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554B1 -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 Google Patents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554B1
KR101659554B1 KR1020150145889A KR20150145889A KR101659554B1 KR 101659554 B1 KR101659554 B1 KR 101659554B1 KR 1020150145889 A KR1020150145889 A KR 1020150145889A KR 20150145889 A KR20150145889 A KR 20150145889A KR 101659554 B1 KR101659554 B1 KR 101659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poon
rotating
measu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용
Original Assignee
김태준
고동현
김상철
변재준
이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준, 고동현, 김상철, 변재준, 이정훈 filed Critical 김태준
Priority to KR1020150145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 A47G2200/046For person with a handicap of holding or grasping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은 음식을 담기 위한 오목한 형태의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는 측정수단과, 상기 머리부를 롤(roll), 피치(pitch) 축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구동신호를 상기 회전수단으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측정수단 및 회전수단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spoon having horizontal maintenance function}
본 발명은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푼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를 보상해주는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회전 숟가락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회전 숟가락은‘Lift Labs’에서 나온‘LiftWare spoon’으로서,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움직임을 읽고 장치 내 모터를 작동, 움직임을 상쇄하는 ‘진동상쇄’의 기술이 적용된다. 이는 수저 끝 부위의 떨림을 최소화한다.
종래의 기술은 진동상쇄의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떨리거나, 팔이 흔들리더라도 음식물의 흘림 등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의 대상은 파킨슨병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단순 손 떨림을 방지하기 위한 제품으로써, 손잡이 부의 움직임의 범위가 일반 숟가락을 사용하는 경우와 다르지 않다. 예를 들어, 음식물이 있는 상태에서 숟가락을 세울 경우 음식물이 그대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제품을 사용하는 대상이 숟가락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는 손 떨림 환자에만 국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은 손잡이의 손목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다는 제한이 있어 다른 축으로의 기울기를 변경할 경우 음식물에 대한 정확한 제어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경우에 따른 머리부의 고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음식물을 숟가락으로 뜰 경우 머리부의 회전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식사가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파지한 스푼의 다양한 방향에 대한 흔들림이나 움직임 등을 감지하고 이를 자동으로 보상해줌으로써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01460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식사도중 사용자의 손이 흔들리더라도 스푼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평기능을 갖는 스푼은 음식을 담기 위한 오목한 형태의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는 측정수단과, 상기 머리부를 롤(roll), 피치(pitch) 축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구동신호를 상기 회전수단으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측정수단 및 회전수단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머리부와 몸체부는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머리부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수단은, 상기 몸체부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각속도센서와 상기 몸체부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머리부를 롤(roll)축으로 회전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머리부를 피치(pitch)축으로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외부전원을 통해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기능을 갖는 스푼은 측정수단과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측정수단을 통해 스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회전수단에서 이를 실시간으로 보상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사도중 사용자의 손이 흔들리더라도 스푼의 머리부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식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동상쇄 기능을 갖는 스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이 롤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이 피치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의 머리부와 몸체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은 머리부(110), 몸체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20)에는 측정수단(200), 회전수단(300), 제어부(400), 배터리(500)가 내장된다.
머리부(110)는 스푼의 선단에 형성되고, 오목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취식할 음식을 담는다. 이러한 머리부(110)는 필요에 따라 스푼 형상뿐 아니라 포크(fork)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20)는 상기 머리부(110)의 후단에 연결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머리부(110)는 몸체부(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롤(roll), 피치(pitch) 축을 중심으로 360ㅀ회전이 가능하다. 이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20)는 그립감 향상을 위해 표면에 파지홈이 형성되거나, 미끄럼 방지를 위해 표면이 실리콘 등과 같이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몸체부(120)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부(120)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는 측정수단(200)과, 상기 머리부(110)를 롤(roll), 피치(pitch) 축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수단(300)과, 상기 측정수단(200)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구동신호를 상기 회전수단(300)으로 출력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측정수단(200) 및 회전수단(300)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0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측정수단(200)은 몸체부(120)의 롤(roll)축과, 피치(pitch) 축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는 각종 센서를 포함하여 몸체부(120)에 내장된다. 일례로, 측정수단(200)은 몸체부(120)의 롤(roll)축과, 피치(pitch) 축의 회전 움직임에 대해 각속도 및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측정된 각속도 및 가속도는 추후, 제어부(400)를 통해서 회전수단(300)으로 피드백될 수 있다.
회전수단(300)은 상기 측정수단(200)에서 측정된 각속도 및 가속도와 대응되게 구동하면서 몸체부(120)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더라도, 머리부(110)는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머리부(110)를 몸체부(120)의 회전 움직임과 반대되게 회전시킨다.
