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923B1 -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 - Google Patents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923B1
KR100471923B1 KR10-2001-0040365A KR20010040365A KR100471923B1 KR 100471923 B1 KR100471923 B1 KR 100471923B1 KR 20010040365 A KR20010040365 A KR 20010040365A KR 100471923 B1 KR100471923 B1 KR 100471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ist
cleaning
combustion gas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4724A (ko
Inventor
김로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원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원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원기업
Priority to KR10-2001-0040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9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04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9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4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using wash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83Flue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 배기가스 중 백연과 액적 상태의 물방울 형성을 방지하는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세정장치는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를 안내하는 안내부재(10)와, 이런 안내부재(10)를 따라 안내되는 고온의 연소가스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연소가스의 열을 식힘과 동시에 연소가스에 함유된 불순물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부재(20)와, 이런 세정부재(20)에 의해 세정되고 열이 식혀진 세정가스에 함유되어 비산하는 미스트와 액적 상태의 물방울을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부재(30)와, 이런 미스트 제거부재(30)를 거친 포화습도상태의 세정가스의 일부 수분을 응축시켜 제어하는 수분응축부재(50) 및, 이런 수분응축부재(50)를 거친 후 대기로 배출될 연소 배기가스를 안내부재(10) 및 세정부재(20)를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로 가열함으로써 연소 배기가스의 상태습도를 감소시켜 배출하는 열교환부재(40)로 구성되며, 세정 후에 연소가스에 함유되는 미스트 및 수분을 제거하고 고온의 연소가스의 열로 재 가열함으로써 백연과 물방울 형성을 방지하고, 그 구조가 간단하고 별도의 에너지원이 필요 없으므로 경제적이다.

Description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Apparatus and method scrubbing for plume abatement and mist prevention}
본 발명은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연소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 및 유해물질 등을 제거하고 대기로 배출되는 연소 배기가스 중에 백연과 액적 상태의 물방울 형성을 방지하는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로 배출되는 연소 배기가스 중에 백연과 액적 상태의 물방울 형성을 방지하는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공장에는 연소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 및 유해물질이 제거된 연소 배기가스를 대기로 배출하는 굴뚝이 많이 설치되어 있다. 이런 굴뚝을 통해서는 불순물 및 유해물질이 제거된 연소 배기가스가 대기로 배출되는데 동절기나 기온이 떨어지는 아침에는 연소 배기가스가 백연을 형성하면서 굴뚝을 통해 대기로 배출되어 물방울을 형성하거나 응축되어 무거워지면 물방울이 되어 지상으로 떨어진다. 이렇게 굴뚝을 통해 연소 배기가스가 백연을 형성하면서 배출될 경우에는 유해가스가 대기로 배출되는 것처럼 보여 그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혐오감을 주게 된다.
이렇게 백연이 형성되는 것은 연소가스에 함유된 불순물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세정장치를 통해 습식으로 흡수 세정할 경우에 연소가스가 단열 냉각되어 포화습도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로 연소 배기가스가 굴뚝을 통해 대기로 배출시에 대기온도와의 온도차이에 의해 냉각된다. 그러면, 연소 배기가스에 함유된 과포화 수분이 응축되고, 그로 인해 백연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래서, 종래에는 이런 백연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가열장치를 설치하여 굴뚝을 통해 연소 배기가스가 대기로 배출되기 전에 별도의 가열된 공기를 혼합 배출하거나 이중 연돌 외부로 동시 배출하여 연소 배기가스의 절대습도 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백연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별도의 가열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그 가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고 구조적인 설계변경이 필요하며, 별도의 에너지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세정 후에 연소가스에 함유되는 미스트 및 수분을 제거하고 고온의 연소가스의 열로 재 가열함으로써 백연과 물방울 형성을 방지하는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정장치는, 유입되는 연소가스를 다수의 공급관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다수의 공급관을 따라 각각 안내되는 연소가스가 유동할 