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242B1 - 도로표지병 - Google Patents

도로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242B1
KR101965242B1 KR1020170092834A KR20170092834A KR101965242B1 KR 101965242 B1 KR101965242 B1 KR 101965242B1 KR 1020170092834 A KR1020170092834 A KR 1020170092834A KR 20170092834 A KR20170092834 A KR 20170092834A KR 101965242 B1 KR101965242 B1 KR 101965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road
shaped protrusion
cylindrical body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275A (ko
Inventor
정태일
Original Assignee
정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일 filed Critical 정태일
Priority to KR1020170092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2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78Traffic lines consisting of preformed elements, e.g. tapes, block-type elements specially designed or arranged to make up a traffic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도로표지병은 베이스 원판과 상기 베이스 원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표면에 복수의 돌기들 및 복수의 딤플들이 교번 형성되는 돔을 포함하는 우레탄 재질의 돔형 돌출부 및 상기 베이스 원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돔형 돌출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도로에 삽입되는 실린더형 바디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로표지병은 야간 또는 우천 시에 식별 가능하도록 형광물질을 포함하여 시인성을 높이고,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차량이 지나가도 원래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표지병{PAVEMENT MARKER}
본 발명은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레탄 재질 및 형광물질로 형성되어 복원성과 탄성력이 높고, 야간 또는 우천 시에 식별 가능하도록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표지병은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시에 차선을 인식할 수 있게 표시하는 시설물로, 주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차량의 이동중에 밟혀서 파손되거나, 온도 차이로 인해 균열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도로표지병은 전면과 후면에 반사체를 부착하여 야간 또는 우천 시에도 운전자로 하여금 차선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반사체가 부착된 방향이 틀어지면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시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7229(2008.06.04)호는 형광 및 야광 우레탄(urethane) 조성물을 코팅한 교통시설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간에는 형광성을 갖고 야간의 비상시인 정전시에는 어두운 곳에서 물체를 감지하여 주변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하면, 자동차 도로에 있어서 교통 안내 표지, 중앙선 표시, 가드레일, 휀스 등에 상기 형광 및 야광 우레탄을 직접 코팅하여 주간시 뿐만 아니라 어두운 야간시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위한 형광 및 야광 우레탄 조성물을 코팅한 교통시설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8399(2016.03.28)호는 야간식별블록(100)과 야간식별블록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200)는, 야간식별블록(100)의 바디(110)가 콘크리트재일 때에도 식별판(120)을 함침하는 구조에 의해서 용이하게 식별판(120)을 구성할 수 있고, 너트지그(250)에 의해서 용이하게 너트(130)를 바디(110) 함침시켜서 양생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7229(2008.06.04)호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8399(2016.03.2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우레탄 재질 및 형광물질로 형성되어 복원성과 탄성력이 높고, 야간 또는 우천 시에 식별 가능하도록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도로표지병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로면에 노출되는 돔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돔형 돌출부의 표면에 복수 개의 돌기들과 딤플들이 교번 형성되어 수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도로표지병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돔형 돌출부 표면을 글라스 비드로 덮어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도로표지병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도로표지병은 베이스 원판과 상기 베이스 원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표면에 복수의 돌기들 및 복수의 딤플들이 교번 형성되는 돔을 포함하는 우레탄 재질의 돔형 돌출부 및 상기 베이스 원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돔형 돌출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도로에 삽입되는 실린더형 바디를 포함한다.
돔형 돌출부는 상기 표면에 글라스 비드(glass bead)로 덮을 수 있다.
돔형 돌출부는 상기 우레탄 재질 100 중량부에 대해 적어도 25 ~ 30 중량부를 가지는 형광물질을 혼합시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형 바디는 열경화성 소재로 구성된 중심축과 우레탄 재질의 주변 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테두리의 경도는 아래의 수학식을 따라 설계될 수 있다.
[수학식1]
H1 = (V_cylinder / V_dome)* H2
여기에서, H1은 상기 주변 테두리의 경도, H2는 상기 돔형 돌출부의 경도, V_cylinder는 상기 실린더형 바디의 부피 및 V_dome는 상기 돔형 돌출부의 부피에 해당한다.
돔형 돌출부의 중심점은 상기 베이스 원판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돔형 돌출부는 상기 돔의 중심부로 갈수록 경도가 증가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들의 높이는 아래의 수학식을 따라 설계될 수 있다.
