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795B1 -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795B1
KR101964795B1 KR1020170099813A KR20170099813A KR101964795B1 KR 101964795 B1 KR101964795 B1 KR 101964795B1 KR 1020170099813 A KR1020170099813 A KR 1020170099813A KR 20170099813 A KR20170099813 A KR 20170099813A KR 101964795 B1 KR101964795 B1 KR 101964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oil
water
unit
we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5954A (ko
Inventor
고재철
류경원
이강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엠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엠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엠알
Priority to KR1020170099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7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15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7Combinations of electrostatic separation with other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Pretreatment of the gases prior to electrostatic precipitation
    • B03C3/014Addition of water; Heat exchange, e.g. by condens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습벽탑을 이용한 전기적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을 함유한 배출가스(기체)와 물(액체)의 2가지 유체가 흐르면서 기체에 물을 분사하여 기체에 포함된 오일을 제거하는 동시에 열교환에 의해 기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습벽탑, 상기 습벽탑을 통해 오일이 제거되고 냉각된 기체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건조 및 탄화시키기 위한 전기집진부, 상기 습벽탑으로 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기체유입부, 상기 전기집진부를 거친 기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기체배출부, 상기 습벽탑과 전기집진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습벽탑을 거친 기체를 전기집진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통부, 및 상기 연통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습벽탑과 전기집진부에서 떨어지는 물과 오일, 이물질을 저수하기 위한 저수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오일을 포함한 기체에 물을 분사하여 냉각시킴과 동시에 기름을 제거하고, 이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오일과 이물질을 탄화시켜 제거함에 따라,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Electrical treatment system of exhaust gas using wetted-wall gas absorption column}
본 발명은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을 함유한 배출가스(기체)와 물(액체)의 2가지 유체가 흐르면서 기체에서 오일을 분리함은 물론, 냉각시킨 후, 전기집진을 이용하여 오일과 이물질을 다시 제거하여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취를 유발하는 원인물질은 다양하며 악취의 세기도 독립적, 부가적, 상승적, 상쇄적 작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다른 물질의 영향으로 소멸되거나 커지기도 한다.
여기서, 백연은 텐터공정의 고온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150℃ 이상의 고온열풍이 제품을 건조하면서 수분과 미세한 오일미스트(Oil Mist) 등의 각종 오일성분이 포함된다.
이러한 백연은 방지시설인 흡수탑(Scrubber)에서 추가적인 수분을 포함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되고, 이는 배출가스 중에 있는 미세오일 성분과 수분이 빛의 반사를 일으켜서 백연을 더욱 짙게 보이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34006호 '백연 및 환경오염물질 제거 및 에너지 회수 건조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61195(등록일자 2013.04.29) '텐터기 배출 가스 및 증기 정화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06505(등록일자 2012.11.23) '텐터기 배기가스 전기 흄 집진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개시된 기술들의 대부분은 오일미스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함에 따라, 악취발생을 차단 및 최소화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백연 등의 오일을 포함한 기체에서 오일과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악취는 물론, 환경오염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오일을 함유한 배출가스(기체)와 물(액체)의 2가지 유체가 흐르면서 유입되는 기체에 물을 분사하여 기체에 포함된 오일을 제거하는 동시에 열교환에 의해 기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습벽탑, 상기 습벽탑을 통해 오일이 제거되고 냉각된 기체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건조 및 탄화시키기 위한 전기집진부, 상기 습벽탑으로 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기체유입부, 상기 전기집진부를 거친 기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기체배출부, 상기 습벽탑과 전기집진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습벽탑을 거친 기체를 전기집진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통부, 및 상기 연통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습벽탑과 전기집진부에서 떨어지는 물과 오일, 이물질을 저수하기 위한 저수부,를 포함하여 오일을 포함한 기체에 물을 분사하여 냉각시킴과 동시에 기름을 제거하고, 이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오일과 이물질을 탄화시켜 제거함에 따라,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오일을 함유하는 배출가스(기체)와 물(액체)이 흐르면서 유입되는 기체에 물을 분사하여 기체에 포함된 오일을 제거하는 동시에 