수 있는 다수의 유동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유동관에서 세정수를 각각 분사하여 연소가스의 열을 식힘과 동시에 연소가스에 함유된 불순물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수단과, 상기 세정수단을 통해 세정함에 따라 세정가스에 함유되는 미스트를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수단 및, 상기 미스트가 제거되어 대기로 배출될 연소 배기가스를 상기 세정수단의 다수의 유동관의 표면과 상기 안내수단의 다수의 공급관의 표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다수의 유동관 및 공급관을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로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대습도를 감소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열교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방법은, 유입되는 연소가스를 다수의 공급관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단계와, 상기 다수의 공급관을 따라 각각 안내되는 연소가스를 다수의 유동관을 따라 유동시키면서 세정수를 각각 분사하여 연소가스의 열을 식힘과 동시에 연소가스에 함유된 불순물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단계와, 상기 세정단계를 통해 세정가스에 함유되는 미스트를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단계 및, 상기 미스트가 제거되어 대기로 배출될 연소 배기가스를 상기 다수의 유동관의 표면과 상기 다수의 공급관의 표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다수의 유동관 및 공급관을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로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대습도를 감소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열교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장치는, 유입되는 연소가스를 다수의 공급관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다수의 공급관을 따라 각각 안내되는 연소가스가 유동할 수 있는 다수의 유동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유동관에서 세정수를 각각 분사하여 연소가스의 열을 식힘과 동시에 연소가스에 함유된 불순물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수단과, 상기 세정수단을 통해 세정함에 따라 세정가스에 함유되는 미스트를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수단과, 상기 미스트 제거수단을 거친 연소 배기가스를 굴뚝으로 배출하는 배출수단 및, 외부공기 유입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세정수단의 다수의 유동관의 표면과 상기 안내수단의 다수의 공급관의 표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다수의 유동관 및 공급관을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로 가열시켜 가열된 외부공기와 상기 연소 배기가스가 혼합되도록 상기 굴뚝으로 배출하는 열교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방법은, 유입되는 연소가스를 다수의 공급관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단계와, 상기 다수의 공급관을 따라 각각 안내되는 연소가스를 다수의 유동관을 따라 유동시키면서 세정수를 각각 분사하여 연소가스의 열을 식힘과 동시에 연소가스에 함유된 불순물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단계와, 상기 세정단계를 통해 세정가스에 함유되는 미스트를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단계와,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다수의 유동관의 표면과 상기 다수의 공급관의 표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다수의 유동관 및 공급관을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및, 상기 미스트가 제거된 연소 배기가스와 가열된 외부공기를 혼합하여 대기로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 실시예>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정장치의 A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1에 보이듯이, 본 발명의 세정장치는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를 안내하는 안내부재(10)와, 이런 안내부재(10)를 따라 안내되는 고온의 연소가스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연소가스의 열을 식힘과 동시에 연소가스에 함유된 불순물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부재(20)와, 이런 세정부재(20)에 의해 세정되고 열이 식혀진 세정가스에 함유되어 비산하는 미스트와 액적 상태의 물방울을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부재(30)와, 이런 미스트 제거부재(30)를 거친 포화습도상태의 세정가스의 일부 수분을 응축시켜 제어하는 수분응축부재(50) 및, 이런 수분응축부재(50)를 거친 후 대기로 배출될 연소 배기가스를 안내부재(10) 및 세정부재(20)를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로 가열함으로써 연소 배기가스의 상태습도를 낮춰 배출하는 열교환부재(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재(1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싱(11)와, 이런 케이싱(11)의 한 쪽에 형성되어 고온의 연소가스가 케이싱(1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가스 유입구(12)와, 케이싱(11)과 수직 하부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공급관(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연소가스는 가스 유입구(12)를 따라 케이싱(11)의 내부로 유입되어 다수의 공급관(13)을 따라 안내된다.