이러한 측정수단(200)과 회전수단(300)의 피드백을 위해 제어부(400)가 형성된다. 제어부(400)는 측정수단(200)에서 측정된 몸체부(120)의 기울어짐이나 흔들림 등의 회전움직임에 기반한 롤(roll)축과, 피치(pitch) 축의 각속도와 가속도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구동신호를 상기 회전수단(300)으로 출력하여 회전수단(300)이 머리부(110)를 몸체부(120)와 반대되게 회전시켜 머리부(11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수단(200)에서 몸체부(120)가 롤(roll)축으로 ∠α만큼 δ㎨의 속도로 회전하고, 피치(pitch)축을 중심으로 ∠β만큼 회전 θ㎨의 속도로 회전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400)에서는 머리부(110)가 몸체부(120)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수단(300)이 롤(roll)축으로 ∠-α만큼 δ㎨의 속도로 회전하고, 피치(pitch)축을 중심으로 ∠-β만큼 θ㎨의 속도로 회전하도록 실시간으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회전수단(300)은 제어부(400)에서 출력된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롤(roll)축으로 ∠-α만큼 δ㎨의 속도로 회전하고, 피치(pitch)축을 중심으로 ∠-β만큼 θ㎨의 속도로 회전하여 머리부(110)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에서 제어부(400)는 아두이노(arduino)를 포함할 수 있다. 아두이노(arduino)는 오픈 소스를 지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내장한 기기 제어용 기판으로서, 상기 측정수단(200)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회전수단(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아두이노(arduino)를 이용한 스푼의 수평유지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푼의 몸체부(120)가 기울어질 때 몸체부(120)에 내장된 측정수단(200)이 이를 감지하고, 아두이노(arduino)로 감지된 기울기값을 신호의 형태로 전송한다. 그 신호는 아두이노에 내장된 ADC를 통해 디지털값으로 변환되고, 보상필터를 거치면서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후, 아두이노(arduino)에서 머리부(110)의 수평값으로 설정된 초기값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만큼 회전수단(300)으로 구동신호를 보내게 된다. 구동신호를 받은 회전수단(300) 구동신호를 통해 작동하며 머리부(110)가 사용자가 지정한 초기값의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제어를 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머리부(110)는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은 머리부(110)와 몸체부(120)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의 머리부와 몸체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머리부(110)의 후단에는 체결돌기(11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20)의 선단에는 상기 머리부(110)의 체결돌기(111)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체결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머리부(110)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머리부(110')는 포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머리부(110, 110')를 선택해서 몸체부(120)에 바꿔 끼울 수 있다. 또한, 머리부(110)의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이며, 남녀노소 구분없이 다양한 사용자가 머리부(110)만 교체해가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110)와 몸체부(120)의 연결구조는 상기 머리부(110)의 탈착이 용이하면서, 몸체부(120)에 연결된 머리부(110)의 롤(roll)축, 피치(pitch)축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머리부(110)와 몸체부(120)는 자기력 또는 전자기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머리부(110)의 체결돌기(111)에 탈착구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120)의 체결홈(121)에는 탄성에 의해 출몰하면서 상기 탈착구에 끼워지는 탈착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체결돌기(111)가 체결홈(121)에 끼워지면 탈착돌기가 탈착홈에 끼워지면서 머리부(110)가 몸체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머리부(110)와 몸체부(120)는 스프링핀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머리부(110)와 몸체부(120)의 체결구조는 다른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은 상기 몸체부(120)에 상기 머리부(110)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버튼(600)이 형성될 수 있다.
스푼을 이용하여 그릇에 담긴 음식물을 뜨게 되는 경우 머리부(110)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머리부(110)의 움직임을 일시정지시키도록 몸체부(120)에 고정버튼(600)을 형성한다. 고정버튼(600)을 누르면 그 신호가 제어부(400)로 전달되어 회전수단(300)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은 물론, 제어부(400)에 고정버튼(600)이 눌러진 상태의 기울기값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초기 기울기 값은 제어부(400)로 전달된 현재 기울기값으로 재설정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다시 고정버튼(600)에서 손을 떼면 제어부(400)는 머리부(11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수단(300)으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측정수단(200)은 재설정된 기울기값을 기준으로 현재 기울기를 측정하고, 제어부(400)는 머리부(110)가 재설정된 기울기 값을 유지하도록 회전수단(400)으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에서 측정수단(200)은 몸체부(120)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각속도센서(210)와, 상기 몸체부(120)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속도센서(210)는 자이로센서(gyro sensor)로 구비될 수 있으며, 스푼의 몸체부(120)가 기울어질 때 몸체부(120)의 롤(roll)축, 피치(pitch)축 회전 각속도를 감지한다. 또한, 가속도센서(220)는 스푼의 몸체부(120)가 기울어질 때 몸체부(120)의 롤(roll)축, 피치(pitch)축 회전 가속도를 감지한다. 상기 각속도센서(210) 및 가속도센서(220)에서 측정된 회전각속도 및 회전가속도 값은 제어부(400)로 전송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에서 회전수단(300)은 머리부(110)를 롤(roll)축으로 회전시키는 제1모터(310)와, 머리부(110)를 피치(pitch)축으로 회전시키는 제2모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310) 및 제2모터(320)는 브러시리스 DC모터(blushless DC mortor)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모터(310,320)는 상기 제어부(400)에서 출력된 구동신호를 증폭시켜 전달하는 제1모터드라이브(330)및 제2모터드라이브(3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푼의 수평유지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푼의 몸체부(120)가 기울어질 때 몸체부(120)에 내장된 각속도센서(210)와 가속도센서(220)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400) 기능을 하는 아두이노(arduino)로 각속도 및 가속도 신호를 전송한다. 그 신호는 아두이노에 내장된 ADC를 통해 디지털값으로 변환되고, 보상필터를 거치면서 결과적으로 신뢰도 높은 현재 기울기 정보로 입력될 수 있다.