열교환에 의해 기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습벽탑, 상기 습벽탑을 통해 오일이 제거되고 냉각된 기체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건조 및 탄화시키기 위한 전기집진부, 상기 습벽탑으로 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기체유입부, 상기 전기집진부를 거친 기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기체배출부, 상기 습벽탑과 전기집진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습벽탑을 거친 기체를 전기집진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통부, 및 상기 연통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습벽탑과 전기집진부에서 떨어지는 물과 오일, 이물질을 저수하기 위한 저수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통부와 저수부는, 내부에 연결공간부를 갖는 연결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공간부는, 상기 습벽탑의 기체를 전기집진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통공간부, 및 상기 습벽탑과 전기집진부의 물질을 저수되는 저수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공간부와 저수공간부는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공간부를 따라 이동되는 기체가 상기 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을 통과하면서 와류를 형성시키기 위한 와류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수공간부는, 상기 습벽탑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저수공간부, 및 상기 전기집진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저수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공간부는, 상기 제1저수공간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연통공간부, 및 상기 제2저수공간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연통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류부는, 상기 제1연통공간부와 제2연통공간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연결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되되, 하단부가 상기 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에 잠기도록 형성되는 구획판, 상기 구획판의 개방된 후측에 구비되되, 상기 기체의 이동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이송되는 기체를 하측으로 가이드하는 제1와류가이드판, 및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와류가이드판에 의해 하측으로 가이드된 기체를 상측으로 가이드하여 와류를 형성하는 제2와류가이드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와류가이드판에 의해 가이드된 기체의 이동로를 막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선회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선회판에 이동되는 기체가 충돌함에 따라, 기체에 포함된 오일이나 이물질이 분리되어 하측으로 떨어진다.
또한, 상기 선회판은, 일단부에서 후측인 타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과 오일을 유입시켜 물과 오일을 분리시켜 배출시키기 위한 유수분리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유수분리부는, 상기 제2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과 오일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유입되는 제1유수분리저장부, 상기 제1유수분리저장부의 하단부 일측과 연통되어 물과 오일이 유입되는 제2유수분리저장부, 상기 제2유수분리저장부의 상단 일정부위에 구비되어 오일을 상측으로 분리하기 위한 유수분리필터, 상기 유수분리필터에 의해 상측으로 분리된 오일을 배출시키기 위한 오일배출부, 및 상기 제2유수분리저장부의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배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습벽탑은, 내부에 냉각공간부를 갖는 냉각하우징, 상기 냉각하우징의 냉각공간부로 유입되는 오일함유 기체에 물을 공급하여 기체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기체에 포함된 오일을 제거하기 위한 냉각분사수단, 및 상기 냉각분사수단에 의해 물이 공급된 기체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수단은, 상기 냉각공간부와 연통공간부를 연통시켜, 물이 분사된 기체를 상기 연통공간부와 저수공간부로 이동시키도록 복수 개 구비되되,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는 열교환튜브, 및 상기 복수의 열교환튜브 사이 간격으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냉매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냉매와 각 열교환튜브를 따라 이동되는 기체를 열교환시켜 기체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상기 냉각분사수단은, 상기 열교환수단의 각 열교환튜브로 물을 유입시켜 내측면에 수막을 형성하기 위한 제1냉각분사수단, 및 상기 열교환튜브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유입되는 기체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제2냉각분사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매공급부는, 상기 복수의 열교환튜브 사이 간격으로 외부공기와 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과시켜 열교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기집진부는, 상기 습벽탑을 거친 기체에서 액체를 분리시키기 위한 제1기액필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기액필터를 거쳐 통과되는 기체에 포함된 오일과 이물질을 탄화시켜 분리시키기 위한 복수의 집진관, 상기 각 집진관으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집진전원부, 및 상기 복수의 집진관을 통과한 기체에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집진관의 상측에 구비되는 집진분사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집진관은, 상기 집진전원부에 의해 음(-)전하가 인가되는 내부집진관, 및 상기 내부집진관과의 사이에 기체이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집진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집진전원부에 의해 양(+)전하가 인가되는 