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490B1 - 떨림방지 컵 - Google Patents

떨림방지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490B1
KR101965490B1 KR1020170076148A KR20170076148A KR101965490B1 KR 101965490 B1 KR101965490 B1 KR 101965490B1 KR 1020170076148 A KR1020170076148 A KR 1020170076148A KR 20170076148 A KR20170076148 A KR 20170076148A KR 101965490 B1 KR101965490 B1 KR 101965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andle
damping device
vibration damp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6839A (ko
Inventor
박수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6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49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55Details relat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liquid containing part and the supporting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0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method or circui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 떨림방지 컵은 진동감쇠장치(300)가 컵(100)과 손잡이부(200)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부(200)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떨려도 진동감쇠장치(300)를 거치며 컵(100)에 전달되는 진동이 감쇠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 떨림방지 컵은 컵과 손잡이부의 결합에 진동감쇠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진동감쇠장치에 의해 손잡이부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수전증 등에 의해 떨려도 컵에 전달되는 진동이 감쇠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떨림방지 컵 { hand tremor damping cup }
본 발명은 떨림방지 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컵과 손잡이부를 결합에 진동감쇠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진동감쇠장치에 의해 손잡이부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수전증 등에 의해 떨려도 컵에 전달되는 진동이 감쇠되는 떨림방지 컵에 관한 것이다.
고령자들은 흔히 손떨림 현상이 발생하며, 손떨림 현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한다.
특히, 음식을 섭취할 때 손떨림 현상으로 인해 음식물을 흘리게 되며, 불편함과 동시에 사회생활에 지장을 주게 된다.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진동감쇠장치가 사용되는 실정이며, 진동감쇠장치는 사용되는 구성에 따라 사용되는 형상, 물질, 방법 등이 달라진다.
진동감쇠장치를 사용하는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76028호의 진동감쇠장치가 장착된 면진배전반에는,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면에 상방향으로 개방된 안착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전기설비가 장착된 배전반본체와; 상기 배전반본체의 하면에 설치된 턴테이블과; 상면이 상기 턴테이블의 하면에 결합되고, 하면이 상기 승강부재의 상면과 대면하여 상기 승강부재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과 승강부재와 수평이동부재는 산화알루미늄(Al2O3)층이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에는 직경이 수소보다 크고 산소보다 작은 다수개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공의 내부에는 수소가 충진되어 있고, 상기 기공의 내부에 충진된 수소는 상기 기공의 입구로 산소를 끌어당겨 상기 산화알루미늄층의 표면에 산소층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승강부재의 상대적인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배전반본체에 상하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을 감쇠시키고,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상대적인 수평이동에 의해 상기 배전반본체에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을 감쇠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과 상기 승강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상기 산소층에 의해 비접촉하고, 상기 승강부재의 상면과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하면은, 상기 승강부재의 상면과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상기 산소층에 의해 비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쇠장치가 장착된 면진배전반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진동감쇠장치를 사용하는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84967호의 광디스크플레이어의데크플레이트진동감쇠장치에는, 기기본체 내에 회동가능하게 회동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상부에는 턴테이블과 픽업을 갖는 데크플레이트가 설치된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데크플레이트 사이의 각 코너부에 하부피에조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상부면 각 코너부에는 상단이 데크플레이트의 상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지지편을 고정하며, 상기 데크플레이트와 각 지지편 사이에는 상부피에조 스프링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데크플레이트가 진동력을 받을 때 이 진동력에 대응되는 정격전압을 상기 각 피에조 스프링이 받으면서 인장되거나 압축됨에 따라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진동력이 