[수학식 2]
D_dimple * 1/3 ≤ H_dome ≤ D_dimple * 2/3
여기에서, D_dimple은 상기 복수의 딤플들의 깊이에 해당하고, H_dome은 상기 복수의 돌기들의 높이에 해당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은 우레탄 재질 및 형광물질로 형성되어 복원성과 탄성력이 높고, 야간 또는 우천 시에 식별 가능하도록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은 도로면에 노출되는 돔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돔형 돌출부의 표면에 복수 개의 돌기들과 딤플들이 교번 형성되어 수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은 돔형 돌출부 표면을 글라스 비드로 덮어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도로표지병의 돔형 돌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돔형 돌출부 표면에 덮히는 글라스 비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로에 설치되는 도로표지병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로표지병(100)은 돔형 돌출부(110), 베이스 원판(120) 및 실린더형 바디(13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도로표지병은 도로에 설치되고, 야간 또는 우천 시에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도로표지병은 야간의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체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도로표지병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제조되어 균열이 가거나, 깨짐에 취약하여 도로를 인지하게 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로표지병(100)은 열경화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고, 폴리우레탄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재질은 유연성과 형상 기억에 뛰어난 특성이 있는 재료로서 외부 충격에 대한 복원성이 높은 장점이 있고, 경도가 높기 때문에 충격, 마찰에 강한 장점이 있다. 도로표지병(100)은 우레탄 재질과 형광물질을 혼합한 합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도로표지병(100)은 우레탄 재질과 형광물질의 혼합비율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형광물질이 우레탄 재질 100 중량부에 대해 적어도 25 ~ 30 중량부를 갖도록 혼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탄성과 경도 특성을 갖으며, 시인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로표지병(100)은 폴리우레탄 수지, 경화제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고, 형광물질로서 전이 금속 화합물 또는 희토류 화합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인광물질을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로표지병(100)은 우레탄 재질과 형광물질의 혼합하여 야간 또는 우천 시에도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로표지병(100)은 종래의 도로표지병에서 반사체 등을 이용하여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반사체의 각도에 따라 반사되는 빛이 달라지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도로표지병(100)을 일체로 형광물질로 제조하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도 운전자로 하여금 차선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은 방향족 아이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이소시아네이트(TDI) 또는 메틸렌 디페닐 다이이소시아네이트, MDI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도로표지병(100)이 배치되는 도로의 상황 또는 제조 환경에 따라 도로표지병(100)은 수지 혼합 첨가제, 사슬 연장제, 가교제, 계면 활성제, 난연제, 발포제, 안료 및 충진제 등을 추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로표지병(100)은 베이스 원판(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표면에 복수의 돌기들(112) 및 복수의 딤플들(114)이 교번 형성되는 돔을 포함하는 돔형 돌출부(110)를 포함한다. 돔형 돌출부(110)의 중심점은 베이스 원판(1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돔의 형상은 측면에서 볼 때 반구 또는 반구보다 타원에 가까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로표지병(100)은 베이스 원판(120)의 하부에 배치되고 돔형 돌출부(110)와 일체로 성형되어 도로에 삽입되는 실린더형 바디(130)를 포함한다. 실린더형 바디(130)는 돔형 돌출부(110)와 같은 재질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나, 돔형 돌출부(110)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 특성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돔형 돌출부(110) 및 실린더형 바디(130)에 대해 자세히 후술한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도로표지병의 돔형 돌출부 및 실린더형 바디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a는 돔형 돌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b는 실린더형 바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로표지병(100)은 돔형 돌출부(110), 베이스 원판(120) 및 실린더형 바디(130)를 포함한다. 돔형 돌출부(110)는 표면에 복수의 돌기들(112) 및 복수의 딤플들(114)이 교번 형성되는 돔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돔형 돌출부(110)는 사출성형 또는 압축성형을 통해 표면에 복수의 돌기들(112) 및 복수의 딤플들(114)을 형성할 수 있다. 