외부집진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집진관은,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기체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집진분사수단은, 상기 각 집진관의 기체이동로로 물을 유입시켜 내측면에 수막을 형성하기 위한 제1집진분사수단, 및 상기 집진관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이동되는 기체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제2집진분사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체유입부와 기체배출부 중 어느 하나에 송풍팬이 구비되어 기체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집진분사수단에 의해 물이 분사된 기체에서 액체를 분리시키기 위한 제2기액필터,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분사수단과 집진분사수단으로 상기 저수부에 저수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순환공급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물순환공급부는, 일단부가 상기 저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분기되어 상기 냉각분사수단과 집진분사수단에 각각 연결되는 물순환공급관, 및 상기 물순환공급관을 따라 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순환펌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습벽탑과 전기집진부에서 화제 발생 시, 소화시키기 위한 소화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소화부는, 복수의 소화분사노즐, 상기 소화분사노즐로 소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소화제공급부, 상기 습벽탑과 전기집진부에 구비되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기준온도 이상 측정될 경우, 상기 소화제공급부를 제어하여 소화분사노즐로 소화제를 분사시키기 위한 소화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에 의하면, 오일을 포함한 기체에 물을 분사하여 냉각시킴과 동시에 기름을 제거하고, 이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오일과 이물질을 탄화시켜 제거함에 따라,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처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처리시스템에 와류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습벽탑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처리시스템에 건식필터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처리시스템에 소화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처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처리시스템에 와류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습벽탑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처리시스템에 건식필터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처리시스템에 소화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10)는 습벽탑(100)와 전기집진부(200), 기체유입부(300), 기체배출부(400), 연통부(500) 및 저수부(600)로 구성된다.
습벽탑(100)는 유입되는 기체에 물을 분사하여 기체에 포함된 오일을 제거하는 동시에 열교환에 의해 기체를 냉각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전기집진부(200)는 습벽탑(100)를 통해 오일이 제거되고 냉각된 기체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건조 및 탄화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기체유입부(300)는 습벽탑(100)로 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기체배출부(400)는 전기집진부(200)를 거친 기체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연통부(500)는 습벽탑(100)와 전기집진부(2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습벽탑(100)를 거친 기체를 전기집진부(200)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저수부(600)는 연통부(5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습벽탑(100)와 전기집진부(200)에서 떨어지는 물과 오일, 이물질을 저수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전기집진을 이용한 기체 처리장치(10)에 의하면, 오일을 포함한 기체에 물을 분사하여 오일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냉각시킨 후, 인가된 전원에 의해 오일과 이물질을 탄화시켜 제거함에 따라 기체에 대한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연통부(500)와 저수부(600)는 내부에 연결공간부(520)를 갖는 연결하우징(510)에 구비된다.
여기서, 연결공간부(520)는 연통공간부(522)와 저수공간부(524)로 구성되며, 이 연통공간부(522)와 저수공간부(524)는 연통된다.
연통공간부(522)는 습벽탑(100)의 기체를 전기집진부(200)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저수공간부(524)는 습벽탑(100)와 전기집진부(200)에서 분리된 물과 오일, 이물질이 저수된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공간부(522)를 따라 이동되는 기체가 저수공간부(524)에 저수된 물을 통과하면서 와류를 형성시키기 위한 와류부(530)를 더 포함한다.
먼저, 저수공간부(524)는 제1저수공간부(5242)와 제2저수공간부(5244)로 구성된다.
제1저수공간부(5242)는 습벽탑(100)의 하측에 형성되고, 제2저수공간부(5244)는 전기집진부(200)의 하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연통공간부(522)는 제1연통공간부(5222)와 제2연통공간부(5224)로 구성된다.
제1연통공간부(5222)는 제1저수공간부(5242)의 상측에 형성되고, 제2연통공간부(5224)는 제2저수공간부(5244)의 상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와류부(530)는 구획판(532)과 제1와류가이드판(534) 및 제2와류가이드판(536)으로 구성된다.
구획판(532)은 제1연통공간부(5222)와 제2연통공간부(5224)를 구획하도록 연결하우징(510)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1와류가이드판(534)은 구획판(532)의 개방된 후측에 구비되되, 기체의 이동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이송되는 기체를 하측으로 가이드한다.
제2와류가이드판(536)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1와류가이드판(534)에 의해 하측으로 가이드된 기체를 상측으로 가이드하여 와류를 형성한다.