가속도센서(220)는 진동에 매우 민감하고, 고주파 영역에서 잡음이 심하기 때문에, Low Pass Filter를 적용하여 잡음을 제거할 수 있으며, 각속도센서(210)는 누적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 오차를 보상할 수 있는 보상필터를 적용해 신뢰할 수 있는 기울기를 구한다.
이후, 아두이노(arduino)에서 머리부(110)의 수평값으로 설정된 초기값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만큼 모터 드라이버(330,340)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신호를 받은 제1모터드라이브(330)는 롤(roll)축으로 회전하는 제1모터(310)로 증폭된 신호 값을 전달하며, 이와 같은 원리로 제2모터드라이브(340)도 피치(pitch)축으로 회전하는 제2모터(320)로 신호 값을 전달한다. 이후 제1모터(310) 및 제2모터(320)는 모터 드라이브(330,340)로부터 증폭받은 신호 값을 통해 작동하며 머리부(110)가 사용자가 지정한 초기값의 기울기를 유지하려고 제어를 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머리부(110)는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은 몸체부(120)의 일측에 외부전원을 통해 배터리(500)를 충전시키는 충전포트(7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전포트(710)는 충전모듈(720)을 통해 배터리(500)와 연결되고, USB 등의 각종 케이블을 이용한 충전이 가능하다. 상기 충전모듈(720)에는 배터리 충전회로가 구비되며, 이 배터리 충전회로는 ST사에서 제작한 STC4054칩을 이용하여 제작가능하다. 따라서, 충전포트(710)에 USB가 연결되면 STC4054칩에 전압을 인가하여 STC4054칩이 배터리(500)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류를 배터리(500)로 보내 배터리(500)를 충전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이것은 일실시예로 추후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변형예로, 상기 몸체부(120)의 외부에는 충전모듈(720)과 연결되어 배터리 잔량, 방전여부, 충전상태, 충전완료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LCD창 또는 LED램프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어떤 방향과 각도로 스푼이 흔들리거나 움직이더라도 머리부(110)는 수평을 유지하여 음식물을 흘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20)에 머리부(110)의 고정버튼(600)을 이용해서 머리부(110)의 움직임을 일지정지 시킬 수 있어, 음식을을 뜨는 동작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 몸체부(120)로부터 머리부(110)를 용이하게 분리함에 따라, 머리부(110)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머리부(110)를 교체해서 다양한 사용자가 스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머리부 111 : 체결돌기
120 : 몸체부 121 : 체결홈
200 : 측정수단 210 : 각속도센서
220 : 가속도센서 300 : 회전수단
310 : 제1모터 320 : 제2모터
330 : 제1모터드라이브 340 : 제2모터드라이브
400 : 제어부 500 : 배터리
600 : 고정버튼 710 : 충전포트
720 : 충전모듈

Claims (9)

  1. 음식을 담기 위한 오목한 형태의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몸체부로 이루어진 스푼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는 측정수단과;
    상기 머리부를 롤(roll) 축 및 피치(pitch) 축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구동신호를 상기 회전수단으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측정수단 및 회전수단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와 몸체부는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머리부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버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상기 몸체부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각속도센서와;
    상기 몸체부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머리부를 상기 롤 축으로 회전시키는 제1모터;
    상기 머리부를 상기 피치 축으로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외부전원을 통해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포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경우, 상기 몸체부에 대한 상기 머리부의 현재 기울기값이 상기 제어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8. 제 7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초기 기울기값은 상기 현재 기울기값으로 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9. 제 8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고정버튼의 누름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측정수단은 재설정된 기울기값을 기준으로 현재 기울기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머리부가 상기 재설정된 기울기값을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수단으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KR1020150145889A 2015-10-20 2015-10-20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KR101659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889A KR101659554B1 (ko) 2015-10-20 2015-10-20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889A KR101659554B1 (ko) 2015-10-20 2015-10-20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554B1 true KR101659554B1 (ko) 2016-09-26

Family

ID=5706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889A KR101659554B1 (ko) 2015-10-20 2015-10-20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55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3430B2 (en) 2015-03-25 2018-04-17 Verily Life Sciences Llc Handheld tool for leveling uncoordinated motion