흡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플레이트 진동감쇠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사용자가 들고 있는 컵에 사용자의 손 등의 흔들림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 떨림방지 컵을 통하여, 컵과 손잡이부를 결합에 진동감쇠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진동감쇠장치에 의해 손잡이부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수전증 등에 의해 떨려도 컵에 전달되는 진동이 감쇠되는 떨림방지 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 떨림방지 컵은 진동감쇠장치(300)가 컵(100)과 손잡이부(200)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부(200)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떨려도 진동감쇠장치(300)를 거치며 컵(100)에 전달되는 진동이 감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떨림방지 컵은 컵과 손잡이부의 결합에 진동감쇠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진동감쇠장치에 의해 손잡이부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수전증 등에 의해 떨려도 컵에 전달되는 진동이 감쇠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떨림방지 컵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떨림방지 컵의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부가 형성된 떨림방지 컵의 실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형 손잡이부가 형성된 떨림방지 컵의 실시도
본 발명 떨림방지 컵(10)은 컵(100)과, 상기 컵(100)에 결합되는 진동감쇠장치(300)와, 상기 진동감쇠장치(300)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00)로 구성되어 손을 떠는 사용자가 컵(100)의 손잡이부(200)를 잡고 사용할 시 진동감쇠장치(300)가 컵(100)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0)에는 진동감쇠장치(300)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진동감쇠장치(300)는 사용자의 손떨림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303)와, 모터(301)와, 제어부(302)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터(301)에는 컵(100)이 결합되어 모터(301)의 작동에 의해 컵(100)의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컵(100)의 외면에는 진동감쇠장치(300)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진동감쇠장치(300)의 타단에는 손잡이부(200)가 결합되어, 상기 컵(100), 진동감쇠장치(300) 및 손잡이부(20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컵(100)과 진동감쇠장치(300) 사이에는 컵(10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링 형상의 컵고정부(400)가 설치되며, 상기 진동감쇠장치(300) 외면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00)도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감쇠장치(300)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떨림방지 컵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떨림방지 컵의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부가 형성된 떨림방지 컵의 실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형 손잡이부가 형성된 떨림방지 컵의 실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본 발명 떨림방지 컵(10)은 진동감쇠장치(300)가 컵(100)과 손잡이부(200)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부(200)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떨려도 진동감쇠장치(300)를 거치며 컵(100)에 전달되는 진동이 감쇠되는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손잡이부(200)에는 진동감쇠장치(300)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진동감쇠장치(300)는 사용자의 손떨림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303)와, 모터(301)와, 제어부(302)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터(301)에는 컵(100)이 결합되어 모터(301)의 작동에 의해 컵(100)의 방향이 전환되는 것이며, 상기 동작감지센서(303)의 신호를 제어부(302)가 받고, 상기 제어부(302)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을 판단하여 반대방향으로 모터(301)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모터(301)에 결합된 컵(100)이 사용자가 손을 이동하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임이는 것으로, 상기 컵(100)에 전달되는 떨림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모터(301)에 결합된 컵(100)이 손잡이부(200)에 닿지 않도록, 상기 모터(301)는 손잡이부(200)의 입구로부터 일부 돌출되어 설치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컵(100)과 손잡이부(200)는 일체형이거나, 또는 분리형인 것으로, 상기 손잡이부(200)는 진동감쇠장치(300)로 인해 컵(100)과 일체로 결합된 일체형 손잡이부와; 진동감쇠장치(300)와 컵고정부(40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컵고정부(400)에 컵(100)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분리형 손잡이부; 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컵(100)은 관통홀에 삽입되었을 시,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상부의 둘레가 더 긴 것이다.
상기 일체형 손잡이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손잡이부(200)는 진동감쇠장치(300)로 인해 컵(100)과 일체로 결합된 일체형 손잡이부인 것으로, 상기 진동감쇠장치(300)는 컵(100)과 손잡이부(200) 사이에 위치한 것이다.
