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946A - 전동 숟가락 - Google Patents

전동 숟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946A
KR20170127946A KR1020160058877A KR20160058877A KR20170127946A KR 20170127946 A KR20170127946 A KR 20170127946A KR 1020160058877 A KR1020160058877 A KR 1020160058877A KR 20160058877 A KR20160058877 A KR 20160058877A KR 20170127946 A KR20170127946 A KR 20170127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main body
unit
driving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609B1 (ko
Inventor
반채헌
정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58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60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 A47G2200/046For person with a handicap of holding or gras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숟가락이 기울어지면 이를 자동으로 보정 하는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 음식을 퍼 담을 수 있는 숟가락부와, 파지 가능하고 상기 숟가락부와 함께 이동하는 본체와, 상기 숟가락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숟가락부를 회전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숟가락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구동부의 회전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상기 숟가락부를 회동하는 제2구동부와,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자이로센서 및 상기 자이로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숟가락부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숟가락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환자가 손쉽게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숟가락이 기울어질 경우 숟가락의 위치를 자동으로 보정 할 수 있고, 손의 크기에 상관없이 숟가락을 손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숟가락{Auto spoon}
본 발명은 숟가락이 기울어지면 이를 자동으로 보정 하는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
팔 또는 손힘이 없는 환자들은 숟가락을 쥐는 힘이 부족하거나 숟가락을 움직일 때 유동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하여 환자들은 제대로 된 식사를 할 수 없어서 영양부족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섭취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음식물이 바닥으로 떨어져 음식물의 낭비가 심하거나 바닥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현재까지 이러한 환자들을 위한 식사도구가 마련되지 않아서 환자들이 식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있다.
게다가, 기술개발에 따른 특허 또는 실용신안도 전무 한 상태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0044호 (공고일자 2004. 10. 0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가 손쉽게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숟가락이 기울어질 경우 숟가락의 위치를 자동으로 보정 할 수 있고, 손의 크기에 상관없이 숟가락을 손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는 반자동 숟가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혈당, 혈압 및 심박수를 검출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하며,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반자동 숟가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을 퍼 담을 수 있는 숟가락부와, 파지 가능하고 상기 숟가락부와 함께 이동하는 본체와, 상기 숟가락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숟가락부를 회전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숟가락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구동부의 회전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상기 숟가락부를 회동하는 제2구동부와,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자이로센서 및 상기 자이로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숟가락부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숟가락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로부터 회전 가능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를 파지한 손을 상기 고정부가 고정함으로써,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손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상기 고정부의 작동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를 파지할 손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한 부분에 메모리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손의 손목에 착용하며 혈압, 혈당 및 심박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하여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상태측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상기 상태측정부로부터 검출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상태측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상기 상태측정부로부터 검출된 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숟가락을 쥘 힘이 부족해도 음식물을 손쉽게 떠먹을 수 있다.
또한, 숟가락이 기울어지더라도 이를 자동으로 보정 함으로써 음식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의 크기가 다양하더라도 손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고, 숟가락으로부터 손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혈압, 혈당 및 심박수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의 섭취 전과 후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정보를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외부기기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환자를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숟가락을 전방 및 후방이 보이도록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숟가락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숟가락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숟가락에서 상태측정부를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숟가락에서 상태측정부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자동 숟가락은, 본체(2), 제1구동부(A2), 힌지브래킷(3), 숟가락부(1), 제2구동부(A3), 자이로센서(A4) 및 제어부(A1)를 포함한다. 여기에, 고정부(5), 잠금부(6), 메모리폼(7), 미끄럼방지패드(8), 디스플레이(A5), 컨트롤부(A6), 접속부(A8), 메모리부(A9), 무선 통신부(A7) 및 상태측정부(9)를 포함한다.
본체(2)는, 대략 단면이 타원 형태로 형성되고, 말단에 힌지부(21)가 마련된다.
제1구동부(A2)는, 후술할 힌지브래킷(3)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공지 또는 주지된 모터 등이 사용되고, 본체(2)의 선단에 고정되되 제1구동부(A2)의 회전축 선상이 본체(2)의 길이방향의 선상과 동일 또는 평행하도록 고정된다.
힌지브래킷(3)은, 선단은 숟가락부(1)의 말단과 힌지결합되고, 말단이 제1구동부(A2)와 연결되며, 제1구동부(A2)에 의해서 회전한다.
숟가락부(1)는, 주지 또는 공지된 숟가락에서 손잡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되, 숟가락부(1)의 말단은 힌지브래킷(3)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브래킷(3)과 결합한다.
이에 따라, 숟가락부(1)는 힌지브래킷(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2구동부(A3)는, 힌지브래킷(3)의 일측에 설치되고, 숟가락부(1)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1구동부(A2)가 작동하면 힌지브래킷(3)과 제2구동부(A3) 및 숟가락부(1)가 회전하고, 제2구동부(A3)가 작동하면 숟가락부(1)만 회전한다.
