 및 현탁중합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벌크중합은 중합계 내에 단량체만 존재하기 때문에 연쇄이동이 발생할 확률이 다른 중합법에 비해 낮으므로 상대적으로 고분자량의 폴리아세트산비닐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얻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용해시킬 수 있는 제2용매에 용해한 고분자 용액을 성형시킨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아세트산비닐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제2용매에 용해시켜 얻게 되는 높은 점성의 고분자 용액을, 접착성이 없는 넓은 평활한 면에 전개시킨 후 용매를 휘발시켜 필름을 제조하는 용액 캐스팅법(용매 캐스팅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세트산비닐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용해시키는 제2용매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두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벤젠, 톨루엔, 메탄올, 에탄올, o-자이렌, m-자이렌, 트리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에틸렌, 1,4-다이옥산, 사이클로헥사논, 부탄올, 메틸에틸케톤, 펜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폼, 아세톤, 아세토페논,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는 전체 고분자 용액을 기준으로 1 wt.% 내지 50 wt.%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wt.% 내지 20 wt.% 일 수 있다. 1 wt.% 미만의 농도에서는 용액이 너무 묽어서 필름을 형성하기기 쉽지 않고, 50 wt.%를 초과시에는 높은 점도로 인해 필름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세트산비닐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블렌드 비는 0.5:99.5 내지 99.5:0.5(w/w)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0 내지 30:70(w/w)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균일한 블렌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분자 용액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20℃ 내지 35℃의 온도에서, 예컨대 0.5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용액을 방치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2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고분자 용액을 접착성이 없는 평활한 기재 표면에 전개시킨 후 용매를 휘발시킴으로써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용매를 휘발시키기 위하여 진공건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약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예컨대 24시간 내지 60시간 동안 용매를 휘발시킴으로써 편평한 면 상에 놓여진 폴리비닐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폴리비닐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필름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제1용매에 함침시킨 상태에서 폴리비닐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불균일계 비누화하여 -OCOCH3를 -OH로 전환시킴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분산제 및 팽윤제를 포함하는 산 용액 또는 알칼리 용액(제1용매)에 함침시켜 불균일계 비누화에 의해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OCOCH3를 -OH로 전환시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비누화를 위한 산 용액 중 산은 염산, 질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상기 비누화를 위한 알칼리 용액 중 알칼리는 염화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분산제는 황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윤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히드로퓨란(TH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벤젠,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취득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비점이 낮고, 취급의 용이한 메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산 용액은 염산, 질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황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분산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히드로퓨란(TH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벤젠,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팽윤제; 및 물, 바람직하게는 증류수를 혼합하여 용해시킨 제1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알칼리 용액은 염화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 황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분산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히드로퓨란(TH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벤젠,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팽윤제; 및 물, 바람직하게는 증류수를 혼합하여 용해시킨 제1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메탄올; 및 물, 바람직하게는 증류수를 혼합하여 용해시킨 제1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비누화는 10 내지 70℃의 온도에서 10시간 내지 30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40 내지 55℃의 온도에서 20 내지 180시간 동안 비누화할 수 있으며,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45 내지 55℃의 온도에서 60 내지 100시간 동안 비누화할 수 있다. 상기 비누화는 10 내지 7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촉매역할을 하는 팽윤제의 활성화를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비누화되는 시간 조건은 온도 조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비누화도는 60 내지 99.99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누화도”는 비누화에 의해 비닐알코올 단위로 변환되어 얻어지는 단위 중에서 실제로 비닐알코올 단위로 비누화되어 있는 단위의 비율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OCOCH3를 가진 화합물의 몰 수에 대한 -OH로 전환된 화합물의 몰 수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필름 표면 상에 굴곡이 형성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굴곡의 깊이는 10 nm 내지 10 ㎛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은 아직 보고된 바 없는 신규 기술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신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은 표면굴곡을 지닐 뿐만 아니라, 소수성과 친수성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신규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은 소수성 고분자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친수성 고분자인 폴리비닐알코올 블렌드를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고, 이러한 필름은 이식체, 합성섬유, 포장재, 코팅제, 접착제, 편광필름 등에 응용하여 보다 향상된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1은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불균일계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불균일계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비= 5:5 중량비) 블렌드 필름의 FT-IR 분석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에서 사용되는 화합물 중 출발물질과 반응시약은 Aldrich사의 시약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용매는 순수하여 건조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하기 제조예 1 내지 4에서는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클로로폼에 용해된 폴리아세트산비닐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용액의 블렌드 비를 조절하여 다양한 블렌드 비의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 용액 캐스팅법에 의한 폴리아세트산비닐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 (블렌드 비= 9:1) (w/w)
폴리아세트산비닐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 wt.% (9:1)(w/w)를 클로로폼 용매에 넣고 4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제조된 폴리아세트산비닐 용액을 상온에서 한 시간정도 건조시켰다. 나머지 실험 조건은 제조예 1과 동일하였다.