특히, 상기 일체형 손잡이부는 'ㄷ'자 형상이 되며, 양 끝단에는 진동감쇠장치(300)의 일단이 결합되고 진동감쇠장치(300)의 타단에는 컵(100)이 결합된 것이다
그리고 진동감쇠장치(300)는 다수 개의 코일스프링인 것으로, 각각의 코일스프링의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성질과, 원래의 길이로 돌아가려는 탄성에 의해 손잡이부(200)에서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진동감쇠장치(300)에 의해 컵(100)에 전해지는 흔들림이 감쇠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200)는 진동감쇠장치(300)로 인해 컵(100)과 일체로 결합된 일체형 손잡이부인 것으로,
상기 일체형 손잡이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손잡이부(200)는 진동감쇠장치(300)로 인해 컵(100)과 일체로 결합된 일체형 손잡이부인 것으로, 상기 손잡이부(200)는 컵(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링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에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감쇠장치(300)는 다수 개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코일스프링은 일단이 컵(100)에 결합되며, 타단이 손잡이부(200)에 결합된 것으로, 즉, 상기 진동감쇠장치(300)는 컵(100)과 손잡이부(200) 사이에 위치한 것이다.
특히, 상기 손잡이부(200)에 형성된 몸체의 관통홀에는 컵(100)이 삽입될 수 있으며, 몸체의 내주면에는 각각의 코일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고리가 코일스프링의 수만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100)의 외주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고리가 코일스프링의 수만큼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각각의 코일스프링은 일단을 컵(100)의 고리 중 하나에 삽입하며, 타단을 손잡이부(200)의 고리 중 하나에 삽입하여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코일스프링의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성질과, 원래의 길이로 돌아가려는 탄성에 의해 손잡이에서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진동감쇠장치(300)에 의해 컵(100)에 전해지는 흔들림이 감쇠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코일스프링과, 컵(100)에 형성된 고리와, 손잡이부(200)에 형성된 고리는 각각 4개 인 것이며, 상기 컵(100)은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컵(100)의 전,후,좌,우로 각각 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200)의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전,후,좌,우로 각각 고리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컵(100)은 손잡이부(200) 몸체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4개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결합되되, 컵(100)의 전방의 고리와 손잡이부(200)의 내부면 전방에 형성된 고리에 제1코일스프링이 결합되며, 컵(100)의 후방의 고리와 손잡이부(200)의 내부면 후방에 형성된 고리에 제2코일스프링이 결합되며, 컵(100)의 좌측방향의 고리와 손잡이부(200)의 내부면 좌측방향에 형성된 고리에 제3코일스프링이 결합되며, 컵(100)의 우측방향의 고리와 손잡이부(200)의 내부면 우측에 형성된 고리에 제4코일스프링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00)를 사용자가 잡은 상태에서 일 방향(예를들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먼저 해당 방향에 있는 코일스프링(제4코일스프링)이 늘어나게되며, 반대 방향에 있는 코일스프링(제3코일스프링)이 줄어들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성에 의해 두 개의 코일스프링이 원래 크기로 돌아옴에 따라 4개의 코일스프링에 결합된 컵(100)이 손잡이부(200)가 이동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우측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특히,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에는 좌,우이동, 또는 전,후이동이 짧은 시간내에 일어나게 되는데,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코일스프링이 늘어나고 줄어드는 시간에서 탄성이 발생하여 코일스프링이 원래상태로 돌아가는 시간까지의 시간동안, 다시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시 코일스프링의 크기가 반대로 변경됨에 따라, 컵(100)의 이동범위가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손잡이에서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진동감쇠장치(300)에 의해 컵(100)에 전해지는 흔들림이 감쇠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리형 손잡이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손잡이부(200)는 컵(10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링형상의 컵고정부(400)와; 손잡이; 로 이루어지되, 상기 컵고정부(400)와 손잡이는 진동감쇠장치(300)로 인해 연결되어 일체로 결합된 분리형 손잡이부인 것으로, 상기 분리형 손잡이부의 컵고정부(400)에 컵(100)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는 상하로 관통된 링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에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수직단면이 'ㄱ'형상인 돌출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컵고정부(400)는 상하로 관통되되, 손잡이부(200)의 몸체의 내주연 보다 작은 링형상인 것으로, 상기 컵고정부(400)를 손잡이부(200)의 몸체의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컵고정부(400)의 관통홀에는 컵(10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진동감쇠장치(300)는 다수 개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코일스프링은 일단이 컵고정부(400)에 결합되며, 타단이 손잡이부(200)의 몸체에 결합된다.