자이로센서(A4)는,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되고, 본체(2)의 기울기, 가속도 및 움직임을 검출하여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자이로센서(A4)는 주지 또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A1)는,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되고, 자이로센서(A4)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토대로 제1구동부(A2) 및 제2구동부(A3)를 제어한다.
가령, 사용자가 본체(2)를 파지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퍼올린 후 사용자의 손이 기울어지면 숟가락부(1)도 함께 기울어진다. 숟가락부(1)가 기울어지면 숟가락부(1)에 퍼 올려진 음식물이 떨어져서 사용자는 음식섭취를 제대로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자이로센서(A4)부터 생성된 정보를 토대로 제어부(A1)가 본체(2)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숟가락부(1)가 음식물을 퍼올릴 수 있도록 제1구동부(A2) 및 제2구동부(A3)를 작동시켜서 숟가락부(1)의 위치를 보정한다.
또한,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할 경우에는 숟가락부(1)에 올려진 음식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제어부(A1)가 제1구동부(A2) 및 제2구동부(A3)를 작동시켜서 숟가락부(1)의 위치를 보정한다.
따라서, 팔 또는 손목에 힘이 없는 사용자라도 음식물을 손쉽게 섭취할 수 있다.
고정부(5)는, 본체(2)를 파지한 손이 본체(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대략 하단이 개구된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말단은 본체(2)의 힌지부(21)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부(21)와 결합하며, 선단에는 잠금부(6)에 삽입되는 잠금돌기(51)가 마련된다.
잠금부(6)는, 고정부(5)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것으로, 본체(2)의 선단 부분에 마련되되 고정부(5)의 잠금돌기(51)가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5)를 본체(2)의 선단으로 회전시킨 후 고정부(5)를 누르면 잠금돌기(51)가 잠금부(6)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고정부(5)를 한 번 더 누르면 잠금부(6)로부터 잠금돌기(51)가 해제된다.
여기서, 잠금부(6)는 주지 또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모리폼(7)은, 사용자의 손 크기에 대응하도록 주지 또는 공지된 메모리폼(7)을 이용하며, 고정부(5)의 저면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체(2)를 파지한 상태에서 고정부(5)를 잠금부(6)에 고정시키면, 메모리폼(7)이 사용자의 손에 따라 변형되고, 사용자의 손은 본체(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체(2)를 파지할 힘이 없어도 사용자의 손을 본체(2)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숟가락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폼(7)은 주지 또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미끄럼방지패드(8)는, 본체(2)로부터 사용자의 손바닥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2)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은 메모리폼(7) 및 미끄럼방지패드(8)에 의해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본체(2)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A5)는, 후술할 상태측정부(9)로부터 검출된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고정부(5)의 상면에 마련되고, 제어부(A1)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컨트롤부(A6)는, 후술할 상태측정부(9)로부터 검출된 정보를 선택하거나 무선 통신부(A7)를 통해서 검출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조작하는 것으로,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고정부(5)의 상면에 마련되며, 제어부(A1)와 연결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접속부(A8)는, 휴대용 메모리,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의 휴대단말기와 유선으로 연결하거나 후술할 상태측정부(9)가 유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힌지부(21)의 하부에 배치되되 본체(2)의 말단에 마련된다.
이때, 접속부(A8)는 주지 또는 공지된 USB, mini USB, micro USB 타입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부(A9)는, 본체(2)의 내부에 마련되고, 제어부(A1)에 의해서 제어되며, 접속부(A8)를 통해서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식사를 하는 동안 사용자의 혈압, 혈당 및 심박수의 정보를 일정시간 또는 실시간으로 저장함으로써, 식사 전과 후의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A7)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와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2)의 내부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접속부(A8)를 통해서 수신되는 정보를 무선 통신부(A7)를 통해서 휴대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부(A7)는 WiFi, NFC, 블루투스 등의 무선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주지 또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태측정부(9)는, 사용자의 혈압, 혈당 및 심박수를 검출하는 것으로, 대략 탈착 가능한 밴드 형태로 형성되고, 혈압센서(B2), 혈당센서(B3), 심박센서(B4), 처리부(B1), 접속단자부(B6) 및 무선 통신부(B5)를 포함한다.
혈압센서(B2)는, 상태측정부(9)의 내면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혈압을 검출하여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혈압센서(B2)는 주지 또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혈당센서(B3)는, 상태측정부(9)의 내면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혈당을 검출하여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혈당센서(B3)는 주지 또는 공지된 무채혈 혈당측정기에 사용되는 혈당센서(B3)를 이용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심박센서(B4)는, 상태측정부(9)의 내면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심박수를 검출하여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심박센서(B4)는 주지 또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혈압센서(B2), 혈당센서(B3) 및 심박센서(B4)는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복수가 마련될 수 있다.
처리부(B1)는, 상태측정부(9)의 내부에 마련되고, 혈압센서(B2), 혈당센서(B3) 및 심박센서(B4)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가공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생성한다.
접속단자부(B6)는, 접속부(A8)에 대응하는 단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태측정부(9)의 한 부분에 유선형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접속단자부(B6)를 접속부(A8)에 꽂으면, 처리부(B1)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A5)를 통해서 출력시킬 수 있다.
무선 통신부(B5)는, 상태측정부(9)의 내부에 마련되고, 처리부(B1)와 연결되며, 처리부(B1)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B5)는 본체(2)에 마련된 무선 통신부(A7)와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부(B5)는 본체(2)에 마련된 무선 통신부(A7)에 대응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메모리부(A9)는 상태측정부(9)의 내부에 더 마련될 수 있고, 처리부(B1)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일정시간 또는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숟가락부
2; 본체
21; 힌지부
3; 힌지브래킷
5; 고정부
51; 잠금돌기
6; 잠금부
7; 메모리폼
8; 미끄럼방지패드
9; 상태측정부
A1; 제어부
A2; 제1구동부
A3; 제2구동부
A4; 자이로센서
A5; 디스플레이
A6; 컨트롤부
A7; 무선 통신부
A8; 접속부
A9; 메모리부
B1; 처리부
B2; 혈압센서
B3; 혈당센서
B4; 심박센서
B5; 무선 통신부
B6; 접속단자부