EP3332694A1 (en) * 2016-12-08 2018-06-13 Verily Life Sciences LLC Handheld tool for leveling uncoordinated motion
CN108201477A (zh) * 2016-12-16 2018-06-26 威里利生命科学有限责任公司 用于调平不协调动作的手持工具
KR20180136839A (ko) * 2017-06-15 2018-12-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떨림방지 컵
US10271770B2 (en) 2015-02-20 2019-04-30 Verily Life Sciences Llc Measurement and collection of human tremors through a handheld tool
US10420663B2 (en) 2017-05-01 2019-09-24 Verily Life Sciences Llc Handheld articulated user-assistive device with behavior control modes
WO2023075396A1 (ko) * 2021-10-27 2023-05-04 조홍국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7936A (ja) * 2006-09-14 2008-03-27 Yosuke Kuki 制振自助具
KR20100007658U (ko) * 2009-01-21 2010-07-29 박승규 자석이 내장된 숟가락
KR20110003912U (ko) * 2011-03-09 2011-04-20 이수정 전열스푼
US20130297022A1 (en) * 2011-09-30 2013-11-07 Anupam Pathak Stabilizing unintentional muscle movements
KR101401460B1 (ko) 2012-07-20 2014-05-30 최진옥 숟가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7936A (ja) * 2006-09-14 2008-03-27 Yosuke Kuki 制振自助具
KR20100007658U (ko) * 2009-01-21 2010-07-29 박승규 자석이 내장된 숟가락
KR20110003912U (ko) * 2011-03-09 2011-04-20 이수정 전열스푼
US20130297022A1 (en) * 2011-09-30 2013-11-07 Anupam Pathak Stabilizing unintentional muscle movements
KR101401460B1 (ko) 2012-07-20 2014-05-30 최진옥 숟가락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1770B2 (en) 2015-02-20 2019-04-30 Verily Life Sciences Llc Measurement and collection of human tremors through a handheld tool
US9943430B2 (en) 2015-03-25 2018-04-17 Verily Life Sciences Llc Handheld tool for leveling uncoordinated motion
US10532465B2 (en) 2015-03-25 2020-01-14 Verily Life Sciences Llc Handheld tool for leveling uncoordinated motion
EP3332694A1 (en) * 2016-12-08 2018-06-13 Verily Life Sciences LLC Handheld tool for leveling uncoordinated motion
CN108201477A (zh) * 2016-12-16 2018-06-26 威里利生命科学有限责任公司 用于调平不协调动作的手持工具
US10420663B2 (en) 2017-05-01 2019-09-24 Verily Life Sciences Llc Handheld articulated user-assistive device with behavior control modes
US11369500B2 (en) 2017-05-01 2022-06-28 Verily Life Sciences Llc Handheld articulated user-assistive device with behavior control modes
KR20180136839A (ko) * 2017-06-15 2018-12-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떨림방지 컵
KR101965490B1 (ko) * 2017-06-15 2019-08-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떨림방지 컵
WO2023075396A1 (ko) * 2021-10-27 2023-05-04 조홍국 헤드부가 회전 가능한 숟가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554B1 (ko)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CN111588250B (zh) 手持工具和营养评估方法
KR101941001B1 (ko)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스캐너 시스템
JP6475851B2 (ja) 手持ち式器具を通じたヒトの振戦の測定および収集
TW200941301A (en) Input device,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handheld device
ES2668794T3 (es) Control de interfaz de usuario basado en sensores
US7103471B2 (en) Multi-mode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JP4626671B2 (ja) 入力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US10632368B2 (en) Game controller
US10561582B2 (en) Baby bottle sensor with content volume sensing and content deduction logic
US20180344497A1 (en) Motion stabilization by a handheld tool
JP2021000196A (ja) 装置、システム、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装置セット
JP2008246176A (ja) 体動計測機器
JP2008129862A (ja) 体動検出装置
US11298297B2 (en) Baby bottle sensor with content volume sensing and content deduction logic
KR20190069841A (ko)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KR20170089682A (ko) 수평 유지 기능을 갖는 식사 도구
TWI281979B (en)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movement of liner/arc path
KR101507368B1 (ko) 쟁반 균형 유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서빙용 로봇
KR20170127946A (ko) 전동 숟가락
JP2017006338A (ja) 電動歯ブラシ装置
JP5667390B2 (ja) ゴルフクラブセンサシステム
JP6330326B2 (ja) 滴下測定装置
JP5756796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の加速度計センサの較正
KR101937686B1 (ko) 웨어러블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