이에, 통과되는 기체가 저수된 물을 와류시킴에 따라, 기체의 통과시간을 지연시켜 기체에 포함된 오일이나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저수된 물에 물거품을 형성하여 기체를 일정시간 포획함에 따라, 기체에서 물과 오일, 이물질의 분리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와류가이드판(536)에 의해 가이드된 기체의 이동로를 막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선회판(540)이 더 구비된다.
이 선회판(540)은 이동되는 기체가 충돌함에 따라, 기체에 포함된 물과 오일이 및 이물질이 분리되어 하측으로 떨어트릴 수 있어 분리효율을 더욱 향상시킨다.
이러한 선회판(540)은 일단부에서 후측인 타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선회판(540)의 면이 와류부(530)를 통과하는 기체와 직교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공간부(524)에 저수된 물과 오일을 유입시켜 물과 오일을 분리시켜 배출시키기 위한 유수분리부(700)가 더 포함된다.
이 유수분리부(700)는 제1유수분리저장부(710)와 제2유수분리저장부(720), 유수분리필터(730), 오일배출부(740) 및 물배출부(750)로 구성된다.
제1유수분리저장부(710)는 제2저수공간부(5244)에 저수된 물과 오일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오버플로우되어 유입된다.
그리고 제2유수분리저장부(720)는 제1유수분리저장부(710)의 하단부 일측과 연통되어 물과 오일이 유입된다.
유수분리필터(730)는 제2유수분리저장부(720)의 상단 일정부위에 구비되어 오일을 상측으로 분리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오일배출부(740)는 유수분리필터(730)에 의해 상측으로 분리된 오일을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물배출부(750)는 제2유수분리저장부(720)의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물배출부(750)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저수공간부(324)로 순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습벽탑(1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하우징(110)과 냉각분사수단(120) 및 열교환수단(130)으로 구성된다.
냉각하우징(110)은 내부에 냉각공간부(112)가 형성된다.
또한 냉각분사수단(120)은 냉각하우징(110)의 냉각공간부(112)로 유입되는 오일함유 기체에 물을 분사하여 기체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기체에 포함된 오일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된다.
냉각분사수단(120)은 복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분사함에 따라, 유입되는 기체에서 오일이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열교환수단(130)은 냉각분사수단(120)에 의해 물이 분사된 기체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냉각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열교환수단(130)은 열교환튜브(132)와 냉매공급부(134)로 구성된다.
열교환튜브(132)는 냉각공간부(112)와 연통공간부(522)를 연통시켜, 물이 분사된 기체를 연통공간부(522)와 저수공간부(524)로 이동시키도록 복수 개 구비된다.
물론, 복수의 열교환튜브(132)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냉매공급부(134)는 복수의 열교환튜브(132) 사이 간격으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냉매공급부(134)는 공급되는 냉매와 각 열교환튜브(132)를 따라 이동되는 기체를 열교환시켜 기체를 냉각시킨다.
여기서, 냉매공급부(134)는 복수의 열교환튜브(132) 사이 간격으로 외부공기와 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과시켜 열교환시키는 것으로, 현장 상황에 따라, 공냉식과 수냉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냉각분사수단(120)은 제1냉각분사수단(122)과 제2냉각분사수단(124)으로 구성된다.
제1냉각분사수단(122)은 열교환수단(130)의 각 열교환튜브(132)로 물을 유입시켜 내측면에 수막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냉각분사수단(124)은 열교환튜브(132)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유입되는 기체로 물을 분사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제1냉각분사수단(122)에 의해 각 열교환튜브(132)의 내측면에 수막을 형성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제2냉각분사수단(124)에 의해 고압의 물이 분사되어 각 열교환튜브(132)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집진부(200)는 제1기액필터(210)와 집진관(220), 집진전원부(230) 및 집진분사수단(240)으로 구성된다.
제1기액필터(210)는 습벽탑(100)를 거친 기체에서 액체를 분리시키기 위해 하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집진관(220)은 제1기액필터(210)를 거쳐 통과되는 기체에 포함된 오일과 이물질을 인가된 전원에 의해 탄화시켜 분리시키기 위해 복수개 구비된다.