Claims (7)

  1. 음식을 퍼 담을 수 있는 숟가락부;
    파지 가능하고 상기 숟가락부와 함께 이동하는 본체;
    상기 숟가락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숟가락부를 회전하는 제1구동부;
    상기 숟가락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구동부의 회전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상기 숟가락부를 회동하는 제2구동부;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자이로센서; 및
    상기 자이로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숟가락부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숟가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회전 가능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를 파지한 손을 상기 고정부가 고정함으로써,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손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반자동 숟가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고정부의 작동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숟가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파지할 손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한 부분에 메모리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숟가락.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손의 손목에 착용하며 혈압, 혈당 및 심박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하여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숟가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상태측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상기 상태측정부로부터 검출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숟가락.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상태측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상기 상태측정부로부터 검출된 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숟가락.
KR1020160058877A 2016-05-13 2016-05-13 전동 숟가락 KR101874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877A KR101874609B1 (ko) 2016-05-13 2016-05-13 전동 숟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877A KR101874609B1 (ko) 2016-05-13 2016-05-13 전동 숟가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946A true KR20170127946A (ko) 2017-11-22
KR101874609B1 KR101874609B1 (ko) 2018-07-04

Family

ID=6080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877A KR101874609B1 (ko) 2016-05-13 2016-05-13 전동 숟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6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8132A (zh) * 2019-03-06 2019-11-15 缙云新阳工艺品有限公司 一种自动加糖创意咖啡勺
KR20200060208A (ko) * 2018-11-21 2020-05-29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 행동에 반응하는 식사 도구,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CN115316831A (zh) * 2022-07-20 2022-11-11 四川大学 一种用于养老机构老人的智能喂食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1081A (ja) * 2006-05-15 2006-09-07 Nagatoshi Yasukawa 飲食用補助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208A (ko) * 2018-11-21 2020-05-29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 행동에 반응하는 식사 도구,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CN110448132A (zh) * 2019-03-06 2019-11-15 缙云新阳工艺品有限公司 一种自动加糖创意咖啡勺
CN115316831A (zh) * 2022-07-20 2022-11-11 四川大学 一种用于养老机构老人的智能喂食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609B1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609B1 (ko) 전동 숟가락
JP4189975B2 (ja) 腕挿入型血圧計
US10497279B2 (en) Assessment of nutrition intake using a handheld tool
KR101659554B1 (ko)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스푼
ES2680930T3 (es) Máquina automática de bebidas
JP4611389B2 (ja) 搾乳器セット
JP6228557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CN110381822A (zh) 血压测定装置、血压测定方法和程序
US11950875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integration of an analyte data reader and medication delivery device
US11369500B2 (en) Handheld articulated user-assistive device with behavior control modes
JP2017154210A (ja) 動作支援装置、及び、動作支援システム
CN111050635A (zh) 血压测量装置
JP2004268159A (ja) 食器の配膳下膳支援ロボットシステム、配膳下膳支援方法、配膳下膳支援プログラム及びこの配膳下膳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2177583B1 (ko)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식사 보조장치
JP2005334049A (ja) 血圧計
KR102046390B1 (ko) 인체 근육의 장력측정 장치
JP2010046202A (ja) 血圧情報測定装置
JP4563727B2 (ja) 血圧計
JP4870829B2 (ja) 血圧計
JP4927379B2 (ja) 血圧計
WO2014086177A1 (zh) 一种肌松测量装置及监护设备
CN115776855A (zh) 便携式手持茶叶浸泡增强装置
JP2017225493A (ja) 体腔内超音波プローブ
JP2017070685A (ja) 食事用自助具
JP6648483B2 (ja) 把持型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