도로표지병(100)은 돔형 돌출부(110)와 실린더형 바디(130)를 일체로 사출성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돔형 돌출부(110)는 표면에 복수의 돌기들(112) 및 복수의 딤플들(114)이 교번 형성될 수 있고, 돌기들(112)과 딤플들(114)이 교번 형성되는 배치는 도로표지병(100)의 성형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으며, 도로표지병(100)을 제작하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돔형 돌출부(110)는 복수의 돌기들(112) 및 복수의 딤플들(114)을 한 줄씩 번갈아 교번 형성할 수 있고, 또는 한 줄에 돌기와 딤플들이 교번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돔형 돌출부(110)는 가장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를 제1 라인이라고 할 때, 제1 라인에 돌기들을 배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제2 라인에는 딤플들을 배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돔형 돌출부(110)는 제1 라인에 돌기, 딤플, 돌기, 딤플 … 의 순으로 교번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돔형 돌출부(110)는 복수의 돌기들(112)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표지병(100)을 성형할 때, 돔형 돌출부(110)에 해당하는 금형 틀에 돌기들(112)만을 형성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돔형 돌출부(110)는 복수의 딤플들(114)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표지병(100)을 성형할 때, 돔형 돌출부(110)에 해당하는 금형 틀에 딤플들(114)만을 형성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돔형 돌출부(110)는 돔의 중심부로 갈수록 높은 경도를 갖도록 우레탄의 경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돔형 돌출부(110)는 실린더형 바디(130)와 일체로 성형될 때, 도로표지병(100)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경도를 높게 형성하기 위해 돔형 돌출부(110)에 해당하는 돔의 중심부와 실린더형 바디(130)의 중심축(132)에 해당하는 우레탄 재질에 경화제 또는 첨가제를 추가할 수 있고, 외부에 노출되는 표면 부분 또는 주변 테두리(134)에 해당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를 갖도록 제조되어 외부 충격에 대해 보다 빠르게 복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린더형 바디(130)는 돔형 돌출부(11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열경화성 수지인 폴리우레탄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실린더형 바디(130)는 열경화성 소재로 구성된 중심축(132)과 우레탄 재질로 구성된 주변 테두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형 바디(130)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축(132)에 해당하는 재질과 주변 테두리(134)에 해당하는 재질의 경도가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표지병(100)은 차량 등에 의해 외부 충격에 쉽게 노출되어 마모되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도로면 하부에 매몰되는 실린더형 바디(130)의 경도를 돔형 돌출부(110)보다 높게 형성하여 외부 충격에 견디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형 바디(130)는 중심축(132)에 해당하는 폴리우레탄 수지에 10 내지 15 중량부를 갖는 경화제를 추가하여 경도를 높일 수 있고, 설계에 따라 첨가제를 추가하거나 경화온도를 다르게 설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주변 테두리(134)에 해당하는 폴리우레탄 수지에 5 내지 10 중량부를 갖는 경화제를 추가하여 경도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로표지병(100)은 다음의 수학식을 따라 주변 테두리(134)의 경도를 설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H1 = (V_cylinder / V_dome)* H2
여기에서, H1은 주변 테두리(134)의 경도, H2는 돔형 돌출부(110)의 경도, V_cylinder는 실린더형 바디(130)의 부피 및 V_dome는 돔형 돌출부(110)의 부피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주변 테두리(134)의 경도는 돔형 돌출부(110)의 경도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주변 테두리(134)의 경도는 돔형 돌출부(110)의 부피와 실린더형 바디(130)의 부피비만큼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로표지병(100)은 돔형 돌출부(110)의 경도, 주변 테두리(134)의 경도 및 중심축(132)의 경도를 다르게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중심축(132)의 경도는 가장 높게, 주변 테두리(134)의 경도는 전체 도로표지병(100)의 경도의 평균에 해당하는 값으로, 돔형 돌출부(110)의 경도는 낮게 설계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도로표지병(100)의 외부 충격에 대한 복원성을 높이기 위해 돔형 돌출부(110)의 탄성력이 가장 높게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실린더형 바디(130)는 도로면에서 가까운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와 도로면에서 먼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의 폴리우레탄 재질의 경도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형 바디(130)는 도로면 아래에 매몰되는 깊이가 깊을수록 경도를 높게 설계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높은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실린더형 바디(130)와 돔형 돌출부(110)는 따로 성형된 이후에 접착제 또는 우레탄 재질로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로표지병(100)은 설계에 따라 실린더형 바디(130)에 요구되는 폴리우레탄의 경도와 돔형 돌출부(110)에 요구되는 폴리우레탄의 경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실린더형 바디(130)와 돔형 돌출부(110)를 각각 성형한 이후에 접착하여 도로표지병(1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돔형 돌출부 표면에 덮히는 글라스 비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도로표지병(100)은 도로에 삽입된 이후 표면에 글라스 비드(glass bead)로 덮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글라스 비드는 유리로 된 비즈로 작은 구체, 원주체의 형상이고,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한 플라스틱 수지의 보강 재료로 사용되며, 치과기공, 의료기기의 표면처리에도 사용된다. 