특히, 상기 손잡이부(200)에 형성된 몸체의 관통홀에는 컵고정부(400)이 삽입될 수 있으며, 몸체의 내주면에는 각각의 코일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고리가 코일스프링의 수만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고정부(400)의 외주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고리가 코일스프링의 수만큼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각각의 코일스프링은 일단을 컵고정부(400)의 고리 중 하나에 삽입하며, 타단을 손잡이부(200)의 고리 중 하나에 삽입하여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코일스프링의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성질과, 원래의 길이로 돌아가려는 탄성에 의해 손잡이에서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진동감쇠장치(300)에 의해 컵고정부(400)에 삽입하여 고정된 컵(100)에 전해지는 흔들림이 감쇠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떨림방지 컵은 컵과 손잡이부의 결합에 진동감쇠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진동감쇠장치에 의해 손잡이부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수전증 등에 의해 떨려도 컵에 전달되는 진동이 감쇠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떨림방지 컵
100 : 컵 200 : 손잡이부 300 : 진동감쇠장치
301 : 모터 302 : 제어부 303 : 동작감지센서
400 : 컵고정부

Claims (4)

  1. 컵(100)과, 상기 컵(100)에 결합되는 진동감쇠장치(300)와, 상기 진동감쇠장치(300)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00)로 구성되어 손을 떠는 사용자가 컵(100)의 손잡이부(200)를 잡고 사용할 시 진동감쇠장치(300)가 컵(100)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떨림방지 컵에 있어서,
    상기 컵(100)의 외면에는 진동감쇠장치(300)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진동감쇠장치(300)의 타단에는 손잡이부(200)가 결합되어, 상기 컵(100), 진동감쇠장치(300) 및 손잡이부(20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컵(100)과 진동감쇠장치(300) 사이에는 컵(10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링 형상의 컵고정부(400)가 설치되며, 상기 진동감쇠장치(300) 외면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00)도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컵(100)과 손잡이부(200)는 분리형 손잡이부인 것으로, 상기 손잡이부(200)는 컵(10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링형상의 컵고정부(400)와; 손잡이; 로 이루어지되, 상기 컵고정부(400)와 손잡이는 진동감쇠장치(300)로 인해 연결되어 일체로 결합된 분리형 손잡이부인 것으로, 상기 분리형 손잡이부의 컵고정부(400)에 컵(100)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손잡이는 상하로 관통된 링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에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수직단면이 'ㄱ'형상인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컵고정부(400)는 상하로 관통되되, 손잡이부(200)의 몸체의 내주연 보다 작은 링형상인 것으로, 상기 컵고정부(400)를 손잡이부(200)의 몸체의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컵고정부(400)의 관통홀에는 컵(10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진동감쇠장치(300)는 다수 개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코일스프링은 일단이 컵고정부(400)에 결합되며, 타단이 손잡이부(200)의 몸체에 결합되되,
    상기 손잡이부(200)에 형성된 몸체의 관통홀에는 컵고정부(400)이 삽입될 수 있으며, 몸체의 내주면에는 각각의 코일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고리가 코일스프링의 수만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고정부(400)의 외주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고리가 코일스프링의 수만큼 형성되어 있되, 각각의 코일스프링은 일단을 컵고정부(400)의 고리 중 하나에 삽입하며, 타단을 손잡이부(200)의 고리 중 하나에 삽입하여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손잡이부(200)를 사용자가 잡은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먼저 해당 방향에 있는 코일스프링이 늘어나게되며, 반대 방향에 있는 코일스프링이 줄어들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성에 의해 두 개의 코일스프링이 원래 크기로 돌아옴에 따라 다수 개의 코일스프링에 결합된 컵(100)이 