제조예 2: 용액 캐스팅법에 의한 폴리아세트산비닐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 (블렌드 비= 7:3) (w/w)
폴리아세트산비닐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 wt.% (7:3)(w/w)를 클로로폼 용매에 넣고 4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제조된 폴리아세트산비닐 용액을 상온에서 한 시간 정도 건조시켰다. 나머지 실험 조건은 제조예 1과 동일하였다.
제조예 3: 용액 캐스팅법에 의한 폴리아세트산비닐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 (블렌드 비= 5:5) (w/w)
폴리아세트산비닐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 wt.% (5:5)(w/w)를 클로로폼 용매에 넣고 4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제조된 폴리아세트산비닐 용액을 상온에서 한 시간 정도 건조시켰다. 나머지 실험 조건은 제조예 1과 동일하였다.
제조예 4: 용액 캐스팅법에 의한 폴리아세트산비닐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 (블렌드 비= 3:7) (w/w)
폴리아세트산비닐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 wt.% (3:7)(w/w)를 클로로폼 용매에 넣고 4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제조된 폴리아세트산비닐 용액을 상온에서 한 시간 정도 건조시켰다. 나머지 실험 조건은 제조예 1과 동일하였다.
구 분 블랜드 비(w/w) 고분자농도 온도(℃) 증기압 필름생성
PVAc PMMA
제조예 1 9 1 10 wt.% 40 40 cmHg
제조예 2 7 3 10 wt.% 40 40 cmHg
제조예 3 5 5 10 wt.% 40 40 cmHg
제조예 4 3 7 10 wt.% 40 40 cmHg
하기 실시예 1 내지 12에서는 제조예에서 제조한 폴리아세트산비닐 필름을 비누화하여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제조예에서 제조한 폴리아세트산비닐 필름을 알칼리 용액을 이용하여 비누화 공정을 한 필름을 증류수에 넣어 다시 교반시킨 다음, 상온에 건조시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폴리비닐아세트산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를 통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
용액 캐스팅법을 사용해 제조된 제조예 1의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9:1)의 비누화 공정을 위해 증류수(100mL), NaOH(10g), Na2SO4(10g)을 부드럽게 교반시켜 제조하였다. 제조된 알칼리 용액에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1g)을 넣고 50℃에서 24시간 동안 비누화 반응을 실시하였다. 비누화 반응 후 필름을 여러번 증류수로 세척을 실시하였고, 세척된 필름을 12시간 동안 상온에서 건조시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하기 실시예 2 내지 12에서는 표 2에 따라 비누화 조건을 달리하여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비닐아세트산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를 통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
제조된 알칼리 용액에 제조예 1의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9:1)을 넣고 50℃에서 48시간 동안 비누화 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비닐아세트산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를 통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
제조된 알칼리 용액에 제조예 1의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9:1)을 넣고 50℃에서 72시간 동안 비누화 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폴리비닐아세트산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를 통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
제조된 알칼리 용액에 제조예 2의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7:3)을 넣고 50℃에서 24시간 동안 비누화 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폴리비닐아세트산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를 통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
제조된 알칼리 용액에 제조예 2의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7:3)을 넣고 50℃에서 48시간 동안 비누화 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폴리비닐아세트산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를 통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
제조된 알칼리 용액에 제조예 2의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7:3)을 넣고 50℃에서 72시간 동안 비누화 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폴리비닐아세트산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를 통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
제조된 알칼리 용액에 제조예 3의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5:5)을 넣고 50℃에서 24시간 동안 비누화 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폴리비닐아세트산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를 통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
제조된 알칼리 용액에 제조예 3의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5:5)을 넣고 50℃에서 48시간 동안 비누화 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폴리비닐아세트산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를 통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
제조된 알칼리 용액에 제조예 3의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5:5)을 넣고 50℃에서 72시간 동안 비누화 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폴리비닐아세트산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를 통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