이렇게 구성된 안내부재(10)의 측면에는 다수의 공급관(13)을 따라 각각 안내되는 연소가스가 유동할 수 있는 다수의 유동관(21)이 배열된 세정부재(20)가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안내부재(10)의 다수의 공급관(13)과 세정부재(20)의 다수의 유동관(21)은 연소가스가 유동할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되어 있다. 이런 유동관(2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되는 연소가스를 선회류를 형성하면서 안내할 수 있도록 곡률을 갖는 다수의 안내깃(guide vane)이 설치된 선회류 형성부재(22)가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어 있다. 이런 선회류 형성부재(22)는 유동관(21)의 끝단의 내측면 및 중간부분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안내깃은 공급되는 연소가스를 유선형태로 회전 유동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 형태로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다수의 유동관(21)이 배열된 세정부재(20)에는 유동하는 연소가스가 유동관(21)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한 후 다시 하부로 유동하거나 그 반대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부 중간 부분에 격막(23)이 형성되어 있다. 즉, 다수의 유동관(21)이 배열된 그 중간의 하부에 격막(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유동관(21)은 유동하는 연소가스가 유동관(21)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선회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입구쪽에 선회류 형성부재(22)가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유동관(21)의 상부에는 고온의 연소가스의 열을 식히고 연소가스에 함유된 불순물 및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런 분사노즐(24)은 펌프(26)를 이용하여 세정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25)에 모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세정 순환수로는 하수 및 폐수처리장의 방류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세정부재(20)의 측면에는 이런 세정부재(20)에 의해 세정되고 열이 식혀진 세정가스에 함유되어 비산하는 미스트와 액적 상태의 물방울을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부재(30)가 연통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구성된 안내부재(10)의 다수의 공급관(13)과 세정부재(20)의 다수의 유동관(21) 및 미스트 제거부재(30)의 하부 둘레에는 이 부재(10, 20, 30)들이 서로 연통할 수 있도록 감싸는 열교환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열교환부재(40)는 미스트 제거부재(30)를 거친 세정가스가 세정부재(20)의 다수의 유동관(21)의 표면과 안내부재(10)의 다수의 공급관(13)의 표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스트 제거부재(30)의 상부와 열교환부재(40)는 연통부재(41)에 의해 연통되어 있는데, 이런 연통부재(41)에는 미스트 제거부재(30)를 거친 포화습도상태의 세정가스의 일부 수분을 응축시켜 제어하는 수분응축부재(50)와, 기온이 낮고 수분량이 적은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상대습도를 낮추는 외부공기 유입부재(4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분응축부재(5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보충수가 유동하여 수집탱크(42)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열되고, 또한 넓은 영역에서 열교환될 수 있도록 유선형태로 감겨 있다. 즉, 수분응축부재(50)는 미스트 제거부재(30)의 상부에서 열교환되면서 그 표면에 수분이 응축되도록 함으로써 일부분의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리고, 외부공기 유입부재(44)는 기온이 낮고 수분량이 적은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열교환부재(40) 내의 상대습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구성된 수분응축부재(50)를 통해 일부분의 수분이 제거되고, 외부공기 유입부재(44)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공기를 통해 상대습도가 낮아진 연소 배기가스는 열교환부재(40)를 따라 유동한다. 그로 인해, 대기로 배출될 연소 배기가스는 다수의 유동관(21) 및 공급관(13)을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로 인해 온도는 상승하고 상태습도는 더욱 낮아진다.
이렇게 구성된 열교환부재(40)의 하부에는 분사노즐(24)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를 수집하였다가 외부로 배출하는 수집탱크(42)가 형성되고, 안내부재(10)가 위치하는 쪽의 열교환부재(40)의 상부에는 연소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집탱크(42)의 상부에는, 즉 안내부재(10)의 다수의 공급관(13)을 따라 안내되는 연소가스가 세정부재(20)의 다수의 유동관(21)으로 유입되기 전, 또한 세정부재(20)의 다수의 유동관(21)으로 유동하던 세정가스가 미스트 제거부재(30)로 유입되기 전에 세정수를 각각 분사할 수 있도록 공급라인(25)에 연결된 분사노즐(27)이 설치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세정장치의 작동관계를 통해 백연 및 미스트를 방지하는 세정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에 보이듯이, 고온의 연소가스가 가스 유입구(12)를 통해 케이싱(11)의 내부로 유입된 후, 다수의 공급관(13)을 따라 안내된다. 이렇게 안내되던 연소가스는 세정부재(20)의 다수의 유동관(21)에 유입되기 전에 분사노즐(27)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해 1차 세정된 후 다수의 유동관(21)으로 유입된다. 그러면, 세정가스는 유동관(21)의 내측면에 설치된 선회류 형성부재(22)에 의해 선회류를 형성하면서 유동하여 분사노즐(24)에서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해 2차 세정된다. 이렇게 세정부재(20)의 다수의 유동관(21)에서 2차 세정된 세정가스는 미스트 제거부재(30)에 유입되기 전에 다시 한 번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해 3차 세정된다. 이런 세정단계를 통해 고온의 연소가스의 열을 식힘과 동시에 연소가스에 함유되어 있던 불순물 및 유해물질은 제거되지만, 수분을 함유하여 포화습도상태가 된다.