글라스 비드는 도로 차선용 반사재료로도 사용되며, 유리구슬이 렌즈 작용을 하여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에 대해 초점을 집중시켜 굴절률에 의한 재귀 반사를 통해 야간 주행시에 시인성을 높이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로표지병(100)은 돔형 돌출부(110)를 제조할 때 글라스 비드(140)를 표면에 부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별도의 표면 처리 과정을 통해 글라스 비드(140)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표지병(100)을 제조할 때 돔형 돌출부(110)에 표면에 해당하는 우레탄 재질에 글라스 비드(140)와 접착성이 뛰어난 재질로 가공하여 글라스 비드(140)를 부착할 수 있다. 도로표지병(100)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글라스 비드(140)가 쉽게 이탈되는 단점이 있는데, 돔형 돌출부(110)에 표면 처리를 하고 난 후에 글라스 비드(140)를 부착하여 글라스 비드(140)가 떨어지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로표지병(100)은 글라스 비드(140)와 형광물질, 우레탄 재질을 같이 혼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표지병(100)을 제조할 때, 우레탄 재질, 형광물질 및 글라스 비드(140)를 7 : 2 : 1 에 해당하는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글라스 비드(140)는 우레탄 또는 형광물질과 혼합되어 도로표지병(100)에 고르게 배치될 수 있으며, 설계에 따라 돔형 돌출부(110)에 더 많은 글라스 비드(14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돔형 돌출부(110)를 성형할 시에 외부에 노출되는 표면에 해당하는 위치에 글라스 비드(140)를 더 많이 포함하도록 글라스 비드(140)의 중량비를 더 높게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돔형 돌출부(110)는 복수의 돌기들(112) 및 복수의 딤플들(114)의 표면에 글라스 비드(140)로 덮혀질 수 있고, 복수의 돌기들(112)의 높이와 복수의 딤플들(114)의 깊이에 따라 글라스 비드(140)로 덮히는 두께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딤플들(114)의 깊이는 복수의 돌기들(112)의 높이보다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돔형 돌출부(110)는 복수의 돌기들(112)의 높이와 복수의 딤플들(114)의 깊이를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2]
D_dimple * 1/3 ≤ H_dome ≤ D_dimple * 2/3
여기에서, D_dimple은 딤플(114)의 깊이에 해당하고, H_dome은 돌기(112)의 높이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돔형 돌출부(110)는 복수의 딤플들(114)의 깊이의 1/3 내지 2/3에 해당하는 만큼 가지는 복수의 돌기들(112)의 높이를 설계한 경우에 차량 등의 외부 충격에 대한 복원성이 가장 높고, 가장 높은 탄성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로에 설치되는 도로표지병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로표지병(100)은 도로의 차선을 따라 양 옆에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고, 형광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야간에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로표지병(100)은 폴리우레탄 수지, 경화제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고, 형광물질을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로표지병(100)은 종래의 도로표지병에서 반사체의 각도에 따라 반사율이 달라져 운전자가 야간 또는 우천 시에 차선을 인식하기 어려운 단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형광물질을 포함하는 우레탄 재질로 성형되기 때문에 어느 각도에서나 빛을 발광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로표지병(100)은 우레탄 재질로 돔형 돌출부(110)와 실린더형 바디(130)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도로표지병(100)이 외부 충격으로 인해 균열되거나 파손되어 제 역할을 수행하기 못한 단점 또한 해결할 수 있고,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복원성과 탄력이 뛰어나며, 차량 등이 밟고 지나가더라도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로표지병(100)은 복수의 돌기들(112) 및 복수의 딤플들(1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돔형 돌출부(110)의 표면에 글라스 비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로표지병(100)은 복수의 돌기들(112) 및 복수이 딤플들(114)을 포함하여 우천 시에 수막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표면에 글라스 비드를 부착하여 야간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도로표지병
110: 돔형 돌출부 112: 복수의 돌기들
114: 복수의 딤플들 120: 베이스 원판
130: 실린더형 바디 132: 중심축
134: 주변 테두리 140: 글라스 비드

Claims (8)

  1. 베이스 원판과 상기 베이스 원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표면에 복수의 돌기들 및 복수의 딤플들이 교번 형성되는 돔을 포함하는 돔형 돌출부; 및
    상기 베이스 원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돔형 돌출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도로에 삽입되는 실린더형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돔형 돌출부는 우레탄 재질, 형광물질 및 글라스 비드를 7:2:1의 중량비로 혼합시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형 바디는 열경화성 소재로 구성된 중심축과 우레탄 재질의 주변테두리를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형 바디의 경도는 매몰되는 깊이가 깊을수록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 돌출부의 중심점은,
    상기 베이스 원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 돌출부는,
    상기 돔의 중심부로 갈수록 경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들의 높이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수학식 2]
    D_dimple * 1/3 ≤ H_dome ≤ D_dimple * 2/3
    여기에서, D_dimple은 상기 복수의 딤플들의 깊이에 해당하고, H_dome은 상기 복수의 돌기들의 높이에 해당한다.