손잡이부(200)가 이동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손잡이부(200)의 손잡이에서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에는 좌,우이동, 또는 전,후이동이 짧은 시간내에 일어나게 되는데,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코일스프링이 늘어나고 줄어드는 시간에서 탄성이 발생하여 코일스프링이 원래상태로 돌아가는 시간까지의 시간동안, 다시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시 코일스프링의 크기가 반대로 변경됨에 따라, 컵(100)의 이동범위가 줄어들게되는 것으로, 코일스프링의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성질과, 원래의 길이로 돌아가려는 탄성에 의해 손잡이에서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진동감쇠장치(300)에 의해 컵고정부(400)에 삽입하여 고정된 컵(100)에 전해지는 흔들림이 감쇠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컵(100)과 손잡이부(200)의 결합에 진동감쇠장치(300)를 사용함에 따라, 진동감쇠장치(300)에 의해 손잡이부(20)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떨려도 컵(10)에 전달되는 진동이 감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떨림방지 컵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76148A 2017-06-15 2017-06-15 떨림방지 컵 KR101965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148A KR101965490B1 (ko) 2017-06-15 2017-06-15 떨림방지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148A KR101965490B1 (ko) 2017-06-15 2017-06-15 떨림방지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839A KR20180136839A (ko) 2018-12-26
KR101965490B1 true KR101965490B1 (ko) 2019-08-07

Family

ID=6500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148A KR101965490B1 (ko) 2017-06-15 2017-06-15 떨림방지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4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019A (ja) * 1998-09-30 2000-04-18 Hiroshi Inoue 免震機能付き骨壷容器
KR200303324Y1 (ko) * 2002-06-24 2003-02-07 장주영 절첩식 종이컵 홀더
KR101659554B1 (ko) * 2015-10-20 2016-09-26 김태준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1420A (ko) * 2012-03-05 2013-09-13 박한솔 흔들림 없는 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019A (ja) * 1998-09-30 2000-04-18 Hiroshi Inoue 免震機能付き骨壷容器
KR200303324Y1 (ko) * 2002-06-24 2003-02-07 장주영 절첩식 종이컵 홀더
KR101659554B1 (ko) * 2015-10-20 2016-09-26 김태준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839A (ko) 201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7129B2 (en) Vibration motor
EP3207969B1 (en) Game table for spinning top
KR101693462B1 (ko) 카메라 모듈
US20120002832A1 (en) Dynamic microphone
KR101965490B1 (ko) 떨림방지 컵
JP6028172B2 (ja) 遊技機用押しボタン装置
KR101954520B1 (ko) 떨림방지 젓가락
JP4454590B2 (ja) ボールキャスタ
CN106964151B (zh) 游戏手柄
US20020105126A1 (en) Dual hemisphere elastomer mount
JP3206384U (ja) 制振免震ユニット用転動部材
KR101947642B1 (ko) 세탁기의 진동저감용 연속적 댐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WO2000063919A8 (en) Inertia ring for improved rotational vibration performance
JP2007177947A5 (ko)
JP2017174856A (ja) 変圧器の転倒防止装置
JP2011127384A (ja) 免震装置
KR101163611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WO2006109609A1 (ja) 加速度センサおよび加速度センサ装置
KR101460108B1 (ko) 비접촉식 가동 코일형 구조의 능동 진동 감소 장치 및 능동 진도 감소 방법
JPH05332399A (ja) 防振構造
WO2024060158A1 (zh) 一种增稳装置的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存储介质
JP3213973U (ja) おりんセット
JPH0132240Y2 (ko)
CN207059847U (zh) 一种汽车副仪表板扶手缓冲限位结构
JP3029313U (ja) 振動検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