제조된 알칼리 용액에 제조예 4의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3:7)을 넣고 50℃에서 24시간 동안 비누화 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폴리비닐아세트산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를 통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
제조된 알칼리 용액에 제조예 4의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3:7)을 넣고 50℃에서 48시간 동안 비누화 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폴리비닐아세트산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를 통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
제조된 알칼리 용액에 제조예 4의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3:7)을 넣고 50℃에서 72시간 동안 비누화 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누화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2의 실험 조건 및 결과를 정리하여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누화 반응시간 블랜드 비(w/w) 온도(℃) 비누화 용액(중량비)
(NaOH:Na2SO4:MeOH:H2O)
PVAc PMMA
실시예 1 24시간 9 1 50 10:10:10:100
실시예 2 48시간 9 1 50 10:10:10:100
실시예 3 72시간 9 1 50 10:10:10:100
실시예 4 24시간 7 3 50 10:10:10:100
실시예 5 48시간 7 3 50 10:10:10:100
실시예 6 72시간 7 3 50 10:10:10:100
실시예 7 24시간 5 5 50 10:10:10:100
실시예 8 48시간 5 5 50 10:10:10:100
실시예 9 72시간 5 5 50 10:10:10:100
실시예 10 24시간 3 7 50 10:10:10:100
실시예 11 48시간 3 7 50 10:10:10:100
실시예 12 72시간 3 7 50 10:10:10:100

Claims (12)

  1. 친수성 폴리비닐알코올/ 소수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소수성 폴리아세트산비닐/소수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을, 필름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제1용매에 함침시킨 상태에서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을 불균일계 비누화하여 폴리아세트산비닐의 -OCOCH3를 -OH로 전환시켜 친수성 폴리비닐알코올/ 소수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으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사이즈의 굴곡을 가진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제조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용해시킬 수 있는 제2용매에 용해한 고분자 용액을 성형시킨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친수성 폴리비닐알코올/ 소수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는 전체 고분자 용액을 기준으로 1 wt.% 내지 50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폴리비닐알코올/ 소수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균일계 비누화는 분산제 및 팽윤제를 포함하는 알칼리 용액인 제1용매에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을 함침시켜 불균일계 비누화를 수행하는 것인, 친수성 폴리비닐알코올/ 소수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세트산비닐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블렌드 비는 0.5:99.5 내지 99.5:0.5 (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폴리비닐알코올/ 소수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매는 벤젠, 톨루엔, 메탄올, 에탄올, o-자이렌, m-자이렌, 트리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에틸렌, 1,4-다이옥산, 사이클로헥사논, 부탄올, 메틸에틸케톤, 펜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폼, 아세톤, 아세토페논,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친수성 폴리비닐알코올/ 소수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황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폴리비닐알코올/ 소수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팽윤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히드로퓨란 (TH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벤젠,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폴리비닐알코올/ 소수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화는 10℃ 내지 70℃의 온도 범위에서 10시간 내지 30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폴리비닐알코올/ 소수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매는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메탄올; 및 증류수를 혼합하여 용해시킨 알칼리 용액인 것인, 친수성 폴리비닐알코올/ 소수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으로,
    소수성 폴리아세트산비닐/소수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을, 필름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용매에 함침시킨 상태에서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을 불균일계 비누화하여 폴리아세트산비닐의 -OCOCH3를 -OH로 전환시켜 친수성 폴리비닐알코올/ 소수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나노사이즈 굴곡을 가진 친수성 폴리비닐알코올/ 소수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사이즈의 굴곡은 10 nm 내지 10 ㎛의 깊이를 갖는 것인, 친수성 폴리비닐알코올/ 소수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균일계 고분자 블렌드 필름.