이렇게 포화습도상태인 세정가스는 미스트 제거부재(30)에 유입된다. 그러면, 미스트 제거부재(30)에서는 세정가스에 함유되어 비산하는 미스트와 액적상태의 물방울 등을 제거한다. 이렇게 미스트 제거부재(30)를 거친 연소 배기가스는 수분응축부재(50)를 통해 일부분의 수분이 응축되어 제거되고, 외부공기 유입부재(44)를 통해 공급되는 기온이 낮고 수분량이 적은 외부공기를 통해 상대습도가 감소된다. 이런 과정을 거친 연소 배기가스는 열교환부재(40)를 따라 유동한다. 즉, 연소 배가스는 다수의 유동관(21) 및 공급관(13)을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로 인해 온도는 상승하고 상대습도는 더욱 낮아진다.
이렇게 온도가 상승하고 상대습도가 낮아진 연소 배기가스는 열교환부재(40)의 배출구(43)를 통해 배출되어 굴뚝을 통해 대기로 배출된다. 이렇게 굴뚝을 통해 배출되는 연소 배기가스는 습식 세정 후에 배출되는 연소 배기가스보다 온도가 많이 상승되고 상태습도가 아주 낮아져 외부공기와 접촉하더라도 백연과 액적 상태의 물방울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정장치는 수분응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에 미스트 제거부재를 거친 후에 바로 배출되는 연소 배기가스와, 열교환부재를 따라 순환시킴으로써 가열된 외부공기를 굴뚝에서 서로 혼합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다.
도 3에 보이듯이, 본 발명의 세정장치는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를 안내하는 안내부재(10)와, 이런 안내부재(10)를 따라 안내되는 고온의 연소가스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연소가스의 열을 식힘과 동시에 연소가스에 함유된 불순물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부재(20)와, 이런 세정부재(20)에 의해 세정되고 열이 식혀진 세정가스에 함유되어 비산하는 미스트와 액적 상태의 물방울을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부재(30)와, 이런 미스트 제거부재(30)를 거친 연소 배기가스를 굴뚝(61)으로 배출하는 배출부재(60)와, 외부공기 유입부재(6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안내부재(10) 및 세정부재(20)를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로 가열한 후 굴뚝(61)으로 배출하는 열교환부재(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부재(40)는 안내부재(10)의 다수의 공급관(13)과 세정부재(20)의 다수의 유동관(21) 및 미스트 제거부재(30)의 하부 둘레가 서로 연통할 수 있도록 감싸면서 형성되는데, 이런 열교환부재(40)에는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부재(62)가 열결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부재(60)는 미스트 제거부재(30)의 상부에 형성되어 미스트 제거부재(30)를 거친 연소 배기가스를 굴뚝(61)으로 배출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열교환부재(40)의 배출구(43)가 굴뚝(61)과 연결되어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세정장치는 미스트 제거부재(30)를 거친 연소 배기가스와 열교환부재(40)를 통해 가열된 외부공기가 굴뚝(61)에서 서로 혼합된 후 굴뚝(6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세정장치는 미스트와 액적 상태의 물방울이 제거된 연소 배기가스를 가열된 외부공기로 굴뚝의 내부에서 가열함으로써, 굴뚝(61)의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 배기가스가 습식 세정 후에 배출되는 연소 배기가스보다 온도는 높아지고 상태습도는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세정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백연과 액적 상태의 물방울이 형성되지 않는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은 세정 후에 연소가스에 함유되는 미스트 및 수분을 제거하고 고온의 연소가스의 열로 재 가열함으로써 백연과 물방울 형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장치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별도의 에너지원이 필요 없으므로 경제적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정장치의 A 부분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안내부재 11 : 케이싱
12 : 가스 유입구 13 : 공급관
20 : 세정부재 21 : 유동관
22 : 선회류 형성부재 23 : 격막
24, 27 : 분사노즐 25 : 공급라인
26 : 펌프 30 : 미스트 제거부재
40 : 열교환 부재 41 : 연통부재
42 : 수집탱크 43 : 배출구
44 : 외부공기 유입부재 50 : 수분응축부재

Claims (7)

  1. 연소 배기가스의 대기 배출시에 생성되는 물방울 및 백연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유입되는 연소가스를 다수의 공급관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다수의 공급관을 따라 각각 안내되는 연소가스가 유동할 수 있는 다수의 유동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유동관에서 세정수를 각각 분사하여 연소가스의 열을 식힘과 동시에 연소가스에 함유된 불순물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수단과; 상기 세정수단을 통해 세정함에 따라 세정가스에 함유되어 세정가스와 함께 유동하는 미스트를 걸려서 제거하도록 세정가스는 통과시키고 미스트는 거르도록 구성된 미스트 제거수단 및;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다수의 공급관 및 유동관의 내부를 거쳐 상기 미스트 제거수단으로 유동한 후, 다시 상기 다수의 유동관 및 공급관의 