집진전원부(230)는 각 집진관(220)으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구비되며, 집진분사수단(240)은 복수의 집진관(220)을 통과한 기체에 물을 분사하도록 집진관(220)의 상측에 구비된다.
또한 집진분사수단(240)에 의해 물이 분사된 기체에서 액체를 분리시키기 위한 제2기액필터(250)를 더 포함한다.
이 제2기액필터(250)를 통과한 기체는 기체배출부(4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집진관(220)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집진관(222)과 외부집진관(224) 및 기체이동로(226)로 구성된다.
내부집진관(222)은 집진전원부(230)에 의해 음(-)전하가 인가된다.
그리고 외부집진관(224)은 내부집진관(222)의 사이에 기체이동로(226)를 형성하도록 내부집진관(222)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이 외부집진관(224)은 집진전원부(230)에 의해 양(+)전하가 인가됨에 따라, 기체이동로(226)를 따라 이동되는 기체에 포함된 오일이나 이물질이 내부집진관(222)에 부착되어 탄화된다.
이러한 내부집진관(222)은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기체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체유입부(300)와 기체배출부(400) 중 어느 하나에 송풍팬(410)이 구비되어 기체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배출시킨다.
이러한 송풍팬(410)에 의해 각 내부의 압력이 유지된 상태로 기체가 송풍됨에 따라, 습벽탑(100)와 전기집진부(200)는 물론, 와류부(700) 역시, 통과하며 물과 오일 및 이물질이 제거된다.
또한 냉각분사수단(120)과 집진분사수단(240)으로 저수부(600)에 저수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순환공급부(900)가 더 포함된다.
이 물순환공급부(900)는 물순환공급관(910)과 순환펌프(920)로 구성된다.
물순환공급관(910)은 일단부가 저수부(60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분기되어 냉각분사수단(120)과 집진분사수단(240)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순환펌프(92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물순환공급관(910)을 따라 물을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집진부(200)에 의해 필터링된 기체를 필터링하기 위한 건식필터부(650)가 더 구비된다.
이 건식필터부(650)는 활성탄과 PP, 합성섬유, 카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작되며, 내부에 다공이 형성되어 기체에 포함된 부유성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습벽탑(100)과 전기집진부(200)에서 화제 발생 시, 소화시키기 위한 소화부(800)가 더 포함된다.
이 소화부(800)는 소화분사노즐(810)과 소화제공급부(820), 온도센서(830) 및 소화제어부(840)로 구성된다.
소화분사노즐(810)은 습벽탑(100)과 전기집진부(2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복수 개 구비되고, 소화제공급부(820)는 소화분사노즐(810)로 소화제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온도센서(830)는 습벽탑(100)과 전기집진부(200) 중 해당 구성에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소화제어부(840)는 온도센서(8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기준온도 이상 측정될 경우, 소화제공급부(820)를 제어하여 소화분사노즐(810)로 소화제를 분사시킨다.
여기서, 분사되는 소화제는 스팀으로 분사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소화부(800)는 해당 구성의 온도를 측정하여 화제 발생이 예상되는 일정 온도 이상 측정될 경우, 자동으로 소화제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또한 습벽탑을 이용한 전기기체처리장치(10)는 제1화제댐퍼(850)와 제2화제댐퍼(860)가 더 구비된다.
제1화제댐퍼(850)는 유입부(300)에 연결되는 굴뚝을 개폐하기 위해 구비되고, 제2화제댐퍼(860)는 배출부(400)에 연결되는 굴뚝을 개폐하기 위해 구비된다.
소화제어부(840)는 온도센서(83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소화제공급부(820)를 제어하기 위한 일정 기준온도보다 높은 제2기준온도 이상 측정될 경우, 제1화제댐퍼(850)와 제2화제댐퍼(860)를 제어하여 해당 굴뚝을 폐쇄시켜 기체유입을 차단시킨다.
이에, 내부에서 발생된 화제를 진화시킬 수 있다.