KR1020160158597A 2016-11-25 2016-11-25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에 의해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65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597A KR101965599B1 (ko) 2016-11-25 2016-11-25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에 의해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597A KR101965599B1 (ko) 2016-11-25 2016-11-25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에 의해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643A KR20180059643A (ko) 2018-06-05
KR101965599B1 true KR101965599B1 (ko) 2019-04-05

Family

ID=6263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597A KR101965599B1 (ko) 2016-11-25 2016-11-25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에 의해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5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249A (ko) * 2022-01-28 2023-08-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va 포함 기능성 고분자 구조체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pva 포함 기능성 고분자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4295A (ja) 2003-12-26 2005-07-21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水溶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77911B1 (ko) * 2014-10-23 2015-12-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아세트산비닐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에 의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4386B2 (ja) 2000-05-02 2004-03-31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重合体フィルムとその製造法
KR100440601B1 (ko) * 2001-02-23 2004-07-15 학교법인 영남학원 폴리아세트산비닐의 비누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미세구형 입자상 폴리비닐알코올
WO2016137292A1 (ko) * 2015-02-27 2016-09-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아세트산비닐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에 의한 기능성 추출물 함유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4295A (ja) 2003-12-26 2005-07-21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水溶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77911B1 (ko) * 2014-10-23 2015-12-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아세트산비닐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에 의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 M. Ahmed, ‘Study on Different Solution-Cast Films of PMMA and PVAc’, International Journal of Polymeric Materials, 57:969-978 (20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643A (ko)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9778B2 (en) Production of poly alpha-1,3-glucan films
TWI285211B (en)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s
KR101711224B1 (ko) 폴리락트산-포함 수지 조성물 및 필름
CN105195031A (zh) 一种水凝胶改性聚合物分离膜的制备方法
JP5589354B2 (ja) セルロース繊維、成形体および表示素子用基板
TW201241077A (en) Polyoxyalkylene modified vinyl acetal polymer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JP2015034262A (ja) 変性ビニルアルコール系重合体
KR101965599B1 (ko) 폴리아세트산비닐/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에 의해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블렌드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77911B1 (ko) 폴리아세트산비닐 필름의 불균일계 비누화에 의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제조방법
JP6297984B2 (ja) 光学フィルム
KR101861038B1 (ko) 폴리비닐알코올/아크릴계 중합체 블렌드 섬유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되는 블렌드 섬유 및 섬유제품
US3409598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water soluble polyvinyl alcohol film
KR20150109479A (ko) 수용성 고 교대 배열 폴리비닐 알코올
JPH10245442A (ja)
EP0421296B1 (en) Polyvinyl ester macromonomer and its uses
JPH03203932A (ja) 水溶性ビニルアルコール系重合体の溶融成形方法
JPH11140120A (ja) 膜の製造方法
CN113736196B (zh) 一种利用mma原位聚合改性纳米碳酸钙的制备方法及应用
KR20190007191A (ko)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KR100665090B1 (ko) 폐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필름
JP3133257B2 (ja) 変性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可塑化塩化ビニル系樹脂成形品用被覆組成物
KR20230116312A (ko) Pva 포함 고분자 구조체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pva 포함 고분자 구조체
WO2022270446A1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樹脂、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樹脂の製造方法及び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の製造方法
TW202239781A (zh) 改質乙烯醇系聚合物、改質乙烯醇系聚合物之製造方法、粒子、水溶液、塗覆液、塗覆物、成形體、剝離紙、分散劑、乙烯系聚合物之製造方法、及混合物
CN113583368A (zh) 一种改性淀粉pva基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