표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다수의 공급관과 유동관 및 미스트 제거수단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이들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미스트가 제거되어 대기로 배출될 연소 배기가스를 상기 다수의 유동관 및 공급관의 표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다수의 유동관 및 공급관을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로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대습도를 감소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열교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유동관에는 상기 연소가스를 유선형태로 회전 유동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 형태로 구성된 안내깃(guide vane)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수단에는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외부공기 유입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수단에는 그 내부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는 수분응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
  5. 제1항에 기재된 장치를 이용하여 연소 배기가스의 대기 배출시에 생성되는 물방울 및 백연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유입되는 연소가스를 다수의 공급관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단계와, 상기 다수의 공급관을 따라 각각 안내되는 연소가스를 다수의 유동관을 따라 유동시키면서 세정수를 각각 분사하여 연소가스의 열을 식힘과 동시에 연소가스에 함유된 불순물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단계와, 상기 세정단계를 통해 세정가스에 함유되는 미스트를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단계 및, 상기 미스트가 제거되어 대기로 배출될 연소 배기가스를 상기 다수의 유동관의 표면과 상기 다수의 공급관의 표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다수의 유동관 및 공급관을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로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대습도를 감소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열교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방법.
  6. 연소 배기가스의 대기 배출시에 생성되는 물방울 및 백연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유입되는 연소가스를 다수의 공급관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다수의 공급관을 따라 각각 안내되는 연소가스가 유동할 수 있는 다수의 유동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유동관에서 세정수를 각각 분사하여 연소가스의 열을 식힘과 동시에 연소가스에 함유된 불순물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수단과; 상기 세정수단을 통해 세정함에 따라 세정가스에 함유되어 세정가스와 함께 유동하는 미스트를 걸려서 제거하도록 세정가스는 통과시키고 미스트는 거르도록 구성된 미스트 제거수단과; 상기 미스트 제거수단을 거친 연소 배기가스를 굴뚝으로 배출하는 배출수단 및; 상기 연소가스가 상기 다수의 공급관 및 유동관의 내부를 거쳐 상기 미스트 제거수단으로 유동하고, 외부공기 유입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상기 다수의 유동관 및 공급관의 표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다수의 공급관과 유동관 및 미스트 제거수단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이들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다수의 유동관 및 공급관의 표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다수의 유동관 및 공급관을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로 가열시켜 가열된 외부공기와 상기 연소 배기가스가 혼합되도록 상기 굴뚝으로 배출하는 열교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
  7. 제6항에 기재된 장치를 이용하여 연소 배기가스의 대기 배출시에 생성되는 물방울 및 백연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유입되는 연소가스를 다수의 공급관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단계와, 상기 다수의 공급관을 따라 각각 안내되는 연소가스를 다수의 유동관을 따라 유동시키면서 세정수를 각각 분사하여 연소가스의 열을 식힘과 동시에 연소가스에 함유된 불순물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단계와, 상기 세정단계를 통해 세정가스에 함유되는 미스트를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단계와,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다수의 유동관의 표면과 상기 다수의 공급관의 표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다수의 유동관 및 공급관을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열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및, 상기 미스트가 제거된 연소 배기가스와 가열된 외부공기를 혼합하여 대기로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방법.