10 : 기체 처리장치 100 : 습벽탑
200 : 전기집진부 300 : 기체유입부
400 : 기체배출부 500 : 연통부
600 : 저수부 700 : 유수분리부
800 : 소화부 900 : 물순환공급부

Claims (10)

  1. 유입되는 기체에 물을 분사하여 기체에 포함된 오일을 제거하는 동시에 열교환에 의해 기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습벽탑;
    상기 습벽탑을 통해 오일이 제거되고 냉각된 기체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건조 및 탄화시키기 위한 전기집진부;
    상기 습벽탑으로 기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기체유입부;
    상기 전기집진부를 거친 기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기체배출부;
    상기 습벽탑과 전기집진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습벽탑을 거친 기체를 전기집진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통부; 및
    상기 연통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습벽탑과 전기집진부에서 떨어지는 물과 오일, 이물질을 저수하기 위한 저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와 저수부는,
    내부에 연결공간부를 갖는 연결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공간부는,
    상기 습벽탑의 기체를 전기집진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통공간부; 및
    상기 습벽탑과 전기집진부에서 분리된 물과 오일, 이물질이 저수되는 저수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공간부와 저수공간부는 연통되며,
    상기 연통공간부를 따라 이동되는 기체가 상기 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을 통과하면서 와류를 형성시키기 위한 와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수공간부는,
    상기 습벽탑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저수공간부; 및
    상기 전기집진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저수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공간부는,
    상기 제1저수공간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연통공간부; 및
    상기 제2저수공간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연통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류부는,
    상기 제1연통공간부와 제2연통공간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연결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되되, 하단부가 상기 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에 잠기도록 형성되는 구획판;
    상기 구획판의 개방된 후측에 구비되되, 상기 기체의 이동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이송되는 기체를 하측으로 가이드하는 제1와류가이드판; 및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와류가이드판에 의해 하측으로 가이드된 기체를 상측으로 가이드하여 와류를 형성하는 제2와류가이드판;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과 오일을 유입시켜 물과 오일을 분리시켜 배출시키기 위한 유수분리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유수분리부는,
    상기 제2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과 오일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유입되는 제1유수분리저장부;
    상기 제1유수분리저장부의 하단부 일측과 연통되어 물과 오일이 유입되는 제2유수분리저장부;
    상기 제2유수분리저장부의 상단 일정부위에 구비되어 오일을 상측으로 분리하기 위한 유수분리필터;
    상기 유수분리필터에 의해 상측으로 분리된 오일을 배출시키기 위한 오일배출부; 및
    상기 제2유수분리저장부의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배출부;를 포함하는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벽탑은,
    내부에 냉각공간부를 갖는 냉각하우징;
    상기 냉각하우징의 냉각공간부로 유입되는 오일함유 기체에 물을 공급하여 기체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기체에 포함된 오일을 제거하기 위한 냉각분사수단; 및
    상기 냉각분사수단에 의해 물이 공급된 기체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수단;을 포함하는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수단은,
    상기 냉각공간부와 연통공간부를 연통시켜, 물이 분사된 기체를 상기 연통공간부와 저수공간부로 이동시키도록 복수 개 구비되되,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는 열교환튜브; 및
    상기 복수의 열교환튜브 사이 간격으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냉매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냉매와 각 열교환튜브를 따라 이동되는 기체를 열교환시켜 기체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부는,
    상기 습벽탑을 거친 기체에서 액체를 분리시키기 위한 기액필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기액필터를 거쳐 통과되는 기체에 포함된 오일과 이물질을 탄화시켜 분리시키기 위한 복수의 집진관;
    상기 각 집진관으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집진전원부; 및
    상기 복수의 집진관을 통과한 기체에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집진관의 상측에 구비되는 집진분사수단;을 포함하는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관은,
    상기 집진전원부에 의해 -전하가 인가되는 내부집진관; 및