KR1020170092834A 2017-07-21 2017-07-21 도로표지병 KR101965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834A KR101965242B1 (ko) 2017-07-21 2017-07-21 도로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834A KR101965242B1 (ko) 2017-07-21 2017-07-21 도로표지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275A KR20190010275A (ko) 2019-01-30
KR101965242B1 true KR101965242B1 (ko) 2019-04-03

Family

ID=65276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834A KR101965242B1 (ko) 2017-07-21 2017-07-21 도로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2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060B1 (ko) * 2021-03-15 2021-09-10 좌운선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세라믹 중합 도로 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60486B1 (ko) * 2022-03-23 2022-10-28 좌운선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세라믹 중합 도로 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64303B1 (ko) * 2022-05-17 2022-11-07 좌운선 유압기계를 이용한 황토 포함 친환경 세라믹 중합 도로 표지병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634B1 (ko) * 2019-03-26 2019-11-08 이성수 완충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4359A (ja) * 2015-03-08 2016-09-08 株式会社ミカド交設 反射体、反射体の設置方法、及び反射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9577A (en) * 1990-10-23 1991-12-03 Murphy Patrick E Flexible raised pavement marker
JPH10282912A (ja) * 1997-04-04 1998-10-23 Unitika Supaakuraito Kk 再帰性反射材
KR100837229B1 (ko) 2006-08-18 2008-06-11 (주) 금성산업 형광 및 야광 우레탄 조성물을 코팅한 교통시설물의제조방법
KR101608399B1 (ko) 2014-04-03 2016-04-04 주식회사 세영 야간식별블록과 야간식별블록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4359A (ja) * 2015-03-08 2016-09-08 株式会社ミカド交設 反射体、反射体の設置方法、及び反射体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060B1 (ko) * 2021-03-15 2021-09-10 좌운선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세라믹 중합 도로 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60486B1 (ko) * 2022-03-23 2022-10-28 좌운선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세라믹 중합 도로 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64303B1 (ko) * 2022-05-17 2022-11-07 좌운선 유압기계를 이용한 황토 포함 친환경 세라믹 중합 도로 표지병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275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242B1 (ko) 도로표지병
US4232979A (en) Pavement marker
KR100740753B1 (ko) 재귀성 반사 시트 및 외조식 조명 시스템
US20110059295A1 (en) Retroreflective pavement marking with improve performance in wet night conditions
US20160209559A1 (en) Pavement marking tape incorporating advanced materials for improved visibility
KR101511475B1 (ko) 도로 표지병의 제조방법
JP2010180643A (ja) 蓄光タイプ道路鋲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45933B1 (ko) 도로 노면용 부착식 표지구 및 이를 이용한 도로의 노면표지 시공방법
KR102157982B1 (ko) 접착용 패드를 갖는 도로표지병
KR101607560B1 (ko) 폴리우레아 수지 주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노면표시선 시공방법
KR101617406B1 (ko) 도로용 표지병
KR101958657B1 (ko) 도로표지병
GB1578834A (en) Road marker
US20070092334A1 (en) Reflective pavement marker
KR200265847Y1 (ko) 도로 반사경
KR102626337B1 (ko) 차선 일체형 도로표지병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77412B1 (ko)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며 3가지 기능을 갖는 도로표지판 및 이에 사용되는 도로표지판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KR101894586B1 (ko) 도로의 노면 표지
KR101601952B1 (ko) 폐골프공을 이용한 도로표지병
KR200204858Y1 (ko) 야광 도로 경계석
KR100382744B1 (ko) 도로표지병
JP2005068676A (ja) 道路標識柱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09534A (ja) 道路鋲
KR20060064743A (ko) 자동차용 번호판 보조대
KR200423303Y1 (ko) 도로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