KR10-2001-0040365A 2001-07-06 2001-07-06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 KR100471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365A KR100471923B1 (ko) 2001-07-06 2001-07-06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365A KR100471923B1 (ko) 2001-07-06 2001-07-06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724A KR20030004724A (ko) 2003-01-15
KR100471923B1 true KR100471923B1 (ko) 2005-03-08

Family

ID=2771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365A KR100471923B1 (ko) 2001-07-06 2001-07-06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9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55B1 (ko) 2008-03-17 2008-09-02 주식회사 시원기업 열교환형 세정장치
KR100912867B1 (ko) 2007-12-06 2009-08-1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
KR20200047122A (ko) * 2018-10-26 2020-05-07 (주)명성씨.엠.아이 배기가스 내의 유해성분 저감을 위한 공기정화 시스템에 구비되는 전처리유닛
KR20210017902A (ko) 2019-08-09 2021-02-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유해가스 응축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638B1 (ko) * 2006-02-08 2007-12-21 (주)대성공영환경 백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배출가스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784448B1 (ko) * 2006-12-29 2007-12-11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배기가스 냄새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곡물 가공처리시스템
KR101284682B1 (ko) * 2007-03-06 2013-07-16 주식회사 케이씨텍 기판 세정장비의 배기장치
KR101725385B1 (ko) * 2016-08-12 2017-04-12 주흥환경(주) 수직 멀티 베인형 싸이클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정탑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7119A (ko) * 1981-09-11 1983-10-14 웨이트맨 야콥 가스, 특히 공기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US5453115A (en) * 1992-11-30 1995-09-26 Deutsche Voest-Alpine Industrieanlagenbau Gmbh Process for cooling and cleaning gas, particularly blast furnace or producer gas, containing ultrafine particle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JPH11169638A (ja) * 1997-10-09 1999-06-29 Chiyoda Engineering Kk 排ガス処理方法及び装置
KR19990070053A (ko) * 1998-02-16 1999-09-06 윤종용 냉각응축기를 갖는 습식 공기청정장치
JP2000042350A (ja) * 1998-08-03 2000-02-15 Toyo Netsu Kogyo Kk 空気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7119A (ko) * 1981-09-11 1983-10-14 웨이트맨 야콥 가스, 특히 공기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US5453115A (en) * 1992-11-30 1995-09-26 Deutsche Voest-Alpine Industrieanlagenbau Gmbh Process for cooling and cleaning gas, particularly blast furnace or producer gas, containing ultrafine particle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JPH11169638A (ja) * 1997-10-09 1999-06-29 Chiyoda Engineering Kk 排ガス処理方法及び装置
KR19990070053A (ko) * 1998-02-16 1999-09-06 윤종용 냉각응축기를 갖는 습식 공기청정장치
JP2000042350A (ja) * 1998-08-03 2000-02-15 Toyo Netsu Kogyo Kk 空気浄化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867B1 (ko) 2007-12-06 2009-08-1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슬러지 건조기의 배가스 처리장치
KR100856055B1 (ko) 2008-03-17 2008-09-02 주식회사 시원기업 열교환형 세정장치
KR20200047122A (ko) * 2018-10-26 2020-05-07 (주)명성씨.엠.아이 배기가스 내의 유해성분 저감을 위한 공기정화 시스템에 구비되는 전처리유닛
KR102179440B1 (ko) 2018-10-26 2020-11-16 (주)명성씨.엠.아이 배기가스 내의 유해성분 저감을 위한 공기정화 시스템에 구비되는 전처리유닛
KR20210017902A (ko) 2019-08-09 2021-02-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유해가스 응축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724A (ko)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055B1 (ko) 열교환형 세정장치
CN105709573A (zh) 冷凝法烟气水回收消白烟系统
CN110882611B (zh) 一种锅炉烟气脱白系统
RU2004116274A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отходящих газов, содержащих углеводороды
KR100471923B1 (ko) 백연 및 미스트 방지용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
CN107648978A (zh) 湿法脱硫烟气消除烟羽系统及方法
CN109260914A (zh) 一种利用空气循环的烟气脱白系统及工艺
CN108731012B (zh) 一种用于燃煤电厂湿烟羽消除的装置及方法
FI87317C (fi) Roekgasfoerreningsanordning
KR101746096B1 (ko) 이중관 구조의 백연 제거 장치
CN209188450U (zh) 烟气引射混风消白系统
CN205495298U (zh) 一种冷凝法烟气水回收消白烟系统
CN207429949U (zh) 印染定型机废气处理装置
CN216693559U (zh) 急冷及碱洗一体式设备
CN214598042U (zh) 一种用于控制湿烟羽的尾气处理装置
KR20190136522A (ko) 백연저감 습식 스크러버
CN211302510U (zh) 一种烟气冷凝脱白除雾除尘塔
SU172859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тилизации тепла и очистки дымовых газов
SU1760239A1 (ru) Котельна установка
JP2002250514A (ja) 排煙処理装置とその運転方法
CN110772914A (zh) 一种烟气冷凝脱白除雾除尘塔
CN110102127A (zh) 一种熄焦塔烟气脱白除尘系统
CN220214364U (zh) 一种用于多成分的废气处理设备
CN220893006U (zh) 一种电石炉直排烟气处理装置
CN218393000U (zh) 一种物理脱白系统用的末端净化冷却排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