    상기 내부집진관과의 사이에 기체이동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집진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집진전원부에 의해 +전하가 인가되는 외부집진관;을 포함하는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벽탑과 전기집진부에서 화제 발생 시, 소화시키기 위한 소화부;가 더 포함되는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
KR1020170099813A 2017-08-07 2017-08-07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 KR101964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813A KR101964795B1 (ko) 2017-08-07 2017-08-07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813A KR101964795B1 (ko) 2017-08-07 2017-08-07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954A KR20190015954A (ko) 2019-02-15
KR101964795B1 true KR101964795B1 (ko) 2019-08-07

Family

ID=6536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813A KR101964795B1 (ko) 2017-08-07 2017-08-07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7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612B1 (ko) * 2019-03-14 2020-06-18 최진욱 공기정화 시스템
KR102448562B1 (ko) * 2020-03-24 2022-09-29 이앤엠 주식회사 환형 방전 영역을 이용해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281A (ja) 2003-02-17 2004-09-02 Katsumi Iida 有機廃棄物の乾燥炭化方法
JP4094302B2 (ja) 2001-03-09 2008-06-04 アイシン機工株式会社 オイルミスト除去装置
KR101113780B1 (ko) 2011-09-02 2012-02-20 (주)중앙플랜트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KR101127626B1 (ko) * 2009-09-22 2012-03-22 이인섭 습식정화장치
JP4955589B2 (ja) 2008-03-04 2012-06-20 株式会社テクノ菱和 低温プラズマとオイルによる揮発性有機化合物の除去システム
KR101452807B1 (ko) * 2013-11-08 2014-10-22 미륭이씨오 주식회사 대기처리장치
US20150183961A1 (en) 2013-12-26 2015-07-02 Mahesh Talwar Biomass Processing
JP2015123419A (ja) 2013-12-26 2015-07-06 株式会社 クリーンテック 油水分離フィルター、油水分離エレメント、除水装置及び油水分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7018A (ja) * 1997-11-17 1999-06-02 Mitsubishi Heavy Ind Ltd So3 ミストの捕集装置
KR20080044733A (ko) * 2006-11-16 2008-05-21 조대형 오일 응축반응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4302B2 (ja) 2001-03-09 2008-06-04 アイシン機工株式会社 オイルミスト除去装置
JP2004243281A (ja) 2003-02-17 2004-09-02 Katsumi Iida 有機廃棄物の乾燥炭化方法
JP4955589B2 (ja) 2008-03-04 2012-06-20 株式会社テクノ菱和 低温プラズマとオイルによる揮発性有機化合物の除去システム
KR101127626B1 (ko) * 2009-09-22 2012-03-22 이인섭 습식정화장치
KR101113780B1 (ko) 2011-09-02 2012-02-20 (주)중앙플랜트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KR101452807B1 (ko) * 2013-11-08 2014-10-22 미륭이씨오 주식회사 대기처리장치
US20150183961A1 (en) 2013-12-26 2015-07-02 Mahesh Talwar Biomass Processing
JP2015123419A (ja) 2013-12-26 2015-07-06 株式会社 クリーンテック 油水分離フィルター、油水分離エレメント、除水装置及び油水分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954A (ko) 2019-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765B1 (ko)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세정처리장치
US4284609A (en) Condensation cleaning of particulate laden gases
RU2604233C2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загрязнения воздуха
CN105561776B (zh) 一种工业燃煤锅炉烟气多污染物超低排放协同脱除系统
KR101964795B1 (ko)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
KR100375555B1 (ko) 백연 제거방법및 장치
CN105194965A (zh) VOCs废气处理设备
KR20110100200A (ko) 기체-액체간 교환 방법 및 장치
KR102062060B1 (ko) 원단 후가공시설에 설치되는 집진기의 냉각장치
KR20160000900A (ko) 백연저감 열교환기의 응축수 회수장치
CN109260914A (zh) 一种利用空气循环的烟气脱白系统及工艺
KR20150070110A (ko) 연도 가스 정화장치
KR20050025291A (ko) 수냉식 백연 제거방법 및 장치
US95333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mercury from a gas stream
CA3071767C (en) Air pollution control unit and air pollution control method, and co2 recovery unit and co2 recovery method
CN207822701U (zh) 一种高效除尘及水分回收装置
KR101943914B1 (ko) 습식정화 필터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KR20180079492A (ko)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집진시스템
KR101884231B1 (ko) 필터링효율이 향상된 다기능성 멀티필터시스템에 의한 오일함유 백연 및 악취 처리장치
KR100471923B1 (ko)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
CN205109288U (zh) VOCs废气处理设备
CN208893934U (zh) 一种自动调节温度的脱硫塔
KR101964785B1 (ko) 백연 처리장치
JP2011110500A (ja) 塗装システム
CN209108917U (zh) 一种钢材环保除尘除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